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Rep. of Korea)
  2.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Rep. of Korea)



고유동 콘크리트, 콘크리트 재료분리, 비파괴 평가, 전기비저항, 거푸집
self-consolidation concrete, concrete segregation, nondestructive evaluation, electrical resistivity, formwork

1. 서 론

최근 콘크리트 시공법 및 혼화재료 개발 등으로 구조물의 형상 다양화 및 고층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유동・고성능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고유동 콘크리트는 유동화제 또는 플라이애시 등 혼화재료를 목표 유변물성에 따라 배합하고, 타설 시 진동 다짐 등을 최소화하여 시공 작업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동화제의 과다 사용 등 배합실패 또는 과다 진동 다짐 등 시공 실패의 경우 콘크리트 재료분리와 같은 타설 시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콘크리트 재료분리는 내부의 잉여수분 상승인 블리딩 현상과 굵은 골재 침하 현상 등으로 나타나며, 콘크리트의 불균질한 타설을 유발하여 양생 후 허니컴, 강도저하 등 콘크리트 내구성 문제로 확장될 수 있다.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법은 동적 재료분리 또는 정적 재료분리 평가로 분류할 수 있다. 동적 재료분리는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반죽질기를 통해 평가하고 있으며, ASTM C 1611 (2018)에 따라 콘크리트 슬럼프 플로우를 이용한 안정성 평가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외 콘크리트 유동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J-ring test, L-Box test, V-funnel test(EFNARC 2002) 등 다양한 평가법이 제안되었다. 콘크리트 정적 재료분리 평가를 위해서 침투 시험(ASTM C 1712 2014), 시각적 안정성 지수 측정(AASHTO 2008), 이미지 분석 기법(Shen 2005; Pierre 2008; Barbosa et al. 2011) 등이 제안되었으며, 일반적으로 ASTM C 1610(2006)에 따라 원기둥 형태 몰드의 상・하부 습식체가름을 통한 평가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ASTM C 1610(2006)은 원기둥 형태의 몰드에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 후 몰드 상・하부 콘크리트의 굵은 골재 중량 비율을 통해 콘크리트 재료분리율(segregation ratio)을 도출하는 정적 재료분리 평가법이다. 이 평가법은 다양한 배합에 따른 굵은 골재 침하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물-시멘트비 등 전체 배합비 변화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콘크리트 슬럼프 플로우 내부 다양한 직경의 3개 링을 이용한 정적 재료분리 평가 기법이 제안 되었으나, 역시 굵은 골재 분포에 따른 결과로 모든 배합 변화를 반영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Sadfa et al. 2022). 또한, Yim et al.(2020) 등은 굵은 골재 침하를 포함한 콘크리트 정적 재료분리를 반영할 수 있는 원기둥형 비파괴 평가법을 제안하였으며, Bae et al.(2020)은 전기비저항 측정법을 이용하여 플라이애쉬가 포함된 고유동 콘크리트 배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제안된 원기둥형 비파괴 평가법은 몰드 형태, 전극 간격 등 현장 타설 콘크리트 적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하여 시공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직 거푸집 형태의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법을 제안하고, 유동화제 사용량 및 굵은 골재 입도 분포에 따른 재료분리 평가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 전기비저항 산출을 위한 4-전극법:Offset square array

배합 직 후 콘크리트의 전기전도성은 내부 공극수를 통한 이온의 이동에 따라 결정되며, 이에 따라 샘플의 전기비저항이 결정된다. 전기비저항은 대상 물체의 단위 체적당 고유 전기 저항을 뜻하며, 전기비저항 측정법은 전기전도성을 이용하여 대상 재료 내부의 전기저항률을 도출하는 기법이다. 콘크리트는 믹싱 시점부터 양생시간에 따라 물의 증발 및 수화반응으로 인해 콘크리트 전기전도성이 점차 감소하게 되며, 이는 곧 전기비저항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전기전도성 및 전기비저항 변화를 통해 콘크리트의 물성 평가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Heikal et al. 2005; Schwarz et al. 2007; Xiao et al. 2007; Koleva et al. 2008; Topçu et al. 2012). 그 외 시멘트 계 재료의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한 연구로, 시멘트계 재료의 손상 평가를 위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전기전도성 모델 제안(Campo et al. 2002), 시멘트계 재료별 전기전도도 측정(Jolicoeur et al. 2000; Pavate et al. 2000; Khayat et al. 2003), 모르타르의 재료 등방성 측정(Spragg et al. 2014)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2-전극 배열을 이용한 시멘트 페이스트 응결 평가에 대한 연구(Topçu et al. 2012), 4-전극 배열을 이용한 모르타르의 응결 평가(Yim et al. 2017) 등 전극 배열에 따른 전기비저항 측정 연구 역시 보고되고 있다. 전기비저항 측정을 위한 전극 배열은 Wenner’s array, Square array, Schlumberger array, Dipole-dipole array 등이 있으며, 그 중 Wenner’s array는 동일 선상에 4개 전극을 설치하는 전극 배열로 겉보기 저항이 쉽게 계산되고 비교적 작은 전류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Square array는 상대적으로 재료 내부 깊이 측정이 가능하고 대상의 등방성을 결정하는데 이점을 가지고 있다. Wenner’s array를 이용한 모르타르 응결 시점을 평가한 선행 연구에서 배합 직 후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전기전도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배합에 따른 전기전도성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Yim et al. 2017). 또한, 원기둥 몰드의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한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 연구로부터(Yim et al. 2020), 재료분리 가속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전극 전기비저항 측정법을 적용한 수직 거푸집 형태의 전기비저항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정량적인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콘크리트 전기비저항은 물-시멘트 비율, 골재 비율 및 입도 분포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 결정되며, 이러한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Square array 측정 셋업을 구성하였다. Square array의 모식도는 Fig. 1(a)와 같다. 이 전극 배열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전류 전극 2개, 전위 전극 2개를 선정하여 배열에 따른 대상 시편에 흐르는 전류($I$) 및 전압($V$)을 통해 전기 저항($R$)을 산출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4개 전극의 전류 및 전압 전극의 배열 변경 측정으로 평균 전기비저항 측정이 가능한 Offset square array를 적용하였다. Offset square array는 전극배열에 따른 측정 저항 $R_{a}$와 90° 회전 측정 저항 $R_{b}$의 평균값으로 결정되며 정사각형 전극 배열 내부 전기비저항 결과로 나타낼 수 있다(Fig. 1(b)). 측정 저항으로부터 전기비저항($\rho$)은 식 (1)을 통해 결정되며, 여기서, $R$은 저항, $a$는 전극 간격(m)이다.

(1)
$\rho =\dfrac{2\pi a R}{2-\sqrt{2}}=\pi a R(2+\sqrt{2})=10.73a R$

본 연구에 사용된 전극 간격은 15 mm로 배치하였으나, 콘크리트 배합에 사용된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19 mm이기 때문에 골재 최대 치수에 따른 전기비저항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 4개 Offset square array(30 mm 정사각형 배열) 평균 전기비저항 $\rho_{avr}$으로 결과를 정리하였다. 전극 간격 15 mm의 사각 배열 전기비저항($\rho_{1}$, $\rho_{2}$, $\rho_{3}$, $\rho_{4}$)을 측정한 뒤(Fig. 1(c)) 평균 전기비저항을 산출하였다(식 (2)).

(2)
$\rho_{avr}=(\rho_{1}+\rho_{2}+\rho_{3}+\rho_{4})/4$
Fig. 1 (a) Current flow and equipotential lines of an offset square array, (b) Experiment setup for the offset square array(Baker 1981), (c) Averaged electrical resistivity for the offset square array
../../Resources/KCI/JKCI.2023.35.1.071/fig1.png

3. 실 험

3.1 재료 준비

콘크리트 재료분리 샘플 준비를 위해 물, 시멘트, 잔골재, 굵은 골재와 함께 AE제 및 유동화제를 배합하였다. 비중 3.15의 1종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고 화학적 구성은 Table 1과 같다. 비중 2.6의 강사를 잔골재로 사용하였고, 비중 2.65 및 최대치수 19 mm의 쇄석을 굵은 골재로 사용하였다. 콘크리트 배합에 사용된 골재는 100 °C 이상의 건조로에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절대건조 상태로 유지하고, 골재 함수상태를 고려하여 물-시멘트 비율은 60 %로 유지하였다. 콘크리트 재료분리 및 골재 침하 영향 확인을 위해 사용 굵은 골재의 체가름을 통해 동일한 입도 분포를 유지하였다. 이를 위해 19 mm 이하 사용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를 9.5 mm(4.75~9.5 mm), 16 mm(9.5~16 mm), 19 mm(16~19 mm) 3 구간으로 분류하고, 각 구간의 굵은 골재를 총 굵은 골재 중량 대비 33.3 %씩 배합하였으며 실험 종료 후 골재를 세척 및 반복 사용하였다. 또한, 유동화제가 첨가되지 않은 콘크리트 샘플(C0)과 함께 임의의 콘크리트 재료분리 발생을 위해 시멘트 중량 대비 유동화제를 1, 2, 3 %까지 첨가하여 샘플을 준비하고, 타설 직 후 진동다짐대를 사용하여 각 샘플의 다짐 상태를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과도한 진동은 콘크리트 재료분리를 가속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실험을 통해 믹싱 및 몰드 내 타설 후 진동 다짐은 10초로 결정하였다. 배합별 샘플의 유동성 및 워커빌리티 평가를 위해 슬럼프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C0 샘플은 슬럼프 0 cm로 콘크리트 재료분리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하여 기준 샘플로 선정하였다. C1, C2, C3의 슬럼프는 10, 16, 22 cm로 유동화제 사용 증가에 따른 예상 결과로 나타났으며, 준비된 콘크리트 샘플의 배합비 및 측정 슬럼프 값은 Table 2에 정리하였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Physical properties

Chemical composition (%)

Specific gravity

Blaine (cm2/g)

SiO2

AI2O3

Fe2O3

CaO

MgO

SO3

K2O

Loss on ignition

3.12

3,820

17.64

4.36

3.29

58.32

3.74

4.08

1.32

2.84

Table 2 Proportions of the concrete mixtures

Sample

Unit weight (kg/m3)

Slump

(cm)

Water

Cement

Sand

Gravel

AE1)

PNS2)

C0

228

380

760

950

0.038

-

0

C1

228

380

760

950

0.038

3.8

10

C2

228

380

760

950

0.038

7.6

16

C3

228

380

760

950

0.038

11.4

22

Note: 1)AE: air-entraining agent; 2)PNS: polynaphthalene sulfonate

3.2 재료분리 평가법 - 전기비저항 측정법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를 위한 전기비저항 측정 시스템은 거푸집을 모사한 평면 형태로 구성하였다. 직육면체 사각기둥 타입의 몰드를 제작하였으며, 상부, 중부, 하부 일정 간격으로 전극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전기비저항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본 실험에 적용된 몰드는 사용 굵은 골재 최대치수 19 mm를 고려하여 170 mm×170 mm×240 mm 및 두께 10 mm로 설계하였다. 강재거푸집 등 전기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제작된 거푸집은 콘크리트 전기비저항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 절연체인 아크릴로 거푸집을 모사하여 제작하였다. 전극 간격은 15 mm로 몰드 최상부 기준 1/3 지점(상부), 2/3 지점(중부), 3/3 지점(하부) 중심에 각각 18개의 전극을 설치하였다(Fig. 2(b)). 설치된 전극은 HIV 2.5SQ(diameter 1.78 mm)의 단심 구리 전극을 사용하였다. 전기비저항 측정 장비는 전원 모듈(NI-9269)과 연결된 전류 모듈(NI-9227) 및 전압 모듈(NI-9222)을 사용하여 셋업을 구성하였으며, LabVIEW를 통해 각 층 동시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측정 전극은 2개의 전류 전극(current electrode), 2개의 전위 전극(potential electrode)을 정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전류 전극에 1$V$, 100 Hz의 교류 전원을 가진하여 전류($I$)를 측정하였으며, 인접한 전위 전극 사이의 전위차($V$)를 측정하였다. 또한, 사각기둥 몰드 각 층의 대표 전기비저항 측정 결과를 위해 동일 배합 콘크리트 대상으로 동일 높이 정사각형 4개 배열(M1, M2, M3, M4)에 대한 중첩 측정을 통해 각 층의 평균 전기비저항 값을 도출하였다(Fig. 2(c)). 준비된 콘크리트 배합은 블리딩 및 재료분리의 안정화를 고려하여 타설 10분 후 측정하였다.

Fig. 2 (a)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system, (b) Schematic of the mold for evaluating concrete segregation, (c) Superposition measurement of electrical resistivity at different locations
../../Resources/KCI/JKCI.2023.35.1.071/fig2.png

3.3 재료분리 평가법 - 굵은 골재 중량 측정법

기존 재료분리 평가를 위해 사용되던 습식체가름을 통한 굵은 골재 중량 측정법과 비교를 위해, 사각기둥 몰드의 전기비저항 측정 후 굵은 골재 중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전기비저항 측정 위치와 같이 몰드를 상부, 중부, 하부의 3개 층으로 분할하였으며(Fig. 2(b)), 각 위치의 콘크리트를 채취하여 No. 4체에 잔존하는 굵은 골재 중량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배합되는 콘크리트 내 굵은 골재는 형상, 크기, 표면 거칠기 등이 매우 불규칙하며, 이는 콘크리트 재료분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굵은 골재 밀도와 크기에 따른 재료분리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Navarrete and Lopez 2017),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감소 및 굵은 골재의 형상 각도 증가에 따른 재료분리 방지에 대한 유동성 실험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굵은 골재 최대 치수가 동일한 상황에서 사용 굵은 골재의 크기별 입도 분포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를 추가로 수행하였다. 유동화제 첨가량에 따른 배합 4개 이외에 사용 굵은 골재의 평균 직경이 크고 작은 케이스의 2개 배합을 추가로 준비하였다. 유동화제가 1 % 첨가된 C1 배합에서 굵은 골재 최대 치수 9.5 mm가 총 굵은 골재 중량 대비 70 %, 최대 치수 16 mm, 19 mm는 20 %, 10 %인 CA9.5 샘플, 굵은 골재 최대 치수 19 mm가 총 굵은 골재 중량 대비 70 %, 최대 치수 9.5 mm, 16 mm는 20 %, 10 %인 CA19 샘플로 선정하여 굵은 골재 입도 분포에 따른 재료분리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Table 3).

Table 3 Proportions of used coarse aggregate

Sample

$G_{\max}$ (mm)

9.5

16

19

C1

33 %

33 %

33 %

CA9.5

70 %

20 %

10 %

CA19

10 %

20 %

70 %

4. 실험 결과 및 분석

4.1 유동화제 첨가량에 따른 재료분리 평가

제안된 사각기둥 타입 전기비저항 측정 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결과는 각 층 동일 배합 3번 실험 평균 값으로 정리하였다. 측정 결과로부터, 상부 대비 중부, 하부의 전기비저항 비율을 통해 재료분리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Fig. 3에 정리하였다. C0 샘플의 경우 상부, 중부, 하부의 각 전기비저항 측정값은 2.416, 2.446, 2.563 Ω・m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슬럼프가 없는 배합임에도 진동 다짐으로 인한 굵은골재 침하 발생으로 상부 대비 중부, 하부의 최대 변화는 약 6 % 내로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슬럼프가 거의 없는 콘크리트에서도 과도한 다짐이 가해지면 재료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고 확인되며, 제안된 평가법은 과다 다짐에 따른 재료분리 역시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동화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부 대비 중부, 하부의 전기비저항 상승 비율이 확대되었다. C1 샘플의 경우 상부, 중부, 하부는 2.380, 2.361, 2.795 Ω・m와 같으며, 상부 대비 중부의 전기비저항은 큰 변화가 없으나 하부의 전기비저항은 17.4 % 증가하였다. C2의 상부 대비 중부, 하부의 전기비저항은 각각 20.2 %, 33.7 % 증가하였으며, C3는 30.4 %, 46.8 %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유동화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골재 침하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상부 대비 하부의 전기비저항이 상승하며, 이 상승 폭은 유동화제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콘크리트 재료분리 현상의 가속화로 판단된다.

전기비저항 측정 후 몰드 상・중・하부 콘크리트의 습식체가름을 통한 굵은 골재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몰드 상부 대비 중부, 하부의 굵은 골재 중량 비율을 통해 재료분리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굵은 골재 침하율은 유동화제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Fig. 4). C0 샘플의 상부 대비 중부, 하부 굵은 골재 비율의 최대 오차는 약 2 % 내의 비교적 균일한 분포를 보였다. C1 샘플의 상부 대비 중부, 하부의 굵은 골재 중량은 36 %, 65 % 증가하였으며, C2, C3 샘플 또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2 샘플의 상부 대비 중부, 하부는 49 %, 90 %, 상승하였으며, C3 샘플은 326 %, 467 % 상승하였으며, 동일 배합 샘플들의 전기비저항 측정 결과 역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사각기둥 몰드 전기비저항 측정법의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동화제 첨가에 따른 샘플별 각 지점의 C0 샘플 기준 상대적인 굵은 골재 중량을 Fig. 5에 나타내었다. 상부에서 유동화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굵은 골재 중량 비율이 비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하부에서 역시 굵은 골재 중량 비율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중부의 굵은 골재 중량 비율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결과로 나타나는데, 이는 상부의 굵은 골재 침하량 만큼 중부의 골재가 하부로 침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사각기둥 몰드의 모든 위치에서 유동화제 사용 및 진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굵은 골재 침하 비율은 유사하다 할 수 있다. 다만, 굵은 골재 침하 경향이 유동화제 첨가량에 비례하는 전기비저항 측정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나, 굵은 골재 침하 비율은 전기비저항에 비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콘크리트 전기비저항 측정이 굵은 골재 비율을 포함한 모르타르 비율 변화를 모두 반영한 결과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즉, 전기비저항 측정은 굵은 골재 침하뿐만 아니라 잔골재 및 물-시멘트 비율 변화를 포함한 결과로, 기존 굵은 골재 침하로 평가하던 골재분리 또는 재료분리를 포함한 전체 배합비율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비파괴 평가법으로 판단된다.

Fig. 3 Comparison of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tests at different locations
../../Resources/KCI/JKCI.2023.35.1.071/fig3.png
Fig. 4 Weight of coarse aggregates according to location
../../Resources/KCI/JKCI.2023.35.1.071/fig4.png
Fig. 5 Changed ratio of coarse aggregates with increasing segregation
../../Resources/KCI/JKCI.2023.35.1.071/fig5.png

4.2 굵은 골재 입도 분포에 따른 재료분리 평가

굵은 골재 입도 분포에 따른 전기비저항 및 굵은 골재 중량 측정 결과는 Fig. 6Fig. 7에 나타내었다. C1 샘플의 상부 대비 중부의 전기비저항은 차이가 없으나 하부의 전기비저항은 17.4 % 증가하였으며, 굵은 골재 중량은 상부 대비 중부 및 하부에서 각 36 %와 65 % 증가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굵은 골재 입도 분포에 따른 재료분리 측정 결과를 보면, CA9.5 샘플은 상부 대비 중부 및 하부의 전기비저항이 각 1.8 % 및 4 % 증가하였으며, 굵은골재 중량은 각 4.4 %와 13.1 % 증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CA19 샘플은 상부 대비 중부의 전기비저항은 크게 변화가 없으며 하부의 전기비저항은 23.8 % 증가하였다. 또한, 굵은 골재 중량은 중부와 하부에서 각 55 %와 209 %의 증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두 샘플의 상부 대비 중부에서의 변화 폭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부 대비 하부의 비율 변화를 살펴보면, CA9.5 샘플의 경우 C1 샘플 대비하여 하부의 전기비저항 및 굵은 골재 중량 비율이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CA19의 경우 하부 전기비저항 비율 및 굵은 골재 중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 굵은 골재의 직경이 커질수록 또는 굵은 골재의 중량이 커질수록 골재 침하량이 가속화된다고 볼 수 있으며, 사용 굵은 골재의 중량 및 직경이 작아질수록 재료분리 저항성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배합에 사용된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제한되더라도 사용 골재의 입도 분포에 따라 골재 침하 정도가 결정된다고 정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골재 침하량 변화는 전체 배합비 변화로 나타나며 이는 콘크리트의 재료분리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라 판단된다.

Fig. 6 Changed electrical resistivity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arse aggregate size
../../Resources/KCI/JKCI.2023.35.1.071/fig6.png
Fig. 7 Settled coarse aggregates with different coarse aggregate size
../../Resources/KCI/JKCI.2023.35.1.071/fig7.png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시공 현장의 거푸집 형상을 고려한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Offset square array를 적용한 4-전극 전기비저항 측정이 가능하도록 비파괴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유동화제 첨가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분리 샘플을 통해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기비저항 측정을 통해 굵은 골재 침하량을 포함한 콘크리트 재료분리 평가가 가능하다 판단된다. 또한, 굵은 골재 입도 분포에 따른 재료분리 발생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이 또한 제안 측정법을 통해 타설 즉시 평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본 논문에 기술된 유동화제, 굵은골재 입도 분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배합에 따른 제안 측정법 적용성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과제는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AASHTO (2008) Standard Practice for Static Segregation of Hardened Self-Consolidating Concrete (SCC) Cylinders (AA SHTO PP 58).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AASHTO).URL
2 
ASTM C1610/C 1610M-06 (2006) Standard Test Method for Static Segregation of Self-Consolidating Concrete Using Column Technique.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3 
ASTM C1611/C1611M-18 (2018) Standard Test Method for Slump Flow of Consolidating Concrete.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4 
ASTM C1712-14 (2014) Standard Test Method for Rapid Assessment of Static Segregation Resistance of Self-Consolidating Concrete Using Penetration Test.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5 
Bae, Y. H., Kim, S. D., and Yim, H. J. (2020) Concrete Segregation Evaluation Method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under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2(3), 251-257.URL
6 
Barbosa, F. S., Beaucour, A. L., Farage, M., and Ortola, S. (2011) Image Processing Applied to the Analysis of Segregation in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5(8), 3375-3381.DOI
7 
Barker, R. D. (1981) The Offset System of Electrical Resistivity Sounding and Its Use with a Multicore Cable. Geophysical Prospecting 29(1), 128-413.DOI
8 
Campo, M. A., Woo, L. Y., Mason, T. O., and Garboczi, E. J. (2002) Frequency-Dependent Electrical Mixing Law Behavior in Spherical Particle Composites. Journal of Electroceramics 9, 49-56.DOI
9 
EFNARC (2002) Specification and Guidelines for Self-Compacting Concrete. Farnham, UK; European Federation of National Associations Representing Producers and Applicators of Specialist Building Products for Concrete 32. European Federation for Specialist Construction Chemicals and Concrete Systems (EFNARC).URL
10 
Heikal, M., Morsy, M. S., and Aiad, I. (2005) Effect of Treatment Temperature on the Early Hydration Characteristics of Superplasticized Silica Fume Blended Cement Past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5(4), 680-687.DOI
11 
Jolicoeur, C., Khayat, K. H., Pavate, T. V., and Page, M. (2000) Evaluation of Effect of Chemical Admixture and Supplementary Materials on Stability of Concrete-Based Materials Using In-Situ Conductivity Method. ACI Materials of Concrete Journal 195, 461-483URL
12 
Khayat, K. H., Pavate, T. V., Assaad, J., and Jolicoeur, C. (2003) Analysis of Variations in Electrical Conductivity to Assess Stability of Cement-Based Materials. ACI Materials Journal 100(4), 302-310.URL
13 
Koleva, D. A., Copuroglu, O., Van Breugel, K., Ye, G., and de Wit, J. H. W. (2008) Electrical Resistivity and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Concrete Materials in Conditions of Current Flow.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30(8), 731-744.DOI
14 
Navarrete, I., and Lopez, M. (2017)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gregation of Concrete and Coarse Aggregate Density and Siz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49, 741-748.DOI
15 
Pavate, T. V., Khayat, K. H., and Jolicoeur, C. (2000) In-Situ Conductivity Method for Monitoring Segregation, Bleeding and Strength Development in Cement-Based Materials. ACI Special Publication 195 (SP195-33). 535-560.URL
16 
Pierre, B., Geoffray, J. M., and Haddani, Y. (2008) On-Site Concrete Segregation Estimation Using Image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Concrete Technology 6(1), 171-180.DOI
17 
Sadfa, F. A., Aicha, M. B., Zaher, M., Alaoui, A. H., and Burtschell, Y. (2022) New Test for the Determination of Static Segregation of Self-Compacting Concrete: Three-Circles Test. MaterialsToday 62(6), 4161-4167.DOI
18 
Schwarz, N., DuBois, M., and Neithalath, N. (2007) Electrical Conductivity Based Characterization of Plain and Coarse Glass Powder Modified Cement Past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9(9), 656-666.DOI
19 
Shen, L. (2005) Testing Static Segregation of SCC. 2nd North American Conference on The Design and Use of SCC, Chicago. 729-737.URL
20 
Spragg, R., Jones, S. Z., Snyder, K. A., Bentz, D. P., Villani, C., and Weiss, J. (2014) Surface and Uniaxial Electrical Measurement on Layered Cementitious Composites Having Cylindrical and Prismatic Geometrie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West Lafayette, IN; July 24-26, 2014, 317-326.DOI
21 
Topçu, İ. B., Uygunoğlu, T., and HocaoğluaI, İ. (2012) Electrical Conductivity of Setting Cement Paste with Different Mineral Admix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8(1), 414- 420.DOI
22 
Xiao, L., Li, Z, and Wei, X. (2007) Selection of Superplasticizer in Concrete Mix Design by Measuring the Early Electrical Resistivities of Past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9 (5), 350-356.DOI
23 
Yim, H. J., Bae, Y. H., and Kim, J. H. (2020) Method for Evaluating Segregation in Self-Consolidating Concrete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32, 117283.DOI
24 
Yim, H. J., Lee, H. J., and Kim, J. H. (2017) Evaluation of Mortar Setting Time by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46, 679-686.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