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01811, Rep. of Korea)
  2.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01811, Rep. of Korea)
  3. (Research Professor, Construction Technology Research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01811, Rep. of Korea)



순환골재, 전위차 부식 촉진법, 내구성능, 휨성능, 부착성능
recycled aggregate, accelerated corrosion, durability, flexural performance, bonding performance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환경보호와 자원보존은 건설분야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슈로, 공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건설 폐기물의 관리시스템 구축과 재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순환골재를 활용한 콘크리트 역시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써 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배합 및 물성 그리고 재료적 내구성에 관련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는데(Manzi et al. 2013; Lee et al. 2019), 이를 통해 재료의 강도 및 기계적 특성이 일반적으로 천연 골재를 이용한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성능은 떨어지지만, 콘크리트구조 내구성 설계기준(MOLIT 2022)에는 만족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구조적 내구성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지만 최근 관련 연구의 확장으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구조부재 적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Yang et al.(2017)은 순환 골재 치환율이 콘크리트 보의 휨강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현행 설계기준에 의한 예측 결과는 실제 휨강도를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혔다. 또한, Lee et al.(2007)은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값을 ACI 규준 계산값과 비교한 결과, 휨실험체의 경우 18.5~23.6 % 크게 나타나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구조적 성능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은 공용년수 증가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는데, 특히 이산화탄소에 의한 콘크리트 탄산화, 철근의 부식, 동결 융해 및 화학적 침식작용 등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된다(Kim 2009). 또한, 2020년 기준으로 서울의 약 61만동 건축물 중 49.5 %가 사용연한 30년을 초과했으며 향후 5년 이내에 65.8 %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Kim 2020).

따라서 구조 부재로 기능 가능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거동에 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연한이 오래된 순환골재 콘크리트 연구나 인위적으로 노후화가 모사된 순환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내구 성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 콘크리트를 구조 부재로 활용하기 위한 내구성 평가에 중점을 두어, 매입 철근의 부식을 통해 콘크리트 노후화를 모사하여 휨과 부착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1.2 연구 내용 및 범위

콘크리트 노후화 모사의 방법으로 철근 부식을 이용했다. 이는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가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내부 철근 부식으로 철근 단면적의 감소와 피복 균열로 인해 강도의 감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Apostolopoulos 2012). 이에 따라 철근 부식을 이용해 노후화된 콘크리트 수준의 강도 저하 및 콘크리트 내부, 철근 환경 조성을 도모하였다.

실험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순환골재의 치환율은 100 %로 고정했다. 순환골재 적용 기준인 ‘총 골재용적의 30 % 이하’에는 만족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데, 순환골재의 내구성 파악에 중점을 두고자 일반골재와의 치환율은 고려하지 않고 수행하였다. 이때, 철근 부식률을 0, 2, 4, 6, 8, 10 %로 설정하여 순환골재의 점진적인 노후화를 모사하고자 했다. 전위차 부식 촉진법을 이용해 부식을 진행하였으며 부식이 완료된 이후 휨, 부착 실험을 통해 구조적 성능을 확인하였다.

2. 실험 계획 및 방법

2.1 실험체 계획 및 변수

실험 변수로는 구조성능 실험의 종류(휨, 부착)와 부식 단계(0, 2, 4, 6, 8, 10 %)를 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체의 형상은 다음 Figs. 1, 2와 같다. 전위차 부식법을 적용한 실험에서 전류를 더 정확하게 가하기 위해 1개의 주근을 설치하였으며 횡보강근은 고려하지 않았다. 실험체 명명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성능 실험별 실험체는 부식 단계에 맞추어 6개, 총 12개를 제작하였다.

부착 성능 실험체의 실험 변수 설정에서 부착길이는 Lee (2001), Kim(2001)이 선행해 진행한 연구에서 부식률 2 %일 때, 휨 파괴가 아닌 부착 파괴를 유도하는 부착길이가 160 mm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 부착길이를 160 mm로 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Fig. 1 Flexural test specimen details
../../Resources/KCI/JKCI.2022.34.5.497/fig1.png
Fig. 2 Bonding test specimen details
../../Resources/KCI/JKCI.2022.34.5.497/fig2.png

2.2 사용 재료 특성

시멘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순환골재는 H사에서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서, 최대 직경 및 일정한 입도 분포를 위해 체가름하였다.

순환굵은골재는 수(水)처리를 진행하였고, 순환잔골재는 H사에서 생산되는 골재를 사용하였으며 골재의 물리적 성질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순환굵은골재의 조립률은 6.51, 순환잔골재는 2.92로 나타났다.

사용된 콘크리트의 배합비는 Table 2에 나타내었으며 공시체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방법(KATS 2017)에 따라 측정하여 평균 26.5 MPa의 압축강도를 확인해 Table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철근의 인장강도는 금속 재료 인장시험 방법(KATS 2018)에 따라 진행했으며 그 결과는 Table 4에 정리하였다.

Table 1 Recycled aggregate physical properties

Items

Coarse aggregate

Fine aggregate

Maximum diameter (mm)

20

5

Fineness modulus

6.51

2.92

Absorption rate (%)

2.34

3.21

Specific gravity (g/㎤)

2.45

2.39

Stability (%)

4.42

4.42

Table 2 Concrete mixing proportion

Target

strength

(MPa)

W/B

(%)

S/a

(%)

Unit weight

(kg/㎥)

Admixture

(%)

W

C

S

G

SP

AE

24

57.0

47.1

183

321

777

867

0.7

0.004

Table 3 Summary of concrete’s compressive test results

Compressive strength (MPa)

Each

25.62

27.22

26.79

Avg.

26.5

Table 4 Properties of reinforcement material

Re-bar

Tensile strength (MPa)

Yield strength (MPa)

D10

665.87

543.47

2.3 실험 방법

2.3.1 철근 부식 촉진 실험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노후화 거동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콘크리트 내 철근 부식을 통해 노후화를 모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 보 실험체 내에 철근을 매입시켜 직류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철근 부식을 촉진 시키고, 부식으로 인해 노후화 모사된 순환골재 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그 중 철근 부식 실험에 대한 개요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철근 부식 실험은 3 % NaCl 수용액에 철근을 매입한 실험체를 침지하여 30 V 직류 전원공급장치(D.C power supply)의 (+)극은 철근에, (-)극은 NaCl 용액 내에 설치한 동판에 연결하여 직류회로를 구성하였다. 다음 Fig. 3은 철근 부식 실험의 장치도를 나타내고 있다.

위와 같은 실험 장치를 통해 전하의 이동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부식을 촉진시킨다. 어떤 반응 전후에도 그 총량은 변하지 않는다는 전하량 보존 법칙, 즉 페러데이 법칙(Faraday’s law)에 근거하여 아래와 같이 예측 부식량 계산식을 도출할 수 있다.

(1)
$부식량(mol)=\dfrac{전하의 이동에 소요되는 물질의 총 몰수}{소요 전하량}$

이때, 철분자 1몰이 이동하는데 필요한 소요 전하량 2F(페러데이 상수 F=96,500 C/mol)로 나누면 몇 몰의 철분자가 이동했는지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위 식에 철분자 1몰의 무게(55.847 g)를 대입하여 이동한 철의 무게, 즉 부식량을 산출한다.

(2)
$부식량(g)=\dfrac{1}{2\times 96,500}\int q dt\times 55.847$

여기서, $q$: 임의 시점에서의 부식전류값

실험은 휨, 부착 실험체 별로 각각 0, 2, 4, 6, 8, 10 %로 총 6개 부식 단계로 진행된다. 위의 Fig. 3과 같이 전선으로 철근과 직류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미세한 직류전원(5 V)을 가해 철근의 부식을 촉진시킨다. 외부전원공급장치는 5 V의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사용한다. 동판은 순도 99.9 %, 두께 1 mm로, NaCl은 농도 99.5 %로 시중에 판매되는 천일염을 사용하였다.

Fig. 3 Chloride-induced corrosion experiment set-up
../../Resources/KCI/JKCI.2022.34.5.497/fig3.png

2.3.2 구조성능 실험

실험 가력 방법은 다음 Fig. 4와 같이 스크루잭 하중 시험기에 설치하고 500 kN 용량의 로드셀에 연결하였다. 전단스팬비를 고려하여 휨파괴를 유도할 수 있도록 휨 성능 실험은 3점 재하, 부착성능 실험은 4점 재하로 하중을 가하였으며 관련 내용은 Fig.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편심을 방지하기 위해 로드셀과 실험체 사이에 롤러를, 양쪽 받침부에 롤러와 힌지를 설치하였다. 또한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50 mm 용량의 선형 변위 측정기(LVDT)를 가력 시 최대 처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앙부에 설치하였다. 하중 재하는 변위 제어 방식으로 약 0.05 mm/sec의 속도로 실험체가 파괴까지 가력하였으며, 각각 단계별 하중과 변위 데이터는 데이터 로거를 사용하여 동시에 취득하였다.

Fig. 4 Test set-up
../../Resources/KCI/JKCI.2022.34.5.497/fig4.png
Fig. 5 Test loading location
../../Resources/KCI/JKCI.2022.34.5.497/fig5.png

3. 실험 결과 및 분석

3.1 철근 부식 촉진 실험

실험 종료 후 실험체를 파쇄하여 매입된 철근을 분리한 후 철근에 남아있는 모르타르 잔여물과 부식 생성물을 제거한 다음 철근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부식되지 않은 철근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해 모재의 손실을 고려하여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실제 부식률에 따른 분석을 위해 측정된 부식률을 기준으로 실험체명을 변경하였으며 부식 전・후의 질량 및 실제 부식률은 Table 5, 부식 단면과 부식 균열의 단면 폭은 Table 6에 나타내었다.

예상 부식률보다 실제 부식률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철근을 둘러싸고 있는 콘크리트에서의 누전 때문으로 판단된다. 부식된 휨, 부착 실험체의 단면을 보면 각각 부식률 6.60 %, 4.21 % 실험체부터 약 0.5 mm 수준의 실균열이 관찰된다. 특히 Ra-B-C4.21 실험체는 좌측에서만 0.38 mm의 균열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의 타설 상태에 따라 한쪽 철근의 저항이 더 작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Ra-B-C3.49 실험체의 균열이 나타나지 않고, 부식률 4.21 % 이상의 실험체에서는 균열이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부식률 3.5 %부터 5.5 % 사이에서 표면 부식 균열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사한 부식률에서 상이한 균열 상태를 띄는데 이는 전기적 성질에 따라 저항이 작은 부위에 집중적으로 부식이 발생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일반골재 콘크리트 매입 철근을 부식한 유사 선행 연구(Cho 2003)의 D13 철근과 10 mm 피복두께의 실험체와 비교했을 때 본 실험보다 부식 균열폭이 작은 경향을 보인다. 실험체의 가장 큰 균열폭을 기준으로 했을 때, 본 실험의 1.88 % 부식률 실험체와 선행 연구의 1.9 % 실험체는 각각 0.3 mm와 0.2 mm의 균열폭을 가져 순환골재를 사용한 본 실험의 균열폭이 약 1.5배 크다. 또한, 본 실험의 4.21 % 부식 실험체와 선행 연구의 4.2 % 실험체는 각각 0.5 mm의 동일한 균열폭을 갖지만 본 실험에서 사용한 D10의 철근과 20 mm의 피복두께를 고려하면 동일한 피복두께 상황에서는 순환골재 실험체의 균열이 더 크게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골재 콘크리트가 일반골재 콘크리트보다 부식 균열의 폭이 더 넓게 생성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순환골재 부식 관련 선행연구(Zhao et al. 2014; Liang et al. 2021)에서도 유사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5 Expected vs actual corrosion rate and mass

Expected

Cor-rate (%)

Actual Cor-rate (%)

Mass before Cor. (g)

Mass after Cor. (g)

F

0

0.00

535.6

535.6

2

0.04

529.5

529.3

4

0.78

533.62

529.47

6

1.88

546.06

535.79

8

6.60

533.62

498.39

10

12.13

533.68

468.97

B

0

0.00*

256.23

256.23

2

0.66*

258.56

256.86

4

1.33*

261.68

258.19

6

3.49*

265.36

256.11

8

4.21*

267.62

256.35

10

7.03*

273.52

254.29

Note: *(right side re-bar+left side re-bar)÷2
Table 6 Corrosion crack pattern and crack width

Cor. rate

(%)

Pattern

Crack width (mm)

L

M

R

Avg

F

0.00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1.png

-

-

-

-

0.04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2.png

-

-

-

-

0.78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3.png

-

-

-

-

1.88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4.png

-

-

0.29

0.1

6.60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5.png

0.62

0.50

0.50

0.54

12.13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6.png

0.83

0.81

0.97

0.87

B

0.00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7.png

-

-

-

-

0.66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8.png

-

-

-

-

1.33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9.png

-

-

-

-

3.49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10.png

-

-

-

-

4.21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11.png

0.38

0.50

-

0.29

7.03

../../Resources/KCI/JKCI.2022.34.5.497/tb6-12.png

0.57

0.57

0.57

0.57

3.2 휨 성능 실험 결과 및 분석

3.2.1 균열 및 파괴 양상

실험체에 하중을 가한 후 대략 13~17 kN 사이에서 초기 휨 균열이 상단 하중점에서 최초 발생하였다. 초기 휨균열 발생 하중과 항복 및 파괴 시 하중은 Table 7에 나타내었으며 Fig. 6은 휨 실험 종료 후 균열 패턴을 나타내었다. 기준 실험체인 부식률 0 % 실험체의 최대 하중은 31.9 kN으로 설계 하중인 21.17 kN보다 약 1.5배 정도 높게 측정되었다. 낮은 부식률에서는 설계상 예측했던 사인장 균열의 형상을 보였으나 부식률이 높아질수록 중앙부 수직 균열이 생성되었는데, 이는 부식률이 높아질수록 철근의 인장 능력이 감소함에 따라 중앙 휨 모멘트의 지배를 더 크게 받으면서 발생되는 균열 양상으로 판단된다. 특히 Ra-B-C12.13 실험체의 파괴 단면에는 중앙부에 수직 휨균열만 생성된 후 파단되었는데, 이는 무근 콘크리트의 휨 파괴 모드와 비슷한 형상으로 보 내부에서 철근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Ra-B-C6.60의 파괴 양상에서 매입 철근의 측면 위치를 따라 수평 균열이 나타나는데 이는 철근의 부착력 상실로 인해 발생한 부착 파괴로 판단된다.

Fig. 6 Cracking patterns in flexural tests
../../Resources/KCI/JKCI.2022.34.5.497/fig6.png
Table 7 Results of flexural tests

Specimens

Initial crack load

(kN)

Re-bar yielding

Ultimate load

(kN)

Stiffness

(kN/mm)

Displ.

(mm)

Load

(kN)

Ra-F-C0.00

14.58

2.69

30.14

31.90

21.76

Ra-F-C0.04

15.25

2.50

28.10

30.28

21.48

Ra-F-C0.78

15.02

2.83

28.19

29.53

18.54

Ra-F-C1.88

16.54

2.01

27.59

31.49

23.98

Ra-F-C6.60

13.49

2.60

26.37

30.59

19.00

Ra-F-C12.13

14.49

2.64

22.31

23.18

20.61

3.2.2 하중-변위 곡선

매입된 철근의 부식률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휨 거동 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Fig. 7에 각 실험체의 하중과 처짐 곡선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변수의 경향은 Fig. 8에 정리하였다.

항복하중은 부식률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부식률이 0, 1.88, 12.13 %로 증가함에 따라 30.14, 27.59, 22.31 kN으로 감소하였다. 12.13 % 실험체는 표면 균열이 없거나 수평으로 연결되지 않은 타 실험체와 달리 0.87 mm의 연속된 부식 균열이 생성된 것으로 볼 때, 부식 균열에 의한 영향을 받아 항복하중 감소폭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경향은 최대하중에서도 나타나는데, 대략 30 kN 부근을 벗어나지 않는 타 실험체와 비교했을 때 Ra-F-C12.13 실험체가 23.18 kN의 최대하중을 보여 부식 균열로 인한 저감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체적으로 최대하중 이후 취성적인 파괴모드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부식되지 않은 순환골재 콘크리트에서도 유사한 거동을 보여(Yeo et al. 2011) 순환골재 자체적인 결함에서 발생하는 영향도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징적으로 부식률 1.88 % 실험체는 변위 16 mm 지점까지 연성적으로 거동하며, Ra-F-C12.13 실험체는 항복 하중 직후 급격하게 파단되었다. 10 % 이상의 부식률 상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파단 거동은 일반골재 콘크리트와도 유사하여(Du et al. 2007; Jung et al. 2011) 골재의 종류와 관계없이 10 % 이상의 부식률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는 사용상 유의해야할 것 으로 판단된다.

Fig. 7 Load-displacement curves in flexural tests
../../Resources/KCI/JKCI.2022.34.5.497/fig7.png
Fig. 8 Main variable trends of flexural tests
../../Resources/KCI/JKCI.2022.34.5.497/fig8.png

3.3 부착 성능 실험 결과 및 분석

3.3.1 균열 및 파괴 양상

실험체에 하중을 가한 후 실험체 내부 초기 휨균열은 대략 9~15 kN 사이에서 진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초기 휨균열 발생 하중과 항복 및 파괴 시 하중은 Table 8에 나타내었으며 Fig. 9에서 부착 실험체의 균열 패턴을 나타내었다. 기준 실험체인 Ra-B-C0.00의 설계 하중은 16.29 kN, 최대 부착강도는 5.942 N/㎟으로 실험값이 약 1.33배 높게 측정되었다. 양 쪽으로 매입된 철근이 중첩되기 시작하는 지점 근처에서 균열이 동시에 발생했는데, 이는 하중을 재하하는 과정에서 해당 지점에 전단력이 가장 작게 부하되면서 나타나는 경향으로 판단된다. 이는 부착응력이 전단력의 크기와 비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일반적인 부착 파괴가 일어나는 양상이라고 보여진다. 또한, 육안으로 보이는 양 단의 균열은 대부분 항복 시점에 발생했으며,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최대하중 및 파단이 유도되었다.

대부분의 실험체가 유사한 파괴 형상을 보이지만 그 중 Ra-B-C1.33 실험체의 균열폭은 3.24 mm로, 이론적으로 균열 폭의 합이 처짐량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0.4 mm 수준의 균열이 있는 타 실험체에 비해 연성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Fig. 9 Cracking patterns in bonding tests
../../Resources/KCI/JKCI.2022.34.5.497/fig9.png
Table 8 Results of bonding tests

Specimens

Initial crack load

(kN)

Re-bar yielding

Ultimate load

(kN)

Bond strength

(N/㎟)

Displ.

(mm)

Load

(kN)

Ra-B-C0.00

9.74

3.68

21.44

21.64

7.94

Ra-B-C0.66

10.88

3.08

20.43

20.43

7.49

Ra-B-C1.33

10.18

3.01

20.18

22.97

8.42

Ra-B-C3.49

12.62

2.97

20.60

20.60

7.56

Ra-B-C4.21

15.10

2.55

19.88

19.88

7.29

Ra-B-C7.03

13.56

2.11

16.07

16.07

5.90

3.3.2 하중-변위 곡선

철근의 부식률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부착 거동 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Fig. 10에 각 실험체의 하중과 처짐 곡선을 나타내었다.

부착강도는 대략 7 N/㎟으로 최대 부착강도는 부식률 1.33 %에서 8.42 N/㎟이며 최소 부착강도는 부식률 7.03 %일 때 5.9 N/㎟으로 나타났다. 이때 Ra-B-C7.03 실험체는 타 실험체보다 1.39~2.52 N/㎟ 정도 작은 값을 갖는데, 이러한 경향은 최대강도, 항복강도에서도 유사하다. 이 역시 휨 성능 실험체와 마찬가지로 유일하게 부식률 7.03 % 실험체가 가진 0.57 mm의 연속된 부식 균열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Ra-F-C6.60 실험체의 부식 균열이 0.54 mm이었지만 성능 감소가 크지 않았던 것을 고려하면, 부식 균열폭의 두께보다 균열의 연속성이 중요한 요소로 보인다.

또한, 최대 부착강도를 보인 Ra-B-C1.33 실험체를 보면 최대하중 역시 가장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변위 연성 지수에 의하면 최대하중 시의 변위와 항복 하중 시 변위의 비가 연성 능력에 비례하는데, 이에 따라 연성 능력도 가장 클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경향은 Ra-F-C1.88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두 실험체 모두 타 비교 실험체보다 최대하중이 높게 나왔으며 하중-변위 곡선이 연성적인 거동을 보인다. 이는 유사 선행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Chung et al.(2001)은 일반골재 콘크리트 매입 부식률 1~2 % 상태에서 가장 높은 최대하중을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부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성물이 콘크리트와 철근 사이의 공극을 채워주면서 더 밀접하게 거동하여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Choi et al.(2008)은 부착응력이 순환골재의 치환율에 관계없이 일반골재 콘크리트와 동일한 거동을 보인다고 분석했는데, 본 실험에서도 일관된 경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하중-변위 곡선은 부식이 없는 실험체를 포함하여 대체로 항복하중 직후 취성적인 파괴 거동을 보이나 부식률 0, 1.33 % 실험체는 비교적 항복하중 이후 연성적인 흐름을 보인다. 이 역시 위에서 언급한 부착력 증가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징적으로 Ra-B-C7.03 실험체가 20 kN에 가까운 타 실험체와 달리 16.07 KN에서 항복한 후 즉시 파단되는데, 이는 부식 균열의 유무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장의 휨 성능 실험체와도 일관된 경향으로, 일반골재를 이용한 선행 연구(Kim et al. 2002)에서도 언급한 부식 균열과 취성적 파괴 사이의 연관성을 함께 고려해보면, 부식된 순환골재의 취성적인 파괴는 순환 골재의 재료적 특성과 부식 균열에 영향받아 발생하는 거동으로 판단된다.

Fig. 10 Load-displacement curves of bonding tests
../../Resources/KCI/JKCI.2022.34.5.497/fig10.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내부에 매입된 철근의 부식률(0, 2, 4, 6, 8, 10 %)과 구조성능(휨성능, 부착성능)을 변수로 하여 총 12개의 실험체를 제작, 실험하여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구조적 내구성능을 규명하였다. 순환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노후화 모사를 위하여 전위차 철근 부식법을 이용하여 철근 부식을 진행하였으며, 부식률에 따른 휨, 부착성능 실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매입 철근을 전위차 부식 촉진법으로 부식시킨 철근의 실제 부식률은 예상 부식률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일반골재를 이용한 선행연구(Cho 2003)보다 유사 피복두께 및 부식률 상에서 균열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휨성능 실험체는 부식률이 높아짐에 따라 사인장 균열보다 휨균열에 의한 파괴 모드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착성능 실험체는 대체로 부착응력이 가장 약한 양쪽 매입 철근의 중첩 지점에서 균열이 동시에 발생되는 파괴 모드를 보였다.

3) 부식률이 증가함에 따라 휨, 부착 성능 실험체 모두 항복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취성적인 하중-변위 곡선 양상이 나타났다. 이때, 부식률이 1~2 %에 가까운 Ra-F-C1.88, Ra-B-C1.33 실험체가 각 실험에서 가장 높은 최대하중과 부착강도 및 연성적인 파괴 거동을 보였다.

4) 실험체 단면에 수평으로 연속된 부식 균열을 갖는 Ra- F-C12.13, Ra-B-C7.03 실험체는 전 단계 부식률 실험체와의 항복하중 감소폭이 각 3.81 kN, 4.06 kN으로 나타났다. 이때, 유사 부식 균열폭을 갖지만 일부 끊어진 부식 균열을 갖는 Ra-F-C6.60의 항복하중 감소 수준이 1.22 kN인 것을 고려하면, 부식 균열폭과 더불어 부식 균열의 연속성 역시 성능 저하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5) 순환골재 콘크리트가 일반골재 콘크리트보다 동일 부식률 상에서 부식 균열이 넓은 경향이 있지만, 부식 균열로 인해 발생하는 취성적인 거동이나 부식률 1~2 %에 가까운 부식률을 갖는 실험체가 높은 구조 성능을 보이는 특징은 골재에 관계없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0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20R1I1 A1A01063913).

References

1 
Apostolopoulos C., 2012, The Consequences of Chloride-Induced Corrosion on Steel Bar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Journal of Applied Mechanical Engineering, Vol. 01, No. 04DOI
2 
Cho S., 2003, Prediction Techniques of Corrosion Level and Bond Performance of Corroded Reinforcement in Concrete, Ph.D. Thesis, Dankook University. (In Korean)Google Search
3 
Choi H., Kang K., 2008, A Bond Performance between Deformed Bar an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24, No. 3, pp. 95-102Google Search
4 
Chung L., Lee K., Cho S., 2001, Bond Strength of Corroded Bars Embedded in Reinforced Concrete Slab,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17, No. 12, pp. 141-148Google Search
5 
Du Y., Clark L. A., Chan A. H. C., 2007, Impact of Reinforcement Corrosion on Ductil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ACI Structural Journal, Vol. 104, No. 3, pp. 285-293URL
6 
Jung W., Kwon M., Ahn M., 2011, Structural Behavior of Compressive and Flexural Members due to Corroded Reinforcing Bars and Different Bonding Interfa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1, No. 5, pp. 33-39URL
7 
KATS , 2017,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S F 2405),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8 
KATS , 2018, Method of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S B 0802),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9 
Kim D., 2001, An Experimental Study on Bond Characteristics of Reinforcing Bars Corroded Before and After Concrete Casting, Master Degree, Dankook University. (In Korean)Google Search
10 
Kim D., Cho S., Han N., Paik I., Chung L., 2002, Bond Characteristics of Reinforcing Bars Corroded Before and After Concrete Casting in the Reinforced Concrete Memb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18, No. 11, pp. 55-62Google Search
11 
Kim J., 2009, Integrated Performance-based Evaluation System of Infra-Structure,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No. TRKO201100007229. (In Korean)Google Search
12 
Kim J. C., 2020, Modified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Buildings of Class-III Establishments, Seoul, Korea: Seoul Institute of Technology (SIT). No. ISBN: 979119073432593540. (In Korean)Google Search
13 
Lee K., 2001, Corrosion Effects on Bond Strength of Resinforcing Bars Embedded in Reinforced Concrete Slab, Ph.D. Thesis, Dankook University. (In Korean)Google Search
14 
Lee S., Kim G., Yoon M., Na C., Lee S., Shin S., Nam J., 2019, Monitoring on Compressive Strength and Carbon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100 % Recycled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9, No. 5, pp. 383-389DOI
15 
Lee Y., Yun H., Kim S., Jeon E., Lim S., 2007,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and Lap Splice Performances Estimation of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Beam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23, No. 5, pp. 29-36Google Search
16 
Liang C., Cai Z., Wu H., Xiao J., Zhang Y., Ma Z., 2021, Chloride Transport and Induced Steel Corrosion in Recycled Aggregate Concrete: A Review,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 Vol. 282, pp. 122547DOI
17 
Manzi S., Mazzotti C., Bignozzi M. C., 2013, Short and Long-term Behavior of Structural Concrete with Recycled Concrete Aggrega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Vol. 37, pp. 312-318DOI
18 
MOLIT , 2022, Durability Requirements Design Code for Concrete Structures (KDS 14 20 40),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7. (In Korean)Google Search
19 
Yang I.-H., An S.-K., Hwang C.-S., 2017, Flexural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Containing Recycled Coars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1, No. 1, pp. 30-39DOI
20 
Yeo J., Park T., Kim W., Kang T., Hong S., Kwak Y., 2011, Assessment of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Recycled Aggregat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27, No. 9, pp. 3-11Google Search
21 
Zhao Y., Dong J., Wu Y., Wang H., Li X., Xu Q., 2014, Steel Corrosion and Corrosion-Induced Cracking in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orrosion Science, Vol. 85, pp. 241-250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