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세명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대학원생 (Researcher, Department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Semyung University, Jecheon 27136, Rep. of Korea)
  2. 세명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Semyung University, Jecheon 27136, Rep. of Korea)



콘크리트, 고온, 머신러닝, 비파괴, 통계
concrete, high temperature, machine learning, non-destructive, statistic

1. 서 론

건설재료에 있어서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물의 수화반응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구성된 불연재료이다. 그러나, 화재로부터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노출에는 여러 가지 열화 현상에 의한 강도 저하 및 기타 품질 저하가 발생한다. 약 100 °C 이상의 범위에서는 콘크리트의 결합수 및 자유수 등의 수분이 증발하고 이에 따른 압력의 영향으로 매트릭스에 열화가 발생한다. 시멘트 경화체의 주요 수화물인 규산칼슘 수화물(CaSiO3・nH2O)은 약 250 °C의 온도 범위에서 본격적인 분해를 보이며, 수산화 칼슘(Ca(OH)2)은 약 450 °C 이상의 온도에서 분해하기 시작한다(Mohammadhosseini and Yatim 2017).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는 시멘트 수화물의 탈수・분해의 영향과 콘크리트에 혼합된 재료간의 상이한 열팽창 특성에 의한 매트릭스 균열에 의해서도 열화가 발생한다.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페이스트와 골재는 각각 수축과 팽창을 보이며, 이러한 상이한 열팽창 특성에 의해 페이스트와 골재 사이의 계면 전환 영역(ITZ, interfacial transition zone)에서 균열이 발생한다. 지속적인 고온 이력에 의해 미세 균열에서 거시 균열로 성장하게 되며 콘크리트의 강도 및 품질 저하를 보인다(Roufael et al. 2021).

따라서,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의 열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며, 그중에서 균열 및 공극에 민감한 정도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콘크리트의 내부 균열 및 열화를 평가할 수 있는 초음파 속도(ultrasonic pulse velocity, UPV)법을 활용한 연구가 이전부터 지속되었다(Dolinar et al. 2019).

Fig. 1에는 이전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UPV를 활용한 콘크리트 강도 예측 모델을 나타냈으며, 다양한 재료와 상태에서의 콘크리트 강도 예측 모델이 존재한다. 검정색과 빨간색으로 표시한 모델은 각각 고온 노출의 영향 유・무에 따른 모델을 의미하며,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에 대한 강도 예측 모델은 동일 강도 범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UPV 범위를 보인다. Kim 외 연구진은 고온 노출 여부에 따른 강도 예측 모델의 차이점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동일 강도에서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는 상대적으로 많은 공극과 균열을 보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UPV를 보였다는 연구 결과를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결과와 함께 보고하였다(Kim et al. 2023). 이러한 실험적 결과로 고온 노출 여부에 따라 상이한 강도 예측 모델을 활용해야 한다는 결론도 도출되었으나,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의 모델들 사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한다. 약 3 km/s 이상의 UPV 범위에서는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의 강도예측 모델들의 강도 범위 편차가 매우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UPV에서는 강도가 수렴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기존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러한 강도 편차를 줄이고 정확도와 성능이 높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반의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의 열화 정도 및 품질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Fig. 1 Previously proposed intensity prediction models

../../Resources/KCI/JKCI.2025.37.4.417/fig1.png

2. 분석 계획 및 방법

2.1 분석 계획

Fig. 2에는 본 연구에서 수행한 분석 흐름(flow)을 나타냈다. 총 3단계로 분석 절차를 수립하였으며, 첫 번째 단계인 데이터 수집 및 분류 단계에서는 기존 수행되었던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의 강도 및 UPV를 평가한 연구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이후 일정 수준의 W/C 비율별로 분류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데이터 전처리 및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데이터의 결측치 및 이상치를 처리하고 1단계에서 일정 수준으로 W/C 비율별로 분류한 데이터 집단에 대한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회귀 알고리즘(algorithm)을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콘크리트 품질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평가를 수행하였다.

Fig. 2 Analysis flowchart

../../Resources/KCI/JKCI.2025.37.4.417/fig2.png

2.2 분석 방법

2.2.1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을 위해 참고한 연구는 총 22편으로서 Table 1에 연구 및 수집한 데이터를 정리하여 나타냈다(Park et al. 2008; Yang et al. 2009; Uysal et al. 2012; Saridemir et al. 2016; Akçaözoğlu and Akçaözoğlu 2017; Mohammadhosseini and Yatim 2017; Bui et al. 2018; Hwang et al. 2018; AzariJafari et al. 2019; Bilal et al. 2019; Dolinar et al. 2019; Kumar and Ram 2019; Saha et al. 2019; Salahuddin et al. 2019; Demir et al. 2020; Mohammadhosseini et al. 2020; Papachristoforou et al. 2020; Sadrmomtazi et al. 2020; Roufael et al. 2021; Yao et al. 2020; Islam et al. 2021; Kim et al. 2023). 해당 연구들은 고온 이력을 받은 콘크리트에 대한 압축강도 및 UPV를 평가한 연구이다. 22편의 논문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행과 열의 형태는 ‘301×11로서’ 다양한 혼화재 및 골재를 혼합한 콘크리트 연구가 존재하나 본 연구에서는 분석 범위를 굵은 골재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보통 콘크리트로 한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참고한 연구들에 대한 잔골재의 물리적 특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으며, 기존 연구에서도 UPV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을 W/C 비율과 굵은 골재로 언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요한 요인은 W/C 비율의 영향이기 때문에 연구의 분석 범위를 제한하고자 잔골재에 대한 요소는 고려하지 않았다.

수집된 데이터를 4수준의 W/C 비율 범위(W/C50 : 0.50 이상, W/C40 : 0.49~0.4, W/C30 : 0.39~0.3, W/C20 : 0.29 이하)로 설정하였다(Akçaözoğlu et al. 2017; Kim et al. 2023).

Table 1 Overview of collected data

Category

Range

Number of studies collected

22 studies

Density of coarse aggregate (g/cm3)

2.40~2.88

Absorption of coarse aggregate (%)

0.18~1.81

Maxium size of coarse aggregate (mm)

8~38

Water/Cement ratio

0.19~0.65

Range of temperature (°C)

20~1,000

Rate of heating °C/min (excluded ISO-834)

1~15

2.2.2 데이터 전처리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결측치는 연속형 데이터의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평균값 및 중위수로 대체하며, 본 연구에서의 데이터는 모두 정규성을 만족하여 평균값이 대푯값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이기 때문에 평균값으로 대체하였다. 데이터베이스의 이상치는 사분위 범위로 판별하였으며, 데이터의 표본의 정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이상치를 제거하는 대신 평균값으로 대체하였다. 이상치는 식 (1)을 통해 IQR 값을 구하고, 식 (2)(3)의 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이상치로 간주하였다.

(1)
$IQR = Q 3(3분위수)-Q 1(1분위수)$
(2)
$최대값 = Q 3+1.5×IQR$
(3)
$최소값 = Q 1-1.5×IQR$

2.2.3 통계적 분석

4수준의 W/C 비율별로 분류한 집단들에 대한 압축강도, 압축강도 잔존율 및 UPV의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을 수행하였으며 그 항목은 평균, 표준편차 및 CV(변동계수))이다. CV는 식 (4)를 통해 산출되었다.

(4)
$CV=\dfrac{\sigma}{\mu}$

여기서, σ는 표준편차, μ는 평균을 의미한다. 기술통계 분석 이후에는 압축강도, 압축강도 잔존율 및 UPV가 W/C 비율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기 위해 추론통계(inference statistics)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 제안된 강도예측 모델과 동일하게 압축강도와 UPV의 회귀분석을 통해 두 변수 사이의 설명력을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모든 통계적 검정에서의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2.2.4 머신러닝 기반 모델 구축 및 평가

Fig. 3에는 본 연구에서 회귀 알고리즘을 활용한 다중분류 모델링(modeling)을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성능이 입증된 4가지(Randomforest, Decisiontree, AdaBoost 및 XGBoost)의 모델을 선정하여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델에 대한 성능 평가 지표는 R-square(R2) 및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d error)로 설정하였으며, 식 (5)(6)을 통해 산출되었다.

(5)
$1-\dfrac{\Sigma_{i}(y_{i}-\hat{y}_{i})^{2}}{\Sigma_{i}(y_{i}-\overline{y}_{i})^{2}}$
(6)
$R MSE=\sqrt{\sum_{i=1}^{n}\dfrac{(\hat{y}_{i}-y_{i})^{2}}{n}}$

Fig. 3 Modeling with regression algorithms

../../Resources/KCI/JKCI.2025.37.4.417/fig3.png

3. 분석 결과

3.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3.1.1 압축강도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Fig. 4에는 W/C 비율에 따른 압축강도 분석 결과를 히스토그램 및 정규분포로 나타냈으며, Table 2에는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나타냈다. 기존 연구에서는 UPV를 활용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하기 때문에 압축강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Fig. 4(a)에 나타냈으며, W/C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서 압축강도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증가하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W/C 비율의 콘크리트는 가열 전과 동일 목표 온도에서의 높은 W/C 비율의 콘크리트에 비해 높은 강도를 보이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강도 저하가 급격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높은 표준편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W/C50과 W/C40의 압축강도 평균은 약 3.85 MPa, 표준편차는 약 1.7의 값으로서 작은 차이를 보였다.

Fig. 4(b)에는 콘크리트의 고온 이력에 따른 압축강도 잔존율의 분석 결과를 나타냈으며, 압축강도 잔존율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W/C 비율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해당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UPV를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예측하기 위해서 압축강도 잔존율을 종속변수로 설정할 경우에는 W/C 비율에 대한 고려가 매우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종속변수의 설정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을 위해서 온도별 압축강도 분석 결과를 Table 3에 나타냈다. 서로 단위가 다른 데이터의 분산도를 평가할 수 있는 변동계수(CV)를 분석한 결과에서 압축강도는 W/C 비율의 영향으로 목표 온도별 약 0.30 이상의 값을 보였다. 그러나, 압축강도 잔존율은 W/C 비율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기 때문에 동일 목표 온도에서 압축강도 대비 낮은 CV값을 보였다.

Fig. 4 Histogram of data according to W/C ratio

../../Resources/KCI/JKCI.2025.37.4.417/fig4.png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al test results of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W/C ratio

ID

Mean

Standard deviation

Compressive

strength

(MPa)

W/C50

26.29

14.75

W/C40

30.14

16.45

W/C30

44.40

20.18

W/C20

70.85

20.30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W/C50

0.66

0.29

W/C40

0.64

0.29

W/C30

0.64

0.29

W/C20

0.80

0.22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al test results of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exposed temperature

ID

Temperature

Mean

Standard devia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Compressive

strength

(MPa)

20

48.33

16.81

0.35

100

48.49

15.60

0.32

200

42.65

15.86

0.37

300

45.93

18.31

0.40

400

32.86

13.25

0.40

500

33.01

16.95

0.51

600

20.71

9.20

0.44

700

23.64

12.34

0.52

800

12.55

5.84

0.47

900

8.55

3.61

0.42

1000

7.14

2.78

0.39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20

1.00

0.00

0

100

0.95

0.09

0.09

200

0.92

0.10

0.11

300

0.88

0.17

0.20

400

0.75

0.14

0.19

500

0.65

0.17

0.26

600

0.46

0.12

0.26

700

0.44

0.15

0.33

800

0.27

0.10

0.35

900

0.25

0.09

0.35

1000

0.21

0.07

0.34

3.1.2 압축강도의 추론통계 분석 결과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의 품질 평가를 위해서는 압축강도와 압축강도 잔존율 중에 종속변수 설정이 필요하며, 가설 검정을 통해 W/C 비율에 유의한 영향이 적은 항목으로 설정하여 모델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분석하였다.

W/C 비율에 따라 분류한 압축강도 및 압축강도 잔존율을 각각 하나의 집단으로 가정하여 ANOVA 검정을 통해 집단 간과 집단 내의 분산 정도를 평가하여 도출된 F값으로 집단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Table 4에는 ANOVA 검정 결과를 나타냈으며, 압축강도의 p값은 0.05 이하로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압축강도 잔존율의 p값은 0.08로서 유의수준 0.05 이상을 보였기 때문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able 5에는 사후검정을 통해 압축강도의 세부적인 집단 간의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냈다. W/C50과 W/C40을 제외하고 모든 집단에서는 p값이 0.05 이하로서 통계적으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able 4 Normality test and ANOVA results of compressive strength

ID

Normality test

ANOVA

Compressive strength

W/C50

0.57

p-value: < 0.05

F-value: 27.263

W/C40

0.58

W/C30

0.80

W/C20

0.70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W/C50

0.20

p-value: 0.08

F-value: 2.31

W/C40

0.32

W/C30

0.06

W/C20

0.85

Table 5 Post-hoc test results of compressive strength

ID

t-value

p-value

LCL

UCL

W/C50 & W/C40

1.26

1

-4.29

11.99

W/C50 & W/C30

5.79

< 0.05

9.76

26.46

W/C50 & W/C20

4.39

< 0.05

5.61

22.91

W/C40 & W/C30

7.64

< 0.05

29.02

60.11

W/C40 & W/C20

6.91

< 0.05

24.99

56.42

W/C30 & W/C20

4.46

< 0.05

10.64

42.27

3.2 콘크리트의 UPV

3.2.1 UPV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Fig. 5에는 W/C 비율에 따른 UPV 분석 결과를 히스토그램 및 정규분포로 나타냈으며, Table 6에는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나타냈다. W/C 비율에 상관없이 UPV는 유사한 데이터 분포를 보였다.

또한, UPV는 콘크리트 매트릭스의 밀도와 공극 및 균열 등의 열화 상태에 지배적이기 때문에 W/C 비율과 유의한 관계성은 나타나지 않았다(Kim et al. 2023).

Fig. 5 Histogram of data according to W/C ratio

../../Resources/KCI/JKCI.2025.37.4.417/fig5.png

Table 6 Descriptive statistical test of ultrasonic pulse velocity (UPV) according to W/C ratio

ID

Mean

Standard

deviation

UPV

W/C50

1.38

0.46

W/C40

1.25

0.40

W/C30

1.26

0.40

W/C20

1.40

0.39

3.2.2 UPV의 추론통계 분석 결과

Table 7에는 W/C 비율별 UPV의 ANOVA 검정 결과를 나타냈다. UPV의 p값은 0.61로서 유의수준 0.05 이상을 보였기 때문에 W/C 비율에 따른 집단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압축강도 잔존율과 마찬가지로 UPV를 독립변수로 설정할 경우 W/C 비율에 따른 고려가 필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7 Normality test and ANOVA results of ultrasonic pulse velocity (UPV)

ID

Normality test

ANOVA

UPV

W/C50

0.20

p-value: 0.61

F-value: 0.60

W/C40

0.59

W/C30

0.46

W/C20

1.00

3.3 회귀분석 결과

기존에서는 압축강도와 UPV를 각각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강도 예측 모델로서 제안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UPV 변수 이외에 콘크리트의 재료 및 배합적 요인을 반영한 다중선형 회귀분석 결과가 일부 보고되었다(Manish and Rajiv 2006).

Table 8에는 단순선형 및 다중선형 회귀분석 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냈다. 단순선형 회귀분석의 p값은 유의수준 0.05 이하로서 압축강도와 UPV의 통계적 관계성이 존재하였으나, 설명력을 의미하는 지표인 R2는 0.47로서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Fig. 6에는 단순선형 회귀분석 모델을 나타냈으며, 약 3 km/s 이상의 UPV 범위에서는 W/C 비율의 영향으로 데이터의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3 km/s 이하의 UPV 범위에서는 데이터가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UPV 범위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기준에 따르면 3 km/s 이하는 ‘Poor’ 단계이기 때문에(Excellent : 4.5 km/s 이상, Good : 3.6~4.5 km/s 이상, Questionable : 3.0~3.6 km/s 이상, Poor : 2.1~3.0 km/s 이상, Very poor : 2.1 km/s) 낮은 품질의 콘크리트에 대한 UPV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Francois et al. 2016). 따라서, 약 3 km/s 이상의 UPV 범위에서 콘크리트의 정확한 성능저하 평가를 위해서는 종속변수를 압축강도가 아닌 압축강도 잔존율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Table 1에 포함되어있는 콘크리트의 재료・배합적 요소와 UPV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수행할 경우에는 변수간의 공분산성을 고려해야한다. 분산 팽창 인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10 이상의 값을 경우에는 변수간의 공분산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W/C 비율과 UPV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할 경우 VIF값이 4.82로서 공분산성을 만족하였다. p값은 0.05 이하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R2값도 0.97로써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나, 다중선형 회귀분석은 잔차 검정을 통해 잔차의 정규성, 독립성 및 등분산성을 만족해야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서 잔차는 등분산성을 만족하지 못하고 우하향하는 경향을 보이며, 신뢰성이 높은 잔차값을 보이지 않는다(Fig. 7).

Table 9에는 이전 연구에서 제안한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의 잔존강도에 대한 품질 기준이며, 약 0.2의 잔차는 품질이 변경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더욱 잔차를 줄일 수 있는 강도 예측 모델이 필요하다(Pablo et al. 2020).

Fig. 6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Resources/KCI/JKCI.2025.37.4.417/fig6.png

Fig. 7 Error test of multiple-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ources/KCI/JKCI.2025.37.4.417/fig7.png

Table 8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odel

Factor

Model

Factor

Coef

t-value

p-value

VIF

R2

p-value

RMSE

Simple linear

UPV

2.50

-

-

-

0.47

< 0.05

15.24

Multiple

linear

W/C

0.09

2.00

< 0.05

4.82

0.97

< 0.05

0.14

UPV

0.21

32.33

< 0.05

4.82

3.4 머신러닝 기반 회귀모델

본 연구에서는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의 품질 평가를 위해 파이썬(python) 기반의 회귀분석 알고리즘을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모델을 구축하였다. 독립변수로서 골재 밀도, 골재 흡수율, 골재 최대크기, W/C 비율 및 UPV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로서 압축강도 잔존율을 설정하였다. 온도 및 가열 속도에 대한 요인이 콘크리트 성능저하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UPV를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건축물 부재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온도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온도에 대한 요인들은 제외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 대해 문서화 되어있는 콘크리트의 배합 및 재료적 특성과 측정한 UPV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화재에 의한 건축물의 성능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모델 구축 및 평가를 위한 데이터 표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학습 데이터와 평가 데이터의 비율을 ‘9 : 1’로 설정하였다.

모델 구축을 위해 회귀 및 분류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Decisiontree 알고리즘과 Decisiontree의 한계 및 취약점을 극복한 Randomforest 및 XGBoost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또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부스팅(Boosting) 기반 알고리즘인 AdaBoost를 활용하여 모델을 구축하였다. XGBoost의 하이퍼 파라미터(hyper parameter)는 n_estimater=5, max_depth=3, importance_ type=‘gain’, reg_lambda=1, random_ state=142)로 설정하였다.

Table 10에 모델의 학습률 및 평가 결과를 나타냈으며, 상대적으로 가장 단순한 모델인 Decisiontree는 가장 약한 학습률과 모델 성능을 보였다. Decisiontree의 단점을 gradient boosting framework를 사용해서 상대적으로 약한 Decisiontree를 강력한 예측으로 결합하는 알고리즘인 XGBoost가 가장 높은 학습률과 약 0.94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RMSE값도 약 0.085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Fig. 8 Regression model evaluation results

../../Resources/KCI/JKCI.2025.37.4.417/fig8.png

Fig. 8에는 학습 데이터의 시험(test) 값과 모델의 예측값의 관계를 Table 9에 나타낸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 품질 기준과 비교하여 나타냈다. 성능이 가장 낮은 Decisiontree 모델은 가장 넓은 분포의 데이터를 보였으며, test 값은 ‘Doubtful’ 범위에 포함되나 예측값은 ‘Good’으로 더 높은 품질 범위를 예측하였다. test 값은 ‘Good’의 범위인데 ‘Doubtful’ 품질로 예측된 일부 잔차도 확인되었다. 또한, AdaBoost 모델도 test값과 예측값이 상이한 데이터가 일부 확인되었다. 콘크리트의 높은 품질을 낮은 품질로 예측할 경우 불필요한 작업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낮은 품질을 높게 예측될 경우에는 안전성과 연결되기 때문에 피해로써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반면에 RMSE 값이 0.1 이하인 Randomforest와 XGBoost 모델은 test값과 예측값이 상이한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정량적으로 성능이 가장 높은 XGBoost는 가장 작은 데이터 분포를 보였다.

Table 9 Quality of concrete after high temperature exposure

Quality

Good

Doubtful

Poor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 0.8

0.6~0.8

< 0.6

Table 10 Regression model evaluation results

Model

Lr

R2

Root mean squared error

Decision

tree

0.820

0.835

0.143

Random forest

0.975

0.927

0.095

Ada

Boost

0.905

0.884

0.120

XGBoost

0.991

0.941

0.085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행되었던 고온 노출 후 UPV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강도 예측에 관한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4수준의 W/C 비율로 데이터를 분류한 이후에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머신러닝 기반 회귀 알고리즘을 활용한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 품질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온 노출 후 콘크리트의 W/C 비율이 낮을수록 넓은 범위의 강도 저하의 영향으로 압축강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압축강도 잔존율과 UPV는 W/C 비율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W/C 비율별로 분류한 집단 간에 ANOVA 검정 결과에서는 압축강도는 p값이 유의수준 0.05 대비 낮은 값을 보였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W/C50과 W/C40 집단 간의 차이를 제외하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압축강도 잔존율을 종속변수로 설정할 경우에는 W/C 비율의 고려가 필요하다. 압축강도 잔존율과 UPV에 대한 ANOVA 검정 결과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압축강도와 UPV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유의수준 0.05 이하의 p값을 보였으나 R2가 약 0.47로서 매우 낮은설명력을 보였으며, 종속변수를 압축강도 잔존율로 설정한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에서는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나, 잔차가 등분산성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4) 머신러닝 기반 회귀 알고리즘을 활용한 콘크리트 품질 예측 모델 구축 및 평과 결과에서는 상대적으로 성능이 낮은 모델은 낮은 품질의 데이터를 높게 예측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성능이 높은 모델은 품질을 잘못 예측하는 데이터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전 회귀분석 모델 대비 RMSE 값이 약 0.085~0.095로서 높은 성능을 보였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4년 한국연구재단(No. 2022R1F1A1073 333 1330482048500103)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kçaözoğlu, K., and Akçaözoğlu, S. (2017) The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 on the Lightweight Concrete Produced by Expanded Clay Aggregate and Calcium Aluminate Cement. Bil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7(2), 59-70.URL
2 
AzariJafari, H., Amiri, M. J. T., Ashrafian, A., Rasekh, H., Barforooshi, M. J., and Berenjian, J. (2019) Ternary Blended Cement: An Eco-Friendly Alternative to Improve Resistivity of High-Performance Self-Consolidating Concrete Against Elevated Temperatur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23, 575-586.DOI
3 
Bilal, H., Yaqub, M., Rehman, S. K. U., Abid, M., Alyousef, R., Alabduljabbar, H., and Aslam, F. (2019) Performance of Foundry Sand Concrete Under Ambient and Elevated Temperatures. Materials 12(6), 2645.DOI
4 
Bui, N. K., Satomi, T., and Takahashi, H. (2018) Effect of Mineral Admixtures on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at High Temperatur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84, 361-373.DOI
5 
Demir, I., Gümüs, M., and Gökçe, H. S. (2020) Gamma Ray and Neutron Shielding Characteristics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Heavyweight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57, 119596.DOI
6 
Dolinar, U., Trtnik, G., Turk, G., and Hozjan, T. (2019) The Feasibility of Estim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Limestone Concrete After Fire Using Nondestructive Method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28, 116786.DOI
7 
Francois, S., Alain, P., Bernard, G., and Patrice, R. (2016) Concrete Quality Designation Based on Ultrasonic Pulse Velocit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25, 1022-1027.DOI
8 
Hwang, E., Kim, G., Choe, G., Yoon, M., Gucunski, N., and Nam, J. (2018) Evaluation of Concrete Degradation Depending on Heating Conditions by Ultrasonic Pulse Velocit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71, 511-520.DOI
9 
Islam, M. Z., Sohel, K. M. A., Al-Jabri, K., and Harthy, A. A. (2021) Properties of Concrete with Ferrochrome Slag as a Fine Aggregate at Elevated Temperatures. Case Studies in Construction Materials 15, e00599.DOI
10 
Kim, W., Choi, H., and Lee, T. (2023)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Prediction Model for Concrete Subject to High Temperatures Using Ultrasonic Pulse Velocity. Materials 16(2), 515.DOI
11 
Kumar, V. S., and Ram, K. S. S. (2019) Performance of Concrete at Elevated Temperatures Made with Crushed Rock Dust as Filler Material. Materials Today: Proceedings 18, 2270-2278.DOI
12 
Manish, K., and Rajiv, G. (2006)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Prediction Using Ultrasonic Pulse Velocity Thr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s. Automation in Construction 15, 374-379.DOI
13 
Mohammadhosseini, H., Alrshoudi, F., Tahir, M. M., Alyousef, R., Alghamdi, H., Alharbi, Y. R., and Alsaif, A. (2020) Performance Evaluation of Novel Prepacked Aggregate Concrete Reinforced with Waste Polypropylene Fibers at Elevated Tempera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59, 120418.DOI
14 
Mohammadhosseini, H., and Yatim, J. M. (2017) Microstructure and Residual Properties of Green Concrete Composites Incorporating Waste Carpet Fibers and Palm Oil Fuel Ash at Elevated Temperature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44, 8-21.DOI
15 
Pablo, A., Hernán, S., Carolina, M., and Luis, L. (2020) Experimental Fast-Assessment of Post-Fire Residual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Buildings Based on Non-Destructive Test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34, 117371.DOI
16 
Papachristoforou, M., Anastasiou, E. K., and Anastasiou, I. (2020) Durability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with Coarse Steel Slag Aggregates Including Performance at Elevated Tempera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62, 120567.DOI
17 
Park, S. K., Heo, J. Y., and Lee, W. H. (2008) Nondestructive Test for Strength Estimation of Concrete Deteriorated by High Temperature. KCI 2008 Spring Conference. 24-25 April 2014. Pyeongchang,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181-184.URL
18 
Roufael, G., Beaucour, A. L., Eslami, J., Hoxha, D., and Noumowé, A. (2021) Influence of Lightweight Aggregates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Residual Properties of Concrete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68, 121221.DOI
19 
Sadrmomtazi, A., Gashti, S. H., and Tahmouresi, B. (2020) Residual Strength and Microstructure of Fiber Reinforced Self-Compacting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30, 116969.DOI
20 
Saha, A. K., Sarker, P. K., and Majhi, S. (2019)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s on Concrete Incorporating Ferronickel Slag as Fine Aggregate. Fire and Materials 43(1), 8-21.DOI
21 
Salahuddin, H., Nawaz, A., Maqsoom, A., Mehmood, T., and Zeeshan, B. A. (2019) Effects of Elevated Temperature on Performance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2, 415-425.DOI
22 
Saridemir, M., Severcan, M. H., Ciflikli, M., Celikten, S., Ozcan, F., and Atis, C. D. (2016) The Influence of Elevated Temperature on Strength and Microstructure of High Strength Concrete Containing Ground Pumice and Metakaoli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24, 244-257.DOI
23 
Uysal, M., Yilmaz, K., and Ipek, M. (2012) Properties and Behavior of Self-Compacting Concrete Produced with GBFS and FA Additives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8, 321-326.DOI
24 
Yang, H., Lin, Y., Hsiao, C., and Liu, J. Y. (2009) Evaluating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t Elevated Temperatures Using Ultrasonic Pulse Velocity. Fire Safety Journal 44, 121-130.DOI
25 
Yao, W., Pang, J., and Liu, Y. (2020) Performance Degradation and Microscopic Analysi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fter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Materials 13(7), 1566.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