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673, Rep. of Korea)
  2.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673, Rep. of Korea)



기둥-보 접합부, 반복거동, HPFRCC, 내진거동, 누적에너지소산
beam-column joint, cyclic behavior, HPFRCC, seismic behavior, cumulative energy dissipation

1. 서 론

지진으로 인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횡변위가 발생하면 보-기둥 접합부에 전단응력이 크게 작용할 수 있고, 이는 접합부에 심각한 손상과 구조물의 강성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Para-Montesionos et al. 2005; Engindeniz 2008)(11,21). 특히 모서리 접합부는 접합부 중에서 주변 보에 의한 구속이 다른 부위의 접합부에 비하여 가장 적기 때문에 지진하중과 같은 횡하중에 대하여 취약하다.

ACI 352(2002)(3)는 모서리 접합부는 손상과 강성저하, 내력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횡보강을 설치하도록 요구한다. 접합부 횡보강근의 최소 철근량과 최대 간격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설계 기준에 따라 배근하여야 한다. 그러나, 보와 기둥의 주근이 합쳐지는 지점에서 철근상세가 너무 복잡하여 기준의 철근상세 요구사항을 준수하기는 매우 어렵고 시공에도 어려움이 따른다(Para-Montesionos et al. 2005)(21). 부적절한 철근 보강은 지진 발생시 변형능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Henager 1977)(17).

HPFRCC(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는 콘크리리트 재료의 취성적 거동을 보완할 수 있는 인장성능이 좋은 재료로 알려져 있고, 최근 접합부의 소성 힌지 부분에 횡보강근 대체용으로 적용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Para-Montesionos et al. 2005; Saghafi and Shariatmadar 2018)(21,23). HPFRCC 재료 중 하나인 PVA-ECC(polyvinyl alcohol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는 높은 휨 강도와 인장 변형능력을 보일 수 있는 연성 재료이다(Akkari 2011)(4). Qudah and Maalej(2014)(22)는 이 재료가 철근 콘크리트 접합부의 횡보강근을 대체하고 내진성능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많은 실험적 연구가 접합부의 거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행되었다(Gefken and Ramey 1989; Filiatrault et al. 1995; Bayasi and Gebman 2002; Para-Montesionos et al. 2005; Saghafi and Shariatmadar 2018)(9,13,15,21,23). 하지만 반복가력을 받는 보-기둥 접합부에서 HPFRCC의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는 수행된 연구가 매우 제한적이고, 반복하중에 대하여 진행된 연구도 대부분이 내부 접합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Saghafi et al. 2019)(24).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통모멘트골조의 보-기둥 모서리 접합부 실험체를 제작하고 FEMA 461(2007)(12)에 따라 가력실험을 수행하여 내진거동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체의 변수는 모서리 접합부에 HPFRCC 적용 유무이다. 이를 위하여 동일한 철근상세와 규격을 갖는 RC 접합부와 HPFRCC를 적용한 HPFRCC 실험체 두 개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HPFRCC 적용 유무에 따른 모서리접합부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력곡선, 강성감소율, 에너지 소산, 접합부 전단변형, 주근의 항복을 통한 파괴모드를 분석하였다.

2. 실험계획

2.1 재료

Table 1은 재료시험에 사용한 시험편에 관한 정보가 요약되어 있다. 보통 콘크리트와 HPFRCC의 압축강도 측정을 위해 ASTM C39(2005)(6)에 따라 지름 100 mm, 높이 200 mm인 원형 공시체를 3개와 5개씩 제작하여 28일 양생을 거친 후 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철근은 SD400 이형철근 D19와 D10을 사용하였으며, 각각 ASTM E8(2016)(8)에 따라 인장시험을 수행했다. HPFRCC에 사용된 PVA의 재료특성과 HPFRCC의 배합비는 Table 2Table 3에 각각 나타냈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재료 시험 결과는 Table 4Table 5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 1은 재료시험 결과를 응력-변형률 관계로 나타낸 것이다. Fischer and Li(2003)(14) 그리고 Zhou et al.(2015)(25)는 큰 골재가 없는 HPFRCC가 보통 콘크리트보다 탄성계수가 낮고, 더 높은 변형률에서 압축강도에 도달한다고 보고한 바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본 연구에서 진행한 재료시험에서도 Fig. 1(a)와 같이 나타났다. 직접 인장시험은 HPFRCC의 연성적인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JSCE-N82-2008에 따라 단면적이 30×30 mm2이며 길이(length) 330 mm, 표점거리(gauge length) 80 mm인 Dog bone형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0.5 mm/min의 가력속도로 진행하였으며 Fig. 1(b)에 응력-변형률 그래프를 나타냈다.

Table 1. Specimen test details

Specimen

HPFRCC

Steel

Test

Compressive test (ASTM C39/C39M)

Tensile test

(JSCE-N82- 2008)

Tensile test

(ASTM E8/E8M)

Size

Ø100×200 mm

30×30×330 mm

D19, D10

Number

3 per mix

5 per mix

3 per size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PVA fiber

Length

(mm)

Diameter

(µm)

Density (g/cm3)

Tensile strength (MPa)

Tensile elasticity (GPa)

Rupture ratio

(%)

12

39

1.3

1,600

24~25

10

Table 3. Mixing properties of HPFRCC

Bonding material (kg/m3)

Water (kg/m3)

W/B (%)

Cement

Blast furnace slag

Fly ash

410

300

500

390

32.2

Non-binding material (kg/m3)

Fiber volume fraction (%)

Sand

Filler (CW)

Super plasticizer

70

67

2.05

2.0 (PVA)

Table 4. Average properties of steel reinforcement

Diameter

Nominal area (mm2)

Yield strength (MPa)

Ultimate strength (MPa)

Yield strain (%)

Ultimate strain (%)

D19

286.5

434

477

0.252

10.45

D10

71.33

472

605

0.260

11.67

Table 5. Test results for concrete and HPFRCC material properties

Specimen

Compressive strength (MPa)

Strain at maximum stress

(%)

$E_{c}$1)

(GPa)

Tensile strength (MPa)

Ultimate tensile strain2)

(%)

Normal concrete

27.24

0.27

19.44

-

-

HPFRCC

33.93

0.42

13.32

3.54

3.72

Note: 1)Elastic modulus of concrete according to ASTM C469 (2014); 2)Ultimate tensile strain: the tensile strain where the stress decreased to 80 % of maximum stress

Fig. 1. Stress-strain curves of the concrete and HPFRCC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1.33.5.441/fig1.png

2.2 실험체 상세와 가력계획

실험체는 HPFRCC적용 여부를 변수로 2개의 실험체(J-RC, J-H)를 실물크기로 제작하였다. 실험체의 형상과 철근상세는 Fig. 2에 나타냈다. 실험체는 중저지진 위험지역(low-to-moderate seismic regions)에서 주로 사용되는 OMF(ordinary moment frame) 접합부를 ACI 318(2019)(2)와 KDS 41 31 00(MOLIT 2018)(20)에 따라 설계하였으며, ACI 352(2002)(3) 내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접합부에 최소한으로 횡보강근이 2개씩 설치되었다.

실험체 기둥의 높이는 3,500 mm, 기둥 단면의 크기는 330 mm×330 mm, 4개의 D19 주근과 300 mm 간격의 D10 전단철근 상세를 가진다. 실험체 보의 길이는 3,000 mm, 단면크기가 250 mm×500 mm이고, 압축영역과 인장영역에 2개씩 D19의 주철근과 200 mm 간격의 D10 전단철근 상세를 가진다. 슬래브의 두께는 150 mm이며 2개 층으로 150 mm 간격의 D10 철근이 배치되었다.

실험체 J-H는 Fig. 2와 같이 기둥 하부 콘크리트 경화 후 접합부에 HPFRCC를 내부까지 충진하였다. HPFRCC 적용 범위는 수평방향으로 슬래브를 포함하여 기둥 표면으로부터 보의 높이와 같은 길이인 500 mm, 수직방향으로는 보의 표면으로부터 기둥의 두께와 같은 길이인 330 mm까지이다(Qudah and Maalej 2014; Saghafi et al. 2019)(22,24).

실험체의 보-기둥 모멘트비는 1.5이고, 접합부 예상 전단강도는 57 kN이고, 보 항복 시 전달되는 접합부 요구 전단력은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 각각 37.6 kN과 60.1 kN이다.

실험체 가력계획과 부호방향은 Fig. 3에서 나타냈다. 두 개의 액추에이터를 실험체 기둥 중심에서 2,750 mm 떨어진 각 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횡하중을 실험체에 작용하도록 하였다. 실험은 실험체의 EW보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NS 보만 변형이 발생하는 일방향 하중 실험을 진행하였다.

FEMA 461(2007)(12)에 따라 목표 변위비 0.10 %를 시작으로 매 단계마다 목표 변위비를 1.4배씩 증가시키고 각 단계마다 2회씩 반복가력하였다. 실험은 실험체의 내력이 최대내력의 80 % 이상 저하되거나 하중이 급격히 저하될 때 종료하였다.

일반적인 건축물의 기둥에 작용하는 축하중을 재현하고자 실험 중 모든 실험체의 기둥에는 축력비 21% ($0.21 f_{ck}^{'}A_{g}$)의 일정한 축력을 가하였다(Hassan 2011)(16).

3. 실험결과

Fig. 4는 실험 종료 이후에 각 실험체의 접합부 균열을 나타낸 것이다. 두 실험체 모두 접합부에 사인장균열이 발생하여 접합부 파괴를 의심하였다. RC 실험체인 J-RC는 변위비 2.89 %부터 접합부에 콘크리트 피복 탈락이 발생하였으나 HPFRCC 실험체인 J-H는 실험 종료까지 콘크리트 피복탈락이 발생하지 않았고 비교적 더 많은 잔균열이 나타났다.

Fig. 2. Reinforcement details in concrete cross-sections

../../Resources/kci/JKCI.2021.33.5.441/fig2.png

Fig. 3. Test setup and specimen support conditions

../../Resources/kci/JKCI.2021.33.5.441/fig3.png

Fig. 4. Cracking patterns of specimens after tests

../../Resources/kci/JKCI.2021.33.5.441/fig4.png

Fig. 5. Cyclic curves of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1.33.5.441/fig5.png

Table 6. Overview of specimen characteristics

Specimen

$F_{c}^{+}$

(kN)

$\theta_{c}^{+}$

(%)

$\theta_{u}^{+}$

(%)

$F_{c}^{-}$

(kN)

$\theta_{c}^{-}$

(%)

$\theta_{u}^{-}$

(%)

J-RC

49.18

2.07

3.70

58.52

2.07

3.83

J-H

60.67

4.04

6.20

76.51

2.89

4.64

Fig. 5는 반복가력을 받는 각 실험체의 변위비에 대한 이력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파괴모드를 평가하기 위해 Fig. 5에 보의 휨강도에 도달하였을 때 전달된 접합부 전단력과 접합부 전단강도를 각각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만약 접합부 전단강도가 더 작으면 보가 휨파괴 발생하기 전에 접합부가 전단파괴가 예측된다. 하지만 접합부 전단강도가 더 크면 접합부 파단 전에 보의 휨파괴 발생이 예상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보의 휨 내력은 Hognestad(1951)(18)의 콘크리트 모델과 탄소성 변형을 가정한 철근 모델로 단면해석하여 첫 인장 철근 항복에 대한 전단 하중으로 구하였다.

슬래브를 고려한 보의 유효폭은 ACI 318(2014)(1)에 따라 680 mm로 산정하였다. 실험체 J-RC, J-H의 접합부 전단강도는 ACI 318(2014)(1)에 따라 계산하였다.

각 실험체의 실험결과는 Table 6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F_{c}$는 최대내력, $\theta_{c}$는 $F_{c}$에서의 변위비, $\theta_{u}$는 내력이 20% 감소했을 때의 변위비이다. HPFRCC 실험체 J-H는 RC 실험체 J-RC 보다 평균 27% 높은 최대내력과 44% 높은 최대변위를 보였다.

실험체 J-RC, J-H는 보의 휨내력과 접합부 전단강도 이상의 내력을 보여, 이력곡선상에서는 보 항복 후 접합부가 파괴되는 보-접합부 파괴모드를 나타내었다(Fig. 4).

4. 분 석

4.1 강성감소율

Fig. 6은 각 실험체의 강성을 첫 가력 단계의 강성으로 나누어 정규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강성은 각 사이클에서 변위가 최대일 때의 내력의 차를 변위의 차로 나누어 구하였다.

실험체 J-RC는 최대내력 도달 시의 변위비 2.07 %에서 강성이 21 %로 감소하였고, 실험체 J-H는 최대내력 도달 시의 변위비 4.04 %에서 마찬가지로 21 %로 감소하였다. HPFRCC 실험체 J-H는 RC 실험체 J-RC보다 각 가력단계마다 더 적은 강성 감소율을 보여 같은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구조물 손상이 더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2 누적 에너지 소산

Fig. 7에 각 실험체의 누적 에너지 소산을 변위비에 따라 나타내고 Table 7에서 이를 요약하였다. 누적 에너지 소산은 NS보의 하중-변형 이력곡선상의 면적 합으로 계산하였다(Hassan 2011)(16). 최종 누적 에너지 소산은 내력이 최대 내력의 80 %로 감소하여 실험을 종료한 변위비의 첫 사이클까지의 누적 에너지 소산량으로 정의하였다.

Fig. 6. Normalized stiffness degradation

../../Resources/kci/JKCI.2021.33.5.441/fig6.png

Fig. 7. Cumulative energy dissipation of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1.33.5.441/fig7.png

Table 7. Summary of cumulative energy dissipation

Specimen

The first step after the load decreased to 80 % of maximum load

The first cycle

Drift ratio

(%)

Energy dissipation of the first cycle (kN・m)

J-RC

23

4.05

22.1

J-H

25

5.67

32.2

실험체 J-RC의 최종 누적 에너지 소산량은 22.1 kNm, J-H는 32.2 kNm로 나타나 HPFRCC로 적용하였을 때 46 % 더 높은 최종 누적 에너지 소산을 보였다.

4.3 접합부 전단변형률

접합부 패널존의 전단변형률을 측정하고자 Fig. 8과 같이 LVDT를 부착하였다. 접합부 전단변형률 $\theta_{j}$는 식(1)로 계산하였다(De Risi et al. 2016)(10). 여기서, $\epsilon_{d}$는 실험체 접합부에 대각 방향, $\epsilon_{y}$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LVDT로 측정한 변위에 대한 변형률이다.

(1)
$\theta_{j}=\dfrac{\epsilon_{d}-\epsilon_{y}\sin^{2}\theta}{\sin\theta\cos\theta}$

Fig. 9는 각 실험체의 접합부 전단변형률의 절대값을 변위비에 따라 나타내어 비교한 것이다. 실험체 J-RC와 J-H를 비교하였을 때 변위비 1.48 %부터 같은 변위비에서 HPFRCC 접합부가 RC 접합부보다 더 적은 전단변형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4 ASCE 41-17 모델과의 비교

Fig. 10은 접합부 전단력과 변형률에 대해 실험결과와 ASCE 41-17에서 제안하는 접합부 모델의 매개변수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에서 $V_{j}$는 액추에이터로 작용시킨 접합부에 전달된 전단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실험결과가 최대하중 이후에도 하중 변위 곡선이 급격하게 저하되지 않는 점을 고려하여 최대하중점에서 파단점을 연결하여 예상 전단력-변향도 곡선을 작성하였다. Fig. 10에서 실험결과의 매개변수는 접합부 전단강도 식(2)의 $V_{j}$에 실험체에 가해지는 전단하중을 대입하고 $\gamma$ 값을 역산하여 구하였다.

Fig. 8. Schematic drawing of LVDT setup at joint panel (unit: mm)

../../Resources/kci/JKCI.2021.33.5.441/fig8.png

Fig. 9. Comparison of joint shear strain

../../Resources/kci/JKCI.2021.33.5.441/fig9.png

Fig. 10. Shear stress response versus deformation

../../Resources/kci/JKCI.2021.33.5.441/fig10.png

(2)
$V_{j}=0.083\gamma\sqrt{f_{c}^{'}}A_{j}$

여기서, $A_{j}$는 접합부 유효단면적 330 mm×330 mm로 계산하였다. ASCE 41-17은 보가 연속되지 않고 횡보강근이 충분하지 않은 모서리 접합부에 대해 계수 $\gamma$ 값을 6으로 제시하였다.

실험체 J-RC는 $\gamma$ 값은 정가력 방향에서 최대 7.26으로 ASCE 41-17에서 제시한 6보다 21% 더 높았으나 부방향으로는 최대 5.52로 6보다 8% 더 낮게 나타났다. ASCE 41-17 모델과 실험결과가 정방향과 부방향에서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에서 ASCE가 41-17 모델이 슬래브의 비대칭성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데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내부 보 기둥 접합부에서는 영 방향 하중에 대하여 대칭적인 거동을 보이지만 모서리 경우의 경우 한쪽에만 보와 접하여 있어 슬래브가 접합부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실험체 J-H의 $\gamma$ 값은 정방향에서 최대 7.60으로 ASCE 41-17 모델보다 27% 더 높았고, 부방향에서 최대 6.75로 13% 더 높게 나타나, 접합부에 HPFRCC 적용하였을 때 ASCE 41-17 모델이 실험결과보다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PFRCC를 적용한 실험체의 경우 ASCE 41-17에서 요구하는 6 값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슬래브가 있는 HPFRCC와 RC 보-기둥 모서리 접합부를 반복하중을 가하여 내진거동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실험에 기반하여 다음 결론들이 도출되었다.

1) HPFRCC 모서리 접합부 실험체는 RC 실험체보다 더 높은 최대내력, 최대변위, 최종 누적 에너지 소산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FRCC 실험체가 RC 실험체에 비하여 강성 감소율과 전단 변형률이 더 낮아 같은 횡변위가 발생하였을 때 적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RC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형상이나 철근양 변화없이 HPFRCC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2) ASCE 41-17의 모델파라미터 값이 슬래브의 비대칭성에 의한 영향이 고려되어 있지 않아 모서리 접합부의 경우 하중 방향에 비대칭적인 거동을 모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3) 실험체 J-RC $\gamma$ 값은 정가력 방향에서 최대 7.26으로 ASCE 41-17에서 제시한 6보다 21% 더 높았으나 부방향으로는 최대 5.52로 6보다 8% 더 낮게 나타났다. HPFRCC 실험체 J-H는 정방향에서 최대 7.60으로 ASCE 41-17 모델보다 27% 더 높았고, 부방향에서 최대 6.75로 13%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ASCE 41-17(ASCE 2017)의 강도요구조건을 하중 방향과 상관없이 HPFRCC 실험체가 만족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국토교통과학기술 진흥원(21CTAP-C152179-03)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를 표한다.

References

1 
ACI Committee 318 , 2014,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ACI 318-14) and Commentary (ACI 318R-14).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2 
ACI Committee 318 , 2019,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19) and Commentary.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3 
ACI Committee 352 , 2002, Recommendations for Design of Beam-Column Connections in Monolithic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Google Search
4 
Akkari A., 2011, Evaluation of a Polyvinyl Alcohol Fiber Reinforced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 for a Thin-Bonded Pavement Overlay, Evaluation of a Polyvinyl Alcohol Fiber Reinforced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 for a Thin-Bonded Pavement Overlay, Vol. Report MN/RC 2011-11Google Search
5 
ASCE , 2017, Seismic Evaluation and Retrofit of Existing Buildings (ASCE/SEI 41-17). Reston, V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Google Search
6 
ASTM C39/C39M , 2005,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ylindrical Concrete Specimen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7 
ASTM C469/C469M-14 , 2014, Standard Test Method for Static Modulus of Elasticity and Poisson’s Ratio of Concrete in Compression.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8 
ASTM E8/E8M-16a , 2016, Standard Test Methods for Tension Testing of Metallic Material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9 
Bayasi Z., Gebman M., 2002, Reduction of Lateral Reinforcement in Seismic Beam-Column Connection via Application of Steel Fibers, ACI Structural Journal 99, pp. 772-780Google Search
10 
De Risi M. T., Ricci P., Verderame G. M., Manfredi G., 2016, Experimental Assessment of Unreinforced Exterior Beam-Column Joints with Deformed Bars, Engineering Structure, Vol. 112, pp. 215-232DOI
11 
Engindeniz M., 2008, Repair and Strengthening of Pre-1970 Reinforced Concrete Corner Beam-Column Joints Using CFRP Composites,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Google Search
12 
FEMA , 2007, Interim Testing Protocols for Determining the Seism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Components (FEMA 461). Washington, D.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Google Search
13 
Filiatrault A., Pineau S., Houde J., 1995, Seismic Behavior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Interior Beam-Column Joints, ACI Structural Journal, Vol. 92, pp. 543-552Google Search
14 
Fischer G., Li V. C., 2003, Deformation Behavior of Fiber- Reinforced Polymer Reinforced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 (Ecc), Flexural Members under Reversed Cyclic Loading Conditions, Vol. aci structural journal, No. 100, pp. 25-35Google Search
15 
Gefken P. R., Ramey M. R., 1989, Increased Joint Hoop Spacing in Type 2 Seismic Joints using Fiber Reinforced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Vol. 86, pp. 168-172Google Search
16 
Hassan W. M., 2011, Analytical and Experimental Assessment of Seismic Vulnerability of Beam-Column Joints without Transverse Reinforcement in Concrete Buildings, Ph.D. Ann Arbor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Google Search
17 
Henager C., 1977, Steel Fibrous-Ductile Concrete Joint for Seismic-Resistant Structures, Special Publication, Vol. 53, pp. 371-386Google Search
18 
Hognestad E., 1951, A Study of Combined Bending and Axial Load in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niversity of Illinois Engineering Experiment Station, Vol. bulletin 399Google Search
19 
JSCE , 2008, Recommendation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with Multiple Fine Cracks (HPFRCC).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JSCE), Concrete Engineering Series No. 82Google Search
20 
MOLIT , 2018, Design Standard for Concrete Building Structures (KDS 41 30 00).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Google Search
21 
Para-Montesinos G. J., Peterfreund S. W., Chao S. H., 2005, Highly Damage-Tolerant Beam-Column Joints through Use of 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s, ACI Structural Journal, Vol. 102, No. 3, pp. 487-495Google Search
22 
Qudah S., Maalej M., 2014, Application of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ECC), in Interior Beam-Column Connections for Enhanced Seismic Resistance, Vol. engineering structures, No. 69, pp. 235-245DOI
23 
Saghafi M. H., Shariatmadar H., 2018, Enhancement of Seismic Performance of Beam-Column Joint Connections Using HPFRCC,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80, pp. 665-680DOI
24 
Saghafi M. H., Shariatmadar H., Kheyroddin A., 2019, Seismic Behavior of 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s Beam-Column Connection with High Damage Toler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13:14DOI
25 
Zhou J., Pan J., Leung C. K. Y., 2015, Mechanical Behavior of Fiber-Reinforced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in Uniaxial Compression,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27, No. 04014111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