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생 (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Rep. of Korea)
  2.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Rep. of Korea)
  3.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객원교수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Rep. of Korea)
  4.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교수 (Professor, Division of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22012, Rep. of Korea)



좌굴, 이격 거리, 비구조재, 반복 하중, 후설치 확장형 앵커
buckling, lever arm, nonstructural component, load cycling, post-installed expansion anchor

1. 서 론

콘크리트 앵커는 구조체와 다른 구조 및 비구조재를 연결하는 주요한 긴결 요소로써, 내진 성능에 대한 검증이 필히 요구되는 비구조재이다(Eligehausen et al. 2006). 특히, 건축물의 보수・보강 및 리모델링 시 중량물 및 비구조재를 구조체에 부착시키거나 고정하는 데 있어 시공의 편리함으로 후설치 앵커의 사용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Mahrenboltz et al. 2016; Mahrenboltz et al. 2017). 또한, 최근 엄격해진 내진 설계 요구 사항에 대응하기 위해 구조 성능 및 시공성을 향상한 다양한 앵커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Kim et al. 2016). 국내의 경우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에서 콘크리트 앵커편이 부록에서 본문으로 개편되면서 앵커 설계 규정을 정비하고 자체 기술력 확보를 도모하였다. 더욱이 최근 건설현장에서는 적절한 실험법에 의해 목표 내진 성능이 확보된 앵커를 사용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Fig. 1. Installed configuration of post-installed anchor systems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1.png

콘크리트 후설치 앵커는 외부 마감재가 설치되는 경우 구조체와 가깝게 설치되는 경우가 있고, 단열재 및 외부 마감재 등을 고려하여 벽체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Fig. 1). 특히, 외부 마감재가 구조체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경우, 강재 브래킷의 설치를 위해 단열재를 제거하고 우레탄 폼 등으로 재충진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시공 품질 저하로 인해 단열 성능뿐 아니라 구조 성능을 보장하기 어려운 경우가 상당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이 보완된 후설치 확장형 앵커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조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후설치 앵커는 단열재를 제거하지 않고, 원통형 실린더로 관통시킨 후 앵커 볼트 삽입 및 슬리브를 충격하중을 가하여 설치한 다음 고정 너트(fixing nut)로 앵커 볼트와 실린더를 체결하여 시공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강재 브래킷이 필요하지 않고 단열재의 훼손도 유발하지 않는다(Fig. 1(b)). 그뿐만 아니라 단열재 제거 및 재충진 공정이 불필요해지는 등 시공성이 향상되었다. 그리하여, 이러한 형태의 앵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발된 앵커의 구조 성능 검증을 위한 기초 연구로, 비균열・무근 콘크리트에 이격 설치된 단일 앵커의 반복 전단 및 인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는 콘크리트 베이스로부터 하중 재하점의 이격 거리로 설정하였다. 또한 최종 파괴 모드에 기반하여 개발된 후설치 확장형 앵커의 수정 강도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앵커 시험 기준

후설치 앵커에 관한 대표적인 시험 기준들을 살펴보면, 균열의 유무, 콘크리트 강도, 앵커 타입, 앵커 묻힘 깊이, 연단 거리, 하중 조건, 안전성 평가 기준 등에 따라 다양한 성능검증방법을 명시하고 있다. 특히, 앵커의 사용성능(serviceability) 평가를 위한 모의지진 실험 방법은 하중제어방식(force- controlled)과 변위제어방식(displacement-controlled: FEMA-461 (FEMA 2007))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중제어방식의 경우 재하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 지속하중방식(Constant: DIBt(DIBt 1998)); 2) 하중증가방식(Stepwise increasing: SEAOSC(SEAOSC 1997); ETAG 001 Annex E C1 protocol(EOTA 2013)); 3) 하중감소방식(Stepwise decreasing: ACI 355.2(ACI 2007); ACI 355.4(ACI 2011); ETAG 001 Annex E C2 protocol(EOTA 2013)). 이 중 미국(ACI 355.2; ACI 355.4)과 유럽(ETAG 001)의 기준들은 국내를 포함하여 국제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기준의 근간이 되고 있다. ACI에서 발간된 성능검증 매뉴얼에서는 후설치 앵커를 기계식 앵커(ACI 355.2 2007)와 부착식 앵커(ACI 355.4 2011)로 분류하여 사용성능 검증을 위한 모의지진 실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준들은 유럽의 ETAG 001 Annex E(EOTA 2013)의 C1 프로토콜과 매우 유사하며 하중감소방식의 프로토콜을 채택한 반면, 최근 개정된 ETAG 001 Annex E(EOTA 2013)의 C2 프로토콜은 하중증가방식의 프로토콜을 채택하여, 극한한계상태에서의 강도와 변형 능력을 고려한 내진성능검증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Fig. 2).

Fig. 2. Schematic review of simulated seismic test methods of ACI (ACI 2007; 2011) and ETAG 001 (EOTA 2013)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2.png

Silva(2001)와 Hoehler and Eligehausen(2008)은 앞서 기술한 세 가지 하중제어방식으로 후설치 앵커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실험 결과, 전 하중 구간의 강성 추정이 가능한 하중증가제어방식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뿐만 아니라, Mahrenholtz et al.(2016)은 낮은 하중 구간의 피로 강도의 감지 능력, 지진에 의한 비선형 거동의 반영 및 정적-동적 거동의 상호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하중증가방식이 FEMA-461 (FEMA 2007)의 변위제어방식보다 비교우위에 있는 실험법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제안된 ETAG 001 Annex E(EOTA 2013)의 C2 프로토콜은 최근 EOTA의 기술 문서인 EOTA TR 049(EOTA 2016b)에 정식으로 채택되었으며, 유럽의 기계식 후설치 앵커에 대한 성능평가 매뉴얼인 EAD 330232-00-0601(EOTA 2016a)에서는 앵커의 내진성능검증을 위해 EOTA TR 049(EOTA 2016b)를 따르도록 명시하고 있다.

한편, 국내의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의 경우 앵커의 사용성능검증 방법은 ACI(ACI 355 2007; 2011) 및 ETAG 001 Annex E(EOTA 2013)에 근간을 두고 있다.

3. 실험 계획

3.1 사용 재료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벽체 강도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기준강도 35 MPa의 보통강도 콘크리트로 베이스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은 Table 1과 같다. Table 2는 앵커 시스템 구성 요소, 즉 실린더와 앵커 볼트 및 콘크리트의 규격과 재료 실험 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앵커 볼트는 일축 인장 실험을, 실린더와 콘크리트는 일축 압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각 3개의 시편을 통해 재료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만, 앵커 볼트는 모든 실험체에서 동일한 규격이 사용되었으나, 실린더의 경우 규격이 다양하여 개별적으로 재료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행된 재료 실험 결과를 토대로 앵커 시스템의 구조 성능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Table 1. Material composition of concrete

Nominal strength

(MPa)

W/B

(%)

Unit weight ($kg/m^3$)

W

C

S

G

A

35

39

159

250

796

945

2.93

W/B: water-to-binder ratio, Fly ash: 63 $kg/m^3$, GGBFS: 105 $kg/m^3$, Maximum aggregate size: 25 mm, Slump: 120 mm

Table 2. Material properties used in this study

Name

$f_{cu}$

(MPa)

Anchor type

Cylinder (raw material=SUS430RE)

Anchor bolt (raw material=SUS201)

$r_{cyl}$

(mm)

$H_{cyl}$

(mm)

$t_{cyl}$

(mm)

$E_{cyl}$

(MPa)

$f_{y,\:cyl}$

(MPa)

$d_{anc}$

(mm)

$A_{anc}$

(mm$^2$)

$E_{anc}$

(MPa)

$f_{y,\:anc}$

(MPa)

$f_{u,\:anc}$

(Mpa)

J-100

42.3

Expansion

34

105

1

185,000

182

9.5

66.48

100,000

275

572

J-150

39

158

1

210,000

195

J-200

44.25

208

1.2

200,300

164

$f_{cu}$: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on test day; $r_{cyl}$, $H_{cyl}$, $t_{cyl}$, $E_{cyl}$, $f_{y,\:cyl}$: radius, lever arm length, thickness, young’s modulus and yield strength of cylinder, respectively; $d_{anc}$, $A_{anc}$, $E_{anc}$, $f_{y,\:anc}$, $f_{u,\:anc}$: diameter, sectional area, young’s modulus, yield strength and ultimate strength of anchor bolt, respectively

3.2 실험체 상세

Fig. 3은 이 연구에서 사용된 후설치 확장형 앵커와 콘크리트 베이스 실험체 상세를 나타낸다. 이 앵커 시스템은 이격 거리 확보 및 휨 메커니즘에 기반한 성능 증진을 위해 알루미늄제 실린더가 사용되었으며, 콘크리트 베이스와 맞닿는 곳은 어떠한 접합 처리 없이 단순 접촉되어 있다. 실험 방법에 무관하게 동일한 설계기준강도를 갖는 콘크리트 베이스 실험체가 제작되었다. 콘크리트 타설 후 약 28일간의 양생 기간을 거쳐 앵커 설치를 위한 구멍을 천공하였으며, 각 콘크리트 베이스당 3개의 앵커가 설치되었다. 각 앵커 시스템은 충분히 먼 인접 거리를 두어 앵커 그룹 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각 실험의 결과가 서로 독립적이도록 하였다($s$(= 220 mm)$>3h_{ef}$(= 135 mm)). 또한 콘크리트의 측면파열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연단거리를 확보하였다($c_{a,\:\min}$(= 180 mm)$>1.5h_{ef}$(= 67.5 mm)). 여기서, $s$는 앵커 중심 간격, $c_{a,\:\min}$은 앵커 중심으로부터 콘크리트 단부까지 최소 연단거리, $h_{ef}$는 앵커 볼트 묻힘 깊이이다. $h_{ef}$는 모든 실험체에 대해 45 mm로 동일하게 계획하였다.

Fig. 3. Details of test specimens (unit: mm)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3.png

3.3 실험 방법

Fig. 4는 반복 전단 및 인장 실험 셋업을 나타낸다. 실험체는 외부 마감재 등 비구조재 설치 상황을 모사하기 위해 앵커 단부에 액추에이터를 힌지 접합 형식으로 연결하여 가력하였다. 단조 전단 및 인장 가력 실험을 수행한 후,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반복 전단 및 인장 실험을 계획하였다. 전단 실험에는 10 kN 용량의 액추에이터, 인장 실험에는 100 kN 용량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변위제어방식으로 가력하였다. 앵커 시스템의 횡 변위 및 수직 변위는 가력점 부근에서 LVDT를 통해 계측하였으며, 육안으로 콘크리트 균열 및 앵커 손상 여부를 관찰하였다.

Fig. 4. Cyclic test set-ups (unit: mm)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4.png

반복 전단 및 인장 실험 별로 가력 프로토콜은 Fig. 5와 같다. 앵커의 내진성능검증을 위한 가력 프로토콜은 가력 방식, 균열 고려 여부, 안전성 평가 기준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Mahrenholtz et al. 2017). 특히, ETAG 001 Annex E(EOTA 2013)의 C2 프로토콜은 요구내진성능이 높은 구조물에 적용된 앵커의 내진성능검증을 위해 최근에 채택된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ETAG 001 Annex E(EOTA 2013)의 C2 프로토콜을 계획하였으나, 앵커의 단조 전단 실험 결과 초기 강성이 크게 감소한 후 하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하중제어방식의 프로토콜을 작성하기 위한 전제조건인 최대 단조 하중 $V_{u,\:mon}$을 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앵커의 거동 특성상 변위제어방식으로 반복 가력하였다. ETAG 001 Annex E(EOTA 2013)의 C2 프로토콜과 유사한 수준의 저하중 구간의 피로 하중을 누적하기 위해 초기 재하 단계에서는 순차적으로 25회, 15회 반복 가력하였으며, 이후의 재하 단계에서는 5회씩 반복 가력하였다. 재하 단계마다 최종 반복 가력 후의 강도를 기준으로 포락 곡선을 작성하였으며, 최대 강도 역시 포락 곡선상에서 결정하였다. 인장 실험의 경우 실린더에 압축력이 재하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 수직 변위 0.2 mm를 최저 변위로 설정하였다.

Fig. 5. Cyclic loading protocols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5.png

4. 실험 결과 및 분석

Table 3은 반복 가력 실험을 통해 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낸다. 변수별로 전단 실험은 3개의 실험체, 인장 실험은 콘크리트 파괴 면적이 넓어 2개의 실험체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개개의 실험체 강도값과 평균값을 함께 나타내었다. Fig. 6은 실험 결과 관측된 최종 파괴 모드를 나타낸다. 모든 전단 실험체는 실린더의 국부 좌굴(local buckling of cylinder)로, 모든 인장 실험체는 콘크리트 파열파괴(concrete breakout under tension)로 일관된 파괴 모드를 보였다. 다만, 일부 인장 실험체에 대해 앵커의 확장 슬리브가 콘크리트와의 부착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미끄러지면서(pull-out) 상대적으로 낮은 유효 깊이에서 인장 성능이 결정되었다.

Table 3. Summary of test results

Name

Dimensions

Cyclic shear test

Cyclic tensile test

$t_{cyl}$

(mm)

$r_{cyl}$

(mm)

$H_{cyl}$

(mm)

Failure mode

$\triangle_{l}$ (mm)

$V_{test}$ (kN)

$V_{cr}$

(kN)

$V_{n}$

(kN)

$\dfrac{V_{test}}{V_{n}}$

Failure mode

$\triangle_{v}$

(mm)

$N_{test}$

(kN)

$k$

$N_{KCI}$

(kN)

$N_{n}$

(kN)

$\dfrac{N_{test}}{N_{n}}$

(-)

(+)

(-)

(+)

J-100

1

34

105

LB

0.57

1.10

1.62

1.97

2.37

2.01

0.89

CB+PO

4.19

15.78

8.04

19.13

16.26

0.96

LB

0.35

0.46

1.68

1.94

0.90

CB+PO

3.83

19.34

9.85

1.18

LB

1.30*

1.86*

0.95*

1.11*

-

-

-

-

-

-

Avg.

0.45

0.78

1.65

1.96

0.90

Avg.

4.01

17.56

-

1.07

0.62

1.81

COV (%)

37.41

0.57

0.57

COV (%)

6.26

14.3

-

14.3

J-150

1

39

158

LB

1.25

2.00

1.51

1.43

1.56

1.33

1.11

CB+PO

8.11

13.30

6.77

19.13

16.26

0.82

LB

1.30

0.90

1.88

1.38

1.23

CB

7.91

22.45

11.43

1.34

LB

1.60

1.72

1.43

1.59

1.14

-

-

-

-

Avg.

1.38

1.54

1.61

1.47

1.16

Avg.

8.00

17.87

1.09

1.46

1.54

COV (%)

7.59

5.53

5.53

COV (%)

1.76

36.2

36.2

J-200

1.2

44.25

208

LB

1.40

1.29

1.20

1.22

1.35

1.15

1.05

CB

7.95

21.79

11.10

19.13

16.26

1.33

LB

1.14

1.05

1.04

1.14

0.95

CB+PO

9.97

17.56

8.94

1.07

LB

1.06

1.93

1.30

1.37

1.16

-

-

-

-

Avg.

1.20

1.42

1.18

1.24

1.05

Avg.

8.96

19.68

1.20

1.31

1.22

COV (%)

11.96

9.98

9.98

COV (%)

15.89

15.2

15.2

LB: local bucking of cylinder; CB: concrete breakout under tension; PO: pull-out failure; $\triangle_{l}$, $V_{test}$, $V_{n}$: lateral displacement, force and predicted buckling strength of anchor under cyclic shear load, respectively; $\triangle_{v}$, $N_{test}$, $N_{n}$: vertical displacement, force and predicted tensile strength of anchor under cyclic tensile load, respectively

*Neglected data due to unacceptable load-displacement behavior according to ACI 355 (2007)

Fig. 6. Typical damages to the test specimens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6.png

4.1 반복 전단 실험 결과

Fig. 7은 반복 전단 실험 결과 횡 하중-횡 변위 관계와 포락 곡선을 나타낸다. 여기서 흑색 계열선은 반복 전단 실험 결과를, 적색선은 단조 전단 실험 결과의 평균을 나타낸다. 실험체 규격이 달라짐에 따라 최대 강도는 상이하였지만, 최종 파괴 모드는 실린더의 국부 좌굴로 일관하였다. 실험체에 국부 좌굴이 발생하기 전에는 반복 가력에 따른 강도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교적 선형 거동을 보였다. 국부 좌굴이 발생한 이후, 매 재하 단계의 첫 반복 구간에서는 실린더가 저항력을 발현하면서 큰 강성과 강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이후의 반복 가력 구간에서는 좌굴에 의해 실린더에 소성 변형이 잔존하고, 고정 너트의 체결력이 감소하여 실린더가 더 이상 저항 기제를 발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2회 반복 가력부터는 동일 변위비에서 강도 저하가 크게 일어났다. Fig. 8은 매 재하 단계의 첫 반복 구간과 최종 반복 구간의 최대 횡 하중비($V_{l\ast}/V_{o}$)를 나타낸다.

최대 전단 강도 $V_{test}$는 평균적으로 J-100의 경우 약 1.81 kN, J-150의 경우 약 1.54 kN, J-200의 경우 약 1.22 kN으로, 실험체 규격이 커지면서 전반적으로 전단 성능이 낮아졌다. 이는 규격이 커짐에 따라 콘크리트 베이스로부터 하중 재하점의 이격 거리가 커져 횡 강성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실린더의 반지름과 두께는 규격이 커지면서 증가하지만, 하중 재하점의 이격 거리보다 최대 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작은 것으로 판단된다.

현행 설계 기준(KCI 2017)에서 명시한 앵커의 설계 전단 강도식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여기서, $V_{sa}$, $V_{cp}$, $V_{cb}$ 그리고 $V_{n}$은 각각 현행 설계 기준에 의해 계산된 전단력을 받는 앵커의 강재강도, 콘크리트 프라이아웃강도, 콘크리트 파열파괴강도, 그리고 이 연구에서 제안한 실린더의 국부 좌굴 강도이다. 강도를 산정할 때 반복 하중에 의한 균열의 증가에 따른 강도 저감 계수 $\eta$(= 0.85)를 반영하였으며, 0.85는 다양한 후설치 앵커의 단조 및 반복 가력 실험을 수행한 기존 연구(Mahrenholtz et al. 2016; Mahrenholtz et al. 2017)와 이 연구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결정된 값이다. 비교 결과, 앵커의 전단 성능은 파괴 모드가 국부 좌굴로 결정됨에 따라 현행 설계 기준에서 명시한 설계 강도보다 작았다($V_{test}/V_{KCI}$= 0.07~0.11).

Fig. 7. Cyclic lateral load test results and corresponding backbone curves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7.png

Fig. 8. Relative lateral load ratio between 1st and last cycle at each displacement level in positive direction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8.png

EN 1992-4(2018)은 이격 설치된 앵커 볼트의 강재 파괴 강도 $V_{u,\:s}$를 식(1)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V_{u,\:s}=\dfrac{\alpha_{M}M_{u,\:s}^{0}\left(1-N/N_{u}\right)}{l}$

여기서, $\alpha_{M}$은 구속도로 1.0을 채택하였으며, $M_{u,\:s}^{0}$은 앵커 볼트의 소성 휨강도로 $M_{u,\:s}^{0}=1.7W_{el}f_{y,\:anc}$, $W_{el}$은 앵커 볼트 단면 계수로 $\pi d_{anc}^{3}/32$, $N$은 앵커 볼트에 휨과 동시에 작용하는 인장력, $N_{u}$는 앵커 볼트의 인장 강도로 $A_{anc}f_{u,\:anc}$, $l$은 보정 이격 거리로 $H_{cyl}+0.5d_{anc}$이다. 특히, 인장력 $N$의 경우 실린더에 유발된 압축력에 대응하는 인장력으로 결정하였으며, 변수별로 실험 결과를 통해 얻은 전단 강도 $V_{test}$와 선형 탄성 단면 분석을 통해 계산된 모멘트 팔길이 $x_{c}$를 통해 식(2)로 계산되었다.

(2)
$N=V_{test}\dfrac{H_{cyl}}{x_{c}}$

계산 결과, $V_{u,\:s}$는 J-100의 경우 301 N, J-150의 경우 198 N, J-200의 경우 155 N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린더의 내력 저항 기제를 고려하지 못하여 실험 결과를 매우 과소평가한 결과이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앵커의 설계 전단 강도를 산정하는 데에는 부적절하다.

4.2 반복 인장 실험 결과

Fig. 9는 반복 인장 실험 결과 수직 하중-수직 변위 관계와 포락 곡선을 나타낸다. 여기서 흑색 계열선은 반복 인장 실험 결과를, 적색선은 단조 인장 실험 결과의 평균을 나타낸다. 실험체 규격이 달라짐에 따라 최대 강도는 유사하였으며 최종 파괴 모드는 콘크리트 파열파괴로 일관하였다. 하중 재하 초기 단계에서는 비교적 선형 거동을 보이지만, 하중이 커짐에 따라 확장 슬리브의 미끄러짐, 앵커 볼트의 소성 변형 등에 따른 영구 변형이 잔존하면서 매 재하 단계의 첫 반복 구간과 최종 반복 구간의 최대 수직하중비($N_{l\ast}/N_{o}$)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10). 최대 인장 강도 $N_{test}$는 평균적으로 J-100의 경우 약 17.56 kN, J-150의 경우 약 17.87 kN, J-200의 경우 약 19.68 kN으로, 실험체 규격에 무관하게 유사한 인장 성능을 보였다.

Fig. 9. Cyclic vertical load test results and corresponding backbone curves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9.png

Fig. 10. Relative vertical load ratio between 1st and last cycle at each displacement level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10.png

현행 설계 기준(KCI 2017)에서 명시한 앵커의 설계 인장 강도식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여기서, $N_{sa}$와 $N_{cb}$는 각각 현행 설계 기준에 의해 계산된 인장력을 받는 앵커의 강재강도, 콘크리트 파열파괴강도의 계산 결과이다. 여기서도 역시 반복 하중 재하에 따른 강도 저감 계수 $\eta$(= 0.85)를 콘크리트 파열파괴강도에 반영하였다. 인장 하중에 대하여 실린더는 강도 발현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앵커 볼트만이 하중에 저항하였다. 그로 인해 실험체 규격에 무관하게 최대 강도는 평균적으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반복 전단 실험에 비해 강도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N_{test}$=13.30~22.45 kN, COV=14.3~36.2 %).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사용된 후설치 확장형 앵커의 인장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현행 설계 기준식을 사용해도 좋으나, 앵커 설치 민감도가 크므로 제조사의 특기시방서를 엄격하게 준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위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이 연구에서 개발된 이격 설치된 후설치 확장형 앵커는 전단 하중 하에서 실린더의 국부적 탄성 좌굴에 취약하여, 국내・외의 현행 설계 기준(ACI 318 2014; CEN 2018; KCI 2017)에서 명시한 후설치 확장형 앵커의 역학적 거동과 크게 상이하다(Figs. 6(a), 7). 따라서 개발된 앵커의 반복 전단 성능을 규명하기 위해 파괴 모드에 기반한 수정 전단 강도식이 필요하다.

5. 앵커 수정 전단 강도식

Fig. 11. Simplified free body diagram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11.png

Fig. 11은 앵커의 전단 하중 하에서 국부 좌굴 강도 산정을 위한 간략화된 자유물체도를 나타낸다. 앵커 상부에 전단력 $V$가 작용하면 이에 대한 반력으로 앵커 볼트에 동일한 크기의 전단력이 작용하고, 유발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 모멘트로 실린더에는 압축력 $C$가, 앵커 볼트에는 인장력 $T$가 모멘트 팔길이 $x_{c}$를 가지며 작용한다. 실린더는 콘크리트 벽체와 기계적으로 접합 처리되지 않았으므로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고 부분 압축력만 작용한다. 상기 논리를 평형조건에 의해 정식화하면 식(3)과 같다.

(3)
$V\times H_{cyl}=C\times x_{c}=T\times x_{c}$

탄성 한계 상태인 좌굴의 특성을 고려하여 앵커 단면에서의 변형률 분포와 응력 분포는 모두 선형 분포를 가정하였다. 위 가정을 통해 앵커 단면에서의 중립축의 위치 $x_{N}$을 평형조건식 (4)를 통해 구할 수 있다.

(4)
$2\int_{0}^{\theta_{N}}r_{cyl}t_{cyl}\left(x-x_{N}\right)\phi_{e}E_{cyl}d\theta =\phi_{e}x_{N}E_{anc}A_{anc}$

여기서, $x_{N}$은 앵커볼트 중심으로부터 중립축까지의 거리, $\theta_{N}$은 압축대 영역의 호의 반각, $\phi_{e}$는 단면 곡률이다.

좌표계 변환을 통해 $x=r_{cyl}\cos\theta$이므로, 식(4)는 다음 식(5)과 같이 전개되며, 앵커 볼트 중심으로부터 중립축까지의 거리 $x_{N}$은 식(6)으로 구할 수 있다.

(5a)
$2\int_{0}^{\theta_{N}}r_{cyl}^{2}t_{cyl}\left(\cos\theta -\cos\theta_{N}\right)\phi_{e}E_{cyl}d\theta =\phi_{e}r_{cyl}\cos\theta_{N}E_{anc}A_{anc}$

(5b)
$2r_{cyl}^{2}t\phi_{e}E_{cyl}\left(\sin\theta_{N}-\cos\theta_{N}\times\theta_{N}\right)=\phi_{e}r_{cyl}\cos\theta_{N}E_{anc}A_{anc}$

(5c)
$\tan\theta_{N}-\theta_{N}=\dfrac{A_{anc}}{2r_{cyl}t_{cyl}}\dfrac{E_{anc}}{E_{cyl}}$

(6)
$x_{N}=r_{cyl}\cos\theta_{N}$

구조 시스템의 탄성 좌굴 강도는 해당 구조물의 단면 형상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Fig. 12와 같이 부분 압축력이 재하된 실린더 부재 단면의 중심축 $0-0$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 $I_{0-0}$는 식(7)로 계산할 수 있다(El Naschie et al. 1990).

(7)
$\begin{align*} I_{0-0}=2\int_{0}^{\theta_{N}}r_{cyl}^{2}d A =2\int_{0}^{\theta_{N}}r_{cyl}^{3}t_{cyl}\cos^{2}\theta d\theta \\ =2t_{cyl}r_{cyl}^{3}\left(\dfrac{\theta_{N}}{2}+\dfrac{1}{4}\sin 2\theta_{N}\right) \end{align*}$

Fig. 12. Model for determining second moment of inertia under local compression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12.png

부분 압축력이 재하된 실린더의 단면 2차 모멘트 $I_{cyl}$는 무게중심축 $x-x$를 회전축으로 하므로 Steiner’s theorem에 따라 $I_{cyl}$은 식(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begin{align*} I_{cyl}=2t_{cyl}r_{cyl}^{3}\left(\dfrac{\theta_{N}}{2}+\dfrac{1}{4}\sin 2\theta_{N}\right)-2t_{cyl}r_{cyl}\theta_{N}\dfrac{r_{cyl}^{2}\sin^{2}\theta_{N}}{\theta_{N}^{2}}\\ =t_{cyl}r_{cyl}^{3}\left(\theta_{N}+\dfrac{1}{2}\sin 2\theta_{N}-\dfrac{2}{\theta_{N}}\sin^{2}\theta_{N}\right) \end{align*}$

Kármán and Tsien(1941)은 실린더의 좌굴 모드 형상을 정현파 형상의 모드로 가정하여 실린더의 좌굴 강도를 산정하였다. 상기 가정으로부터, 전단면 축대칭 압축력이 재하된 실린더 부재의 축대칭 모드에 상응하는 최소 평균 압축 응력 $\sigma$ 및 실린더 전 단면에 대한 탄성 임계 좌굴 하중 $P_{cr}^{*}$은 각각 식(9), (10)과 같이 주어진다.

(9)
$\dfrac{\sigma r_{cyl}}{E_{cyl}t_{cyl}}=\dfrac{1}{\sqrt{3\left(1-\nu^{2}\right)}}$

(10)
$P_{cr}^{*}=\dfrac{2\pi E_{cyl}t_{cyl}^{2}}{\sqrt{3\left(1-\nu^{2}\right)}}$

여기서, $\nu$는 실린더의 푸아송비로 이 연구에서는 재료 특성을 고려하여 0.3으로 가정하였다. 식(10)은 실린더 전단면에 균일한 압축력이 재하되는 경우의 탄성 임계 좌굴 하중이며, 부분 압축력이 재하된 경우의 국부 좌굴 하중 $P_{cr}$은 $I_{cyl}$와 실린더 전단면의 단면 2차 모멘트 $I_{gross}$의 비 $\gamma_{I}$(=$I_{cyl}/I_{gross}$)를 $P_{cr}^{*}$에 곱하여 식(11)로 구할 수 있다.

(11)
$P_{cr}=\gamma_{I}P_{cr}^{*}=\dfrac{I_{cyl}}{I_{gross}}P_{cr}^{*}$

여기서, $I_{gross}=\pi t_{cyl}r_{cyl}^{3}$이므로, $P_{cr}$은 식(12)와 같다.

(12)
$P_{cr}=\left[\theta_{N}+\dfrac{1}{2}\sin 2\theta_{N}-\dfrac{2}{\theta_{N}}\sin^{2}\theta_{N}\right]\dfrac{2E_{cyl}t_{cyl}^{2}}{\sqrt{3\left(1-\nu^{2}\right)}}$

앵커 상부에 작용하는 전단력은 모멘트 평형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앵커 단면에 모멘트 팔길이 $x_{c}$를 갖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유발한다. 여기서, $x_{c}$는 식(13)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3)
$\begin{align*} x_{c}=\dfrac{2\int_{0}^{\theta_{N}}\left(r_{cyl}\cos\theta -r_{cyl}\cos\theta_{N}\right)^{2}\phi_{e}E_{cyl}d\theta}{2\int_{0}^{\theta_{N}}\left(r_{cyl}\cos\theta -r_{cyl}\cos\theta_{N}\right)\phi_{e}E_{cyl}d\theta}+x_{N}\\ =\dfrac{r_{cyl}\left(\dfrac{1}{2}\theta_{N}-\dfrac{1}{4}\sin 2\theta_{N}\right)}{\sin\theta_{N}-\theta_{N}\cos\theta_{N}} \end{align*}$

따라서 $P_{cr}$에 상응하는 전단 하중 $V_{cr}$은 식(3)으로부터 다음 식(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_{cr}$은 실린더에 국부 좌굴을 유발하는 전단 하중이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이격 설치된 후설치 확장형 앵커의 전단 강도로 사용될 수 있다.

Table 4. Summary of calculation data

J-100

J-150

J-200

Unit

(mm)

$H_{cyl}$

$r_{cyl}$

$t_{cyl}$

$H_{cyl}$

$r_{cyl}$

$t_{cyl}$

$H_{cyl}$

$r_{cyl}$

$t_{cyl}$

105

34

1

158

39

1

208

44.25

1.2

$\theta_{N}$

55.57°

53.76°

49.75°

$x_{N}$

19.23 mm

23.05 mm

28.59 mm

$x_{c}$

30.96 mm

35.73 mm

41.05 mm

$I_{cyl}$

1,309.4 mm4

1,690.3 mm4

2,047.4 mm4

$\gamma_{I}$

0.0106

0.0091

0.0063

$P_{cr}$

8.065 kN

6.898 kN

6.865 kN

$V_{cr}$

2.366 kN

1.56 kN

1.354 kN

$V_{n}$

2.011 kN

1.326 kN

1.151 kN

(14)
$V_{cr}=P_{cr}\times\dfrac{x_{c}}{H_{cyl}}$

앵커 규격별로 $V_{cr}$ 산정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비교 결과, $V_{cr}$은 $V_{test}$를 다소 과대평가하였으며, 이는 반복 하중에 따른 강도 저감 효과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앵커의 전단 강도 $V_{n}$은 반복 하중에 따른 강도 저감 계수 $\eta$(=0.85)를 도입하여 식(1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5)
$V_{n}=\eta V_{cr}$

앵커 규격별로 $V_{n}$ 산정 과정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실험체 규격이 커짐에 따라 $P_{cr}$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J-200의 경우 $t_{cyl}$이 1 mm에서 1.2 mm로 증가하여 강도 저하를 상쇄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하중 재하점의 이격 거리, 즉 $H_{cyl}$가 커지면서 결과적으로 $V_{n}$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Fig. 13은 하중 재하점의 이격 거리, 즉 실린더의 높이 $H_{cyl}$와 실린더의 반지름 $r_{cyl}$이 이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산정된 $V_{n}$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변수 연구를 수행한 결과이다. 변수 연구에 의하면, 실험 결과를 통해 얻은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H_{cyl}$은 식(14)와 (15)에서처럼 $V_{n}$에 직접 반비례하여 큰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13(a)). 한편, $r_{cyl}$과 부분 압축력이 재하되는 영역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실린더 단면에서 모멘트 팔길이 $x_{c}$가 증가하여 부분 압축력 재하 단면의 단면 2차 모멘트 감소로 인한 강도 저하 효과를 상쇄한다. 이로 인해 $V_{n}$에 대한 $r_{cyl}$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ig. 13(b)).

Fig. 13. Parametric study of effect of variables on buckling strength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13.png

이 연구에서 개발된 앵커의 전단 실험 결과와 제안한 방법에 의한 예측값을 비교하여 Table 3Fig. 14에 정리하였다. 비교 결과, 제안한 수정 전단 강도식은 이 연구에서 개발된 앵커의 반복 전단 하중 하에서의 구조 성능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였다($V_{test}/V_{n}$=0.89~1.23). 한편, 현행 설계 기준(KCI 2017)은 앵커의 파괴 모드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해 실험 결과를 매우 비안전측으로 예측하였다($V_{test}/V_{KCI}$=0.07~0.11). 반복 인장 성능의 경우 콘크리트 파열파괴 강도식에 반복 하중에 의한 강도 저감 계수 $\eta$가 도입된다는 전제하에 현행 설계 기준(KCI 2017)이 실험 결과를 비교적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N_{test}/N_{n}$=0.82~1.34), 실험 결과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품질 관리가 필요하다.

Fig. 14. Comparison of strength predictions with test results

../../Resources/kci/JKCI.2019.31.4.385/fig14.png

제안된 방법은 실험 결과를 현행 설계 기준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지만, 실험 결과가 한정적이므로 적합성 검증을 위해 추가적인 실험적 평가가 요구된다. 또한, 앵커가 비균열・무근 콘크리트에 설치되는 경우에 한하며, 소성 힌지 구간에서의 설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6. 결 론

이 연구에서는 비균열・무근 콘크리트에 이격 설치된 단일 후설치 확장형 앵커의 반복 전단 및 인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최종 파괴 모드에 기반한 수정 강도식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 연구에서는 기존 후설치 앵커를 통해 외부 마감재를 구조체로부터 이격 설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시공성이 향상된 후설치 확장형 앵커를 개발하였으며, 반복 전단 및 인장 실험을 통해 개발된 앵커의 구조 성능을 검증하였다.

2) 반복 전단 하중 하에서는 실험체 규격이 커질수록 앵커의 전단 성능이 감소하였으며, 모든 앵커 시스템에서 실린더에 휨 저항 메커니즘에 의한 부분 압축력이 발생하여 국부 좌굴로 최대 강도가 결정되었다. 실린더 좌굴은 현행 설계 기준에서 명시된 설계 전단 강도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V_{test}/V_{KCI}$=0.07~0.11). 따라서 이 앵커의 전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정 강도식이 필요하다.

3) 이 연구에서 사용된 앵커는 반복 인장 하중 하에서는 실험체 규격에 무관하게 유사한 성능을 보였으며, 실린더에 의한 강도 발현이 없고 앵커 볼트만이 인장 하중에 저항하였다. 앵커의 인장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현행 설계 기준식을 사용해도 좋으나($N_{test}/N_{n}$=0.82~1.34), 실험 결과의 편차가 매우 크므로(COV=14.3~36.2 %) 제품 시공 시 제조사의 특기시방서를 엄격하게 준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실험 결과 관측된 파괴 모드에 기반하여 이 연구에서 개발된 이격 설치된 후설치 확장형 앵커의 수정 전단 강도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앵커의 파괴 모드와 전단 강도를 현행 설계 기준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였다($V_{test}/V_{n}$=0.89~1.23).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주)조아산업개발이 지원하는 민간지원사업 “외장벽체설치용 콘크리트앵커 내진성능평가 및 구조설계연구”의 연구비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CI Committee 318 , 2014,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M-14) and Commentary., Farmington Hills, Michigan, US: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2 
ACI Committee 355 , 2007, Qualification of Post-Installed Mechanical Anchors in Concrete (ACI 355.2-07) and Commentary., Farmington Hills, Michigan, US: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3 
ACI Committee 355 , 2011, Acceptance Criteria for Qualification of Post-Installed Adhesive Anchors in Concrete (ACI 355.4-11) and Commentary., Farmington Hills, Michigan, US: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4 
CEN , 2018, Eurocode 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 Part 4: Design of fastenings for use in concrete (EN 1992-4)., Brussels, Belgium: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EN).Google Search
5 
DIBt , 1998, Verwendung von Dübeln in Kernkraftwerken und kerntechnischen Anlagen, Leitfaden zur Beurteilung von Dübelbefestigungen bei der Erteilung von Zustimmungen in Einzelfall nach den Landesbauordnung der Bundesländer., Berlin, Germany: Deutsches Institute für Bautechnik (DIBt). 13. (In German)Google Search
6 
El Naschie M. S., Al Athel S., Wu C. W., 1990, Stress, Stability, and Chaos in Structural Engineering: An Energy Approach., Mc 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s., pp. 461-479Google Search
7 
Eligehausen R., Mallee R., Silva J. F., 2006, Anchorage in Concrete Construction., Ernst & Sohn, Germany.Google Search
8 
EOTA , 2013, Guideline for European Technical Approval of Metal Anchors for Use in Concrete - Annex E: Assessment of Metal Anchors under Seismic Actions (ETAG 001 Annex E)., Brussels, Belgium: European Organisation for Technical Assessment (EOTA), Vol. 42Google Search
9 
EOTA , 2016a, Mechanical Fasteners for Use in Concrete (EAD 330232-00-0601)., Brussels, Belgium: European Organisation for Technical Assessment (EOTA), Vol. 58Google Search
10 
EOTA , 2016b, Post-Installed Fasteners in Concrete under Seismic Action (EOTA TR 049)., Brussels, Belgium: European Organisation for Technical Assessment (EOTA), Vol. 44Google Search
11 
FEMA , 2007, Interim Testing Protocols for Determining the Seism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Components (FEMA-461)., Washington, D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Vol. 138Google Search
12 
Hoehler M. S., Eligehausen R., 2008, Behavior of Anchors in Cracked Concrete under Tension Cycling at Near-Ultimate Loads, ACI Structural Journal, Vol. 105, No. 5, pp. 601-608Google Search
13 
Kármán T. V., Tsien H. S., 1941, The Buckling of Thin Cylindrical Shells under Axial Compression, Journal of the Aeronautical Sciences, Vol. 8, No. 8, pp. 303-312DOI
14 
KCI , 2017, KCI Model Code 2017,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Google Search
15 
Kim M. G., Chun S. C., Kim Y. H., Sim H. J., Bae M. S., 2016, Shear Strength Evaluation on Multiple High-Shear Ring Anchors Using Shear Strength Model of a Single High-Shear Ring Ancho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8, No. 4, pp. 463-471 (In Korean)DOI
16 
Mahrenholtz C., Eligehausen R., Hutchinson T. C., Hoehler M. S., 2017, Behavior of Post-Installed Anchors Tested by Stepwise Increasing Cyclic Crack Protocols, ACI Structural Journal, Vol. 114, No. 3, pp. 621-630DOI
17 
Mahrenholtz P., Eligehausen R., Hutchinson T. C., Hoehler M. S., 2016, Behavior of Post-Installed Anchors Tested by Stepwise Increasing Cyclic Load Protocols, ACI Structural Journal, Vol. 113, No. 5, pp. 997-1008DOI
18 
Mahrenholtz P., Wood R. L., Eligehausen R., Hutchinson T. C., Hoehler M. S.,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uropean Guidelines for Seismic Qualification of Post- Installed Anchors, Engineering Structures, Vol. 148, pp. 497-508DOI
19 
SEAOSC , 1997, Standard Method of Cyclic Load Test for Anchors in Concrete or Grouted Masonry., Whittier, C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of Southern California (SEAOSC).Google Search
20 
Silva J. F., 2001, Test Methods for Seismic Qualification of Post-Installed Anchors,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nections between Steel and Concrete RILEM Proceedings, pp. 551-563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