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Ki-Hyun Kim)
1iD
윤석구
(Seok-Goo Youn)
2†iD
-
컨텍이앤씨(주) 대표이사
(CEO, CONTEK ENC Co., Ltd., Seongnam 13503, Rep. of Korea)
-
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01811, Rep. of Korea)
Copyright © Korea Concrete Institute(KCI)
키워드
진공, 그라우팅, 공극, 포스트텐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Key words
vacuum, grouting, void, post-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1. 서 론
포스트텐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이하, PSC) 구조물은 쉬스관 내부에 시멘트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콘크리트 부재와 일체화시킨 구조를 의미한다. PSC
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RC) 구조물보다 높은 강도의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균열이 억제되기 때문에 안전하고 내구성이 좋다고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해외에서
발생한 PSC 교량의 긴장재 파단 및 붕괴는 PSC 구조물이 장기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인식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Woodward
1981)(16).
포스트텐션 PSC 구조물에서 긴장재의 부식과 파단은 주로 그라우트 미충전으로 발생한 공극에서 시작된다. 그라우트 미충전 그 자체로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물, 염소이온 등이 침투하여 긴장재가 부식되어 단면적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높은 인장력을 받는 긴장재는 쉽게 파단된다(Youn 2013)(17). 이러한 긴장재의 파단은 구조물의 붕괴까지 일으킬 수 있으므로 포스트텐션 PSC 구조물은 초기 시공 시 철저한 그라우트 시공관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정릉천고가교의 긴장재 파단 이후 그라우트의 품질관리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학계와 산업계에서 그라우트 재료와 그라우트 시공에 대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Koh et al. 2015; Kim et al. 2019)(6,8).
특히, 그라우팅은 현장의 작업자 숙련도 및 장비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므로 이러한 현장 조건에 상관없이 잔류공기를 제거하여 밀실하게 주입할
수 있는 진공그라우팅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투명한 수직관에 대해 새로 개발한 진공그라우팅 장비를 이용한 그라우팅 실험을 수행하였다. 초기 진공압력이 그라우트 충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진공압력을 다르게 하여, 물과 그라우트를 수직관에 주입하는 실험을 시행하였다. 또한, 그라우트 미충전부의 공극부피 크기를 보일-샤를
법칙에 의한 이론값과 비교하였다. 이 실험 결과를 토대로 포스트텐션 PSC 구조물 시공 방법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2. 현행 그라우팅 방법의 문제점
2.1 라우트 미충전으로 인한 사고사례
그라우트 미충전으로 인한 공극에 물 또는 제설제와 같은 염소이온이 침투하여, PSC 구조물의 긴장재가 부식 파단되어 발생한 사고사례는 해외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FDOT 2002; Lee and Zielske 2014)(2,10). 대표적인 사례는 Table 1, Fig. 1 및 Fig. 2에 나타내었다.
Table 1. Examples of PSC bridge failure (Koh et al. 2016)(7)
Country
|
Bridge
|
Case
|
Reason
|
UK
|
Ynys-y-Gwas bridge
|
Collapse
|
Strand corrosion
|
Braidley Road bridge
|
Strand replacement
|
Strand corrosion
|
Taf Fawi bridge
|
Collapse
|
Strand corrosion and failure
|
USA
|
Niles Channel bridge
|
Strand replacement
|
Strand corrosion and failure
|
Ringling bridge
|
Strand replacement
|
Strand corrosion
|
Plymouth Avenue bridge
|
Strand replacement and reinforcement
|
Strand corrosion
|
Japan
|
Shinjo bridge
|
Collapse
|
Strand corrosion
|
Myoukou bridge
|
Strand replacement
|
Strand corrosion
|
Fig. 1. Example of bridge collapse (Malle bridge, Belgium 1992) (Roy 2017)(11)
Fig. 2. Example of Strand corrosion (Mid-Bay bridge, USA 2002) (Hartt and Venugopalan
2002)(3)
Fig. 3. Strand failure of Jeongneungcheon bridge (Seoul 2017)
이러한 문제는 최근 국내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2016년 2월 서울시 정기 안전점검 시, 서울시 내부순환도로 중 정릉천고가교에서 강연선 파단이
Fig. 3과 같이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내부순환도로가 1개월간 전면 차단되었다. 파단 원인에 대해 서울시와 관련 기관이 조사한 결과, 주원인은 쉬스관 내부의
긴장재 부식을 방지하는 그라우트의 충전 부족 및 그라우트 재료에서 분리된 블리딩수에 의한 공극 발생, 그라우트 주입 후 염화물을 함유한 수분 침투가
원인일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SMG 2017)
(12).
2.2 현행 그라우트 작업의 문제점
국내・외 PSC 구조물의 그라우트 미충전으로 인한 공극 발생의 대표적인 원인은 재료적인 측면과 시공적인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재료적인 측면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PSC 구조물의 그라우트는 대부분 물-시멘트비가 약 40 %대로 비교적 높고, 가스를 발생시키는 금속성 팽창재의
다량 사용으로 블리딩 발생 가능성이 높고 품질관리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Koh et al. 2017)(9).
특히 실내실험 결과 긴장재가 설치되는 PSC 구조물은 소선 간 모세관 현상으로 블리딩이 촉진되어 블리딩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Shin et al.
2007)(13).
시공적인 측면에서는 그라우트 장비 고장, 주입능력 부족, 연결관 파손, 유량계 고장이 충전 부족의 요인이 된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가 다르며,
주입구 및 배출구의 설치 방법과 서중, 한중에 대한 대응 등에 따라 차이가 크다(Terada 2016)(14).
이로 인해 시험실과 실제 현장에서 그라우트 샘플링 블리딩 조사 결과 큰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3. 진공그라우팅 주입이론 및 장비
3.1 진공그라우팅 주입이론
‘진공’이란 단어의 뜻은 아무것도 없는 빈 공간을 말한다. 하지만 실용적으로는 대기압력(0.1 MPa, 760 Torr)보다 낮은 압력으로 기체가
채워져 있는 공간을 말한다. 또한, 진공작용은 대기압력과 진공압력의 압력 차에 의해 비어있는 공간으로 공기를 밀어내는 현상을 말한다(Dickes 2008)(1).
일반적인 진공의 구분은 Table 2와 같으며, 진공그라우팅 방법의 진공은 저진공(low vacuum)을 말한다.
Table 2. Classification of vacuum
Classification
|
Pressure range
|
Low vacuum
|
760~1 Torr
|
100 kPa~100 Pa
|
Mid vacuum
|
1~10-3 Torr
|
100 Pa~0.1 Pa
|
High vacuum
|
10-3~10-7 Torr
|
0.1 Pa~10 µPa
|
Extra high vacuum
|
10-7~10-10 Torr
|
10 µPa~10-4 µPa
|
Extremly high vacuum
|
10-10~(Less)
|
10-4 µPa~(Less)
|
실험에 적용되는 진공압력은 게이지압력($P_{g}$), 절대압력($P_{a}$)으로 표현된다. 게이지압력은 게이지에 표시되는 압력으로 대기압력을 제외한
압력이며, 절대압력은 게이지압력에 대기압력을 더한 압력이다. 즉, 게이지압력이 0기압(0 MPa)일 때, 절대압력은 1기압(0.1 MPa)이 된다.
절대압력, 게이지압력, 대기압은
식(1)과 같은 상관관계를 갖는다(In 2013)
(5).
실험에서 측정 관리되는 압력은 게이지압력이며, 이를 이론에 적용할 때는 절대압력으로 변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게이지압력이 -0.09 MPa은
압력 자체가 음의 값을 가지는 것이 아닌 절대압력 0.01 MPa임을 의미한다.
PSC 구조물에 설치된 쉬스관 내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 양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확인 방안이 필요하다. 이때 쉬스관 내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 양의 확인은 기체의 기본이론인 보일의 법칙을 이용한다.
보일의 법칙은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는 기체의 압력 및 부피 변화 현상에 관해 설명한다.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기체가 유지되면 압력($P$)과 부피($V$)는
반비례한다.
즉, 식(2)와 같이 주어진 질량에 대해 일정한 온도에서 압력과 부피는 일정하다.
신규 PSC 구조물의 경우 쉬스관의 부피를 알 수 있고, 진공압력을 결정하면 쉬스관 내부에 주입되어야 할 그라우트 양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등을 이용하여 그라우트 주입량을 측정하면 쉬스관 내부의 그라우트 충실률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용 중인 PSC 구조물의 미충전부와 같은 공극의 부피를 알 수 없을 경우, 보일-샤를의 법칙을 적용하여 공극부피를 구할 수 있다. 이 법칙은
식(3)과 같이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의 압력은 부피에 반비례하는 보일의 법칙과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온도의 증가에 비례하는 샤를의 법칙을 적용한
것이다. 공극 부피의 측정방법은 진공그라우팅 장비에 별도로 부피를 알 수 있는 진공탱크를 감압한 후 공극과 연결하면서 변화되는 압력 및 온도를 측정하여
식(3)에 대입하면 공극 부피($V_{2}$)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T_{1}$ : 진공 탱크 내의 온도
$T_{2}$ : 내부 공극의 온도
$T_{3}$ : 압력 변화 후 온도
$P_{1}$ : 진공 탱크 내의 압력
$P_{2}$ : 내부 공극의 압력
$P_{3}$ : 압력 변화 후 압력
$V_{1}$ : 진공 탱크 부피
$V_{2}$ : 내부 공극의 부피
3.2 진공그라우팅 장비
Fig. 4. Equipment of compact vacuum grouting
쉬스관 공극부에 그라우트를 재주입하기 위해 개발한 소형 진공그라우팅 장비는 시간당 작업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장비의 효율지수(시간당작업량/장비부피×1,000)를
고려하여 소형화할 수 있었으며(Hwang and Jeoung 2015)
(4), 특히 구조물 내부의 운반 등을 고려하여 진공펌프, 진공탱크, 그라우트 주입펌프, 제어장치 등 각 부분을 16 kg 이하의 무게로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이동성을 향상시켰다.
Fig. 4는 진공그라우팅 장비의 모습이다.
진공장치는 Fig. 4(a), 4(b)와 같이 진공펌프와 진공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진공펌프는 저진공에 적합한 펌프를 사용하였으며, 진공탱크는 공극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추가로 설치한 장치로서
압력과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주입장치는 Fig. 4(c)와 같이 믹서탱크, 그라우트 탱크와 유압형 주입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믹서탱크에는 적정한 교반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라우트 탱크에는 그라우트량을
확인할 수 있는 측정눈금이 부착되어 있다. 특히 새롭게 개발한 유압형 주입장치는 진공 주입 이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데 사용되며, 일정한 스트로크에
의한 주입방법으로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어장치는 Fig. 4(d)와 같이 진공압력 및 감압 속도, 그라우트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내부의 압력과 온도, 그라우트 장비의 압력과 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정밀하면서
정량적인 제어 및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3.3 진공그라우팅 적용 사례
진공그라우팅은 쉬스관을 그라우팅 전에 85~90 %의 진공상태로 만든다. 즉 밀폐된 공기의 85~90 %를 제거하며 갇힌 공기로 인한 공극이 남을
위험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진공그라우팅은 잔류공기가 모이게 되는 높은 지점이 없는 긴 수평텐던, 쉬스관의 최상부가 격벽 안에 있는 경우, 특히 최상부의 배출구 위치가
복잡하고 심지어 불가능한 경우에 권장된다(VSL Intnational Ltd. 2002)(15).
또한, 쉬스관의 천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쉬스관이 막힌 경우, 배출구가 파손되거나 막힌 경우 등 공기가 빠져나갈 수 없는 경우 진공그라우팅을 사용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Edison 교량, Woodrow Wilson 교량, Benecia-Martinez 교량이 이와 같은 원인으로 진공그라우팅
방법을 사용한 사례가 있다(Dickes 2008)(1).
4. 진공그라우팅 실험
진공압력에 따른 그라우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ig. 5와 같은 투명한 수직관(PVC PIPE)에 개발한 소형 진공그라우팅 장비를 이용해 물과 그라우트 재료의 주입실험과 공극부피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4.1 수직관 실험
4.1.1 실험체 제원
Fig. 5의 수직관 실험체는 Top Line부, Top Steel부, PVC Pipe부, Bottom Steel부, Bottom Line부의 5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Fig. 5. Vertical pipe for test of vacuum grouting
Top Line부는 수직관 내부를 감압시키기 위한 진공밸브와 수직관 내부의 압력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진공게이지와 압력게이지를 설치하였다.
Top・Bottom Steel은 고무 패킹과 강재의 막음판, 볼트・너트를 포함한 일체형 주물 형식으로 구성되어 수직관 내부의 공기 유입 및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수직관의 길이는 1,000 mm이며, Top Steel부를 제외한 940 mm가 측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
Bottom Line부는 진공 주입밸브와 가압 주입밸브를 설치하여, 진공 주입방법과 유압을 이용한 가압 주입방법 모두 가능하도록 하였다.
PVC Pipe부에는 압력단계별 주입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측정 눈금을 부착하였으며 물 주입 시, 물의 충전 양상을 뚜렷하게 확인하기
위해 색소를 첨가하였다.
4.1.2 실험 방법
진공 그라우트 주입실험은 진공 주입방법으로 초기 진공압력에 따른 주입량을 측정하여 이론값과 비교하였으며, 가압 주입방법으로 최종 수직관 내부의 충전도를
확인하였다. 초기 진공압력은 게이지압력(절대압력)으로-0.09 MPa(0.01 MPa), -0.06 MPa(0.04 MPa), -0.03 MPa(0.07
MPa), 0 MPa(0.1 MPa, 대기압)로 하였다. 주입 유체는 1차적으로 실험의 용이성과 반복성을 위하여 물을 사용하였으며, 2차적으로 시공
시 사용되는 시멘트 그라우트 재료를 사용하였다. 자세한 실험 케이스는 Table 3에 나타내었다. Case W0~W9는 초기 진공압력이 0, -0.03, -0.06, -0.09 MPa에서, 물 주입을 G0~G9은 같은 조건의 그라우트
주입을 의미한다.
실험은 수직관 내부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감압한 후 진공 주입 밸브를 열어 유체가 주입되도록 한다. 수직관에 설치된 진공게이지가 ‘0’에 도달할 때(수직관
내부 압력이 대기압 상태가 될 때) 주입은 중단되며 이때 주입량을 측정한다.
이후 유압을 이용한 가압 주입방식으로 유체(물과 그라우트 재료)가 초기 게이지 압력 -0.09 MPa 조건에서 가득 채워지는 압력을 기준으로 주입하여
최종 주입량을 측정한다. 측정은 수직관 내부 압력와 수직관 내부에 유입된 유체의 양을 3회 측정하며,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한다. 주입 시에는 정확한
주입량을 확인하기 위해 각 주입 호스를 유체로 채운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한다. 진공 주입량과 가압 주입량의 이론값은 Table 4와 같다.
Table 3. Vacuum grouting test
Gage pressure of PVC pipe (MPa)
|
Material
|
Case
|
Material
|
Case
|
-0.09
|
Water
|
W9
|
Grout
|
G9
|
-0.06
|
Water
|
W6
|
Grout
|
G6
|
-0.03
|
Water
|
W3
|
Grout
|
G3
|
0
|
Water
|
W0
|
Grout
|
G0
|
Table 4. Quantity of injection (Theory)
Pressure (MPa)
|
Vacuum
injection
(mm)
|
Pumping injection (mm)
|
$P_{g}$
|
$P_{a}$
|
0.1 MPa
|
0.15 MPa
|
-0.09
|
0.01
|
846
|
893
|
902
|
-0.06
|
0.04
|
564
|
752
|
790
|
-0.03
|
0.07
|
282
|
611
|
677
|
0
|
0.10
|
0
|
470
|
564
|
Table 5. Vacuum pressure of PVC pipe
Case
|
Vacuum pressure of PVC pipe (MPa)
|
L9
|
-0.09
|
L6
|
-0.06
|
L3
|
-0.03
|
사전에 부피를 알고 있는 수직관에 대해서 진공그라우팅 장비를 이용한 공극부피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산정한 공극부피는
식(3)에 나타난 보일-샤를 법칙을 활용한 이론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상세한 공극부피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Fig. 4(b)에 나타낸 부피를 알고 있는 진공탱크($V_{1}$)를 대기압 상태인 수직관과 차단한 상태에서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진공압력($P_{1}$) 상태로
감압시킨다. 두 번째로 수직관과 진공 탱크의 연결밸브를 개방시키면 수직관 내부의 압력은 떨어지고 진공 탱크 내부의 압력은 상승하여 서로 압력이 같아진다.
이때 같아진 압력($P_{3}$)를 측정하여 보일-샤를 법칙에 대입하면 공극부피를 구할 수 있다. 이 수치를 이미 알고 있는 수직관의 부피와 비교한다.
초기 진공압력에 따른 측정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Table 5와 같이 실험하였다.
5. 진공그라우팅 실험 결과
5.1 물 주입 실험
초기 수직관 내부 진공압력별 압력 차에 의한 물의 주입량과 Table 4의 이론값을 비교하여 Table 6에 나타내었다. 진공 주입량 평균은 -0.09 MPa에서 910 mm, -0.06 MPa에서 618 mm, -0.03 MPa에서 326 mm로 이론값에
대한 오차율은 각각 +7.6 %, +9.6 %, +15.5 %이었다.
Table 6. Test result for vacuum injection - water
Case
|
Gage pressure (MPa)
|
Quantity (mm)
|
(Avg-theory)
/theory
(%)
|
test1
|
test2
|
test3
|
Avg.
|
W9
|
-0.09
|
912
|
910
|
909
|
910
|
+7.6
|
W6
|
-0.06
|
620
|
620
|
615
|
618
|
+9.6
|
W3
|
-0.03
|
330
|
330
|
317
|
326
|
+15.5
|
W0
|
0
|
0
|
0
|
0
|
0
|
0
|
Table 7. Test result for pumping injection - water
Case
|
Gage pressure
(MPa)
|
Quantity (mm)
|
(Avg-theory)
/theory
(%)
|
test1
|
test2
|
test3
|
Avg.
|
W9
|
0.1
|
940
|
940
|
940
|
940
|
+5.3
|
W6
|
785
|
779
|
755
|
773
|
+2.8
|
W3
|
601
|
608
|
597
|
602
|
-1.5
|
W0
|
431
|
440
|
415
|
429
|
-8.8
|
가압 주입압력은 예비실험을 통해 W9의 경우가 100 % 채워지는 조건인 게이지압력 0.1 MPa(절대압력 0.2 MPa)로 결정하였다. 최종 주입량은
Table 7에 나타내었다.
동일한 압력(0.10 MPa)으로 가압하는 조건에서 초기 진공압력별 주입량을 측정 분석한 결과 이론값과의 오차율은 +5.3 %, +2.8 %, -1.5
%, -8.8 %로 정확도가 높았다.
수직관 내부 압력에 따른 물 주입량의 비교 사진과 상관관계 그래프를 Table 8과 Fig. 6에 나타내었다.
Table 8. Comparison of water filling by vacuum pressure
Pressure
|
Gage pressure of PVC pipe (MPa)
|
-0.09
|
-0.06
|
-0.03
|
0
|
0 MPa
(Vacuum)
|
|
|
|
|
0.1 MPa
(Pumping)
|
|
|
|
|
Fig. 6. Test result for quantity of water and pressure
5.2 그라우트 주입 실험
초기 수직관 내부 진공압력별 압력차에 의한 그라우트의 주입량과 Table 4의 이론값을 비교하여 Table 9에 나타내었다. 진공 주입량 평균은 -0.09 MPa에서 902 mm, -0.06 MPa에서 547 mm, -0.03 MPa에서 2,756 mm로
이론값에 대한 오차율은 각각 +6.6 %, -3.0 %, -2.6 %이었다.
가압 주입압력은 예비실험을 통해 G9의 경우 100 % 채워지는 조건인 게이지압력 0.15 MPa(절대압력 0.25 MPa)로 결정하였다. 최종 주입량은
Table 10에 나타내었다.
동일한 압력(0.15 MPa)으로 가압하는 조건에서 초기 진공압력별 주입량을 측정 분석한 결과 이론값과의 오차율은 +4.2 %, -2.0 %, -12.1
%, -18.2 %이었다.
수직관 내부 압력에 따른 그라우트 주입량의 비교 사진과 상관관계 그래프를 Table 11과 Fig. 7에 나타내었다.
Table 9. Test result for vacuum injection - grout
Case
|
Gage pressure (MPa)
|
Quantity (mm)
|
(Avg-theory)
/theory
(%)
|
test1
|
test2
|
test3
|
Avg.
|
G9
|
-0.09
|
902
|
898
|
905
|
902
|
+6.6
|
G6
|
-0.06
|
554
|
530
|
558
|
547
|
-3.0
|
G3
|
-0.03
|
269
|
286
|
269
|
275
|
-2.6
|
G0
|
0
|
0
|
0
|
0
|
0
|
|
Table 10. Test result for pumping injection - grout
Case
|
Gage pressure (MPa)
|
Quantity (mm)
|
(Avg-theory)
/theory
(%)
|
test1
|
test2
|
test3
|
Avg.
|
G9
|
0.15
|
940
|
940
|
940
|
940
|
+4.2
|
G6
|
790
|
770
|
762
|
774
|
-2.0
|
G3
|
623
|
577
|
585
|
595
|
-12.1
|
G0
|
452
|
447
|
485
|
461
|
-18.2
|
Table 11. Comparison of grout filling by vacuum pressure
Pressure
|
Gage pressure of PVC pipe (MPa)
|
-0.09
|
-0.06
|
-0.03
|
0
|
0 MPa
(Vacuum)
|
|
|
|
|
0.15 MPa
(Pumping)
|
|
|
|
|
Fig. 7. Test result for quantity of grout and pressure
5.3 공극부피 측정 평가
진공탱크의 초기압력($P_{1}$)과 온도($T_{1}$), 수직관 내부의 압력($P_{2}$)과 온도($T_{2}$), 그리고 최종 진공탱크의 압력($P_{3}$)과
온도($T_{3}$)는 Table 12에 나타내었다.
진공탱크 내부 진공압력별 측정된 공극부피와 수직관의 부피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13과 Fig. 8에 나타내었다. 초기 진공 탱크 압력이 -0.09 MPa에서는 4.88 L, -0.06 MPa에서는 5.19 L, -0.03 MPa에서는 5.10
L로 측정되었다. 이론값과의 오차율은 +4.1 %, +5.9 %, -0.4 %이었다.
Table 12. Pressure and temperature of pipe and vacuum tank
Case
|
Gage pressure of vacuum tank (MPa) $P_{1}$
|
Temperature
(°C)
|
Gage pressure
(MPa)
|
$T_{1}$
|
$T_{2}$
|
$T_{3}$
|
$P_{2}$
|
$P_{3}$
|
L3
|
-0.03
|
15
|
15
|
15
|
0.1
|
0.07
|
L6
|
-0.06
|
15
|
15
|
15
|
0.1
|
0.04
|
L9
|
-0.09
|
15
|
15
|
15
|
0.1
|
0.01
|
Table 13. Results for void volume
Case
|
Vertical pipe volume (L)
①
|
Measurement volume (L)
②
|
Gap of volume
(②-①)
|
Accuracy (%)
(②/①)
|
L3
|
4.9
|
4.88
|
0.02
|
99.6
|
L6
|
5.19
|
0.29
|
105.9
|
L9
|
5.10
|
0.20
|
104.1
|
Fig. 8. Comparison of void volume
6. 결 론
진공그라우팅의 효과를 보기 위한 밀폐된 수직관의 진공그라우팅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진공그라우팅의 진공 주입방법으로 주입된 물과 그라우트량은 보일의 법칙에 의한 이론값보다 조금 많았다. 이는 물과 그라우트 내부에 공기가 갇혀
있어 그런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기 진공압력이 높을수록(W9, G9) 정확도와 정밀도가 높아, 이를 보일의 법칙에 대입하면 진공압력과
주입량의 상관관계식으로 주입량을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2) 가압 주입방법과 병행하여 주입한 결과, 물과 그라우트의 충실률은 초기 진공압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초기 진공압력을
-0.09 MPa으로 하고 추가 가압을 0.1(물), 0.15 MPa(그라우트 재료) 한 경우 밀실하게 주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 진공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한 공극부피는 이론값과 거의 일치하였으며, 초기 진공압력에 따른 이론값과의 오차도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따라서 진공탱크의
공극부피의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수직관 실험을 기초로 하여 실제 구조물의 규모와 선형(수평, 곡선)에 대해 진공그라우팅 방법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사업(과제번호 19TBIP-C124995-03 과제명: PSC 교량의 진공그라우팅 시스템개발)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Dickes G., 2008, Vacuum Grouting Repairs for Existing Post- Tensioned Structures and
New Construction, In 2008 PCI Convention, 26-29 Octorber 2008. Scottsdale, Arizona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DOT) , 2002, New Directions for Florida Post-Tensioned
Bridges. Corven Engineering, Inc., Tallahassee, Florida; Final Report Volume 1 of
10, Vol. 1
Hartt W. H., Venugopalan S., 2002, Corrosion Evaluation of Post-Tensioned Tendons
on the Mid Bay Bridge in Destin, Florida (Final Report),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search Center, Tallahassee, Florida, pp. 1-50
Hwang S. P., Jeoung J. H., 2015, Current Study Conditions for Manufacturing of Compact
Grout Mixer, Academic Presentation Conference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In Korean), pp. 274-278
In S. R., 2013, Basic Theory of Vacuum Technology, Technical Reviews, The Korean Vacuum
Society, 18 Feb 2013
Kim K. H., Youn S. B., Youn S. G., 2019, Corrosion of Post-Tensioned Tendons and Technology
of grouting,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Vol. 31, No. 4,
pp. 18-23
Koh K. T., Park Y. H., Ryu G. S., Ahn K. H., 2016, Analysis and Future Improvements
for Grout Problems of PSC Bridges in Korea, Proceeding of KCI Committee 105 in KCI
2016 Spring Conference. 11-13 May 2016. Yeosu,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KCI-M-16-009 (In Korean), pp. 39-51
Koh K. T., Park Y. H., Ryu G. S., Ahn K. H., Kim B. W., Park C. J., 2015, Development
of Void Zero Grouting Technologies for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No. KICT 2015-190),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In Korean)
Koh K. T., Ryu G. S., Ahn K. H., 2017, Effects of Chemical Admixtur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t for Prestressed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 Institute. (In Korean), Vol. 5, No. 1, pp. 68-75
Lee S. K., Zielske J., 2014, An FHWA Special Study: Post- Tensioning Tendon Grout
Chloride Threshold (FHWA-HRT-14-039), Office of Infrastruc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Fedaral Highway Administration, Pike Mclean, VA, pp. 1-181
Roy J. V., 2017, Dossier: the 28 ‘crumble-bridges’ of Flanders, New mobility news,
17 May. https://newmobility.news/2017/05/17/dossier-28-crumble-bridges-flanders/.
Accessed 15 July 201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 2017, Report of Establishment of maintenance
plan for tension material of PSC box girder bridge in Seoul, (In Korean)
Shin K. J., Lee M. H., Jang S.Y., Lee K. M., 2007, Bleed Test Methods for Grouting
of PSC Structures, KSCE Annual Conference 2007, 12. Oct. 2007, Deagu, Korea; 2306-2309.
(In Korean)
Terada Y., 2016, A Study on Maintenance Management of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Focusing on the State of PC Grout Filling, Ph.D. Thesis. Kyoto University
VSL Intnational Ltd. , 2002, Grouting of Post-Tensioning Tendons, VSL Report Series
5, Lyssach, Switzerland, pp. 4-43
Woodward R. J., 1981, Conditions within Ducts in Post-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Transport and Road Research Laboratory (TRRL), Berkshire, UK.
Youn S. G., 2013, Experimental Evaluation for Ultimate Flexural Behaviors of PSC Beams
with A Corroded Tend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In Korean),
Vol. 33, No. 3, pp. 843-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