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대전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Daejeon University, Daejeon 34520, Rep. of Korea)
  2. 경우크린텍 환경사업부 기술연구소장 (Managing Director, Enviromental Dept. Kyung-woo Clean Tech Co., Ltd., Seoul 02565, Rep. of Korea)
  3.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Rep. of Korea)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 코팅, 아크릴수지, 흡수율
waste concrete, recycled fine aggregate, coating, acrylic resin, water absorption

1. 서 론

인류역사상 인간이 만든 물질 중 지구상에 가장 흔한 물질인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주요 재료로 일반적인 주거 구조물뿐만 아니라 도로, 교량, 댐 등의 주요 사회 기반 시설물까지 다양하고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는 다른 건설 재료에 비해 시공의 편리성과 높은 경제성으로 건설 분야의 다양한 구조물 시공에 널리 쓰여 왔다. 하지만 콘크리트의 문제점으로 막대한 천연자원의 사용으로 자연환경 파괴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천연골재의 고갈로 인하여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골재의 생산을 위해 석산 개발에 따른 산림훼손과 바다모래 채취에 의한 바다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Fig. 1). 그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에 대한 규제 강화로 인해 골재자원의 감소, 골재자원의 원거리화, 해양모래 채취금지, 산모래의 품질저하 등 골재 수급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Fig. 1. Environmental destruction caused by excavation of natural aggregates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1.png

한편, 최근 도시 재개발사업 및 사회기반시설의 확충 등으로 국내 건설현장에서는 막대한 양의 건설산업부산물이 발생되고 있으며, 2019년 환경부 통계에 의하면 연간 폐기물 발생량 16,282만 톤 중에서 건설산업부산물은 7,554만 톤이며 그중 폐콘크리트는 63.2 %인 4,783만 톤이 발생된다(Nam et al. 2017; Lee et al. 2019; Lee 2020)(13,14,18). 발생된 폐콘크리트는 99.9 % 재활용되었으나, 건설폐기물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과 사용기피 현상으로 대부분 기반재, 성토재 등 일차적인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 등 부가가치가 높은 용도로의 재활용은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폐콘크리트 순환골재 중 굵은골재의 경우 생산품질 향상과 제도적 보완으로 콘크리트 골재로서 30 %까지 사용할 정도로 많은 연구와 기술발전이 이루어졌다. 반면,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의 경우 높은 흡수율과 낮은 밀도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 적용연구가 요구되고 있다(Ryu 2002; Mas et al. 2012; Pepe et al. 2014)(16,22,24)

폐콘크리트 순환골재의 가장 큰 문제는 생산된 골재의 표면에 남아있는 구제 모르타르에서 발생된다. 생산된 순환골재 중 25~65 vol.%의 비율을 갖는 구제 모르타르는 천연골재에 비해 현저히 높은 다공성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흡수율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Chen et al. 2003; Malešev et al. 2014)(1,15). 폐콘크리트 순환굵은골재의 경우 흡수율이 3.5~10 % 정도이며 순환잔골재의 경우 흡수율이 5.5~13 %까지로 보고되고 있다(Khalaf and DeVenny 2004, 2005; Moon and Choi 2009; Pani et al. 2020)(6,17,20). 이러한 문제로 인해 KS에서는 순환골재의 흡수율을 굵은골재 3.0 % 이하, 잔골재 4.0 %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순환골재 흡수율 저감을 위해 생산설비에서 파쇄기술 개선, 산에 의한 용해, 열처리, 수침, 수지코팅, 미생물에 의한 탄산칼슘 생분해, 탄산화 등 많은 방법들의 적용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대부분 순환굵은골재에 국한되어 연구되었다(Park and Bae 2007; Padmini et al. 2009; Speath and Tegguer 2013; Despotović 2016; Kim et al. 2016, 2020; Shin et al. 2016)(2,19,21,2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의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 적용성 연구를 위해 코팅재 종류 및 적용기법에 따른 코팅된 순환잔골재의 흡수율 특성분석과 모르타르 적용 시 강도특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2. 실험 개요

2.1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 코팅

폐콘크리트 순환굵은골재의 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파쇄기법, 산에 의한 용해, 열처리, 수침, 수지코팅, 탄산칼슘생분해, 탄산화 등 많은 방법들이 적용되었지만 현장에서는 주로 파쇄기법의 개선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다. 반면, 순환잔골재의 경우 입자가 5 mm 이하로 순환굵은골재에 비해 작기 때문에 파쇄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의 코팅재로는 Sodium silicate(물유리), Polydimethylsiloxanes(PDMS), 수지(아크릴 외) 등의 적용연구가 수행되었으며(Lee et al. 2017, 2019)(12,13), 폐콘크리트 순환골재의 흡수율 저감에 효과가 있다고 평가된 코팅 기법을 순환잔골재에 적용하여 구제 모르타르 기공을 코팅함으로서 흡수율 저감 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2.2 실험 계획

본 연구에서는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Series로 구분하여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의 흡수율 성능개선을 검토하였다. Series I에서는 흡수율 저감을 위한 순환잔골재 코팅재 선정 및 코팅기법을 도출하였으며, Series II에서는 코팅된 순환잔골재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Table 1. Experimental variables

Series I

Coated recycled aggregate properties

Coating materials

- Sodium silicate (SSC)

- Polydimethylsiloxane (PDMS)

- Acrylic resin (ACR)

- Chelate resin (CHR)

Coating method

- Spray (SP)

- Impregnation (IM)

- Vacuum impregnation (VI)

Test items

- Density

- Absorption rate

- Sieve analysis

- Absorption characteristics over time

Series II

Mortar properties

Aggregate

types

- ISO Standard sand (SS)

- Recycled fine aggregate (RS)

- Coated recycled fine aggregate (CRS)

- Washed coated recycled fine aggregate (CRS-W)

Test items

- Flow

- Compressive strength at 3, 7, 28 days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Type

Setting time

Soundness

(%)

Fineness

(cm$^{2}$/g)

Density

(g/cm$^{3}$)

Initial set

(m)

Final set

(s)

OPC

59

6:39

0.070

3,300

3.15

2.3 사용재료

2.3.1 시멘트

본 연구에 사용된 시멘트는 국내 S사에서 생산된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OPC)를 사용하였으며, 물리・역학적 특성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2.3.2 잔골재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의 코팅처리 후의 흡수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ISO표준사 및 국내에서 생산된 순환잔골재를 사용하였다. 순환골재의 경우 흡수율 평가를 위해 흡수율이 높은 저급의 제품을 선정하였으며, 특성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또한, Fig. 2에서는 ISO표준사 및 순환잔골재의 표면광학사진을 제시하였다. 순환잔골재의 경우 구제 모르타르가 기존의 천연골재에서 떨어지지 않고 표면에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구제 모르타르 내부의 미세공극과 미소균열이 순환잔골재의 흡수율 증가 원인이다. 또한, 이 계면전이구역(당초 콘크리트 골재와 신규 시멘트 페이스트 사이에 존재하는 구역)으로 인해 일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해 부착성이 떨어지고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등 물리적 성능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Ryou and Lee 2013)(23).

Table 3.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Density

(oven-dry condition)

(g/cm$^{3}$)

Water absorption

(%)

Solid volume

(%)

Soundness

(%)

2.41

9.8

62.5

5.0

Fig. 2. Optical analysis of aggregates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2.png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coating materials

Type

Density

(g/cm$^{3}$)

pH

Appearance

SSC

(sodium silicate)

1.57~1.59

12~13

Transparent liquid

PDMS

(polydimethylsiloxane)

0.98~1.01

9

White liquid

ACR

(acrylic resin)

1.03

8~9.5

Milky white liquid

CHR

(chelate resin)

1.048

2.68

Milky white liquid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superplasticizer

Type

Appearance

Density

(g/cm$^{3}$)

pH

Polycarbonate

Light brown powder

0.5

5.5

2.3.3 코팅재

본 연구에서 순환잔골재 코팅재는 기존 연구에서 순환굵은골재 코팅용으로 사용된 SSC, PDMS 및 콘크리트 성능향상목적으로 활용되는 ACR과 CHR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그 물리적 특성은 Table 4에 나타내었다.

SSC는 물유리로서, 골재 표면에 적용하였을 때, 강도 및 마모율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13)(11). PDMS는 실란/실록산을 기반으로 표면을 개질하여 입자 크기를 조절함으로서 미세공극에 침투가 가능한 물질로서 콘크리트 표면발수제로 주로 사용되는 제품이다(Lee et al. 2017)(12). 순환잔골재 표면 코팅시 발수효과로서 흡수율 저감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ACR은 폴리머 디스퍼젼으로서 분산제 및 안정제 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어, 콘크리트 혼합 시 적용하면, 폴리머 미립자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폴리머 필름의 망상구조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매트릭스를 치밀하게 하여 성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순환잔골재 코팅재로 사용시 내부 미세공극에 침착된 미립자가 흡수율 저감효과를 도모하고, 콘크리트로 제조시 강도 향상 등 성능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CHR은 킬레이트 수지로서 주로 시멘트 차수 그라우트 제조 시 약액으로 사용되어 시멘트풀의 겔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재료이다. 순환잔골재 코팅재로 적용 시 폐콘크리트 내부의 미수화 시멘트 입자와 수지가 결합하여 겔화시킴으로서 순환골재의 흡수율 저감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적용하였다.

2.3.4 혼화제

시멘트 분산작용에 의해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시키는 혼화제로서, 국내 J사 제품의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혼화제의 특성은 Table 5에 나타내었다.

2.4 실험방법

2.4.1 코팅재 적용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의 코팅은 스프레이, 함침, 진공함침 3가지의 방법으로 코팅하였다. 순환잔골재 시료를 건조 한 후 준비하고, 코팅재료를 각각 물과 혼합하여 10 % 용액으로 제조하였다.

Fig. 3 Coating methods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3.png

Fig. 4. Recycled fine aggregate coated with different materials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4.png

스프레이(SP) 방법은 1 bar의 압력으로 20분간격으로 2회 스프레이 후 24시간 동안 20 °C에서 건조하였다. 함침(IM) 방법은 시료가 충분히 침지될 수 있는 용기에 코팅재와 순환잔골재를 투입하고 24시간동안 침지 후 24시간 동안 20 °C에서 건조하였다. 진공침지(VI) 방법은 코팅재에 침지된 순환잔골재를 진공 데시케이터에 넣고 30분 동안 진공침지 한 후 24시간 동안 20 °C에서 건조하였다. 코팅재 적용기법은 Fig. 3에, 코팅된 잔골재는 Fig. 4에 나타내었다.

2.4.2 코팅된 순환잔골재 특성 시험

코팅된 골재의 특성 평가는 KS F 2504 「잔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에 의해 밀도와 흡수율을 측정하였으며, KS F 2502 「굵은 골재 및 잔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에 따라 체가름시험을 실시하였다.

2.4.3 코팅된 순환잔골재 흡수량 경시변화 실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코팅된 순환잔골재가 물을 흡수하는 양을 측정하는 실험을 Fig. 5와 같이 수행하였다. 동일 중량의 건조 상태 잔골재 시료를 메스실린더에 넣고 증류수를 투입하여 시간에 따른 수위감소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2.4.4 모르타르 특성 시험

코팅된 순환잔골재의 모르타르 제조시 특성 평가는 KS L 5105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흐름값 및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2.4.5 시험체 제작 및 양생

코팅된 순환잔골재의 모르타르 제작은 시멘트와 골재를 1:2.45 질량비로 혼합하였으며, 물-시멘트비는 48.5 %로 제작하였다. 유사한 흐름값을 얻을 수 있는 조건에서의 유동화제량을 측정하였다.

제작된 공시체는 24~48시간 사이에 탈형하고 20±5 °C 수조에서 수중양생을 실시하고 3, 7, 28일 재령에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Fig. 5. Tests of absorption amount over time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5.png

Fig. 6. Water absorption rate of coated recycled fine aggregates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6.png

Fig. 7. Density of coated recycled fine aggregates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7.png

3. 코팅조건에 따른 순환잔골재 특성

3.1 흡수율 및 밀도

코팅된 순환잔골재의 흡수율 및 밀도 시험결과는 Fig. 6Fig. 7에 나타내었다. 코팅하지 않은 Plain(RS)의 경우 흡수율이 9.78 %로 나타나 가장 높은 흡수율을 보였다. 코팅재료에 따른 흡수율 저감 효과는 함침방법을 기준으로 PDMS<CHR<SSC<ACR 순으로 흡수율 저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DMS의 경우 콘크리트 발수제로서 흡수율 저감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10 % 용액으로 제조하여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CHR과 순환굵은골재에서 효과가 높은 SSC의 경우도 순환잔골재에서는 품질기준 흡수율 4.0 % 이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ACR의 경우 함침과 진공합침 조건에서 3.24, 2.75 %로 나타나 순환잔골재 4.0 % 이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팅방법에 따른 흡수율은 스프레이(SP)<함침(IM)<진공함침(VI)의 순서로 흡수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스프레이 공법의 경우 압력을 가하여 분사하였지만 리바운드량이 많았고, 분사시간도 제한적이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스프레이 방법보다 24시간 동안 담궈놓은 함침방법이 효과가 있었지만, 30분 동안 진공함침한 경우가 가장 우수한 흡수율 저감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제 순환골재 생산 현장 적용은 스프레이 공법이나 함침공법이 적절한 방법으로서 이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밀도시험결과, 코팅 유무가 밀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Plain(RS)의 경우 KS에서 제시하는 2.3 g/cm$^{3}$ 이상을 상회하는 2.41 g/cm$^{3}$로 나타났고, SSC, PDMS, ACR 및 CHR 코팅 등 모든 조건에서 기준을 만족하였다.

Fig. 8. Grading curves of coated recycled fine aggregates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8.png

Fig. 9 Appearance of coated recycled fine aggregates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9.png

3.2 체가름 시험

코팅조건에 따른 순환잔골재 입도분석 결과는 Fig. 8에 나타내었다. 코팅하지 않은 Plain(RS)의 경우 KS의 입도분포 곡선 범위 내에는 있었지만, 2.5 mm. 1.3 mm체 통과분이 하한기준보다 조금 높은 정도로서 잔골재 중 굵은입자와 미분의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의 순환잔골재 입도분포 곡선과 유사한 결과(Kim et al. 2016)로서 파쇄에 의한 생산이 주를 이뤄 입도분포가 고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코팅재 적용(VI 방법)에 따른 입도 분석결과, 코팅하지 않은 Plain과 유사한 입도분포를 나타내었지만, SSC 및 PDMS의 경우 입도분포 곡선 하한 범위를 일부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SSC 및 PDMS의 높은 점성이 코팅 후 골재 입자끼리 붙는 경우가 발생하여 굵은입자의 분포가 일부 높아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CR과 CHR의 경우 입도분포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3 코팅된 순환골재 표면분석

Fig. 9에는 코팅재료별 코팅된 순환잔골재의 표면 확대사진을 나타내었다. 표면촬영은 200배율의 광학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SC 및 PDMS의 경우 표면 코팅시 기존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표면에 광택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코팅재에 입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골재 표면에서도 코팅에 따른 입자 확인은 불가하였다.

폴리머 계열인 ACR 및 CHR의 경우 표면 광택은 없었으나, 폴리머 입자가 골재 표면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ACR의 경우 순환골재 생산 시 발생된 구제 모르타르와 기존 골재 사이의 미세균열에 폴리머 입자가 코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9(c)).

Fig. 10. Amount of water absorbed over time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10.png

3.4 코팅 순환잔골재 흡수량 경시변화 특성

코팅 순환잔골재의 흡수량 경시변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흡수율 시험에서 가장 우수한 ACR 코팅재를 선정하고 천연골재인 강모래(river sand), 코팅하지 않은 순환잔골재(RS), ACR 코팅 순환잔골재(CRS), ACR 코팅 후 세척한 순환잔골재(CRS-W) 등 네 가지 골재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는 Fig. 10에 나타내었다. 강모래에 비해 RS의 경우 초기 급격한 흡수 특성을 나타내고 약 10시간 이후에는 흡수량의 변화가 수렴되었으며, 강모래의 경우 초기 흡수 후 약 56시간 정도까지 일정하게 흡수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RS의 경우 초기에는 강모래보다 낮은 흡수량을 나타내었고 흡수량 증가 경향은 강모래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친수성인 아크릴 수지로 코팅한 순환잔골재의 경우 골재 표면에 존재하는 구제 모르타르의 미세공극에 폴리머 입자가 침투되어 고르게 코팅되었기 때문에 초기에는 물의 흡수를 막고 장기적으로는 골재 내부로의 수분 침투가 가능하게 한 것으로 판단된다. 순환잔골재의 코팅 후 세척 여부는 흡수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코팅된 순환잔골재 혼입 모르타르 특성

코팅된 순환잔골재를 적용한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 분석을 위해서, 앞 절에서 최적 조건으로 도출된 아크릴 수지 진공함침 방법을 적용하여 순환잔골재를 코팅하였다. RS에 대한 CRS 및 CRS-W의 대체율을 25, 50, 100 %로 혼입하여 흐름 및 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순환잔골재 뿐만 아니라 일반 골재와 비교를 위해 ISO표준사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Fig. 11. The flow test results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11.png

Fig. 12. Average compressive strengths

../../Resources/kci/JKCI.2021.33.3.307/fig12.png

4.1 흐름시험

배합조건에 따른 흐름시험결과는 Fig.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목표 플로우를 200 mm로 설정하여 배합하였을 때, ISO표준사를 넣은 배합에서는 유동화제를 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210 mm의 흐름값을 나타내었으며, 코팅되지 않은 순환골재의 경우 유동화제 1.8 % 혼입조건에서 208 mm의 흐름값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표준사에 비해 굵은 입자가 많은 순환잔골재의 특성으로 인해 일부 재료분리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크릴 수지 코팅 순환잔골재(CRS)는 유동화제 2.0 % 혼입 배합에서도 흐름값이 150 mm로 나타나 모르타르 제작이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순환잔골재를 코팅하고 남은 친수성의 폴리머 입자가 골재와 함께 섞여 있기 때문으로 사료되어 CRS를 세척 후 다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척된 CRS-W를 RS에 일정비율로 대체하여 제작하였을 때, CRS-W의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 목표 플로우에서 유동성이 개선되어 유동화제 사용량이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앞절의 시험결과와 동일한 경향으로서, 배합초기 배합수의 다수를 순환잔골재가 흡수하는 RS와 달리 CRS-W는 순환잔골재 표면을 폴리머로 코팅함으로서 배합수의 손실을 막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2 강도시험

배합조건에 따른 강도 실험결과는 Fig. 12에 나타내었다. ISO표준사를 사용한 SS 배합에서는 재령 28일 기준 54.2 MPa의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순환잔골재만을 사용한 RS배합의 경우 SS에 비하여 29.2 % 강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순환잔골재의 구제 모르타르와 기존골재 간의 계면 결합력 감소 및 다량의 유동화제 사용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크릴 수지 코팅 후 세척한 CRS-W 배합의 경우 25 %, 50 %, 100 % 대체 적용 시 43.2~55.4 MPa로 나타나 코팅순환잔골재 대체율 증가에 따라 압축강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28일 재령뿐만 아니라 초기 재령에서도 동일한 경향으로서, 구제 모르타르 계면 및 미세균열에 폴리머가 침투되어 계면 접착력 향상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CRS-W 100 % 적용 시 SS와 동일한 강도 발현이 나타나 강도경향으로만 판단할 경우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 100 % 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의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 적용성 연구를 위해 코팅재 종류 및 적용기법에 따른 코팅된 순환잔골재의 흡수율 특성분석과 모르타르 적용 시 강도특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의 코팅재 종류별 흡수율 저감효과는 ACR>SSC>CHR>PDMS 순으로 나타나 아크릴 수지 코팅이 흡수율 저감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코팅방법으로는 진공함침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흡수율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밀도실험결과 모든 경우 KS기준 2.3 g/cm$^{3}$ 이상을 만족하였다.

2) 체가름 시험결과, 코팅하지 않은 순환잔골재 자체의 경우도 입도분포곡선 범위 내에는 존재하였지만 하한선에 가까운 경향을 나타내었고, 코팅 시, SC와 PDMS는 높은 점성으로 인해 굵은 입자의 분포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입도분포곡선 범위를 벗어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3) 코팅된 골재의 흡수량 경시변화 분석결과, 폐콘크리트 순환잔골재는 초기흡수량이 높은 반면, 코팅된 순환잔골재는 천연골재인 강모래와 유사한 흡수 경향을 나타내었다.

4) 표준 모르타르의 목표플로우 200 mm를 달성하기 위한 유동화재 사용량을 측정한 결과, RS에 대한 CRS-W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화제 사용량이 감소되었다.

5) 배합조건별 모르타르 강도시험결과, ISO표준사를 사용한 배합과 CRS-W 100 % 사용 배합의 경우 유사한 강도특성을 나타내어 코팅된 순환잔골재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6) 본 연구 범위에서는 아크릴 수지 코팅 후 세척하여 사용하면 순환잔골재 100 % 범위까지 유동성 및 강도를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후에는 내구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 등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8학년도 대전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Chen H. J., Yen T., Chen K. H., 2003, Use of Building Rubbles as Recycled Aggregat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3, No. 1, pp. 125-132DOI
2 
Despotović I., 2016, The Improvement of Recycled Concrete Aggregate-A Review Paper, In Proceedings of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emporary Achievements in Civil Engineering. 22 April 2016. Subotica, Serbia, pp. 443-454Google Search
3 
KATS , 2007, Testing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Hydraulic Cement Mortars (KS L 5105),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Google Search
4 
KATS , 2019, Standard Test Method for Sieve Analysis of Fine and Coarse Aggregates (KS F 2502),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Google Search
5 
KATS , 2020, Testing Method for Density and Absorption of Fine Aggregate (KS F 2504),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Google Search
6 
Khalaf F. M., DeVenny A. S., 2004, Recycling of Demolished Masonry Rubble as Coarse Aggregate in Concrete,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16, No. 4, pp. 331-340DOI
7 
Khalaf F. M., DeVenny A. S., 2005, Properties of New and Recycled Clay Brick Aggregates for Use in Concrete,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17, No. 4, pp. 456-464DOI
8 
Kim D. B., Kim J. H., Park J. C., 2016, Experimental Study on the pH of Recycled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4, No. 1, pp. 62-67DOI
9 
Kim D. K., Yang K. H., Seo E. A., Hyun H. S., 2020, Evalua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Paste Adhesion of Recycled Coarse Aggregates Produced through Different Dry Treatment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2, No. 2, pp. 185-191Google Search
10 
Kim S. C., Park D. K., Yoog K. C., 2016, Characteristic of Cementitious Mortar Using High Volume of Recycled Fin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4, No. 3, pp. 235-242DOI
11 
Kim S. S., Lee J. B., Ko J. S., Kim I. K., 2013, A Study on the Nano Silica-Sol Coating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Recycled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7, No. 4, pp. 84-90DOI
12 
Lee B. J., Lee J., Kim Y. Y., 2017, Durability Performance of Concrete Penetrated and Coated by Polydimethylsiloxane for Penetrating Water Repellency,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9, No. 6, pp. 607-613Google Search
13 
Lee B. J., Lee S. M., Hyun J. H., Kim Y. Y., 2019, Durability Performances of Concrete Produced with Recycled Bio-Polymer Based on Sargassum Honeri,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7, No. 4, pp. 445-451DOI
14 
Lee D. H., 2020,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f Recycled Aggregate for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2, No. 4, pp. 28-33Google Search
15 
Malešev M., Radonjanin V., Broćeta G., 2014,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ontemporary Materials, Vol. 5, No. 2, pp. 239-249Google Search
16 
Mas B., Cladera A., Del Olmo T., Pitarch F., 2012, Influence of the Amount of Mixed Recycled Aggregates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for Non-Structural Us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7, No. 1, pp. 612-622DOI
17 
Moon D. J., Choi J. J., 2009,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Mortar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5, pp. 96-100Google Search
18 
Nam Y. H., Park W. S., Jang Y. I., Hyun H. D., Kim S. W., 2017, Effect of Recycled Fine Aggregates and Fly Ash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VA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9, No. 2, pp. 149-157DOI
19 
Padmini A. K., Ramamurthy K., Mathews M. S., 2009, Influence of Parent Concrete on the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3, No. 2, pp. 829-836DOI
20 
Pani L., Francesconi L., Rombi J., Mistretta F., Sassu M., Stochino F., 2020, Effect of Parent Concrete on the Performance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Sustainability, Vol. 12, No. 22, pp. 93-99DOI
21 
Park R. S., Bae J. S., 2007,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Recycled Aggregates Using Surface Treatmen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 Vol. 27, No. 3A, pp. 421-426Google Search
22 
Pepe M., Toledo Filho R. D., Koenders E. A., Martinelli E., 2014, Alternative Processing Procedures for Recycled Aggregates in Structural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69, pp. 124-132DOI
23 
Ryou J. S., Lee Y. S., 2013, Improvement of Performance via Surface Treatment of Recycled Aggregate, Magazine of RCR,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8, No. 4, pp. 16-20DOI
24 
Ryu J. S., 2002,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Recycled Aggregate on Concrete Properties,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54, No. 1, pp. 7-12DOI
25 
Shin J. H., Kim H. S., Chung L., Ha J. S., 2016, Pore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Heterogeneous Bonding Materials of Recycled Aggregate according to Carbonation Reform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8, No. 3, pp. 341-348DOI
26 
Spaeth V., Tegguer A. D., 2013, Improvement of Recycled Concrete Aggregate Properties by Polymer Treat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Built Environment, Vol. 2, No. 2, pp. 143-152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