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석사 ()


창조도시, 창조산업, 도시구조, 도시경쟁력, 도시규모, 도시문화
Creative city, Creative industry, Urban structure, Urban competitiveness, Urban size, Urban culture

  • 1. 서 론

  • 2. 선행연구 및 이론고찰

  •   2.1 선행연구

  •   2.2 이론고찰

  • 3. 연구방법

  • 4. 도시구조 지표 중요도 분석

  •   4.1 비공간적 도시구조 분야의 중요지표

  •   4.2 공간적 도시구조 중요지표

  • 5. 도시규모별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 관계 분석

  •   5.1 광역시에서의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

  •   5.2 대도시에서의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

  •   5.3 중소도시에서의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

  • 6. 결 론

1. 서 론

국내 도시들은 1960년대 이후 산업발전에 따른 고용창출로 인해 지속적으로 인구가 유입되어 주택, 도로, 상하수도, 학교 등 다양한 물리적 시설 확충을 통해 증가하는 도시적 수요에 대처하였다. 하지만 2000년 이후 대부분의 국내 도시들은 경제 성장률 둔화에 따른 고용창출 하락, 노령인구 증가에 따른 도시활력 감소, 도심 공동화에 따른 도시기능 쇠퇴 등 20세기에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도시양상에 직면하여 과거의 물리적 시설공급으로는 변화된 도시환경에 대처하는데 큰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도시의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경쟁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도입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도시 활력을 증진 시키고 도시인구 증가를 통해 도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최근 창조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창조도시 조성을 선도하는 창조산업 인구를 어떻게 해당 도시로 유인 할 수 있는 가에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창조도시는 다양한 문화생활과 여가활동이 가능하고 혁신적인 산업을 진흥할 수 있는 장소가 풍부한 도시로서 과학자, 기술자, 건축가, 디자이너, 작가, 예술가, 음악가 등 창조산업 인구에 의해 선도된다. 하지만 도시규모에 따라 생활환경 및 기업여건이 다르고 도시 경제, 사회, 문화, 공간 등 다양한 도시구조의 차이에 따라 창조산업 인구 유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도시를 규모별로 구분하여 어떠한 도시구조가 창조산업 인구와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시규모별 창조산업 인구 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구조 지표를 도출하고 도시규모별 창조도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선행연구 및 이론고찰

2.1 선행연구

창조도시에 대한 연구는 국내 도시의 양적팽창이 정체되는 2000년대 이후 활발히 수행되었으며 그 대표적 연구로서 김인철(2009), 김유미(2009), 황준(2009), 이훈(2011), 김성은(2011), 김영주(2011) 등이 있다.

김인철(2009)은 창의성 여건이 지역경제 성장과 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하여 창의성 계층과 창의성 3T(Talent, Technology, Tolerance)지수는 지역경제성장 뿐만 아니라 개별기업의 총 생산성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지역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창의성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더불어 우수한 인재들을 유인하는 지역사회 환경이 개별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김유미(2009)는 도시의 창조성이 도시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한국과 일본의 84개 도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계, 전자, 정보산업 등 일부 첨단산업은 도시경쟁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나 법률, 종교, 사회서비스 등 일부 서비스 산업은 도시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였다. 황준(2009)은 동아시아 대도시권 도시성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에서 도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산업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특허수, 고학력 인구비율, 외국인 비율, 1인당 범죄발생률, 1인당 공원면적 임을 밝혔다. 또한 생산자 서비스업의 성장에 있어 서울은 베이징, 도쿄 등과 같이 상위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서울을 제외한 국내 대도시들은 일본의 선진 도시에 비하여 서비스업 성장 요인이 낮지만 동아시아 도시들에 비하여 상위 그룹에 속한다고 제시하였다. 이훈(2011)은 서울시를 비롯한 6대 광역시의 창조계급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창조계급은 다른 계층에 비해 고학력, 고소득자이며, 노동시간이 적고, 안정적인 직업을 가지고 있고 소득은 기술관련 직종과 창조적 전문가가 높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서울특별시의 창조계급 비율과 질적인 수준은 세계 대도시 수준에 근접하며 광주광역시는 창조계급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김성은(2011)은 수도권 66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창조산업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1996년에는 석사학위 소지자수, 국민연금 가입자수, 공연시설수, 외국인혼인 귀화자수가 창조산업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2005년에는 CEO(고위임직원관리자 및 대표이사)수, 지식기반서비스업 종사자 비율, 공연시설수, 시군민회관수, 보육시설수, 외국인혼인 귀화자수가 창조산업 성장영향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김영주(2011)는 Florida가 제시한 창조성 변수가 우리나라 도시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전국 83개 도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조업부문 임금 변화율은 창조계층 지수 및 보헤미안 지수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고용변화율과는 인적자본지수, 보헤미안지수, 다문화지수, 그리고 첨단산업지수가 유의미한 관계인 것을 밝혔다.

한편 Florida․Gates(2005)는 미국 50개 대도시 지역에 대해서 다양성, 관용성, 그리고 하이테크산업 성장 간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기술적 창조성과 문화적 창조성간에 양(positive)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보헤미안 지수와 하이테크 산업의 집중과는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밝혔다.

창조도시 관련 국내 선행연구들은 Table 1과 같이 대부분 창조성 지표(Talent, Technology, Tolerance 등)가 지역경제 성장 및 첨단산업과 연관이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국내 선행연구와 차별하여 “창조산업 인구와 연관있는 도시구조는 도시규모별로 어떤 구조인가?”라는 연구 의문(Research Question)을 갖고 도시 규모별로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와의 관계규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2.2 이론고찰

2.2.1 창조도시 개념

Jane Jacobs(1961)의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에서 창조도시는 인간의 창조성을 통한 혁신(Innovation)으로 유연하고 획기적이며 창조적인 도시경제 시스템을 갖춘 도시라 제시하였으며 Landry(2000)는 “The Creative City”에서 창조도시는 도시문제에 대한 창조적 해결을 위하여 창조적 환경을 만들어 운영해 나가는 도시라 정의했다. 한편 Florida(2002)는 “The Rise of Creative Class”에서 창조도시는 다양한 형태의 창조성이 뿌리를 내리고 번성할 수 있는 광범위한 창조적 생태계 여건을 제공하는 도시로서 경제발전의 3T(Talent, Technology, Tolerance)가 함께 발전하는 도시라 정의했다. 또한 Masayuki(2007)에 따르면 창조도시는 도시에서 현대예술의 에너지가 넘쳐나며 시민이 충분히 그것을 즐길 수 있는 도시이고 예술문화의 창조성을 산업으로 살린 창조산업군의 발전이 도시경제의 새로운 엔진이 되어 고용과 부를 만들어내는 도시이며 시민의 자치의식이 높고, 세계화 역량을 품은 도시라고 주장하였다.

Table 1. Indexes of Creative City by Literature Review in Korea

Researchers 

Indexes

Sohn, Y. S. (2009)

Bank, Inauguration Enterprise, Broadcast Media, R&D Facility, Venture Business, Urban Residents, Export Amount, Income, Financial Independence, Foreigners, Welfare Facility, Culture Facility, Culture Events, Cultural Assets, Greenbelt Area,  Wild Animal and Plant Conservation District, Air Pollution

Park, H. S. (2011)

Culture Facility, College, Cultural Assets, Foreigners, Culture Budget, Financial Independence, Creative Expert, Income Tax

Lee, H. (2011)

Residents, Foreigners, Employees, Local Tax, GRDP, Income, Labor Hours

Kim, Y. M. (2009)

Urban Industry Employees, High Technology Employees, Creative Experts, Foreigners

Kim, S. E. (2011)

Creative Industry Sales, Researchers, Childcare Facilities, Culture Events, Sightseeing Facilities, Parks, National Pension Members, Aging Facilities, Citizen  Center

Kang, S. Y. (2011)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Aging Index, Foreigners, Housing Supply, Housing Ownership, Apartment Rate, Deterioration Housing, Travel Pattern, Local Tax, Subway Stations

Kim, Y. J. (2011)

Income, High-Tech Employment, Patent, Culture & Art Employees, Population, Foreigners, Urban Areas

Hwang, J. (2009)

Service Industry Employees, Patent Registration, College Degree Possessors, Foreigners, Crime Occurrence, Green Space

Jung, Y. H. (2011)

Creative Industry Employees, College Degree Possessors, Foreign Employees,  Urban Park Area, Researchers, Universities, Health Care Professions, Culture Space, Culture Events, Financial Independence, R&D Investment, Business Service employees, Internet Using Rate, Public Transit Commuters, International Enterprises

Kim, J. H. (2011)

GRDP, Aging, Population Increase, Universities, Culture&Art Industry Employees,  IT Industry Employees, Financial Independence, Culture Service, Social Welfare Service

Kim, Y. I. (2010)

Creative Industry Employees, Venture Business, International Investment Enterprises, Internet Using Rate,  R&D Researchers, Foreign Employees, R&D Investment Amount, Public Library Budget, Cultural Assets, Culture Industry Employees, Intangible Cultural Assets, Culture Budgets, Culture Related Government Officers, Local Culture Events

2.2.2 창조도시 지표

창조도시 지표는 창조도시의 질적 수준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국가특성, 도시특성, 연구자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었으나 플로리다와 미사유키의 창조도시 지표가 대표적이다. 플로리다는 그의 저서 “창조계급의 도래(2002)”에서 도시의 번영은 창조성이 풍부한 인재에 달려있다고 지적하며 창조적 계급이 선호하는 지역의 사회적 환경에 주목하여 Table 2, Table 3과 같이 미국과 유럽에 적합한 기술, 인재, 관용을 제시하였다.

기술은 특허, 첨단기술, 연구개발 등의 분야를 대표하며 인재는 창조산업 종사자, 고학력자, 과학기술 종사자 등을 대표하고 관용은 다양한 문화, 민족, 종교 등에 대한 포용성과 개방성을 대표한다.

Table 2. Indexes of Creative City by Florida (U.S.A)

Section 

Indexes

Contents

Tech-

nology

Innovation 

Number of Patents to Industrial Property Office

High-Tech Innovation

Rate of Output for High-Tech Industry

Talent

Creative Class

Rate of Creative Class People

Human Capital

Rate of Bachelor Degree Holders 

Tole-

rance

Gay 

Rate of Homosexual Couple

Bohemian

Number of Culture and Art Professionals

Melting Pot

Rate of Registered  Foreigners

Source: Creative Class and Creative Capital, Lee, C. H. 2011.

Table 3. Indexes of Creative City by Florida (Europe)

Section

Indexes

Contents

Tech-

nology

Innovation 

Rate of Persons for Patent

High-Tech

Innovation

Rate of Output for  High-Tech Industry

R&D

R&D Expenditure/GDP

Talent

Creative Class

Rate of Creative Class People

Human Capital

Rate of Bachelor Degree Holders

Science Talent

Rate of Science Technology Professionals

Tole-

rance

Attitude

Attitude to Social Handicaps

One’s Value

Values of Religion, Family, Divorce

Self Expression

Quality of Life, Reliance, Leisure, Culture

Source: Creative Class and Creative Capital, Lee, C. H. 2011.

한편 미사유키는 인구 45만명이 거주하는 일본의 전통도시 가나자와市 사례분석을 통하여 Table 4와 같이 창조도시 지표를 창조적 활동, 도회적 생활, 창조활동의 기반, 역사적 유산, 도시환경과 어메니티, 경제기반의 균형, 시민활동, 행정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3. 연구방법

Table 4. Indexes of Creativity by Masayuki

Indexes

Contents

Creative

Activities

Rate of Artists, Scientists, Artisans

Urban Life

Income and Leisure Time, Expenditure of Cultural Activities

Basis of Creative Activities

Number of Universities, Education Institutes, Theaters

Historic  Heritage

Number of Cultural Properties and Preservation Condition

Economic Balance

Number of Inaugurated  and Discontinued Businesses

Citizen Activities

Activities of NPO and Women Social Participation 

Administration Operation

Financial Situation and Administrative Ability

Source: “A Creative and Sustainable City”, Masayulki․NIRA, 2007.

창조도시를 조성하는 핵심적인 요소인 창조산업 인구는 도시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도시성장을 견인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창조산업 인구가 도시규모 및 도시구조1) 차이에 따라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를 규명하기 위해 Fig. 1과 같이 도시를 규모별로 구분하고 도시구조 지표를 도출한 후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중요 도시구조 지표를 파악하여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와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하였다. 도시규모는 Table 5와 같이 전국 시급 이상 82개 도시를 인구규모별로 서울특별시 및 6대 광역시, 대도시2), 중소도시3)로 구분하였다. 대도시는 수원, 청주, 창원 등 15개시를 포함하였으며 중소도시는 평택, 김천, 진주 등 60개시를 포함하였다.

Urban Size Classification

Indexes of Urban Structure Classification

Survey to Urban Experts

Analysis of Indexed of Urban Structure

Analysis of Creative Industry Population and

Urban Structure based on Urban Sizes

Metropolitan City

Large City

Medium & Small City

Fig. 1. Research Flows for the Analysis of Creative Industry Population and Urban Structure

Table 5. Classification of Urban Sizes

Urban Sizes

Cities

Metropolitan 

Cities

Seoul, Busan, Daegu, Incheon, Kwangju, Daejeon, Ulsan

Large

Cities

Suwon, Sungnam, Anyang, Buchun, Ansan, Goyang, Namyangju, Yongin, Hwasung, Chungju, Chunan, Junju, Pohang, Changwon, Kimhae

Small&

Medium

Cities

18 Cities in Gyeonggi Province,

7 Cities in Kangwon Province,

2 Cities in Chungbuk Province,

5 Cities in Chungnam Province

5 Cities in Jeonbuk Province,

5 Cities in Jeonnam Province,

9 Cities in Gyeongbuk Province,

8 Cities in Gyeongnam Province

도시구조는 창조도시 관련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도시지표(Table 1) 중 도시구조 관련 지표를 추출하여 그 특성에 따라 Table 6과 같이 공간적 도시구조 분야와 비공간적 도시구조 분야로 구분하였으며 공간적 도시구조 분야는 환경시설, 복지시설, 생활시설 부문 등으로 구분되고 비공간적 도시구조 분야는 문화, 사회, 경제 등의 부문으로 구분하였다.

도시구조의 특성에 따라 구분된 공간적 도시구조 지표와 비공간적 도시구조 지표는 전국의 창조도시 관련 전문가들에 의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도시구조 지표들에 대한 전문가 설문은 전국에 소재한 창조도시 관련 연구원, 대학교, 공공기관, 민간기업체, 관공서에 근무하는 전문가 108명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 우편 및 이메일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각 지표의 중요도를 ‘매우 중요하지 않음’, ‘중요하지 않음’, ‘보통‘, ‘중요’, ‘매우 중요’, 등 5점 Likert 척도로 설문하였다.

한편 창조산업 인구는 창조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들로서 영국 문화미디어체육부(DCMS)에서 제시한 창조산업을 기준으로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국내 창조산업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창조산업에 대한 인구는 전국 시군구의 산업 소분류까지 구분된 전국사업체조사4)(통계청)에서 제시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다양한 도시구조 지표 중 전문가 설문조사에 의해 창조산업 인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도출된 도시구조 지표들은 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시규모별로 창조산업 인구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Table 6. Indexes of the Urban Structure of Creative City by Preceding Researches

Division

Section

Indexes of Urban Structure

Non-

Spatial

Urban Structure

Culture

Number of Culture Space

Number of People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Number of National·Local Designated Cultural Assets

Number of Culture Events

Number of Local Festivals 

Number of Artists

Number of Visitors for Sightseeing

Society 

Population Increase Rate

Population Density

Unemployment Rate

Rate of Increasing Housing Price

Rate of Aging

Number of Foreigners

Number of Naturalized Persons

Economy 

GRDP

Amount of Export

Employment of Foreigners

Income Tax per Person  

Rate of Knowledge Base Industries

Number of Venture Business

Number of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Spatial Urban

Structure

Environ-ment Facilities

Number of Parks

Number of Creeks

Number of Environment Pollution Discharge Management Facilities

Number of Air Pollution Management Facilities

Number of Wild Animal and Plant Conservation District Designations

Amount of Greenbelt Area 

Number of Water Quality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Number of Aging Welfare Facilities

Number of Children Welfare Facilities

Number of Handicap Welfare Facilities

Number of Woman Welfare Facilities

Number of Bed Hospitals

Number of Professions for Health Care

Members of National Pension

Community

Facilities 

Number of NGOs

Number of Local Broadcast Medias

Number of Banking Facilities

Number of R&D Facilities

Investment Amount to R&D per Researcher

Number of Public Library 

Number of people Using Superhigh Speed Internet

다중회귀분석은 Eq. (1)과 같이 종속변수는 창조산업 인구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는 도시구조 지표가 활용되었으며 각 지표의 통계자료는 국가통계 포털, 한국도시통계, 통계연보 등 국가와 지자체에서 발간한 보고서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여기서 

Y = 종속변수(창조산업 인구)

PICD6AC.gif = 독립변수(도시구조 지표)

PICD6EC.gif = 추정해야 될 k개의 회귀계수 PICD6ED.gif= 오차

선택된 독립변수들은 공선성 검진과 회귀모형 적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료를 찾아내는 영향진단 기법을 사용하여 각 모형마다 이상점들을 제외한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예측모형의 유의성은 R-square값과 F-유의확률값으로 검토하였으며 모형내에서의 독립변수 유의성은 P-유의확률값이 0.05 이하이면 종속변수와 독립변수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4. 도시구조 지표 중요도 분석

도시구조는 비공간적 도시구조와 공간적 도시구조 분야로 구분되며 비공간적 도시구조 분야는 사회, 경제, 그리고 문화 부문으로 구분하고 공간적 도시구조 분야는 복지시설, 환경시설, 생활시설 부문으로 구분하였다. 도시구조의 부문별 중요도는 창조도시 관련 전문가에 의해 평가되어 Table 7과 같이 비공간적 도시구조 분야에서는 문화, 사회, 경제 부문 순으로 창조산업 인구 유인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도시구조 분야에서는 복지시설, 환경시설, 생활시설 부문 순으로 창조산업 인구 유인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1 비공간적 도시구조 분야의 중요지표

비공간적 도시구조는 문화, 사회, 경제 부문으로 구분되며 각 부문의 도시구조지표 중 창조산업 인구 유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Table 7에서 제시된 비공간적 도시구조(문화, 사회, 경제) 부문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Table 6의 도시구조 지표의 중요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문화부문에서는 Table 8과 같이 문화공간(표준화계수 0.509)과 문화행사(표준화계수 0.305)가 중요한 지표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표들의 문화부문 중요도에 대한 설명력은 약 55%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부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실업률(표준화계수 0.397)과 인구증가(표준화계수 0.220)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표들이 사회부문 중요도에 대한 설명력은 약 26%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경제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지역 생산(표준화계수 0.476)과 벤처기업(표준화계수 0.188)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표들이 경제부문 중요도에 대한 설명력은 약 32%로 나타났다.

Table 7. Degree of Importance of Sectional  Urban Structure

Division 

Section

Importance

Std. Deviation

Order

Non- Spatial

Urban

Structure

Culture 

3.8519

1.33125

1

Society 

3.6759

.97471

4

Economy  

3.6296

1.22736

6

 Spatial

Urban

Structure

Welfare Facilities

3.7685

1.11579

2

Environment Facilities

3.7407

1.12217

3

Community Facilities

3.6667

1.01392

5

Table 8.Analysis of Multi-Regression for Non-Spacial Urban Structure

Culture 

R-Square

F Value

Prob> F

.545

64.99

.000

Source

Non Std. Coeff.

Std. Coeff.

t -

Value

p -

Value

B

Std. Error

Beta

Variable

.597

.301

1.986

.050

Culture Space

.535

.090

.509

5.965

.000

Culture Events

.347

.097

.305

3.573

.001

Society

R-Square

F Value

Prob> F

.257

19.52

.000

Source

Non Std. Coeff.

Std. Coeff.

t -

Value

p -

Value

B

Std. Error

Beta

Variable

1.636

.341

4.802

.000

Unemploy-ment Rate

.362

.082

.397

4.417

.000

Population Increase

.203

.083

.220

2.450

.016

Economy 

R-Square

F Value

Prob> F

.325

26.681

.000

Source

Non Std. Coeff.

Std. Coeff.

t -

Value

p -

Value

B

Std. Error

Beta

Variable

.774

.417

1.856

.066

GRDP

.555

.102

.476

5.455

.000

Venture Business

.226

.105

.188

2.158

.033

Table 9. Analysis of Multi-Regression for Spacial Urban Structure

Welfare

Facilities

R-Square

F Value

Prob> F

.347

29.38

.000

Source

Non Std. Coeff.

Std. Coeff.

t -

Value

p -

Value

B

Std. Error

Beta

Variable

1.170

.352

3.323

.001

Bed Hospitals

.368

.114

.331

3.243

.002

Children Welfare

.327

.101

.330

3.230

.002

Environment Facilities

R-Square

F Value

Prob> F

.421

39.86

.000

Source

Non Std. Coeff.

Std. Coeff.

t -

Value

p -

Value

B

Std. Error

Beta

Variable

1.888

.298

3.986

.000

Environment Pollution

.435

.123

.427

3.533

.001

Air Pollution

.263

.120

.264

2.183

.031

Community

Facilities 

R-Square

F Value

Prob> F

.141

9.78

.000

Source

Non Std. Coeff.

Std. Coeff.

t -

Value

p -

Value

B

Std. Error

Beta

Variable

2.103

.365

5.759

.000

Banking

.246

.101

.241

2.447

.016

R&D

.217

.093

.229

2.323

.022

4.2 공간적 도시구조 중요지표

공간적 도시구조는 복지시설, 환경시설, 생활시설 부문으로 구분되며 각 부문의 도시구조 중요지표 도출은 Table 7에서 제시된 공간적 도시구조(복지시설, 환경시설, 생활시설) 부문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Table 6과 같은 도시구조 지표의 중요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Table 9와 같이 복지시설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의료기관(표준화계수 0.331)과 아동복지시설(표준화계수 0.330)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표들이 복지시설부문 중요도에 대한 설명력은 약 35%로 나타났다. 한편 환경시설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환경오염 관리시설(표준화계수 0.427)과 대기오염 관리시설(표준화계수 0.264)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표들의 환경시설부문 중요도에 대한 설명력은 약 42%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시설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금융기관(표준화계수 0.241)과 연구기관(표준화계수 0.229)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표들의 생활시설부문 중요도에 대한 설명력은 약 14%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창조도시와 관련있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도시지표에 근거해 도출된 42개의 도시구조 지표와 창조산업 인구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Table 10과 같이 12개의 도시구조 지표가 창조산업 인구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0. Importance Indexes of Urban Structure for Creative City 

Non-Spacial Urban Structure

Spacial Urban Structure

Culture Space

Bed Hospitals

Culture Events

Children Welfare

Unemployment Rate

Environment Pollution

Population Increase

Air Pollution

GRDP

Banking

Venture Business

R&D

5. 도시규모별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 관계 분석

도시경제, 도시사회, 도시문화, 도시공간 등 다양한 도시구조는 도시규모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와의 관계를 광역시, 대도시, 중소도시로 나누어 도시규모별로 분석하였다.

5.1 광역시에서의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

서울특별시 및 6대 광역시에서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 지표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및 광역시 창조산업 인구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Table 10에서 제시된 창조산업 인구 관련 중요 도시구조 지표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Table 11과 같이 도시구조 지표의 창조산업 인구에 대한 설명력은 약 99%로 나타났으며 창조산업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12개 도시구조 지표 중 문화행사(표준화계수 0.997)로 나타났다.

Table 11. Analysis of Multi-Regression for the  Urban Structure of Metropolitan Cities

Model

R-Square

F Value

Prob> F

.993

861.26

.000

Source

Non Std. Coeff.

Std. Coeff.

t -

Value

p -

Value

B

Std. Error

Beta

Variable

-14047.084

5315.077

-2.643

.046

Culture Events

39.333

1.340

.997

29.347

.000

*Considerable at the level of 95%

Table 12. Analysis of Multi-Regression for the  Urban Structure of Large Cities

Model

R-Square

F Value

Prob> F

.655

14.26

.001

Source

Non Std. Coeff.

Std. Coeff.

t -Value

p -Value

B

Std. Error

Beta

Variable

-1883.054

1686.339

-1.117

.286

Culture Events

37.037

10.049

.613

3.686

.003

Culture Space

75.297

30.994

.404

2.429

.032

*Considerable at the level of 95%

5.2 대도시에서의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

광역시를 제외한 전국의 인구 50만 이상 15개 도시에서 도시구조 지표들이 창조산업 인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도시 창조산업 인구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Table 10에서 제시된 창조산업 인구 관련 중요 도시구조 지표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Table 12와 같이 도시구조 지표들의 창조산업 인구에 대한 설명력은 약 66%로 나타났으며 12개 중요 도시구조 지표 중 창조산업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문화행사(표준화계수 0.613)와 문화공간(표준화계수 0.404)으로 나타났다.

5.3 중소도시에서의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

인구규모 50만명 이하의 시급 이상 60개 도시에서 도시구조 지표들이 창조산업 인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중소도시 창조산업 인구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Table 10에서 제시한 창조산업 인구 관련 중요 도시구조 지표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Table 13과 같이 도시구조 지표들의 창조산업 인구에 대한 설명력은 약 53%로 나타났으며 창조산업 인구 유인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문화행사(표준화계수 0.630)와 환경오염 관리시설(표준화계수 0.275)로 나타났다. 다양한 도시구조 지표중 환경오염 관리시설이 중소도시에서 중요한 지표로 나타난 것은 중소도시가 광역시 및 대도시에 비하여 환경오염 배출원(공장 등)이 많은 반면에 환경 오염원을 관리할 수 있는 시설은 매우 열악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환경오염 관리시설은 중소도시의 양호한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주민의 삶의 질과 환경의 질을 개선시켜 중소도시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중요한 도시구조 지표로 나타났다.

도시 규모별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와의 관계분석 결과 Table 14와 같이 도시규모에 관계없이 공간적·비공간적 도시구조 중 문화구조가 창조산업 인구 유입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문화행사가 창조산업 인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광역시와 대도시에서는 공간적 도시구조 보다는 비공간적 도시구조가 창조산업 인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소도시에서는 비공간적 도시구조 뿐만 아니라 공간적 도시구조도 창조산업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결 론

Table 13. Analysis of Multi-Regression for the  Urban Structure of Medium & Small Cities

Model

R-Square

F Value

Prob> F

.532

23.38

.000

Source

Non Std. Coeff.

Std. Coeff.

t -

value

p -

value

B

Std. Error

Beta

Variable 

-80.604

170.518

-.473

.638

Culture Events

20.853

2.982

.630

6.993

.000

Environment Pollution

.417

.137

.275

3.034

.004

*Considerable at the level of 95%

Table 14. Indexes of Important Urban Structure in Different Urban Sizes

Urban Size

Indexes of Urban Structure

Non-Spacial Urban Structure

Spacial Urban Structure

Metropolitan

Culture Events

Large

Culture Events

Culture Space

Small & Medium

Culture Events

Environment Pollution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 노동시간 유연화, 정보통신 및 교통의 발달에 따른 시간적·공간적 거리개념 소멸 등으로 도시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유능한 창조적 인구를 확보할 수 있는 도시에 입지하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지자체에서는 창조산업 인구가 선호하는 도시구조 조성에 큰 관심이 있다. 창조산업 인구와 도시구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 창조산업 인구들이 선호하는 도시는 도시의 규모에 관계없이 독특한 축제, 음식, 가무, 예술, 역사 등 다양한 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문화행사가 많은 곳을 선호함에 따라 지자체에서는 도시문화를 브랜드화하고 문화 친화적 도시발전 전략을 통하여 창조적 인력 및 창조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주거와 업무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특히 광역시와 대도시에서는 문화행사, 민속예술 전시행사, 음악 축제행사, 그리고 디자인관련 행사 등 다양한 문화예술행사 뿐만 아니라 도시의 유휴공간 및 이전적지 등을 문화공간으로 활용하여 양호한 문화 및 예술활동이 가능하도록 조성하여 창조산업 인구 유인이 요구된다. 한편 중소도시에서는 도시의 유구한 전통과 역사에 빛나는 기존의 문화유산을 적극 활용하는 한편 역사 복원 및 전통문화 계승을 통하여 각 도시의 문화적, 역사적 정체성을 확립하여야겠다. 또한 중소도시는 광역시 및 대도시에 비하여 기반시설이 열악함에 따라 도시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는 환경오염 관리시설 등 기반시설에 개선을 통하여 양호한 주거 및 업무환경을 조성하여야겠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도시구조 지표는 창조도시 관련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지역경제 성장 및 첨단산업과 연관이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창조산업 인구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도시규모별 창조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도시구조 지표선정을 통해 심층적인 창조산업 인구와의 관계 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References

1 
Florida, R.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Basic Books, New York.Florida, R.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Basic Books, New York.Google Search
2 
Gheem, I. C. (2009). The effects of creative climate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Korea firms, Ph. D Dissertation,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Gheem, I. C. (2009). The effects of creative climate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Korea firms, Ph. D Dissertation,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3 
Hwang, J. (2009). A comparative study of urban growth factors for metropolitan areas in East Asi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y, Seoul, Korea (in Korean).Hwang, J. (2009). A comparative study of urban growth factors for metropolitan areas in East Asi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y, Seoul,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4 
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Random House, New York.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Random House, New York.Google Search
5 
Jung, Y. H. (2011). An analysis of major location factors for the creative industries according to Value Chain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Jung, Y. H. (2011). An analysis of major location factors for the creative industries according to Value Chain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6 
Kang, S. Y. and Lee, H. J. (2011). “The effects of local characteristics on the urban creativity-focused on 25 district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s, KPA, Vol. 46, No. 5, pp. 81-92 (in Korean).Kang, S. Y. and Lee, H. J. (2011). “The effects of local characteristics on the urban creativity-focused on 25 district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s, KPA, Vol. 46, No. 5, pp. 81-92 (in Korean).Google Search
7 
Kim, H. J. and Park, K. P. (2010). “Spatial concentration and cluster of cities with creative class, technology, tolerance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s, KPA, Vol. 45, No. 1, pp. 251-264 (in Korean).Kim, H. J. and Park, K. P. (2010). “Spatial concentration and cluster of cities with creative class, technology, tolerance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s, KPA, Vol. 45, No. 1, pp. 251-264 (in Korean).Google Search
8 
Kim, J. H.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creative industry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Kim, J. H.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creative industry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9 
Kim, S. E. and Lee, M. H.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reative industry of the creative class, technology, tolerance- Emphasiz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s, KPA, Vol. 46, No. 5, pp. 19-30 (in Korean).Kim, S. E. and Lee, M. H.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reative industry of the creative class, technology, tolerance- Emphasiz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s, KPA, Vol. 46, No. 5, pp. 19-30 (in Korean).Google Search
10 
Kim, S. Y., Kim, S. E., Kim, S. H. and Lee, M. H. (2012). “A study distribution characteristic considering index of creative city i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s, KPA, Vol. 47, No. 4, pp. 35-47 (in Korean).Kim, S. Y., Kim, S. E., Kim, S. H. and Lee, M. H. (2012). “A study distribution characteristic considering index of creative city i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s, KPA, Vol. 47, No. 4, pp. 35-47 (in Korean).Google Search
11 
Kim, Y. I.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ity creativity Index and the comparison creativity between seven major cities in Korea,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Kim, Y. I.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ity creativity Index and the comparison creativity between seven major cities in Korea,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12 
Kim, Y. J. (2011). The effect of urban creative activities on economic development in urban areas,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Kim, Y. J. (2011). The effect of urban creative activities on economic development in urban areas,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13 
Kim, Y. M. (2009). The effect of urban competitiveness to creative city: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Kim, Y. M. (2009). The effect of urban competitiveness to creative city: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14 
Lee, C. H. (2011). “Creative class and creative capital: Critical Understanding Richard Florida's theory.” Korea Journal of Area Studies, Korean Association of Area Studies, Vol. 29, No. 1, pp. 109-131 (in Korean). Lee, C. H. (2011). “Creative class and creative capital: Critical Understanding Richard Florida's theory.” Korea Journal of Area Studies, Korean Association of Area Studies, Vol. 29, No. 1, pp. 109-131 (in Korean).Google Search
15 
Lee, H. (2011). A study on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 of urban creative class - focsuing on the change on creative class in Sroul and six largest citie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In Korean).Lee, H. (2011). A study on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 of urban creative class - focsuing on the change on creative class in Sroul and six largest citie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16 
Sohn, Y. S. (2009). The development of an index evaluation model for a creative city, Ph. D.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Sohn, Y. S. (2009). The development of an index evaluation model for a creative city, Ph. D.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