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Principal Research Engineer, Construction Technology Research Center,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KCL), Seoul 08503, Rep. of Korea)
  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연구원 (Researcher, Construction Technology Research Center,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KCL), Seoul 08503, Rep. of Korea)



탄소그리드, 인장보강재, 직물섬유보강콘크리트, 인장거동, 탄소섬유보강재료
carbon grid, reinforcement, textile reinforced concrete, tensile behavior,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1. 서 론

철근콘크리트는 구조물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합재료이지만, 해양 환경에 노출되어 염분이 침투하면 콘크리트의 인장보강재로 사용되는 철근이 부식되어 구조물의 급격한 내구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최소 피복두께를 규정하고, 콘크리트와 철근 사이 공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밀실한 시공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철근 자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 표면을 에폭시 등으로 코팅하는 기술이 개발(Erdoğdu et al. 2001; Jaffer and Hansson 2009)되었으나, 콘크리트 타설로 에폭시 코팅층이 벗겨지거나 찢겨져 국부적 부식을 초래하거나 철근 표면의 에폭시 코팅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일부 교량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었다.

한편, 철근 부식으로 인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철근이 아닌 부식에 강한 섬유보강재료(fiber reinforced polymer, FRP)를 콘크리트 인장보강재로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1970년대부터 이루어져 왔다(ACI 2021).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를 사용하여, 철근, 그리드 등의 형태로 FRP 인장보강재가 제작되었으며, 주로 교량, 보도교 등에 적용(Kulas 2015; ACI 2021)되었다.

이 중 그리드 형태의 FRP 인장보강재는 직물섬유보강콘크리트(textile reinforced concrete, TRC) 구조(Diana 2014)의 직물섬유 인장보강재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직섬유보강콘크리트는 주로 건축물 벽체(Tietz et al. 2022), 구조물 외부 보강(Saleem et al. 2019; Giese et al. 2021) 등에 주로 적용되었다. TRC 구조는 철근과 물리적 특성이 다른 섬유를 그리드 형태로 제직한 직물섬유를 콘크리트 인장보강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균열 발생 전까지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동일한 선형 탄성의 인장거동을 보이지만, 균열 발생 이후에는 Fig. 1과 같이 연속적인 균열 발생으로 응력의 감소와 증가가 반복(구간 IIa)되다가, 이후 균열 발생이 안정화되면서 직물섬유 인장보강재가 응력을 부담(구간 IIb)하고, 최종적으로 직물섬유 인장보강재의 파단 혹은 콘크리트와의 슬립으로 파괴되는 인장거동을 보이는 것(Hinzen and Brameshuber 2009)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Colombo et al.(2013)에 따르면 균열 안정화 구간의 강성은 직물섬유 인장보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에 영향을 받으며, 부착이 양호할 경우, 직물섬유 인장보강재 자체 강성과 유사한 수준의 강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같은 TRC 구조의 인장거동은 섬유를 수지에 함침하지 않은 직물섬유 인장보강재를 주요 대상으로 한 것으로, 섬유를 수지에 함침한 인장보강재를 적용한 TRC 구조의 인장거동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인 실정이다. 특히, Rampini et al.(2019), Gries et al.(2016) 등에 따르면 그리드 형태의 FRP 인장보강재와 같이 섬유를 수지에 함침할 경우, 작은 균열 간격, 안정적 균열 형성, 강도 증가 등 TRC 구조의 인장거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탄소섬유를 수지에 함침하는 탄소섬유보강재료(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기술을 활용한 그리드 형태의 CFRP 인장보강재(이하, 탄소그리드)로는 주로 CFRP의 높은 물성을 활용하여 스트랜드 단면적이 및 스트랜드 간 간격이 좁은 2축경편구조(biaxial warp knitting structure)의 탄소그리드(Gries et al. 2016)를 적용한 TRC 구조에 대한 연구(Portal 2015; Portal et al. 2017; Rampini et al. 2019)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축경편구조 포함 교차적층구조(cross laminate structure)의 서로 다른 2개의 제조방식과 이에 따라 기하학적, 물리적 특성이 다른 8종류의 탄소그리드를 적용하여 TRC 구조의 인장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조방식,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단면적, 간격,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가 다른 탄소그리드를 사용하여 9종류의 시험 케이스에 대하여 각각 2개의 TRC 구조의 인장시험체를 제작하고, 직접인장시험(RILEM Technical Committee 2016)을 실시하였다.

Fig. 1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textile reinforced concrete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1.png

2. 콘크리트 인장보강용 탄소그리드

본 논문에서는 Fig. 2Table 1과 같은 형상 및 특성의 수지가 함침된 2축경편구조와 교차적층구조의 그리드 형태 탄소그리드를 TRC 구조의 인장보강재로 사용하였다.

2축경편구조를 가지는 탄소그리드는 Fig. 2(a)와 같으며, 탄소섬유 위사와 경사를 각각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잡아당긴 후 경사방향으로 별도의 섬유로 편직하고 에폭시에 함침하여 경화시킨 것(Gries et al. 2016)이다. 한편, 교차적층구조를 가지는 탄소그리드는 Fig. 2(b)와 같으며, 얇은 띠형태의 탄소섬유를 격자로 교차하여 적층한 후 비닐에스터에 함침하여 경화시킨 것으로, 위사와 경사 방향 스트랜드가 접합부 동일 단면상에 위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는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와 비교하여 위사와 경사 방향 스트랜드 간격과 스트랜드 한 개당 단면적이 작은 특징을 가진다.

Table 1 Properties of the carbon grid

Name

Structure

Resin

Strand area

(mm2/EA/mm2/m)

Longitudinal×transverse space (mm)

Num. of longitudinal strands per 1 m

Q47_38

Biaxial warp knitting structure

Epoxy

1.7/44.2

38×38

26

Q85_21

1.8/84.6

21×21

47

Q95_38

3.5/98.8

38×38

26

FTG-CR6

Cross laminate structure

Vinyl Ester

17.5/157.5

100×100

9

FTG-CR8

26.4/501.6

50×50

19

FTG-CR8

26.4/237.6

100×100

9

FTG-CR16

100/900

FTG-CMR16

100/900

Fig. 2 Details of the carbon grid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2.png

3. 시험개요

3.1 인장시험체 개요

3.1.1 인장시험체 형상 및 제조 방법

TRC 구조의 인장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탄소그리드 제조방식, 탄소그리드의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 단면적, 간격,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 유무를 변수로 Table 2와 같은 9종류의 시험 케이스에 대하여 각각 2개의 인장시험체를 제작하였다.

Table 3은 RILEM TC 232-TDT(RILEM 2016) 및 AC 434 (Arboleda 2014))에서 제시하고 있는 TRC 구조 인장시험체의 상세를 나타내며, RILEM TC 232-TDT는 섬유를 수지에 함침한 탄소그리드를, AC 434는 섬유를 수지에 함침하지 않고 비교적 위사 및 경사 방향 스트랜드 간격이 좁은 직물섬유를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섬유를 수지에 함침하고 비교적 위사 및 경사 방향 스트랜드 간격이 넓은 탄소그리드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RILEM TC 232-TDT를 참고하여,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간격을 고려하여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는 인장 축방향으로 스트랜드가 3개 이상,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는 인장 축방향으로 스트랜드가 2개 이상 포함되도록 시험체 폭과 길이를 Table 2와 같이 결정하였으며, 시험체 두께는 스트랜드 단면 높이가 큰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의 단면 크기(10×10 mm)를 고려하여 20 mm로 하였다.

인장시험체의 두께,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스트랜드 간격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압축재로 모르타르를 사용하였으며, Fig. 3과 같이 피복두께 상당의 높이까지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에 탄소그리드를 배치하고 그 위로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한편, 탄소그리드의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가 인장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 케이스 CR8_N의 경우,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를 절단하고 2개의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를 배치하여 제작하였다. 모르타르 타설 1일 경과 후에 거푸집을 탈형하였으며, 이후 인장시험 전까지 최소 28일 이상 실험실 환경(온도 20 °C, 습도 60 %)에서 인장 시험체를 양생하였다.

Fig. 3 Specimen manufacturing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3.png
Table 2 Properties of the specimens

Test case

Width

(mm)

Length

(mm)

Thickness

(mm)

Carbon grid

Num. of longitudinal strands

Max. tensile force by grid (kN)

Name

Q47

100

700

20

3

22.9

Q47_38

Q85

5

36.5

Q85_21

Q95

3

42.3

Q95_38

CR8_50

2

88.5

FTG-CR8

CR6

140

700

20

2

50.9

FTG-CR6

CR8

2

88.5

FTG-CR8

CR16

2

286.8

FTG-CR16

CMR16

2

301.2

FTG-CMR16

CR8_N

2

88.5

FTG-CR8

Table 3 Carbon grid-concrete tensile specimen size

 

RILEM TC 232-TDT

AC 434

Length

∙ ≧500 mm

∙ ≧5 times of width

∙ ≧(gripping length+guage length+thickness)×2

Width

∙ More than 60 mm

∙ Including more than 3 strands

∙ ≧4 times of thickness

Thickness

∙ More than 6 mm

-

3.1.2 재료 특성

모르타르는 Table 4와 같이 물-시멘트비 50 % 배합을 적용하였다. 모르타르 압축강도는 50 mm×50 mm×50 mm의 각주형 공시체를 제작하여, 인장시험체와 동일한 실험실 환경에서 28일 이상 양생한 후 1,000 kN의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5는 탄소그리드의 인장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Table 5 중의 괄호 안의 값은 제품 제시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를 의미한다. 탄소그리드 인장시편은 ASTM D7205(ASTM 2016) 및 CAN/CSA-S806-02(CAN/CSA 2009)에 따라 Fig. 4와 같이 인장 축방향으로 한 개의 스트랜드를 대상으로 양단부 정착 구간에 에폭시와 철판을 덧대어 제작하였으며, 1,000 kN의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시험결과, 인장강도는 제품 제시 값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탄성계수는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의 경우, 제품 제시 값보다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의 경우, 스트랜드 단면적이 작은 FTG-CR6과 FTG-CR8은 제품 제시 값보다 작게, 스트랜드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FTG-CR16과 FTG-CMR6은 제품 제시 값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FTG-CR16과 FTG-CMR6의 경우 인장시험으로 스트랜드의 단면적이 파단된 것이 아니라 적층된 탄소섬유 띠의 층분리로 인하여 최종 파괴되었기 때문에 제품에서 제시하고 있는 값과 차이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Mix design of mortar and compressive strength test result

Water (kg/m3)

Cement (kg/m3)

Fine aggregate (kg/m3)

W/C (%)

Compressive strength (MPa)

225

450

1,350

50

43.9

Table 5 Tensile test results of the carbon grids

Name

Tensile strength (MP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GPa)

Q47_38

4,380 (3,600)

256 (230)

Q85_21

4,122 (4,000)

244 (230)

Q95_38

4,004 (3,600)

241 (230)

FTG-CR6

1,455 (1,400)

99 (100)

FTG-CR8

1,676 (1,400)

94 (100)

FTG-CR16

1,434 (1,400)

236 (100)

FTG-CMR16

1,506 (1,200)

349 (165)

Fig. 4 The carbon grid test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4.png

3.2 가력 및 계측 방법

TRC 구조의 인장거동은 Fig. 5와 같이 1,000 kN의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직접인장시험방법(RILEM Technical Committee 2016)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Fig. 5(a)와 같이 인장시험체를 시험체 상단과 하단에 철판을 대고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만능시험기에 설치한 후, 5 mm/min의 속도로 가력하였다.

인장시험체에 작용한 하중은 만능시험기에 내장된 로드셀로 계측하였다. 또한, 인장 시험체 중심 위치의 상단 및 하단 철판에 Fig. 5(b)와 같이 와이어 변위계를 설치하여 시험체 상단 및 하단 철판 사이 계측구간 434 mm(Table 2의 폭 100 mm 시험체) 및 435 mm(Table 2의 폭 140 mm 시험체)의 인장 변형을 계측하였다.

Fig. 5 The test setup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5.png

4. 시험 결과 및 고찰

4.1 손상 및 파괴 형상

Fig. 6은 9종류의 시험 케이스에 대한 인장시험체의 최종 파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2축경편구조 및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인장시험체 모두 시험체 계측구간에 다수의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시험 케이스 Q47, Q95, CR6, CR26 및 CMR16의 경우, 두 개의 시험체 중 한 개의 시험체는 철판으로 고정된 부분의 모르타르가 파괴 및 탈락되어 최종 파괴되었으며, 다른 한 개의 시험체는 철판과의 사이에 발생한 슬립이 확대되면서 응력이 감소하였다.

또한, 시험 케이스 CR8은 두 개의 시험체 모두 철판에 고정된 부분의 모르타르가 파괴 및 탈락되어 최종 파괴되었으며, 시험 케이스 CR8_N은 두 개의 시험체 모두 철판과의 슬립이 확대되면서 응력이 감소하였다.

한편, 모든 시험체에 배치된 탄소그리드에는 실험 종료 시까지 스트랜드의 파단, 섬유나 수지의 손상 등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Fig. 6 Appearance following failure of the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6.png

4.2 균열 발생 현황

Table 6은 9종류 시험 케이스의 인장시험체의 균열 발생 개수, 평균 균열 간격 등 균열 발생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경우, 6~10개의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균열 간격이 5.24~9.06 mm인 반면에,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경우, 시험체 CR6의 두 개의 시험체 중 한 개의 시험체를 제외하고 4~8개의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균열 간격이 7.16~10.56 mm로, 2축경편구조 인장시험체에 더 많은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균열 간격도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ig. 7과 같이 2차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개별 균열 간격은 인장 수직방향 간격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개별 균열 간격은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 간격이 작은 시험 케이스 CR8_50와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를 절단한 시험 케이스 CR8_N을 제외하고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 간격과 유사하거나 큰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Crack formation status of the specimens

Specimen

Number of cracks

Average crack space (mm)

Number of cracks

Average crack space (mm)

Q47

6

87.6

6

90.6

Q85

7

71.7

7

80.5

Q95

10

52.4

6

84.2

CR6

5

100.3

1

-

CR8

5

98.5

6

104.0

CR16

4

100.0

6

105.8

CMR16

6

99.8

6

91.4

CR8_50

8

71.6

6

95.6

CR8_N

5

101.0

7

76.7

Fig. 7 Crack spacing of the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7.png

4.3 인장거동

4.3.1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

Table 7은 9종류 시험 케이스 두 개 시험체의 인장시험 결과 평균값을, Fig. 8Fig. 9는 각각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와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인장 응력은 시험체에 작용한 하중을 시험체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며, 변형률은 와이어 변위계로 계측한 값을 계측구간 길이로 나눈 값이다. 한편, Fig. 8Fig. 9 중의 회색 실선은 철판과의 사이에 발생한 슬립의 확대로 응력이 저하된 시험체의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를 나타낸다.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경우, 인장강도의 약 24~40 % 수준의 응력에서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이후 다수의 균열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로 응력이 전달되면서 응력의 급격한 감소 및 증가가 반복되고 강성이 저하하였다. 한편, 철판에 고정된 부분의 모르타르가 파괴 및 탈락된 시험체는 인장강도 도달 이후 급격하게 응력이 저하되었으며, 철판과 시험체의 슬립으로 응력이 저하한 시험체는 인장강도 도달 이후 비교적 서서히 응력이 저하되었다.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경우, 인장강도의 약 21~65 % 수준에서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이후 균열 발생으로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로 응력이 전달되면서 강성이 저하한 상태에서 인장강도에 도달하였다. 또한,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와 달리 초기 균열 발생 이후의 연속적인 균열 발생에 따른 급격한 응력 감소 및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대비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의 큰 단면적으로 인하여 탄소그리드 표면에서 시험체 표면까지 타설된 모르타르 높이가 낮고, 시험 중 균열 발생과 동시에 균열이 크게 벌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장강도에 도달하기 전에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로 응력이 전달되면서 변형률은 크게 증가하지만 상대적으로 응력은 거의 증가하지 않거나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2차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와 마찬가지로 철판에 고정된 부분의 모르타르가 파괴 및 탈락된 시험체는 인장강도 도달 이후 급격하게 응력이 저하되었으며, 철판과의 슬립으로 응력이 저하한 시험체는 인장강도 도달 이후 비교적 서서히 응력이 저하되었다.

한편,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및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 모두 균열 발생에 따라 이전 균열로 저하한 응력을 초과하는 응력 증가가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의 강성은 균열 발생 전 초기 강성과 비교하여 저하하였으나, Fig. 1과 같이 변형률 증가와 비교하여 응력이 거의 증가하지 않는 균열 형성 구간의 거동을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의 경우, 균열이 어느 정도 발생한 후에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로 응력이 전달되면서 변형률 증가와 비교하여 응력이 거의 증가하지 않거나 일부 감소하는 등 Fig. 1의 균열 안정화 구간 거동과는 다른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8 Tensile stress-strain relationships of specimens using the biaxial warp knitting structure carbon grid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8.png
Fig. 9 Tensile stress-strain relationships of specimens using the cross laminate structure carbon grid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9.png
Fig. 10 Comparison of tensile strength according to tensile capacity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10.png
Table 7 Direct tensile test results

Test case

Crack load

(kN)

Max. tensile load

(kN)

Crack strength of specimen

(MPa)

Tensile strength (MPa)

Specimen

Carbon grid

Q47

3.72

15.74

1.86

7.87

3,086.06

Q85

4.68

11.78

2.34

5.89

1,330.72

Q95

3.58

11.20

1.79

5.60

1,066.31

CR6

5.35

8.29

1.91

2.96

236.76

CR8

5.12

15.28

1.83

5.46

289.31

CR16

4.51

8.91

1.61

3.18

44.57

CMR16

5.76

10.82

2.06

3.87

54.11

CR8_50

2.62

12.35

1.31

6.17

233.84

CR8_N

4.98

9.64

1.78

3.44

182.52

4.3.2 탄소그리드 보유 인장력에 의한 영향

Fig. 10은 탄소그리드의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 보유 인장력과 인장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Fig. 10 중의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는 시험 케이스 Q47, Q85 및 Q95를,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는 시험 케이스 CR6, CR8 및 CR16을 비교한 것이다.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경우, 보유 인장력이 커질수록 인장강도는 감소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유 인장력이 가장 작은 시험 케이스 Q47의 인장강도가 시험 케이스 Q85 및 Q95의 1.34배, 1.41배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가 철판과 맞물린 부분의 모르타르 파괴 및 탈락 혹은 철판과의 슬립에 의하여 파괴되었으며, 시험 종료 시까지 탄소그리드에는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경우, Table 6과 같이 보유 인장력이 커질수록 균열 발생 응력은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보유 인장력 증가에 따라 인장강도는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차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와 마찬가지로 시험체가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손상이 아닌 철판과 맞물린 부분의 모르타르 파괴 및 탈락, 철판과의 슬립 등으로 파괴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3.3 탄소그리드 간격에 의한 영향

Fig. 11은 탄소그리드의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 간격과 인장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경우,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 간격이 작은 시험 케이스 Q85가 보유 인장력이 작음에도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 간격이 큰 시험 케이스 Q95와 비교하여 인장강도가 1.05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경우, 보유 인장력이 동일하며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 간격이 각각 50 mm와 100 mm인 시험 케이스 CR8_50 및 CR8을 비교하였으며,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간격이 작은 시험 케이스 CR8_50의 인장강도가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간격이 큰 시험 케이스 CR8의 인장강도와 비교하여 1.13배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시험 결과에 의하면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간격이 좁은 것이 인장강도 발현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11 Comparison of tensile strength according to longitudinal strand space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11.png

4.3.4 탄소그리드 제조방식에 의한 영향

Fig. 12는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보유 인장력이 유사한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 Q85 및 Q95와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 CR6의 인장강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 CR6의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 보유 인장력은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 Q85 및 Q95의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 보유 인장력의 각각 1.36배 및 1.30배로 크지만, 시험 케이스 CR6의 인장강도는 시험 케이스 Q85 및 Q95의 0.50배, 0.53배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ig. 13과 같이 시험 케이스 CR6의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가 시험 케이스 Q85 및 Q95의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와 비교하여 균열 발생 전 및 균열 발생 이후 인장강도 도달까지의 강성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의 경우, 상대적으로 물리적 특성이 뛰어난 에폭시를 수지로 사용한 반면에,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의 경우, 에폭시보다 물리적 특성이 떨어지는 비닐에스터를 수지로 사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비닐에스터 수지 사용이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와 비교하여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적은 균열 개수, 넓은 균열 간격 등 탄소그리드와 모르타르의 부착 성능 저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Vautard and Drzal 2009)되며, 결과적으로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 Q85 및 Q95와 비교하여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 CR6의 인장강도 및 강성 저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Fig. 12 Comparison of tensile strength with similar tensile capacity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12.png
Fig. 13 Comparison between tensile stress-strain relationships with similar tensile capacity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13.png

4.3.5 탄소그리드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에 의한 영향

Fig. 14는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가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로 연결되지 않은 시험 케이스 CR8_N과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가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로 연결된 시험 케이스 CR8의 인장강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탄소그리드를 적용하였음에도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를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로 연결하지 않은 시험 케이스 CR8_N의 인장강도가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를 인장 수직방향 스트랜드로 연결한 시험 케이스 CR8의 인장강도의 0.63배 수준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탄소그리드의 인장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스트랜드는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인장강도 발현에 일부 유효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14 Comparison of tensile strength according to existence of transverse strands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14.png

4.4 탄소그리드 유효계수

Fig. 15Fig. 16은 각각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및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에 대하여 시험체에 배치한 탄소그리드의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탄소그리드의 인장 응력은 시험체에 작용한 하중을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총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며, 변형률은 시험체의 변형률이다. 한편, Fig. 16Fig. 17 중의 점선은 탄소그리드 인장 시편의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를 나타낸다.

모든 시험체의 탄소그리드에는 시험 종료 시까지 인장강도보다 낮은 수준의 인장응력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시험체의 균열 발생으로 탄소그리드 자체의 강성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강성이 저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탄소그리드의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인장강도와 비교하여 실제 작용한 인장응력은 다음 식 (1)과 같은 유효계수(coefficient of efficiency, COE, Portal 2015)로 나타낼 수 있다.

(1)
COE $=f_{P}/ f_{C}$

여기서, $f_{P}$: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에 작용한 최대 인장응력, $f_{C}$: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 인장강도

Fig. 17은 탄소그리드의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보유 인장력과 식 (1)에 의하여 계산한 COE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시험 결과에 의한 탄소그리드의 COE는 0.03~0.86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인장력이 작을수록 COE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의 COE는 0.30~0.86 수준이며,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의 COE는 0.03~0.21 수준으로, 2차경편구조 탄소그리드는 Table 1과 같이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보다 인장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더 큰 인장응력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4.2절에서와 같이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가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 케이스보다 많은 균열 개수, 좁은 균열 간격 등 탄소그리드와 모르타르의 부착이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가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보다 더 큰 인장하중에 저항하였지만, 결과적으로 모든 시험체가 철판과 맞물린 부분의 모르타르 파괴 및 탈락, 시험체와 철판 사이의 슬립 등 탄소그리드가 아닌 모르타르에 의하여 시험체가 최종 파괴되었기 때문에, 실제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가 보유 인장강도만큼 인장하중에 저항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15 Tensile stress-strain relationships of the biaxial warp knitting structure carbon grid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15.png
Fig. 16 Tensile stress-strain relationships of the cross laminate structure carbon grid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16.png
Fig. 17 COEs of the carbon grids according to tensile force
../../Resources/KCI/JKCI.2023.35.1.111/fig17.png

5. 결 론

탄소그리드 적용에 따른 TRC 구조의 인장거동 평가를 위하여, 제조방식에 따라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단면적, 간격,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가 다른 탄소그리드를 사용하여 9종류의 시험 케이스에 대하여 각각 2개의 TRC 구조 인장시험체를 제작하여 직접인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는 다수의 연속 균열 발생에 따른 응력 감소와 증가 반복 거동을 보였으나,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는 균열 발생에 따른 뚜렷한 응력의 감소 및 증가 거동을 보이는 대신 인장강도 도달 전에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로 응력 전달로 변형률 증가와 비교하여 응력이 거의 증가하지 않거나 일부 감소하는 거동을 나타냈다.

2) 탄소그리드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보유 인장력 증가에 따라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는 인장강도가 감소하였으며,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는 인장강도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이는 모든 시험체가 탄소그리드의 파단이 아닌 철판과 맞물린 부분의 모르타르 균열 확대와 파괴, 시험체와 철판 사이의 슬립에 의하여 최종 파괴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 인장 축방향 보유 인장력이 큰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인장강도가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인장강도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보유 인장력이 유사한 탄소그리드 적용 인장 시험체의 경우,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단면적이 가장 작고, 배치 간격이 좁아 보유 인장력이 가장 작은 탄소그리드 적용 시험체의 인장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장 축방향 스트랜드의 단면적이 작고 배치 간격이 좁은 것이 TRC 구조의 인장강도 발현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4) 2축경편구조 탄소그리드는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와 달리 물리적 특성이 뛰어난 에폭시를 수지로 사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에폭시 수지 사용이 모르타르와의 부착에 영향을 미쳐 교차적층구조 탄소그리드보다 더 큰 인장하중에 저항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5) 수직 방향 스트랜드를 배치한 시험체의 인장강도가 수직방향 스트랜드를 배치하지 않은 시험체의 인장강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직방향 스트랜드는 TRC 구조 시험체의 인장강도 발현에 일부 유효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6) 본 실험 결과, 탄소그리드의 인장강도보다는 탄소그리드를 구성하는 스트랜드의 단면적과 배치 간격, 탄소그리드 구성 재료 등이 TRC 구조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실험은 단일 강도 수준의 모르타르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향후 보다 높은 다양한 수준의 모르타르 압축강도를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22CFRP-C163400-02).

References

1 
ACI 440.1-15 (2021)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ructural Concrete Reinforced with FRP Bars (ACI 440.1- 15).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URL
2 
ASTM D7205/D7205M (2016)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Polymer Matrix Composite Bar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3 
CAN/CSA-S806-02 (2009) Design and Construction of Building Components with Fibre-Reinforced Polymers.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CSA).URL
4 
Colombo, I. G., Magri, A., Zani, G., Colombo, M., and Prisco, M. (2013) Textile Reinforced Concret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Design Parameters. Materials and Structures 46 (11), 1953-1971.DOI
5 
Diana, A. (2014) Fabric 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FRCM) Composites for Infrastructure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Characterization Methods. Ph.D. Thesis. University of Miami.URL
6 
Erdoğdu, Ş., Bremner, T. W., and Kondratova, I. L. (2001) Accelerated Testing of Plain and Epoxy-Coated Reinforcement in Simulated Seawater and Chloride Solution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1(6), 861-867.DOI
7 
Giese, A. C, H., Giese, D. N., Dutra, C. F. P., and Da Silva Filho, L. G. P. (2021)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Textile Reinforced Mortar.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33, 101873.DOI
8 
Gries, T., Raina, M., Quadflieg, T., and Stolyarov, O. (2016) Manufacturing of Textiles for Civil Engineering Applications. Textile Fibre Composites in Civil Engineering. Woodhead Publishing. 3-24.DOI
9 
Hinzen, M., and Brameshuber, W. (2009) Improvement of Serviceability and Strength of Textile Reinforced Concrete by Using Short Fibres. 4th Colloquium on Textile Reinforced Structures (CTRS4), Dresden, Germany. 261-272.URL
10 
Jaffer, S. J., and Hansson, C. M. (2009) Chloride-Induced Corrosion Products of Steel in Cracked-Concrete Subjected to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9(2), 116-125.DOI
11 
Kulas, C. (2015) Actual Application and Potential of Textile- Reinforced Concrete. The 1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GRCA (GRC2015). 19-21 April 2015. Radison Blu, Dubai.URL
12 
Portal, N. W. (2015) Usability of Textil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al Performance, Durability and Sustainability. Ph.D. Thesis.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URL
13 
Portal, N. W., Thrane, L. N., and Lundgren, K. (2017) Flexural Behaviour of Textile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s: Experimental and Numerical Evaluation. Materials and Structures 50(4).DOI
14 
Rampini, M. C., Zani, G., Colombo, M., and Prisco, M. (2019) Mechanical Behaviour of TRC Composites: Experimental and Analytical Approaches. Applied Science 9(7), 1492.DOI
15 
RILEM Technical Committee (2016) Recommendation of RILEM TC 232-TDT: Test Methods and Design of Textile Reinforced Concrete. Material and Structures 49, 4923-4927.DOI
16 
Saleem, M. U., Qureshi, H. I., Amin, M. N., Khan, K., and Khurshid, H. (2019) Cracking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Different Amounts and Layouts of CFRP. Applied Sciences 9(5), 1017.DOI
17 
Tietz, M., Kirmse, S., Schladitz, F., and Curbach, M. (2022) The Ecological and Economic Advantages of Carbon Reinforced Concrete - Using the C3 Result House CUBE Especially the BOX Value Chain as an Example. Civil Engineering Design 4(1-3), 79-88.DOI
18 
Vautard, F., and Drzal, L. T. (2009) Carbon Fiber - Vinyl Ester Interfacial Adhesion Improvement by the Use of a Reactive Epoxy Coating. Proceedings of the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osite Materials (ICCM-17). Edingburgh, UK.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