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은
(Kyeong-Eun Choi)
1iD
김민준
(Min-Jun Kim)
2iD
김두산
(Doo-San Kim)
3iD
김형국
(Hyeong-Gook Kim)
4iD
김길희
(Kil-Hee Kim5)
5†iD
-
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Urban Systems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31080, Rep. of Korea)
-
LH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책임연구원
(Assistant Research Fellow, Land & Housing Institute,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Daejeon 34047, Rep. of Korea
3)Assistant Manager, I’ST Structural Engineering Group, Seoul 05836, Rep. of Korea
)
-
(주)아이스트 대리
(Assistant Manager, I’ST Structural Engineering Group, Seoul 05836, Rep. of Korea)
-
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연구교수
(Research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31080, Rep. of Korea)
-
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Urban Systems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31080, Rep. of Korea )
Copyright © Korea Concrete Institute(KCI)
키워드
철근콘크리트, 순수비틀림, 비틀림 내력, GFRP 시트, 섬유 보강 방향
Key words
reinforced concrete, pure torsion, torsional strength, GFRP sheet, fiber reinforcing direction
1. 서 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 중성화, 예상치 못한 외부하중, 용도변경에 의해 증가된 하중은 철근콘크리트의 균열폭 증가 및 내력저하를 유발한다.
내외부 자극에 의해 손상을 입은 구조물은 내구연한 확보와 유지관리 측면에서 보강되어야 한다. 구조물의 보강을 위하여 기존에는 부재의 단면증설 및 강판의
에폭시 접착에 의한 보강공법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중량 대비 높은 강도를 가지며 경량성, 비전도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Fiber
Reinforced Polymer(이하, FRP)를 이용한 보강공법의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FRP를 이용한 보강공법이 다양화되면서 이들의 성능검증에 대한 실험 및 해석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인 FRP는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GFRP)와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CFRP)로 구분할 수 있으며 RC 구조물의 성능 향상을 위해
보수보강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FRP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전단 거동 및 보강 방법에 대한 연구(
Lee et al. 1997;
Triantafillou 1998;
Kang et al. 2008
)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또한 국외에서는 2000년대 이후로 FRP 보강 시의 비틀림 거동에 대한 연구(
Panchacharam and Belarbi 2002;
Chalioris 2008;
Jariwala et al. 2013;
Alabdulhady and Sneed 2019
)가 꾸준히 증가해왔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휨, 전단에 비하여 부족한 관심도와 정밀한 실험 구현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FRP를 이용한 비틀림 보강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RC 부재에 대한 FRP의 비틀림 보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부재 레벨에서의 비틀림 실험과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FRP의 보강량 및 방법 등의 설계변수가 보강 RC 부재의 비틀림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설계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외부 편심하중, 수직 부재 간 강성 차, 작용 수직 하중의 불균형 등은 구조물에 비틀림 하중을 발생시키며(
Kim et al. 2020
), 과도한 비틀림 하중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나선형의 사인장 균열을 유발한다. 이에 대한 보강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 균열이 진전되면서 부재는 취성적인
거동을 나타내며 급작스럽게 파괴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FRP 시트 보강은 비틀림 부재에 대한 보강 방법의 하나로 그 적용 및 효과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RC 부재에 대한 FRP의 보강 효과는 FRP의 종류, 직조 형상, 보강 각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재가 요구
비틀림 내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주요 설계변수를 고려해 적절히 보강되어야 한다.
FRP를 적용한 구조물에 대한 비틀림 보강기준 중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u Béton(이하 fib)은 보강방법과 FRP의
종류를 고려한 비틀림 내력 평가식을 제시하는 반면,
ACI 440.2R-17 (2017)
은 FRP에 의해 보강된 부재의 휨 및 전단내력 평가식만을 제시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KDS 14 20(MOLIT 2021)
도 순수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휨, 전단, 비틀림 내력 평가식만을 제시하고 있어 FRP의 적용에 따른 내력 상승을 고려한 설계기준의 보완이 필요한다.
이 연구에서는 FRP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국내 구조기준의 마련에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GFRP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순수비틀림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틀림 균열이 발생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보강 유무 및 GFRP 섬유 방향과 부재축이
이루는 각을 변수로 하여 이들 변수가 부재의 비틀림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를 KDS 14 20(MOLIT 2021), fib Bulletin 14(2001) 및 Täljsten(2002)의 제안식과 비교하여 FRP로 보강된 부재의 비틀림 내력 평가식에 관한 국내 구조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기존 제안식들이 가지는 비틀림 내력
예측의 정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 현행 기준 및 기존 이론
2.1 KDS 14 20
KDS 14 20(MOLIT 2021)은 공간트러스 모델에 기초하고 있으며, 스터럽의 항복을 가정으로 식(1)과 같이 스터럽의 인장력과 콘크리트 스트럿의 압축력이 이루는 힘의 평형에 의하여 부재의 최대 비틀림 내력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내 기준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틀림 내력에서 FRP에 의한 비틀림 기여분을 반영하지 않는다.
여기서,
Ao는 전단흐름 안쪽의 단면적(mm
2)이며,
s는 폐쇄형 횡보강근의 간격(mm),
At는 폐쇄형 횡보강근의 단면적(mm
2),
fyt는 폐쇄형 횡보강근의 항복강도(MPa),
θ는 콘크리트 압축대의 경사각(degrees)이며 45°로 가정한다.
2.2 fib Bulletin 14
fib Bulletin 14(2001)에서는 섬유 방향과 부재 축이 이루는 각이 90°이며, 4면이 보강된 경우에 대하여 FRP의 비틀림 기여분을 고려한 비틀림 저항능력 평가식을 제시하고
있다. 평가식에서 비틀림에 저항하는 전단력은 식 (2)와 (3)과 같이 콘크리트 및 비틀림 보강근이 아닌 부재 전면에 보강된 FRP에 의해 지배된다.
여기서,
Ffd,v,
Ffd,h는 각각 FRP에 작용하는 부재 단면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전단력(N),
εfd,e는
FRP의 설계 유효 변형률,
Efu(=
ffk/εfuk)는 극한 시의 FRP 탄성계수(MPa),
ffk는
FRP 인장 강도의 5 %,
εfuk는 FRP 극한 변형률의 5 %,
tf는 FRP의 두께(mm),
bf는
부재 길이방향 FRP 폭(mm),
sf는 FRP와 콘크리트 사이의 상대 변위(슬립량)(mm) 또는 FRP 스터럽의 중심간 간격(mm),
b는
부재의 폭(mm),
h는 부재의 높이(mm)이다.
FRP로 보강된 부재의 비틀림 내력(Tfd)은 작용하는 전단력에 부재의 폭과 높이를 곱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식(4)에서 FRP의 설계 유효 변형률(εfd,e)은 식 (5),(6) 과 같이 산정한다.
여기서,
εfk,e는 FRP의 특성 유효 변형률,
εf,e는 FRP의 유효 변형률이다.
k는 콘크리트 인장강도에 대한 감소계수로 0.8을 사용하며,
γf는 재료 안전계수로 1.3을 사용한다.
FRP의 유효 변형률(εf,e)은 섬유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 압축강도(MPa)이며,
ρf는 FRP 보강 비,
εfu는 FRP의 극한
변형률을 나타낸다.
2.3 Täljsten 제안식
Täljsten(2002)은 FRP의 비틀림 저항 기여분을 트러스 모델에 적용하여 Fig. 1과 같이 섬유 방향과 부재 축이 이루는 각 β와 섬유 보강 방법(연속 또는 스터럽 보강)에 따른 보의 비틀림 내력 평가식을 아래와 같이
제안하였다. 제안식은
fib Bulletin 14
의 평가식과 마찬가지로 비틀림 보강근의 영향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Fig. 1 Fiber reinforcement method
Case 1 : 4면 연속 보강
β=45°
Case 2 : 4면 연속 보강
β=90°
Case 3 : 4면 스터럽 보강
β=45°
Case 4 : 4면 스터럽 보강
β=90°
여기서,
r은 FRP 스터럽 사이의 순간격(mm),
εf는 FRP의 유효 변형률이다. CFRP의 경우
εf=0.6
εfu를
사용하며, 이 연구에서는 GFRP에 적용하기 위하여
ACI440.2R-17(2017)에서 제안하고 있는
εf=0.004를 사용하였다.
Ef는 FRP의 탄성계수(MPa)이다.
3. 실험계획
3.1 사용재료
실험체 제작에는 배합강도 40 MPa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지름 100 mm, 높이 200 mm의 공시체를 제작하였으며, 실험체와 동일한 조건에서
양생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평균 압축강도는 32 MPa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주철근과 횡보강근의 강도는
SD300 및 SD400 등급이며, 주철근에는 D10 및 D13, 횡보강근에는 D10 철근을 사용하였다. Fig. 2는 주철근 및 횡보강근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나타내며, 이들 철근의 기계적 특성을 Table 1에 정리하였다.
Fig. 2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reinforcing bars
Table 1. Mechanical properties of reinforcing bars
Grade
|
Type
|
fy (MPa)
|
εy
|
Es (MPa)
|
SD300
|
D10
|
352.0
|
0.0018
|
195,556
|
D13
|
366.2
|
0.0021
|
174,381
|
SD400
|
D10
|
434.6
|
0.0025
|
173,840
|
D13
|
402.7
|
0.0022
|
183,045
|
실험체의 비틀림 보강에 사용된 E-Glass 섬유는
Fig. 3과 같이 폭 5 mm, 두께 0.365 mm의 단섬유(filament)들이 직교하여 방직된 시트 형태로 구성되며, 에폭시 수지로 함침하였다. 경화된
GFRP는
ASTM D3039/D3039M-17(2017)에 따라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인장시험 결과, GFRP의 인장강도와 탄성계수는 각각 1,443 MPa와 86,771 MPa으로 나타났다. GFRP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Fig. 4에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기계적 특성을
Table 2에 정리하였다.
Fig. 4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GFRP sheet
Table 2. Mechanical properties of GFRP sheet
Type
|
Weight
(g/m2)
|
Area
(mm2)
|
Tensile strength
(MPa)
|
Tensile modulus
(MPa)
|
E-Glass
|
960
|
18.25
|
1,443
|
86,771
|
3.2 실험체 계획
GFRP 시트 보강 및 철근 항복강도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비틀림 거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GFRP 시트 보강 유무, 섬유 방향, 철근의 항복강도를
변수로 총 5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Table 3은 실험체 일람을 나타낸다. 실험체명에서 GF는 GFRP 시트로 보강된 실험체이며, N은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를 나타낸다. 45와 90은 섬유 방향과
부재의 축이 이루는 각을 나타내며, 3과 4는 철근의 등급을 나타낸다. 실험체는 Fig. 5와 같이 스터브와 보로 구성된 켄틸레버 형태로 계획하였다. 실험체의 길이는 2,000 mm, 단면은 400×600 mm로 계획하였다. 실험구간에는
폐쇄형 횡보강근을 90 mm 간격으로 배근하였으며, 실험구간 이외의 구간에는 50 mm 간격으로 실험구간보다 조밀하게 배근하여 실험구간 이외에서 비틀림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계획하였다.
Table 3. Properties of specimens
Specimens
|
fck(MPa)
(MPa)
|
fyl (MPa)
|
fyt (MPa)
|
Size (mm)
|
Longitudinal reinforcement
|
Transverse reinforcement
|
Angle of FRP
|
FRP sheet
|
b
|
h
|
L
|
N-3
|
35.4
|
322.4
|
334.2
|
400
|
600
|
2,000
|
6-D13+8-D10
|
D10
|
-
|
None
|
N-4
|
477.4
|
485.7
|
GF45-4
|
32.0
|
416.4
|
434.6
|
400
|
600
|
2,000
|
6-D13+8-D10
|
D10
|
45°
|
GFRP sheet
1 layer
|
GF90-3
|
360.1
|
352.0
|
90°
|
GF90-4
|
416.4
|
434.6
|
Note: b: beam width; h: beam height; L: beam length; fyl: yield strength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fyt: yield strength of transverse reinforcement
|
Fig. 5 Details of specimens (unit: mm)
GFRP 시트에 의한 보강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보강 대상 실험체들(GF45-4, GF90-3, GF90-4)을 비틀림 균열 발생 시까지 가력한
이후, 실험구간 전면에 걸쳐 보강을 실시하였다. GFRP 보강은 콘크리트와 시트의 원활한 부착을 위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그라인딩 처리 후, 프라이머와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시트를 부착하였다. 시트는 실험체의 길이 방향으로 양 끝단에서 150 mm 만큼 겹침 이음하여 실험 중 부재 비틀림에 의한
시트의 탈락을 방지하였다.
3.3 가력 및 계측계획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순수비틀림을 가력하기 위하여 Fig. 6과 같은 가력장치를 사용하였다. 가력장치는 1,000 kN 용량의 액추에이터와 회전 프레임(rotation frame), 곡률 프레임(curvature
frame)으로 구성된다. 실험체는 회전 프레임에 구속되어 일정한 곡률로 곡률 프레임 상부의 구좌(ball bearing)를 따라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실험 중 회전축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Fig. 6. Test setup of specimen
비틀림 하중은 변위제어 방식으로 가력을 실시하였다. GFRP 시트로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는 최대 비틀림 내력 이후 최대 비틀림 내력의 80 %에 도달할
때까지 가력을 실시하였다. 보강 실험체는 GFRP 시트에 의한 보강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틀림 균열 발생 시점까지 가력 후, GFRP 시트로 보강하여
최대 비틀림 내력 이후 최대 비틀림 내력의 80 %에 도달할 때까지 재가력을 실시하였다.
주철근과 횡보강근의 변형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모든 실험체에는 Fig. 5(a)와 같이 스터브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였으며, GFRP 시트의 변형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트 외부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Fig. 5참조)하였다. 실험체의 비틀림 회전각은 Fig. 7과 같이 실험구간 양단부에 설치된 100 mm 용량의 LVDT로부터 계측된 변위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비틀림 모멘트-회전각 관계
GFRP 시트로 보강된 실험체와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의 비틀림 모멘트-회전각 관계를 Fig. 8에 나타내었으며, 실험결과와 현행 기준 및 기존 모델에 의해 계측한 비틀림 내력을 Table 4에 정리하였다. 보강된 실험체는 보강 이전과 이후의 실험결과를 각각 점선과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Fig. 8 Torque-Twist relationships of specimens
Table 4.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predicted results
Specimens
|
Experimental results
|
Predicted results
|
Ratio of experimental result to predicted result
|
Torque, Tn.exp
(kN・m)
|
Twist
(rad/m)
|
Tn.KDS
(kN・m)
|
Tn.Fib
(kN・m)
|
Tn.Täljsten
(kN・m)
|
Tn.exp / Tn.KDS
|
Tn.exp / Tn.Fib
|
Tn.exp / Tn.Täljsten
|
N-3
|
101.1
|
0.026
|
71.2
|
-
|
-
|
-
|
-
|
-
|
N-4
|
124.0
|
0.034
|
103.4
|
-
|
-
|
-
|
-
|
-
|
GF45-4
|
190.8
|
0.031
|
92.5
|
162.9
|
197.0
|
2.06
|
1.17
|
0.97
|
GF90-3
|
161.4
|
0.029
|
74.9
|
162.9
|
137.6
|
2.15
|
0.99
|
1.17
|
GF90-4
|
169.5
|
0.048
|
92.5
|
162.9
|
160.5
|
1.83
|
1.04
|
1.06
|
Fig. 8(a) 및
Fig.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되지 않은 N-3와 N-4 실험체 모두 비틀림 회전각 0.002 rad/m에서 비틀림 균열의 발생과 함께 초기 비틀림 강성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SD300 등급의 철근을 사용한 N-3 실험체는 비틀림 균열 발생 이후 주철근과 횡보강근이 순차적으로 항복하였으며, 횡보강근 항복
직후 비틀림 회전각 0.026 rad/m에서 최대 비틀림 모멘트 101.1 kN・m에 도달하였다. 이후 비틀림 모멘트가 점차 감소하면서 최대 비틀림
모멘트의 80 %에 도달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SD400 등급의 철근을 사용한 N-4 실험체는 비틀림 균열 발생 이후 주철근이 항복, 비틀림 회전각
0.034 rad/m에서 최대 비틀림 모멘트 124.0 kN・m에 도달하였다. 이후 횡보강근이 항복하였으며, 비틀림 모멘트가 점차 감소하면서 최대
비틀림 모멘트의 80 %에 도달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모든 보강된 실험체의 초기 비틀림 강성은 보강 이전 실험결과와 유사한 반면, 비틀림 균열 발생 시 비틀림 모멘트와 회전각 모두 증가하였다. 45°의
섬유 방향의 GFRP 시트로 보강된 GF45-4 실험체는 Fig.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균열 발생 이후 주철근과 횡보강근이 차례로 항복하였으며, 비틀림 회전각 0.023 rad/m에서 최대 비틀림 모멘트 190.8
kN・m에 도달하였다. 이후 스터브 부근의 실험구간 끝단에서 GFRP 시트의 박리 및 파단이 발생하면서 비틀림 모멘트가 감소하였으며, 최대 비틀림
모멘트의 80 %에 도달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90°의 섬유 방향의 GFRP 시트로 보강된 GF90-3와 GF90-4 실험체는 Fig. 8(d)와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실험체 모두 비틀림 균열 발생 이후 주철근과 횡보강근이 모두 항복하였으며, 각각 비틀림 회전각 0.029 rad/m와 0.048
rad/m에서 최대 비틀림 모멘트 161.4 kN・m와 169.5 kN・m에 도달하였다. 이후 두 실험체 모두 스터브 부근의 실험구간 끝단에서 GFRP
시트의 박리와 파단이 관측되었으며, 최대 비틀림 모멘트의 80 %에 도달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4.2 균열 및 파괴양상
무보강 실험체의 균열 양상 및 보강 실험체의 GFRP 시트 파괴양상을 Fig. 9에 나타내었다. 무보강 실험체 N-3과 N-4는 Fig. 9(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비틀림 균열 발생 이후 비틀림 모멘트가 증가함에 따라 균열이 진전되었으며, 실험구간의 복부에서 균열 폭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는 비틀림 균열의 진전에 따른 콘크리트 압괴로 인하여 비틀림 파괴하였다.
Fig. 9 Crack and failure patterns of specimens
GFRP 시트로 보강된 GF45-4, GF90-3 및 GF90-4 실험체는
Fig. 9(c), (d) 및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방향과 관계없이 모두 스터브 부근의 실험구간 단부에서 시트의 박리 및 파단이 발생하였다. 이는 단면에서 비틀림 응력이 집중되는
모서리 부근에 국부적으로 나타났으며, 박리 및 파단이 전이됨에 따라 GFRP 시트에 의한 비틀림 저항 능력이 감소하면서 콘크리트 압괴에 의하여 비틀림
파괴하였다.
4.3 변형률 분포
GFRP 시트의 횡방향 변형률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 횡보강근의 변형률을 비틀림 회전각 단계에 따라 각각 Fig. 10과 Fig. 11에 나타내었다. 45°의 섬유 방향의 시트로 보강된 GF45-4 실험체는 Fig. 10(a)와 Fig.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회전각 0.02 rad/m 이후에 횡보강근이 항복하면서 시트의 횡방향 변형률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철근 항복
이후 GFRP 시트에 의한 비틀림 저항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시트의 횡방향 변형률은 박리 및 파단이 발생한 스터브에 가까울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 10 Strain distribution of GFRP sheet
Fig. 11 Strain distribution of transverse reinforcement
90°의 섬유 방향의 시트로 보강된 SD300 등급의 철근을 사용한 GF90-3 실험체는
Fig. 10(b)와
Fig.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회전각 0.01 rad/m 이후에 횡보강근이 항복하면서 시트의 횡방향 변형률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GF90-3 실험체는
GF45-4 실험체에 비하여 시트의 변형률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횡보강근이 일찍 항복하면서 비틀림에 대한 시트의 기여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90°의 섬유 방향의 시트로 보강된 SD400 등급의 철근을 사용한 GF90-4 실험체는 Fig. 10(c)와 Fig.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회전각 0.04 rad/m 이후에 횡보강근이 항복하면서 시트의 횡방향 변형률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GF45-4
및 GF90-3 실험체와는 다르게 횡보강근 항복 이전부터 시트의 변형률이 서서히 증가하여 비틀림 저항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철근의 항복이 지연된 것으로 판단된다.
4.4 설계 변수에 의한 영향
설계 변수인 GFRP 시트 보강 유무, 섬유 방향, 철근 항복강도가 비틀림 내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결과(Fig. 8및 Table 4 참조)를 설계 변수에 따라 비교하였다. GFRP 시트로 보강된 GF45-4, GF90-4 실험체는 무보강 실험체 N-4와 비교하여 각각 53 %,
37 % 높은 비틀림 내력을 나타냈으며, GF90-3 실험체는 N-3 실험체와 비교하여 60 % 높은 비틀림 내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GFRP 시트가
비틀림에 저항하면서 콘크리트 압괴를 지연시켰기 때문이며, GFRP 시트 보강이 부재의 비틀림 내력 상승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5°의 섬유 방향의 시트로 보강된 실험체 GF45-4는 90°의 섬유 방향의 시트로 보강된 실험체 GF90-4와 비교하여 13 % 높은 내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45°의 섬유 방향의 시트가 비틀림 균열에 수직으로 배치되면서 비틀림 균열의 진전을 지연시켜 비틀림 내력 상승에 기여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SD400 등급의 철근을 사용한 실험체 N-4는 N-3 실험체와 비교하여 23 % 높은 내력을 나타내었으며, GF90-4 실험체는 GF90-3 실험체와
비교하여 5 % 높은 내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무보강 실험체의 경우 철근의 항복 이후 최대 비틀림 내력에 도달하면서 철근의 항복강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반면, GFRP 시트로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철근의 항복 이후 GFRP 시트가 비틀림에 저항하면서 시트에 의해 최대 비틀림 내력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4.5 실험 및 예측결과 비교
GFRP 시트로 보강된 실험체의 실험결과와 예측결과(Fig. 8및 Table 4 참조)를 비교하였다. KDS 14 20(MOLIT 2021)에서 제안하는 FRP 시트로 보강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틀림 내력 평가식에 의한 GF45-4, GF90-3 및 GF90-4의 예측결과(Tn.KDS)에 대한 실험결과(Tn.exp)의 비는 2.06, 2.15, 1.83으로 실험결과를 과소평가 하였다. 이는 FRP의 비틀림 내력에 대한 기여분이 식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fib Bulletin 14(2001)에서 제안하는 FRP로 보강된 부재의 섬유 종류에 따른 비틀림 내력 평가식에 의한 예측결과(Tn.Fib)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는 1.17, 0.99, 1.04로 실험결과를 유사하게 예측하여, GFRP 시트의 영향을 합리적으로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해당 식에는 섬유 방향의 영향이 식에 반영되지 않아 45°의 섬유 방향의 시트로 보강된 GF45-4의 실험결과를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äljsten(2002)은 FRP의 유효 변형률 값을 εf=0.6εfu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CFRP의 유효 변형률에
적합한 값이며, GFRP의 유효 변형률에 대하여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ACI440.2R-17(2017)에서 FRP로 4면 보강된 부재의 FRP 유효 변형률로 제한하고 있는 εf=0.004를 사용하여 최대 비틀림 내력을 산정하였다.
Täljsten(2002)이 제안하는 섬유 방향과 보강 방법에 따른 비틀림 내력 평가식에 의한 예측결과(Tn.Täljsten)에 대한 실험결과의 비는 0.97, 1.17, 1.06으로 실험결과를 유사하게 예측하였으며, 섬유 방향의 영향이 합리적으로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Täljsten(2002)의 제안식은 철근 강도의 영향이 반영되지 않아 SD300 등급의 철근을 사용한 GF90-3의 실험결과를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FRP 보강과 관련한 국내 구조기준 마련에 앞서 참고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제공을 위해 GFRP 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비틀림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실험체는 비틀림 균열 발생 이후 초기 비틀림 강성이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GFRP 시트로 보강된 실험체는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와 비교하여
최대 비틀림 내력이 평균 50 %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GFRP 시트 보강이 부재의 비틀림 내력 상승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GFRP 시트는 섬유 방향과 관계없이 스터브 부근의 실험구간 단부에서 시트의 박리 및 파단이 발생하였으며, 비틀림 응력이 집중되는 단면의 모서리
부근에서 국부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트의 박리 및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앵커 또는 앵글을 설치하여 시트 모서리 부근의 구속 조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GFRP 시트의 변형률은 횡보강근 항복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여 비틀림에 저항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트의 박리 및 파단이 발생한 스터브에 가까울수록
높은 변형률을 나타내어 시트의 손상이 변형률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4) FRP의 비틀림에 대한 기여분이 반영되지 않은 KDS 14 20의 비틀림 내력 평가식은 GFRP 시트로 보강된 실험체의 실험결과를 과소평가하였다. fib Bulletin 14와
Täljsten의 평가식은 실험결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반면, 이들 식은 각각 섬유 방향과 철근 강도의 영향을 반영하지 않아 이와 관련된 변수를 갖는 실험체의
비틀림 내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1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중점연구소지원사업(2019R1A6A1A03032988) 및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2018R1A2B3001656)
및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2019R1I1A3A01058156) 및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20CTAP-C152175-02)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ACI Committee 440 , 2017,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ternally Bonded
FRP Systems for Strengthening Concrete Structures (440.2R-17), Farmington Hills, Michigan,
US: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Alabdulhady M. Y., Sneed L. H., 2019, Torsional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Externally Bonded Composites: A State of the Art Review,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5, 148-163

ASTM D3039/D3039M-17 , 2017,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Polymer
Matrix Composite Material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

Chalioris C. E., 2008, Torsional Strengthening of Rectangular and Flanged Beams Using
Carbon Fibre-Reinforced-Polymers-Experimental Stud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2, No. 1, pp. 21-29

fib , 2001, Externally Bonded FRP Reinforcement of RC Structures (fib Bulletin 14),
Lausanne, Switzerland;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Structural Concrete (fib), pp.
59-68

Jariwala V. H., Patel P. V., Purohit S. P., 2013, Strengthening of RC Beams Subjected
to Combined Torsion and Bending with GFRP Composites, Procedia Engineering 51, pp.
282-289

Kang D. E., Woo H. S., Choi K. S., You Y. C., Yi W. H., 2008, Evaluation of Shear
Capacity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Fiber Reinforced Polym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24, No. 10, pp. 3-10

Kim M. J., Kim H. G., Lee Y. J., Kim D. H., Lee J. Y., Kim K. H., 2020, Pure Torsional
Behavior of RC Beams in Relation to the Amount of Torsional Reinforcement and Cross-Sectional
Properti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60, 119801

Lee L. H., Lee Y. T., Kim S. H., Lim D. K., 1997, Shear Performance of Repaired R/C
Beams with Carbon Fiber Shee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17, No. 1, pp. 519-523

MOLIT , 2021, Design Standard of Concrete Sturctural (KDS 14 20),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In Korean)

Panchacharam S., Belarbi A., 2002, Torsion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FRP Composites., Osaka, Japan; In First FIB Congress, Vol. 1, No.
1, pp. 1-110

Täljsten B., 2002, FRP Strengthening of Existing Concrete Structures: Design Guidelines,
Division of Structural Engineering, Luleå University of Technology, pp. 73-84

Triantafillou T. C., 1998, Shear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Epoxy-Bonded FRP Composites, ACI Structural Journal 95, pp. 107-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