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Seongnam 13120, Rep. of Korea)
  2. 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Seongnam 13120, Rep. of Korea)



목질계 바이오차, 역학적 특성, 탄소 격리 효과
wood-based bio-char, mechanical properties, carbon sequestration

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환경적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 탄소 저감, 탄소중립, 친환경 연료, 탄소 포집 등 다양한 친환경적인 연구들이 진행 중이며 건축 산업 또한 예외가 아니다. 건축 산업에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인 시멘트는 국제기후환경연구센터에 따르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7 %를 차지할 정도로 탄소 저감 및 탄소중립이 실천되어야 하는 주된 요인 중 하나로 뽑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멘트 생산방법, 시멘트 대체재 등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 중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수단이라는 관점이자 시멘트 대체재로서 목질계 바이오차를 연구하고자 한다.

바이오차는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charcoal)의 합성어로, 산소가 제한된 환경에서 바이오매스를 열분해하여 만들어지는 탄소 함량이 높은 고형물로 현재 주로 토양개량제로 사용되고 있다. Lehmann(2007)에 따르면 열 분해된 바이오차를 토양에 매립시키는 것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중 20 %를 토양에 반영구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고 연구되었으며, Spokas(2010)에 따르면 바이오차는 화학적 안정성을 토대로 장기간 탄소 격리가 가능하다는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탄소 격리재로서의 가치를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바이오차는 탄소 격리, 탄소 저감 물질로 연구가 활발해지며 바이오차를 건축 산업에서 사용되는 연구들이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Choi et al.(2012)에 따르면 탄소 격리 효과가 있는 바이오차를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바이오차에 포집된 탄소를 시멘트 복합체에 격리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높은 탄소 함량으로 인해 포졸란 반응(pozzolanic reaction)을 끌어낼 수 있다고 연구되었다. Gupta et al.(2018b)에 따르면 기존 시멘트 모르타르보다 바이오차를 시멘트 질량비의 1~2 %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에서 더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냈다. Sirico et al.(2020)에 따르면 바이오차 함유로 인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이 감소하더라도 바이오차를 혼화재로 사용하는 것이 탄소 격리 효과와 바이오매스의 재활용이라는 관점에서 환경적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Maljaee et al.(2021)에 따르면 바이오차 함유량이 시멘트 질량비의 0.5~4 %일 때, 역학적 성능의 큰 감소가 없으며 탄소 격리 효과를 목표로 사용 가능하다고 연구되었다.

바이오차의 특징으로는 다공성 구조와 높은 탄소 함유량으로 인해 수분을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다. 시멘트 모르타르에 함유되었을 때, 다공성 구조와 기공으로 인해 밀도 및 공기량의 감소가 예상되며 시멘트 매트릭스 내 수분을 흡수하여 플로우가 감소하여 작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바이오차는 소수성 성질을 띠어 작은 입자를 통한 Filler effect와 Pore-blocking effect로 수분을 보유한 뒤 경화 단계에서 내부적 양생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Choi et al. 2012; Gupta and Kua 2019; Edeh and Mašek 2021). 그러나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복합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여 바이오차의 함유량에 따른 역학적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차의 성분 분석을 통해 재료적 특성을 확인하고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에 따른 압축강도, 휨강도 및 인장강도 실험을 통해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질계 바이오차의 최적의 배합량과 함유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2. 실험 방법

2.1 사용재료 및 제조 방법

바이오차는 산소가 제한된 조건에서 바이오매스를 열분해하여 얻어지는 바이오 숯으로 바이오매스 원료에 따라 생성되는 바이오차의 재료적 성질이 달라진다. 대표적인 바이오매스로는 왕겨(rice husk), 음식물쓰레기(food waste), 목재(wood) 등을 사용한다. Qambrani et al.(2017)에 따르면 저속열분해와 열수탄화를 통해 생성되는 바이오차가 탄소격리 효율이 가장 높다고 연구되었으며 그중 목질계 바이오차가 가장 높은 탄소 함유량을 나타났다. Gupta et al.(2018a)에 따르면 450~500 °C 부근에서 생성된 바이오차가 가장 높은 탄소 함유량을 나타낸다고 연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로 450 °C 부근에서 열 분해된 목질계 바이오차를 선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다른 바이오매스보다 높은 탄소 함유량을 갖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목질계 물질들의 세포 구성인 셀룰로스(cellulose)의 40 % 이상이 탄소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목질계 바이오차를 시멘트 대체재로써 사용하기 위해 시멘트 입도와 비슷하게 만들기 위해 Roll-mill을 이용하여 250~350 RPM으로 30분 이상 분쇄하여 사용하였으며 Fig. 1(a)는 분쇄 전 목질계 바이오차의 모습이고, 본 연구에서는 Fig. 1(b)와 같이 분쇄된 목질계 바이오차를 사용하였다.

Fig. 1 Images of wood-based bio-char in different forms
../../Resources/KCI/JKCI.2023.35.3.285/fig1.png

2.2 목질계 바이오차 재료적 특성

Fig. 2(a), (b)에 분쇄된 목질계 바이오차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나타냈으며 각각 ×1,500, ×3,500의 배율로 촬영하였다. 대다수의 목질계 바이오차가 분쇄되었음에도 셀룰로스(cellulose)의 세포구조 형상에 의한 다공성 구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대다수는 100 µm 이하로 분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ig. 2 SEM of wood-based bio-char
../../Resources/KCI/JKCI.2023.35.3.285/fig2.png

분쇄된 목질계 바이오차의 BET 실험을 통해 진 밀도 평균 1.649 g/cm3으로 나타났으며 Maljaee et al.(2021)의 목질계 바이오차의 진 밀도가 1.635 g/cm3인 것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비표면적은 244 m2/g, 전체 기공 부피는 0.12 cm3/g, 평균 기공 크기는 1.98 nm로 2~4 nm의 기공이 많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Lehmann(2007), Shafie et al.(2012)에 따르면 기공의 크기가 30 µm 이하일 때, 바이오차의 수분 보유 성능이 극대화된다고 연구되었다.

이러한 비표면적과 기공 크기로 인해 수분의 흡수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Edeh et al.(2022)의 연구에 따르면 바이오차는 소수성 특징을 가지며 입자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물 보유 성능이 향상된다고 연구되었다. 시멘트 모르타르에 함유되었을 때, 수분을 흡수하지만 물과 반응하지 않고 보유한 채 경화 과정에서 방출되어 양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예측된다(Choi et al. 2012).

SEM과 함께 SEM-EDX(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를 통해 목질계 바이오차의 원소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원소분석 결과를 Table 1에 나타냈다. 연구에서 사용된 목질계 바이오차는 탄소 함유량이 86.92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Gupta et al.(2018c)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왕겨나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한 바이오매스보다 높은 탄소 함유량을 나타났다. Spokas(2010)에 따르면 산소와 탄소의 비(oxygen to carbon ration)이 0.2보다 작을 때, 반영구적으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다고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목질계 바이오차는 Oxygen to Carbon Ration(O/C)가 0.14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다고 판단되며 이는 시멘트 모르타르에 함유되어도 화학적 변화 없이 목질계 바이오차의 탄소격리가 가능하다고 예측된다.

Table 1 SEM-EDX of wood-based bio-char

Elemental composition

(% by weight)

Wood-based bio-char

Wood-based bio-char

(Gupta et al. 2018b)

Rice husk bio-char

(Gupta et al. 2018b)

Foodwaste bio-char

(Gupta et al. 2018b)

Carbon

86.92

87.13

66.22

70.90

Oxygen

12.86

7.21

13.63

8.42

Magnesium

0.03

0.54

3.40

0.14

Phosphorus

0.02

-

1.98

0.58

Potassium

0.11

0.42

2.69

3.73

Calcium

0.06

0.65

0.11

0.55

마지막으로 입도분석 PSD(particle size distribution)을 통해 분쇄된 목질계 바이오차의 정확한 입도를 분석하였으며 Fig. 3은 분쇄된 목질계 바이와의 입도분포 결과이다. D10의 경우 3.47 µm, D50의 경우 14.21 µm, D90의 경우 46.64 µm로, 평균 20.65 µm이다. 대다수 시멘트가 50 µm 이하의 입자 크기인 것을 고려하였을 때, 연구에서 사용 중인 목질계 바이오차는 시멘트와 비슷한 입도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Fig. 3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wood-based bio-char
../../Resources/KCI/JKCI.2023.35.3.285/fig3.png

Gupta and Kua(2019)에 따르면 바이오차가 20 µm 이하로 분쇄되었을 때 시멘트 복합체에서 Filler effect와 Pore-blocking effect가 기대된다고 연구되었으며 Elyamany et al.(2014)에 따르면 125 µm 이하의 물질이 시멘트 모르타르에 배합되면 Filler의 역할을 수행하며 포졸란 반응의 유무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연구되었다. Tan et al.(2021)에서는 분쇄된 바이오차가 콘크리트의 Hygroscopic filer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연구되었다. 이를 통해 목질계 바이오차가 시멘트 복합체에 함유되었을 때, Filler effect, Pore-blocking effect와 더불어 수분 보유를 통해 경화 단계에서 양생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고 예측되나 작은 입자의 크기와 기공으로 인한 수분흡수로 인해 시멘트 매트릭스 내 플로우, 작업성의 감소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2.3 실험 계획 및 실험 방법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차를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하고자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휨강도, 인장강도 등 역학적 특성 평가를 하고자 한다. Table 2에는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 변수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배합 상세로 ASTM C 109(2021)에서 제시한 표준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시멘트비(W/C) 0.485와 시멘트와 표준사를 1:2.75의 비율로 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를 배합하였다.

Table 2 Mix proportion of cement mortar

I.D.

Cement

(g)

Bio-char

(g)

Sand

(g)

Water

(mL)

Plain

1,000

-

2,750

485

BC_1%

990

10

BC_3%

970

30

BC_5%

950

50

실험 변수로는 선행연구에서 최대로 설정한 시멘트 질량비 5 %를 치환 최대치로 설정하여 목질계 바이오차의 함유량을 시멘트 질량비 0 %, 1 %, 3 %, 5 % 치환하는 방식으로 설정하였으며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과 시멘트량을 제외한 물과 모래의 양은 모두 같게 설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배합하기 위한 재료는 포틀랜드 시멘트, 분쇄된 목질계 바이오차, 주문진 표준사를 사용하였다. 시멘트 모르타르 배합은 모르타르 믹서에 개량한 표준사, 시멘트, 분쇄된 목질계 바이오차 순으로 넣고 건비빔을 한 후에 물을 넣고 비빔 후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모든 시험체는 타설 후 20 °C의 항온항습실에서 1일간 양생된 후 탈형을 진행하고 20 °C의 양생수조에 재령일까지 습윤 양생을 진행하였다.

굳지 않은 시멘트 모르타르에서는 플로우 및 공기량을 측정하였다. 플로우 실험은 ASTM C 1437(2020)에 따라 측정하였다. 공기량 실험은 ASTM C 185(2020)에 따라 플로우가 80~95 %가 될 때까지 수행하였으며 본 실험에서는 플로우가 90 %일 때로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굳은 시멘트 모르타르에서는 밀도, 휨강도, 압축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밀도 실험은 ASTM C 109 (2021)에 제시된 50×50×50 mm3 시험체를 부피 측정법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서와 수중에서 측정하였다. 휨강도 실험은 KS L ISO 679(KATS 2022)에 따라 40×40×160 mm3 시험체를 Fig. 4(c)와 같이 용량 1,000 kN인 만능재료시험기(UTM)를 사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가 파괴될 때까지 가력하였다. 압축강도 실험은 ASTM C 109(2021), ASTM C 349(2018)에 따라 50×50×50 mm3, 휨강도 실험으로 파단된 40×40×80 mm3 시험체를 Fig. 4(a)와 같이 용량 1,000 kN인 만능재료시험기(UTM)를 사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가 파괴될 때까지 가력하였다. 인장강도 실험은 ASTM C 307(2018)에 따라 브래킷형(briquette) 시험체를 Fig. 4(d)와 같이 용량 20 kN인 인장강도시험기를 사용하여 직접 인장실험을 실시하였다. 탄성계수는 ASTM C 469(2022)에 따라 φ100×200 mm2 시험체에 콤프레소미터(compressometer)와 변위계를 부착하여 Fig. 4(b)와 같이 용량 2,000 kN인 만능재료시험기(UTM)를 사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가 파괴될 때까지 가력하였다. 또한 시멘트, 목질계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작하여 SEM을 통해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Fig. 4 Test setup
../../Resources/KCI/JKCI.2023.35.3.285/fig4.png

3. 실험 결과

3.1 굳지 않은 시멘트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

3.1.1 플로우 실험 결과

시멘트 모르타르의 유동성을 평가하는 플로우 실험 결과는 Fig. 5에 나타냈다. Plain의 경우 122.0 mm로 목질계 바이오차가 함유된 시멘트 모르타르보다 높은 플로우 값을 확인하였다. 또한 목질계 바이오차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목질계 바이오차의 수분 보유 현상이 증가하여 플로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목질계 바이오차의 함유량에 따라 1~7.8 %의 플로우 감소를 확인하였다.

Fig. 5 Flow and air content of cement mortar
../../Resources/KCI/JKCI.2023.35.3.285/fig5.png

3.1.2 공기량 실험결과

시멘트 모르타르의 공기량을 평가하는 공기량 실험 결과는 Fig. 5에 나타냈다. Plain의 경우 5.2 %로 목질계 바이오차가 함유된 시멘트 모르타르보다 높은 공기량 값을 확인하였다. BC_5%의 경우 Plain과 비교하여 30 %의 공기량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는 목질계 바이오차의 입도와 연관이 있으며 목질계 바이오차의 대다수가 20 µm 이하로 분쇄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도는 시멘트 모르타르에서 Filler effect, Pore-blocking effect를 기대할 수 있다(Gupta and Kua 2018).

3.2 굳은 시멘트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

3.2.1 밀도 실험결과

시멘트 모르타르의 밀도를 평가하는 밀도 실험 결과는 공기 중에서 측정된 밀도와 50 °C에서 4시간 건조된 밀도를 비교하여 Fig. 6에 나타냈다. 모든 시편에서 건조에 따른 수분 증발로 인한 밀도 감소가 나타났으며 BC_3%의 경우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Plain과 비교하였을 때 밀도 값의 차이가 3 % 이내인 것을 고려하면 밀도의 변화가 크지 않다고 확인되었다. 공기량 실험 결과와 동일하게 목질계 바이오차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량은 감소하고 밀도가 증가하다가 BC_5%에서 일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Fig. 6 Hardened density of cement mortar
../../Resources/KCI/JKCI.2023.35.3.285/fig6.png

3.2.2 압축강도 실험결과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각각 재령 7, 28일로 하여 Fig. 7에 나타냈다. Plain의 경우 재령 7일, 28일 각각 23.9 MPa, 29.6 MPa로 나타났으며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함유량 증가 순서대로 각각 2 %, 4.3 %, 2.7 %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C_3%에서 가장 높은 압축강도 30.9 MPa를 확인하였다. 목질계 바이오차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멘트량이 치환되어서 물-시멘트비가 커지는 반면 목질계 바이오차가 시멘트 매트릭스 내 자유수를 흡수하고 보유하여 Plain에 비하여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낸다고 확인되었다(Gupta et al. 2018b). 이는 Choi et al.(2012)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바이오차가 수분을 보유하여 자가 양생 물질로의 역할을 한다고 연구되었다. Gupta et al.(2018b)에서는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1~2 %일 때 강도 증진 효과가 있었지만 BC_5%에서는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밀도 결과와 연관 지어 볼 수 있는데 BC_5%의 시편의 밀도가 BC_3%의 시편보다 감소하는 경향에 따라 압축강도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고 확인하였다.

Fig. 7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mortar
../../Resources/KCI/JKCI.2023.35.3.285/fig7.png

3.2.3 압축탄성계수 실험결과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탄성계수는 재령 28일로 하여 Table 3에 나타냈다. Plain의 경우 20.1 GPa,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20.9 GPa, 20.4 GPa, 20.1 GPa로 나타났다.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1 %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Plain과 비슷한 탄성계수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목질계 바이오차를 시멘트 모르타르에 함유하여도 탄성계수의 감소 없이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Gupta et al.(2018a)에 따르면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에서 비슷한 탄성계수 결과가 나타났으며, 바이오차의 탄성계수는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해 극히 작아 큰 영향이 없다고 연구되었다.

Table 3 Results of compressive modulus of elasticity

I.D.

Modulus of elasticity

(GPa)

Peak load

(kN)

Peak stress

(MPa)

Peak strain

(mm/mm)

Ultimate stress

(MPa)

Ultimate strain

(mm/mm)

Plain

20.1

256.30

32.60

0.002496

32.5

0.002579

BC_1%

20.9

263.25

33.55

0.002471

33.5

0.002521

BC_3%

20.4

252.25

32.15

0.002909

32.0

0.003580

BC_5%

20.1

243.00

29.70

0.002558

31.0

0.002733

본 연구를 통한 탄성계수 실험 결과,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1 %일 때, 탄성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증가 폭이 크지 않고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5 %까지 증가하여도 탄성계수 및 가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충분한 강성을 발현하였다.

3.2.4 휨강도 실험결과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휨강도는 각각 재령 7, 28일로 하여 Fig. 8에 나타냈다. Plain의 재령 7일, 28일 각각 5.5 MPa, 5.7 MPa로 나타났으며 재령 28일 기준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6.5 MPa, 6.1 MPa, 5.9 MPa로 나타났다. Plain과 비교하였을 때, 목질계 바이오차의 함유에 따라 재령 7일 휨강도가 비슷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재령 28일 휨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1 %일 때 18 % 증가하는 것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휨강도는 압축강도의 각각 19.8 %, 21.6 %, 20.6 %, 21.8 %로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경우 전반적으로 Plain보다 강도 증진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며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5 %까지 증가하여도 Plain과 비슷한 휨강도 결과를 보여 역학적 성능을 유지한 채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한 휨강도 실험 결과,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1 %일 때, 휨강도가 14 % 증진된 휨강도를 나타냈으며 목질계 바이오차의 함유량이 5 %까지 증가하여도 Plain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 휨성능의 감소 없이 시멘트를 대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Fig. 8 Flexural strength of cement mortar
../../Resources/KCI/JKCI.2023.35.3.285/fig8.png

3.2.5 인장강도 실험결과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인장강도는 재령 28일로 하여 Fig. 9에 나타냈다. Plain의 경우 3.25 MPa,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3.3 MPa, 3.37 MPa, 3.58 MPa로 나타났다.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5 %일 때, 인장강도가 10.2 % 증진된 인장강도를나타냈으며 목질계 바이오차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증진된 결과를 나타냈다.

Fig. 9 Tensile strength of cement mortar
../../Resources/KCI/JKCI.2023.35.3.285/fig9.png

3.2.6 목질계 바이오차의 미세구조 실험결과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SEM을 ×3,500 배율로 촬영하여 Fig. 10에 나타냈다. Fig. 10(a)의 경우 목질계 바이오차가 시멘트 화합물 속에 포함되어진 모습을 확인하였다. Fig. 10(b)에서는 비교적 큰 입자의 목질계 바이오차의 다공성 구조 내부에 시멘트 화합물이 생성된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목질계 바이오차와 시멘트 화합물이 잘 결합된 형상을 확인하였다.

Fig. 10 SEM of the cement paste
../../Resources/KCI/JKCI.2023.35.3.285/fig10.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탄소 격리 효과가 있는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450 °C 부근에서 열 분해된 목질계 바이오차를 사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탄소 격리 효과가 있는 목질계 바이오차를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하기 위해 시멘트 질량비 0 %, 1 %, 3 %, 5 % 치환하는 방식으로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목질계 바이오차의 재료적 특성으로는 SEM과 BET 분석을 통해 다공성 구조를 확인하고 SEM-EDX를 통해 목질계 바이오차의 특징인 높은 탄소 함유량인 86.92 %를 확인하였다. PSD 분석을 통해 90 % 이상이 46.64 µm로 분쇄되었으며 시멘트와 비슷한 입도를 갖는다고 나타났다.

2)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는 바이오차의 다공성 구조와 높은 탄소 함유량으로 인해 수분을 보유하는 현상을 나타내며 플로우의 감소를 나타났다.

3)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Plain보다 2~4.3 % 증진된 결과를 나타났다. 125 µm 이하의 입도를 가진 목질계 바이오차가 Filler 역할을 수행하여 목질계 바이오차 함유량이 3 %일 때까지 밀도 및 압축강도가 증가되다가 5 %에서 감소하여 Plain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났다.

4)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휨강도는 BC_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5~14 % 증진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인장강도는 BC_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10.2 % 증진된 결과를 나타냈다.

5) 역학적 실험을 통해 목질계 바이오차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시멘트 질량비 3 % 치환하는 경우 역학적 특성에 증진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시멘트 질량비 5 %까지 치환하는 것은 시멘트 저감 및 탄소 격리 효과를 고려하였을 때 역학적 성능의 감소 없이 목질계 바이오차를 혼화재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No. NRF-2020R1A2C1010495).

References

1 
ASTM C 109/C109M-21 (2021)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Hydraulic Cement Mortars (Using 2-in. or [50-mm] Cube Specimen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2 
ASTM C 1437-20 (2020) Standard Test Method for Flow of Hydraulic Cement Mortar.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3 
ASTM C 185-20 (2020) Standard Test Method for Air Content of Hydraulic Cement Mortar.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4 
ASTM C 307-18 (2018)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Strength of Chemical-Resistant Mortar, Grouts, and Monolithic Surfacing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5 
ASTM C 349-18 (2018)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Hydraulic-Cement Mortars (Using Portions of Prisms Broken in Flexure).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6 
ASTM C 469/469M-22 (2022) Standard Test Method for Static Modulus of Elasticity and Poisson’s Ratio of Concrete in Compression.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7 
Choi, W. C., Yun, H. D., and Lee, J. Y. (2012) Mechanical Properties of Mortar Containing Bio-Char from Pyrolysi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6(3), 67-74. (In Korean)URL
8 
Edeh, I. G., and Mašek, O. (2022) The Role of Biochar Particle Size and Hydrophobicity in Improving Soil Hydraulic Properties. European Journal of Soil Science 73(1), e13138.DOI
9 
Elyamany, H. E., Abd Elmoaty, M., and Mohamed, B. (2014) Effect of Filler Types on Physical, Mechanical and Microstructure of Self Compacting Concrete and Flow-Able Concrete. Alexandria Engineering Journal 53(2), 295-307.DOI
10 
Gupta, S., and Kua, H. W. (2018) Effect of Water Entrainment by Pre-Soaked Biochar Particles on Strength and Permeability of Cement Morta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59, 107-125.DOI
11 
Gupta, S., and Kua, H. W. (2019) Carbonaceous Micro-Filler for Cement: Effect of Particle Size and Dosage of Biochar on Fresh and Hardened Properties of Cement Mortar.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62, 952-962.DOI
12 
Gupta, S., Kua, H. W., and Dai Pang, S. (2018a) Biochar-Mortar Composite: Manufacturing,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Economic Viabilit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67, 874-889.DOI
13 
Gupta, S., Kua, H. W., and Koh, H. J. (2018b) Application of Biochar from Food and Wood Waste as Green Admixture for Cement Mortar.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19, 419-435.DOI
14 
Gupta, S., Kua, H. W., and Low, C. Y. (2018c) Use of Biochar as Carbon Sequestering Additive in Cement Mortar.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87, 110-129.DOI
15 
KATS (2022) Cement - Test Methods - Determination of Strength (KS L ISO 679).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16 
Lehmann, J. (2007) A Handful of Carbon. Nature 447(7141), 143- 144.DOI
17 
Maljaee, H., Paiva, H., Madadi, R., Tarelho, L. A., Morais, M., and Ferreira, V. M. (2021) Effect of Cement Partial Substitution by Waste-Based Biochar in Mortars Properti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01, 124074.DOI
18 
Qambrani, N. A., Rahman, M. M., Won, S., Shim, S., and Ra, C. (2017) Biochar Properties and Eco-Friendly Ap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Waste Management and Wastewater Treatment: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79, 255-273.DOI
19 
Shafie, S. T., Salleh, M. M., Hang, L. L., Rahman, M., and Ghani, W. A. W. A. K. (2012) Effect of Pyrolysis Temperature on the Biochar Nutrient and Water Retention Capacity. Journal of Purity, Utility Reaction and Environment 1(6), 293-307.URL
20 
Sirico, A., Bernardi, P., Belletti, B., Malcevschi, A., Dalcanale, E., Domenichelli, I., Fornoni, P., and Moretti, E. (2020)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Cement-Based Materials Containing Biochar from Gasifica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46, 118490.DOI
21 
Spokas, K. A. (2010) Review of the Stability of Biochar in Soils: Predictability of O: C Molar Ratios. Carbon Management 1(2), 289-303.DOI
22 
Tan, K., Qin, Y., Du, T., Li, L., Zhang, L., and Wang, J. (2021) Biochar from Waste Biomass as Hygroscopic Filler for Pervious Concrete to Improve Evaporative Cooling Performanc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67, 874-889.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