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 (Maste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Seongnam 13120, Rep. of Korea)
  2. 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Seongnam 13120, Rep. of Korea)



콘크리트, 구속된 충전강관, 구속효과, 유리섬유복합체, 압축강도
concrete, CCFT, confinement, GFRP, compressive strength

1. 서 론

충전 강관(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은 강관의 내부가 콘크리트로 충전된 합성압축재이다. CFT는 내부 콘크리트가 강관의 내측방향 국부좌굴에 저항하고 강관은 심부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우수한 구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CFT의 구성재료인 콘크리트나 강재가 이산화탄소, 수분 등에 노출될 경우 콘크리트의 탄산화, 강재의 부식 등으로 인해 구조물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유지관리비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강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내부식성, 높은 단위중량당 강도를 가진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를 콘크리트의 구속재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현재까지 지속해서 이어져 오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이러한 시도의 하나로 CFT의 강관을 FRP tube로 대체하여 만든 콘크리트 충전 FRP tube(concrete filled FRP tube, CFFT)의 압축성능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된 바 있다(Choi et al. 2011; Lee et al. 2011)(4,15). 위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CFFT의 FRP tube는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콘크리트를 보호하고 심부 콘크리트를 효과적으로 구속하여 부재의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기존 국내의 CFFT 연구에 사용된 FRP tube는 주로 필라멘트 와인딩 공정을 통해 제작되고 있으며, 필라멘트 와인딩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FRP tube는 섬유의 배향각이 0°에 가깝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섬유의 배향각은 휨에 의해 유발되는 인장에 대해 섬유가 저항할 수 없으므로 휨에 대해 취약하다(Choi et al. 2011)(4). 필라멘트 와인딩 복합체의 축방향 강성을 높이기 위해 와인딩 각도를 축방향에 가깝게 하여 섬유를 배치할 수 있으나, 와인딩 각도를 축방향에 가깝게 할 경우 복합체의 탄성계수는 작아지고 부재 생산 시 단부에서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되는 부분이 발생하여 생산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CFT의 부식문제와 휨에 취약한 CFFT의 단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CFT의 외부를 유리섬유복합체(glass fiber reinforece plastic, GFRP)로 브레이딩하여 보강한 새로운 형식의 합성압축재(confined concrete filled tube, CCFT)를 제안하였다. 브레이딩 FRP tube는 기존 필라멘트 와인딩 FRP tube와 비교하여 보강섬유가 축방향에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휨 저항성능이 증가하여 휨, 압축을 동시에 받는 환경에서 강관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CCFT와 같이 강관과 FRP의 조합된 구속효과를 명확하게 고려한 설계기준은 현재까지 정립되지 않았으며, FRP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으로 사용되는 미국의 ACI 440.2R(ACI Committee 440 2017)은 CCFT와 같이 강재와 FRP로 동시에 구속된 콘크리트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Chastre and Silva 2010)(3). 또한, 강관과 FRP로 동시에 구속된 콘크리트의 조합된 구속효과를 고려한 국내 연구나 실험 데이터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이러한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실험적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CCFT 압축실험 결과의 실험적 분석을 통해 브레이딩 GFRP 튜브 적용에 따른 CCFT의 압축내력 증진효과를 분석하고 CCFT를 설계하기 위한 압축내력 예측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CCFT 압축실험은 브레이딩 GFRP 튜브의 두께를 변수로 하여 수행하였고, 브레이딩 GFRP 튜브의 두께에 따른 CCFT의 압축내력 증진 효과는 비구속 콘크리트의 압축내력과 비교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CCFT의 압축내력 예측식은 기존 연구 및 관련 기준의 예측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2. CFT 및 CCFT 압축실험

2.1 재료 물성

2.1.1 콘크리트

CCFT 및 CFT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물성은 KS F 2405 (KATS 2017)(11) 시험방법을 참고하여 조사하였다. 콘크리트 압축시험은 크기가 100×200 mm인 5개의 공시체에 대하여 재령 28일에 수행하였으며, 편심에 의한 강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공시체의 상, 하단부에 고무 패드와 강재 캡을 설치하였다. 각 공시체의 평균 압축강도는 약 40 MPa, 극한변형률은 0.0019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공시체의 배합비율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Concrete mixture proportions

W/C

(%)

S/a

(%)

Unit weight (kg/m3)

W

C

S

G

AD

45.7

45.0

176

385

782

954

2.70

2.1.2 GFRP 튜브

브레이딩 GFRP 튜브의 원주방향 인장성능은 CCFT의 구속압력과 압축 성능의 주요 변수 중 하나이고 CCFT의 압축거동 해석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FRP 튜브의 물성은 flat coupon 형태나 도그본 형태로 제작된 복합체의 인장실험이나 스플릿 디스크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flat coupon이나 도그본 형태로 제작된 실험체의 인장실험을 통해 얻은 인장 파단 변형률은 실제 FRP 튜브의 원주방향 인장 파단변형률보다 크게 측정될 수 있다는 결과가 다수 연구를 통해 보고되고 있다(Mirmiran and Shahawy 1996; Shahawy et al. 2000; Lam and Teng 2003)(14,16,17). 이러한 현상은 1) 콘크리트의 국부 변형으로 인한 FRP 복합체의 응력 불균등 발생에 따른 영향, 2) FRP 튜브(혹은 FRP jacket) 등의 곡률에 따른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FRP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설계 코드로 사용되고 있는 미국의 ACI 440.2R-17(ACI Committee 440 2017)에도 반영되어 있다.

ACI 440.2R-17에 따르면 flat coupon의 인장실험을 통해 얻어지는 FRP 복합체의 극한변형률은 변형률 유효계수($k_{e}$)를 통해 FRP 복합체의 원주방향 물성으로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Lam and Teng(2003)(14)은 근본적으로 FRP 복합체의 곡률 등을 고려한 새로운 실험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브레이딩 공정의 특성상 국내 생산 설비를 통해 브레이딩 GFRP 튜브의 flat coupon을 제작하는 것은 제한되기 때문에, 스플릿 디스크 실험을 수행하여 브레이딩 GFRP 튜브의 원주방향 인장 성능을 확인하였다.

스플릿 디스크 실험에 사용된 브레이딩 GFRP 튜브는 E-glass를 ±45°로 배향한 뒤 고압으로 에폭시를 주입하여 제작하였다. 스플릿 디스크 실험은 ASTM D2290-19(1)를 참고하여 수행하였으며, 탄성계수는 FRP 복합체의 인장성능 시험방법인 ASTM D3039/D3039M-17(2017)(2)을 참고하여 실험체 파단 변형률의 25~50 % 부분에 해당하는 선형구간의 할선 탄성계수로 결정하였다. 실험체의 스트레인 게이지 부착 위치와 실험 결과는 각각 Fig. 1Table 2에 나타내었다.

Fig. 1. Schematic of split disk test

../../Resources/kci/JKCI.2020.32.2.117/fig1.png

Table 2. Split disk test results

Specimens

$t_{f}$

(mm)

$D$

(mm)

$P_{\max}$

(kN)

$f_{frp}$

(MPa)

$\varepsilon_{frp}$

$E_{frp}$

(GPa)

2R-1

2

105.6

5.44

89

0.0031

31.94

2R-2

2

105.6

4.90

83

0.0027

31.76

4R-1

4

109.6

10.42

95

0.0025

38.77

4R-2

4

109.6

11.36

97

0.0032

36.71

6R-1

6

113.6

16.25

93

0.0041

37.60

6R-2

6

113.6

16.37

90

0.0024

38.28

Average

-

-

-

91

0.0030

35.84

Table 2에서 $t_{f}$는 스플릿 디스크 실험의 주요 변수로 브레이딩 GFRP 튜브의 두께이다. D는 GFRP 링 시편의 외경, $P_{\max}$는 극한하중, $f_{frp}$는 GFRP 링 시편의 원주방향 파단강도, $\varepsilon_{frp}$는 GFRP 링 시편의 극한변형률, $E_{frp}$는 FRP 링 시편의 탄성계수이다. Table 2에서 동일한 $t_{f}$에 대하여 각각의 실험체는 유사한 강도와 탄성계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GFRP 링 시편의 극한변형률이 10 % 이상 차이 나는 것은 각 실험체의 파단 부위가 일정하지 않아 계측 위치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2.2 CFT 압축실험

2.2.1 실험 개요

CFT 실험체의 강관은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의 표준 규격으로 사용되고 있는 KS D 3566(KATS 2018)(12)을 참고하여 결정하였으며 SGT275($F_{y}$=275 MPa) 강종의 강관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CFT 압축실험의 실험 변수는 지름두께비, 강재의 강도, 콘크리트의 강도 등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실험의 목적은 브레이딩 GFRP 튜브를 적용하지 않은 CFT의 압축성능을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CFT 실험체의 실험변수는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CFT 압축실험은 용량 2,000 kN UTM의 변위제어 방식을 통해 0.5 mm/min의 속도로 하중을 재하 하였다. CFT 실험체의 스트레인게이지는 실험체 원주방향의 2등분 지점에서 강관의 표면에 축 방향, 횡 방향으로 부착하였고 실험체의 양옆에는 선형 변형 변위 측정기(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를 설치하여 실험체의 축 방향 변위를 계측하였다. CFT 실험체의 개요는 Table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Table 3. CFT specimens

Specimens

$t_{s}$

(mm)

$D_{CFT}$

(mm)

$L$

(mm)

$f_{ck}$

(MPa)

$F_{y}$

(MPa)

$\varnothing$CFT-1

1.6

101.6

206.9

40

275

$\varnothing$CFT-2

1.6

101.6

202.7

40

275

$\varnothing$CFT-3

1.6

101.6

201.9

40

275

Average

1.6

101.6

203.8

40

275

Table 3에서 $t_{s}$는 강관의 두께, $D_{CFT}$는 CFT 실험체의 지름(강관의 외경), $L$은 CFT 실험체의 길이, $f_{ck}$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_{y}$는 강관의 항복강도이다. 각 CFT 실험체는 압축실험 중 좌굴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L/D$는 약 2로 제작하였고, 지름두께비($D/t_{s}$)=60으로 설계하여 건축구조기준 KDS 41 00 00(KCSC 2018)의 조밀단면에 해당하도록 설계하였다.

2.2.2 실험 결과

압축하중을 받는 CFT의 강관은 횡보강 철근과는 달리 다축하중을 받는 상태에 놓이기 때문에 Von mises 항복조건을 통해 CFT의 압축성능을 추정하여야 한다(Kwak and Kwak 2012)(13). Hu et al.(2003)(8)은 원형 CFT의 $D/t_{s}$에 따른 강관의 최대후프응력을 식 (1), (2)와 같이 제시하였다.

(1)
$$F_{ls}=\left[0.043646-0.00832(D/t_{s})\right]F_{y}(21.7\le D/t_{s}\le 47)$$

(2)
$$F_{ls}=\left[0.006241-0.0000357(D/t_{s})F_{y}\right](47\le D/t_{s}\le 150)$$

식 (1), (2)에서 $F_{ls}$는 강관의 최대후프응력이다. 한편, $F_{ls}$는 압축을 받는 원형 CFT의 평형관계를 통해 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F_{ls}=\dfrac{2t_{s}\sigma_{y\theta}}{D-2t_{s}}$$

식 (3)에서 $\sigma_{y\theta}$는 강관의 최대 후프응력이다. 식 (1)을 통해 계산된 $F_{ls}$와 $D$, $t_{s}$를 식 (3)에 대입하면 $\sigma_{y\theta}$를 계산할 수 있다. 이 외에도 $\sigma_{y\theta}$ 예측식은 다수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으며 Tabel 4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Table 4에서 $\nu'_{c}$는 CFT의 푸아송비이고 $\nu_{c}$는 경험적 계수, $\alpha$는 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경험식이다. $\sigma_{y\theta}$가 얻어지면 이것을 Von mises 항복조건에 대입하여 강관의 축방향 항복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Von mises 항복조건은 식 (4)에 나타내었다.

(4)
$$\sigma_{yz}^{2}-\sigma_{yz}\sigma_{y\theta}+\sigma_{y\theta}^{2}=F_{y}^{2}$$

식 (4)에서 $\sigma_{yz}$는 강관의 축방향 항복강도이다. CFT의 최대압축내력은 식 (5)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

(5)
$$P_{CFT}=A_{c}f'_{cc,\:s}+A_{s}\sigma_{yz}$$

여기서, $A_{c}$는 콘크리트의 단면적, $A_{s}$는 강관의 단면적, $f'_{cc,\:s}$는 강관으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최대압축강도이다. $f'_{cc,\:s}$는 CFT의 경우로 확장이 용이하고 다수 연구자에 의해 정확성이 입증된 Mander et al.(1988)의 예측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Kwak et al. 2012)(13). Mander et al.(1988)의 예측식은 식 (6)과 같다.

(6)
$$f'_{cc}= f_{ck}\left(-1.254+2.254\sqrt{1+7.94\dfrac{F_{ls}}{f_{ck}}}-2\dfrac{F_{ls}}{f_{ck}}\right)$$

Table 4식 (1)~(6)을 통해 예측한 CFT의 최대압축내력은 CFT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Table 5에 나타내었다.

Table 4. Prediction equation for $\sigma_{y\theta}$

../../Resources/kci/JKCI.2020.32.2.117/tbl4.png

Table 5에서 $P_{CFT}$는 CFT의 최대압축내력, $\varepsilon_{CFT}$는 CFT의 극한변형률로 $P_{CFT,\:\exp}$에서 측정된 변형률이다.

Table 5. Comparison of analytical results and test results of CFT

Specimens

$\varepsilon_{CFT}$

(mm/mm)

$P_{CFT,\:\exp}$

(kN)

$\sigma_{y\theta ,\:Hu}$

(MPa)

$\sigma_{y\theta ,\:Tang}$

(MPa)

$\sigma_{y\theta ,\:Hat}$

(MPa)

$\sigma_{y\theta ,\: Kwak}$

(MPa)

$\dfrac{P_{CFT,\:Hu}}{P_{CFT,\:\exp}}$

$\dfrac{P_{CFT,\:Tang}}{P_{CFT,\:\exp}}$

$\dfrac{P_{CFT,\: Hat}}{P_{CFT,\:\exp}}$

$\dfrac{P_{CFT,\:Kwak}}{P_{CFT,\:\exp}}$

$\varnothing$CFT-1

0.011

604

34

108

80

31

0.803

0.925

0.886

0.798

$\varnothing$CFT-2

0.012

603

34

108

80

31

0.805

0.927

0.887

0.799

$\varnothing$CFT-3

0.008

611

34

108

80

31

0.794

0.915

0.875

0.789a

Average

0.010

607

34

108

80

31

0.801

0.922

0.883

0.795

기존 연구의 예측식을 통해 분석한 CFT의 압축내력은 실험에서 얻어진 CFT의 압축내력보다 전반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Hu et al.(2003)(8)의 예측식과 Kwak and Kwak(2012)(13)의 예측식은 평균적으로 0.6 % 이내에서 $P_{CFT}$를 유사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값에 비해 약 20 % 정도 낮은 값을 예측하여 다른 예측식에 비해 $P_{CFT}$를 보수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atzigeorgiou(2008)(7)의 예측식과 Tang et al.(1996)(18)의 예측식은 각각 약 -12 %, -8 % 이내의 범위에서 CFT 실험체의 최대압축내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Tang et al.(1996)(18)의 예측식이 실험결과와 가장 유사한 값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FT 실험체의 $\sigma_{y\theta}$는 Tang et al.(1996)(18)의 예측식을 활용하여 예측한 값을 사용하였다.

2.3 CCFT 압축실험

2.3.1 실험 개요

이 연구의 실험체 규격과 단면의 크기는 실험장비의 성능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CCFT 실험체의 제작에 사용된 강관은 CFT 실험에 사용한 강관과 동일한 강종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CCFT 실험체의 실험변수는 GFRP 튜브의 두께(2, 4, 6 mm)로 설정하였고, CCFT 압축실험은 용량 2,000 kN UTM의 변위제어 방식을 통해 0.5 mm/min의 속도로 하중을 재하 하였다.

CCFT 실험체의 스트레인게이지 부착 위치는 실험체 원주방향의 2등분 지점에서 GFRP 튜브의 표면에 축 방향, 횡 방향으로 부착하였고 CFT와 동일하게 LVDT를 설치하여 실험체의 축 방향 변위를 계측하였다. CCFT 압축실험 개략도와 각 계측기의 설치 위치는 Fig. 2에 도식화 하여 나타내었다.

Fig. 2. Schematic of compression test (Gwon 2019(6))

../../Resources/kci/JKCI.2020.32.2.117/fig2.png

2.3.2 실험 결과

CCFT 압축 실험 결과는 Table 6과 같고, CCFT의 하중-변형률 관계와 CCFT 실험체의 파괴형태는 각각 Fig. 3Fig. 4에 나타내었다.

Table 6. CCFT test results

Specimens

$D_{CCFT}$

(mm)

$t_{f}$

(mm)

$t_{s}$

(mm)

$f_{ck}$

(MPa)

$E_{frp}$

(GPa)

$\varepsilon_{frp}$

(mm/mm)

$\sigma_{f\theta}$

(MPa)

$f_{l}$

(MPa)

$\varepsilon_{CCFT}$

(mm/mm)

$P_{CCFT,\:\exp}$

(kN)

$P_{CFT,\:avr}$

(kN)

$\dfrac{P_{CCFT,\:\exp}}{P_{CFT,\:avr}}$

$\varnothing$2CCFT-1

105.6

2

1.6

40

35.84

-0.0022

77.18

6.64

0.0091

706

607

1.16

$\varnothing$2CCFT-2

105.6

2

1.6

40

35.84

-0.0027

98.35

7.50

0.0085

692

607

1.14

$\varnothing$2CCFT-3

105.6

2

1.6

40

35.84

-0.0025

90.76

7.20

0.0098

714

607

1.17

$\varnothing$4CCFT-1

109.6

4

1.6

40

35.84

-0.0031

112.19

12.63

0.0078

798

607

1.31

$\varnothing$4CCFT-2

109.6

4

1.6

40

35.84

-0.0028

98.91

11.55

0.0101

779

607

1.28

$\varnothing$4CCFT-3

109.6

4

1.6

40

35.84

-0.0037

133.03

14.32

0.0119

802

607

1.32

$\varnothing$6CCFT-1

113.6

6

1.6

40

35.84

-0.0039

139.15

20.48

0.0108

950

607

1.57

$\varnothing$6CCFT-2

113.6

6

1.6

40

35.84

-0.0048

171.76

24.45

0.0122

923

607

1.52

$\varnothing$6CCFT-3

113.6

6

1.6

40

35.84

-0.002

99.45

15.64

0.0118

930

607

1.53

Fig. 3. Load strain relation of CFT and CCFT

../../Resources/kci/JKCI.2020.32.2.117/fig3.png

Fig. 4. Failure of CCFT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2.117/fig4.png

Table 6에서 $D_{CCFT}$는 CCFT의 외경, $\varepsilon_{frp}$는 GFRP tbue의 원주방향 인장파단변형률, $\varepsilon_{CCFT}$는 CCFT의 극한변형률, $P_{CCFT}$는 CCFT의 최대압축내력, $P_{CFT,\:avr}$은 Table 5에 나타낸 CFT 실험체의 평균 최대압축내력이다. 브레이딩 GFRP 튜브의 적용에 따른 CCFT의 강도증진비율은 $P_{CCFT}$/$P_{CFT,\:avr}$의 비율로 표시하였다. $f_{l}$은 CCFT의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최대 구속응력이며 압축하중을 받는 CCFT 단면의 평형관계를 통해 유도할 수 있다. CCFT의 평형관계 분석에서 콘크리트와 강관은 압축하중으로부터 동일한 양의 변형률을 가지지만 GFRP 튜브는 축하중에 대한 저항이 없고 강관과 GFRP 튜브는 완전 부착된 상태로 가정하였다. 또한, CCFT 내부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r방향 응력과 $\theta$방향 응력은 같다. 압축하중을 받는 CCFT의 평형관계와 CCFT의 구속압은 각각 Fig. 5식 (7a)~(7e)에 나타내었다(Choi and Xiao 2009)(5).

Fig. 5. Equilibrium relationship of CCFT column system (Choi and Xiao 2009)

../../Resources/kci/JKCI.2020.32.2.117/fig5.png

(7a)
$$P_{CCFT}=A_{c}f'_{cc}+A_{s}\sigma_{yz}$$

(7b)
$$\sigma_{cr}=\sigma_{c\theta}= f_{l}$$

(7c)
$$2t_{f}\times\sigma_{f\theta}=-\sigma_{sr}\times(D_{CCFT}-2t_{f})$$

(7d)
$$2(t_{s}\sigma_{y\theta}+t_{f}\sigma_{f\theta})=-\sigma_{cr}\left\{D_{CCFT}-(2t_{f}+2t_{s})\right\}$$

(7e)
$$\sigma_{f\theta}=E_{frp}\varepsilon_{frp}$$

식 (7a)~(7e)에서 $f'_{cc}$는 강관과 브레이딩 GFRP 튜브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최대 압축강도, $\sigma_{cr}$과 $\sigma_{c\theta}$는 각각 r 방향과 $\theta$방향에서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응력, $\sigma_{f\theta}$는 브레이딩 GFRP tube의 최대후프응력, $\sigma_{sr}$은 강관의 r방향 응력, $D_{CFT}$는 강관의 외경으로 $D_{CCFT}-2t_{f}$와 같다. $\sigma_{y\theta}$는 Table 5에서 CFT의 압축내력을 실험 결과와 가장 유사하게 평가하고 있는 Tang et al.(1996)(18)의 식을 통해 계산한 108 MPa을 사용하였다. $\sigma_{yz}$는 $\sigma_{y\theta}$를 식 (4)에 대입하여 구한 205 MPa를 사용하였다.

CCFT는 GFRP 튜브의 두께가 2, 4, 6 mm일 때 CFT의 최대압축내력에 비해 각각 1.14~1.17배, 약 1.28~1.32배, 약 1.52~ 1.5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GFRP 튜브의 보강 두께와 CCFT의 압축내력은 비례하게 증가하였으며, 브레이딩 GFRP 튜브는 CFT에 추가적인 구속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3에서 음의 변형률을 가지는 부분은 CFT 및 CCFT의 원주방향 인장변형률을 의미하고 양의 변형률을 가지는 부분은 CFT 및 CCFT의 축 방향 압축변형률을 의미한다. Fig. 3에서 CFT 및 CCFT 실험체의 최대 내력점에서 측정된 축방향 변형률과 원주방향 변형률은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이 연구에 사용된 CFT 강관의 항복과 CCFT의 GFRP 튜브 파단이 비슷한 시점에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CCFT와 CFT 실험체의 최대내력점 이후 하중-변형률 곡선이 유사한 비율로 감소한 것은 강관의 항복으로 인한 팽창을 GFRP 튜브가 구속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선형 탄성 거동을 보이는 FRP의 변형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CCFT 실험체의 최대 내력점에서 GFRP 튜브는 강관의 팽창으로 인한 원주방향 인장에 의해 파괴되어 실질적인 구속능력을 상실한 것으로 추정된다.

Fig. 4의 파괴형태를 보면 CCFT의 최대내력점 이후 GFRP 튜브가 구속능력을 상실하여 내부 강관과 콘크리트가 국부적으로 팽창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실험체의 GFRP 튜브가 파괴 된부위와 국부좌굴로 인해 강관이 팽창된 부분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3. CCFT 압축내력 설계식 제안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참고하여 CCFT의 콘크리트와 강관은 적합관계에 의해 동일한 축방향 변형률로 압축하중에 저항하고, FRP 튜브의 축방향 압축저항성능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Choi and Xiao 2009)(5). 콘크리트의 외부를 구속한 부재의 압축성능 예측식은 다수 실험적 연구를 통해 식 (8)과 같이 제시되어 왔다.

(8)
$$\dfrac{f'_{cc}}{f'_{c}}= 1+ k_{1}\dfrac{f_{l}}{f_{ck}}$$

여기서, $k_{1}$은 콘크리트와 구속압의 함수에 대한 유효구속계수이며, $k_{1}$은 다수 연구자의 실험적 분석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어 왔다. 기존 연구자 및 설계기준에 제시된 구속된 콘크리트의 최대 압축강도 예측식은 Table 7과 같다.

Table 7. Prediction equation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fined concrete

Previous research or

design code

Equation

ACI 440.2R-17 (2017)

$f'_{cc}= f_{ck}+3.3 f_{l}$

Chastre and Silva (2010)(3)

$f'_{cc}= f_{ck}+5.29 f_{l}$

Huang et al. (2015)(9)

$f'_{cc}= f_{ck}+4.6 f_{l}$

Table 7에 제시된 예측식 중 ACI 440.2R-17(2017)은 FRP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설계에 사용되고 있는 설계기준이다. Chastre and Silva(2010)(3), Huang et al.(2015)(9)의 연구에 제시된 예측식은 나선철근과 FRP sheet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실험적 분석을 통해 강재와 FRP의 조합된 구속효과를 고려하여 제시된 예측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CCFT의 최대 압축내력 예측식을 제안하기 위해 구속비($f_{l}/f_{ck}$)와 강도비($f'_{cc}/f_{ck}$)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CCFT 실험체의 구속비와 강도비의 관계는 Fig. 6에 나타내었으며, 이 관계를 통해 CCFT의 구속효과를 고려한 구속된 콘크리트의 최대 압축강도 예측식과 압축내력 예측식은 각각 식 (9), (10)과 같이 제시하였다.

Fig. 6. Relationship between $f_{ck}$, $f_{l}$ and $f'_{c c ,\: e xp}$ of CCFT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2.117/fig6.png

(9)
$$f'_{cc}= f_{ck}\left\{3.2487\left(\dfrac{f_{l}}{f_{ck}}\right)^{0.2883}\right\}(0.2\le f_{l}/f_{ck}\le 0.6)$$

(10)
$$P_{CCFT}= A_{c}f'_{cc}+ A_{s}\sigma_{yz}$$

식 (10)에서 $A_{c}$는 콘크리트의 단면적이다. 식 (10)에서 $\sigma_{yz}$는 Table 4에 나타낸 Tang et al.(1996)(18)의 식과 식 (4)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식 (9)Fig. 6에 나타낸 구속비의 분석범위에 따라 $0.2\le f_{l}/f_{ck}\le 0.6$으로 적용범위를 제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식과 Table 7에 나타낸 기존 예측식을 통해 예측한 CCFT의 최대압축내력은 CCFT 압축실험결과와 비교하여 Table 8Fig. 7에 나타내었다. ACI 440.2R-17 (2017)의 예측식은 약 -19~11 %, Chastre and Silva(2010)(3)의 예측식은 약 -4~51 %, Huang et al.(2015)(9)의 예측식은 약 -9~37 %, 본 연구의 제안식은 약 -8~4 %의 오차범위 내에서 CCFT의 최대압축내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제안식은 기존의 예측식보다 작은 오차범위 내에서 CCFT 실험체의 최대 압축내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8. Comparison of analytic results and test results of CCFT

Specimens

Prediction equations

$P_{CCFT,\:pre}$ (kN)

$P_{CCFT,\:e xp}$ (kN)

$P_{CCFT,\:pre}$/$P_{CCFT,\:e xp}$

2CCFT-1

ACI 440.2R-17 (2017)

574

706

0.813

Chastre and Silva (2010)(3)

674

0.955

Huang et al. (2015)(9)

640

0.906

Proposed equation

692

0.980

2CCFT-2

ACI 440.2R-17 (2017)

595

692

0.860

Chastre and Silva (2010)(3)

709

1.025

Huang et al. (2015)(9)

670

0.968

Proposed equation

713

1.030

2CCFT-3

ACI 440.2R-17 (2017)

588

714

0.823

Chastre and Silva (2010)(3)

697

0.976

Huang et al. (2015)(9)

659

0.923

Proposed equation

706

0.988

4CCFT-1

ACI 440.2R-17 (2017)

724

798

0.906

Chastre and Silva (2010)(3)

915

1.145

Huang et al. (2015)(9)

849

1.062

Proposed equation

812

1.016

4CCFT-2

ACI 440.2R-17 (2017)

697

779

0.895

Chastre and Silva (2010)(3)

872

1.119

Huang et al. (2015)(9)

811

1.041

Proposed equation

794

1.019

4CCFT-3

ACI 440.2R-17 (2017)

767

802

0.956

Chastre and Silva (2010)(3)

983

1.226

Huang et al. (2015)(9)

908

1.132

Proposed equation

838

1.045

6CCFT-1

ACI 440.2R-17 (2017)

921

950

0.969

Chastre and Silva (2010)(3)

1231

1.296

Huang et al. (2015)(9)

1123

1.183

Proposed equation

918

0.966

6CCFT-2

ACI 440.2R-17 (2017)

1021

923

1.106

Chastre and Silva (2010)(3)

1391

1.507

Huang et al. (2015)(9)

1263

1.368

Proposed equation

960

1.041

6CCFT-3

ACI 440.2R-17 (2017)

799

930

0.860

Chastre and Silva (2010)(3)

1036

1.114

Huang et al. (2015)(9)

954

1.026

Proposed equation

857

0.921

Fig. 7. Comparison of analytical results of CCFT

../../Resources/kci/JKCI.2020.32.2.117/fig7.png

4. 결 론

이 연구에서는 브레이딩 GFRP 튜브를 적용한 CCFT의 압축내력성능을 파악하고 CCFT의 압축내력 예측식을 제안하기 위해 CCFT 압축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브레이딩 GFRP 튜브를 적용한 CCFT의 압축내력은 GFRP 튜브의 두께와 비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CFT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비구속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비해 GFRP tbue의 두께가 2, 4, 6일 때 각각 2.08~2.15배, 2.37~2.43배, 2.84~2.9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CFT 및 CCFT 실험체의 최대내력점 이후 하중-변형률 곡선은 유사한 비율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최대 내력점에서 GFRP 튜브가 강관과 콘크리트의 팽창으로 발생한 원주방향 인장에 의해 파괴된 이후 실질적인 구속능력을 상실하여 GFRP 튜브가 CCFT의 거동에 관여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3) CFT와 CCFT 실험체의 최대 내력점에서 측정된 축방향 변형률과 원주방향 변형률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관의 항복과 GFRP 튜브 파단은 비슷한 시점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CFT에 브레이딩 GFRP 튜브를 적용할 경우 강도 측면에서 압축성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연성능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이 연구에서 제안한 CCFT의 최대압축내력 예측식은 약 -9.2~6 %의 오차범위 내에서 CCFT의 최대압축내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제안식은 기존의 예측식보다 작은 오차범위 내에서 CCFT 실험체의 최대 압축내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본 연구에서는 좌굴의 영향을 배제하여 CCFT 단주의 압축실험을 수행하였다. 향 후 L/D와 좌굴의 영향을 고려한 CCFT의 압축실험, 압축과 휨을 동시에 받는 CCFT의 휨-압축 성능실험, 동적하중을 받는 CCFT의 압축성능실험 등 실부재에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감사의 글

This experimental study had been conducted under the financial support provid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7R1D1A1B03028748). The support is appreciated.

References

1 
ASTM D2290-19 , 2019, Standard Test Method for Apparent Hoop Tensile Strength of Plastic or Reinforced Plastic Pipe.,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2 
ASTM D3039/D3039M-17 , 2017,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Polymer Matrix Composite Material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3 
Chastre C., Silva M. A., 2010, Monotonic Axial Behavior and Modelling of RC Circular Columns Confined with CFRP, Engineering Structures, Vol. 32, No. 8, pp. 2268-2277DOI
4 
Choi J. W., Park J. S., Nam J. H., An D. J., Kang I. K., Yoon S. J., 2011,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Compression Strength of Hybrid CFFT Pi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Vol. 2, No. 1, pp. 30-39. (In Korean)DOI
5 
Choi K. K., Xiao Y., 2009, Analytical Model of Circular CFRP Confined Concrete-filled Steel Tubular Columns under Axial Compression,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Vol. 14, No. 1, pp. 125-133DOI
6 
Gwon S. C., 2019, Compressive Strength for Concrete Filled Tube Confined by Braided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Masters Dissertation), Master Thesis. Gachon UniversityGoogle Search
7 
Hatzigeorgiou G. D., 2008, Numerical Model for the Behavior and Capacity of Circular CFT Columns, Part I: Theory, Engineering Structures, Vol. 30, No. 6, pp. 1573-1578DOI
8 
Hu H. T., Huang C. S., Wu M. H., Wu Y. M., 2003, Nonlinear Analysis of Axially Loaded Concrete-filled Tube Columns with Confinement Effect,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29, No. 10, pp. 1322-1329DOI
9 
Huang L., Sun X., Yan L., Zhu D., 2015, Compressive Behavior of Concrete Confined with GFRP Tubes and Steel Spirals, Polymers, Vol. 7, No. 5, pp. 851-875DOI
10 
KCSC , 2018, KDS 41 00 00. Rep. of Korea.,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 (KCSC), http://www.kcsc.re.kr/StandardCode/Viewer/20264. Accessed 03 August 2018.Google Search
11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7,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S F 2405),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2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8, Carbon Steel Tubes for General Structural Purposes (KS D 3566),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3 
Kwak H. G., Kwak J. H., 2012, Ultimate Resisting Capacity of Axially Loaded Circular Concrete-filled Steel Tube Column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4, No. 4, pp. 423-433DOI
14 
Lam L., Teng J. G., 2003, Design-oriented Stress-strain Model for FRP-confined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7, No. 6-7, pp. 471-489DOI
15 
Lee Y. G., Choi J. W., Park J. S., Yoon S. J., 2011, Compression Strength Test of FRP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Pi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Vol. 2, No. 4, pp. 19-27. (In Korean)DOI
16 
Mirmiran A., Shahawy M., 1996, A New Concrete-filled Hollow FRP Composite Column,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Vol. 27, No. 3-4, pp. 263-268DOI
17 
Shahawy M., Mirmiran A., Beitelman T., 2000, Tests and Modeling of Carbon-wrapped Concrete Columns,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Vol. 31, No. 6-7, pp. 471-480DOI
18 
Tang J., Hino S. I., Kuroda I., Ohta T., 1996, Modeling of Stress-strain Relationships for Steel and Concrete in Concrete Filled Circular Steel Tubular Columns, Kou kouzou rombunshuu, Vol. 3, No. 11, pp. 35-46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