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신
(Wan-Shin Park)
1*iD
장영일
( Young-Il Jang)
1iD
김선우
(Sun-Woo Kim)
1iD
윤현도
(and Hyun-Do Yun2)
2iD
-
충남대학교 건설공학교육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Rep. of Korea)
-
충남대학교 스마트시티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Smart City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Rep. of Korea)
Copyright © Korea Concrete Institute(KCI)
키워드
PVA 섬유, 연결보, 접합부, 패널전단강도
Key words
PVA fiber, link beam, connection, panel shear strength
1. 서 론
최근 전북 부안에서 주향 이동 단층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4.8의 지진뿐만 아니라 제주 서귀포시, 경주, 울진, 포항, 태안 등 지역 등에서도 중진
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상당한 물적 및 인적 지진피해가 야기되고 있다. 2023년 7월 기준으로 국내의 전체 건축물에 대한 내진 설계
비율은 20 % 이내에 그치고 있어, 향후 지진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내진 저항시스템, 내진저항 재료, 내진 배근 상세 등을 다양한
재료, 기술 및 시스템을 적용한 강화된 내진설계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 국내 건축물에 대한 내진 설계비율을 현저히 높일 필요가 있다(ST 2024). 최근 국내외적으로 재료의 이점을 극대화한 합성구조에 대한 연구 중에서 지진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재료 개발, 내진 상세 기술을 적용한 병렬전단벽
횡력저항 구조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Shahrooz et al. 1993, 2018; Tegos and Penelis 1988; Park and Yun 2006; Cheng et al. 2015; Seo et al. 2017; Wang et al. 2018; J. Tian et al. 2023; Jafari et al. 2024).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내진성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병렬전단벽 접합부 영역의 접합부 상세 및 적용재료의 종류에
따른 접합부 내의 응력전달기구 및 접합부 성능 규명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접합부 성능에 대한 규명 없이 접합부에서 붕괴 메커니즘이 형성하게 되면,
병렬전단벽 시스템은 소요 강도, 강성 및 변형능력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어 취성파괴가 발생해 구조물 전체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규명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결보-벽체 접합부에 대한 기존 실험결과(Park 2005; Park et al. 2006, 2013, 2015; Kim et al. 2011, 2012a, b, 2013; Ji et al. 2013; Deng and Ma 2020; Yoon 2020; Dong et al. 2024)에 대한 연구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유사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를 적용한 병렬 전단벽 접합부의 패널 전단성능을 콘크리트 실험체와 비교・분석하여 접합부성능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요 변수는 패널전단성능을 규명하기 위한 병렬전단벽 접합부에 적용재료의 종류 및 FBP의 유무 및 수평타이
등 접합부 상세를 고려하였다.
2. 대상 실험체
2.1 실험체 개요
Table 1 및 Fig. 1은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체의 일람표 및 실험체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PSH2C-PSF 및 HCWS-PSF 실험체는 접합부 매립영역에 보강되지 않은
무보강 실험체로서 PVA (polyvinyl alcohol) 섬유의 보강유무에 따른 접합부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표준 실험체이다. PSH2C-PSFF
및 HCWS-PSFF 실험체는 PVA 섬유 보강효과 및 지압플레이트(face bearing plate)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벽체에 매립되는
강재 연결보 웨브영역에 지압플레이트를 용접하여 보강한 실험체이다. PSH2C- PSFFT 및 HCWS-PSFFT 실험체는 매립영역에 지압플레이트를
용접하여 보강한 후 강재 연결보의 웨브를 관통하여 수평타이(horizontal ties)를 추가로 보강한 것으로서 PVA 섬유의 보강효과와 지압플레이트
및 수평타이의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체이다.
Table 1 Test variables of this study (Kim et al. 2012a, b, 2013, 2015; Ji et al. 2013, Park et al. 2005, 2012, 2013, 2015; Yoon 2020)
Specimen
|
Connection details
|
Material
|
$f_{ck}$
(MPa)
|
Horizontal
ties at
web region
|
Embedment
length
(mm)
|
Stud bolt
|
Wall
reinforcement
|
①
|
②
|
③
|
Number
(EA)
|
Diameter
(mm)
|
Length
(mm)
|
Center
|
Connection
region
|
Base
|
PSH2C
Series
|
PSH2C-PSF
|
●
|
-
|
-
|
PSH2C
|
30
|
-
|
300
|
12
|
19
|
125
|
HD13
@230
|
HD13
@230
|
10-
HD16
|
PSH2C-PSFF
|
●
|
●
|
-
|
-
|
PSH2C-PSFFT
|
●
|
●
|
●
|
HD13@230
|
HCWS
Series
|
HCWS-PSF
|
●
|
-
|
-
|
Concrete
|
-
|
HCWS-PSFF
|
●
|
●
|
-
|
-
|
HCWS-PSFFT
|
●
|
●
|
●
|
HD13@230
|
Note: ① FBP: Face bearing plate, ② ST: Stud bolt ③ HT: Horizontal ties
2.2 재료의 역학적 특성 및 실험
Table 2는 섬유의 기계적인 특성으로 PVA 섬유의 비중은 1.3 g/cm3이며, 길이 12 mm, 직경 39 μm, 형상비 307, 인장강도 1,600 MPa, 탄성계수 40 GPa이다. 재료의 실험결과는 Fig. 2, Fig. 3 및 Table 3과 같다. Fig. 4은 실험체 설치상황을 나타낸 것으로 연결보의 반복가력은 축하중을 먼저 가력한 후, 미리 제작한 힌지 플레이트를 1,000 kN 용량의 가력장치에 체결하여
재하하였다. Fig. 5는 하중이력을 나타낸 것으로 표준 실험체 PSF를 기준으로 예상 파괴하중의 1/2까지는 하중제어로 가력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변위제어로 가력하였다.
Table 2 Mechanical properties of PVA fIber
Type
|
Density
(g/cm3)
|
Length
(mm)
|
Diameter
(μm)
|
Aspect
ratio
|
Tensile
strength
(MPa)
|
Elasticity
(GPa)
|
PVA fiber
|
1.3
|
12
|
39
|
307
|
1,600
|
40
|
Table 3 Influencing factors on the predicted strengths according to ASCE guidelines
Classification
Series
|
$f_{c}'$
(MPa)
|
$f_{ysp}$
(MPa)
|
$f_{ysh}$
(MPa)
|
$\phi$
(-)
|
$b$
(mm)
|
$b_{f}$
(mm)
|
$b_{i}$
(mm)
|
$b_{m}$
(mm)
|
$b_{o}$
(mm)
|
$b_{j}$
(mm)
|
$d_{0}$
(mm)
|
$d_{w}$
(mm)
|
$h$
(mm)
|
$h_{vr}$
(mm)
|
$t_{p}$
(mm)
|
$s_{h}$
(mm)
|
$A_{sh}$
(mm2)
|
$x$
(mm)
|
$y$
(mm)
|
$a_{c}$
|
PSH2C group
|
22.1
|
398
|
339
|
0.7
|
300
|
175
|
175
|
219
|
44
|
219
|
44
|
145
|
300
|
220
|
4.5
|
50
|
157
|
300
|
175
|
16
|
HCWS group
|
30.0
|
3. 실험결과 분석
3.1 파괴양상
Fig. 6은 접합부 패널파괴가 발생되는 각 실험체의 최종 파괴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반복하중 가력 시 PSH2C 계열 실험체의 균열 진전양상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HCWS 계열 실험체의 경우, 접합부 보강 상세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PSH2C-PSF 실험체의 최종 파괴양상은 Fig.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립부 영역에서 발생한 초기 수평균열은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사인장 균열로 진전되어 미세균열의 수와 균열폭이 미세하게 증가되어
파괴양상을 띄었다. 그러나, HCWS- PSF 실험체의 경우, Fig.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중 초기에는 PSH2C-PSF 실험체와 유사한 균열진전 양상을 보였으나, 강재 보 웨브 항복 후 접합부 패널영역에서 피복박리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면서 파괴되는 양상을 보였다.
PSH2C-PSFF 실험체의 최종 파괴양상은 Fig.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PSH2C-PSF 실험체와 유사하게 다수의 미세균열이 발생하면서 파괴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HCWS-PSFF 실험체의
경우, Fig. 6(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랜지 폭을 갖는 지압플레이트에 의해 내부 및 외부패널에서 콘크리트를 분리하려는 경향을 보이면서 균열 폭의 현저한 증가와 피복
박리가 패널 영역에 집중되어 파괴되는 양상을 보였다. 접합부 영역에서 지압플레이트의 영향을 고려할 때, PSH2C-PSFF 실험체의 경우 지압플레이트가
없는 PSH2C-PSF 실험체에 비해 손상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HCWS-PSFF 실험체의 경우에는 접합부 영역에서의
지압플레이트가 실험체의 손상정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SH2C-PSFF 실험체가 HCWS-PSFF 실험체에 비해
섬유의 가교작용으로 인해 내부패널을 효율적으로 구속하였기 때문에 지압플레이트에 의한 압축스트럿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6(e)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PSH2C-PSFFT 실험체의 파괴양상은 전반적으로 PSH2C-PSF 및 PSH2C-PSFF 실험체와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PSH2C-PSFFT 실험체의 경우, 최종파괴 시 접합부 내・외부 패널영역에서 피복박리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HCWS-PSFF 실험체의
경우, Fig. 6(f)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타이로 구속되지 않은 매립부 외부 패널영역에서 피해가 집중되면서 파괴되는 양상을 보였다. 접합부 영역에서 수평타이의 영향을
고려할 때, PSH2C-PSFF 실험체의 경우 HCWS-PSFF 실험체에 비해 수평타이에 의한 구속효과가 접합부 패널 영역에서의 손상정도에 상대적으로
작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6의 실험체별 각 파괴양상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PSC2H 계열 실험체가 동일한 배근상세를 갖는 HCWS 계열 실험체에 비해 손상정도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Dong et al. (2024)의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었다. 다만, 지압플레이트 및 수평타이 등 접합부 배근상세에 따른 손상정도의 영향은 PSC2H 계열 실험체가 HCWS 계열
실험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지진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보수・보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PVA 섬유를 혼입한 실험체가 콘크리트를
적용한 실험체에 비해 보수・보강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접합부 영역에 지압플레이트 및 수평타이로 보강하는 것이 균열의 폭을 감소시키고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2 하중-회전각 관계 곡선
Fig. 7은 각 실험체의 하중-회전각 관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PSH2C 계열 및 HCWS 계열 실험체의 전반전인 거동특성을
비교할 때, PSH2C 계열 실험체의 경우, 압축강도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회전각 증가에 따라 접합부 강도가 HCWS 계열 실험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최대내력 이후 내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HCWS 계열 실험체의 경우 회전각 증가에 따라
강도가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최대내력 이후 강도가 완만하게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PSH2C 계열 실험체의 경우,
접합부 배근상세에 따른 최대내력 이후의 거통특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HCWS 계열 실험체의 경우 지압플레이트를 보강한 HCWS-PSFF
실험체 및 지압플레이트와 수평타이에 의해 보강된 HCWS-PSFFT 실험체가 무보강 실험체인 HCWS-PSF에 비해 최대내력 이후 접합부 외부 및
외부 패널영역을 효율적으로 구속하여 강도 및 강성이 완만하게 저하되는 안정적인 거동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최대내력을 비교할 때, PSH2C 계열에서 PSH2C-PSF 및 PSH2C-PSFF 실험체의 평균내력 각각 313.1 kN(정가력 305.9 kN,
부가력 320.2 kN) 및 338.9 kN으로 HCWS 계열의 HCWS-PSF, HCWS-PSFF 및 HCWS-PSFFT 실험체에 비해 각각 1.63배
및 1.20배 높게 나타났으나, PSH2C-PSFFT 실험체의 평균내력 336.5 kN으로 HCWS-PSFFT 실험체의 342.6 kN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접합부 보강상세에 따른 접합부 강도의 영향을 비교하면, PSH2C 계열에서 지압플레이트 및 수평타이에 의해 접합부 보강된 PSH2C-PSFFT
실험체의 평균내력은 무보강 실험체인 PSH2C-PSF 실험체에 비해 7.2 % 높게 나타났으나, 지압플레이트만을 보강한 PSH2C-PSFF 실험체와는
거의 대등한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HCWS 계열에서 HCWS-PSFFT 실험체의 경우 평균내력은 343.6 kN PSH2C-PSF 및 PSH2C-
PSFF 실험체에 비해 각각 1.78배 및 1.21배 높게 나타나 접합부 상세에 따라 접합부 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VA
섬유 보강이 무보강 및 지압플레이트만 보강한 실험체에서는 강도 증진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수평타이의 보강 실험체에서는 PVA섬유 보강에 따른
접합부 강도 증진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Deng and Ma (2020)에 의한 연구에서도 섬유에 의한 실험체에서도 내진성능 향상시킴으로써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3.3 강성 특성
Fig. 8은 각 실험체의 부재 회전각에 따른 강성특성(Peak- to-peak stiffness)을 나타낸 것이다. Fig.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각 1.05 %에서 무보강 시험체인 PSH2C-PSF 및 HCWS-PSF 실험체의 초기강성은 각각 61.2 kN/mm 및
45.5 kN/mm로 PSH2C-PSF 실험체의 강성값이 HCWS-PSF 실험체에 비해 약 35 % 높게 나타났다. 극한하중에서 PSH2C-PSF
및 HCWS-PSF 실험체의 강성은 각각 23.4 kN/mm 및 10.7 kN/mm PSH2C-PSF 실험체의 강성값이 HCWS-PSF 실험체에 비해
각각 2.19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 값은 초기강성의 각각 0.38 및 0.24배로 나타났다. 최종파괴 시 PSH2C-PSF 및 HCWS-PSF
실험체의 강성값은 각각 12.4 kN/mm 및 5.6 kN/mm로 PSH2C-PSF 실험체의 강성값이 PHCWS-PSF 실험체에 비해 2.2배 높게
나타났다.
PSH2C-PSFF및 HCWS-PSFF 실험체의 초기강성, 극한하중 시 강성 및 최종파괴 시 강성값은 각각 65.1 kN/mm 및 49.2 kN/mm,
26.4 kN/mm 및 16.5 kN/mm 와 10.8 kN/mm 및 7.4 kN/mm로 나타났다. PSH2C-PSFF 및 HCWS-PSFF 실험체의
극한하중 시 강성값은 초기강성의 각각 0.40 및 0.34배로 나타났다. 또한, PSH2C-PSFF 실험체의 초기강성, 극한하중 시 강성 및 최종파괴
시 강성값은 HCWS-PSFF 실험체에 비해 각각 약 32 %, 59 % 및 72 % 높게 나타났다. 접합부 상세의 영향을 고려하면, PSH2C-PSFF
및 HCWS-PSFF 실험체의 초기강성, 극한하중 시 강성 및 최종파괴 시 강성값은 PSH2C-PSF 및 HCWS-PSF 실험체에 비해 각각 6 %
및 8 %, 13 % 및 54 %와 3 % 및 32 % 높게 나타났다.
PSH2C-PSFFT 및 HCWS-PSFFFT 실험체의 초기강성, 극한하중 시 강성 및 최종파괴 시 강성값은 각각 60.8 kN/mm 및 61.6
kN/mm, 25.2 kN/mm 및 20.3 kN/mm 와 12.5 kN/mm 및 7.2 kN/mm로 나타났다. PSH2C-PSFFT 및 HCWS-PSFFT
실험체의 극한하중 시 강성값은 초기강성의 각각 0.41 및 0.33배로 나타났다. 또한, PSH2C-PSFFT 실험체의 초기강성, 극한하중 시 강성
및 최종파괴 시 강성값은 HCWS-PSFF 실험체에 비해 각각 약 0.99배, 1.24배 및 1.73배로 나타났다. 접합부 상세의 영향을 고려하면,
PSH2C-PSFFT 실험체의 초기강성, 극한하중 시 강성 및 최종파괴 시 강성값은 PSH2C-PSF 및 PSH2C-PSFF 실험체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HCWS-PSFFT 실험체의 경우에는 접합부 상세가 초기강성, 극한하중 시 강성 및 최종파괴 시 강성값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SH2C 계열 실험체에서는 접합부 상세와 무관하게 PVA 섬유의 혼입이 균열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강성 증진 효과에 영향을
미쳐 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Dong et al. (2024)에 의한 연구에서도 섬유에 의한 실험체의 강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3.4 누적에너지 소산 면적
Fig. 9는 각 실험체의 사이클에 따른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첫 번째 사이클에서의 PSH2C 계열 및 HCWS 계열 실험체 모두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은 거의 대등한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두 번째 사이클에서 PSH2C-PSF 및 HCWS-PSF 실험체의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은 각각 13.4 kN・m 및 3.1 kN・m로 PSH2C-PSF
실험체의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이 HCWS-PSF 실험체에 비해 4.32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7번째 사이클에서 PSH2C-PSF 및 HCWS-PSF
실험체의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은 각각 192.9 kN・m 및 87.4 kN・m로 PSH2C-PSF 실험체의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이 HCWS-PSF 실험체에
비해 2.2배 높게 나타났다. 최종파괴 시 PSH2C-PSF 실험체의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은 249.1 kN・m HCWS-PSF 실험체의 196.1
kN・m 에 비해 1.27배 높게 나타났다.
PSH2C-PSFF 실험체의 경우, 두 번째 사이클에서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은 14.2 kN・m로 HCWS-PSFF 실험체의 3.9 kN・m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나, PSH2C-PSF 실험체에 비해서는 거의 대등한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7번째 사이클에서 PSH2C-PSFF 실험체의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은 각각 195.2 kN・m로 HCWS-PSFF에 비해 1.6배(121.8 kN・m) 높게 나타났으나, PSH2C-PSF 실험체와는
거의 대등한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최종파괴 시 PSH2C-PSFF 실험체의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은 195.2 kN・m HCWS-PSFF 실험체의
0.66배(293.7 kN・m)로 낮게 나타났다.
PSH2C-PSFFT 경우, 두 번째 사이클에서의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은 12.8 kN・m로 HCWS-PSFFT 실험체에 비해 각각 1.9배(6.8
kN・m) 높게 나타났으나, PSH2C-PSFF 실험체와 비교할 때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이 오히려 10 % 낮게 나타났다. 또한, 7번째 사이클에서
PSH2C-PSFFT의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은 198.2 kN・m로 HCWS-PSFFT 및 PSH2C-PSFF 실험체에 비해 각각 1.08배(183.0
kN・m) 및 1.02배(195.2 kN・m)로 대등한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최종파괴 시 PSH2C-PSFFT 실험체의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은
198.2 kN・m HCWS-PSFFT 실험체의 0.50배(395.7 kN・m)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실험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종합해보면, PSH2C 계열 실험체의 경우 접합부 배근상세의 영향보다는 섬유의 혼입 여부가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HCWS 계열 실험체의 경우 접합부 배근상세가 내부 패널을 효율적으로 구속하여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기준식과의 비교・분석
강재보-벽체접합부의 상세에 따른 패널전단강도에 대한 예측식은 전무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ASCE의 Handbook (2017)에서 제시한 접합부에 대하여 Fig. 10에서와 같이 이상화된 하중전달 메커니즘에 의한 강도식을 준용하였다.
4.1 강재 패널
접합부 영역에서의 강재패널에 의한 공칭 전단강도 $V_{sn}$의 기여분은 강재보의 웨브의 성능에 따라 유효패널길이를 $jh$, 평균전단응력을 $0.6F_{ysp}$로
가정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여기서, $F_{ysp}$는 강재패널의 항복강도, $t_{sp}$는 강재패널의 두께, $jh$는 지압력 사이의 수평거리이다. 또한, 접합부 내에서의
압축력 $C_{c}$는 다음과 같다.
$b_{j}$는 접합부 패널의 폭, $b_{i}$는 접합부 내부 패널의 폭, $b_{o}$는 접합부 외부 패널의 폭, $b_{f}$는 강재보 플랜지
폭, $b_{f}$는 강재보의 폭, $b$는 강재보 면에 수직방향으로 측정된 피복두께를 제외한 벽체의 폭, $d$는 강재 보의 춤, $d_{0}$는
접합부 영역에서 강재보에 부착된 FBP의 추가적인 유효 깊이($\le 0.25d$), $h$는 접합부 영역에서 수평타이로 구속된 벽체 경계부재의 폭,
$x$는 FBP의 내부면에서 벽체면까지의 거리, $y$는 돌출된 FBP의 폭, $\Sigma M_{c}$는 접합부 내에 전달된 벽체 모멘트, $\phi$는
강도감소계수($=0.7$), $T_{vrn}$는 벽체 접합부 내의 수직철근의 공칭 인장강도, $C_{vrn}$는 벽체 접합부 내의 수직철근의 공칭
압축강도, $\triangle V_{b}$는 벽체로 전달되는 보의 수직 전단력, $h_{vr}$은 강재 매립영역 내에서 수직 인장철근 및 압축철근
사이의 거리이다.
4.2 콘크리트 압축스터럿(Compression Strut)
접합부 영역에서의 콘크리트의 압축 스트럿에 의한 공칭강도 $V_{csn}$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f_{c}'$는 콘크리트 설계기준 압축강도, $b_{p}$는 FBP의 유효 폭, $d_{w}$는 강재보 웨브의 순 높이, $b_{f}$
강재 보 플랜지 폭, $t_{p}$는 FBP의 두께이다.
4.3 콘크리트 압축영역(Compression field)
균열이 발생되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축영역에서 콘크리트의 공칭강도 $V_{cfn}$는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 $V_{c}'$와 스터럽에 의한 전단강도
$V_{s}'$의 합으로 다음과 같다.
Table 3 및 Table 4는 본 연구에서 적용한 접합부 패널 전단 강도에 대한 영향인자와 ASCE의 Handbook(2017)에서 제시한 접합부에 대한 패널 전단강도식에 의한 예측값(공칭강도)과 실험값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Table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PSH2C 계열의 PSH2C-PSF, PSH2C-PSFF 및 PSH2C-PSFFT 실험체에 대한 예측값은 각각 162.7 kN,
265.9 kN 및 338.0 kN 범위로 이는 실험값의 1.92, 1.27 및 1.00배로 나타났다. 특히, 접합부 영역에 지압플레이트 보강된 PSH2C-PSFF
실험체에 대하여 예측값에 의한 접합부 강도의 기여분이 각각 103.2 kN인데 비해 실제 실험값은 25.8 kN 강도 증진을 보였다. 또한, 지압플레이트와
수평타이로 보강된 PSH2C-PSFFT 실험체의 경우, 예측값에 의한 접합부 강도의 기여분이 각각 72.1 kN인데 비해 실험에 의한 강도 기여는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미 PVA 섬유 혼입에 따른 가교 작용으로 인해 접합부 요소를 효율적으로 구속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지압플레이트
및 수평타이의 영향은 현저히 적어, 이에 따른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HCWS 계열의 HCWS-PSF, HCWS-PSFF 및 HCWS-PSFFT 실험체에 대한 예측값은 각각 162.7 kN, 299.4 kN 및 381.9
kN 범위로, 실험값의 1.18, 0.94 및 0.90배로 나타났다. 특히, 접합부 영역에 지압플레이트 또는 지압플레이트와 수평타이로 보강된 HCWS-PSFF
및 HCWS-PSFFT 실험체의 공칭강도에 대한 예측값이 실험값을 과대평가한 이유는 예측값에 의한 접합부 강도의 기여분이 각각 136.7 kN 및
82.5 kN이지만, 실험값은 90.2 kN 및 60.2 kN로 나타나 이에 따른 오차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접합부 설계 시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
$\phi$를 적용하게 되면 적절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분석을 토대로 접합부 상세에 따른 HCWS 계열 강재 연결보-벽체 접합부의 실험값은 ASCE의 Handbook의 제안식에 의한 이론값을
대체로 잘 예측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유사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를 적용한 PSH2C 계열 강재 연결보-벽체 접합부의 실험값은 예측값을 대체로
상회하였으나, 섬유를 혼입하는 경우 접합부 상세에 따른 강재패널강도, 압축스터럿 및 압축영역에서의 이론식에 의한 강도기여분이 실험값을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섬유의 혼입량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접합부상세 등의 실험변수를 토대로 다양한 실험을 통해 패널강도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도출하여
접합부 강도식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Comparison of observed strength and predicted values according to the ASCE
Handbook
Specimen
name
|
Connection
details
|
Observed
failure
mode
|
Panel shear strength (kN)
|
Comparison ratio
|
Observed average strengths, $V_{(test)}$
|
Predicted values $V_{n(ASCE)}$
|
Normalized value*
|
$V_{(test)}$, total /
$V_{n(ASCE)}$ total
|
①
|
②
|
③
|
$V_{sn}$
|
$V_{csn}$
|
$V_{cfn}$
|
Total
|
$V_{sn}$
|
$V_{csn}$
|
$V_{cfn}$
|
Total
|
PSH2C-PSF
|
●
|
-
|
-
|
panel
shear
|
313.1
|
-
|
-
|
313.1
|
162.7
|
-
|
-
|
162.7
|
1.00
|
1.92
|
PSH2C-PSFF
|
●
|
●
|
-
|
313.1
|
25.8
|
-
|
338.9
|
162.7
|
103.2
|
-
|
265.9
|
1.08
|
1.27
|
PSH2C-PSFFT
|
●
|
●
|
●
|
313.1
|
23.4
|
-
|
336.5
|
162.7
|
103.2
|
72.1
|
338.0
|
1.07
|
1.00
|
HCWS-PSF
|
●
|
-
|
-
|
192.2
|
-
|
-
|
192.2
|
162.7
|
-
|
-
|
162.7
|
1.00
|
1.18
|
HCWS-PSFF
|
●
|
●
|
-
|
192.2
|
90.2
|
-
|
282.4
|
162.7
|
136.7
|
-
|
299.4
|
1.47
|
0.94
|
HCWS-PSFFT
|
●
|
●
|
●
|
192.2
|
90.2
|
60.2
|
342.6
|
162.7
|
136.7
|
82.5
|
381.9
|
1.21
|
0.90
|
Note: * Normalized value by observed average strengths of standard specimen PSF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패널전단파괴가 발생되는 강재 연결보-벽체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SC2H 계열 실험체가 동일한 배근상세를 갖는 HCWS 계열 실험체에 비해 손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지진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보수・보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접합부 영역에 PVA 섬유를 혼입하거나 지압플레이트 및 수평타이로 보강하는 것이 균열의 폭을 감소시키고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하중-변위관계곡선을 고찰하면, PSH2C 계열 실험체의 경우 압축강도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PVA 섬유의 가교작용으로 인해 회전각 증가에 따라
전단내력이 HCWS 계열 실험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는 반면 최대내력 이후 내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HCWS
계열 실험체의 경우 회전각 증가에 따라 강도가 완만하게 증가하지만 최대내력 이후 강도가 완만하게 저하되는 안정적인 거동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3) PSH2C 계열 실험체의 초기강성 및 극한하중 시 강성 값은 HCWS 계열 실험체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최종파괴 시 강성값은 거의 대등한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접합부 상세의 영향을 고려하면, PSH2C-PSFFT 실험체의 초기강성, 극한하중 시 강성 및 최종파괴 시 강성값은 PSH2C-PSF
및 PSH2C-PSFF 실험체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HCWS-PSFFT 실험체의 경우에는 접합부 상세가 초기강성, 극한하중 시 강성
및 최종파괴 시 강성값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PSH2C 계열 실험체의 경우 접합부 배근상세의 영향보다는 섬유의 혼입 여부가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HCWS
계열 실험체의 경우 접합부 배근상세가 내부 패널을 효율적으로 구속하여 누적에너지 소산면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HCWS 계열 강재 연결보-벽체 접합부 강도는 ASCE의 Handbook의 제안식에 의한 이론값을 대체로 잘 예측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PSH2C 계열 강재 연결보-벽체 접합부의 실험값은 예측값을 대체로 상회하였으나, 섬유를 혼입하는 경우 접합부 상세에 따른 강재패널강도, 압축스터럿
및 압축영역에서의 이론식에 의한 강도기여분이 실험값을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섬유의 혼입량을 포함하여 접합부 커플링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형태의 접합부상세 등의 실험변수로 추가 실험을 통해 패널강도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도출하여 접합부 강도식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This work was supported b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References
Akbar R. Tamboli (2017) Handbook of Structural Steel Connection Design and Details.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536-547.

ASCE Task Committee on Design Criteria for Composite Structures in Steel and Concrete
(1994) Guideline for Design of Joints Between Steel Beams an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120(8), 2330-2351.

Cheng, M. Y., Fikri, R., and Chen, C. C. (2015) Experimental Study of Reinforced Concrete
and Hybrid Coupled Shear Wall Systems. Engineering Structures 82, 214-225.

Deng, M., and Ma, F. (2020) Seismic Performance of Interior Precast Concrete Beam-Column
Connections with Highly Ductile Fiber-Reinforced Concrete in the Critical Cast-In-
Place Regions. Engineering Structures 210(6), No. 110360.

Dong, J., Zheng, S., Zhang, Z., and Liu, H. (2024) Experimental Study on Seismic Performance
of RC Beam-CFST Column Joint Combination Using ECC. Engineering Structures 312, In
Press.

Jafari, A., Beheshti, M., Shahmansouri, A. A., and Benga, H. A. (2024) Cyclic Response
and Damage Status of Coupled and Hybrid-Coupled Shear Walls. Structures 61, 106010.

Ji, D. H., Jung, J. H., Park, W. S., Eom, N. Y., Yun, H. D., and Jang, Y. I. (2013)
The Influence of PVA Fiber on Flexural Yielding Coupling Beam. Proceeding of the KSMI
17(1), 700-701. (In Korean)

Kim, S. W., Park, W. S., Eom, N. Y., and Yun, H. D. (2012a) Stud Bolt Effects on the
Bearing Performance of Pseudo Strain 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 Wall-Steel Coupling
Beam Connections. Applied Mechanics and Materials 253-255, 587-590.

Kim, S. W., Park, W. S., Eom, N. Y., Yun, H. D., and Jang, Y. I. (2012b) Strain Characteristics
of Hybrid Coupled Shear Wall According to Connection Details in the Panel Region.
Proceeding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4(2), 63-64. (In Korean)

Kim, S. W., Park, W. S., Eom, N. Y., Yun, H. D., and Jang, Y. I. (2013) The Failure
Mode Characteristics of Coupling Beam Connection with Panel Shear Failure. Proceeding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5(1), 391-392. (In Korean)

Kim, S. W., Park, W. S., Yun, H. D., Jang, Y. I., and Kim, K. T. (2011) Experimental
Studies on Hybrid Coupled Shear Wall Connections. Proceeding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3(2), 7-8. (In Korean)

Park, W. S. (2005) Shear Strength of Steel Coupling Beam-Wall Connections in a Hybrid
Coupled Shear Walls System. Ph.D. Thesis.

Park, W. S., and Yun, H. D. (2006) Panel Shear Strength of Steel Coupling Beam-Wall
Connections in a Hybrid Wall System.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62,
1026-1038.

Park, W. S., Kim, J. E., Kim, S. W., Yun, S. H., Eom, N. Y., and Yun, H. D. (2013)
Panel Shear Strength of Steel Coupling Beam-Pseudo Strain 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
Wall Connection. Applied Mechanics and Materials 328, 965-969.

Park, W. S., Kim, S. W., Eom, N. Y., Jang, Y. L., and Yun, H. D. (2015) Structural
Performance of Connection Between Steel Coupling Beam and Pseudo Strain-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PSH2C) Wall. Information Journal 18(1), 283-290.

Seo, S. Y., Yun, H. D., and Chun, Y. S. (2017) Hysteretic Behavior of Conventionally
Reinforced Concrete Coupling Beams in Reinforced Concrete Coupled Shear Wall.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11(4), 599-616.

Shahrooz, B. M., Fortney, P. J., and Harries, K. A. (2018) Steel Coupling Beams with
a Replaceable Fus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44(2), 04017210.

Shahrooz, B. M., Remmetter, M. E., and Qin, F. (1993) Seismic Design and Performance
of Composite Coupled Wall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119(11), 3291-3309.

ST (2024)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s Korea (ST). https://kostat.go.kr/
Accessed 28 July 2025.

Tegos, I. A., and Penelis, G. G. (1988) Seismic Resistance of Short Columns and Coupling
Beams Reinforced with Inclined Bars. ACI Structural Journal 85(1), 82-88.

Tian, J., Zhao, Y., Tian, P., Ren, W., Li, Z., Mu, L., and Lu, J. (2023) Seismic Behaviour
of Plate-Reinforced Composite Coupling Beams with RC Slabs.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171, 107984.

Tian, J., Zhao, Y., Wang, Y., Liu, J., Du, N., Jian, Z., and Yuan, Z. (2023) Seismic
Performance and Numerical Analysis of Steel Plate-Fiber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upling Beams. Structures 48, 258-274.

Wang, T., Shang, Q., Wang, X., Li, J., and Kong, Z. (2018) Experimental Validation
of RC Shear Wall Structures with Hybrid Coupling Beams.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111, 14-30.

Yoon, H. K. (2020)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Link Beam-Wall Connection with Reinforcement
Details. Ph.D. Thesis. 27-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