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인천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22012, Rep. of Korea)
  2.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교수 (Professor, Division of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22012, Rep. of Korea)



고강도 재료, 압축부재, 겹침이음, 이음강도
high-strength material, compression member, lap splice, splice strength

1. 서 론

고강도 철근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단면 크기와 철근 물량을 줄여 건설공사 경제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2012년 개정된 콘크리트구조기준(KCI 2012)(10)에서는 주철근으로 SD600 사용을 허용하였고, 2019년 발간된 ACI 318(2019)(1)에서는 주철근 설계기준항복강도 상한을 690 MPa로 높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고강도 재료의 개발이 지속해서 이루어져 조만간 SD700 철근의 설계기준 반영이 예상된다.

많은 건설공사에서 압축을 받는 철근의 이음으로 겹침이음을 사용한다.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11) 8.6.3에서는 압축철근의 겹침이음길이 설계에 식(1)을 사용하고, 설계기준항복강도 600 MPa까지 적용한다.

(1)
$l_{s}=\left(\dfrac{1.4f_{y}}{\lambda\sqrt{f_{ck}}}-52\right)d_{b}$

여기서, $l_{s}$는 압축철근의 겹침이음길이로 $f_{y}$가 400 MPa 이하인 경우 식(1)과 0.072$f_{y}d_{b}$ 중 작은 값보다 커야 하고, $f_{y}$가 400 MPa을 초과하는 경우 식(1)과 (0.13$f_{y}$-24)$d_{b}$ 중 작은 값보다 커야 한다. 이때 겹침이음길이는 300 mm 이상이어야 하며,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1 MPa 미만인 경우는 겹침이음길이를 1/3 증가시켜야 한다. 압축철근의 겹침이음길이는 인장철근의 겹침이음길이보다 길 필요는 없다.

ACI 318-19 22.5.5에서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에 따라 압축철근의 겹침이음길이를 3가지 구분하여 식(2)로 산정하고, 설계기준항복강도 690 MPa까지 적용한다.

(2)
$$\begin{aligned} l_{s} &=\max \left[0.072 f_{y} d_{b}, 300 \mathrm{mm}\right] \text { for } f_{y} \leq 420 \mathrm{MPa} \\ &=\max \left[\left(0.13 f_{y}-24\right) d_{b}, 300 \mathrm{mm}\right] \\ &=\max \left[\left(0.13 f_{y}-24\right) d_{b}, l_{s t}\right] \text { for } 550 \mathrm{MPa}<f_{y} \end{aligned}$$

여기서, $l_{st}$는 인장철근의 겹침이음길이로 ACI 318-19 25.5.2.1에 따라 산정하고,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1 MPa 미만인 경우는 겹침이음길이를 1/3 증가시켜야 한다.

철근 겹침이음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Pfister and Mattock 1963; Cairns 1985; Chun et al. 2009a, 2009b, 2011)(5,6-8,16)는 SD400과 SD500 철근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압축을 받는 SD600과 SD700 겹침이음 철근에 식(1) 또는 (2)를 적용할 수 있을지 실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철근은 고강도 콘크리트와 함께 사용된다. 철근의 탄성계수는 강도와 무관하게 일정하므로, 철근 강도가 높아질수록 항복응력에 대응하는 변형률은 증가하는 반면에 콘크리트의 극한변형률은 강도에 따라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강도 철근의 항복응력이 발현되기 전에 콘크리트의 압괴가 선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ACI 318-19(ACI 2019)(1) 22.4.2.1에서는 축하중을 받는 부재의 설계 압축강도 산정 시 주철근의 최대 압축응력을 550 MPa로 제한하고 있다. 반면에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11)에서는 압축부재 설계축강도 산정에서 주철근 응력의 제한을 규정하지 않고 철근의 설계항복강도를 사용한다.

고강도 재료의 역학적 특성이 저강도나 일반강도 재료특성과 다르고, 실제 부재의 거동에서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실험적 검증을 통해 적절한 설계제한사항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SD700 D22 철근과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둥으로 겹침이음 실험을 수행하였다. 중심압축실험을 통해 압축을 받는 SD700 D22 철근의 겹침이음 성능을 평가하고 겹침이음으로 발현할 수 있는 최대이음강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2. 고강도 재료의 특성

2.1 고강도 철근의 특성

ACI 439.6R-19에서 보고된 철근의 강도별 응력-변형률곡선을 Fig. 1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강도가 높을수록 항복마루가 짧아지고, 특정 강도 이상에서는 뚜렷한 항복구간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고강도화 될수록 철근의 파단변형률이 감소하였다.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11)과 ACI 318-19(2019)(1)에서는 철근의 실제 항복강도를 0.2 % 옵셋방법으로 결정한다. 고강도 철근에서는 항복점이 불명확하므로, 0.2 % 옵셋으로 산정된 항복강도에 대응하는 변형률은 $f_{y}/E_{s}$로 산정한 변형률보다 상당히 크다.

Fig. 1. Comparison of typical stress-strain curves for ASTM A615/A615M and ASTM A1035/A1035M (CS) reinforcing bars (ACI 439.6R 2019)(4)

../../Resources/kci/JKCI.2020.32.4.325/fig1.png

Fig. 2. Concrete and steel stress-strain curves (ACI 363R 2010)(2)

../../Resources/kci/JKCI.2020.32.4.325/fig2.png

2.2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

ACI 363R(2010)(2)에 보고된 강도별 콘크리트 응력-변형률 곡선을 Fig. 2에 나타내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응력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최대응력에 도달하고, 저강도 콘크리트보다 최대응력점 이후 급격히 응력이 감소한다. 또한, ACI 363R(2010)(2)에 따르면, 고강도 콘크리트는 저강도 콘크리트보다 피복 콘크리트가 조기 탈락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코어 콘크리트와 피복 콘크리트의 경계면에 건조수축 속도 차로 인한 인장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철근은 콘크리트 피복을 통해 부착응력이 발현되므로 피복 콘크리트가 조기 탈락되면 이음강도 발현에 불리하다. 이러한 고강도 재료의 특성으로 일반강도 재료에서 개발된 압축이음길이 설계식은 고강도 철근에 대해 안전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할 수 있다.

3. 실험계획

3.1 실험변수 설정

압축 겹침이음에 관한 Chun et al.(2009a, 2009b)(6,7)의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압축이음강도의 영향인자 중 콘크리트 압축강도, 이음길이, 횡보강철근의 영향을 실험변수로 설정하였다. 이음철근은 SD700 D22 철근을 사용하였고, 콘크리트 설계강도는 60, 80, 90 MPa으로 설계하였다. 이음길이는 철근 지름의 20배, 25배, 30배로 설정하고, 콘크리트강도별 이음길이가 철근 지름의 20배인 실험체를 대상으로 이음구간에 횡보강철근을 배근한 실험체를 추가 제작하였다. 실험체 종류는 12개이고, 동일 실험체를 2개씩 제작하여 총 24개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3.2 실험체 설계

Fig. 3(a), 3(b)에 실험체상세도를 나타내었다. 한 실험체에는 4쌍의 이음을 갖고, 좌우상하 대칭으로 설계하였다. Fig. 3(b)에 표시한 수평균열(expected failure line)과 같이 이음 철근 사이에 쪼갬파괴가 발생하도록 예상 파괴면과 직각방향으로 충분한 피복두께(2.5$d_{b}$)와 이음철근 사이 간격(5$d_{b}$)을 확보하였다. 이음구간에 횡보강철근을 배근한 실험체는 횡보강 실험체, 이음길이에 횡보강철근을 배근하지 않은 실험체는 무보강 실험체로 명명하였다. 횡보강철근은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11)에서 요구하는 횡보강철근의 최소지름 D10 철근을 사용하였다. 횡보강 실험체는 이음길이가 철근 지름의 20배인 실험체만을 대상으로 철근 이음구간에 횡보강철근을 100 mm 간격으로 배근하였다. 기둥 실험체에 작용하는 하중이 철근에 직접 작용하도록 실험체 양단부에 두께 20 mm 강판을 두고, 강판에 커플러를 용접한 후 나사 가공된 철근을 커플러와 체결하였다. 또한, 양 단부를 이음부 단면보다 크게 하여 단부에서 국부적인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Fig. 3. Details of unconfined specimen and test setup

../../Resources/kci/JKCI.2020.32.4.325/fig3.png

3.3 가력 및 계측방법

콘크리트와 철근에 함께 압축력을 가하고, 단면의 중심을 가력하는 중심압축실험방법을 채택하였다. 가력장치도는 Fig. 3(c)에 나타내었다. 10,000 kN 용량의 유압장비를 이용하여 하중제어로 실험체에 정적 압축력을 가하였다. 가력속도는 KS B 0802(KATS 2008)(12)에 따라 철근의 응력변화율 3 MPa/sec를 표준으로 가력하였다. 실험체에 작용하는 하중은 유압장비에 가해지는 압력을 계측하여 하중으로 환산하였다. 철근에 발현된 응력과 부착 및 지압의 기여를 분석하기 위해 철근변형률게이지를 부착하였다. 실험체별 총 8가닥 이음철근 중 Fig. 3(a)와 3(b)에 •으로 표시된 3개(S1, S2, S3) 철근에만 철근 변형률게이지를 부착하고, 개별 철근에서 게이지 위치는 철근 마구리부터 0.5$d_{b}$(11 mm) 떨어진 지점과 겹침이음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이음구간 밖으로 2$d_{b}$(44 mm) 떨어진 지점 2개소에 부착하였다. 실험 중 의도하지 않은 철근 휨에 따른 변형률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게이지가 부착된 각 위치에는 양면으로 2개씩 게이지를 부착하여 측정된 변형률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4. 실험결과

4.1 재료실험결과

이음된 D22 철근의 인장시험결과, 항복강도는 736 MPa, 인장강도는 830 MPa, 탄성계수는 189,200 MPa로 계측되었으며, 항복강도 발현 시점의 변형률은 3,888 µmm/mm이다. D22 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은 Fig. 4(a)에 나타내었다. 항복점이 불분명하고 항복마루가 거의 없는 고강도 철근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였다. 실험일에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체별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Table 1에 정리하였고, 대표 응력-변형률곡선을 Fig. 4(b)에 나타내었다. 설계강도 60, 80, 90 MPa 콘크리트의 압축파괴 시 콘크리트의 최대변형률의 평균은 각각 3,327, 3,125, 3,410 µmm/mm이다.

Table 1. Test results and comparisons with existing models and design codes

../../Resources/kci/JKCI.2020.32.4.325/tbl1.png

4.2 파괴유형

실험체의 대표적인 파괴 사진을 Fig. 5에 나타내었다. 모든 실험체는 Fig. 5(a)와 같이 일순간에 폭발적으로 파괴하였다. 콘크리트 압괴가 발생하고 순간적으로 부착이 상실되면서 철근 주변 피복 콘크리트가 파열되었다.

Fig. 5(b)와 5(c)에는 각각 무보강 실험체와 횡보강 실험체의 대표적인 파괴 사진을 나타내었다. 무보강 실험체는 부착과 지압 때문에 발생하는 횡방향 인장응력에 의해 Fig. 5(b)와 같이 이음구간 콘크리트 피복이 대부분 탈락하고, 실험체 중심부까지 손상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횡보강 실험체는, Fig. 5(c)와 같이 상대적으로 피복의 탈락이 적고 코어 콘크리트가 건재했다. 일부 실험체는 특정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Fig. 5(d)와 같이 국부적인 손상으로 편심파괴가 발생하였다. 편심파괴는 이 연구에서 의도하지 않은 파괴양상이므로 결과분석에서 제외하였다.

Fig. 4. Strain-stress relations of materials

../../Resources/kci/JKCI.2020.32.4.325/fig4.png

Fig. 5. Typical failures of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4.325/fig5.png

4.3 이음강도

이음구간 밖 2$d_{b}$ 위치에서 계측된 철근의 변형률과 재료시험에서 얻은 철근 탄성계수를 이용하여 이음강도를 산정하였다. Fig. 6에는 대표 실험체의 하중-철근변형률 곡선을 나타내었다. 3.3절 설명과 같이 주철근 한 가닥의 단부와 이음구간이 끝나는 지점에서 변형률을 측정하여 단부지압과 이음강도를 산정하였다. 기둥의 파괴는 취약한 부분에서부터 파괴가 시작되어 연쇄적으로 진전되기 때문에 각 철근의 최대변형률 발현 시점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 철근의 최대변형률을 이용해 이음강도를 산정하면 이음강도가 과대평가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철근에서 계측된 변형률과 철근의 탄성계수를 이용하여 철근응력을 산정하고, 철근 3가닥의 평균응력이 최대가 되는 시점에서 각 철근의 철근응력을 이음강도로 결정하였다. 철근의 항복점은 Fig. 4(a)와 같이 불분명하고 항복이전부터 비선형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철근의 탄성계수는 계측된 응력-변형률 관계를 3선형거동으로 가정하여 산정하였다. Table 1에 실험체별 이음강도를 정리하였다. 계측된 이음강도를 선행연구 Chun et al.(2011)(8)식(3)과 Cairns(1985)(5)식(4)로 평가하여 Table 1에 나타내었다.

(3)
$f_{sc,\:Chun}=\left[\left(11.1+1.7\dfrac{K_{tr}}{d_{b}}\right)\sqrt{\dfrac{l_{s}}{d_{b}}}+16.5+1.7\delta\right]\sqrt{f_{ck}}$

(4)
$f_{sc,\:C}=\left(1.4\dfrac{l_{s}}{d_{b}}+29.4+0.32\dfrac{A_{tr}f_{yt}l_{s}}{s_{tr}d_{b}^{2}n}\right)\sqrt{f_{ck}}$

여기서, $f_{sc,\:Chun}$와 $f_{sc,\:C}$는 각각 Chun et al.(2011)(8)와 Cairns (1985)(5)의 압축을 받는 겹침이음 철근의 예상이음강도(MPa)이고, $K_{tr}= 40A_{tr}/s_{tr}n$, $A_{tr}$은 쪼갬 파괴면에 걸쳐진 횡보강철근의 단면적(mm2), $s_{tr}$은 횡보강철근의 배근 간격(mm), $n$은 쪼갬 파괴면에 걸쳐진 이음철근의 수, 이음구간에 횡보강철근이 배근된 경우 $\delta$=1, 그렇지 않은 경우 $\delta$=1이다.

식(3)식(4)에 따른 [실험값]/[예측값] 비의 평균은 각각 0.88, 0.94, 변동계수는 10 %, 17 %로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이음길이가 길수록 실험값을 과대평가하였다. 식(3)(4)는, 이음된 철근 주변 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에 도달하기 전에 이음부에서 발생하는 횡방향 인장응력으로 피복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이음파괴를 근거로 개발되었다.

Fig. 6. Strain-load relations of typical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4.325/fig6.png

Fig. 7. Bar stresses

../../Resources/kci/JKCI.2020.32.4.325/fig7.png

재료실험에서 D22 철근의 항복변형률은 3,888 µmm/mm로 산정되었다. Fig. 6은 60 MPa 콘크리트로 제작된 대표 실험체의 하중–철근변형률 곡선이다. 철근변형률이 콘크리트의 극한변형률(3,327 µmm/mm) 근처에 도달했을 때 실험체가 파괴되어 철근은 항복변형률에 도달하지 못했다. 따라서 실험체의 최종파괴는 콘크리트 압축파괴로 정의할 수 있다. 선행연구의 이음강도 산정식 식(3)(4)는 예측하는 파괴양상이 다르므로 예상값이 실험결과를 과대평가하였다.

Fig. 7에는 실험변수에 따른 이음강도를 나타내었다. Fig. 7(a),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보강 실험체는 콘크리트 강도와 이음길이가 증가하여도 이음강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이음구간에 배근된 횡보강철근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횡보강 실험체와 동일 조건의 무보강 실험체와 비교하여 Fig. 7(c)에 나타내었다. 횡보강 실험체의 이음강도가 무보강 실험체의 이음강도보다 8.9 %에서 13.6 %, 평균 11.3 % 증진하였다. 횡보강철근의 구속효과로 코어 콘크리트의 연성 및 강도를 증진시켜 콘크리트 압축파괴강도가 증가하였다.

4.4 지압에 의해 발현된 강도

철근 마구리에서 0.5$d_{b}$ 떨어진 지점에서 계측된 변형률을 이용해 지압에 의해 발현된 철근 응력(이하 지압강도)을 산정하여 Table 1에 정리하였다. 지압강도는 이음강도의 20~46 %로 발현되었다.

지압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hun et al.(2011)(8)의 지압강도 산정식 식(5)로 예측한 값과 비교하여 Table 1에 정리하였다.

(5)
$f_{brg,\:Chun}=(16.5+1.7\delta)\sqrt{f_{ck}}$

여기서, $f_{brg,\:Chun}$은 Chun et al.(2011)(8)의 압축이음 예상지압강도(MPa)이다.

식(5)를 이용한 [실험값]/[예측값] 비의 평균은 1.26, 변동계수는 10 %로 식(5)는 실험값을 과소평가하였다. 식(5)의 배경이 되는 연구(Chun et al. 2011)(8)에서 지압은 이음길이와 무관하게 최대강도를 발현한 뒤 일정한 값을 유지한 후 부착이 최대강도에 이르러 파괴를 지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압축에 의해 실험체 파괴가 지배되면서 부착이 최대강도에 이르기 전에 콘크리트 압축변형률이 극한변형률까지 이르렀다. 이때 철근의 단부도 주변 콘크리트와 함께 변형하여 높은 지압강도가 발현된 것으로 판단된다.

4.5 부착에 의해 발현된 강도

부착으로 발현된 철근응력(이하 부착강도)은 이음강도에서 지압강도를 감하여 산정하였다. 실험체별 부착강도를 Table 1에 정리하였다. 이음강도의 54~80 %가 부착강도로 발현되었다.

부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Chun et al.(2011)(8)의 압축이음강도 산정식 식(6)과 Orangun et al.(1977)(15) 및 ACI 408(2003)(3)의 인장이음강도 산정식 식(7), (8)과 비교하여 Table 1에 나타내었다.

(6)
$f_{b,\:Chun}=\left[\left(11.1+1.7\dfrac{K_{tr}}{d_{b}}\sqrt{\dfrac{l_{s}}{d_{b}}}\right)\right]\sqrt{f_{ck}}$

(7)
$f_{b,\:O}=\left[\left(0.40+\dfrac{c}{d_{b}}\right)\dfrac{l_{s}}{d_{b}}+16.6+0.10\dfrac{A_{tr}f_{yt}l_{s}}{s_{tr}d_{b}^{2}n}\right]\sqrt{f_{ck}}$

(8)
$f_{b,\:408}=\left[1.82\dfrac{l_{s}}{d_{b}}\left(\dfrac{c_{\min}}{d_{b}}+0.5\right)+57.4\right]\left(0.1\dfrac{c_{\max}}{c_{\min}}+0.9\right)\sqrt(4){f_{ck}}$

여기서, $f_{b,\:Chun}$는 Chun et al.(2011)(8)의 압축이음 부착강도(MPa)이고, $f_{b,\:O}$(Orangun et al. 1977)(15), $f_{b,\:408}$(ACI 2003)은 인장이음의 예상부착강도(MPa), $c=\min(c_{c,\:}c_{si})$, $c_{c}$는 순피복 두께, $c_{si}$는 철근 순간격이다.

부착강도 예측식 모두 실험값을 과대평가하였다. 압축이음에 관한 Chun et al.(2009a, 2009b)(6,7) 연구에서 지압강도는 이음길이의 영향을 받지 않고 특정 콘크리트강도에서 일정한 값을 갖는다. 선행연구에서는 지압강도가 일정한 값에 수렴한 이후에 부착에 의한 철근응력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파괴가 발생한다. 반면에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압축파괴가 발생하여, 이음구간에서 부착에 의한 철근응력이 충분히 발현될 수 없었다. 전체 철근응력에 대한 부착의 기여가 선행연구의 실험결과보다 작고, 부착강도가 낮게 발현되었다.

5. 겹침이음 최대이음강도

5.1 압축을 받는 철근 겹침이음의 이음강도상한

콘크리트강도와 이음길이가 증가하여도 철근응력이 더는 증가하지 않는 현상을 반영하기 위해 압축을 받는 철근 겹침이음의 상한이 필요하다. 압축이음에 관한 선행연구 Pfister and Mattock(1963)(16), Chun et al.(2009a, 2009b)(6,7), Chun et al.(2011)(8)의 실험결과와 이 연구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총 167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자료를 횡보강철근 유무를 기준으로 무보강 실험체와 횡보강 실험체로 나눈 후, 콘크리트강도 또는 이음길이가 증가하여도 철근응력이 향상되지 않는 데이터의 평균을 구한 결과, 무보강 실험체와 횡보강 실험체 각각 557 MPa, 620 MPa였다. 이 평균은 압축을 받는 겹침이음의 상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음구간에 횡보강철근을 배근함으로써 횡구속효과에 의해 11.3 % 높은 이음강도가 발현되었다.

Fig. 8. Bar stresses of splice bars with varying splice length

../../Resources/kci/JKCI.2020.32.4.325/fig8_1.png

../../Resources/kci/JKCI.2020.32.4.325/fig8_2.png

수집된 167개 실험결과를 식(3)에 이음강도 상한을 적용하여 평가한 결과, [실험값]/[예측값] 비의 평균은 1.01, 변동계수는 10.0 %로 정밀하게 예측하였다. 철근 설계기준강도 관리(KATS 2019, ISO 2019)(9,13)에 적용되는 5 % 분위수(Natrella 1966)(14) 안전율을 적용하여 압축이음강도 상한의 설계값을 산정하면, 무보강 실험체와 횡보강 실험체 각각 462 MPa, 514 MPa이 된다. 설계 상한값을 포함한 압축을 받는 겹침이음 철근의 설계이음강도 평가식은 식(9)로 된다.

(9)
$$\begin{aligned} f_{p, d}=0.82 &\left[\left(11.1+1.7 \frac{I_{t r}}{d_{b}} \sqrt{\frac{l_{s}}{d_{b}}}\right)+16.5+1.7 \delta\right] \sqrt{f_{c k}} \\ & \leq 462 \mathrm{MPa}, I_{t r}=0 \\ & \leq 514 \mathrm{MPa}, I_{t r} \neq 0 \end{aligned}$$

여기서, $f_{p,\:d}$는 Chun et al.(2011)(8)의 5 % 분위수 안전율을 갖는 설계압축이음강도(MPa)이다.

겹침이음길이를 변수로 실험값과 이음강도 상한값을 추가한 식(3)식(9)로 산정된 이음강도를 Fig. 8에 나타내었다. 콘크리트 강도는 실험체별로 다르므로, 4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식(3)식(9)에는 그룹별 평균값을 대입하여 표현하였다. 이음강도의 상한을 포함한 식(3)은 실험값의 평균을 매우 정확히 예측하였다. 또한, 167개 데이터 중 2개만이 식(9)를 하회하여, 식(9)는 설계식으로 충분히 안전하였다.

6. 결 론

고강도 건설재료에 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SD700 철근의 실용화 기대가 높다. 하지만 고강도 재료는 일반강도 재료와 역학적 특성이 다르므로 상용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에 대한 실험적 검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60, 80, 90 MPa 고강도 콘크리트와 이음길이 20$d_{b}$, 25$d_{b}$, 30$d_{b}$로 겹침이음된 SD700 철근으로 제작된 기둥의 중심압축실험을 통해, 압축을 받는 고강도 철근의 겹침이음 성능과 거동특성을 살펴보고 압축을 받는 겹침이음의 상한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부분 실험체의 철근변형률이 항복변형률에 도달하기 전에 콘크리트가 먼저 극한변형률에 도달하여 최종적으로 기둥 콘크리트압축파괴가 발생하였다.

2) 콘크리트 압축파괴 시 발현된 이음강도는 콘크리트강도와 이음길이에 대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3) 철근의 겹침이음 구간에 횡보강철근을 배근한 실험체는 무보강 실험체보다 8.9 %에서 13.6 % 증가하였다.

4) 이음강도가 증가하지 않는 구간의 실험결과 평균은 무보강 실험체와 횡보강 실험체 각각 557, 620 MPa이다. Chun et al.(2011)(8) 식에 이 평균값을 겹침이음강도의 상한값으로 설정하여 기존 연구와 이 연구결과를 종합한 167개 실험값과 비교한 결과, [실험값]/[예측값] 비의 평균이 1.01, 변동계수 10.0 %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5) 5 % 분위수 안전율을 적용한 무보강 및 횡보강 겹침이음의 이음강도 상한값은 각각 462, 514 MPa이다. 이 값을 상한값으로 설정하여 설계압축이음강도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산업기술혁신사업-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사회 안전 확보를 위한 700 MPa급 철근 활용 내진용 철근콘크리트 개발’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과제번호: 10063488),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CI Committee 318 , 2019,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ACI 318-19) and Commentary (ACI 318R-19),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pp. 488-492Google Search
2 
ACI Committee 363 , 2010, Report on High-Strength Concrete (ACI 363R-10),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pp. 34-38Google Search
3 
ACI Committee 408 , 2003, Building Code Requirement for Structural Concrete (ACI 408R-03) and Commentary,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pp. 3-49Google Search
4 
ACI Committee 439 , 2019, Guide for the Use of ASTM A1035/ A1035M Type CS Grade 100 (690) Steel Bar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439.6R-19),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pp. 3-4, 15Google Search
5 
Cairns J., 1985, Strength of Compression Splices: A Reevaluation of Test Data, ACI Journal Proceedings, Vol. 82, No. 4, pp. 510-516Google Search
6 
Chun S. C., Lee S. H., Oh B. H., 2009a, Behavior and Capacity of Compression Lap Splice in Unconfined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40 and 60 MPa,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Vol. 21, No. 3, pp. 291-302DOI
7 
Chun S. C., Lee S. H., Oh B. H., 2009b, Behavior and Capacity of Compression Lap Splice in Confined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40 and 60 MPa,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Vol. 21, No. 4, pp. 389-400DOI
8 
Chun S. C., Lee S. H., Oh B. H., 2011, Design Equations of Compression Splice Strength and Length in Concrete of 100 MPa and Less Compressive Strength,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Vol. 23, No. 2, pp. 211-217DOI
9 
SO/TC 17/SC 16 , 2019, Steel for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 Part 2: Ribbed Bars (ISO 6935-2:2019), Geneva, Switzerl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pp. 1-25Google Search
10 
KCI , 2012, Concrete Design Code and Commentary,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Google Search
11 
KCI , 2017, KCI Model Code 2017,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637. (In Korean)Google Search
12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08, Method of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S B 0802),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 pp. 1-7Google Search
13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9, 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KS D 3504),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 pp. 1-31Google Search
14 
Natrella M. G., 1963, Experimental Statistic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Handbook 91, Washington, D.C., pp. 1-562Google Search
15 
Orangun C. O., Jirsa J. O., Breen J. E., 1977, A Reevaluation of Test Data on Development Length and Splices, ACI Structural Journal, Vol. 74, No. 11, pp. 114-209Google Search
16 
Pfister J. F., Mattock A. H., 1963, High Strength Bars as Concrete Reinforcement, Part 5. Lapped Splices in Concentrically Loaded Columns, Research and Development Laboratories, Vol. 5, No. 2, pp. 27-40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