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 황산염 저항성,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 마그네슘 이온
alkali-activated materials, sulfate resistance,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fly ash, magnesium ion

  • 1. 서 론

  • 2. 황산마그네슘에 의한 콘크리트 열화 메커니즘

  • 3. 실험 개요

  •   3.1 배합 재료

  •   3.2 배합 설계

  •   3.3 양생 조건

  •   3.4 실험 방법

  •   3.4.1 압축강도

  •   3.4.2 질량변화

  •   3.4.3 길이변화

  •   3.4.4 X선 회절 분석(XRD)

  • 4. 실험 결과 및 고찰

  •   4.1 압축강도

  •   4.2 질량변화

  •   4.3 길이변화

  •   4.4 X선 회절 분석(XRD)

  • 5. 결 론

1. 서    론1)

친환경콘크리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OPC)를 대체할 결합재로서 플라이애시(Fly Ash, FA)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GBFS)을 활용한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Alkali -Activated Materials, AAM)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

AAM은 알루미나 규산염(Aluminosilicate)과 알칼리 용액과의 반응에 의해 응결·경화되는 재료를 말한다. AAM의 주재료로 FA를 사용하는 경우의 주된 반응은 식 (1)과 같이 지오폴리머 겔이라고 부르는 알칼리-알루미노실리케이트 겔(Alkali -aluminosilicate gel)이며, AAM의 주재료로 GGBF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 (2)와 같이 포틀랜드 시멘트 수화생성물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규산칼슘 수화물(Calcium Silicate Hydrate, C-S-H)이 주요 반응 생성물이다.3-5)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62.gif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63.gif (1)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73.gif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74.gif (2)

AAM의 장점으로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OPC는 황산염 수용액에 침지할 경우, 열화가 발생하고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저하가 보고되고 있다.6-9) Lee, S. T10)에 의하면 OPC 모르타르는 5% 황산나트륨 수용액에서 침지 재령 28일 이후 압축강도가 선형적으로 저하하여 침지 재령 510일에는 압축강도가 약 64% 저하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반면, AAM은 수화반응물 중 결정 크기가 가장 큰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Ca(OH)2)의 생성이 없기 때문에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12)

그러나 선행연구에 의하면 AAM은 황산나트륨 수용액에서는 우수한 내화학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황산마그네슘 수용액에서는 침식에 따른 열화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AAM은 마그네슘 이온에 따라서 황산염 저항성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13,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슘 이온(Magnesium, Mg2+) 및 황산염 이온(Sulfate, SO42-)의 영향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침지 용액의 조건을 설정하여 AAM 모르타르의 황산염 침식 저항성에 미치는 Mg2+ 및 SO42- 이온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여기서 침지 용액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trate, Mg(NO3)2),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MgCl2),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Na2SO4),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을 복합 사용하였다.

Mg2+이온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및 Mg2+ 및 SO42-를 복합 용해한 경우에서의 황산염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0%Mg(NO3)2, 10%[MgCl2+Na2SO4], 10% [Mg(NO3)2+Na2SO4], 5%[Mg(NO3)2+Na2SO4]의 복합 수용액에서의 황산염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Mg2+의 농도에 의한 영향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5% 및 2.5% MgSO4 수용액에서의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저항성 평가를 위하여 침지기간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 길이 변화 및 질량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X선 회절 분석(XRD)을 이용하여 시험체 내부 조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2. 황산마그네슘에 의한 콘크리트 열화 메커니즘

MgSO4은 식 (3), (4), (5) 및 (6)과 같이 대표적 수화생성물인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Ca(OH)2), 칼슘 알루미네이트 수화물(Calcium Aluminate Hydrate, CaO․Al2O3․H2O, C-A-H), 규산칼슘 수화물(Calcium Silicate Hydrate, CaO․SiO2․H2O, C-S-H)과 우선적으로 반응하여 석고(CaSO4․2H2O, Gypsum) 및 수산화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Mg(OH)2, Brucite)을 생성한다. Brucite는 식 (7)과 같이 실리카 겔(S2H)과 반응함으로써 C-S-H는 점진적으로 칼슘을 잃고 결합재로서의 성능이 없는 규산마그네슘 수화물(Magnesium Silicate Hydrate, non-cementitious M-S-H)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다량 생성된 Gypsum 및 M-S-H가 표층을 연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15,16) 따라서 GGBFS 기반 AAM의 생성물인 C-S-H는 MgSO4과 반응하여 열화현상을 발생하게 된다.12,14)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85.gif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86.gif (3)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97.gif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98.gif (4)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A8.gif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B9.gif (5)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BA.gif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CA.gif (6)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CB.gif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CC.gif (7)

3. 실험 개요

3.1 배합 재료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로서 KS L 5405 2종 FA 및 KS F 2563 3종 GGBFS를 사용하였으며, 본 실험에 사용한 FA 및 GGBFS의 물리적 성질 및 화학성분은 Table 1과 같다. Fig. 1의 XRD 결과 FA는 이산화규소(SiO2, Quartz) 및 뮬라이트(Al6Si2O13, Mullite)가 주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GGBFS는 Anhydrite 및 Amorphous hump peak(회절각 2θ=30°부근)가 넓은 언덕 형태로 확인되었다. 또한, 잔골재는 KS L ISO 679를 만족하는 ISO 표준사를 사용하였으며, 알칼리 활성화제로는 순도 ≥ 98%인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및 액상 규산나트륨(SiO2 28.2%, Na2O 9.3%, H2O 65.5% Sodium silicate solution, Na2SiO3, Water glass)을 사용하였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A and GGBFS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Table_CONCRETE_29_04_10_T1.jpg
Fig. 1

XRD patterns of FA and GGBFS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Figure_CONCRETE_29_04_10_F1.jpg

3.2 배합 설계

Table 2와 같이 배합하였으며, 모든 시험체는 KS L ISO 679에 따라서 물-결합재 비(W/B) 0.5, 결합재-잔골재비 1:3으로 모르타르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단, XRD 분석을 위한 페이스트 시험체는 W/B=0.4로 제작하였다. Task A는 GGBFS 비율을 30, 50 및 100%로 하고, 알칼리 활성화제인 산화나트륨(Sodium oxide, Na2O)은 결합재 질량대비 4%, SiO2와 Na2O의 몰 비(SiO2/Na2O molar ratio, Ms)는 1.0, 1.5 및 2.0으로 배합하여, GGBFS 및 Ms에 따른 AAM의 특성을 파악하고, 10% MgSO4 및 Na2SO4 수용액에서의 저항성을 파악하였다. Task B는 GGBFS 비율을 30%로 하고, Na2O는 결합재 질량대비 4%, Ms는 2.0으로 고정하여 배합하여, Mg2+ 및 SO42-가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의 저항성을 파악하였다. 여기서, SO42-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조건은 Task A의 S30-2.0-10% Na2SO4와 같다. Task C는 Mg2+ SO42-화합물을 복합 혼합하였다. Task D는 MgSO4농도를 10%, 5% 및 2.5%로 조정하였다. 여기서 10% MgSO4은 Task A의 S30-2.0-10% MgSO4과 같다. Task B, C 및 D에 사용한 시약은 수용성이 있는 질산(Nitrate, NO3-), 염소(Chloride, Cl-) 및 황산(Sulfate, SO42-) 이온 계열로 선정하였다.

Table 2 Mix properties of mortal specimens and sulfate solution conditions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Table_CONCRETE_29_04_10_T2.jpg

*1: Task B=Mg2+ or SO42- solution

*2: Task C=mixed solution with Mg2+ and SO42-

*3: Task D=concentration of MgSO4

3.3 양생 조건

배합 후 몰드에 타설하고 온도 23°C, 상대습도(RH) 90%의 습기함에서 24시간 초기양생을 실시하였다. 24시간 초기양생 후 온도(20±2)°C, 상대습도(RH) (60±5)%의 항온항습실에서 28일 동안 양생을 실시한 후, 각 시험체를 수용액에 침지하고 항온항습실에서 보관․정치하였다.

3.4 실험 방법

3.4.1 압축강도

KS L ISO 679에 준하여 40×40×160mm 시험체를 제작하고 재령별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초기 28일 양생한 시험체를 기준강도로 하고, 이 후 수용액에 침지한 후 침지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압축강도 측정은 KS L ISO 679에 준하여 UTM(INSTRON1200kN)을 사용하여 하중속도 2,400±200N/s로 시험하였다. 압축강도 변화율은 식 (8)과 같이 산출하였다.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DD.gif (8)

여기서,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DE.gif : 압축강도 변화율(%)/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EF.gif : 침지 재령에서의 압축강도(MPa)/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1F0.gif : 재령 28일 압축강도(MPa)

3.4.2 질량변화

황산염 용액 침지 전 28일 양생한 40×40×160mm 시험체를 질량을 기준으로 하고, 이 후 수용액에 침지한 후 침지 재령에 따른 질량을 측정하였다. 질량변화율은 식 (9)와 같이 산출하였다.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200.gif (9)

여기서,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201.gif : 질량변화율(%)/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202.gif  : 침지 재령에서의 시험체 질량(g)/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213.gif : 재령 28일 시험체 질량(g)

3.4.3 길이변화

황산염 용액 침지 전 28일 양생한 40×40×160mm 시험체를 길이를 기준으로 하고, 이 후 수용액에 침지한 후 침지 재령에 따른 길이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KS F 2424:2015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길이변화 시험방법」의 4.2 콘택트 게이지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길이변화율은 식 (10)과 같이 산출하였다.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214.gif (10)

여기서,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215.gif : 길이변화율(%)/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226.gif  : 침지 재령에서의 시험체 길이(mm)/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PIC4227.gif : 재령 28일 시험체 길이(mm)

3.4.4 X선 회절 분석(XRD)

황산염 침투에 따른 AAM 반응 생성물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분말 샘플을 대상으로 MiniFlex 600 (Rigaku)을 이용하여 XRD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조건은 CuKα:40kV, 15mA, Scanning speed:5°/min, 측정 범위는 5°∼65°/2θ로 하였다.

4. 실험 결과 및 고찰

4.1 압축강도

Fig. 2에 각각의 용액에 침지한 시험체의 침지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Fig. 3에 압축강도 변화율을 나타내었다. Fig. 2(a), (b)와 같이 GGBFS 50%치환(S50)의 재령 28일 압축강도 결과를 보면, Ms가 1.0, 1.5 및 2.0으로 증가할수록 33.0MPa, 37.1MPa 및 57.2MPa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GGBFS 치환이 30%, 50% 및 100%로 증가함에 따라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38.3MPa, 57.2MPa 및 52.0MPa의 결과가 나타났다. 단, GGBFS 100% (S100)의 경우에는 급결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워커빌리티 및 성형성이 저하되고 내부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 압축강도가 S50보다 약 5.2MPa (=9.1%) 작은 것으로 생각된다.17,18) 결론적으로 GGBFS 치환량 및 Ms비가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Ms비가 증가할수록 Water glass로부터 반응성 Si 공급량이 증가하고, OH- 이온에 의해 GGBFS로부터 용출되는 Ca2+ 이온과 빠르게 반응하여 C-S-H의 생성량이 증가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19,20)

Fig. 2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s immersed in the solutions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Figure_CONCRETE_29_04_10_F2.jpg
Fig. 3

Compressive strength change in comparison to initial strength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Figure_CONCRETE_29_04_10_F3.jpg

황산염 용액 침지 결과를 보면 Fig. 2(a)와 같이 10% Na2SO4 수용액에서는 모든 배합 조건의 시험체에서 침지 이후 지속적인 강도증진이 확인되었다. 반면, Fig. 2(b)와 같이 10% MgSO4 수용액에서는 모든 시험체에서 침지 이후 지속적인 강도저하가 나타났다. 따라서 AAM은 MgSO4에 대한 저항성이 저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Fig. 3(a)와 같이 10% MgSO4 수용액의 경우 침지 재령 12개월의 압축강도 변화율은 GGBFS 50%치환(S50)에서 Ms비가 1.0, 1.5 및 2.0에 따라 -29.96% (33.0 MPa→24.1 MPa), -39.55% (37.1MPa→22.4MPa) 및 -64.57% (57.2MPa →20.2MPa)로 나타나, MgSO4용액 침지 조건에서는 Ms비 증가에 따라 장기적으로 급격한 강도저하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Ms비가 증가할수록 MgSO4 수용액에서의 저항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ask B와 같이 GGBFS 30%, Ms 2.0 (S30-2.0) 시험체를 Mg2+ 및 SO42-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실험 결과는 Fig. 2(c) 및 Fig. 3(b)와 같다. 10% Na2SO4의 침지 재령 12개월의 압축강도 변화율은 54.44% (38.3MPa →59.2MPa)이고, 10% Mg(NO3)2의 침지 재령 12개월의 압축강도 변화율은 53.84% (36.5MPa→56.1MPa)로 압축강도가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AAM 시험체는 Mg2+ 및 SO42-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Task C와 같이 S30-2.0 시험체를 Mg2+ 및 SO42-의 개별 화합물을 복합 용해한 조건에서의 실험 결과는 Fig. 2(d)와 같다. 10%(MgCl2+Na2SO4)의 침지 전, 침지 재령 4개월 및 6 개월의 압축강도는 35.0MPa, 48.6MPa 및 36.4MPa로 4개월 이후 급격히 압축강도가 저하하였다. Fig. 3(b)와 같이 재령 6개월의 압축강도 변화율은 3.77%이었다. 10% (Mg(NO3)2+Na2SO4)의 침지 전, 침지 재령 4개월 및 6개월의 압축강도는 35.0MPa, 45.4MPa 및 36.3MPa로 침지 재령 4개월 이후 급격히 압축강도가 저하하였다. Fig. 3(b)와 같이 재령 6개월의 압축강도 변화율은 3.61%이었다. 결론적으로, AAM 시험체를 Mg2+ 및 SO42- 개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복합 용해한 경우에도 침지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시험체가 열화하였다.

Task D와 같이 S30-2.0 시험체의 MgSO4 농도에 따른 실험 결과는 Fig. 2(e)와 같다. 10% MgSO4의 경우에는 침지 후부터 지속적인 압축강도 저하가 발생하여 침지 재령 12개월의 압축강도 변화율은 Fig. 3(b)와 같이 -87.68% (38.3MPa→4.7MPa)로 확인되었다. 5% MgSO4의 침지 전, 침지 재령 2개월, 4개월 및 6개월의 압축강도는 35.0MPa, 54.2MPa, 44.0MPa 및 38.6MPa로 침지 재령 2개월 이후 압축강도가 저하하였다. 침지 재령 6개월의 압축강도 변화율은 10.08%이었다. 2.5% MgSO4의 침지 전, 침지 재령 2개월, 4개월 및 6개월의 압축강도는 35.0MPa, 50.0MPa, 50.1MPa 및 41.7MPa로 침지 재령 4개월 이후 압축강도가 저하하였다. 침지 재령 6개월의 압축강도 변화율은 19.06%이었다. 결론적으로, AAM 시험체는 MgSO4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열화시점이 빨라지며, 열화현상이 극대화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AAM은 Mg2+ 및 SO42-가 공존하는 조건에서 압축강도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2 질량변화

Fig. 4는 황산염 용액 침지 재령에 따른 질량변화 실험 결과이다. Fig. 4(a)와 같이 10% Na2SO4용액의 침지 재령 12개월의 질량변화율은 S50-1.0, S50-1.5, S50-2.0 및 S30-2.0에서 -0.15%, -0.23%, 0.59% 및 1.31%인 것과 비교해 MgSO4용액의 침지 재령 6개월의 질량변화율은 6.38%, 6.34%, 7.14% 및 6.31%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MgSO4용액에 침지한 모든 시험체는 재령 6개월 이후부터 시험체 열화․파손에 의해서 측정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Fig. 4

Weight change of mortars immersed in the solutions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Figure_CONCRETE_29_04_10_F4.jpg

Task B와 같이 S30-2.0 시험체의 Mg2+ 및 SO42-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실험 결과는 Fig. 4(c)와 같다. 여기서, H2O의 침지 재령 6개월의 질량변화율은 1.36%로 측정되었다. 침지 재령 12개월에서의 10%Na2SO4 및 10% Mg(NO3)2의 질량변화율은 1.31% 및 1.37%의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Mg2+ 및 SO42-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AAM 시험체의 질량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Task C와 같이 S30-2.0 시험체를 Mg2+ 및 SO42-의 개별 화합물을 복합 용해한 조건에서의 실험 결과는 Fig. 4(d)와 같다. 재령 6개월의 10% (MgCl2+Na2SO4)의 질량변화율은 3.98%, 10% (Mg(NO3)2+Na2SO4)의 질량변화율은 3.10%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Mg2+ 및 SO42-개별 화합물을 복합 용해한 경우에도 황산염에 의한 침식에 따라 시험체 질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Task D와 같이 S30-2.0 시험체의 MgSO4농도에 따른 실험 결과는 Fig. 4(e)와 같다. 10% MgSO4의 침지 재령 6개월의 질량변화율은 6.31%이고, 5% 및 2.5% MgSO4의 침지 재령 6개월의 질량변화율은 각각 3.75% 및 1.37%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MgSO4농도에 따라 시험체 질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3 길이변화

Fig. 5는 시험체의 침지 재령에 따른 길이변화율 및 ASTM C1012에서 규정하고 있는 팽창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ASTM C101221)에서는 Sulphate resistance portland cement 및 GGBFS를 혼입한 모르타르를 5% Na2SO4용액에 침지한 조건에서 침지 재령 180일의 팽창률이 0.05% 이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Fig. 5

Length change of mortars immersed in the solutions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Figure_CONCRETE_29_04_10_F5.jpg

Fig. 5(a), (b)와 같이 10% Na2SO4용액의 침지 재령 12개월의 길이변화율은 S50-1.0, S50-1.5, S50-2.0 및 S30-2.0에서 -0.017%, -0.013%, -0.007% 및 -0.030%의 결과가 나타난 것과 비교해 10% MgSO4용액에 침지시킨 시험체의 재령 12개월의 길이변화율은 S50-1.0, S50-1.5 및 S30-2.0에서 0.029%, 0.014% 및 0.312%로 팽창하는 결과가 나타났다(S50-2.0은 3개월 이후 측정불가 상태). 결론적으로, AAM의 Na2SO4저항성은 ASTM 기준을 만족하나 MgSO4저항성은 ASTM 기준에 현저히 못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Fig. 5(c)와 같이 Mg2+ 및 SO42-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10% Na2SO4 및 10%Mg(NO3)2에서의 침지 재령 12개월의 길이변화율은 -0.029% 및 -0.021%로 측정되었다. 여기서, H2O에 침지한 시험체는 재령 6개월에서 -0.017%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Fig. 5(d)와 같이 Mg2+ 및 SO42-의 개별 화합물을 복합 용해한 10%(MgCl2+Na2SO4) 및 10% (Mg(NO3)2+Na2SO4)에서의 침지 재령 6개월의 길이변화율은 0.094% 및 0.129%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Mg2+ 및 SO42-개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복합 용해한 경우에도 황산염에 의한 침식에 따라 시험체가 팽창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Fig. 5(e)와 같이 MgSO4농도에 따른 길이변화율은 침지 재령 6개월의 10%, 5% 및 2.5% MgSO4의 길이변화율이 0.312%, 0.138% 및 -0.003%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MgSO4농도에 따라 길이변화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4 X선 회절 분석(XRD)

XRD 측정 결과 침지 전인 재령 28일의 반응생성물은 FA로부터 기원하는 Quartz와 GGBFS로부터 생성된 C-S-H로서 모든 배합에서 동일하였다. 여기서, Fig. 6(a)는 H2O에 침지한 재령별 XRD 결과로서 침지 전과 동일한 패턴이 침지 재령 6개월까지 지속적으로 측정되었다.

Fig. 6

XRD patterns of AAM (G: Gypsum (CaSO42H2O), B: Brucite (Mg(OH)2), Q: Quartz(SiO2), C: C-S-H)

/Resources/kci/JKCI.2017.29.4.415/images/Figure_CONCRETE_29_04_10_F6.jpg

Task A와 같이 10% Na2SO4 및 10% MgSO4에서의 재령별 XRD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Fig. 6(b), (c)와 같다. 10% Na2SO4 수용액에서는 침지 재령에 따른 조성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AAM의 주요 반응 생성물인 Alkali-aluminosilicate gel 및 C-S-H는 Na2SO4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10% MgSO4 수용액에서는 침지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11.5°/2θ와 29.0°/2θ부근의 Gypsum 및 20.5°/2θ부근의 Brucite 피크가 높아지는 것으로부터 이 2개의 생성물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ask B와 같이 Mg2+ 및 SO42-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조건에서의 조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10% Na2SO4및 10% Mg(NO3)2에 침지하여 XRD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를 Fig. 6(b), (d)에 나타냈다. 양 조건 모두 XRD 분석 결과는 침지 전과 동일한 패턴이 지속적으로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AAM 시험체는 Mg2+ 및 SO42-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Mg2+ 및 SO42-의 침투에 의한 생성물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Task C와 같이 Mg2+ 및 SO42-의 개별 화합물을 복합 용해한 조건에서의 조성 변화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Fig. 6(e), (f)와 같다. 10% (MgCl2 + Na2SO4) 및 10% (Mg(NO3)2+Na2SO4) 모두 11.5°/2θ와 29.0°/2θ부근의 Gypsum 및 20.5°/2θ부근의 Brucite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AAM 시험체를 Mg2+ 및 SO42- 의 개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복합 용해한 경우에도 Mg2+ 및 SO42-가 AAM의 열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ask D와 같이 MgSO4농도에 따른 조성 변화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Fig. 6(c), (g), (h)와 같다. 10% MgSO4에서 11.5°/2θ와 29.0°/2θ부근의 Gypsum 및 20.5°/2θ부근의 Brucite가 가장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또한 MgSO4 농도가 높을수록 해당 피크는 높아지고 침지 초기부터 피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2개의 생성물이 AAM의 팽창과 균열을 일으키는 주요 반응 생성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MgSO4용액에 침지한 경우 발생하는 강도저하 및 시험체 팽창 등의 열화 원인은 Gypsum 및 Brucite 생성에 기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생성되는 Gypsum은 1.2∼2.2배의 체적팽창을 일으킨다고 보고되고 있다.22) 또한 SO42-이온에 의한 반응생성물(Gypsum)뿐만 아니라 Mg2+이온에 의한 Brucite의 생성이 황산염 침식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즉, SO42-이온과 더불어 Mg2+이 C-S-H의 분해를 촉진하고, 용출된 Ca2+이온이 SO42-용액과 반응하여 Gypsum을 생성하고 low solubility hydroxide인 Brucite를 지속적으로 생성함에 따라 C-S-H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순환이 계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 식 (7)과 같이 Brucite가 S2H와 반응하여 C-S-H가 M-S-H로 전환되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추가 연구를 통하여 규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Rietveld법을 이용한 XRD 정량분석을 통해 Gypsum 및 Brucite의 생성량을 확인하고, 2개의 생성량과 압축강도, 질량 및 길이변화의 상관과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Mg2+ 및 SO42-이온의 몰 농도(molar concentration)에 따른 Gypsum 및 Brucite의 생성량을 추정하여 AAM의 황산염 저항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Alkali-activated materials, AAM)의 황산염 저항성에 관한 실험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AAM의 압축강도는 GGBFS 치환량 및 Ms비[SiO2/Na2O]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는, Ms비가 증가할수록 반응성 Si 공급량이 증가하여, OH- 이온에 의해 GGBFS로부터 용출되는 Ca2+ 이온과 빠르게 반응하여 C-S-H의 생성량이 증가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AAM은 Mg2+ 및 SO42-가 개별로 존재하는 용액(Na2SO4 및 Mg(NO3)2)에서는 압축강도 저하 및 팽창 등의 열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AAM은 Na2SO4에 대해서 우수한 저항성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3)AAM은 MgSO4 수용액 및 Mg2+과 SO42-를 개별 화합물로써 복합 용해한 조건(MgCl2+Na2SO4, Mg(NO3)2+Na2SO4)에서는 압축강도 저하 및 팽창 등의 열화 현상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AAM은 Mg2+ 및 SO42-가 공존하는 경우에 열화 현상이 발생하였다.

4)MgSO4에 의한 열화는 SO42-이온과 더불어 Mg2+이 C-S-H의 분해를 촉진하고, 용출된 Ca2+이온이 SO42-용액과 반응하여 Gypsum을 생성하고 low solubility hydroxide인 Brucite를 지속적으로 생성함에 따라 C-S-H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순환이 계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gSO4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열화 속도 및 열화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2016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의 지원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2016000700001)입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Davidovits, J., “Geopolymer Cement to Minimize Carbon-dioxide Greenhouse-warming”, Ceramic Transactions, Vol. 37, 1993, pp. 165-182.Google Search
2 
Van Deventer, J.S.J., Provis, J. L., Duxson, P., and Lukey, G. G., “Reaction Mechanisms in the Geopolymeric Conversion of Inorganic Waste to Useful Product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139, No. 3, 2007, pp. 506-513.DOI
3 
Lothenbach, B. and Gruskovnjak, A., “Hydration of Alkali-activated Slag: Thermodynamic Modelling”, Advances in Cement Research, Vol. 19, No. 2, 2007, pp. 81-92.DOI
4 
Richardson, I. G., Brough, A. R., Groves, G. W., and Dobson, C. M., “The Characterization of Hardened Alkali Activated Blast Furnace Slag Pastes and the Nature of the Calcium Silicate Hydrate (C-S-H) Phas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4, No. 5, 1994, pp. 813-829.DOI
5 
Wang, S. D. and Scrivener, K. L., “Hydration Products of Alkali Activated Slag C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5, No. 3, 1995, pp. 561-571.DOI
6 
Lei, M., Peng, L., Shi, C., and Wang, S., “Experimental Study on the Damage Mechanism of Tunnel Structure Suffering from Sulfate Attack”,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36, 2013, pp. 5-13.DOI
7 
Shamaa, M. A., Lavaud, S., Divet, L., Nahas, G., and Torrenti, J. M., “Coupling between Mechanical and Transfer Properties and Expansion Due to DEF in a Concrete of a NuclearPlant”,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266, 2014, pp. 70-77.DOI
8 
Bae, S. H., Park, J. I., and Lee, K. M., “Influence of Mineral Admixtures on the Resistance to Sulfuric Acid and Sulfate Attack in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2, No. 2, 2010, pp. 219-228.DOI
9 
Lee, S. T., “Magnesium Sulfate Attack and Deterioration Mode of Metakaolin Blended Cement Matrix”,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1, No. 1, 2009, pp. 21-27.DOI
10 
Lee, S. T.,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Silica Fume Blended Cement Matrix Exposed to External Sulfate Attack”,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1, No. 4, 2007, pp. 121-128.Google Search
11 
Caijun, S. and Yinyu, L., “Investigation on Some Factors Aff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lkali-phosphorus Slag C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19, No. 4, 1989, pp. 527-533.DOI
12 
Gruskovnjak, A., Lothenbach, B., Winnefeld, F., Figi, R., Ko, S. C., Adler, M., and Mäder, U., “Hydration Mechanisms of Super Sulphated Slag C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8, No. 7, 2008, pp. 983-992.DOI
13 
Park, K. M., Cho, Y. K., and Lee, B. C., “Sulfate Resistance of Alkali-Activated Materials Morta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0, No. 2, 2016, pp. 94-101.DOI
14 
Park, K. M., Cho, Y. K., Ra, J. M., and Kim, H. S., “Effects of Magnesium on Sulfate Resistance of Alkali-activated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1, No. 1, 2017, pp. 109-116.Google Search
15 
Al-Amoudi, O. S. B., “Sulfate Attack and Reinforcement Corrosion in Plain and Blended Cements Exposed to Sulfate Environments”,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33, No. 1, 1998, pp. 53-61.DOI
16 
Santhanam, M., Cohen, M. D., and Olek, J., “Mechanism of Sulfate Attack : A Fresh Look Part 1 : Summary of Experi-mental Result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2, No. 6, 2002, pp. 915-921.DOI
17 
Nath, P. and Sarker, P., “Effect of GGBFS on Setting, Workability and Early Strength Properties of Fly Ash Geopolymer Concrete Cured in Ambient Condi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66, No. 15, 2014, pp. 163-171.DOI
18 
Arbi1, K., Nedeljkovicl, M., Zuo, Y., Grünewald, S., Keulen, A., and Ye, G., “Experimental Study on Workability of Alkali Activated Fly Ash and Slag-based Geopolymer Concretes”, Geopolymers : The route to eliminate waste and emissions in ceramic and cement manufacturing, An ECI Conference, Austria, 2015, pp. 75-78.Google Search
19 
Shi, C., Pavel V. K., and Della R., Alkali-Activated Cements and Concretes, Taylor & Francis Group, 2006, pp. 150-156.DOI
20 
Brough, A. R. and Atkinson, A., “Sodium Silicate-based, Alkali-activated Slag Mortars - Part I. Strength, Hydration and Microstruc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2, No. 6, 2002, pp. 865-879.DOI
21 
ASTM C 1012, Standard Test Method for Length Change of Hydraulic-Cement Mortars Exposed to Sulfate Solution,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International, USA, 2007, pp. 1-6.Google Search
22 
Monteny, J., Vincke, E., Beeldens, A., Taerwe, L., Van Gemert, D., and Verstraete, W., “Chemical, Microbiological, and in Situ Test Methods for Biogenic Sulfuric Acid Corrosion of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0, No. 4, 2000, pp. 623-634.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