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준
(Yong-Jun Lee)
1
김형국
(Hyeong-Gook Kim)
2
김민준
(Min-Jun Kim)
3
김동환
(Dong-Hwan Kim)
4
김길희
(Kil-Hee Kim)
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가건설기준센터 박사후연구원
(Post-Doctor Researcher,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Goyang 10223, Rep. of Korea)
-
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연구교수
(Research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31080, Rep. of Korea )
-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책임연구원
(Assistant Research Fellow, Land and Housing Institute,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Daejeon 34047, Rep. of Korea)
-
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Ph.D. Candidat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31080, Rep. of Korea)
-
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31080, Rep. of Korea)
Copyright © Korea Concrete Institute(KCI)
키워드
휨강도, 중공 슬래브, 수평전단강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Key words
flexural strength, hollow core slabs, horizontal shear strength, precast concrete, prestressed concrete
1. 서 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중공 슬래브(hollow core slabs, 이하 HCS)(2)는 1950년대 처음 개발된 이후 다양한 용도의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활용되고 있다(Moon 2017; Park et al. 2019)(10,11). HCS는 공장에서 부재를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므로 일반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비교해 공기단축 및 현장관리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HCS는
내구성이 높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으로 구조물의 전체적인 품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단면 중심 부분에 형성된 여러 개 중공의 영향으로 단면 효율성
향상과 자중 감소에 따른 장경간 구현에 유리한 구조시스템이다(Jang et al. 2012; Kim et al. 2012)(4,6).
HCS는 콘크리트 단면의 상・하부에 위치한 긴장재의 영향으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비교하면 휨강성 및 강도가 우수해 유럽과 북미에서는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Im et al. 2014)(3). 국내에서는 과거 시공정밀도의 부족과 사용자의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하여 적용을 꺼렸으나 최근에는 품질의 확보와 기술력이 향상됨에 따라 프리스트레스트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주차장, 물류센터, 할인매장, 반도체 공장 등과 같이 장경간 바닥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공기단축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을 중심으로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Hong et al. 2008; Lee et al. 2019)(2,9).
그러나 HCS는 낮은 슬럼프를 갖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거푸집 없이 타설과 동시에 다짐을 하며, 부재를 압출성형 하기 때문에 전단보강근의 배근이 어려워
휨파괴 이전에 전단파괴가 선행하지 않도록 구조성능의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적용 시 전체 바닥이 다이아프램 거동을 할 수 있도록
단부에서 슬래브 간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 현장에서는 HCS에 덧침 콘크리트(topping concrete)를 타설하는 데, 이때 HCS와 덧침 콘크리트의
일체 거동을 위해서는 접합면 사이에서의 수평전단강도 확보가 중요하다(Lee et al. 2012; Lee et al. 2013; Im et al.
2014)(3,7,8).
이 연구에서는 D사에서 생산되고 있는 HCS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고자 단면 높이($h$)와 덧침 콘크리트 유・무를 변수로 휨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설계기준에
의한 예측결과와 실험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요구되는 구조성능의 확보 여부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Table 1 Concrete mix proportions
Concrete
|
$f_{ck}$
(MPa)
|
W/C
(%)
|
S/a
(%)
|
Unit weight (kg/m$^{3}$)
|
W
|
C
|
S
|
G
|
AD
|
HCS
|
45
|
31.6
|
43.8
|
120
|
380
|
856
|
1,100
|
3.20
|
Topping
|
24
|
48.5
|
47.6
|
165
|
340
|
882
|
970
|
2.82
|
W/C is water cement ratio, S/a is fine aggregate modulus, W is water, C is cement,
S is fine aggregate, G is coarse aggregate, AD is water reducing admixture
Fig. 1 Stress-strain relationships of concrete
2. 실험계획
2.1 사용재료
Table 1은 HCS의 휨성능 평가를 위하여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나타낸 것으로 HCS의 콘크리트와 합성을 위한 덧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각각 45 MPa과 24 MPa를 목표로 배합설계 하였다. HCS에 대한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D사로부터 사전에 제작된 제품을 받아 실험체에서 직접
55×55 mm 크기의 큐브(cube) 시험편을 채취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큐브 시험편과의 압축강도 비교를 위해 합성
HCS 실험체 제작 시 덧침 콘크리트 및 HCS와 동일하게 배합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phi$100×200 mm 크기의 원형 실린더형 공시체를
제작하였으며 실험체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생을 하였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은 HCS의 휨실험에 맞추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1과 Table 2에 나타내었다. HCS 및 덧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배합강도를 상회하는 수치인 큐브 시험편에서 평균 48.2~48.7 MPa, 동일 배합한 콘크리트는
평균 46.8 MPa, 덧침 콘크리트는 평균 28.1 MPa를 나타내었다. HCS의 큐브 시험편은 동일 배합한 콘크리트와 평균 1.4~1.9 MPa의
차이를 보여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강연선은 SWPC 7BL로 직경($\phi$) 12.7 mm와 9.5 mm를 사용하여 단면의 상・하부에 배근하였으며, 물리적
특성은 항복강도 1,581 MPa, 인장강도 1,860 MPa를 나타내었다.
2.2 실험체
단면 높이와 덧침 콘크리트 유・무에 따른 HCS의 휨성능 평가를 위하여 Table 2
Table 2 Properties of specimens
Specimens
|
$f_{ck}$ (MPa)
|
a/d
|
Size (mm)
|
Prestressing strand
|
Height of topping
concrete (mm)
|
Number of
specimens
|
Cube
|
Topping
|
h
|
b
|
l
|
Bottom
|
Top
|
F265
|
48.7
|
-
|
8.70
|
265
|
1,200
|
5,400
|
6-$\phi$12.7
2-$\phi$9.5
|
4-$\phi$9.5
|
-
|
3
|
F320
|
48.3
|
7.14
|
320
|
8-$\phi$12.7
|
2-$\phi$9.5
|
-
|
3
|
F400
|
48.2
|
8.52
|
400
|
7,600
|
10-$\phi$12.7
|
3-$\phi$9.5
|
-
|
3
|
CF265
|
48.7
|
28.1
|
6.45
|
265
|
5,400
|
6-$\phi$12.7
2-$\phi$9.5
|
4-$\phi$9.5
|
80
|
3
|
CF320
|
48.3
|
5.00
|
320
|
8-$\phi$12.7
|
2-$\phi$9.5
|
120
|
3
|
CF400
|
48.2
|
6.36
|
400
|
7,600
|
10-$\phi$12.7
|
3-$\phi$9.5
|
3
|
와 같이 동일한 실험체를 3체씩 계획하였다. Table 2에 나타낸 실험체명에서 F와 CF는 각각 덧침 콘크리트 유・무에 따른 비합성 및 합성 HCS를 의미하며, 숫자 265와 320 및 400은 HCS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2와 Fig. 2에 나타나듯이 구조성능 평가를 위한 휨 실험체는 단면 1,200×265(320, 400) mm, 길이 5,400(7,600) mm이며, 순 경간은
5,000(7,000) mm를 갖도록 계획하였다. HCS의 전단경간비(a/d)는 휨이 지배적이도록 계획하여 비합성 HCS의 경우 유효깊이에 따라 7.14~8.70,
합성 HCS는 덧침 콘크리트의 영향으로 5.00~6.45를 나타내었다.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F265(CF265)의 하부에는 6-$\phi$12.7과 2-$\phi$9.5를, 상부에는
4-$\phi$9.5의 긴장재를 배근하였다. F320(CF320)과 F400(CF400)은 단면의 하부에 $\phi$12.7를 각각 8대와 10대를,
상부에는 $\phi$9.5를 각각 2대와 3대를 배근하였다. 실험체에 도입된 긴장력은 긴장재 인장강도의 65 %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휨파괴가 선행하도록 계획하여 전단보강근과 같이 전단에 대한 보강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합성 HCS는 덧침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위하여 휨 실험체 상부면에
높이 6 mm의 거친 마감을 하였다.
Fig. 2 Details of specimens (unit: mm)
Fig. 3 Test setup (unit: mm)
2.3 가력방법
가력은 Fig. 3에 나타나듯이 2,000 kN 용량의 만능재료시험기(UTM)을 이용하여 단순지지 보 형태의 4점 가력을 하였다. 가력은 변위제어 방법으로 1.0 mm/min
속도로 지속적인 하중을 가하였으며, HCS의 휨파괴 양상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실험 수행을 위해 최대하중의 95 % 이하로 내력이 감소하면 실험을 종료하였다.
가력에 의한 실험체의 처짐을 계측하기 위하여 Fig.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변형이 발생하는 실험체 중앙부 하단과 양 가력지점 하단에는 LVDT를 설치하였으며, 가력지점 사이인 중앙부의 압축 연단에는
콘크리트의 압축변형률 계측을 위한 콘크리트용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3. 실험결과 및 분석
3.1 하중-처짐 관계
HCS의 하중-처짐 관계는 Fig. 4에 나타내었다. Fig. 4에서 하중은 만능재료시험기의 유압셀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처짐은 실험체 중앙 하단에 설치한 LVDT로부터 계측된 변위를 나타낸 것이다. 모든 실험체의
휨거동은 단면 높이 및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최대내력 시까지 선형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균열발생 이전 휨강성은 휨균열 발생 이후부터 최대내력
시까지의 휨강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최대하중 이후에는 프리스트레스의 영향으로 내력 저하와 함께 휨파괴가 나타났다.
Fig. 4와 Table 2에 나타나듯이 HCS의 휨균열은 F265 의 경우 평균 145.1 kN에서 발생하였으며, 처짐은 평균 6.17 mm를 나타내었다. F265의 최대하중은
평균 279.0 kN을 나타내었으며, 이때의 처짐은 72.89 mm를 보였다. F320과 F400는 휨균열이 각각 평균 233.8 kN과 218.6
kN으로 나타났으며, 처짐은 각각 평균 7.05 mm와 9.51 mm를 보였다. F320과 F400의 최대하중은 각각 평균 380.0 kN과 377.5
kN을 보였으며, 이때의 처짐은 각각 평균 57.05 mm와 73.48 mm로 나타났다.
합성 HCS의 CF265와 CF320는 휨균열이 각각 평균 189.4 kN과 409.0 kN에서 발생하였으며, 처짐은 각각 평균 4.34 mm와 5.96
mm를 나타내었다. CF265와 CF320의 최대하중은 각각 평균 356.2 kN과 684.6 kN을 나타내었으며, 이때의 처짐은 40.09 mm와
27.46 mm를 보였다. CF400은 휨균열이 220.8 kN으로 이때의 처짐은 평균 5.87 mm를 보였으며, 최대하중과 처짐은 각각 평균 495.9
kN과 67.61 mm를 나타내었다.
Fig. 4와 Table 2에 나타낸바와 같이 HCS의 경우 동일한 실험 구간(경간)을 갖는 F265와 F320는 유효깊이가 높아짐에 따라 전단경간비의 감소로 최대하중일 때
하중은 평균 36.2 % 증가하는, 처짐은 평균 21.7 %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덧침 콘크리트를 반영한 합성 HCS인 CF265와
CF320에서 최대하중일 때 하중이 평균 92.2 % 증가와 처짐은 평균 31.5 % 감소하여 유사하게 나타났다. 휨균열 발생할 때는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효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하중은 증가하였으나 처짐은 HCS와 합성 HCS에서 각각 평균 약 14.3 %와 37.3 %의 높은 처짐을
보여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Fig. 4 Load-deflection relationships
덧침 콘크리트를 반영한 CF400은 덧침 콘크리트가 반영되지 않은 F400과 비교해 최대하중일 때 하중과 처짐이 각각 평균 31.4 % 증가와 8.0
% 감소하여 모든 실험체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합성 HCS의 경우 덧침 콘크리트에 의한 단면2차모멘트의 증가로 HCS보다 휨강성이 크게
증가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3.2 균열양상
단면 높이 및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따른 HCS의 균열양상을 Figs. 5~6에 나타내었다. 모든 HCS는 단면 높이 및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가력 초기 가력지점 사이인 실험체 중앙부 하단의 인장영역에서 휨균열이 발생하였다. 균열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 연단으로의 성장과 동시에
실험 구간의 양단부로 진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최종적으로는 발생된 휨균열의 폭이 크게 성장하여 내력이 저하되는 휨파괴를 나타내었다.
Fig. 5 Crack patterns of noncomposite HCS at peak load
Fig. 6 Crack patterns of composite HCS at peak load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따른 HCS 휨균열은 HCS의 경우 하중 평균 145.1~233.8 kN에서 발생을 하였으나 합성 HCS는 덧침 콘크리트에
의한 영향으로 휨강성이 크게 증가되어 하중 평균 189.4~409.0 kN의 높은 내력에서 발생하였다. 실험 구간에서 발생한 균열의 수는 HCS의
단면 높이 265 mm와 320 mm를 갖는 실험체에서 알 수 있듯이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효깊이가 높을수록 적은 수의 균열이 관찰되었으며,
HCS의 단면 높이 265 mm와 400 mm와 같이 유사한 전단경간비를 갖는 실험체 또한 단면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적은 수의 균열을 나타내었다.
3.3 휨강도
Table 3은 단면 높이 및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따른 HCS의 휨 실험결과에 대하여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5)에 의하여 예측한 균열모멘트와 계수 휨강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실험결과에 의한 모멘트는 만능재료시험기의 유압셀로부터 측정된 하중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Table 3 Comparison between analy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Specimens
|
$f_{ck}$
(MPa)
|
Experimental results
|
Analytical results
|
Exp./Ana.
|
At flexural crack
|
At peak load
|
$M_{cr,\: KCI}$ (kN・m)
|
$\phi M_{n,\: KCI}$ (kN・m)
|
$\dfrac{M_{cr,\:\exp}}{M_{cr,\: KCI}}$
|
$\dfrac{M_{peak,\:\exp}}{\phi M_{n,\: KCI}}$
|
$P_{cr}$
(kN)
|
$\delta_{cr}$
(mm)
|
$M_{cr}$ (kN・m)
|
$P_{peak}$
(kN)
|
$\delta_{peak}$
(mm)
|
$M_{peak}$ (kN・m)
|
F265
|
1
|
$f_{ck,\:HCS}$=48.7
|
146.5
|
5.87
|
146.5
|
284.3
|
75.76
|
284.3
|
152.9
|
228.2
|
0.96
|
1.25
|
2
|
141.1
|
6.05
|
141.1
|
257.7
|
68.29
|
257.7
|
0.92
|
1.13
|
3
|
147.7
|
6.59
|
147.7
|
295.1
|
74.61
|
295.1
|
0.97
|
1.29
|
Mean
|
145.1
|
6.17
|
145.1
|
279.0
|
72.89
|
279.0
|
-
|
-
|
0.95
|
1.22
|
F320
|
1
|
$f_{ck,\:HCS}$=48.3
|
229.1
|
7.05
|
229.1
|
371.4
|
55.44
|
371.4
|
215.3
|
314.9
|
1.06
|
1.18
|
2
|
232.4
|
7.52
|
232.4
|
379.7
|
62.30
|
379.7
|
1.08
|
1.21
|
3
|
239.9
|
6.58
|
239.9
|
388.9
|
53.40
|
388.9
|
1.11
|
1.23
|
Mean
|
233.8
|
7.05
|
233.8
|
380.0
|
57.05
|
380.0
|
-
|
-
|
1.09
|
1.21
|
F400
|
1
|
$f_{ck,\:HCS}$=48.2
|
199.2
|
8.00
|
298.8
|
387.6
|
75.15
|
581.4
|
330.3
|
495.7
|
0.90
|
1.17
|
3
|
228.3
|
9.87
|
342.5
|
384.7
|
81.54
|
577.1
|
1.04
|
1.16
|
2
|
228.3
|
10.65
|
342.5
|
360.2
|
63.74
|
540.3
|
1.04
|
1.09
|
Mean
|
218.6
|
9.51
|
327.9
|
377.5
|
73.48
|
566.3
|
-
|
-
|
0.99
|
1.14
|
CF265
|
1
|
$f_{ck,\:HCS}$=48.7
$f_{ck,\:T}$=28.1
|
187.2
|
4.55
|
187.2
|
353.2
|
40.01
|
353.2
|
214.8
|
294.8
|
0.87
|
1.20
|
2
|
198.4
|
4.47
|
198.4
|
394.7
|
43.73
|
394.7
|
227.6
|
311.3
|
0.87
|
1.27
|
3
|
182.6
|
4.01
|
182.6
|
320.8
|
36.53
|
320.8
|
219.6
|
301.1
|
0.83
|
1.07
|
Mean
|
189.4
|
4.34
|
189.4
|
356.2
|
40.09
|
356.2
|
220.7
|
302.4
|
0.86
|
1.18
|
CF320
|
1
|
$f_{ck,\:HCS}$=48.3
$f_{ck,\:T}$=28.1
|
368.1
|
5.28
|
368.1
|
683.9
|
29.35
|
683.9
|
341.3
|
443.5
|
1.08
|
1.54
|
2
|
422.2
|
6.09
|
422.2
|
643.7
|
23.50
|
643.7
|
342.8
|
445.2
|
1.23
|
1.45
|
3
|
436.6
|
6.51
|
436.6
|
726.3
|
29.52
|
726.3
|
345.0
|
447.7
|
1.27
|
1.62
|
Mean
|
409.0
|
5.96
|
409.0
|
684.6
|
27.46
|
684.6
|
343.0
|
445.5
|
1.19
|
1.54
|
CF400
|
1
|
$f_{ck,\:HCS}$=48.2
$f_{ck,\:T}$=28.1
|
237.0
|
6.18
|
355.5
|
518.8
|
62.24
|
778.2
|
464.5
|
641.8
|
0.77
|
1.21
|
3
|
203.8
|
5.48
|
305.7
|
470.2
|
66.51
|
705.3
|
447.3
|
618.3
|
0.68
|
1.14
|
2
|
221.6
|
5.94
|
332.4
|
498.8
|
74.08
|
748.2
|
443.8
|
613.5
|
0.75
|
1.22
|
Mean
|
220.8
|
5.87
|
331.2
|
495.9
|
67.61
|
743.9
|
451.9
|
624.5
|
0.73
|
1.19
|
Table 3에 나타낸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에 의한 균열모멘트($M_{cr}$)와 계수 휨강도($\phi M_{n}$)는 다음의 식(1)과 (2)를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균열을 허용하는 부재는 연성적인 파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계수 휨강도가 균열모멘트의 1.2배 이상이 되도록 요구되고 있다.
덧침 콘크리트가 고려된 합성 HCS에 대한 정확한 휨강도 예측을 위하여 Table 4에 나타나듯이 슬래브 두께($h_{T}$)의 실측값을 결과에 반영하였다.
여기서, $f_{r}$은 콘크리트의 휨균열강도($0.63\sqrt{f_{ck}}$, MPa)이며, $f_{ck}$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MPa),
$S_{b}$는 단면 중립축에서 단면 하부면까지의 단면계수(mm$^{3}$), $P_{e}$는 긴장재의 유효긴장력(kN), $r_{c}$는 단면 2차
반경(mm), $y_{b}$는 단면 중립축에서 단면 하부면까지의 거리(mm), $e$는 단면 중립축에서 긴장재의 중심까지 거리(mm), $A_{ps}$는
긴장재의 단면적(mm$^{2}$), $f_{ps}$는 긴장재의 응력(MPa), $A_{s}$는 인장철근의 단면적(mm$^{2}$), $f_{y}$는
철근의 항복강도(MPa), $d_{p}$는 압축 연단에서 긴장재 단면 중심까지의 거리(mm), $d_{s}$는 압축 연단에서 인장철근 단면 중심까지의
거리(mm), $a$는 등가응력블럭의 깊이(mm), $\phi$는 강도감소계수이다.
휨성능 평가를 위한 HCS는 실험체 제작 시 부착긴장재를 사용하였으며, 긴장력은 긴장재 인장강도의 65 % 적용으로 식(2)에서 긴장재의 응력($f_{ps}$)은 식(3)에 나타낸 바와 같이 $f_{ps}\ge 0.5f_{pu}$일 때 도입 긴장재의 응력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여기서, $f_{pu}$는 긴장재의 인장강도(MPa), $\gamma_{p}$는 긴장재의 종류에 따른 계수로 $f_{py}/f_{pu}\ge 0.8$인
경우 $\gamma_{p}=0.55$, $f_{py}/f_{pu}\ge 0.85$인 경우 $\gamma_{p}=0.40$, $f_{py}/f_{pu}\ge
0.9$인 경우 $\gamma_{p}=0.28$, $\beta_{1}$은 등가응력블럭 계수, $\rho_{p}$는 긴장재의 비($\rho_{p}=A_{ps}/(bd_{p})$),
$\omega$는 인장철근의 강재지수($\omega =\rho f_{y}/f_{ck}$), $\omega^{'}$은 압축철근의 강재지수($\omega^{'}=\rho^{'}f_{y}/f_{ck}$)이다.
Table 4 Comparison of horizontal shear strength
Specimens
|
$f_{ck}$
(MPa)
|
$h_{T}$
(mm)
|
$b_{v}$
(mm)
|
$l_{vh}$
(mm)
|
$M_{peak}$
(kN・m)
|
$F_{h}$
(kN)
|
$v_{h}$
(MPa)
|
$v_{nh,\: KCI}$ (MPa)
|
$v_{nh,\: ACI}$
($v_{nh,\: PCI}$)
(MPa)
|
$\dfrac{v_{h}}{v_{nh,\: KCI}}$
|
$\dfrac{v_{h}}{v_{nh,\: ACI(PCI)}}$
|
CF265
|
1
|
$f_{ck,\:HCS}$=48.7
$f_{ck,\:T}$=28.1
|
74.0
|
1,200
|
2,000
|
353.2
|
1,583.4
|
0.66
|
0.56
|
0.55
|
1.18
|
1.20
|
2
|
89.0
|
394.7
|
1,610.2
|
0.67
|
1.20
|
1.22
|
3
|
79.7
|
320.8
|
1,593.7
|
0.66
|
1.19
|
1.21
|
Mean
|
356.2
|
1,595.8
|
0.66
|
-
|
-
|
1.19
|
1.21
|
CF320
|
1
|
$f_{ck,\:HCS}$=48.3
$f_{ck,\:T}$=28.1
|
118.8
|
1,200
|
2,000
|
683.9
|
1,640.5
|
0.68
|
0.56
|
0.55
|
1.22
|
1.24
|
2
|
120.2
|
643.7
|
1,641.0
|
0.68
|
1.22
|
1.24
|
3
|
122.2
|
726.3
|
1,641.7
|
0.68
|
1.22
|
1.24
|
Mean
|
684.6
|
1,641.1
|
0.68
|
-
|
-
|
1.22
|
1.24
|
CF400
|
1
|
$f_{ck,\:HCS}$=48.2
$f_{ck,\:T}$ =28.1
|
113.5
|
1,200
|
3,000
|
778.2
|
2,051.0
|
0.57
|
0.56
|
0.55
|
1.02
|
1.04
|
3
|
98.3
|
705.3
|
2,034.0
|
0.57
|
1.01
|
1.03
|
2
|
95.2
|
748.2
|
2,030.5
|
0.56
|
1.01
|
1.03
|
Mean
|
743.9
|
2,038.5
|
0.57
|
-
|
-
|
1.01
|
1.03
|
Table 3에 나타나듯이 균열모멘트에 대한 예측결과를 실험결과($M_{cr,\:\exp}/M_{cr,\: KCI}$)와 비교한 결과, HCS의 경우 F265는
실험결과에 의한 균열모멘트가 평균이 145.1 kN・m로 예측결과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는 평균 0.95를 나타내었다. F320과 F400은 실험결과
각각 평균 233.8 kN・m와 327.9 kN・m로 예측결과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가 각각 평균 1.09와 0.99로 나타났다. 덧침 콘크리트가 반영된
합성 HCS는 CF265와 CF320의 실험결과가 각각 평균 189.4 kN・m와 409.0 kN・m로 나타나 예측결과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가 각각
평균 0.86과 1.19를 보였다. CF400의 실험결과 평균은 331.2 kN・m로 다른 실험체와 비교해 평균 0.73의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계수 휨강도는 HCS의 F265 경우 실험결과와 예측결과가 각각 평균 279.0 kN・m와 228.2 kN・m로 나타나 예측결과에 대한 실험결과($M_{peak,\:\exp}/\phi
M_{n,\: KCI}$)의 비는 평균 1.22를 보였다. F320과 F400은 실험결과가 각각 평균 380.0 kN・m와 566.3 kN・m, 예측에
의한 휨강도는 각각 평균 314.9 kN・m와 495.7 kN・m로 예측결과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가 각각 평균 1.21과 1.14를 나타내었다. 덧침
콘크리트가 반영된 합성 HCS의 계수 휨강도는 CF265 경우 실험결과가 평균 356.2 kN・m, 예측결과는 평균 302.4 kN・m를 보여 예측결과에
대한 실험결과와의 비가 평균 1.18로 나타났다. CF320과 CF400의 실험결과는 각각 평균 684.6 kN・m와 743.9 kN・m, 예측결과는
각각 평균 445.5 kN・m와 624.5 kN・m로 각각 평균 1.54와 1.19의 비를 나타내었다.
Table 3과 같이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5)에 의하여 계수 휨강도를 비교한 결과, HCS는 예측결과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가 평균 1.14~1.22를, 합성 HCS는 평균 1.18~1.54의
비로 HCS 부재의 높이 및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요구되는 휨성능에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5)은 비교적 안전측으로 예측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HCS와 합성 HCS의 휨강도($M_{peak}$)는 균열모멘트($M_{cr}$)보다 각각
평균 1.63~1.92배와 1.68~2.25배의 높은 내력을 나타내 부재가 균열등급일 때 연성적인 파괴를 위하여 균열모멘트의 1.2배 이상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에 만족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4. 수평전단강도 평가
HCS는 구조물에 적용 시 일체성 확보를 위해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를 활용하고 있다. 합성 HCS는 현장에서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의
영향으로 부재의 유효깊이가 커짐에 따라 덧침 콘크리트를 고려하지 않은 HCS보다 구조적으로 성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합성 HCS가 중공
슬래브로서 요구되는 구조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접합면 사이의 수평방향 미끄러짐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평전단강도의 확보가 요구된다(Im et al.
2014)(3).
합성 HCS의 수평전단강도는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5)과 ACI 318-19(ACI 2019)(1) 및 PCI Design Handbook(PCI 2017)(12) 모두 식(4)와 같이 설계 수평전단강도가 계수 전단강도 이상이 되도록 하고 있으며 표면의 거칠기 상태와 최소전단연결재의 유・무에 따라 설계 수평전단강도를 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V_{u}$는 계수 전단강도(kN), $V_{nh}$는 설계 수평전단강도(kN)이다.
합성 HCS는 실험체 제작할 때 최소전단연결재가 없이 표면을 의도적으로 거칠게 처리하여 설계 수평전당강도의 예측은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과 ACI 318-19
및 PCI Design Handbook에서 다음의 식(5)를 적용하여 평가를 하였다.
여기서, $b_{v}$는 단면의 폭(mm), $d$는 단면의 유효높이(mm)이다.
합성 HCS의 수평전단강도는 단면에서 힘의 평형 조건을 이용하여 수평전단력을 구하였으며, 접합면에 작용하는 수평전단강도는 식(6)과 같이 산정을 하였다.
여기서, $F_{h}$는 접합면의 수평전단력(kN), $l_{vh}$는 수평전달길이(mm)이다.
합성 HCS의 접합면 수평전단력으로부터 구한 휨파괴 시 계면에 작용하는 수평전단강도는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5)과 ACI 318-19(ACI 2019)(1) 및 PCI Design Handbook (PCI 2017)(12)에서 요구되는 수평전단강도와 함께 비교하여 Table 4에 나타내었다. 접합면 수평전단력으로부터 구한 휨파괴 시 계면에 작용하는 수평전단강도는 CF265와 CF320의 경우 각각 평균 0.66 MPa과
0.68 MPa를 나타내 기준으로부터 요구되는 수평전단강도보다 평균 약 19 % 이상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CF400은 접합면 수평전단력으로부터
구한 휨파괴 시 계면에 작용하는 수평 전단강도가 평균 0.57 MPa로 요구되는 수평전단강도에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비교적 다른 실험체와 비교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Table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HCS의 수평전단강도는 단면의 높이와 관계없이 요구되는 수평전단강도를 평균 1.01~1.22배 이상 상회하는 수치를 보여
전단연결재의 필요 없이 접합면을 일반적인 거칠기 처리만을 적용하여도 합성 HCS에 요구되는 구조성능을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결 론
이 연구는 HCS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고자 단면 높이 및 덧침 콘크리트 유・무를 변수로 휨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설계기준에 의한 예측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HCS는 단면 높이 및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최대하중일 때까지 연성적인 휨거동을 보였으며, 합성 HCS는 HCS와 비교해 덧침 콘크리트의
영향으로 휨강성이 크게 증대되어 하중은 증가하는 반면, 처짐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 HCS의 균열은 유사한 전단경간비일 때 덧침 콘크리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효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적은 수의 균열이 관찰되는 경향을 나타내 전단경간비와
함께 단면2차모멘트 또한 휨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에서 제안하는 휨해석을 활용하여 계수 휨강도를 비교한 결과, HCS는 예측결과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가 평균 1.14~1.22,
합성 HCS는 평균 1.18~1.54로 비교적 안전측으로 예측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HCS와 합성 HCS의 휨강도는 균열모멘트보다 각각 평균 1.63~1.92배와
1.68~2.25배 높은 내력을 보여 연성적인 파괴를 위한 균열모멘트의 1.2배 이상 확보에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합성 HCS의 접합면 수평전단력으로부터 구한 휨파괴 시 계면에 작용하는 수평전단강도는 단면의 높이와 관계없이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과 ACI 318-19
및 PCI Design Handbook에서 요구되는 수평전단강도를 평균 1.01~1.22배 이상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표면의 거칠기만을 기준에
준하여 적용하여도 접합면 사이의 수평방향 미끄러짐 파괴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2018R1A2B3001656)과 2019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중점연구소지원사업(2019R1A6A1A03032988)
및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20CTAP-C152175-02)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며, 2019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과학벨트기능지구지원사업(2015-DD-RD-0068-05)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또한, 실험체 제작에 도움을 주신 덕산GS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2019, ACI Committee 31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19)
and Commentary (ACI 318R-19), USA, Michigan;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623
Hong G. H., Park H. G., Hwang J. S., 2008,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Heavy-weight
Floor Impact Noise of Hollow Core Slabs (In Kore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4, No. 6, pp. 355-362
Im J. H., Park M. K., Lee D. H., Seo S. Y., Kim K. S., 2014, Evaluation of Horizontal
Shear Strength of Prestressed Hollow-core Slabs with Cast-in-place Topping Concrete
(In Korea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6, No. 6, pp. 741-749
Jang H. J., Ryu J. H., Kim S. M., Ju Y. K., Kim S. D., 2012, An Evaluation on the
Flexural Capacity of Void Slabs with Prestressed Half PC (In Kore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8, No. 2, pp. 11-18
2017, KCI Model Code 2017.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In Korean),
orea Concrete Institute (KCI), 637
Kim K. S., Lee D. H., Park M. K., Im J. H., 2012, Development of Enhancement Techniques
on Shear Strength of Hollow-core Slab and its Composite Action with Topping Concrete
(In Korean), SAMSUNG C&T Technical Report
Lee S. S., Hong S. Y., Park K. S., Bae K. W., 2012, Evaluation of Horizontal Shear
Strength for Cotter Type Surface Roughness of Hollow Core Slab (In Kore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8, No. 8, pp. 61-68
Lee S. S., Hong S. Y., Park K. S., Bae K. W., 2013,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of
Composite Hollow Core Slab with Concrete Topping (In Kore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9, No. 7, pp. 47-54
Lee Y. J., Kim H. K., Kim M. J., Lee J. S., Kim K. H., 2019,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for Prestressed Concrete Hollow Core Slabs (In Korea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1, No. 5, pp. 505-512
Moon J. H., 2017, Structural Performance for the Extruded Hollow Core Slabs with Prestressed
Concretes (In Korean), Hansung PCC & Hannam University Research Report
Park M. K., Lee D. H., Han S. J., Kim K. D., 2019, Web-shear Capacity of Thick Precast
Prestressed Hollow-core Slabs Units Produced by Extrusion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Vol. 13, No. 7, pp. 19-32
2017, PCI Industry Handbook Committee PCI Design Handbook: Precast and Prestressed
Concrete, 8th Edition, Illinois, USA; Precast/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P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