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Yongin 16890, Rep. of Korea )
  2.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Yongin 16890, Rep. of Korea )
  3.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Soongsil University, Seoul 06978, Rep. of Korea )
  4.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heel University, Seoul 02453, Rep. of Korea )
  5. 대림산업 주택설계팀 차장 (Senior Manager, Department of Housing Design, Daelim Industrial Co., Ltd., Seoul 03152, Rep. of Korea )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보이음, 접합부, 휨실험, 합성콘크리트
precast concrete, beam splice, joint, flexural test, composite concrete

1. 서 론

인건비 절감, 공기단축 등을 위하여 국내 건설현장에서 PC(precast concrete) 공법 활용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경우, 주차공간에 맞추어 규격화된 PC 공법의 적용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이 논문에서는 지하주차장을 위한 새로운 구조시스템인 벽지지 T프레임 바닥시스템(bearing wall T-frame floor system, 이하 BTS 공법, Fig. 1 참조)에 사용되는 PC 보 이음접합부의 구조성능을 연구하였다. BTS 공법은 PC 보, PSC 중공슬래브(prestresssed concrete hollow core slabs) 및 현장타설 콘크리트 토핑으로 구성된 PC 바닥구조를 PC 벽으로 지지하는 중력저항구조시스템 공법으로서, 엇갈리게 배치된 PC 벽과 큰 폭을 갖는 PC 보를 사용함으로써 층고와 골조물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생산 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PSC 중공슬래브의 사용을 확대함으로써 전체 지하주차장 공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Fig. 2는 BTS 공법에 사용되는 PC 보 이음상세를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PC 보는 PC 벽 위에서 최소걸침길이 75 mm 이상 확보한 상태로 이음된다는 점에서는 BTS 공법은 일반 PC 공법과 유사하다. 하지만 별도의 받침구조(corbel) 없이 PC 벽 위에서 이음된다는 점에서 기존 공법과 다르다. 또한 경간 내부에 엇갈려 배치된 PC 벽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T자형의 PC 보가 사용되며, 이러한 PC 보는 운송이 가능하도록 중력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0인 지점에 근처에서 이음 접합부를 설치한다. 즉, BTS 공법에서는 경간 내부에도 PC 보의 이음접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특수한 PC 이음부의 접합성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Fig. 2에서 보듯이 BTS 공법에서는 폭이 넓은 PC 보 단면에 홈(groove)을 파내고 그 내부에 철근을 배치한 후 토핑과 함께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PC 보 이음접합부를 보강하였다. 또한 경간 내부에서 이음되는 PC 보 단위 부재들은 댑단부(dapped end) 및 닙단부(nibbed end) 형태로 제작하여 이음부에서 확실한 전단력 전달기구를 확보하였다.

Fig. 1. Precast concrete bearing wall T-frame floor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garage (mock-up)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1.png

Fig. 2. PC beam splice joints in bearing wall T-frame floor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garage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2.png

PC 보 및 댑단부 접합부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다수 연구되었다. Mattock and Chan(1979)(5)은 스트럿-타이 모델(Strut-Tie Model)을 이용한 PC 보 댑단부 설계방법을 연구하였다. 댑단부에 대하여 균열 및 힘 전달 기구에 근거한 스트럿-타이 모델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설계방법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해당 논문에서는 댑단부에 인접하게 배근된 폐쇄형 전단철근은 댑단부에 작용하는 경사압축력의 수직성분 이상을 저항하도록 배근하도록 제시한다. 또한, 니브에 배치된 철근의 정착이 중요하며 이는 압축력을 받는 철근 정착을 따라 설계하여야한다. Nagrodzka-Godycka and Piotrkowski(2012)(6)은 댑단부에서 수직하중만 작용하는 경우와 경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해당 논문의 실험결과, 댑단부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의 50 %에 해당하는 추가 수평력을 가하면 강도가 25 %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하중을 적용하였을 때, 주근의 철근비에 따라 파괴모드가 달리 나타났다. 철근비가 높은 실험체는 주근 및 전단철근의 항복이 모두 발생하였을 때 대부분이 파괴가 발생하였지만, 낮을 경우 전단철근이 항복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파괴가 발생하였다.

국내에서는 PC 보의 홈 내부에 철근 및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채워 접합부의 일체성을 강화하는 형태의 보-기둥 접합 상세가 주로 연구되었다. Kim et al.(2004)(4)은 PC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연구하였다. U 단면 PC 보를 기둥 위에 올린 다음 정모멘트에 저항하는 연결철근을 바닥면에 배치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U 단면 내부 및 보-기둥 조인트를 채움으로써 PC 보-기둥 접합부의 일체성을 확보하였다. 실험 결과, U 단면 PC 보를 사용한 보-기둥 접합부는 강도, 연성 등 내진성능이 우수한 거동을 보였다. PC 보 바닥에 배치한 기둥 관통 철근의 면적이 클수록 강도가 증가하였지만 휨 항복 이후 강도저하가 더 급하게 나타났다. Im et al.(2010)(2)은 매우 얇은 U 단면 PC 보를 사용한 PC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PC 보의 U 단면을 얇게 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둥 내부에서 PC U 단면과 현장타설 콘크리트 사이 일체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유효단면이 줄었고, 그 결과 조인트 영역에는 대각균열이 발생하고 전단강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기둥을 관통하는 철근에 부착파괴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주기거동 내내 핀칭 및 슬립이 크게 관찰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BTS 시스템에 사용된 홈이 있는 PC 보 이음부의 구조성능을 조사하였다. 경간 내부의 영(0)모멘트 위치에 설치되는 PC 보 이음부를 포함하는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4점 재하 보 실험을 통하여 이음접합부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보 실험을 통하여 홈의 크기와 배근상세가 PC 보 이음접합부의 파괴모드 및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설계규정에 따른 공칭강도와 실험강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홈이 있는 PC 보 이음부를 위한 설계 및 상세 권고사항을 제안하였다.

2. 실험 계획

휨 실험은 Fig. 2(2)처럼 경간 내부에 설치되는 PC 보 이음부에서 정모멘트가 작용할 때의 거동 및 저항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계획하였다. 경간 내부의 PC 보 이음부는 중력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거의 없는 위치에 설치하므로 원칙적으로 이음부에 요구되는 휨강도는 크지 않다. 하지만, 시공 중 재하되는 시공하중의 불확실성과 가설지주(즉, 잭서포트) 제거 시 예상치 못한 정모멘트가 작용하여 PC 이음부에 수평 유격이 발생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적정한 휨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Fig. 3. Section and reinforcement details of four flexural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3.png

2.1 실험체 상세

홈 길이와 보 단면깊이가 다른 4개의 PC 보 이음부 실험체(600-D22-10U, 600-D22-07$\Omega$, 450-D16-08U 및 450-D16- 05$\Omega$)에 대하여 4점 재하 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 이름에서 600 및 400은 PC 보 실험체의 전체 단면깊이(두께 $h_{tc}$=150 mm인 콘크리트 토핑 포함)를 나타내고, 그 뒤의 D22 및 D16은 홈 내부와 콘크리트 토핑에 사용된 보강철근의 치수를 나타낸다. 10, 08, 07, 05 등은 홈 길이($l_{g}$)가 각각 1,000 mm, 800 mm, 700 mm, 500 mm임을 가리키며, U 및 $\Omega$는 홈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철근의 형태를 가리킨다.

Fig. 3에서 보듯이 PC 보 실험체의 총 길이는 4,800 mm이며, 보 정중앙에서 홈이 있는 이음부에 의해 접합되었다. 접합되기 이전의 PC 보 단위부재는 길이 2,400 mm로 제작하였다. Fig. 3(a)는 큰 중력하중이 작용하는 지하주차장 지붕층 바닥의 보 실험체(전체 단면깊이 600 mm)이며, PC 보 단면의 폭($b$)과 깊이($h_{pc}$)는 각각 1,200 mm와 450 mm(토핑 제외)이다. PC 보 이음부에 사용된 홈의 폭($b_{g}$)과 깊이($h_{g}$)는 각각 700 mm와 250 mm이다. Fig. 3(b)는 상대적으로 작은 중력하중이 작용하는 지하주차장 중간층의 보 실험체(전체 단면깊이 450 mm)이며, PC 보 단면 크기는 $b$×$h_{pc}$=1,200 mm×450 mm이고, 접합부에 사용된 홈의 크기는 $b_{g}$×$h_{g}$=700 mm×150 mm이다. 모든 실험체에서 홈을 제외한 PC 보의 양쪽의 측벽 두께는 $b_{sw}$=250 mm로 동일하다.

Fig. 3에서 보듯이 왼쪽 PC 보는 하부가 150 mm만큼 돌출된 닙단부(nibbed end)로, 오른쪽 PC 보는 상부가 150 mm만큼 돌출된 댑단부(dapped end)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좌우 비대칭의 PC 보 접합상세는 전단력이 댑단부쪽으로부터 닙단부로 전달되는 것을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댑단부와 닙단부의 배근상세는 별도의 스트럿-타이모델 해석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사인장균열 및 전단파괴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배근상세를 결정하였다. 각 실험체의 주철근으로 SD600 D22 및 D16 고강도 철근을 사용하였으며, 자세한 배근상세는 Fig. 3을 참고한다.

Fig. 4는 홈이 있는 PC 보 이음부의 제작 방법을 보여준다. 댑단부와 닙단부를 갖는 PC 보를 맞춘 다음 홈 내부에 U형 또는 역$\Omega$형 철근조립체를 배치하였다. 홈 보강철근으로 사용된 U형 또는 역$\Omega$형 철근조립체는 PC 보의 주철근과 동일한 직경과 강도의 철근(즉, SD600 D22 또는 D16)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상대적으로 짧은 홈 길이에서 정착성능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교차철근을 용접하고 90도 갈고리 상세를 적용하였다. 홈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 경우, 이음부에서 PC 보의 단면 결손이 커지므로 접합성능이 취약해질 위험이 있다. 하지만 홈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홈 내부에 배치된 철근의 정착파괴 또는 부착파괴에 취약할 수 있다. KCI(2017)(3)에 따르면 SD600 D22 철근은 90도 갈고리 정착1) 에 대하여 653 mm, 교차철근 용접2) 정착에 대하여 965 mm의 정착길이가 요구된다. U형 철근을 사용한 600-D22-10U에는 교차철근 용접에 의한 정착을 참고하여 1,000 mm의 홈 길이를 적용하였고, 역$\Omega$형 철근을 사용한 600-D22-07$\Omega$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갈고리 정착을 참고하여 홈 길이 700 mm를 적용하였다. SD600 D16 철근을 사용한 450-D16-08U와 450-D16-05$\Omega$의 경우 각각 800 mm 및 500 mm의 홈 길이를 적용하였다.

Fig. 4. Reinforcement details inside groove at joint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4.png

2.2 제작 및 재료강도

Fig. 5는 실험체 제작 과정을 보여준다. 실험체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PC 부재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작하였다. 홈 모양을 따라 단부를 파낸 거푸집을 제작하고, 거푸집 내부에는 Fig. 3의 배근상세에 따라 PC 보의 철근을 배치하였다. 현장타설 토핑 콘크리트와 접하는 실험체 상부 표면은 6 mm 이상의 요철이 확보되도록 거친 표면을 만들었으며, 홈 바닥의 경우 그 위를 덮은 목재 거푸집 합판에 직경 300 mm의 원형 구멍을 뚫어 합판 두께(=12 mm)만큼 콘크리트가 돌출되어 접합면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Fig. 5(b) 참조). PC 보는 24시간 동안 증기양생을 실시한 후 거푸집을 탈형하였고, 곧이어 홈 및 토핑의 철근공사와 콘크리트공사를 진행하였다.

Fig. 5. Fabrication of PC beam splice joints with groove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5.png

Table 1. Material properties

Type

Strength (MPa)

Concrete

PC beam

$f_{ck}$=21.9

Topping

$f_{ck}$=41.5

Reinforcing steel bars

D10

$f_{y}$=566

$f_{u}$=619

D13

$f_{y}$=531

$f_{u}$=563

D16

$f_{y}$=614

$f_{u}$=669

D22

$f_{y}$=682

$f_{u}$=727

Table 1은 콘크리트 및 철근의 재료강도를 보여준다. 각 재료강도 값은 3개 시편으로부터 구한 재료강도의 평균값이다. PC 보와 토핑(홈 포함)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각각 $f_{ck}$=41.5 MPa 및 21.9 MPa이다. 휨철근으로 사용된 SD600 D16 및 D22 철근의 항복강도는 각각 $f_{y}$=614 MPa 및 682 MPa이었고, 전단철근으로 사용된 SD500 D10 및 D13 철근의 항복강도는 각각 $f_{y}$=566 MPa 및 531 MPa이었다. 재료실험으로 구한 콘크리트와 철근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Fig. 6에 나타냈다.

Fig. 6. Stress-strain relationships of concrete and reinforcing steel bars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6.png

Fig. 7. Test setup for PC beam specimens with splice joints in midspan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7.png

2.3 가력 및 계측

Fig. 7은 보 실험을 위한 세팅을 보여준다. 실험체 상부에 1,000 kN의 가력기를 설치하여 수직하중($P$)을 2점 가력 형태로 재하하였다. 두 가력점 사이의 거리는 400 mm이었고, 가력점과 인접한 핀 지점 사이의 거리(즉, 전단경간)는 $l_{s}$=1,900 mm이었다. 보 이음부는 두 가력점 사이에 모멘트가 일정한 영역에 위치시켰다. 수직하중에 의한 보의 수직처짐($\Delta_{v}$)은 보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변위계($\Delta_{v1}$ 및 $\Delta_{v2}$)를 사용하여 계측하였다.

좌우 PC 보는 댑단부와 닙단부가 단순히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가력 시 수직처짐과 동시에 PC 보 하단에서는 수평방향의 유격(clearance)이 발생한다. 이러한 PC 보 사이의 유격은 변위계($\Delta_{h}$)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측정하였으며, 또한 보 바닥면에서는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수평방향 유격을 측정하였다.

3. 실험 결과

3.1 하중-처짐 관계 및 파괴모드

Fig. 8은 홈을 갖는 PC 보 이음접합부 실험체에 대하여 하중-처짐($P$-$\Delta_{v}$) 관계, 홈 보강철근 변형률-처짐($\varepsilon_{gs}$-$\Delta_{v}$) 관계 및 파괴모드를 보여준다. 하중($P$)는 가력기의 수직하중을 가리키고, $\varepsilon_{gs}$는 홈 내부 보강철근에 부착한 변형률 게이지로부터 측정한 변형률이며, 처짐($\Delta_{v}$)은 경간 중앙에서 계측한 수직처점($\Delta_{v1}$ 및 $\Delta_{v2}$)의 평균값을 나타낸다(Fig. 7 참조). 각 실험체별로 이음된 PC 보 경계의 하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수평유격($\Delta_{h}$, Fig. 7 참조)을 계측하였는데, $\Delta_{h}$-$\Delta_{v}$ 관계는 Fig. 9에 나타냈다.

홈 길이가 1,000 mm인 600-D22-10U는 슬립이 없는 양호한 초기거동을 보였고, $\Delta_{v}$=20 mm에서 홈 철근이 항복변형률($\varepsilon_{y}$=0.00341 mm/mm)에 도달하였다. $\Delta_{v}$=36.4 mm에서 최대강도 $P_{u}$=438 kN에 도달하였고, 이후 강도가 점진적으로 하락하여 $\Delta_{v}$=84 mm에서 토핑 콘크리트의 압축파괴(concrete crushing)로 인한 휨파괴가 발생하였다. 경간 중앙의 PC 보 하단의 수평유격($\Delta_{h}$)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거의 선형으로 증가하여 항복 시점에는 약 $\Delta_{h}$=18 mm가 되었고, 항복 이후에는 $\Delta_{h}$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홈 길이를 700 mm로 줄인 600-D22-07$\Omega$의 경우, 초기 거동은 600-D22-10U와 유사하였지만 최대하중($P_{u}$=269 kN)은 심하게 감소하였고, 이후 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취성거동을 보였다. 홈 및 토핑 콘크리토핑부에는 PC 보 접합부 상단에서 시작하는 휨균열이 토핑부의 휨철근과 만나면서 수평방향으로 발전하는 부착쪼갬균열(bond splitting cracks)이 다수 관찰되었다. 특히 홈 철근의 변형률은 모두 항복변형률($\varepsilon_{y}$=0.00341 mm/mm)보다 작아 탄성상태에 머물렀는데, 이는 휨항복 이전에 전단파괴가 발생하였음을 보여준다. 최대강도 이전에는 좌우 PC 보 사이의 수평유격이 제한적이었고($\Delta_{h}$≤5.6 mm), 최대강도 이후 수평유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Fig. 8. Test results: load-deflection relationships, groove bar strains, and failure modes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8.png

토핑을 포함한 단면깊이가 450 mm인 450-D16-08U와 450-D16-05$\Omega$는 각각 600-D22-10U와 600-D22-07$\Omega$와 유사한 거동을 보였다. 즉, 충분한 홈 길이를 확보한 450-D16-08U는 휨항복 후 연성거동을 보였다. 이음부의 토핑 상부에는 휨압축 작용에 의한 콘크리트 압괴가 발생하였고, 홈 내부의 인장철근은 항복변형률을 초과한 소성변형률을 보였다. 반면, 홈 길이를 500 mm로 줄인 450-D16-05$\Omega$는 휨항복 이전에 경간 중앙의 불연속 PC 보 접합부 상단으로부터 시작된 휨균열이 토핑부 철근과 만나면서 토핑 철근을 따라 수평으로 발전하며 일찍 파괴되었고(부착쪼갬균열, Fig. 8(d3) 참조) 그 결과 홈 철근은 탄성상태에 머물렀다.

Fig. 9. Clearance of beams of flexural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9.png

3.2 홈 길이의 영향

Fig. 8에서 보듯이 철근 직경($d_{b}$) 대비 홈길이($l_{g}$)가 충분하였던 600-D22-10U($l_{g}$/$d_{b}$=1,000/22.2=45.0)와 450-D16-08U($l_{g}$/$d_{b}$=800/15.9=50.3)는 항복 이후 강도가 약 100 mm의 처짐까지 유지되는 연성거동을 보인 반면, 상대적으로 홈길이가 짧았던 600-D22-07$\Omega$($l_{g}$/$d_{b}$=31.5) 및 450-D16-05$\Omega$($l_{g}$/$d_{b}$=31.4)는 최대강도에 도달한 이후 강도가 급하게 저하되는 취성거동을 보였다. 이처럼 홈길이(또는 $l_{g}$/$d_{b}$)에 따른 PC 보 이음접합부의 거동 차이는 토핑 콘크리트의 균열 및 파괴모드에서도 다음과 같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콘크리트 토핑에 발생된 휨균열은 홈길이에 관계없이 모든 실험체에서 PC 보가 서로 맞닿는 접합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시작되었다.3) 하지만 최종 파괴모드의 경우 홈길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였다. 첫째, $l_{g}$/$d_{b}$≥45인 600-D22- 10U 및 450-D16-08U의 경우(Fig. 8(a3)(c3) 참조), 콘크리트 토핑 상단에서 압괴에 의한 파열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파괴모드는 휨부재에서 흔히 발생하는 압축대 콘크리트의 파괴와 거의 같다. 둘째, $l_{g}$/$d_{b}$≈31인 600-D22-07$\Omega$ 및 450- D16-05$\Omega$에서는(Fig. 8(b3)(d3) 참조), 콘크리트 토핑 상단의 압괴는 발생하지 않았고 그 대신 휨균열 상단에서 시작된 수평균열이 오른쪽 지점을 향하여 발전하는 균열파괴를 보였다. 이는 이들 실험체가 휨보다는 전단에 의하여 파괴되었음을 의미한다.

4. 강도 평가

4.1 휨강도 및 전단강도 평가

휨 실험체는 Fig. 8에서 보듯이 현장에서 배근・타설되는 상부 토핑과 홈 내부는 가력점의 좌・우측이 일체화되지만, 휨에 의하여 인장변형이 발생하는 하부 PC 보는 중앙 이음접합면에서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합성콘크리트 단면의 휨강도는 홈 내부와 상부 토핑만이 포함된 T형 단면에 대하여 변형률적합법을 사용하여 휨강도를 산정하였다.

Fig. 10은 홈을 포함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토핑부의 변형률적합 단면해석을 위한 변형률 분포와 재료 응력분포를 보여준다. KCI(2017)(3)에 따라 토핑 상단의 콘크리트 최대변형률은 $\varepsilon_{cu}$=0.0033 mm/mm을 가정하였고, 중립축 위의 콘크리트 압축응력은 포물선-직선 관계를 적용하였다. 포물선-직선 응력 분포를 사용하는 경우, 홈과 토핑 콘크리트에 대한 공칭휨강도($M_{n}$)는 식(1)과 같이 결정된다.

Fig. 10. Flexural strength at splice joint in midspan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10.png

(1)
$M_{n}= A_{s}f_{y}\left(d_{g}-\beta c\right)$

(2)
$c=\dfrac{A_{s}f_{y}}{\alpha(0.85f_{ck})·b}$

여기서, $b$=토핑 콘크리트의 폭(=1,200 mm), $d_{g}$=토핑 상단으로부터 홈 보강철근 중심까지의 유효깊이(349 mm or 252 mm), $A_{s}$ 및 $f_{y}$=각각 홈 보강철근의 단면적(전체) 및 항복응력, $\alpha(0.85f_{ck})$=포물선-직선 응력 분포에 대한 콘크리트 압축응력 평균값, $\beta c$=압축연단(또는 토핑 상단)으로부터 합력 중심까지의 거리로서 중립축깊이($c$)에 $\beta$를 곱한 값이다. KCI(2017)(3)에 따르면 $f_{ck}$=21.9 MPa인 경우 $\alpha$와 $\beta$는 각각 0.8과 0.4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실험체에 대하여 계산한 공칭휨강도($M_{n}$)은 Table 2에 나타냈다.

Table 2. Nominal strengths: flexural and shear strengths

Specimen

Test

($P_{u}$ kN)

Failure mode

Flexural strength

($P_{nf}$=2$M_{n}$/$l_{s}$ kN)

Shear strength (kN)

$P_{ns}$=2$V_{c}$ (Eq. (3))

$P_{ns}$=2$V_{tc}$ (Eq. (4))

600-D22-10U

438

Flexural failure

444

381

-

600-D22-07$\Omega$

269

Bond splitting failure

444

381

-

450-D16-08U

154

Flexural failure

150

275

-

450-D16-05$\Omega$

68

Bond splitting failure

150

275

109

이 연구에서 제안한 홈을 갖는 PC 보 이음접합부는, Fig. 7Fig. 3에서 보듯이 PC 보의 측벽(side wall, 두께 250 mm)에 90도 정착갈고리를 갖는 U형 스터럽(2D13@200)을 충분히 배치하여 PC 보와 상부 토핑을 일체화하였다. 이와 달리, 상대적으로 큰 폭($b_{g}$=700 mm)을 갖는 홈 내부에는 거푸집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수직스터럽을 설치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PC 보 이음부에서 홈 내부에 배치된 철근이 정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PC 및 현장타설 콘크리트 접합면에서 맞물림에 의한 수평전단응력 전달(또는 접합면 부착저항)이 홈 경계를 따라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홈과 PC 보 접합면에서 부착저항이 충분하지 않다면, 별도의 전단보강 수직철근이 설치되지 않은 홈을 포함한 상부 토핑 부분에서 콘크리트 전단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내부 경계면의 부착파괴 이후 PC 이음부의 콘크리트 전단강도($V_{c}$)는 식(3)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3)
$V_{c}=\dfrac{1}{6}\sqrt{f_{ck}}b_{g}d_{g}$

여기서, $f_{ck}$=토핑부의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b_{g}$=토핑부의 단면 폭(=1,200 mm), $d_{g}$=토핑부 압축연단으로부터 홈 내부에 배치된 인장철근 중심까지의 거리이다. 식(3)으로부터 계산한 홈, 토핑을 포함한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공칭 전단강도($V_{n}$=$V_{c}$)는 Table 2에 나타냈다. Eom et al.(2018)(1)의 연구에 따르면, T형 단면 부재의 경우 플랜지가 압축을 받을 때 복부 폭에 근거한 콘크리트 전단강도는 실험강도를 저평가한다. 따라서 홈 및 토핑 콘크리트의 실제 전단강도는 홈의 폭($b_{g}$=700 mm)을 사용하여 산정한 식(3)보다 더 커질 수 있다.

4.2 공칭강도 및 실험강도 비교

Table 2는 실험체별 공칭강도($P_{nf}$ 및 $P_{ns}$)를 보여준다. $P_{nf}$(=2$M_{n}$/$l_{s}$)는 식(1)식(2)로부터 계산되는 공칭휨강도($M_{n}$)로부터 산정하였고, $P_{ns}$(=2$V_{c}$)는 식(3)에 의한 공칭전단강도($V_{n}$)으로부터 산정하였다.

홈길이가 긴 600-D22-10U($l_{g}$/$d_{b}$=45)와 450-D16-08U($l_{g}$/$d_{b}$=50)의 경우, 휨강도 $P_{nf}$와 실험강도(즉, 최대하중 $P_{u}$)가 거의 같았다. 이 실험체들은 홈 내부에 배치한 보강철근이 모두 항복변형률에 도달하였던 실험체들로서, 휨에 의해 거동이 지배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Fig. 8 참조). 다만 휨강도($P_{nf}$=444 kN)보다 전단강도($P_{ns}$=381 kN)가 작은 600-D22-10U에서는 Fig. 8(a1)에서 보듯이 휨 항복 이후 강도 저하가 발생하였다.

홈길이가 짧은 600-D22-07$\Omega$($l_{g}$/$d_{b}$=31.5)와 450-D16- 05$\Omega$($l_{g}$/$d_{b}$=31.4)의 경우 실험강도($P_{u}$)가 휨강도($P_{nf}$)보다 작았는데, 이는 이들 실험체가 전단에 의해 파괴되었음을 가리킨다. 상대적으로 홈길이가 길었던 600-D22-07$\Omega$의 경우 실험 최대하중($P_{u}$=269 kN)은 공칭강도($P_{ns}$=381 kN)의 71 % 수준이었다. 하지만 홈길이가 $l_{g}$=500 mm로 가장 짧았던 450-D16-05$\Omega$의 경우 실험 최대하중($P_{u}$=68 kN)이 공칭강도($P_{ns}$=275 kN)의 25 % 수준에 불과하였다. 이는 홈 및 토핑 콘크리트의 전단파괴 이전에 PC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접합면에서 부착파괴가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홈 내부의 바닥면에는 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맞물림에 의한 힘전달이 가능하지만(Fig. 5(b) 참조), 홈 측면은 거푸집과 맞닿는 면이기 때문에 매끈한 상태이다. 다시 말해, PC 보와 홈 내부 콘크리트 간에는 부착슬립이 발생하기 쉬우며, 특히 홈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부착면적이 감소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힘에서도 슬립이 발생하기 쉽다. 만약 홈 바닥면에서 부착슬립이 발생하게 된다면, 토핑 상부에서 누르는 외부하중에 의한 전단력은 홈 내부 콘크리트에 의하여 저항되기 보다는 Fig. 11에서 보듯이 홈 좌우측에 있는 PC 보 측벽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힘전달 경로의 변화는 PC 측벽에 배치된 스터럽의 변형률 계측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Fig. 12는 이음부에서 PC 보의 측벽에서 계측한 스터럽 철근의 변형률($\varepsilon_{v}$)을 보여준다. 600-D22-07$\Omega$($P_{u}$=269 kN)이 600-D22-10U($P_{u}$=438 kN)보다 상당히 작은 하중에서 파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Fig. 12(a)12(b)에서 두 실험체의 스터럽 변형률은 거의 같았다. 또한 450-D16-05$\Omega$($P_{u}$=68 kN)의 최대하중은 450-D16-08U($P_{u}$=154 kN)의 절반 수준이었지만, 스터럽의 변형률은 450-D16-08U보다 450-D16-05$\Omega$에서 오히려 더 컸으며, 특히 450-D16-05$\Omega$의 스터럽 변형률은 항복변형률($\varepsilon_{y}$=0.00283 mm/mm)에 근접하였다. 이러한 PC 측벽의 변형률 계측 결과는 홈 길이가 짧았던 실험체(즉, 600-D22-07$\Omega$ 및 450-D16-05$\Omega$)에서 (1) 홈 경계면의 부착파괴가 발생되었고, (2)이후 토핑 콘크리트를 직접 지지하는 PC 보 측벽으로 힘전달이 집중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PC 보와 접하는 홈 내부의 바닥면 및 측면에서 부착파괴가 발생한 450-D16-05$\Omega$에서는 이음부에서 홈 내부 콘크리트가 전단저항에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 즉, 토핑 상부의 수직하중이 측벽으로 직접 전해지므로, 경간 중앙의 이음부에서는 홈을 제외한 토핑 콘크리트만이 주로 전단에 저항한다. 이러한 토핑 콘크리트만의 전단저항은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Fig. 11 참조).

Fig. 11. Force transfer after interface bond failure at bottom and sides of groove (450-D16-05$\Omega$)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11.png

Fig. 12. Bar strains of stirrups at the PC side wall

../../Resources/kci/JKCI.2020.32.6.565/fig12.png

(4)
$V_{tc}=\dfrac{1}{6}\sqrt{f_{ck}}b d_{tc}$

여기서, $b$=토핑 콘크리트의 폭(=1,200 mm)이고, $d_{tc}$=토핑 콘크리트의 유효깊이이다. $d_{tc}$는 현장타설 토핑 콘크리트 상단으로부터 토핑 콘크리트 내에 배치된 주철근 중심까지의 거리로서, 450-D16-05$\Omega$의 경우 $d_{tc}$=58 mm이다. Table 2식(4)에 의한 공칭강도 $P_{ns,\:tc}$(=2$V_{tc}$=109 kN)를 보여주는데, 실험 최대하중($P_{u}$=68.0 kN)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5. 요약 및 결론

이 논문에서는 경간 내부에서 받침없이 이음된 PC 보 이음부의 구조성능을 조사하였다. 이음부 접합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PC 보 단부에 홈을 파내고 홈 내부에 철근을 추가로 배치한 다음 현장타설 토핑과 일체화되도록 콘크리트로 채웠다. 단순보 실험을 통하여 이음된 PC 보 접합부의 강도, 변형능력 및 파괴모드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철근 직경($d_{b}$) 대비 홈길이($l_{g}$)가 충분하였던 600-D22- 10U($l_{g}$/$d_{b}$=1,000/22.2=45.0)와 450- D16-08U($l_{g}$/$d_{b}$=800/ 15.9=50.3)는 항복 이후 강도가 유지되는 연성거동을 보인 반면, 상대적으로 홈길이가 짧았던 600-D22-07$\Omega$($l_{g}$/$d_{b}$=31.5) 및 450-D16-05$\Omega$($l_{g}$/$d_{b}$=31.4)는 최대강도에 도달한 이후 강도가 급하게 저하되는 취성거동을 보였다.

2) 이처럼 PC 보 이음부에서 토핑 콘크리트의 균열 및 파괴모드는 홈길이(또는 $l_{g}$/$d_{b}$)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l_{g}$/$d_{b}$≥45인 600-D22-10U 및 450-D16-08U의 경우, 토핑 상단에서 휨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파괴가 발생하였다. 반면, $l_{g}$/$d_{b}$≈31인 600-D22-07$\Omega$ 및 450-D16-05$\Omega$에서는, 토핑 상단의 콘크리트 압괴없이 휨균열 상단으로부터 수평균열이 토핑 철근을 따라 발전하는 부착쪼갬파괴를 보였다.

3) 홈 길이가 충분히 확보된 실험체의 실험 최대하중은 일체로 타설되는 홈과 토핑 부분에 대하여 KCI(2017)(3)에 따라 산정한 공칭 휨강도 및 전단강도와 잘 일치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 및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받침없이 경간 내부에 설치하는 PC 보 이음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설계 및 상세 권고사항을 제안한다.

1) 홈 내부에 배치하는 보강철근은 PC 보 이음부에서 항복응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90도 표준갈고리 및 교차철근 용접에 의한 정착상세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 길이는 KCI(2017)(3) 8장에 규정된 표준갈고리 정착길이와 교차철근에 의한 용접에 의한 정착길이 중 큰 값 이상의 홈길이($l_{g}$, 좌우 PC 보 각각에 대하여)를 확보하여야 한다.

2) 1)에 따라 홈길이와 보강철근의 정착성능을 확보한 경우(이 연구에 사용된 실험체의 경우 보강철근 직경 대비 홈 길이의 비가 45 이상, $l_{g}$/$d_{b}$ $\ge$45), 토핑과 일체화된 홈의 기여를 고려하여 PC 보 이음부의 휨강도 및 전단강도를 산정할 수 있다. 즉, 이음부의 휨강도 및 전단강도는 일체로 타설되는 홈과 토핑으로 이루어진 T형 단면에 의하여 발휘되며, 이러한 T형 단면의 휨강도 및 전단강도는 KCI(2017)(3)의 관련 규정에 따라 산정할 수 있다.

3) 홈과 PC 보가 접하는 접합면에서는 6 mm 이상의 표면요철을 확보하거나 또는 그에 상응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콘크리트 접합면의 콘크리트 부착강도(또는 콘크리트 맞물림 작용)를 확보하여야 한다.

1) KCI 2017(3) 8.2.5(2)에 의한 표준갈고리가 있는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

$l_{hb}=0.24\beta d_{b}f_{y}/\lambda\sqrt{f_{ck}}= 0.24×1.0×22.2×600/\sqrt{24}=653$ mm

(콘크리트 및 철근의 재료강도는 실제강도가 아닌 설계기준강도를 기준으로 산정)

2) KCI 2017(3) 8.2.2(2)의 직선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

$l_{db}= 0.6\beta$$d_{b}f_{y}/\lambda\sqrt{f_{ck}}=0.24×1.0×22.2×600/\sqrt{24}=1,\:630$ mm에

KCI 2017(3) 8.3.1.(5)의 철망계수 $0.59(=(f_{y}- 245)/ f_{y}=(600-245)/600)$를 곱하여 산정

3) 콘크리트 토핑뿐만 아니라 홈 바닥면에서도 휨인장에 의한 수직 휨균열이 상당히 발생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2018년 중점연구소지원사업(NRF-2018R1A6A1A07025819) 및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산업육성지원사업(2020-MOIS32-029)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Eom T. S., Hwang I. H., Lee S. J., Park T. W., 2018, Failure Mode and Shear Strength of Nonprestressed Hollow-Core Slabs in One-Way Shear, ACI Structural Journal 115, Vol. 4, No. , pp. 1131-1141DOI
2 
Im H.-J., Park H.-G., Eom T.-S., Kang S.-M., 2010, Earthequake Resistance of Beam-Column Connection of Precast Concrete U-Shaped Shell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2, Vol. 6, No. 741-751, pp. -DOI
3 
KCI. , 2017, KCI Model Code 2017 (KCI M-18-006),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 Vol. , No. Google Search
4 
Kim S.-H., Moon J.-H., Lee L.-H., 2004,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Structural Behavior on the Precast Concrete Beam-Column Interior Joint with Splice Type Reinforcin Ba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 Vol. 10, No. 53-61Google Search
5 
Mattock A. H., Chan T. C., 1979, Design and Behavior of Dapped-End Beams, PCI Journal 24, Vol. 6, No. , pp. 28-45Google Search
6 
Nagrodzka-Godycka K., Piotrkowski P., 2012, Experimental Study of Dapped-End Beams Subjected to Inclined Load, ACI Structural Journal 109, Vol. 1, No. , pp. 11-20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