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시험인증본부 전임기술원 (Technician, Construction Test & Certification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Goyang 10223, Rep. of Korea)
  2. 강원대학교 첨단건설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Advanced Construction Research Cent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Rep. of Korea)
  3. 강원대학교 강원종합기술연구원 연구교수 (Research Professor, Kangwon Institute of Inclusive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Rep. of Korea )
  4.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Professor, Civi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Rep. of Korea)



셀룰러 콘크리트, 고성능, 물리적 특성, 폴리머 분말, 실리카퓸
cellular concrete, high-performance, physical characteristics, polymer powder, silica fume

1. 서 론

가장 일반적인 고성능 콘크리트 생산방법은 혼합시멘트와 이동식 믹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현실적으로 현장에서는 배치 플랜트에서 고성능 콘크리트의 생산이 어려우므로, 혼화재료 또는 폴리머를 미리 혼합한 혼합시멘트와 맞춤형 혼화제를 이동식 믹서에서 배합한 후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시멘트를 미리 프리브랜딩 해야하기 때문에 시멘트의 생산원가가 매우 비싸고, 무엇보다도 가장 큰 문제점은 이동식 믹서의 용량 제한으로 인해 정해진 시간 안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물량을 생산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Lee 2018)(14).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셀룰러 스프레이 콘크리트공법이 개발되었다. 현장에 도착한 레미콘에 셀룰러(기포)를 첨가하여 볼베어링 효과를 통해 콘크리트를 고유동화 시킨다. 이러한 고유동 콘크리트에 필요로 하는 혼화재료를 레미콘에 직접 첨가하여 고성능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맞춤형 공법이다. 셀룰러(기포)를 투입하여 생성된 많은 공기량은 펌프카 끝단에 스프레이 분사장치를 설치하여 시공함으로써 적정한 공기량 확보가 가능하고, 이렇게 생성된 내부공극은 강도와 내구성 확보가 충분한 상태로 제어된다.

한승연(Han 2014)(4)은 실리카퓸의 높은 분말도로 인해 프리브랜딩을 통해서만 사용되던 고성능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기 배합된 콘크리트에 셀룰러를 첨가하여 분산성을 극대화시킨 뒤, 실리카퓸을 첨가하여 고성능 콘크리트(HPC)를 경제성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셀룰러 혼입량에 따른 실리카퓸의 분산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상헌(Lee 2014)(15) 역시 교면포장용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LMC)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라텍스와 셀룰러를 기 배합된 콘크리트에 후 첨가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교면포장용 콘크리트의 굳기 전 특성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Lee 2014)(15).

남궁경(Namgung 2017)(17)은 더 나아가 일반콘크리트를 이용하여 1층에 타설하고, 레미콘에 혼화재료(실리카퓸, 폴러머 분말 등)와 셀룰러를 추가 혼입한 뒤, 펌프카에 분사장치를 설치하여 2층으로 스프레이 시공하는 2층 콘크리트 포장(2LCP)에 대한 연구와 시험포장을 실시하였다(Namgung 2017; Namgung et al. 2019)(17,18).

이처럼 기존 연구자들이 고안한 셀룰러 스프레이 콘크리트는 레미콘만 공급된다면, 일반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특수콘크리트로 변환하여, 즉시 시공하기 때문에 도로포장은 물론 경사면 시공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고가의 고성능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활용성이 매우 높은 공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셀룰러 스프레이 콘크리트 공법은 공기압축기나 스프레이 분사장비와 같은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하며, 생산속도가 다소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선 선행 연구자들이 각각 적용한 HPC, LMC, 2LCP에 대한 배합설계를 기본으로, 전통적인 이동식 믹서 방법(normal mix, N)과, 셀룰러(기포) 투입으로 발생한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스프레이를 이용해 시공하는 방법(sprayed mix, S), 소포제를 투입하여 시공하는 방법(A.A mix, A)으로 나눠, 최종적으로 동일한 배합설계를 가지는 고성능 콘크리트가 공법에 따라 어떠한 강도 및 내구특성을 보이는지 검토하였고, 시공방법에 따른 강도 및 내구특성과 장/단점 등을 분석하였다. Fig. 1은 본 연구의 컨셉을 나타낸 표이다.

2. 실험계획 및 재료

2.1 배합방법

시험편 제작방법은 앞서 서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혼합시멘트를 이용한 이동식 믹서 시공방법(N), 셀룰러 스프레이 콘크리트 시공방법(S), 셀룰러 콘크리트에 소포제를 적용하는 시공방법(A)을 각각 현장 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묘사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혼합시멘트 시공방법(N)의 경우 일반 강제식 배합기에 골재와 시멘트를 프리브랜딩 하여 재료가 완전히 혼합되도록 건배합 상태로 충분히 프리믹스한 뒤 최종적으로 배합수를 첨가하여 배합된 콘크리트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셀룰러 스프레이 콘크리트 시공방법(S)의 경우 셀룰러를 완전히 혼입하기 위해 Fig. 2(a)와 같은 상하 교반 중력식 배합기를 사용한다. 레미콘을 묘사한 보통 콘크리트를 배합 후 기포를 투입한다. KS F 2409(KATS 2016a)(7)을 이용하여 배합설계에서 제시한 원하는 공기량의 고유동성 콘크리트로 만든 뒤, 분말형 혼화재료(실리카퓸, 폴리머분말)를 혼입하였다. 피스톤 압송 대형 스프레이 장비 대신 Fig. 2(b)와 같은 간이 스프레이 장치를 제작하여 현장조건과 유사한 환경을 묘사하였다.

Fig. 1. Three different types of concrete formulation method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1.png

Fig. 2. Test equipment and setup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2.png

셀룰러 콘크리트와 소포제를 이용한 시공방법(A)의 경우 셀룰러 스프레이 시공방법과 마찬가지로 상하 교반 중력식 배합기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모든 콘크리트를 배합한 뒤 스프레이 방법을 통해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소포제를 적정량 투입하여 공기량을 확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Table 1. Chemical properties of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Type

SiO2

(%)

Al2O3

(%)

CaO

(%)

Fe2O3

(%)

MgO

(%)

SO3

(%)

Na2Oeq (%)

TiO2

(%)

K2O (%)

Na2O (%)

OPC

21.54

5.60

62.59

3.38

2.70

1.96

0.74

-

1.05

0.05

2.2 사용재료

2.2.1 시멘트

실험에 사용한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KS L 5201 (KATS 2016b)(8)에서 규정된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규격을 만족하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다음의 본 실험에서는 Table 1의 화학적 특성에 해당하는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2.2.2 골재

본 연구에 사용된 잔골재는 밀도가 2.60인 부순 강모래를 사용하였고, 쇄석 골재는 기존 연구와 재현성을 위해 고성능 콘크리트(HPC)와 교면포장용 콘크리트(LMC)의 경우에는 13 mm 굵은 골재를, 2층포장 콘크리트(2LCP)의 경우에는 25 mm 굵은 골재를 물로 세척 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2.2.3 실리카퓸

실리카퓸을 스프레이 콘크리트의 재료로 사용할 경우 재료의 점착력과 부착력의 증가로 리바운드가 현저히 감소되어 지고 이로 인해 재료 사용의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기강도 및 내구성의 증진으로 고성능 콘크리트 재료로 유용하게 쓰인다(Choi 2010)(2).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aggregate

Type

Size

(mm)

Density

Absorption ratio (%)

Fineness modulus

Fine aggregate

-

2.60

0.60

2.76

Coarse aggregate

13

2.65

0.72

6.37

25

2.65

0.76

6.60

Table 3.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ilica fume

Property

Physical

properties

Type

Undensified

Density (g/cm3)

2.2

Ignition loss (%)

<3.45

Surface area (cm2/g)

200,470

Form

Sphericity 90 %

Particle size (µm)

1

Unit weight (kg/m3)

250~300

Ingredient

Silicon (>85 %)

Chemical

properties

SiO2 (%)

90.4

Al2O3 (%)

<1.5

Fe2O3 (%)

<3.0

CaO (%)

<0.7

MgO (%)

<2.0

SO3 (%)

<0.2

첨가되는 실리카퓸의 양만큼 시멘트량을 치환하여 사용되며, 유럽통합규정에서는 최대 사용량을 포틀랜드 시멘트량의 15 %로 제한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7~8 % 내외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Diamond, and Sahu 2006)(3). Table 3은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실리카퓸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2.2.4 라텍스

라텍스는 스틸렌(styrene)과 부타디엔(butadiene)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고분자 물질을 공중 합한 폴리머와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해서 만든 불투명한 흰색 액상물질이다. 물과 폴리머의 구성 비율은 일반적으로 약 50:50이며, 폴리머의 주요 구성성분인 스틸렌과 부타디엔이 66:34로 조성되어 있다. 소량의 계면 활성제와 안정제, 소포제가 첨가되어 있는 재료이다(Choi 2010)(2). 본 연구에서는 Table 4에 해당하는 라텍스를 사용하였다.

Table 4. Quality standard of latex

Butadiene content (%)

Total solid content (%)

pH

Clotting amount (%)

Surface tension (dyne/cm)

Average particle size (A)

Freezing-thawing safety

34±1.5

46~53

9.5~11

<0.1

<40

1,800~2,100

Less than coagulation 0.1 %

Table 5. Characteristics of polymer powder

Type

Quality

Solids content

98~100 %

Bulk density

500~600 kg/m3

Appearance

White powder

Particle size

Max. 2 % over 400 µm

Predominant particle size redispersion

0.5~8 µm

Table 6. Size and physical properties of antifoaming agent

Type

Specific gravity

pH

Color

Standard

1.00±0.02

7.0±2.0

White

Result

1.014

8.14

White

2.2.5 폴리머 분말

분말수지 라고도 불리는 폴리머 분말은 액상수지를 스프레이 건조하여 제조한 분산물질로써 물에 분산시키면 안전한 액상수지가 되는 제품이다. 물에 분산된 분말수지는 건조 후 물에 녹지 않는 비가역적인 폴리머 필름을 형성하고, 액상수지와 같이 시멘트와 혼합 사용되어 인장, 휨강도 등을 향상시키며 PVC, 목재, 금속표면 등 유기 또는 무기계 바탕제와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Park 2016)(19).

시멘트 콘크리트에 추가로 혼입하게 되면 경화과정에서 결합재로 작용하여 마모저항성, 접착력이 좋아지고, 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균열을 억제해주기 때문에 실리카퓸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Namgung 2017)(17). 본 실험에서는 Table 5에 해당하는 폴리머 분말을 사용하였다.

2.2.6 소포제

국내 생산되는 소포제 중 J사의 알콜계 소포제를 사용했다. 알콜계 소포제는 분산성과 지속성이 우수하며, 주성분이 지방산 유도체이므로 환경호로몬 발생 물질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 제품이다. Table 6은 본 실험에 사용된 소포제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2.2.7 기포제

기포제는 계면활성 작용을 통해 물리적인 힘으로 기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혼화제이다. 기포의 형성은 기포제에 의해 수용액의 표면장력이 낮아지고 점도가 높아지면서 외부로부터 교반 또는 공기의 도입을 통해 형성된다(Jung 2012)(5).

본 연구에서는 국내 H사의 기포제를 이용하여 선발포 방식으로 셀룰러를 생성 후 기 배합된 콘크리트에 셀룰러 혼입을 통해 분산성을 극대화 시킨 고유동 콘크리트에 혼화재료(실리카퓸과 폴리머분말 등)를 혼입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2.3 실험방법

2.3.1 공기량 및 슬럼프 시험

1) 공기량 시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은 배합단계에서 10~30 %까지 증가된 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KS F 2409(KATS 2016a)(7)를 이용하였고, 최종적으로 생산된 콘크리트는 KS F 2421(KATS 2016c)(9) 규정에 의거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2) 슬럼프 시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판단하기 위하여 KS F 2401(KATS 2017a)(10)에 따라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후 KS F 2402(KATS 2017b)(11)의 의거하여 슬럼스 시험을 실시하였다.

2.3.2 압축강도 시험

압축강도 시험은 ø100×200 mm의 원주형 공시체를 제작하여 KS F 2405(KATS 2017c)(12) 규정에 따라 측정하였다.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각각 28일, 56일에 해당하는 시점에서 압축강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2.3.3 화상분석 실험

공극구조를 분석을 통한 내구성 지수 예측을 위하여 화상분석법(image analysis, IA)을 사용하였다. 공극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은 ASTM C 457(2009)(1)에 규정되어 있으며, 어느 주어진 화상으로부터 물체의 크기와 이의 분포도, 밝기, 높이, 면적, 위치, 형상 등을 추출해 내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 정량적인 정보를 추출해 가는 분석방법이다. Fig. 3(a)는 화상분석 기기 HF-MA C01의 모습이다(ASTM C 457 2009)(1).

화상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사전 준비 작업으로 표면연마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분석 시 오차를 줄이기 위한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 콘크리트 공시체를 50 mm로 커팅한 직후에는 공시체의 표면이 매우 거칠어 공극의 구별이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규정에 따라 SiC 파우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을 연마하여 사용하였다. Fig. 3(b)는 표면 연마제와 가공이 끝난 시험편의 모습이다.

Fig. 3. Image analysis test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3.png

2.3.4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은 KS F 2711(KATS 2017d)(13)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시험은 구조물의 염화물 침투성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어지는 중요한 내구성 시험이다.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방법은 28일간 수중에서 양생한 시편에서 코어를 채취하여 지름 100 mm의 콘크리트 시편을 길이가 50 mm가 되도록 커팅한 다음, 실험을 수행하기 전까지 상대습도 95 % 이상 유지시킨다. 실험 시 시편은 Applied Voltage Cell에 고정시키고 회로 구성을 한다.

Fig. 4(a)는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의 직류회로를 설명하고 있고, Fig. 4(b)는 A.V. Cell의 상세도이다. 이 회로에서 전원은 60±0.1 V의 직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실험을 수행하는 동안 전해질 용액이 새지 않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Sealant는 고무제품이고 무게는 20~40 g 정도의 것으로 Cell과 시편 사이를 고정시킨다.

실험은 A.V. Cell의 (-) 전극에 3.0 %의 염화나트륨(NaCl) 용액을 채우고 (+) 전극 쪽에는 0.3 M의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채운다. 3 % 염화나트륨 용액은 물 900 ml에 염화나트륨 30 g을 용해시킨 후 물을 가하여 1,000 ml의 용액을 만들고 0.3 M 수산화나트륨용액은 증류수 1,000 ml에 수산화나트륨 12 g을 용해시켜 제조한다.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용액의 초기 온도는 20~25 °C를 유지하도록 하고, 시험 중 용액의 온도는 90 °C 이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실험 중 30분마다 0.2 Ω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데이터로거를 사용하여 총 6시간 동안 측정하고 기록한다. 이때 전압은 0.1 mV까지 측정 가능해야 하고 ±0.1 %의 정도의 정밀도를 가진 장치이어야 한다. 측정한 전압값은 다음 식(1)에 의하여 전류치로 환산한다.

Fig. 4. Equipment for chloride ion penetration test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4.png

Table 7. Penetration evaluation standard

Coulombs (C)

Rating

4,000<

High

2,000~4,000

Moderate

1,000~2,000

Low

100~1,000

Very low

<100

Negligible

(1)
$I=\dfrac{V}{R}=\dfrac{V}{0.2}$

여기서, $I$ : 전류(amperes, A)

$V$ : 전압(volts, V)

$R$ : 저항(ohms, Ω)

염소이온 투과실험은 매 시편마다 6시간이 소요되고 30분 간격으로 전압값을 측정한다. 측정된 전압을 전류로 환산하고 다음 식(2)를 이용하여 회로를 통과한 총 전하량을 산정한다.

(2)
$Q=900\times(I_{0}+2I_{30}+2I_{60}+\cdots +2I_{330}+2I_{360})$

여기서, $Q$ : 회로를 통과한 전하량(coulomb)

$I_{n}$ : 실험 시작 후 $n$분이 경과하였을 때의 전류(amperes)

KS F 2711(KATS 2017d)(13) 규정에서는 본 실험에서 산정된 전하량으로 염소이온 투과성과 비교할 수 있도록 Table 7과 같이 투수성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2.4 배합설계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소포제를 이용한 고성능 콘크리트 공법과 서론에서 소개된 기존의 공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선행 연구가 진행된 대표적인 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설계인 숏크리트 및 단면보수용 고성능 콘크리트 배합(HPC), 교면 포장 배합(LMC),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2층 콘크리트 신설 포장 배합(2LCP)으로 결정하였다.

또한 시공방법을 변수로는 기존부터 사용되는 혼합시멘트를 이용한 일반적인 시공방법(N), 셀룰러 스프레이 콘크리트 시공방법(S)과, 비교를 위하여 셀룰러 콘크리트에 소포제를 적용하는 시공방법(A)을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결정된 세 가지 고성능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와 시공방법(스프레이, 소포제)에 따라 최적의 셀룰러 혼입률을 확인하기 위해 변수별로 0, 10, 20 및 30 %로 각각 셀룰러를 질량대비 투입하여 굳기 전 콘크리트의 작업성과 굳은 후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셀룰러 투입량은 앞서 실험방법에서 설명한 대로, KS F 2409(KATS 2016a)(7)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변수별 콘크리트 배합설계는 Table 8과 같다.

3. 실험결과

3.1 슬럼프 시험 결과

슬럼프 시험은 기 배합된 콘크리트에 셀룰러와 분말형 혼화재료(실리카퓸, 폴리머분말)를 혼입한 후 측정을 실시하고, 스프레이 또는 소포제 투입 후에 실시하여 최종 콘크리트의 슬럼프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일반배합을 통한 최종 콘크리트에서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같은 배합설계를 가지는 콘크리트지만 시공방법 및 사용재료에 따라 다른 슬럼프 값을 나타내었다. Fig. 5는 모든 변수에서 슬럼프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시공방법 별로 HPC와 2LCP의 경우에는 소포제를 투입하는 것으로 일정수준 이상 슬럼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LMC의 경우에는 라텍스의 계면활성 작용에 의해 200 mm 이상의 슬럼프 값을 보였다.

Fig. 5. Slump test results by variables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5.png

3.2 공기량 시험 결과

공기량 시험은 슬럼프 시험과 마찬가지로 기 배합된 콘크리트에 셀룰러와 분말형 혼화재료(실리카퓸, 폴리머분말)를 혼입한 후 측정을 실시하고, 스프레이 또는 소포제 투입 후에 실시하여 최종 콘크리트의 공기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일반배합을 통한 최종 콘크리트에서도 실시하였다. 시공방법 및 사용재료에 따라 다른 공기량 값을 나타내었다.

Table 8. Mix design

Variables

Cellular

(%)

W/B

(%)

S/a

(%)

Unit weight (kg/m3)

SP

(%)

A.A.

(%)

C

S.F.

Latex

P.P.

W

S

G

N1)

(normal mix)

HPC

-

39

56

362.7

27.3

152.1

982.8

787.0

1.5

-

LMC

-

39

56

362.7

27.3

40.6

131.0

955.0

764.8

1.5

-

2LCP

-

40

42

360.0

18

7

144.0

760.4

1,070.3

1.5

-

S2)

(sprayed

mix)

HPC-10

10

39

56

362.7

27.3

146.4

982.8

787.0

1.5

-

HPC-20

20

140.8

HPC-30

30

129.4

LMC-10

10

39

56

362.7

27.3

40.6

125.2

955.0

764.8

1.5

-

LMC-20

20

119.7

LMC-30

30

108.3

2LCP-10

10

40

42

360.0

18

7

138.3

760.4

1,070.3

1.5

-

2LCP-20

20

132.7

2LCP-30

30

121.3

A3)

(A.A mix)

HPC-10

10

39

56

362.7

27.3

146.4

982.8

787.0

1.5

1.2

HPC-20

20

140.8

1.5

HPC-30

30

129.4

2.8

LMC-10

10

39

56

362.7

27.3

40.6

125.2

955.0

764.8

1.5

3.2

LMC-20

20

119.7

3.6

LMC-30

30

108.3

3.6

2LCP-10

10

40

42

360.0

18

7

138.3

760.4

1,070.3

1.5

1.4

2LCP-20

20

132.7

1.4

2LCP-30

30

121.3

1.4

Note: 1)Normal mix: cement mixing method using a mechanical mixer (hereinafter N); 2)Sprayed mix: cellular sprayed concrete method (hereinafter S); 3)A.A. mix: method applying antifoaming agent to cellular concrete (hereinafter A)

*Mixing volume varies depending on addition of cellular

셀룰러 스프레이 시공방법은 셀룰러 및 모든 혼화재료를 투입한 뒤 스프레이 방식으로 시공하면 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실험은 필요치 않다. Fig. 6은 스프레이 시공방법으로 시공한 콘크리트의 공기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스프레이 방식에서 각 단계별 공기량 변화 추이는 초기 셀룰러 혼입량이 증가 할수록 최종 공기량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대체 적으로 기존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초기 공기량과 관계없이 스프레이 후 일정량의 공기량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포제를 적용한 시공방법에서는 적정공기량 확보를 위해서 소포제의 투입량을 조절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라텍스가 혼입된 LMC 에서는 소포제의 성능발현이 다소 떨어졌다. Fig. 7은 소포제 혼입량과 공기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Table 8배합설계에 소포제 혼입량을 명시하였다.

3.3 압축강도 시험 결과

시험에 사용된 변수는 일반배합(N), 셀룰러 스프레이 배합(S)에 셀룰러를 각각 10~30 % 혼입 변수, 소포제 배합(A)에 셀룰러를 각각 10~30 % 혼입 변수이다. Fig. 8은 일반배합과 스프레이 배합 압축강도 시험결과 이며, Fig. 9는 일반배합과 소포제 배합 압축강도 시험결과 이다.

HPC에서 압축강도는 전체적으로 일반배합보다 셀룰러를 혼입한 변수가 높게 측정되었다. 스프레이를 적용한 경우는 셀룰러 혼입량이 많아질수록 점차적으로 강도 저하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소포제 변수에서는 소포제를 적절히 투입하여 안정적인 파포 성능을 확보하였기 때문에 셀룰러 혼입량이 바뀌어도 우수한 강도 발현을 나타냈다.

LMC에서 압축강도는 소포제를 혼입한 변수에서 낮게 측정되었다. 라텍스가 들어간 LMC에서 소포제의 성능발현이 떨어져 모든 변수에서 전체적으로 낮은 강도 발현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Air content test results by spray variables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6.png

Fig. 7. Air content test results by antifoaming agent variables and optimal antifoaming addition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7.png

Fig. 8. Compressive strength test results with normal mix and sprayed mix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8.png

Fig. 9. Compressive strength test results with normal mix and antifoaming agent mix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9.png

2LCP에서 압축강도는 스프레이 시공방식과 소포제 시공방식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셀룰러 혼입량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강도 발현을 보였다.

3.4 화상분석 시험 결과

간격계수와 공극의 비표면적은 콘크리트의 공극구조 특성을 파악하여 내구성 지수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특성치이다. Mindess et al.(2003)(16)에 의하면 공극의 비표면적은 최소 25 mm2/mm3 이상 확보되어야 하며, 간격계수는 200 µm 이하가 되어야 동결융해로부터 확실한 예방이 가능하다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위에서 제시된 간격계수 기준(200 µm 이하)은 간격계수와 내구성 지수의 관계에서 90 % 이상의 내구성 지수 확보에 적용되는 기준이다. 또한, Kansas DOT에서는 간격계수 기준을 250 µm 이상 규정하고 있는데(Kansas DOT Specification 2007)(6), 그 지역의 기후적 조건을 고려하여 기준을 달리하고 있다. 추운 지역일수록 200 µm보다 적은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고, 온난한 지역일수록 크게 적용하고 있다.

3.4.1 HPC 간격계수 및 비표면적

HPC 변수에서 셀룰러를 혼입하지 않은 혼합시멘트 시공방법에서는 간격계수가 339 µm과, 비표면적 15.81 mm2/mm3으로 측정되어 내구성 지수가 좋지 않게 평가되었다.

반면, 셀룰러 콘크리트에서는 스프레이 시공방법의 경우 셀룰러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비표면적은 증가하고, 간격계수는 감소하여 셀룰러 혼입량 30 %변수에서 비표면적 26.15 mm2/mm3과 간격계수 168 µm로 가장 내구성 지수가 높게 측정되었다.

소포제 시공방법의 경우 스프레이와 반대로 셀룰러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비표면적은 감소하고 간격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셀룰러 혼입량 10 %변수에서 비표면적 23.68 mm2/mm3과 간격계수 245 µm로 내구성 지수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Fig. 10은 HPC 변수에서 배합방법별로 간격계수 및 비표면적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Fig. 10. HPC durability factor test results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10.png

Fig. 11. LMC durability factor test results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11.png

Fig. 12. 2LCP durability factor test results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12.png

3.4.2 LMC 간격계수 및 비표면적

LMC 변수에서도 마찬가지로 셀룰러를 혼입하지 않은 혼합시멘트 시공방법에서 간격계수가 336 µm과, 비표면적 18.67 mm2/mm3으로 측정되어 내구성 지수가 좋지 않게 평가되었다.

반면, 셀룰러 콘크리트에서는 스프레이 시공방법의 경우 셀룰러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비표면적은 증가하고, 간격계수는 감소하여 셀룰러 혼입량 30 %변수에서 비표면적 29.72 mm2/mm3과 간격계수 155 µm로 내구성 지수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소포제 시공방법의 경우 스프레이와 마찬가지로 셀룰러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비표면적은 증가하고 간격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셀룰러 혼입량 30 % 변수에서 비표면적 18.98 mm2/mm3과 간격계수 254 µm로 내구성 지수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Fig. 11은 LMC 변수에서 배합 방법별로 간격계수 및 비표면적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Fig. 13. A 28-day and 56-day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test result in HPC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13.png

Fig. 14. 28-day and 56-day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test results in LMC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14.png

Fig. 15. 28-day and 56-day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test results in 2LCP

../../Resources/kci/JKCI.2021.33.5.459/fig15.png

3.4.3 2LCP 간격계수 및 비표면적

2LCP 변수에서 셀룰러를 혼입하지 않은 혼합시멘트 시공방법에서는 간격계수가 349 µm과, 비표면적 30.74 mm2/mm3으로 측정되어 내구성 지수가 좋지 않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추가로 셀룰러를 투입할 경우, 연행공기가 분포되어 간격계수가 231 µm, 비표면적 21.78 mm2/mm3으로 내구성 지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셀룰러 콘크리트에서는 스프레이 시공방법의 경우 셀룰러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비표면적은 증가하고, 간격계수는 감소하여 셀룰러 혼입량 30 % 변수에서 비표면적 24.40 mm2/ mm3과 간격계수 205 µm로 내구성 지수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소포제 시공방법의 경우에는 셀룰러 혼입량과 별다른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내구성 지수가 나쁘게 평가되었다. 소포제가 연행공기까지 파포시켜 적정 연행공기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12는 LMC 변수에서 배합 방법별로 간격계수 및 비표면적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3.5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 결과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시험은 재령28일과 56일 실험을 실시하였다. Figs. 13, 14 및 15는 각각 제령일에 따른 시험결과이다.

HPC에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은 전체적으로 일반배합보다 스프레이를 이용한 변수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스프레이를 적용한 경우는 셀룰러 혼입량이 많아질수록 점차 적으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소포제를 적용한 경우에는 셀룰러 혼입량이 바뀌어도 안정적인 저항성을 보였다.

LMC에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은 소포제 시공방식보다 스프레이 시공방식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특히 셀룰러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이 저하하는 경향을 보인다.

2LCP에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은 스프레이 시공방식과 소포제 시공방식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셀룰러 혼입량이 증가하여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을 보였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혼합시멘트를 이용한 일반적인 시공방법, 셀룰러 스프레이 콘크리트 시공방법, 셀룰러 콘크리트에 소포제를 적용하는 시공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강도 및 내구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세 가지 배합방법(N, S, A)을 적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 및 슬럼프와 같은 기초특성과 강도 및 내구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슬럼프는 기 배합된 콘크리트에 셀룰러를 혼입하면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때 일반배합과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LMC와 2LCP의 경우 스프레이 방법을 이용해야 하고, HPC와 LMC에서 소포제 방법을 이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MC의 경우에는 두 가지 방법 모두 비교적 슬럼프가 크게 측정되었는데, 이것은 라텍스의 계면활성작용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2) 적정공기량을 확보하기 위한 소포제의 혼입량은 셀룰러의 투입량과 별도로, 후투입 되는 혼화재료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HPC의 경우 대체로 비례하는 경향을 보이나, LMC의 경우 라텍스에 의해 소포제의 성능발현이 저하되었고, 2LCP의 경우 적은량의 소포제로도 공기량 확보가 가능했다.

3) 압축강도 시험 결과 셀룰러 혼입량이 늘어날수록 미세한 강도감소가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변수에서 40 MPa 이상의 우수한 압축강도 성능을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PC와 2LCP에서 일반배합보다 셀룰러를 혼입한 경우 동일하거나 우수한 강도 확보가 가능했다. 그러나, LMC에서 소포제를 적용한 경우 소포제의 성능저하로, 일정 공기량을 확보하지 못해 강도 증가폭이 다소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LMC 배합설계에서는 소포제 적용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라텍스와 소포제의 종류별 성능평가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화상분석을 통한 간격계수 및 비표면적 측정 결과, 스프레이 방법의 경우 셀룰러 혼입량이 늘수록 내구성 지수가 상승하며, 반대로 소포제 방법의 경우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HPC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소포제 투입량 증가로 인해 갇힌공기는 물론 연행공기까지 파포 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생산된 콘크리트가 연행공기 약 3~5 %를 확보했을 때 내구성 지수가 높게 측정되었다.

5)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을 통한 수밀성 평가결과 라텍스 또는 폴리머 분말이 첨가된 LMC와 2LCP에서는 대부분 재령 56일 이후 안정적으로 1,000 Coulombs 이하를 보이며 우수한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HPC의 경우 스프레이 타설한 변수에서 수밀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낮은 슬럼프의 재료를 스프레이 하는 과정에서 기포의 파포 효과가 다소 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차후 장비 개선 등의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셀룰러 콘크리트에 소포제를 적용하는 방법은 셀룰러 콘크리트를 스프레이 없이 타설 가능하여 시공속도를 증가시키고, 공사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소포제의 파포 성능을 감안하여 강도 및 내구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용해야 한다. 특히 라텍스와 함께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 할 필요가 있다. 스프레이 공법과 소포제 공법은 현장 상황과 콘크리트의 필요 성능에 맞게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제번호: 21POQW-B152671-03) 지원과 2017년도 강원대학교 대학회계 학술연구조성비(관리번호-520170168)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STM , 2009, Standard Test Method for Microscopical Determination of Parameters of the Air-Void System in Hardened Concrete C457, West Conshohocken: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2 
Choi P. G., 2010, Early-Age Shrinkage and Air Void Structure of Very-Early Strength Latex-Modified Concrete Using Ultra- Fine Fly Ash,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South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3 
Diamond S., Sahu S., 2006, Densified Silica Fume: Particle Sizes and Dispersion in Concrete,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39, pp. 849-859DOI
4 
Han S. Y., 2014, Dispersion of Silica Fume by Air Slurry and Its Effect on Mechanical Properties at Ready Mixed Concrete, Master’s Thesis of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South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5 
Jung J. Y., 2012, Properties of Foamed Concrete according to Using Methods and Types of Foaming Agent, Thesis of Doctor’s Degree,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South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6 
Kansas DOT Specification , 2007, Division 400 Concrete Standard Specifications, 401 Concrete, 401-5 Commercial Grade Concrete. 400-1-400-14Google Search
7 
KATS , 2016a, Standard Test Method for Unit Weight and Air Content (Gravimetric) of Fresh Concrete (KS F 2409),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8 
KATS , 2016b, Portland Cement (KS L 5201),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9 
KATS , 2016c, Standard Test Method for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by the Pressure Method (Air Receiver Method) (KS F 2421),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0 
KATS , 2017a, Standard Test Method for Sampling of Fresh Concrete (KS F 2401),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1 
KATS , 2017b, Standard Test Method for Concrete Slump (KS F 2402),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2 
KATS , 2017c,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S F 2405),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3 
KATS , 2017d, Standard Test Bethod for Resistance of Concret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by Electrical Conductance (KS F 2711),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4 
Lee K. R., 2018, Air Void Structures of Remixed High-Performance Cellula Concrete,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South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15 
Lee S. H., 2014, Fres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Concrete Added by Silica Fume Air Slurry And Latex, Master Degre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South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16 
Mindess S., Young J. F., Darwin D., 2003, Concrete 2nd ed,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75Google Search
17 
Namkung K., 2017, A Study on the Two Lift Concrete Pavement Using Cellular Sprayed Concrete, Master Degre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South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18 
Namkung K., Won M. S., Yun K. K., 2019, Two-Layer Concrete Pavement Construction Method Using Cellular Spraying Method, KCI 2019 Spring Conference. 8-10 May 2019. Jeju,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 Vol. 31, No. 1, pp. 683-684Google Search
19 
Park M. H., 2016, Rheology Properties of Cellular Sprayed Concrete by Adding the Powder,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South Korea (In Korean)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