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2. 경기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부 건축공학전공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기둥, 경량골재 콘크리트, 띠철근, 축하중비, 휨 연성
column,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transverse reinforcement, axial load ratio, flexural ductility

1. 서 론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 기둥에서 띠철근은 코어 콘크리트의 구속뿐만 아니라 주철근의 조기좌굴 제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RC 기둥은 연성확보 측면에서 띠철근 배근 양과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EC 8(CEN 2002), ACI 318(ACI 318 Committee 2019), KDS 14 20 00(KCI 2021) 등의 설계기준에서는 RC 기둥의 연성 확보측면에서 최소 띠철근 양을 규정하고 있다. Bayrak and Sheikh(1997)은 보통중량 콘크리트(normal-weight concrete, NWC)를 사용한 기둥의 곡률 및 변위연성비 평가를 위에서는 띠철근 체적지수가 중요한 변수임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RC 기둥의 연성은 띠철근 양 및 배근 방법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압축강도, 주철근 양과 강도 그리고 작용 축하중비 등에 의해서도 중요한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RC 기둥의 소요 연성에 대한 설계상세 결정방법은 여전히 많은 연구와 실험데이터가 필요하다.

경량골재 콘크리트(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는 골재의 낮은 강성과 강도로 인해 동일 압축강도를 갖는 NWC에 비해 탄성계수 및 인장저항성이 낮다(Yang et al. 2014b). 특히 LWAC의 응력-변형률 관계에서 최대응력 이후 하강 기울기는 NWC에 비해 더 급격하다(Yang et al. 2021). 이에 따라 LWAC는 동일 압축강도를 갖는 NWC에 비해 더 취성적인 파괴모드를 보인다. 따라서, LWAC 기둥의 연성은 동일 띠철근 배근상세를 갖는 NWC에 비해 낮게 있을 수 있다(Mervyn et al. 1999). Yang et al.(2014a)은 RC 기둥의 2차원 비선형 해석으로부터 모멘트-곡률 관계 및 횡하중-횡변위 관계를 평가하고 기둥의 연성에 대한 콘크리트 단위용적중량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이 수치해석에 따르면 NWC와 동등 수준의 연성을 갖는 LWAC 기둥의 설계를 위해서는 콘크리트 단위용적중량이 낮을수록 더 많은 띠철근 양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RC 기둥의 휨 연성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NWC를 사용한 경우에 집중되어 있으며, LWAC를 사용한 실험자료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LWAC 기둥의 휨 연성에 대한 작용 축하중비 및 띠철근 체적지수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기둥의 휨 연성은 변위연성비, 등가감쇠계수 및 누적 일손상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값들은 비슷한 변수 조건의 NWC 기둥에 대한 기존 실험결과(Memon and Sheikh 2005; Kwak 2015; Yang et al. 2017; Hwang et al. 2021)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LWAC 기둥의 변위연성비 값은 Yang(2022)의 제안모델과 비교하였다.

2. 실 험

2.1 실험체 상세

Table 1에는 실험체의 상세를 나타내었다. 기둥 실험체의 단면 및 배근상세는 Fig. 1에 나타내었다. 주요 변수는 내부 띠철근의 배근 형상,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f_{cd}$), 띠철근 양($A_{sh}$) 및 작용 축하중비($N_{u}/A_{g}f_{ck}$)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N_{u}$는 기둥에 작용하는 축하중, $A_{g}$는 기둥의 전체 단면적, $f_{ck}$는 측정된 콘크리트 압축강도이다. 설계 띠철근 양($A_{sh}$)은 ACI 318-19(2019)에서 제시하는 최소 띠철근 양($A_{sh(ACI)}$)의 1배 및 2배로 변화하였다. 작용 축하중비($N_{u}/A_{g}f_{ck}$)는 $f_{cd}$가 24 MPa에서 0.2로, 40 MPa에서 0.35로 변화하였다. 실제 작용 축하중($N_{u}$)은 기둥 실험 전에 측정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내부 띠철근은 일반적으로 크로스 타이를 사용하였으며, $f_{cd}$가 40 MPa이면서 띠철근 양이 $A_{sh(ACI)}$의 2.0배로 설계된 기둥에서는 마름모 형상의 띠철근도 고려되었다. 크로스 타이는 한단 90° 타단 135° 갈고리로 제작하였다(ACI 318 Committee 2019). 마름모형 타이는 양단 135° 갈고리로 제작하였다. 실험체명에서 첫 번째 숫자는 $f_{cd}$(24=24 MPa, 40=40 MPa)를, 두 번째 숫자는 $A_{sh}$(1.0=1.0$A_{sh(ACI)}$, 2.0=2.0$A_{sh(ACI)}$)를, 세 번째 문자는 배근형상(C=크로스 타이, D=마름모형 타이)을, 마지막 숫자는 $\eta_{N}$(0.2=0.2$N_{u}/A_{g}f_{ck}$, 0.35=0.35$N_{u}/A_{g}f_{ck}$)을 의미한다.

모든 실험체는 상・하부에 스터브를 갖는 바벨형으로 제작되었다. 단면의 폭($B$), 높이($D$) 및 피복두께는 각각 300 mm, 300 mm 및 30 mm이다. 실험 구간($h$) 및 전체 높이는 각각 1,200 mm 및 1,500 mm이며, 형상비($h /B$)는 4.0이다. 주철근은 8개의 직경 16 mm인 이형철근을 배근하였는데, 이때의 주철근비($\rho_{s}$)는 0.017이다. 외부 및 내부 띠철근은 직경 13 mm의 이형철근을 사용하였는데, 간격은 $A_{sh(ACI)}$에 따라 달리하였다. 띠철근 체적비($\rho_{vh}$)는 1.0$A_{sh(ACI)}$ 및 2.0$A_{sh(ACI)}$인 실험체에서 각각 0.02~0.03 및 0.04~0.06이었다. 참고로 이들 체적비를 띠철근 비로 환산하면 각각 0.007~0.012 및 0.014~0.023이다. 띠철근 체적지수($\omega_{vh}=\rho_{vh}f_{yh}/f_{ck}$)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띠철근 항복강도에 대한 실험값을 고려하면 1.0 및 2.0$A_{sh(ACI)}$인 실험체에서 각각 0.26~0.28 및 0.51 $A_{sh(ACI)}$~0.55의 범위에 있었다(Table 1). 여기서, $\rho_{sh}$ 및 $f_{yh}$는 각각 띠철근 체적비 및 항복강도를 의미한다.

Fig. 1 Details of designed column specimens (units in mm)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1.png
Table 1 Details of specimens

Specimens

$\rho_{cd}$

(kg/m3)

$f_{cd}$

(MPa)

Transverse reinforcement

Axial load

Geometric size of columns

Longitudinal reinforcement

Type of supplementary ties

$\dfrac{A_{sh}}{A_{sh(ACI)}}$

$s_{v}$

(mm)

$\rho_{vh}$

$\omega_{vh}$

$\dfrac{N_{u}}{A_{g}f_{ck}}$

$N_{u}$

(kN)

$B$

(mm)

$D$

(mm)

$h$

(mm)

Arrangement

$\rho_{s}$

Designed

Actual

24-1.0C-0.2

1,600

24

Cross-tie

1.0

0.71

180

0.02

0.26

0.2

432

300

300

1,200

8-D16

0.02

24-2.0C-0.2

2.0

1.41

90

0.04

0.51

40-1.0C-0.35

40

1.0

0.87

110

0.03

0.28

0.35

1,260

40-2.0C-0.35

2.0

1.68

55

0.06

0.55

40-2.0D-0.35

Diamond- shaped-tie

2.0

1.69

60

0.06

0.56

Notes: $\rho_{cd}$: designed unit weight of concrete; $f_{cd}$: designe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_{sh}$: amount of transverse reinforcement; $A_{sh(ACI)}$: minimum amount of transverse reinforcement specified in ACI 318-19; $s_{v}$, $\rho_{vh}$, and $\omega_{vh}$: spacing, volumetric ratio, and reinforcing index, respectively, of transverse reinforcement; $N_{u}/A_{g}f_{ck}$: axial load level; $N_{u}$: applied axial load; $B$ and $D$: width and depth, respectively, of column section; $h$: length measured from column-base interface to lateral loading point; $\rho_{s}$: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

2.2 사용재료

경량골재는 바텀애시 및 준설토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제조된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하였다(Lee 2018). 인공경량골재는 다공성의 내부 구조로 되어 있다. 경량 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최대직경은 각각 4.75 mm 및 19 mm이다(Table 2). 비중, 조립률 및 흡수율은 경량 잔골재에서 각각 1.1, 4.4 및 12.9 %이었으며, 굵은골재에서는 각각 1.0, 6.4 및 17.2 %이었다. 실험체에 사용된 LWAC의 배합표는 Lee(2018)의 실내실험 결과를 참고로 결정하였다(Table 3).

LWAC의 역학적 특성 및 응력-변형률 관계는 각각 Table 4 및 Fig. 2에 나타내었다. 목표 압축강도($f_{cd}$)가 24 및 40 MPa인 실험체의 $f_{ck}$는 각각 38 MPa 및 53 MPa이었으며, 단위용적중량($\rho_{c}$)은 각각 1,792 kg/m3 및 1,913 kg/m3이었다. 콘크리트 탄성계수($E_{c}$)는 $f_{ck}$가 38 MPa 및 53 MPa에서 각각 20,606 MPa 및 24,537 MPa이었다. 사용된 철근의 역학적 특성은 Table 5에 나타내었다. 주철근으로 사용된 직경 16 mm의 이형철근은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가 각각 487 MPa 및 585 MPa이었으며, 띠철근으로 사용된 직경 13 mm의 이형철근에서는 각각 486 MPa 및 646 MPa이었다.

Fig. 2 Stress-strain curve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 in compression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2.png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s

Aggregate type

Maximum size of aggregate

(mm)

Specific gravity

Fineness modulus

Water absorption

(%)

Coarse aggregate

19.0

1.0

6.4

17.2

Fine aggregate

4.75

1.1

4.4

12.9

Table 3 Mixture proportion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

$f_{cd}$

(MPa)

Type

$W/C$

(%)

$S/a$

(%)

Unit weight (kg/m3)

$W$

$C$

$G_{LWA}$

$F_{A}$

24

LWAC

55

47

195

355

556

503

40

27

35

127

475

733

404

Notes: $W/C$: water-to-cement ratio by weight; $S/a$: fine aggregate-to-total aggregate ratio by volume; $W$: water; $C$: cement; $G_{LWA}$: lightweight coarse aggregate; $F_{A}$: fine aggregate
Table 4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

$f_{cd}$

(MPa)

Type

$\rho_{c}$

(kg/m3)

$f_{ck}$

(MPa)

$\epsilon_{c}$

$E_{c}$

(MPa)

24

LWAC

1,792

38

0.0022

20,606

40

1,913

53

0.0028

24,537

Notes: $\rho_{c}$: unit weight of concrete; $f_{ck}$: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epsilon_{c}$: strains at the peak stress; $E_{c}$: modulus of elasticity of concrete
Table 5 Mechanical properties of deformed steel bars

Diameter

(mm)

Yield strength

(MPa)

Yield strain

Modulus of elasticity (MPa)

Tensile strength

(MPa)

Elongation

(%)

13

486

0.0023

207,336

646

20.6

16

487

0.0024

201,501

585

20.9

2.3 실험체 가력상세

Fig. 3에는 일정 축하중과 반복 횡하중을 동시에 받는 실험체의 가력상세를 나타내었다. 기둥의 하부 스터브는 바닥의 반력판에 고정하였다. 일정 축하중 도입을 위한 1,500 kN 용량의 오일잭은 실험체 상부에 위치한 강재 보와 연결하였다. 반복 횡하중은 2,000 kN 용량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가력하였다. 횡변위는 상부 스터브 중심의 하중 작용점에 300 mm 용량의 변위계를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기둥 횡변위의 증분은 FEMA 356(2000)을 참고로 기둥 항복변위($\Delta_{y}$)의 0.75, 1, 1.5, 2, 3, 4, 5 및 6배로 설정하였으며, 각 증분변위에서 3 사이클 반복하였다(Fig. 4). 이때, $\Delta_{y}$는 Yang et al.(2014a)이 제시한 RC 기둥의 2차원 비선형 해석으로부터 산정된 횡하중-횡변위 관계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Fig. 3 Test setup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3.png
Fig. 4 Loading history of columns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4.png

3. 실험 결과

모든 LWAC 기둥은 전형적인 휨 거동을 보였으며, 실험종료 시까지 경사 균열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omega_{vh}$ 및 $N_{u}/A_{g}f_{ck}$가 LWAC 기둥의 휨 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대 휨 모멘트($M_{n}$), 최대 내력($P_{n}$) 이후 $P_{n}$의 80 % 시점에서 산정한 변위연성비($\mu_{\Delta}$), 등가감쇠계수($\xi_{80}$) 및 누적 일손상지수($W_{80}$)의 평가에 중점을 두었다.

3.1 횡하중-횡변위 관계

Fig. 5에는 실험체의 횡하중-횡변위 관계를 나타내었다. 모든 실험체의 초기 강성은 $\omega_{vh}$ 및 $N_{u}/A_{g}f_{ck}$에 관계없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초기 휨 균열 이후 모든 실험체는 강성 저하가 발생하였는데, 그 강성의 저하는 $\omega_{vh}$가 감소하거나 $N_{u}/A_{g}f_{ck}$가 증가할수록 다소 컸다. 모든 실험체의 강성은 항복시점부터 최대 내력($P_{n}$) 이전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최대 내력($P_{n}$)에 도달시점은 $N_{u}/A_{g}f_{ck}$이 증가할수록 빨랐지만, $\omega_{vh}$에 의한 영향은 미미하였다. 기둥에 횡하중 내력은 $P_{n}$ 도달 이후 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그 감소의 기울기는 $\omega_{vh}$가 적거나 $N_{u}/A_{g}f_{ck}$이 클 때 더 급격하였다.

최대 내력($P_{n}$) 이후 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주철근의 좌굴이 발생하였는데(Fig. 6), 그 시점은 $\omega_{vh}$가 감소하거나, $N_{u}/A_{g}f_{ck}$이 증가할 때 빨랐다. 주철근의 좌굴이 발생하면서, 크로스 타이의 90° 갈고리가 벌어지면서 기둥 내력 저하는 빨라졌다. 반면 내부 띠철근으로서 마름모형 타이의 135° 갈고리들은 코어 콘크리트에서 정착되어 벌어짐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마름모형 타이를 갖는 기둥의 횡하중-횡변위 관계는 동일 조건의 크로스 타이를 갖는 기둥에 비해 $P_{n}$ 이후 덜 취성적인 경향을 보였다. 주철근의 좌굴과 띠철근의 벌어짐이 발생한 이후, LWAC 기둥은 코어 콘크리트의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때, 코어 콘크리트가 손상되는 시점은 $\omega_{vh}$가 적거나 $N_{u}/A_{g}f_{ck}$가 클 때, 더 빨랐다.

Fig. 5 Lateral load/displacement curves measured in each column specimen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5-1.png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5-2.png

Fig. 6 Failure mode of columns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6.png

3.2 최대 휨 내력

Table 6에는 실험결과와 등가응력블록 기반의 ACI 318-19 (2019)Yang et al.(2014b)의 단면분할법 기반의 2차원 비선형해석으로 예측된 휨 내력을 나타내었다. LWAC 기둥의 휨 내력($M_{n}$)은 ACI 318-19(2019)의 예측된 휨 내력($M_{n(ACI)}$)보다 약 1.17~1.40배 높았다. 즉, ACI 318-19(2019)의 등가응력블록을 이용한 휨 내력 평가절차는 LWAC 기둥의 휨 내력을 과도하게 안전측에서 평가하였다. 반면, Yang et al.(2014b)의 예측모델과 LWAC의 휨 모멘트 실험결과와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2차원 비선형해석에 의해 예측된 휨 내력($M_{n(NLA)}$)에 대한 $M_{n}$의 비는 약 0.92~1.05이었다. Yang et al.(2014b)의 2차원 비선형해석 예측모델은 띠철근의 구속효과와 LWAC의 높은 취성도를 고려할 수 있는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Yang et al. 2014a, 2021)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LWAC 기둥의 휨 내력을 비교적 합리적으로 평가하였다.

Table 6 Test results

Specimens

Experimentals

Predictions

(1)/(3)

(1)/(4)

(2)/(5)

$P_{cr}$

(kN)

$P_{y}$

(kN)

$P_{n}$

(kN)

$M_{n}$ (kN・m)

(1)

$\Delta_{y}$

(mm)

$\Delta_{80}$

(mm)

$W_{80}$

$\xi_{80}$

$\mu_{\Delta}$

(2)

$M_{n(ACI)}$

(kN・m)

(3)

$M_{n(NLA)}$

(kN・m)

(4)

$\mu_{\Delta(Pre.)}$

(5)

24-1.0C-0.2

44.2

102.2

134.3

161.1

9.17

27.32

33.66

0.165

2.98

138

165.2

2.77

1.17

0.98

1.08

24-2.0C-0.2

45.3

102.7

141.5

169.8

8.72

34.88

51.38

0.184

4.01

138

183.8

3.42

1.23

0.92

1.17

40-1.0C-0.35

53.0

165.2

206.1

247.3

9.43

18.74

18.74

0.10

1.99

182.8

245.3

2.67

1.35

1.01

0.84

40-2.0C-0.35

53.5

168.4

213.8

256.6

10.99

36.46

36.46

0.154

3.32

182.8

245.3

3.28

1.40

1.05

1.01

40-2.0D-0.35

56.7

175.2

210.5

252.5

10.41

35.68

38.85

0.153

3.42

182.8

243.5

3.41

1.38

1.04

1.0

Notes: $P_{cr}$: initial cracking load; $P_{y}$: load at yielding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P_{n}$: peak load; $M_{n}$: maximum moment capacity; $\Delta_{y}$: lateral displacement at $P_{y}$; $\Delta_{80}$: lateral displacement at 0.8$P_{n}$ after $P_{n}$; $\mu_{\Delta}$: displacement ductility ratio; $W_{80}$: cumulative work damage indicator at 0.8$P_{n}$ after $P_{n}$; $\xi_{80}$: equivalent damping coefficient at 0.8$P_{n}$ after $P_{n}$; $M_{n(ACI)}$: maximum moment capacity predicted by ACI 318-19 (2019); $M_{n(NLA)}$: maximum moment capacity predicted by 2-dimensional non-linear analysis proposed by Yang et al.(2014b); $\mu_{\Delta(Pre.)}$: displacement ductility ratio predicted by the numerical equation proposed by Yang (2022)

3.3 등가감쇠계수

Fig. 7에는 하중이력에 따른 등가감쇠계수($\xi$)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때 등가감쇠계수($\xi$)는 FEMA 356(2000)에서 제시한 다음의 모델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1)
$\xi =\dfrac{1}{2\pi}\left[\dfrac{E_{i}}{\Delta_{i}^{2}K_{i}}\right]$

여기서, $E_{i}$는 $i$번째 사이클의 에너지 소산면적, $\Delta_{i}$는 $i$번째 사이클의 정 및 부방향의 최대 횡변위의 평균, $K_{i}$은 $i$번째 사이클의 유효강성을 의미한다. 이때, $K_{i}$는 $\Delta_{i}$에 대한 각 사이클의 최대 내력에 대한 비로 산정한다. 피복 콘크리트의 박리 이전까지 사이클별 $\xi$는 $\omega_{vh}$ 및 $N_{u}/A_{g}f_{ck}$에 관계없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피복 콘크리트의 박리가 발생하면서 $\xi$ 값은 기둥 횡변위의 증가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 기울기에 대한 띠철근 양의 영향은 미미한 반면 $N_{u}/A_{g}f_{ck}$=0.35인 기둥보다는 $N_{u}/A_{g}f_{ck}$=0.2인 기둥에서 더 큰 기울기가 얻어졌다. LWAC 기둥의 $\xi_{80}$ 값은 $\omega_{vh}$가 2배 증가할 때 약 1.39배 증가하였다(Table 6). 작용 축하중비($N_{u}/A_{g}f_{ck}$)가 0.2에서 0.35로 증가할 때 $\xi_{80}$ 값은 약 24 % 감소하였다. 이때, 띠철근 배근형상 종류가 $\xi_{80}$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결과적으로 LWAC 기둥의 $\xi_{80}$ 값은 $N_{u}/A_{g}f_{ck}$가 감소하거나, $\omega_{vh}$가 증가할 때에 증가하였다.

Fig. 7 Equivalent damping coefficient of columns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7.png

3.4 누적 일손상지수

Fig. 8에는 하중이력에 따른 누적 일손상지수($W$)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때 누적 일손상지수($W$)는 Sheikh and Khoury (1997)의 모델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하였다.

(2)
$W=\dfrac{1}{P_{n}\Delta_{y}}\sum_{i=1}^{n}E_{i}\left(\dfrac{K_{i}}{K_{y}}\right)\left(\dfrac{\Delta_{i}}{\Delta_{y}}\right)^{2}$

여기서, $n$은 실험종료 시까지 가력 사이클의 수, $K_{y}$는 항복시점에서 기둥의 강성을 의미한다. LWAC 기둥의 $W$는 비슷한 상세를 갖는 NWC 기둥의 실험결과(Kwak 2015)와 비교하였다. 누적 일손상지수($W$)는 하중 이력의 증가와 함께 서서히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 기울기에 대한 콘크리트 종류의 영향은 미미한 반면 $N_{u}/A_{g}f_{ck}$가 낮을수록 다소 큰 기울기가 나타났다. 최대 내력($P_{n}$) 이후 0.8$P_{n}$까지 산정한 누적 일손상지수($W_{80}$) 값은 1.0$A_{sh(ACI)}$인 LWAC 기둥에서 18.74~33.66으로 낮았는데, 이는 동일한 $\omega_{vh}$를 갖는 NWC 기둥보다 약 59 % 낮은 값이다.

띠철근 체적지수($\omega_{vh}$)에 따른 $W_{80}$ 값의 관계는 Fig. 9에 나타내었는데, 기존 NWC 기둥의 실험결과(Memon and Sheikh 2005; Kwak 2015; Yang et al. 2017; Hwang et al. 2021)들을 포함하였다. 기존 NWC 기둥은 $\omega_{vh}$가 0.13~0.48, $N_{u}/A_{g}f_{ck}$가 0.2~0.4의 범위를 갖는다. 기존 NWC 및 LWAC 기둥의 $W_{80}$ 값은 $\omega_{vh}$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 기울기는 NWC 기둥에서 더 컸다. 비슷한 수준의 $\omega_{vh}$에서 LWAC 기둥의 $W_{80}$ 값은 NWC 기둥보다 약 45 % 감소하였다.

Fig. 8 Cumulative work damage indicator of columns calculated at each loading cycle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8.png
Fig. 9 $W_{80}$ as a function of transverse reinforcing index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9.png

3.5 변위연성비

기둥의 변위연성비($\mu_{\Delta}=\Delta_{80}/\Delta_{y}$)는 Park and Paulay(1975)의 제안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는데, 여기서, $\Delta_{80}$는 $P_{n}$ 이후 $P_{n}$의 80 %에서의 변위를 의미한다. LWAC 기둥의 $\mu_{\Delta}$ 값은 $\omega_{vh}$가 2배 증가할 때 약 1.58배 증가한 반면, $N_{u}/A_{g}f_{ck}$가 0.2에서 0.35로 증가할 때에는 약 22 % 감소하였다(Table 6). 이때, 띠철근 배근형상이 기둥 $\mu_{\Delta}$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Fig. 10에는 $\omega_{vh}$에 대한 $\mu_{\Delta}$의 관계를 나타내었는데, 기존 NWC 기둥의 실험결과(Memon and Sheikh 2005; Kwak 2015; Yang et al. 2017; Hwang et al. 2021)도 포함하였다. 기존 NWC 기둥은 $\omega_{vh}$가 0.13~0.48, $N_{u}/A_{g}f_{ck}$가 0.2~0.4의 범위를 갖는다. 기존 NWC 및 LWAC 기둥의 $\mu_{\Delta}$ 값은 $\omega_{vh}$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 기울기는 NWC 기둥에서 다소 크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LWAC 기둥의 $\mu_{\Delta}$ 값은 비슷한 수준의 $\omega_{vh}$를 갖는 NWC 기둥보다 평균 41 % 낮았다.

일반적으로 기둥의 $\mu_{\Delta}$ 값은 $\rho_{c}$가 낮을수록 감소한다(Mervyn et al. 1999). 이를 고려하여 Yang(2022)은 기둥의 변위 및 곡률연성비에 대한 수치해석으로부터 $\rho_{c}$의 영향을 고려한 $\mu_{\Delta}$ 식을 제안하였다.

(3a)
$\mu_{\Delta}=0.15\left[(\rho_{c}/\rho_{0})^{1.51}{Exp}(3.7\alpha)^{0.78}\right]$
(3b)
$\alpha =\left[\left(\dfrac{1+\omega_{vh}^{0.2}}{\omega_{s}^{0.05}}\right)\left(\dfrac{1}{(f_{y}/400)^{0.3}+(N_{u}/A_{g}f_{ck})^{0.3}}\right)\right]$

여기서, $\omega_{s}$(=$\rho_{s}f_{y}/ f_{ck}$) 및 $f_{y}$는 각각 주철근 지수 및 항복강도를, $\rho_{0}$는 콘크리트 단위용적중량의 참고 값으로서 2,300 kg/m3으로 설정하였다. LWAC 기둥에서 측정한 $\mu_{\Delta}$ 값들은 Yang (2022)의 제안모델에 의한 예측값 대비 약 0.84~1.17 수준으로서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Table 6). 이는 Yang(2022)의 제안모델이 띠철근의 구속효과와 LWAC의 높은 취성도를 합리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LWAC 기둥과 동일 상세를 갖는 NWC 기둥의 $\mu_{\Delta}$를 식 (3)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24-1.0C-0.2, 24-2.0C-0.2, 40-1.0C-0.35, 40-1.0D-0.35 및 40-1.0D-0.35 기둥과 동일 상세를 갖는 NWC 기둥의 $\mu_{\Delta}$ 값은 각각 4.04, 4.99, 3.53, 4.33 및 4.33으로 평가되었다. 즉, 식 (3)으로부터 LWAC 기둥의 $\mu_{\Delta}$는 동일 조건의 NWC 기둥에 비해 평균 약 27 % 낮게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LWAC 기둥은 NWC 기둥과 동일한 $\mu_{\Delta}$을 확보하기 위해 $\rho_{c}$가 약 18.5 % 감소할 때, $A_{sh}$ 또는 $\omega_{vh}$를 약 2.3배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LWAC 기둥의 $\mu_{\Delta}$, $\xi_{80}$ 및 $W_{80}$ 값들은 동일조건의 NWC 기둥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LWAC 기둥에서 동일 조건의 NWC 기둥과 동등 수준의 휨 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rho_{c}$가 감소할 수록 더 많은 띠철근 배근 또는 $\omega_{vh}$의 증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Fig. 10 Displacement ductility ratio as a function of transverse reinforcing index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10.png

3.6 변위연성비와 누적 일손상지수의 관계

기둥의 $W_{80}$ 값의 산정은 반복 횡하중-횡변위 관계로부터 산정하므로 다소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 기둥의 $W_{80}$ 값을 $\mu_{\Delta}$ 값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mu_{\Delta}$와 $W_{80}$의 관계를 분석하였다(Fig. 10). 이들 관계에 이용된 기존 NWC 기둥의 데이터는 기존 연구자들(Memon and Sheikh 2005; Kwak 2015; Yang et al. 2017; Hwang et al. 2021)의 실험결과에서 얻었다. 참고로 $\xi_{80}$ 값에 대한 유용한 데이터는 부족하여 $\mu_{\Delta}$와 $\xi_{80}$의 관계는 고려하지 않았다. 전 절에서 분석된 바와 같이 LWAC 기둥의 휨 연성은 $\rho_{c}$, $\omega_{vh}$ 및 $N_{u}/A_{g}f_{ck}$에 중요한 영향을 받았다. 이들 영향변수의 조합을 통한 회귀분석으로부터 기둥의 $\mu_{\Delta}$와 $W_{80}$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Fig. 11).

(4)
$W_{80}=15\left[\left(\dfrac{\rho_{c}}{\rho_{0}}\right)^{5}\omega_{vh}^{0.6}\left(\dfrac{N_{u}}{A_{g}f_{ck}}\right)^{-1}\right]^{0.9}\mu_{\Delta}$

Fig. 12에는 $W_{80}$ 값의 실험값과 제안식에 의한 예측값의 비교를 나타내었다. 이때 $\mu_{\Delta}$ 값은 Yang(2022)이 제안한 식 (3)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LWAC 기둥 및 NWC 기둥의 $W_{80}$ 값들에 대한 실험결과와 식 (4)에 의한 예측 값($W_{80({Exp}.)}/W_{80(Pre.)}$) 비들의 평균($\gamma_{m}$)은 각각 1.01 및 1.03이었으며, 표준편차($\gamma_{s}$)는 각각 0.14 및 0.12이었다. 향후 $\mu_{\Delta}$와 $W_{80}$의 관계에 대한 더 많은 실험데이터와의 비교가 필요하지만, 식 (3)과 식 (4)는 RC 기둥의 연성에 대한 직접적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Fig. 11 Regression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_{80}$ and $\mu_{\Delta}$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11.png
Fig. 12 Comparisons of experimental $W_{80}$ and predictions by Eqs.(3)and(4)
../../Resources/KCI/JKCI.2023.35.3.255/fig12.png

4. 결 론

이 연구에서는 LWAC 기둥의 연성에 대한 띠철근 체적지수($\omega_{vh}$)와 작용 축하중비($N_{u}/A_{g}f_{ck}$)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 기둥의 최대 휨 내력($M_{n}$), 변위연성비($\mu_{\Delta}$), 최대 내력($P_{n}$) 이후 0.8$P_{n}$에서 LWAC 기둥의 등가감쇠계수($\xi_{80}$) 및 누적 일손상지수($W_{80}$)는 기존의 NWC 기둥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CI 318-19의 등가응력 블록을 이용한 휨 내력 평가절차는 LWAC 기둥의 휨 내력을 과도하게 안전측에서 평가하였다. 반면 띠철근의 구속효과를 고려한 Yang et al.(2014b)의 2차원 비선형 모델을 이용한 예측값은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2) 피복 콘크리트의 박리가 발생하면서 등가감쇠계수($\xi$) 값은 기둥 횡변위의 증가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 기울기에 대한 띠철근 양의 영향은 미미한 반면 $N_{u}/A_{g}f_{ck}$=0.35인 기둥보다는 $N_{u}/A_{g}f_{ck}$=0.2인 기둥에서 더 큰 기울기가 얻어졌다.

3) 누적 일손상지수($W$)는 하중 이력의 증가와 함께 서서히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 기울기에 대한 콘크리트 종류의 영향은 미미한 반면 $N_{u}/A_{g}f_{ck}$가 낮을수록 다소 큰 기울기가 나타났다.

4) 경량골재 콘크리트(LWAC) 기둥의 $\mu_{\Delta}$ 값은 비슷한 수준의 $\omega_{vh}$와 $N_{u}/A_{g}f_{ck}$를 갖는 NWC 기둥보다 약 41 % 낮았다.

5) 보통중량 콘크리트(NWC) 기둥과 동등 수준의 $W_{80}$, $\mu_{\Delta}$ 및 $\xi_{80}$을 갖는 LWAC 기둥의 설계를 위해서는 콘크리트 단위용적중량($\rho_{c}$)이 낮을수록 더 많은 띠철근의 배근 또는 $\omega_{vh}$를 높일 필요가 있다.

6) 이 연구에서 경험적으로 제시한 $\mu_{\Delta}$와 $W_{80}$의 관계는 기둥의 소요연성 평가에 단순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o. 2022R1A2 B5B03002476) 및 2018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기본연구지원사업(과제번호: No. 2018R1D1A1 B07050275)이며, 2023학년도 경기대학교 대학원 연구원장학생 장학금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ACI 318 Committee (2019)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19) and Commentary (ACI 318 R-19).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URL
2 
Bayrak, O., and Sheikh, S. A. (1997) High-Strength Concrete Columns under Simulated Earthquake Loading. ACI Structural Journal 94(6), 708-722.URL
3 
CEN (2002) Eurocode 8: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EN1992- 1-1: 2002. London, UK: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EN), British Standards Institute (BSI).URL
4 
FEMA (2000) Prestandard and Commentary for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FEMA 356). Washington, D.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URL
5 
Hwang, S. H., Yang, K. H., Choi, Y. S., and Kwon, S. J. (2021) Axial and Flexural Performances of Columns Restored after Severe Damage.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44, 1-12.DOI
6 
KCI (2021)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KDS 14 20 00: 2021) and Commentary.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URL
7 
Kwak, M. K. (2015) Flex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 the Supplementary V-Ties Subjected to the Constant Axial Loads and Reversed Lateral Loads. MS. Thesis. Kyonggi University.URL
8 
Lee, K. H. (2018) Reliable Model Proposals for Mechanical Properties and Mixing Proportioning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Using Expanded Bottom Ash and Dredged Soil Granules. Ph.D. Thesis. Kyonggi University.URL
9 
Memon, M. S., and Sheikh S. (2005) Seismic Resistance of Square Concrete Columns Retrofitted with Glass Fiber-Reinforced Polymer. ACI Structural Journal 102(9), 774-783.URL
10 
Mervyn, K., Priestley, M. J. N., and Seible, F. (1999) Shear and Flexural Behavior of Lightweight Concrete Bridge Columns in Seismic Regions. ACI Structural Journal 96(1), 136-148.URL
11 
Park, R., and Paulay, T. (1975)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New Jersey, USA: Wiley Interscience Publication. 196-199.URL
12 
Sheikh, S. A., and Khoury, S. S. (1997) A Performance-Based Approach for the Design of Confining Steel in Tied Columns. ACI Structural Journal 94(4), 421-432.URL
13 
Yang, K. H. (2022) Evaluation of Curvature and Displacement Ductility Ratio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olumn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4(3), 235-242.DOI
14 
Yang, K. H., Kwak, M. K., and Sim, J. I. (2017) Flexural Behavior of RC Columns with Supplementary V-Shaped Ties. ACI Structural Journal 114(5), 1177-1188.URL
15 
Yang, K. H., Mun, J. H., and Hwang, S. H. (2021) Compressive Stress-Strain Model for Confined Lightweight Concrete based on Brittleness Number.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25(8), 3041-3053.DOI
16 
Yang, K. H., Mun, J. H., and Lee, J. S. (2014a) Flexural Tests on Pre-Tension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Structures and Buildings 167(4), 203-216.DOI
17 
Yang, K. H., Mun, J. H., Cho, M. S., and Kang, T. H. K. (2014b) A Stress-Strain Model for Various Unconfined Concrete in Compression. ACI Structural Journal 111(4), 819-826.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