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후설치 확장앵커 인발 및 전단시험 결과
기존 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되는 M10 웨지 앵커의 인발 및 전단시험 결과를 Table 2에 정리하였다. 앵커의 정착성능은 콘크리트용 앵커 설계법 및 예제집(KCI 2024)에 따른 특성강도 $F_{5\%}$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식 (1)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특성강도는 제조사에서 제시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웨지 앵커의 정착성능을 평가하였다(Kim et al. 2023; Kim et al. 2024).
여기서, $F_{m}$은 평균 파괴강도, $K$는 정규 분포곡선에 대한 단측검정(one-sided) 허용한계와 90 %의 신뢰도에 대한 5 % 유의수준에
상응하는 계수, $\nu$는 변동계수이다.
인발시험결과, 평균 파괴강도 $F_{m}$는 23.1 kN, 변동계수 $\nu$는 4.3 %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특성강도 $F_{5\%}$는 19.7
kN으로, 제조사에서 명시한 기준값(17.2 kN) 대비 약 14.6 % 높게 나타났다. 전단시험에서는 평균 파괴강도는 28.4 kN, 변동계수는
1.7 %로 나타났고, 특성강도는 26.7 kN으로 제조사 제시값(26.2 kN)과 동등 이상의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웨지 앵커는 인장 및 전단성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과 신뢰성을 모두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able 2 Single anchor tension and shear test results
Test result
|
1
|
2
|
3
|
4
|
5
|
$F_{m}$
(kN)
|
$\nu$
(%)
|
$F_{5\%}$
(kN)
|
Ratio (%)
|
Test
|
Manuf
|
M10
|
T
|
$N_{b}$
|
(kN)
|
23.5
|
22.6
|
21.6
|
22.9
|
24.9
|
23.1
|
4.3
|
19.7
|
17.2
|
114.6
|
$\delta$
|
(mm)
|
10.6
|
4.3
|
7.9
|
11.8
|
10.1
|
8.9
|
F.M.
|
CB
|
CB
|
CB
|
CB
|
CB
|
-
|
S
|
$V_{b}$
|
(kN)
|
28.6
|
29.3
|
28.1
|
27.7
|
28.2
|
28.4
|
1.7
|
26.7
|
26.2
|
101.9
|
$\delta$
|
(mm)
|
23.4
|
19.8
|
21.6
|
26.8
|
18
|
21.9
|
F.M.
|
SF
|
SF
|
SF
|
SF
|
SF
|
-
|
Notes: T: tension test; S: shear test; $N_{b}$ or $V_{b}$: test results; $F_{m}$:
mean failure capacity; $\nu$: coefficient of variation; $F_{5\%}$: characteristic
strength; F.M.: failure mode; CB: concrete breakout failure; SF: steel failure; Manuf:
value suggested by the manufacturer
4.2 기계식 접합 상세의 실제 부재 적용성 평가
기계식 앵커 접합상세의 실제 부재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단일 앵커에 대한 인장 및 전단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식 (1)을 적용하여 특성강도($F_{5\%}$)로 계산하였고, 콘크리트용 앵커 설계기준(ACI 318-19; KCI 2021)에서 규정하는 공칭강도와 비교하여 제안된 접합 상세의 정착성능을 평가하였다. 웨지 앵커의 시험결과는 Table 3 및 Fig. 4, 연결재의 시험결과는 Table 4 및 Fig. 5에 정리하였다. 앵커 설계기준에 따르면, 인장 또는 전단하중을 받는 앵커의 공칭강도는 예상되는 파괴모드별 저항강도 중 최소값으로 결정된다(Yun and Park, 2015).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파괴모드 중 지배적으로 고려되는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파괴에 대한 공칭강도를 기준으로, 특성강도와 비교・분석하였다. 공칭 인장강도($N_{n}=N_{cb}$)는
식 (2) 및 식 (3), 공칭 전단강도($V_{n}=V_{cb}$)는 식 (4) 및 식 (5)를 통해 각각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A_{Nc}$는 인장을 받는 앵커의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 파괴체 투영면적, $A_{Nco}$는 연단거리가 1.5hef 이상인 단일 앵커
파괴면의 투영면적, $\psi_{ed,\: N}$는 연단거리 영향에 대한 인장강도 수정계수, $\psi_{c,\: N}$는 균열 유무에 따른 인장강도
수정계수, $\psi_{cp,\: N}$는 인장을 받는 앵커의 콘크리트 쪼개짐에 대한 수정계수, $k_{c}$는 기본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강도계수,
$f_{ck}$는 콘크리트 설계기준 압축강도, $h_{ef}$는 유효묻힘깊이이다.
여기서, $A_{Vc}$는 전단을 받는 앵커의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 파괴체 투영면적, $A_{Vco}$는 연단거리가 1.5hef 이상인 단일 앵커
파괴면의 투영면적, $\psi_{ed,\: V}$는 연단거리 영향에 대한 전단강도 수정계수, $\psi_{c,\: V}$는 균열 유무에 따른 전단강도
수정계수, $\psi_{h,\: V}$는 $h_{a}<1.5c_{a1}$인 부재에 설치된 앵커의 전단강도 수정계수, $l_{e}$는 앵커의 지압저항길이,
$d_{a}$는 앵커의 외경, $c_{a1}$는 앵커 샤프트 중심으로부터 콘크리트 단부까지 거리이다.
Fig. 4 Tension strength and failure mode of wedge anchors and connectors under tension
loads
Fig. 5 Shear strength and failure mode of wedge anchors and connectors under shear
loads
Table 3 Results of the tension test of a single anchor according to the thic kNess
of the concrete member
Variable
|
Thk (mm)
|
Result
|
1
|
2
|
3
|
4
|
5
|
$F_{m}$
(kN)
|
$\nu$
(%)
|
$F_{5\%}$
(kN)
|
$N_{n}$
(kN)
|
Ratio (%)
|
T
|
WA
|
120
|
$N_{b}$
|
(kN)
|
17.5
|
18.7
|
17.8
|
18.8
|
19.9
|
18.5
|
4.2
|
15.9
|
10.3
|
154.3
|
$\delta$
|
(mm)
|
3.8
|
7.7
|
6.9
|
6.8
|
5.5
|
6.1
|
F.M.
|
CS
|
CB
|
CB
|
CB
|
CB
|
-
|
130
|
$N_{b}$
|
(kN)
|
19.4
|
18.5
|
18.4
|
18.9
|
19.3
|
18.9
|
2.0
|
17.6
|
12.4
|
142.1
|
$\delta$
|
(mm)
|
6
|
9.8
|
4
|
6
|
6.5
|
6.5
|
F.M.
|
CB
|
CB
|
CB
|
CB
|
CS
|
-
|
SC
|
150
|
$N_{b}$
|
(kN)
|
40.8
|
40.6
|
45.5
|
42.5
|
46.2
|
43.1
|
4.9
|
35.9
|
29.6
|
121.3
|
$\delta$
|
(mm)
|
4.5
|
3.2
|
2.7
|
3
|
3.2
|
3.3
|
F.M.
|
CB
|
CB
|
CB
|
CB
|
CB
|
-
|
Notes: T: tension test; $N_{b}$: test results; $F_{m}$: mean failure capacity; $\nu$:
coefficient of variation; $F_{5\%}$: characteristic strength; $N_{n}$: nominal strength;
F.M.: failure mode; CS: concrete splitting failure; CB: concrete breakout failure
Table 4 Results of the shear test of a single anchor according to the thic kNess of
the concrete member
Variable
|
Thk (mm)
|
Result
|
1
|
2
|
3
|
4
|
5
|
$F_{m}$
(kN)
|
$\nu$
(%)
|
$F_{5\%}$
(kN)
|
$V_{n}$
(kN)
|
Ratio (%)
|
S
|
WA
|
120
|
$V_{b}$
|
(kN)
|
23.7
|
28.9
|
23.3
|
25.4
|
24.2
|
25.1
|
7.4
|
18.8
|
7.8
|
241.1
|
$\delta$
|
(mm)
|
32.5
|
24.3
|
30.7
|
26.5
|
30.2
|
28.8
|
F.M.
|
CB
|
CB+PO
|
CB
|
CB
|
CB
|
-
|
130
|
$V_{b}$
|
(kN)
|
23.2
|
25.9
|
25.5
|
24.3
|
27.2
|
25.2
|
5.0
|
21.0
|
8.4
|
249.6
|
$\delta$
|
(mm)
|
25.6
|
27.2
|
26.9
|
24.5
|
31.4
|
27.1
|
F.M.
|
CB+PO
|
CB
|
CB
|
CB
|
CB+SF
|
-
|
SC
|
150
|
$V_{b}$
|
(kN)
|
26.6
|
26.0
|
25.8
|
26.2
|
26.1
|
26.1
|
0.9
|
25.3
|
12.9
|
196.3
|
$\delta$
|
(mm)
|
13.3
|
17.6
|
15.4
|
14.4
|
13.2
|
14.8
|
F.M.
|
CB
|
CB
|
CB
|
CB
|
CB
|
-
|
Notes: S: shear test; $V_{b}$: test results; $F_{m}$: mean failure capacity; $\nu$:
coefficient of variation; $F_{5\%}$: characteristic strength; $N_{n}$: nominal strength;
F.M.: failure mode; CB: concrete breakout failure; PO: pry-out failure; SF: steel
failure
4.2.1 인장 저항력 및 변동계수 평가
기존 슬래브를 모사한 120 mm 및 130 mm 두께의 콘크리트에서 웨지 앵커의 인발시험결과, 시험으로부터 얻은 특성강도 $F_{5\%}$는 각각
15.9 kN 및 17.6 kN으로 나타났다. 이는 설계기준에 따라 계산된 공칭 인장강도 $N_{cb}$(각각 10.3 kN 및12.4 kN) 대비
약 54.4 % 및 42.0 % 정도 높은 값으로, 기준에서 요구하는 강도를 상회하는 성능을 확보하였다. 또한, 해당 앵커 시리즈의 변동계수 $\nu$는
각각 4.2 %와 2.0 %로 나타나, 극한인장하중에 대한 변동계수 허용기준인 15 % 이내를 만족함으로써 일관성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150 mm 두께의 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된 연결재의 인발시험결과, 특성강도는 35.9 kN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칭 인장강도(29.6 kN) 대비
약 21.3 % 상회하는 수준으로, 제안된 연결재도 우수한 인장 저항능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연결재의 변동계수도 약 4.9 %로 나타나
허용기준을 만족하였으므로, 안정적인 정착성능도 함께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2.2 인장하중에 대한 앵커의 파괴모드
일반적으로 기계식 후설치 확장앵커는 부재 두께 감소로 연단거리가 제한되면 쪼개짐 파괴로 인해 정착성능이 저하된다. 이는 슬리브 확장 시 발생하는 인장응력에
저항할 콘크리트의 유효 저항면적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Table 3의 시험결과에 따르면, 웨지 앵커는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파괴가 지배적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앵커에 가장 인접한 연단거리(면외방향)로 초기
균열의 확장 및 진전이 억제되는 동안, 충분한 저항면적이 확보된 면내방향으로 응력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파괴면 형성이 유도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웨지 앵커는 제한된 연단거리 조건에서도 충분한 인장 저항력과 함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결재의 인발시험결과, 모든 앵커 시리즈에서 연결재 축을 따라 콘크리트 모재가 수직으로 갈라지는 파괴양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연결재 헤드의 지압력이
콘크리트 내부로 전달될 때, 제한된 연단거리로 인해 연결재 축의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인장응력에 저항할 단면적이 부족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연결재의 항복 또는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연결재는 콘크리트 파괴 시점까지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유지하며, 우수한
인장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3 전단 저항력 및 변동계수 평가
기존 슬래브를 모사한 120 mm 및 130 mm 두께의 콘크리트에서 웨지 앵커의 전단시험결과, 특성강도는 각각 18.8 kN 및 21.0 kN으로
나타났다. 이는 설계기준에 따른 공칭 전단강도 $V_{cb}$(각각 7.8 kN 및 8.4 kN) 대비 약 141.0 % 및 150.0 % 높은 값으로,
우수한 전단 저항력을 확보하였다.
Table 4의 시험결과에 따르면, 150 mm 두께의 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된 연결재의 전단시험결과, 특성강도는 25.3 kN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칭 전단강도
대비 약 96.1 % 정도 높은 값으로, 제안된 연결재도 우수한 전단 저항력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행 앵커 설계법에 따르면, 전단하중을 받는 앵커의 변동계수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다만, 시험에 사용된 모든 앵커 시리즈의
변동계수가 약 8.0 % 미만으로 나타나, 기계식 접합 상세는 높은 전단 저항력과 함께 안정적인 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2.4 전단하중에 대한 앵커의 파괴모드
웨지 앵커의 전단시험결과, 모든 콘크리트 부재에서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파괴가 지배적으로 관찰되었다. 설계기준(KCI 2021)에 따르면,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떨어져 설치된 앵커는 강재파괴 또는 프라이아웃파괴에 지배적이다.
본 시험에서는 전단력이 작용하는 면내방향의 연단거리 $c_{a1}$는 충분했으나, 면외방향의 연단거리 $c_{a2}$는 전단 저항에 필요한 연단거리가
불충분하였다. 이로 인해 앵커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이 유효 저항면적이 부족한 면외방향으로 집중되어 연단부의 콘크리트 파괴가 지배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제한된 연단거리 조건에서도 웨지 앵커는 설계기준에서 요구하는 전단강도 이상의 충분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결재의 전단시험결과, 모든 시험체에서 전단력 방향(연결재 전면부)으로 콘크리트 모재가 갈라지는 파괴양상이 관찰되었다. 전단력을 받는 연결재는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통해, 전면부 콘크리트에 지압응력이 집중된다.
이로 인해 연결재 주변 콘크리트 내부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면외방향으로 연단거리가 제한되어 쪼개짐 인장 응력에 저항할 유효 저항면적이
부족했고, 이에 콘크리트 연단부에서 쪼개짐에 의한 파괴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연결재의 변형이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특성강도는 공칭강도를 상회하였다. 따라서, 연결재는 설계기준에서 요구하는 최소 전단성능을 충분히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