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석
(Jin-Seok Choi)
1
이재훈
(Jea-Hoon Lee)
2
원천봉
(Tian-Feng Yuan)
3
윤영수
(and Young-Soo Yoon4)
4†
-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박사과정
(Graduate Student,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Rep. of Korea)
-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석사과정
(Graduate Student,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Rep. of Korea)
-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연구교수
(Research Professor,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Rep. of Korea)
-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정교수
(Professor,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Rep. of Korea)
Copyright © Korea Concrete Institute(KCI)
키워드
전자파 차폐, 충격 저항, 금속 그리드, 보강, 손상면적 비율
Key words
electromagnetic shielding, impact resistance, metallic grid, strengthening, damage area ratio
1. 서 론
국민경제의 지속적 발전으로 인한 고층 및 상업 건축물, 사회기반시설의 증가와 더불어 국내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전자파 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며 이를 차폐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황이다. EMI 차폐는 차폐물질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 및 흡수되는 전자파에 따라 결정되고, 일반적으로 전도성 물질(금속, 탄소재료, 자기 물질 등)은 높은 반사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폐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Guan et al. 2006; Shukla 2019; Choi et al. 2020; Wanashinghe et al. 2020; Yuan et al. 2021a).
일반적으로 건물은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보강된 철근과 함께 일정한 차폐 효과가 있다고 연구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 철근콘크리트의 내부
철근 간격은 100 mm 이상으로 배근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파 차폐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Yuan et al. 2021a). 또한 콘크리트와 강섬유 및 탄소나노 재료를 혼입하여 전자파 차폐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강섬유와 같은 전도성 물질을 시멘트 재료에
혼입할 경우, 강섬유의 균일한 분산 특성으로 전도망이 형성되어 차폐 효과가 개선되었다. 강섬유의 혼입률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의 기계적 강도 및 차폐
효과가 증가되었지만, 이의 임계값(percolation threshold)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 연구자들에게서 강섬유의 형태, 길이, 형상비,
분산성, 혼입률에 따라 임계값은 달라진다고 보고되고 있다(Li et al. 2017; Shukla 2019; Jung et al. 2020; Yuan et al. 2021a). 섬유보강 콘크리트에서 강섬유의 일정한 혼입률이 증가할 경우 차폐성능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Guan et al. 2006; Yuan et al. 2021a). 이러한 현상은 시멘트 재료에 금속 분말을 혼입하여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최근 나노소재를 시멘트복합체에 혼입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이의 전자기파 차폐성능도 검증하였다(Bae et al. 2012; Yao et al. 2017; Jung et al. 2020; Xu et al. 2021). 나노소재를 혼입한 시멘트복합체는 효과적으로 차폐 성능을 향상하였지만, 큰 규모의 구조물에 사용될 경우 경제성, 워커빌리티와 분산성 등의 측면에서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신축 건축물을 대상으로 평가하고 있다. 기존에 시공된 구조물에 대한 EMI 차폐와 구조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즉,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hard damage”를 최소화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증진과 “soft
damage”를 대응하기 위한 차폐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속 그리드 보강된 콘크리트 벽체의 전자파 차폐 및 충격 저항 성능을 평가하였다. 즉 금속 그리드 4종(5×5, 10×10,
25×25, 50×50 mm)을 활용하여 일반콘크리트를 단면 혹은 양면 보강을 하였고, 전자파 차폐 성능, 충격 저항 성능, 충격 후 실험체의 잔류
전자파 차폐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금속 그리드 보강을 통한 콘크리트 벽체의 차폐 성능과 충격 저항 성능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실험 방법
2.1 사용재료 및 배합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험체는 Table 1과 같이 물, 1종 포틀랜드 시멘트, 분쇄된 잔골재, 굵은 골재(최대 직경 18 mm)로 구성된 일반 콘크리트(NC, $f_{ck,\:28}$=45
MPa)로 제작되었다. 시험체 보강용 금속 그리드의 상세는 Table 2와 같다. 여기서, KS D 7017(KATS 2021)에 따라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Table 1. Mixing properties
w/c
|
Water
|
Cement
|
Fine aggregate
|
Coarse aggregate
|
SP
|
0.43
|
0.43
|
1.00
|
2.15
|
2.42
|
0.08
|
Table 2. Metallic grid properties
|
M5
|
M10
|
M25
|
M50
|
|
|
|
|
Diameter (mm)
|
0.73
|
1.18
|
1.90
|
2.38
|
Tensile strength
(MPa)
|
987/1,013
|
836/821
|
842/866
|
797/806
|
Chemical composition (%)
|
Stainless 304
|
C
|
Mn
|
Cr
|
Ni
|
Mo
|
0.05
|
1.78
|
18.35
|
8.90
|
0.46
|
Table 3. Details of specimen
|
Thickness of specimen
(mm)
|
5 mm grid
|
10 mm grid
|
25 mm grid
|
50 mm grid
|
S1-M5S
|
100
|
Single
|
-
|
-
|
-
|
S1-M5D
|
100
|
Double
|
-
|
-
|
-
|
S3-M5S
|
300
|
Single
|
-
|
-
|
-
|
S3-M5D
|
300
|
Double
|
-
|
-
|
-
|
S1-M10S
|
100
|
-
|
Single
|
-
|
-
|
S1-M10D
|
100
|
-
|
Double
|
-
|
-
|
S3-M10S
|
300
|
-
|
Single
|
-
|
-
|
S3-M10D
|
300
|
-
|
Double
|
-
|
-
|
S1-M25S
|
100
|
-
|
-
|
Single
|
-
|
S1-M25D
|
100
|
-
|
-
|
Double
|
-
|
S3-M25S
|
300
|
-
|
-
|
Single
|
-
|
S3-M25D
|
300
|
-
|
-
|
Double
|
-
|
S1-M50S
|
100
|
-
|
-
|
-
|
Single
|
S1-M50D
|
100
|
-
|
-
|
-
|
Double
|
S3-M50S
|
300
|
-
|
-
|
-
|
Single
|
S3-M50D
|
300
|
-
|
-
|
-
|
Double
|
Fig. 1. Geometry of concrete specimen
2.2 시험체 제작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보강 방법 및 변수 상세는 Table 3과 Fig. 1과 같다. 먼저 20 mm 두께의 콘크리트를 몰드 내에 타설하고 그리드를 평평하게 깔고 끝을 몰드에 고정시킨다. 그 후 콘크리트를 상부로부터 20
mm가 될 때까지 타설하고 마지막으로 앞서와 같이 그리드를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표면을 마감한다. 모든 시험체는 온도 20±1 °C, 습도
60±5 %에서 28일까지 양생하였다.
2.3 실험 방법
2.3.1 전자파 차폐 측정
콘크리트 시험체의 차폐효과를 13개의 주파수에서 측정하며, 총 16개의 콘크리트 시험체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주파수는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200, 1,300, 1,400, 1,500 MHz이다.
EMI 차폐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표준과 규정이 존재한다. 측정 실험 방법으로는 플랜지 동축 방법, 동축 전송선 시험 방법, IEE Std
299 시험 방법, MIL-STD-285 시험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시험체 크기가 실험실에서 제작이 어렵고 측정 과정에서의 시험체
고정 및 반복측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Liu et al. 2014; Quintana et al. 2018; Choi et al. 2019; Yuan et al. 2021b).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형 시험체를 이용한 근거리 측정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송수신 장비는 주파수 범위가 300~1,500 MHz인 EMI 장비를
사용하였다(Micheli et al. 2015, 2017; Yuan et al. 2021b). 극초단파(UHF) 주파수 대역인 300~3,000 GHz 중 일반적으로 회로 손상을 줄 수 있는 EMI 주파수는 1,500 MHz 이하로 위와
같이 측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였다. 해당 장비를 통한 EMI 차폐 시험 결과는 MIL-STD-285에 기초한 시험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실험
세팅과 세부 사항은 Fig. 2와 같다. 차폐 측정은 시험체 별 6회 반복하였고, 이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Fig. 2. Concept of shielding effectiveness test
Fig. 3. Concept of drop-weight impact test
2.3.2 충격 저항 성능 측정
충격 실험 상세는 Fig. 3과 같다. 실험장비는 충분한 낙하 높이를 제공하였고, 시험체를 볼트를 사용하여 4면을 C자형 강철 지지대에 고정하였다. 낙하 텁(tub)은 평면단면의
원추형을 사용하였고, 이는 반구형 및 곡면형의 헤드와 비교하여 시험체 충격면에 미흡한 손상을 발생시킨다(Pham et al. 2018; Li et al. 2019; Kim et al. 2021). 실험체는 200 mm 높이에서 100 kg의 낙하추로 1차 충격 하중을 적용하였다. 그 후 낙하추의 높이를 100 mm씩 증가하여 충격 하중을
적용하였다. 시험체 하부에 레이저 타입 LVDT(KL4-120NV)를 설치하여 처짐을 측정하였고, 지지대 양쪽 중심에 각각 하나의 로드 셀을 설치하여
반력을 측정하였다.
3. 실험 결과 및 분석
3.1 보강콘크리트 시험체 두께에 따른 차폐 특성
Fig. 4는 두께 100, 300 mm 시험체 내 그리드 보강 여부에 따른 차폐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두께가 증가할수록 전자파의 반사
손실이 커지고 흡수량이 증가하여 구조물의 차폐 효과가 증가하게 된다(Liu et al. 2014; Yuan et al. 2021a). 따라서, 차폐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콘크리트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차폐 효과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리드 보강한 시험체의 경우 그리드 간격이 감소할수록 그리드 보강되지
않은 시험체 대비 0.2-7.9, 1.4-20.9, 4.0-22.7, 8.2-31.3 dB의 차폐 효과가 향상되었다. 차폐 성능 증진은 시험체 1단
및 2단 그리드 보강에서 모두 그리드 간격이 감소할수록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그리드가 균일한 전도망이 형성되어 투과된 전자파의
반사 손실을 증가하였기 때문이다(Hyun et al. 2014; Choi et al. 2020).
또한 2단 보강된 시험체들은 1단 보강된 시험체들에 비해 차폐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냈다. 이는 그리드를 2단 보강할 경우 그리드에 의한 반사
손실과 도파관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2단 보강된 시험체들의 차폐 효과는 1단 보강된 시험체의 차폐 효과 합보다는 작게 나타났다.
이는 첫 번째 보강된 그리드를 통과한 전자파가 그리드 사이의 콘크리트 공간에서 대부분 반사 손실되었으나 두 번째 그리드를 통과하는 전자파가 존재함으로써
2단 보강한 시험체의 차폐 효과가 감소하였다(You et al. 2009; Hyun et al. 2014; Lu et al. 2016). 이러한 차폐 효과의 감소는 기존 연구와 유사하게 50 mm 그리드 보강 시험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Yuan et al. 2021b). 따라서 차폐 성능의 관점에서 단순히 보강 그리드의 층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구조물의 차폐효과 증진에 비효율적인 것으로 알 수 있다. 효과적인 차폐
성능 증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영향 인자들 및 불리하게 작용하는 인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또한, 2단 그리드 보강은 1단 보강보다 차폐 증진에
효과적이나, 이는 그리드 사이의 간격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간격이 부적절할 경우 콘크리트 내에 공진이 발생할 수 있다(You et al. 2009; Liu et al. 2012). 그리드 간격과 보강된 층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 차폐 성능이 증가/감소하는 현상을 공진현상이라고 한다. 2단 배근한 공진은 발생한
주파수(Lu et al. 2016)는 $f_{mnl}= 1/(2d\sqrt{\mu\varepsilon})$으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mu$와 $\varepsilon$은 각각
콘크리트의 투과성(magnetic permeability)과 진공 상태에서의 투과성(permittivity)을 의미한다.
Fig. 4. Shielding effectiveness of test specimen
3.2 보강 그리드 종류에 따른 차폐 특성
Fig. 5. Comparison of shielding effectiveness of strengthening specimens
Fig. 5는 그리드 보강에 따른 시험체의 차폐 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 결과, 그리드의 간격이 작을수록 시험체의 차폐 성능이 증가하였다. 이는 그리드 간격이
감소할수록 그리드 보강된 면적이 증가하여 그리드 표면에서의 전자파 반사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즉 그리드 간격이 작을수록 EMI의 침투영역이 감소하게
되고 차폐 성능이 증가하게 된다(Giulio et al. 2003; Hyun et al. 2014; Shukla 2019). 따라서 5 mm 간격의 금속 그리드가 보강된 시험체들(S1-M5S, S1-M5D, T3-M5S, T3-M5D)은 가장 높은 차폐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기존 연구결과(Zhou et al. 2000; Yuan et al. 2021b)와 동일하게 그리드 간격이 동일한 경우 그리드 직경이 클수록 높은 EMI 차폐 성능을 나타낸다. 300 mm 두께의 시험체에서 1단 혹은 2단의
그리드 보강한 변수들은 40 dB 이상의 차폐 성능을 확보하기 못하였다. 이는 첫 번째 보강된 그리드를 통과한 전자파가 그리드 사이의 콘크리트 공간에서
대부분 반사 손실되었으나 두 번째 그리드를 통과하는 전자파가 존재함으로써 2단 보강한 시험체의 차폐 효과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You et al. 2009; Hyun et al. 2014; Lu et al. 2016).
Fig. 6. Comparison of shielding effectiveness in the free space area ratio
그리드 보강 시험체 혹은 철근콘크리트의 free area ratio와 EMI 차폐 효과 사이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Free space area
ratio는 전자파의 투과가 가능한 free space area와 그리드로 보강된 면적비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강 면적에 따른 차폐 성능을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Fig. 6은 그리드 종류와 차폐 성능의 관계(지수함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2단 보강된 시험체들은 1단 보강된 시험체보다 우수한 차폐 성능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기존 연구(Hyun et al. 2014; Quintana et al. 2018; Yuan et al. 2021b)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1단 그리드 보강할 경우 160 % 이하의 free space area ratio에서는 20 dB 이상의 차폐 성능을
나타냈고, 2단 보강할 경우 300 % 이하의 free space area ratio에서 20 dB 이상의 차폐 성능을 나타냈으며, 140 % 이하일
경우 30 dB 이상의 차폐 성능을 나타냈다. 2단 보강할 경우 100 % 이하의 free space area ratio에서는 40 dB 이상의 차폐
성능을 나타냈으며, 이는 하이브리드 그리드 보강한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냈다(Yuan et al. 2021b). 그러나, 1단 그리드 보강할 경우 free space area ratio가 55 % 이하이여야 하며, 그리드의 두께를 단순히 증가시키는 것보다는
2단으로 보강하는 것이 차폐 성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3.3 충격 하중 이후의 차폐 성능 평가
3.3.1 충격실험 결과
Fig. 7은 충격실험에 의한 낙하 횟수에 따른 최대 반력, 최대 변위, 균열 개수, 균열폭 등을 나타낸 것이다. 최대 반력 이후 특정 낙하 횟수에서 반력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이는 부재의 파괴 시점을 의미한다.
Fig. 7. Impact test results
실험 결과, 최대 반력과 균열 개수는 각 손상 정도와 보강된 그리드 종류의 관계를 나타낸다. 보강하지 않은 시험체는 1회 타격에서 파괴되었고, 5
mm 및 10 mm 보강한 시험체들은 4회 타격, 25 mm 및 50 mm 보강 시험체들은 5회 타격에서 파괴되었다. 그리드로 보강된 시험체는 보강되지
않은 시험체에 비해 반복 타격이 가능하며 약 4.1~4.6배 높은 반력을 나타냈다. 또한 타격 횟수에 따른 총 변위와 균열 진전 거동을 통하여 간격이
작은 그리드로 보강된 시험체일수록 충격에 의한 파편이 적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그리드 보강 비율이 0.094 %에서 0.068 %로 변화하여도 처짐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고, 이는 작은 간격의 그리드로 보강하는 것은 중앙부 처짐 발생을 제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Yilmaz et al. 2020). 1회 타격 시 시험체 하부에서는 폭이 0.05~0.08 mm의 방사 형태의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균열 몇 개와 배면 파쇄(scabbing)가
나타났다. 이후 충격 하중에 의한 균열의 발생은 전단계 타격에 의해 발생된 균열을 따라 진전되었다. 시험체 하부에서는 큰 대각선 방향 균열이 나타났으나,
균열을 억제하는 그리드의 보강 효과에 의하여 시험체는 완전히 파괴되지 않고 일체적인 형상을 유지하였다. 또한 그리드의 간격이 감소할수록 시험체의 파괴모드는
배면 파쇄에서 크거나 순수한 대각선 방향의 균열로 변화하였다(Fig. 8). 이러한 파괴 모드의 변화는 그리드의 간격이 감소할수록 처짐, 균열 폭, 배면 파쇄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revor and Frank 2014; Hamid et al. 2019).
Fig. 8. Observed damaged after final impact
Fig. 9. Shielding effectiveness after impact test
3.3.2 충격 후의 차폐 특성
시험체의 차폐 성능은 유효 두께의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유효 두께는 외부 하중과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mid et al. 2019; Yuan et al. 2021b).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격 실험 전후 실험체의 차폐 성능과 손상면적을 비교분석 하였다.
실험결과, M50D 시험체는 충격 실험 후의 차폐 성능이 30.8 %로 감소하여 다른 시험체 대비 가장 큰 차폐 성능 저감특성을 나타냈다. 이는 M50D
시험체의 경우 충격 하중에 의하여 하부에 스폴링(spalling)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시험체의 유효 두께가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그리드의
격자 크기가 감소할수록 시험체의 하부에서 균열과 배면 파쇄 발생량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5D 시험체는 충격 이후의 차폐 효율이 1.7 %
감소하고 손상 면적은 4.31 %로 다른 실험체 대비 가장 작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Fig. 9는 본 연구에서 측정된 그리드 보강 실험체의 차폐 성능 감소율과 손상 면적을 비교한 것이다. 차폐 성능 감소율과 손상면적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비슷한 선행 연구결과 데이터를 포함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추가함으로써 R2 값은 0.945에서 0.972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손상 면적비가 5.84 %, 26.95 % 감소함에 따라 차폐 효율성은 각 20 %, 30 %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그리드 보강에 의한 전자파 차폐율과 충격 저항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충격 이후의 차폐 성능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그리드 간격이 감소할수록 그리드 보강되지 않은 시험체 대비 0.2-7.9, 1.4-20.9, 4.0-22.7, 8.2-31.3 dB의 차폐 효과가
향상되었다. 차폐 성능 증진은 시험체 1단 및 2단 그리드 보강에서 모두 그리드 간격이 감소할수록 효과적으로 나타냈다.
2) 1단 그리드 보강할 경우 160 % 이하의 free space area ratio에서는 20 dB 이상의 차폐 성능을 나타냈고, 2단 보강할
경우 300 % 이하의 free space area ratio에서 20 dB 이상의 차폐 성능을 나타냈으며, 140 % 이하일 경우 30 dB 이상의
차폐 성능을 나타냈다. 그리드의 두께를 단순히 증가시키는 것보다는 2단으로 보강하는 것이 차폐 성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3) 그리드로 보강된 시험체는 보강되지 않은 시험체에 비해 반복 타격이 가능하며 약 4.1~4.6배 높은 반력을 나타냈다. 또한 타격 횟수에 따른
총 변위와 균열 진전 거동을 통하여 간격이 작은 그리드로 보강된 시험체일수록 충격에 의한 파편(scabbing)이 적게 발생하였다.
4) M5D 시험체는 충격 이후의 차폐 효율이 1.7 % 감소하고 손상 면적은 4.31 %로 다른 실험체 대비 가장 작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문헌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추가함으로써 R2값은 0.945에서 0.972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손상 면적비가 5.84 %, 26.95 % 감소함에
따라 차폐 효율성은 각 20 %, 30 %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연구사업(과제번호: 19S CIP-B146646-02)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Bae H., Ahmad T., Rhee I., Chang Y., Jin S. U., Hong S., 2012, Carbon-Coated Iron
Oxide Nano-Particles as Contrast Agent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Nanoscale Research
Letters, Vol. 7, No. 44, pp. 1-5
Choi J. S., Yuan T. F., Hong S. H., Yoon Y. S., 2020, Evaluating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Concrete Using Reinforcing Detai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20, No. 5, pp. 245-254
Giulio A., Antonio O., Stefano D., 2003, Shielding Effect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to Electromagnetic Fields due to GSM and UMTS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39, No. 3, pp. 1582-1585
Guan H., Liu S., Duan Y., Cheng J., 2006, Cement Based Electromagnetic Shielding and
Absorbing Building Material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Vol. 28, pp. 468-474
Hamid S., Alireza K., Hesam S., 2019, Dynamic Performance of Concrete Slabs Reinforced
with Steel and GFRP Bars under Impact Loading, Engineering Structures, Vol. 191, pp.
62-81
Hyun S. Y., Kyoung J. K., Lee H. J., Lee K. W., Yook J. G., 2014, Analysis of Shielding
Effectiveness of Reinforced Concrete Against High-Altitude Electromagnetic Pulse,
IEEE Transactions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Vol. 56, No. 6, pp. 1488-1496
Jung M. J., Lee Y. S., Hong S. G., Moon J. Y., 2020, Carbon Nanotubes (CNTs) in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 Dispersion, Mechanical Properties,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Effectiveness (S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131, No. 106017, pp. 1-15
KATS , 2021, Welded Steel Wire and Bar Fabrics (KS D 7017).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Kim Y. H., Choi J. S., Yuan T. F., Yoon Y. S., 2021, Building-Information-Modeling
Based Approach to Simulate Strategic Location of Shelter in Place and Its Strengthening
Method, Materials, Vol. 14, No. 13, pp. 3456(1-17
Li H. W., Chen W. S., Hao H., 2019, Influence of Drop Weight Geometry and Interlayer
on Impact Behavior of RC Beam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131, pp. 222-237
Li Y., Yu M., Yang P., Fu J., 2017, Enhanced Microwave Absorption Property of Fe Nano-Paticles
Encapsulated within Reduced Graphene Oxide with Different Thicknesses,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Vol. 56, pp. 8872-8879
Liu F., Lü X., Li Y. B., Yang J., Pan Z., 2012,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n High
Power Microwave Penetrating through Reinforcement Nets, High Power Laser and Particle
Beams, Vol. 24, No. 11, pp. 2713-2717
Liu F., Lü X., Li Y. B., Yang J., Pan Z., 2014,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n High
Power Microwave Penetrating through Reinforced Concrete, High Power Laser and Particle
Beams, Vol. 29, No. 1, pp. 35-39
Lu H. D., Zhu F., Li X., Tang Y. T., 2016, Shielding Effectiveness of Reinforced Concrete
Toward Electric Arcs in Pantograph Catenary Systems of Metro, Chinese Journal of Radio
Science, Vol. 31, No. 6, pp. 1209-1215
Micheli D., Marchetti M., Pastore R., Vricella A., Gradoni G., Moglie F., Mariani
Primiani V., 2015, Shielding Effectiveness of Carbon Nanotub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s by Reverberation Chamber Measurements,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magnetics in Advanced Applications (ICEAA, pp. 145-148
Micheli D., Pastore R., Vricelaa A., Delfini A., Marchetti M., Santoni F., 2017, Chapeter
9- Electromagnetic Characterization of Masterials by Vector Network Analyzer Experimental
Setup, Spectroscopic Methods for Nanomaterials Characterization (Micro and Nano Technologies,
pp. 195-236
Pham T. M., Hao Y., Hao H., 2018, Sensitivity of Impact Behaviour of RC Beams to Contact
Stiff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112, pp. 155-164
Quintana S., De Blas J. M., Pena J., Blanco J., Garcia L. D., Pastor J. M., 2018,
Design and Operation of a Real-Scale Electromagnetic Shielding Evaluation System for
Reinforced Composite Construction Materials,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30, No. 8, pp. 04018162(1-11)
Shukla V., 2019, Review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Materials Fabricated
by Iron Ingredients, Nanoscale Advances, Vol. 2019, No. 1, pp. 1640-1671
Trevor D. H., Frank J. V., 2014, Behavior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Blabs
under Impact Load, ACI Structural Journal, Vol. 111, pp. 1213-1224
Wanasinghe D., Aslani F., Ma G. W., Habibi D., 2020, Advancements i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Cementitious Composi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31, pp. 117116 (1-23)
Xu H., Li Y., Han X. S., Cai H. Z., Gao F., 2021, Carbon Back Enhanced Wood-Plastic
Composites for High-Performan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Materials
Letters, Vol. 285, pp. 129077(1-5)
Yao W. L., Xiong G. X., Yang Y., Huang H. Q., Zhou Y. F., 2017, Effect of Silica Fume
and Colloidal Graphite Additions on the EMI Shielding Effectiveness of Nickel Fiber
Cement Based Composi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50, pp. 825-832
Yilmaz T., Kirac N., Anil Ö., Erdem T., Kacaran G., 2020,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Impact Behavior of RC Slab with Different Reinforcement Ratios, Structural Engineering,
Vol. 24, No. 1, pp. 241-254
Yoo D. Y., Kang M. C., Choi H. J., Shin W. S., Kim S. H., 2020,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of Multi Cracked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Effects
of Matrix Strength and Carbon Fibe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61,
pp. 119949(1-15)
You B. X., Deng W. D., Li Y., Duan H. Q., 2009, Influence of Steel Grid Parameter
on Its Shielding Effectiveness for Indoor Distribution Substation, Journal of Shemzhe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7, No. 4, pp. 74-78
Yuan T. F., Choi J. S., Kim S. K., Yoon Y. S., 2021a, Assessment of Steel Slag and
Steel Fiber to Control Electromagnetic Shielding in High-Strength Concrete,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5, pp. 920-930
Yuan T. F., Choi J. S., Hong S. H., Yoon Y. S., 2021b, Enhancing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and Impact Resistance of a Reinforced Concrete Wall for Protective Structur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Vol. 122, pp. 104148(1-10)
Zhou B. H., Cheng G., Chen B., Chen Z. M., 2000,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MP
Shielding Effectiveness of Reinforced-Concrete Cell Model, CEEM’2000 (IEEE Cat. No.00EX402)
6703576, pp. 296-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