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연구개발부 차장 (Deputy General Manager, R&D Department,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Incheon 22688, Rep. of Korea)
  2.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기술지원부 대리 (Assistant Manager, R&D Dept.,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Incheon 22688, Rep. of Korea)
  3. ㈜부영테크원 부장 (Executive Manager, BooYoung Techone Co., Ltd., Gyeonggi 15431, Rep. of Korea)
  4. 아이지산업(주) 대표이사 (President, IG Industrial. Co., Gyeonggi 10012, Rep. of Korea)



바이오 황, 황 콘크리트, 초속경 시멘트, 압축강도
bio-sulfur, sulfur concrete, rapid-set cement, compressive strength

1. 서 론

교량 교면포장 공법으로 아스팔트 교면포장과 콘크리트 교면포장 공법이 있다. 콘크리트 교면포장 중 LMC(latex modified concrete) 교면포장은 고무성질의 라텍스와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특수 공법이다. LMC 교면포장 공법은 염분과 수분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고 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어(Yun et al. 2001; Baek et al. 2021) 기존 아스팔트 공법에 비해 장기적인 경제성이 높으나, 초기 시공비용이 높다(Kim 2003). 또한 라텍스는 액상수지로써 별도의 자재관리가 필요하여 라텍스 대체 재료가 필요하다.

석유화학공정에서 생산되는 부생황을 이용하여 유황개질 바인더를 적용한 콘크리트 제품은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 등의 우수한 역학적 특성과 내부식성, 내화학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의 내구성능을 나타낸다(Cha et al. 2011). 시멘트 풀을 유황개질 바인더로 대체한 유황 콘크리트는 50~80 MPa 이상의 고강도 특성을 나타냈다(Bae et al. 2014). 유황에 첨가제를 반응시켜 140 °C 내외의 공정온도 하에서 딜스-알더(Diels-Alder) 반응으로 유황개질 바인더를 제조하여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인더로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개질유황 시멘트 모르타르의 콘크리트 보수재료로서의 부착성능 평가 결과(Yoo et al. 2023)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와 대비하여 압축・휨・부착 강도 모두 우수한 결과가 나와 개질유황이 적정량 첨가된 보수재가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가변형 팬믹서를 활용하여 교면포장용 개질유황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평가한 연구 결과(Kim et al. 2020) 시멘트 중량대비 2~4 %로 개질유황을 첨가할 경우 압축강도가 증가하고, 이외 지표(부착강도,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스케일링 저항성)도 기준을 만족하였다. 개질유황은 DCPD(dicyclopentadiene)과 유황을 반응시킨 뒤 아민계 화합물과 중합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수도권매립지 50 MW 매립가스 발전시설 중 생물학적 전처리시설(네덜란드 PAQUES사 THIOPAQⓇ 공법)에서 매립가스 중 황화수소를 산화하여 처리 시 바이오 황이 약 20톤/일 발생된다. 매립가스가 스크러버 알칼리성 수용액과 접촉하여 매립가스 내 황화수소가 황화수소 이온(HS-)으로 환원되고, 반응조에서 고압공기로 교반되면서 호기성 황산화 박테리아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황 원소로 변환된다(Park and Eum 2016). 이후 바이오 황 입자를 침전시켜 농축하고, 원심력을 이용한 탈수로 바이오 황을 생산한다.

H2S+OH- → HS-+H2O

HS-+1/2O2 → SO+OH-

바이오 황 함수율은 45~60 %이고 황 순도는 약 70~90 %이다. 무기 황(석유 황, 화학적 탈황 부산물)은 소수성이나 바이오 황은 친수성으로 타물질과 혼용 사용이 용이하다. 바이오 황은 유기농업자재로 품질인증을 획득하여 살균자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바이오 황 보관량이 많아 재활용 확대가 필요하다.

기존 연구결과(Park et al. 2020) 수도권매립지에서 발생된 바이오 황을 60~85 °C에서 건조하고, 파쇄, 스크린 과정을 거친 분말을 유황 콘크리트 원료로 사용하였다. 시멘트, 모래를 1:3으로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 시, 바이오 황을 시멘트 투입량의 0 %, 10 %, 20 %, 30 % 추가 주입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바이오 황을 시멘트 투입량의 10 % 주입 시 28일 양생 기준 압축강도가 54.3 MPa로 일반 시멘트보다 2.25배 높아졌다. 바이오 황을 20 %, 30 % 혼합 시 압축강도는 28.7 MPa, 22.1 MPa로 낮아졌다. 바이오 황 10 % 혼합 시 포졸란 반응과 CaSO4의 형성 등에 의해 결합 강도가 증가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석회류 개질 바이오 황을 시멘트 첨가제로 5 % 첨가한 경우(Song et al. 2023) 일반 시멘트보다 압축강도가 증가했으며, 10 % 첨가한 경우 강도가 감소하였다.

슬러리 상태의 개질 바이오 황을 혼합한 연구(Lee et al. 2023)에서는 바이오 황(SO3 93 %)을 수분 5 % 이내로 건조하고 소석회(CaO 86 %), 물과 혼합하여 90 °C 이상에서 8시간 교반한 후, 시멘트에 0, 5, 10 % 혼합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경우 개질 바이오 황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가 저하되었다. 소석회 중의 Ca2+ 이온과 황(S)이 H2O와의 반응에 의해 Ca(SO3)(H2O)0.5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압축강도의 저하는 슬러리 상태의 개질 바이오 황 첨가에 의해 물-시멘트 비가 높아진 결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황을 활용하여 초기 강도발현이 중요한 초속경(2~3시간 안에 20~30 MPa의 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콘크리트로 급속시공이 필요한 구간에 사용) 콘크리트 제조기술을 개발하고 교면포장에 적용하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바이오 황을 활용하여 시멘트 혼화재로써 최적 배합비를 도출하고, 개발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품질시험을 수행하였다.

Title

2.1. 바이오 황 분말화 방법

수도권매립지 50 MW 매립가스 발전시설 중 생물학적 전처리시설에서 발생된 바이오 황은 수분이 약 50 %(Fig. 1)로 탈수 후 건조하여 콘크리트 재료로 사용하였다. 바이오 황을 가압고액분리 방법인 필터프레스로 탈수(Fig. 2)한 후 열풍 건조(Fig. 3)하고, 분쇄하여 바이오 황 분말을 생산하였다. 약 2시간의 가압 후 바이오 황을 1회에 최대 4 m3 탈수 시 20분 정도 소요되었고, 탈수된 바이오 황은 함수율이 15 % 미만이었다. 탈수된 황슬러지를 50 °C 미만에서 약 24시간 건조하여 함수율 1 % 정도의 바이오 황을 생산하였다(Fig. 4). 건조된 바이오 황은 1・2차 분쇄하여 사일로에 저장하였다.

Fig. 1 Bio-sulfur before dehydration and drying
../../Resources/KCI/JKCI.2024.36.4.309/fig1.png
Fig. 2 Dehydration using a filter press
../../Resources/KCI/JKCI.2024.36.4.309/fig2.png
Fig. 3 Bio-sulfur drying
../../Resources/KCI/JKCI.2024.36.4.309/fig3.png
Fig. 4 Bio-sulfur after drying and crushing
../../Resources/KCI/JKCI.2024.36.4.309/fig4.png

2.2. 바이오 황 배합비율 비교 실험

바이오 황 혼합비율 도출 실험에서 건조된 바이오 황을 일반 초속경 콘크리트에 3~15 % 배합 시 압축강도(4시간)와 발수(물의 흡수를 막는 성능) 정도를 측정하였다. 기존 연구결과(Park et al. 2020) 시멘트 대비 바이오 황을 20 % 혼합 시 압축강도가 감소하여 15 %까지 강도를 측정하였다. Table 1은 시멘트 대비, 바이오 황, 굵은 골재, 잔 골재를 혼합한 비율로 몰드(지름 15 cm, 높이 30 cm)를 제작하고 4시간 후 KS F 2405(KATS 2022)으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발수력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나 중성화는 구조체로 흡수되는 물에 의해 발생된다고 판단하여 KS F 2476(KATS 2019, 흡수율 측정법에 따른 모르타르 기준으로 1.5 % 이하), KS F 2711 (KATS 2017a, 1,000 coulomb 이하)로 테스트하였다. 바이오 황 혼합비율 별 3개 몰드를 제작하였다.

바이오 황을 함유한 콘크리트의 성능(내구특성, 구조특성, 적합 특성)을 평가하였다. 초속경 시멘트 100 중량 대비 건조된 바이오 황을 0, 10, 15 비율로 혼화제와 혼합하여 바이오 황 함유 초속경 시멘트를 제조하였다(Table 2). 강제 믹서에 잔골재(41 %), 굵은 골재(39 %), 바이오 황 함유 속경성 시멘트(15.5 %)를 3분 혼합한 이후, 물(4.5 %)을 더 혼합하고 2분간 교반하여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압축강도(KATS 2022), 부착강도(KATS 2016), 염소이온 침투저항성(KATS 2017a), 동해융해저항성(KATS 2018), 마모저항성(ASTM 2019), 균열 저항성(AASHTO 1998), 건조수축(KATS 2020)의 콘크리트 성능을 측정하였다.

Table 1 Mixing ratio of rapid-set cement, bio-sulfur, coarse aggregate and fine aggregate for the mixing ratio test of bio-sulfur

Type

(unit: weight ratio)

General

rapid-set concrete

Bio-sulfur rapid-set concrete

Bio-sulfur ratio (bio-sulfur/rapid-set cement)

3 %

5 %

7 %

10 %

12 %

15 %

Rapid-set cement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io-sulfur

-

3

5

7

10

12

15

Coarse aggregate

225

225

225

225

225

225

225

Fine aggregate

238

238

238

238

238

238

238

Table 2 Mixing ratio of rapid-set cement, bio-sulfur, admixture for the performance test of bio-sulfur rapid-set concrete

Type

(unit: weight ratio)

Bio-sulfur rapid-set admixture

Bio-S 0

Bio-S 10

Bio-S 15

Rapid-set cement

100

100

100

Bio-sulfur

0

10

15

Admixture

0.25

11.75

15.65

2.3. 바이오 황 함유 초속경 콘크리트 시험시공

바이오 황 함유 초속경 콘크리트를 2022년 10월 시험시공 하였다(Fig. 5). 타설면적은 폭 4.1 m, 길이 2.0 m로 8.2 m2이고, 0.9 m3(0.11 m 깊이)을 타설하였다. 바이오 황 초속경 콘크리트는 굵은 골재 33 %, 잔골재 41 %에 바이오 황 시멘트 19 %, 물 7 %를 혼합하였다(Table 3). 바이오 황 시멘트는 초속경 시멘트 85 %, 바이오 황 분말 11 %, 혼화제 4 %로 조성하였다. 시험시공 콘크리트에 대해 교면포장 보수재료 품질기준(내구특성, 구조특성, 적합 특성)의 압축강도(KATS 2022), 부착강도(KATS 2016), 염소이온 침투저항성(KATS 2017a), 동결융해저항성(KATS 2018), 스케일링 저항성(Swedish Standards 2005), 균열 저항성(AASHTO 1998), 마모저항성(ASTM 2019), 건조수축(KATS 2020), 열팽창계수(AASHTO 2020), 정탄성계수(KATS 2017b)을 측정하였다. 또한 동절기 동안 염화칼슘 살포로 인한 내구성을 시험시공 5개월 후 확인하였다.

Fig. 5 Test construction of the bio-sulfur rapid-set concrete
../../Resources/KCI/JKCI.2024.36.4.309/fig5-1.png../../Resources/KCI/JKCI.2024.36.4.309/fig5-2.png
Table 3 Mixing ratio of rapid-set cement, bio-sulfur, and admixture for the performance test of bio-sulfur rapid-set concrete

Component

(unit: kg/m3)

Water

Bio-sulfur cement

Fine aggregate

Coarse aggregate

Mixing ratio

154

(7 %)

425

(19 %)

908

(41 %)

746

(33 %)

2.4. 교면포장 시험시공

교면포장 상용화 시험시공으로 바이오 황 초속경 콘크리트를 14.8 m3 타설(4.1 m 폭, 20.0 m 길이)하였다. 바이오 황 초속경 콘크리트는 굵은 골재 34 %, 잔골재 42 %에 바이오 황 시멘트 19 %, 물 5 %를 혼합하였다(Table 4, Fig. 5). 바이오 황 시멘트는 초속경 시멘트 85 %, 바이오 황 분말 11 %, 혼화제 4 %로 조성하였다.

시험시공은 부분 재포장으로 노면파쇄기로 절삭 후 워터젯으로 열화부를 제거하고 흡입트럭을 사용하여 이물을 제거하여 표면건조포화상태를 유지하였다. 시공 전 굵은 골재와 잔골재의 함수량, 절대건조밀도 등을 측정하여 현장배합비를 산출하였다. 믹서에 골재, 바이오 황 시멘트, 물 순으로 연속해서 투입하고, 응결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지연제는 물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였다(콘크리트 표면온도 17.6 °C, 타설 시 대기온도 21.0 °C). 기존 포장 경계면에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인력으로 문질러 충분히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피막양생제를 살포하여 급속한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양생포를 덮고 습윤 양생을 실시하였다. 4시간 압축강도는 현장시험으로 측정하였고, 그 외 시험은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양생 시작 13시간 후 도로를 개방하였다.

Table 4 Mixing ratio of bio-sulfur rapid-set concrete for test construction of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Component

(unit: kg/m3)

Water

Bio-sulfur cement

Fine aggregate

Coarse aggregate

Mixing ratio

121

(5 %)

425

(19 %)

925

(42 %)

762

(34 %)

Title

3.1. 바이오 황 배합비율

시멘트 대비 바이오 황 분말을 10~15 % 혼합 시 콘크리트에 유의미한 발수력(물의 흡수를 막는 능력)이 확보되었다. 바이오 황을 10~15 % 혼합 시 압축강도(4 시간)가 6~10 % 높아졌다(Table 5).

Table 5 Compressive strength of bio-sulfur rapid-set concrete for the mixing ratio test of bio-sulfur

Type

(unit: MPa)

General

rapid-set

concrete

Bio-sulfur rapid-set concrete

Bio-sulfur ratio

3%

5%

7%

10%

12%

15%

Compressive strength

Average

22.7

22.1

22.8

23.3

23.3

24.0

24.2

σ

0.43

0.61

0.56

0.36

0.54

0.45

0.45

Note: σ=standard deviation

시멘트 대비 바이오 황이 15 % 혼합된 시료의 XRF 분석결과 SO3 함량이 일반 시멘트보다 8 % 높게 측정되었다(Table 6). 바이오 황에 황이 시멘트의 칼슘과 반응하여 CaSO4 생성되어 강도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Park et al. 2020). 콘크리트에 CaSO4를 첨가한 경우 압축강도 증가 효과가 있었다(Lee and Kim 2006).

Table 6 X-ray fluorescence (XRF) analysis of general rapid- set cement and bio-sulfur rapid-set cement

Component

General rapid-set

cement

Bio-sulfur rapid-set cement*

SO3 (%)

19.90

28.39

SiO2 (%)

6.06

5.13

CaO (%)

56.29

50.61

Note: (bio-sulfur)/(general rapid-set cement)=15 %

3.2. 바이오 황 혼화제 초속경 콘크리트 성능

초속경 시멘트 대비 바이오 황을 10 %, 15 % 혼합 시 3시간 기준 압축강도는 1.6배, 2.9배 높고, 28일 기준 압축강도는 1.2배, 1.7배로 높았다(Table 7). 부착강도도 바이오 황을 10 %, 15 % 혼합 시 3시간 기준 2.7배, 6.0배 높고, 28일 양생 기준 1.8배, 3.7배로 높았다. 동결융해저항성도 바이오 황 15 % 혼합 시 1.2배로 높아졌다.

바이오 황을 15 % 혼합 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은 0.2배, 마모저항성도 0.2배, 건조수축은 0.005배로 낮아지고, 균열 발생도 없었다. 이로써 바이오 황을 혼합함으로 초속경 콘크리트 성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7 Test results of bio-sulfur rapid-set concrete

Test items

Test method

Unit

Bio-sulfur rapid-set admixture

B/A

C/A

Bio-S 0 (A)

Bio-S 10 (B)

Bio-S 15 (C)

Durability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KS F 2711

coulomb

1,560

1,125

320

0.7

0.2

Freeze–thaw resistance

KS F 2456

%

77

79

94

1.0

1.2

Abrasion resistance

ASTM C 779

mm

0.29

0.21

0.05

0.7

0.2

Crack resistance

AASHTO PP34-98

-

Crack

Crack

No Crack

-

-

Structure

Compressive strength

3 hours

KS F 2405

MPa

11.3

15.8

24.6

1.4

2.2

28 days

21.7

27.6

37.3

1.3

1.7

Bond strength

3 hours

KS F 2762

MPa

0.3

0.8

1.8

2.7

6.0

28 days

1.0

1.8

3.7

1.8

3.7

Suitability

Drying shrinkage

KS F 2424

%

0.1564

0.0845

0.00075

0.5

0.0

3.3. 바이오 황 혼화제 초속경 콘크리트 시험시공

2022년 10월 시행한 바이오 황 함유(시멘트 대비 바이오 황 13 %) 초속경 콘크리트 시험시공(Fig. 5)결과 내구특성, 구조특성, 적합특성 품질기준 항목을 측정하여 기준 만족을 확인하였다(Table 8). 또한 시험시공 5개월 이후(2023년 4월) 현장을 확인한 결과, 균열 및 파손이 없음을 확인하였다(Fig. 6). 이로써 바이오 황 함유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Fig. 6 Road surface condition after five months of testing
../../Resources/KCI/JKCI.2024.36.4.309/fig6.png
Table 8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bio-sulfur rapid-set concrete

Test items

Test method

Unit

Test standards

Measured results

Per

formance

Durability characteristics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KS F 2711

Coulomb

1,000 below

(Rapid-set: 28 days curing)

602

Satisfactory

Freeze–thaw resistance

KS F 2456

%

Above 80

(Rapid-set: 28 days curing)

84.4

Scaling

resistance

SS 13 72 44 A

kg/m2

m56/m28

1.0 below (Scaling)

2.0 below (Scaling ratio)

(Rapid-set: 28 days curing)

0.10

1.6

Crack resistance

ASTM C 1581

-

Until 56 days,

no drying shrinkage crack

No

Abrasion resistance

ASTM C 779 B Type

mm

2 below (Rapid-set 7 days, rapid-hardening 28 days)

0.66

Structure characteristics

Compressive strength

KS F 2405

MPa

Above 21 (Opening time),

above 35 (28 days curing)

27.2

46.9

Bond strength

KS F 2762

MPa

Above 1.4 (Opening time)

1.89

Suitability

characteristics

Drying shrinkage

KS F 2424

%

0.15 below (Rapid-set 7 days,

rapid-hardening 28 days)

-0.044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ASHTO TP 60

/°C

4.0~20.0×10-6 (Rapid-set 7 days,

rapid-hardening 28 days)

11.51×10-6

Elastic modulus

KS F 2438

MPa

1.13×104~7.80×104 (Rapid-set 7 days,

rapid-hardening 28 days)

2.57×104

3.4. 교면포장 상용화 시험시공 결과

교면포장 상용화 시험시공(Fig. 7) 결과 압축강도(28일)는 44.6 MPa로 기준 35 MPa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개방시간 부착강도도 기준 1.4 MPa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염소이온침투저항성(28일)도 기준 1,000 Coulomb 이하로 758 Coulomb으로 측정되었다. 동결융해저항성(28일)도 기준 80 % 이상으로 86.9 %로 측정되었다. 향후 시험시공 1년 후 추적조사를 통해 압축강도, 부착강도, 염소이온침투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및 표면손상률을 측정하고 품질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하여 장기적인 성능을 확인할 예정이다.

Fig. 7 Test construction by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members
../../Resources/KCI/JKCI.2024.36.4.309/fig7.png

4. 결 론

수도권매립지 50 MW 발전시설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수분 약 50 %의 바이오 황을 탈수・건조하고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에 혼화재와 혼합하여 교면포장 초속경 콘크리트로 개발하였다. 시멘트에 최적 바이오 황 혼합비율을 도출하고, 현장에 시험시공하여 교면포장 콘크리트의 품질기준 대비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였다.

1) 시멘트 대비 건조된 바이오 황을 10~15 % 혼합 시 콘크리트에 발수력이 확보되었다. 바이오 황 10 % 미만 혼합 시 발수에 부적합하였다. 이로써 시멘트 대비 바이오 황의 10 % 이상 혼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바이오 황에 황 성분(SO3)이 시멘트의 CaO과 반응하여 CaSO4 생성되어 강도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2) 시멘트 대비 바이오 황을 10 %, 15 % 혼합 시 압축강도, 부착강도, 동결융해저항도는 높아지고,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건조수축은 낮아졌다. 이로써 바이오 황을 혼합함으로 초속경 콘크리트 성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 바이오 황 함유 초속경 콘크리트를 시험시공(8.2 m2, 0.9 m3)하고, 콘크리트 내부특성, 구조특성, 적합특성 품질기준 항목(압축강도, 부착강도, 염소이온침투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을 측정한 결과 기준 만족을 확인하였다. 바이오 황 시멘트는 초속경 시멘트 85 %, 바이오 황 분말 11 %(시멘트 대비 바이오 황 13 % 혼합), 혼화제 4 %로 조성하였다. 또한, 시험시공 5개월 이후 현장을 확인한 결과, 균열 및 파손이 없음을 확인하여 현장 적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교면포장 상용화 시험시공에 참여하여 교량에 바이오 황 초속경 콘크리트를 14.8 m3 타설한 결과 압축강도, 부착강도, 염소이온침투저항성, 동해융해저항성이 기준 만족으로 측정되었다. 시험시공 1년 후 추적조사를 통하여 장기간 사용 안전성에 대해 검증할 계획이다.

5) Table 7, Table 8, 교면포장 상용화 시험시공의 압축강도(28일 기준, 37.3 MPa, 46.9 MPa, 44.6 MPa)가 차이가 나는 것은 바이오 황 시멘트(시멘트 대비 바이오 황 혼합비율 15 %, 13 %, 13 %) 및 물(4.5 %, 7 %, 5 %)의 배합비가 약간 다르고, 혼합방법, 대기온도 등의 차이가 있어서이다. 실험실에서 몰드 제작 시 강제식 믹서, 샤프트 믹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혼련하였고, 시험시공 시에는 모빌믹서로 혼련하여 혼합방법이 다른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

References

1 
AASHTO (1998) Estimating the Cracking Tendency of Concrete (AASHTO PP 34-98).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AASHTO).URL
2 
AASHTO (2000) Standard Method of Test for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Hydraulic Cement Concrete (AASHTO TP 60).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AASHTO).URL
3 
ASTM C779 / C779M-19 (2019) Standard Test Method for Abrasion Resistance of Horizontal Concrete Surface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4 
Bae, S. G., Gwon, S. W., Kim, S. W., and Cha, S. W. (2014) Physical Properties of Sulfur Concrete with Modified Sulfur Bin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3), 763-771. (In Korean)DOI
5 
Baek, C. W., Park, C. G., Park, C. B., Choi, S. W., and Ryu, D. H. (2021)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Latex-modified Concrete. KCI 2021 Fall Conference. 3-5 November 2021. Kyoungju.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33(2), 413-414. (In Korean)URL
6 
Cha, S. W., Kim, K. S., and Park, H. S. (2011) Manufacture of Modified Sulfur Polymer Binder and Characteristics of Sulfur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3(6), 40-42. (In Korean)URL
7 
KATS (2016) Standard Test Method for the Bond Strength of Concrete Repair and Overlay Materials by Pull-off Method (KS F 2762).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8 
KATS (2017a) Standard Test Bethod for Resistance of Concret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by Electrical Conductance (KS F 2711).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9 
KATS (2017b) Standard Test Method for Static Modulus of Elasticity and Poisson’S Ratio in Compression of Cylindrical Concrete Specimens (KS F 2438).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10 
KATS (2018) Standard Test Method for Resistance of Concrete to Rapid Freezing and Thawing (KS F 2456).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1-9. (In Korean)URL
11 
KATS (2019) Standard Test Method for Polymer-modified Cement Mortar (KS F 2476).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12 
KATS (2020) Standard Test Method for Resistance of Concret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by Electrical Conductance (KS F 2424).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13 
KATS (2022)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S F 2405).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14 
Kim, H. K. (2003) Application Case of the Bridge Deck Overlay Technology Using LMC(Latex Modified Concrete). Construction Management News 24-32. (In Korean)URL
15 
Kim, S. Y., Oh J. H., Moon, K. G., and Min, W. (2020) Durability of Modified Sulfur Cement Concrete Prepared Using a Pan Mixer with Variable Speed for Bridge Pa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11(1), 40-46. (In Korean)URL
16 
Lee, D. U., and Kim, Y. S. (2006) A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Containing Bottom Ash as a Part of Fine Aggregat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6), 79-86. (In Korean)URL
17 
Lee, W. G., Han, L. B., Cho, S. H., Lee, P. S., and Song, M. S. (2023) Effect of Bio-Sulfur Modified by Slaked Lime on Cement Hydration Properties. Journal of Recycling Construction Resources 11(4), 509-516. (In Korean)URL
18 
PAQUES, THIOPAQⓇ Biogas desulfurization. https://en.paques.nl/mediadepot/12645754dbef6/BrochureTHIOPAQ.pdf.URL
19 
Park, H. O., Kwon, G. W., Lee, K. H., Kim, M. J., Lee, W. W., Ryu, D. S., and Lee, J. Q. (2020) Evaluation of Concrete Materials for Desulfurization Process By-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28(4), 15-22. (In Korean)DOI
20 
Park, T. S., and Eum, W. H. (2016), A Study on Performance of Sulfur Concrete using BIO Sulfur Derived from The Landfill and Additiv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33(22), 154-163. (In Korean)URL
21 
Song, M. S., Lee, W. G., Lee, P. S., and Han, L. B. (2023) Effects of Lime-modified Bio-Sulfur on the Hydration of Cementitious Materials. KCI 2023 Spring Conference. 10-12 May 2023. Jeju.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35(1), 549-550. (In Korean)URL
22 
Swedish Standards (2005) Concrete Testing–Hardened Concrete–Scaling at Freezing (SS 13 72 44). Svensk Standard.URL
23 
Yoo, H. J., Koh, T. H., and Ann, K. Y. (2023) Bo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odified Sulfur Cement Mortar as a Concrete Repair Material.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5(1), 91-99. (In Korean)DOI
24 
Yun, K. K., Kim, K. H., Lee, J. H., Hong, C. W., and Kim, D. H. (2001) Strength Development Properties of Latex Modified Concrete For New Concrete Bridge Deck Overlay. Journal of the Korea Road Pavement Engineering Institute 3(3), 135-146. (In Korean)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