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과정 (Hanyang University)
  2.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교수 (Hanyang University)


TOD, 상관분석, 회귀분석, 인천광역시, 역세권
TO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Incheon, Station influence area

  • 1. 서 론

  •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범위 및 수행절차

  •   1.3.1 연구의 범위

  •   1.3.2 연구의 수행절차

  • 2. 선행논문 검토 및 이론적 배경 고찰

  •   2.1 선행 논문 검토

  •   2.2 이론적 배경 고찰

  • 3. 수도권 66개 자치 시군구 별 도시지표 실태분석

  •   3.1 사회경제지표

  •   3.1.1 인구와 인구성장률

  •   3.1.2 종사자수

  •   3.1.3 세대수

  •   3.1.4 가구수

  •   3.2 밀도(순 밀도)

  •   3.2.1 인천광역시 순인구밀도(Table 9)

  •   3.2.2 주택보급율(Table 10~12)

  •   3.3 토지이용 특성

  •   3.4 수단통행량 특성

  •   3.4.1 인천시 수단통행 통행지표(Table 16)

  •   3.4.2 서울시 수단통행 통행지표(Table 17)

  •   3.4.3 경기도 수단통행 통행지표(Table 18)

  •   3.5 대중교통 특성

  •   3.5.1 도시철도 및 전철운행 현황

  •   3.5.2 버스 운행 현황(Tables 20~22)

  •   3.6 Social MIx

  •   3.6.1 65세 노인인구(Table 23)

  •   3.6.2 수용 학생수(Tables 24~26)

  •   3.6.3 주택 점유형태(Tables 27~29)

  •   3.7 자료실태조사

  • 4. 회귀식 모형을 통한 각 요소별 관련성 분석

  •   4.1 각 요소별 일표본 t-test

  •   4.1.1 선행연구를 통한 지표선정

  •   4.1.2 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지표선정

  •   4.1.3 편리성 평가항목 분석결과

  •   4.2 각 요소별 상관분석

  •   4.3 각 요소별 회귀분석

  • 5. 결론 및 향후과제

  •   5.1 연구 결과 및 시사점

1.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세계적인 추세인 산업화와 각종 기능의 도시집중에 따라 도시인구의 지속적인 증가와 교외 확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핵가족화로 인한 가구당 인구수의 꾸준한 감소로 인한 가구 수의 증가와 고령화로 인한 노인인구 증가 및 학생인구의 감소로 인한 개인 교통량의 증가 추세에 따른 자동차교통의 증가로 교통 정체, 주차문제 발생과 교통비용 상승, 에너지문제, 공해문제, 교통사고로 인한 안전문제, 기반시설 설치와 관리비용의 증대 등 각종 도시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그 동안 막대한 도시기반시설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불편이 교통민원과 교통소통에 대한 불만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소득수준의 증가에 따른 자가용 소유의 꾸준한 증가와 자동차 교통 위주의 도로교통시설의 대폭적인 확충, 주거문제 해소를 위한 서울대도시 인근의 신도시 개발이 198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간선도로와 공공시설의 확충이 지속되고 있으나 교통문제는 계속적으로 완화의 가능성이 희박한 상태이다.

교통문제를 보면 우선 도로 노면 교통시설의 교통 정체에 따른 소통 문제, 주차문제, 에너지 과소비로 인한 화석연료의 고갈과 공해로 인한 지구 온난화 등 환경오염 문제 및 개인 교통수단간의 교통사고로 인한 교통안전문제 그리고 대규모 보상비를 포함한 건설비용과 관리비용의 지속적인 재정투자로 인한 재정 고갈 등 자연자원과 사회자원 및 인적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현재의 도시교통 문제를 해소하고자 198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도시의 토지이용의 변화를 통한 도시교통문제의 해소방안으로 유럽에서는 컴팩트 시티(Compact City)와 Urban Village 이론, 미국의 Smart Growth와 New Urbanism 이론을 채택하여 도시의 노면교통 특히 승용차 위주의 교통시설 공급에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역세권 또는 광역교통 노선 상에 토지이용의 집적화를 통한 승용차 위주 교통량을 저감하기 위해 대중교통위주의 개발방식(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이론을 과감히 채택해야 한다고 한다.

대중교통 이용의 활성화를 위한 도시 사회경제지표 중 주요한 요인으로는 밀도(Density)의 증가와 건축용도의 다양화(Diversity, Mixed Use), 직장과 주거 근접도(Job-Balance)의 향상이 필요하며, 이에 더하여 사회적 통합인 Social Mix 이론 등을 통하여 1995년부터 실시된 수도권 자치 시·군·구 즉, 인천광역시의 10개 구·군과 서울특별시의 25개 구 및 경기도의 31개 시·군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토지이용특성 등 도시지표를 비교 분석하여, 인천시의 도시특성인 산업, 물류도시, 수도권의 관문도시로서의 도시경제사회 주요지표 별 지수를 산정함으로서 현재의 현황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역세권 정비 및 도시개발 방향을 정립하여 향후 도시교통과 도시토지이용정책에 활용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목적

인천은 수도권의 관문도시로서 2001년 개항한 인천국제공항과 131년 전인 1883년 개항 한 인천국제무역항만이 위치하고, 수도권의 대규모 임해산업도시로 수십 년 동안 발전되어 왔으며, 최근 약 30년에 걸쳐 급속한 인구와 산업의 증가로 서구의 대도시와 마찬가지로 인접 서울의 교통문제가 크게 전이되고 있다.

그 동안 노면교통의 도로확장 등을 통한 개인교통위주의 교통시설 확충과 1969년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도로인 경인고속도로의 건설과 확장, 제2경인고속도로, 제3경인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수도권외곽고속도로 및 인천 국제공항전용 고속도로 등 광역고속 교통시설의 지속적인 확충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2수도권외곽 순환고속도로 등 고속 간선교통시설의 건설이 지속되고 있으며, 1899년 개통된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경인전철의 복선화와 인천지하철1호선, 인천공항철도, 현재 부분개통 및 건설중인 기존의 협궤철도의 수인전철화 사업과 인천지하철 2호선 등 막대한 교통시설의 확충에도 불구하고 시내부교통과 수도권과 연계된 도시교통의 혼잡이 날로 증대되고 있어, 기존의 교통시설 확충을 통한 도시교통문제의 해결이 한계에 다다른 것 같다.

이러한 인천도시교통 문제 해소를 위한 도시 토지이용계획의 다양화(Mixed Use)와 고밀개발(High Density Development), 직주근접이론 및 역세권 개발을 통한 대중교통위주 개발정책(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교통수요관리정책(TDM: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교통체계관리기법(TSM: 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등 다양한 도시교통 및 도시개발 방안이 198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대중교통 위주 개발이론을 바탕으로 1995년부터 본격 시행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제도가 도입된 지 19년이 지난 시점에서, 인천의 자치 구·군의 교통정책과 관련된 도시 사회경제지표, 즉, 인구, 밀도, 면적, 도로율, 용도별 건축연면적(주거, 상업, 업무, 공업, 문화, 교육, 기타)을 근거로 한 복합용도지수, 종사자수, 학생수, 경제활동인구, 주택 수, 주택보급율, 주택점유형태, 65세이상 노인 인구 등을 자료 수집하여 이들 지표를 기준으로 한 수도권 자치 시·군·구의 지표와 비교하고, 총 수단발생 통행량과 승용차 발생통행량, 버스 및 지하철 발생통행량간의 일표본 t-test와 각 사회경제지표를 독립변수로 한 상관분석 및 수도권 자치 시·군·구별 수단 발생통행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통한 지표별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1.3 연구의 범위 및 수행절차

1.3.1 연구의 범위

(1) 내용적 범위

각 시군구별 건축용도별 연면적을 근거로 한 복합용도지수(LUM, Land Use Mix)를 통해 시군구의 건축물 복합도를 추정하고, 종사자 수 및 내부발생통행량을 바탕으로 직주근접 지수를 구한다. 또한 발생통행량 및 지하철,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 이용률을 근거로 한 도시토지이용과 직주근접 및 대중교통 이용률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각 지자체의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토지이용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2) 공간적 범위

1995년부터 시행된 지방자치단체 제도에 따라, 수도권 66개 자치 시·군·구인 서울특별시 25개구, 인천광역시 10개 구·군, 경기도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지표를 조사하여 지표척도를 바탕으로 비교수행 하였다.

1.3.2 연구의 수행절차

연구의 수행은 우선적으로 국·내외 TOD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연구의 착안점을 도출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지표를 종합하여 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최종 평가지표를 개발하였으며, t-검증을 이용하여 지표의 적합성을 검측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한 대상지를 기준으로 분석 자료를 수집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 선행논문 검토 및 이론적 배경 고찰

2.1 선행 논문 검토

TOD의 개념정립 및 개발방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Peter Calthorpe가 1990년 TOD 이론 및 가이드라인을 13개의 대분류, 77개의 소분류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1993년에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Urban TOD, Neighborhood TOD”에서 이론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Yang(2000)가 복합용도 개발의 개념을 적용하여 철도역을 중심으로 하여 개발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사례를 통한 TOD의 문제점 분석 및 역세권 유형 분류의 연구에서는 Won and Oh(2004)이 국외의 TOD사례를 검토하여 TOD형 개발의 문제점을 진단 및 원인을 분석하고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Sung and Kim(2005)은 계획적이고 실증연구 차원에서의 역세권 유형을 분류하였다.

TOD 계획요소와 대중교통과의 연계성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에서 Park(2008)은 대중교통수단, 토지이용(고밀복합)과 가로망 및 건물특성 등 각 요소들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역세권의 개발방향에 대해 연구하였고, Oh(2008)은 역세권의 대중교통 공급수준과 토지이용현황을 평가하여 TOD형 개발을 위한 역세권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Park et al.(2008)은 TOD 계획요소에 따른 대중교통의 이용효과 분석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제시하였고, Jo et al.(2011)은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을 위해 계획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2.2 이론적 배경 고찰

국내에서는 TOD개념이 도입되기 전 이미 철도역을 중심으로 TOD와 유사한 개념의 역세권 개발이 진행되었다. 역세권 개발은 철도와 타 교통시설간의연결을 유도하기 위하여 역사에 쇼핑몰 등 상업, 업무, 문화, 운동 등 서비스시설 등을 개발하거나 유치기능을 조정하여 역 주변 시가지를 자체개발 또는 재개발 하는 사업이다. 역세권개발은 혼합적인 토지이용을 주요 수단으로 하고 철도역이라는 대중교통 결절점을 중심으로 개발한다는 점에서 TOD개념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직주근접과 고밀 개발을 통한 도시교통과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주장에 반대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직주근접과 고밀개발의 비판론자들은 직주근접과 고밀개발로 기종점간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통행비용이 감소하지만, 이로 인하여 오히려 통행수요와 통행량이 오히려 증가하고, 따라서 통행회수의 증가가 통행거리 감소분보다 많아진다면 대기오염과 같은 공해를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Litman(2004; 2011)은 소비자는 교외확산과 자동차의존도시(Auto Oriented City, 이하 AOC)를 더 선호하며, 규제와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정책으로 불편한 대중교통과 열악한 서비스질로 기존 도시민의 자동차 교통 습관에 큰 변화가 불가능 하고 도시개발의 허용지역을 줄여서 오히려 주택가격을 상승시키고 교통체증을 증대시킨다는 비판이 있다는 것이다.

Crane and Chatman(2003)은 직주 근접에 있어 외곽주변의 고용을 5% 증가되면 평균 출퇴근거리가 1.5% 감소되나 비업무용 자동차 거리는 오히려 증가한다고 한다.

Downs(2004)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주거 밀도를 3배 높여야만 통행거리를 22%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주거 밀도를 높여 통행거리를 줄이기 위해서는 통행거리 감소율보다 높은 비율로 고밀도 개발을 하여야 하며, 중밀도를 고밀도로 높일 경우 추가적인 통행거리 감소가 작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의 타당성에 대한 문제도 함께 제기하고 있다.

TOD 계획요소로 인구사회특성, 토지이용특성, 대중교통특성, 접근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통측면 기대효과로 비동력 교통수단의 이용증대 및 대중교통 이용증대, 통행거리 감소, 통행연계를 통한 발생빈도 감소, 승용차 이용억제 효과 등이 기대된다. 특히, 철도, 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중교통수단의 공급수준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TOD 개발형태별로도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3. 수도권 66개 자치 시군구 별 도시지표 실태분석

3.1 사회경제지표

사회지표(social indicator)는 ‘사회’와 ‘지표’의 복합용어로서, 단순한 통계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흔히 삶의 질의 지표(quality of life indicators), 사회상태보고(social reporting) 등으로 불리며 시민들의 가치, 목표, 사회변동 등에 관하여 종합적이며 균형적인 판단을 가능하게 해주는 척도라 할 수 있다. 사회지표 창시자인 바우어(Raymond Bauer)는 “사회지표란 우리의 가치와 목표를 지향하여 우리가 어디에 서 있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통계 계열 및 다른 형태의 모든 증거”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그 기능으로서 사회지표는 사회여건의 상태와 변동을 요약함으로써 현존하거나 파생되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를 지적하고 사회정책과 프로그램의 성과를 전달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비더만(A. D. Biderman)은 “사회지표는 사회의 상황에 대한 지수로서 제한된 의미로 사용되어야 한다.”라 했으며, 쉘던(E. B. Sheldon)과 무어(W. E. Moore)는 “사회지표는 진보적이든 퇴보적이든 사회의 현 상태와 과거, 미래의 경향의 해석하는 지침이다.”라 하였다.

미국 보건교육복지성은 “사회지표는 간결하고 포괄적이며 균형적인 판단을 제공하는 통계”이며, 우리나라 행정학 대사전에서는 “사회지표는 경제사회 통계의 목적을 가지며 모든 지표를 동시에 총칭하는 대명사 격이다.”라고 정의내리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 ‘사회’란 ‘경제’에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경제학이 사회과학의 한 분야인 것과 같이 경제를 포함한 보다 광의의 개념이기 때문에 사회지표의 체계 속에는 문화, 여가, 인구, 가구·가족, 노동, 교육, 보건, 주거·교통, 정보·통신, 환경, 복지, 안전 등 여러 관심의 영역의 지표를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지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들의 생활수준과 사회의 전반적인 복지를 측정한다.

둘째, 사회변화를 시간의 흐름 속에서 나타내줌으로 미래 사회경향과 변화에 대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사회변화의 종합적인 측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정보를 제공한다.

3.1.1 인구와 인구성장률

인천광역시를 포함한 수도권의 총 인구는 2011년 2,459만 1천명으로 2030년까지 성장을 지속한 후, 2031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시작하여 2040년에는 -0.26%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성장의 구성요인으로 총 출생아 수는 24만명, 사망자 수는 10만 1천명으로 인구성장률은 1.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s 1~3).

Table 1. Population and Population Growth Rate in Incheon (Unit : 1,000 People, %)

Year

Total Population

Population growthrate

Population growth factor

Male

Female

Birth

Death

1990

1,896

958

939

6.28

-

-

1995

2,334

1,183

1,151

4.06

-

-

2000

2,522

1,277

1,245

1.13

34

11

2005

2,578

1,304

1,274

0.38

23

11

2010

2,713

1,372

1,341

0.82

26

12

2011

2,745

1,387

1,358

1.16

26

13

2030

3,170

1,577

1,593

0.28

-

-

2040

3,164

1,564

1,600

-0.26

-

-

Source : Statistics Korea (KOSTAT), 「Future population projections」 2011.12,  「2011 Birth・death statistics」 Press release 2012. 2.

Note : 1) Rate of natural increase= Natural increase per thousand people

Table 2. Population and Population Growth Rate in Metro Seoul (Unit : 1,000 People, %)

Year

Total Population

Population growthrate

Population growth factor

Male

Female

Birth

Death

1990

10,473

5,273

5,200

0.90

-

-

1995

10,342

5,212

5,130

-0.41

-

-

2000

10,078

5,076

5,003

0.42

132

39

2005

10,011

4,998

5,013

-0.25

89

38

2010

10,050

4,964

5,086

-0.53

93

40

2011

10,041

4,950

5,091

-0.09

92

40

2030

9,564

4,635

4,929

-0.32

-

-

2040

9,160

4,415

4,745

-0.52

-

-

Source : Statistics Korea (KOSTAT), 「Future population projections」 2011.12,  「2011 Birth・death statistics」 Press release 2012. 2.

Note : 1) Rate of natural increase= Natural increase per thousand people

Table 3. Population and Population Growth Rate in Gyeonggi-do

Year

Total Population

Population growthrate

Population growth factor

Male

Female

Birth

Death

1990

5,972

6,294

6,634

4.94

-

-

1995

7,738

3,921

3,816

5.19

-

-

2000

9,146

4,630

4,516

2.85

140

39

2005

10,612

5,374

5,239

2.00

109

43

2010

11,576

5,855

5,721

1.76

122

48

2011

11,805

5,971

5,834

1.98

122

48

2030

13,448

6,726

6,722

0.15

-

-

2040

13,246

6,598

6,648

-0.39

-

-

Source : Statistics Korea (KOSTAT), 「Future population projections」 2011.12,  「2011 Birth・death statistics」 Press release 2012. 2.

Note : 1) Rate of natural increase= Natural increase per thousand people

3.1.2 종사자수

인천광역시 2011년 종사자수는 848천명이고, 서울특별시는 4,498천명, 경기도는 3,920천명으로 나타났다(Tables 4~6).

Table 4. Number of Employees in Incheon (Unit : 1,000 People)

Year

Number of employees

Number of businesses

Male

Female

2004

724

436

288

157

2005

728

438

290

155

2006

745

449

296

155

2007

765

461

305

159

2008

765

459

306

158

2009

790

470

320

160

2010

828

491

337

164

2011

848

501

347

169

Source : Incheon metropolitan City, 「2012 Statistical annual report」

Table 5. Number of Work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Unit : 1,000 People)

Year

Number of employees

Number of businesses

Male

Female

2004

3,732

2,216

1,516

741

2005

3,843

2,291

1,552

741

2006

3,895

2,296

1,599

734

2007

4,002

2,353

1,649

729

2008

4079

2,388

1,692

720

2009

4177

2,431

1,746

723

2010

4490

2,630

1,860

730

2011

4498

2,619

1,879

752

Source : Statistics Korea (KOSTAT), 「Annual report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Table 6. Number of Workers in Gyeonggi-do (Unit : 1,000 People)

Year

Number of employees

Number of businesses

Male

Female

2004

2,941

1,777

1,164

578

2005

3,066

1,853

1,213

596

2006

3,165

1,909

1,256

619

2007

3,332

2,002

1,330

640

2008

3,439

2,072

1,367

651

2009

3,559

2,125

1,434

660

2010

3,758

2,244

1,514

687

2011

3,920

2,329

1,591

721

Source :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Gyeonggi-do basic statistics」

3.1.3 세대수

2011년 기준으로 인천광역시의 세대수는 1,077천 세대이고, 서울특별시는 4,192천 세대, 경기도는 4,579천 세대로 나타났다(Table 7).

Table 7. Number of Households by Region (Unit : 1,000  Households)

Year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Incheon

908

933

965

995

1,014

1,026

1,059

1,077

Seoul

3,780

3,871

3,978

4,046

4,097

4,116

4,224

4,192

Gyeonggi-do

3,748

3,910

4,068

4,183

4,284

4,359

4,527

4,579

Source: Statistics Korea (KOSTAT)

3.1.4 가구수

2011년 기준으로 인천광역시의 세대수는 942천 가구이고, 서울특별시는 3,524천 가구, 경기도는 3,948천 가구로 나타났다(Table 8).

Table 8. Number of Household by Region (Unit : 1,000  Households)

Year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Incheon 

816

830

851

871

890

902

919

942

Metro Seoul

3,292

3,338

3,408

3,445

3,469

3,495

3,500

3,524

Gyeonggi-do

3,233

3,342

3,453

3,545

3,632

3,717

3,839

3,948

Source: Statistics Korea (KOSTAT)

3.2 밀도(순 밀도)

인구밀도는 주거환경에 대한 주민들의 주관적 평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인구밀도는 용적률과 유사한 맥락의 지표로서, 공업지역 등 주거와 관련이 없는 토지 등의 면적이 밀도 산정과정에서 제거된 순 인구밀도를 분석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3.2.1 인천광역시 순인구밀도(Table 9)

Table 9. Net Density of Population Living Area in Incheon

Living area

in 1991

in 1995

in 2000

in 2005

Total

281.4

305.5

301.0

293.6

City Center

Imhea area

510.5

410.0

260.0

269.4

Juan area

167.5

322.4

319.0

319.8

Guwol area

238.8

235.4

233.5

359.0

Southern area

Songdo area

-

-

30.3

Namdong area

179.5

269.2

488.5

568.3

Yeonsu area

77.5

137.6

164.8

153.3

Eastern area

Bupyeong area

548.5

401.6

434.0

447.4

Geyyang area

404.6

553.5

665.4

663.4

Western area

Chungra area

322.2

251.9

132.1

475.3

Gumdan area

-

-

-

182.4

Gajwa area

438.5

551.1

519.3

455.9

Yongdong area

-

-

-

45.0

Source: Jong Hyun Lee 『The prospects of regional co-housing price changes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Summary from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2006, p.65

3.2.2 주택보급율(Table 10~12)

Table 10. Housing Supply Rate (Incheon) (Unit : households)

Year

Classification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Ordinary households

679,275

685,072

875,189

892,366

918,850

943,548

965,499

Total

733,618

758,603

872,442

894,397

936,688

964,615

1,003,230

Detached house

112,778

111,928

86,933

85,975

108,315

107,261

76,424

Multi-household house

-

-

117,974

120,094

114,136

115,770

147,705

Apartment

408,092

433,206

447,951

462,217

483,847

503,520

534,675

Row house

21,189

21,076

21,320

21,833

24,923

25,428

25,937

Multiplex housing

183,273

184,107

189,978

195,992

197,957

205,126

210,979

House in non-residental building

8,286

8,286

8,286

8,286

7,510

7,510

7,510

Total

108.0

110.7

99.7

100.2

101.9

102.2

103.9

Source: Incheon statistical annaul report

Table 11. House Supply Rate (Seoul) (Unit : households)

Year

Classification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Ordinary households

3,349,670

3,403,152

3,453,648

3,500,895

3,504,297

3,552,453

3,594,613

Total

3,151,268

3,172,505

3,231,707

3,257,736

3,399,773

3,449,176

3,497,951

Detached house

243,581

236,477

229,207

224,319

165,295

157,185

174,365

Multi-household house

988,762

988,694

987,486

985,232

1,114,843

1,112,556

1,110,879

Apartment

1,307,113

1,330,658

1,381,252

1,407,114

1,485,869

1,522,637

1,546,509

Row house

145,278

143,852

143,565

143,135

145,914

144,419

143,772

Multiplex housing

436,479

442,769

460,142

467,899

463,417

487,944

497,991

House in non-residental building

30,055

30,055

30,055

30,037

24,435

24,435

24,435

Total

94.1

93.2

93.6

93.1

97.0

97.1

97.3

Source: Seoul statistical annual report

Table 12. House Supply Rate (Gyeong-gi) (Unit : households)

Year

Classification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Ordinary households

2,822,512

2,917,375

3,665,556

3,775,645

3,831,134

3,968,072

4,090,622

Total

2,805,511

2,865,196

3,520,572

3,642,765

3,836,700

3,952,364

4,060,910

Detached house

551,307

519,688

1,063,214

1,075,110

1,126,634

1,172,489

1,188,777

Multi-household house

126,094

130,123

672,670

684,071

767,955

787,178

803,921

Apartment

1,777,552

1,833,038

1,934,844

2,037,760

2,183,845

2,262,165

2,323,705

Row house

153,715

152,679

153,227

154,068

150,705

152,018

153,525

Multiplex housing

322,937

328,107

337,657

344,366

348,542

365,692

394,903

House in non-residental building

-

31,684

31,630

31,461

26,974

-

-

Total

99.4

98.2

96.0

96.5

100.1

99.6

99.3

Source: Gyeong-gi statistical annual report

3.3 토지이용 특성

토지이용특성과 관련된 변수에서는 전반적으로 용도별 개발밀도가 높은 역세권에서 대중교통의 이용수요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Tables 13~15).

Table 13. Total Floor Area by Land Area in Incheon (Unit : m2)

Year

Total

Residential areas

Commercial areas

Agriculture and Fisheries areas

Industrial areas

Education/Social areas

Public areas

Other areas

2004

7,213,007

3,251,135

2,151,055

15,583

627,189

477,676

67,322

623,047

2005

4,441,971

1,340,441

1,411,550

7,303

673,646

590,946

119,469

298,316

2006

5,057,114

1,593,408

1,593,568

13,039

885,049

683,807

30,920

257,323

2007

7,796,036

3,126,978

2,308,017

29,309

614,805

854,350

199,082

663,495

2008

5,766,016

2,280,330

1,744,540

31,041

354,385

832,018

121,314

402,388

2009

3,958,658

1,520,896

1,273,289

34,045

301,553

479,733

81,596

267,546

2010

6,106,399

3,360,502

1,182,063

41,590

501,686

110,173

481,790

428,595

2011

7,694,842

3,570,025

1,348,817

18,823

623,355

341,024

1,113,102

679,696

Source: Incheon, 「2012 Incheon statistical annual report」

Table 14. Total Floor Area by Land Area in Metro Seoul (Unit : m2)

Year

Total

Residential areas

Commercial areas

Agriculture and Fisheries areas

Industrial areas

Education/Social areas

Public areas

Other areas

2004

11,959,615

3,012,464

5,892,226

1,243

1,018,238

1,459,007

72,623

503,814

2005

24,085,657

6,087,500

12,323,078

493

510,049

39,704

4,715,967

408,866

2006

31,694,841

9,174,622

17,988,185

851

581,607

3,532,191

350,260

67,125

2007

47,660,708

5,696,035

34,690,232

6,266

1,054,278

5,048,611

112,429

1,052,857

2008

14,432,457

2,932,249

6,548,128

1,983

1,341,140

114,795

3,344,252

149,910

2009

8,499,572

1,878,711

4,479,614

718

235,689

135,250

1,524,192

245,398

2010

49,549,715

3,212,854

35,727,461

302,634

1,353,788

8,952,420

-

558

2011

81,334,155

3,597,039

68,413,331

794

836,828

6,568,670

358,176

1,559,317

Source: Metro seoul city, 「Seoul statistical annual report」

Table 15. Total Floor Area by Land Area in Gyeonggi-do (Unit : m2)

Year

Total

Residential areas

Commercial areas

Agriculture and Fisheries areas

Industrial areas

Education/Social areas

Public areas

Other areas

2004

32,598,988

10,788,510

9,256,904

474,415

6,800,114

2,192,424

227,315

2,859,306

2005

29,812,193

12,730,571

5,849,598

584,842

4,478,179

2,401,673

225,035

3,542,295

2006

38,257,181

14,483,782

9,302,391

696,612

5,675,164

3,058,616

315,372

4,725,244

2007

44,516,214

20,277,516

9,775,032

813,584

4,021,159

3,410,580

392,582

5,825,761

2008

33,750,938

9,542,033

10,505,670

738,445

5,151,880

3,236,803

559,816

4,016,291

2009

30,090,233

11,757,161

6,945,297

723,547

3,322,240

2,979,814

1,080,882

3,281,292

2010

30,640,131

9,481,112

8,620,864

980,769

4,475,878

3,229,547

799,832

3,052,129

2011

30,829,444

10,570,611

8,027,053

790,245

4,073,727

2,801,637

728,720

3,837,451

Source: Gyeonggi provincial office, 「Gyeonggi-do, basic statistics」

3.4 수단통행량 특성

3.4.1 인천시 수단통행 통행지표(Table 16)

3.4.2 서울시 수단통행 통행지표(Table 17)

3.4.3 경기도 수단통행 통행지표(Table 18)

3.5 대중교통 특성

3.5.1 도시철도 및 전철운행 현황

수도권 도시철도 및 전철노선은 20개 노선으로 영업거리 741.7km, 역수는 503개로 평균역간거리가 1.47km로 나타났다. 도시철도 및 전철 이용자 수는 2010년 3,315백만 명으로 일평균 수송인원은 9,230천명으로 나타났다(Table 19).

Table 16. Index of Transportation in 2010(Incheon) (Unit : transportation/day,%)

Classification

Walk

Car

Bus

Subway/Train

Taxi

Bicycle

Etc

Total

Related to Incheon

1,523,600

2,571,343

1,700,757

931,155

441,654

87,167

405,876

7,661,552

19.9

33.6

22.2

12.2

5.8

1.1

5.2

100

1,504,564

1,609,364

1,367,226

296,205

409,050

81,367

212,547

5,480,323

Incheon→Incheon

27.5

29.4

24.9

5.4

7.5

1.5

3.8

100

9,520

470,066

168,342

323,521

15,474

3,717

92,153

1,082,793

Incheon→outside Incheon

0.9

43.4

15.5

29.9

1.4

0.3

8.5

100

9,516

491,913

165,189

311,429

17,130

2,083

101,176

1,098,436

Outside Incheon→Incheon

0.9

44.8

15.0

28.4

1.6

0.2

9.2

100

12,505,665

15,720,111

13,806,410

11,598,259

3,370,306

877,563

2,351,543

60,229,859

Outside Incheon→Outside Incheon

20.8

26.1

22.9

19.3

5.6

1.5

3.8

100

14,029,266

18,291,454

15,507,167

12,529,414

3,811,960

964,731

2,757,419

67,891,411

Total

20.7

26.9

22.8

18.5

5.6

1.4

4.1

100

Source : Traffic census  of passenger O/D volume and joint-investigation of future travel demand estimation by KOTI, 2011

Note) Include transfer inter-subway, ETC : Auto-bike, etc.

Table 17. Index of Transportation in 2010(Seoul) (Unit : transportation/day,%)

Classification

Walk

Car

Bus

Subway/Train

Taxi

Bicycle

Etc

Total

Related to Seoul

6,001,959

7,501,989

8,745,688

11,289,364

2,236,058

497,126

1,382,479

37,654,663

15.9

19.9

23.2

30.0

5.9

1.3

3.8

100

Seoul→Seoul

5,937,425

4,491,365

6,880,046

8,227,622

2,033,740

480,760

897,797

28,948,755

20.5

15.5

23.8

28.4

7.0

1.7

3.1

100

Outside Seoul→Seoul

64,534

3,010,624

1,865,642

3,061,742

202,318

16,366

484,682

8,705,908

0.7

34.6

21.4

35.2

2.3

0.2

5.6

100

Outside Seoul→

Outside Seoul

8,027,307

10,789,465

6,761,479

1,240,052

1,575,902

467,605

1,374,940

30,236,750

26.5

35.7

22.4

4.1

5.2

1.5

4.6

100

Total

14,029,266

18,291,454

15,507,167

12,528,416

3,811,960

964,731

2,757,419

67,891,413

20.7

26.9

22.8

18.5

5.6

1.4

4.1

100

Source : Traffic census  of passenger O/D volume and joint-investigation of future travel demand estimation by KOTI, 2011

Note) Include transfer inter-subway, ETC : Auto-bike, etc.

Table 18. Index of Transportation in 2010(Gyeong-gi) (Unit : transportation/day, %)

Classification

Walk

Car

Bus

Subway/Train

Taxi

Bicycle

Etc

Total

Gyeong-gi↔

Gyeong-gi

Northern Gyeong-gi↔Northern Gyeong-gi

1,470

1,059

858

65

207

85

152

3,896

Northern Gyeong-gi↔

Southern Gyeong-gi

129

1,336

1,039

215

185

24

131

3,060

Southern Gyeong-gi↔

Southern Gyeong-gi

4,905

5,633

3,112

277

747

271

651

15,597

Subtotal

6,504

8,028

5,008

557

1,139

380

935

22,552

Sharing ratio

28.8

35.6

22.1

2.5

5.1

1.7

4.2

100

Gyeong-gi↔

Seoul

Gyeong-gi↔

Seoul

Northern Gyeong-gi→Seoul

7

305

194

240

19

3

48

816

Southern Gyeong-gi→Seoul

19

890

575

460

72

5

118

2,140

Subtotal

26

1,195

769

700

91

8

167

2,956

Gyeong-gi↔

Seoul

Seoul→

Northern Gyeong-gi

8

304

200

232

26

3

52

824

Seoul→

Southern Gyeong-gi

22

926

568

436

74

5

123

2,156

Subtotal

30

1,230

768

669

100

8

175

2,980

Subtotal

56

2,425

1,537

1,369

191

16

342

5,935

Sharing ratio

0.9

40.9

25.9

23.1

3.2

0.3

5.7

100

Gyeong-gi↔

Incheon

Southern Gyeong-gi↔

Southern Gyeong-gi

3

151

60

71

7

2

29

322

Southern Gyeong-gi↔

Southern Gyeong-gi

9

424

82

41

15

4

84

659

Subtotal

12

575

142

111

22

6

114

981

Sharing ratio

1.2

58.6

14.5

11.3

2.2

0.6

11.6

100

Gyeong-gi↔

Outside Gyeong-gi

Southern Gyeong-gi↔

Southern Gyeong-gi

1

74

26

24

0

0

17

1,432

Southern Gyeong-gi↔

Southern Gyeong-gi

4

457

144

50

5

0

80

741

Subtotal

5

531

170

74

6

0

7

883

Sharing ratio

0.6

60.1

19.2

8.4

0.7

0.0

11

100

Total

Traffic volume

6,577

11,559

6,857

2,111

1,358

402

1,488

30,352

Sharing ratio

21.7

38.1

22.6

6.9

4.5

1.3

4.9

100

Source : Traffic census  of passenger O/D volume and joint-investigation of future travel demand estimation by KOTI, 2011

Note) Include transfer inter-subway, ETC : Auto-bike, etc.

Table 19. Urban Rail and Train Transportation Persons (Unit : 1,000  People)

Kinds

Number of lines (No)

Operating distance (km)

Number of station (No.)

Time required

(Minute)

Service number

(Weekdays)

Number of passengers in 2009

Average number of passengers per day

Metropolitan area

18

685.3

449

16~138

6,215

3,205,628

8,810

Incheon

1

29.4

29

54

312

75,103

206

Metro-9

1

27.0

25

Express : 30

General : 52

366

34,493

214

Total

20

0

0

16~138

0

0

0

Source: Urban rail transport plan,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2010

3.6 Social MIx

3.6.1 65세 노인인구(Table 23)

Table 23. Population of Age 65 (Unit : people)

Year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Incheon 

189,940

204,880

215,860

226,610

237,805

250,528

260,107

Metro Seoul

786,580

852,235

898,700

942,946

1,007,572

1,049,425

1,110,995

Gyeo-nggi-do

810,472

875,099

934,042

969,263

1,025,883

1,075,712

1,138,831

Source: Gyeong-gi, Seoul, Incheon statistic annual report

3.6.2 수용 학생수(Tables 24~26)

Table 24. Acceptable Number of Students(Incheon) (Unit : people)

Classification Year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Kindergarten

29,950

31,368

31,858

32,521

34,592

38,162

41,594

Elementary school

214,671

205,781

193,210

183,261

173,598

164,928

157,918

Middle school

121,864

118,916

115,198

112,142

107,234

103,593

100,776

High school

106,501

111,480

114,382

113,247

110,409

77,592

104,188

Community college

20,685

21,049

21,558

17,011

17,285

15,240

17,819

Teachers college

2,720

2,135

1,943

1,775

1,990

1,491

655

University

30,353

31,982

34,308

40,018

52,626

24,035

50,691

Graduate school

6,144

6,381

6,763

9,368

7,601

3,362

7,730

Etc

1,305

2,178

2,169

1,499

1,581

1,704

1,560

Total

534,193

531,270

521,389

510,842

506,916

430,107

482,931

Source: Incheon statistical annual report

Table 25. Acceptable Number of Students(Seoul) (Unit : people)

Classification Year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Kindergarten

85,764

82,461

82,144

79,704

78,789

81,237

87,997

Elementary school

689,169

665,227

633,486

598,514

566,149

535,948

502,000

Middle school

384,977

375,937

365,579

355,838

345,413

330,219

315,241

High school

349,154

355,193

361,942

368,075

362,466

353,632

344,391

Special-education school

-

-

-

-

-

4,907

4,864

Community college

65,808

66,051

65,940

65,350

65,033

64,142

63,642

Teachers college

2,487

2,435

2,345

2,223

2,139

2,005

1,888

University

451,481

454,639

440,846

447,982

468,509

471,648

494,016

Graduate school

133,325

133,844

131,707

134,061

140,621

143,625

144,657

Etc

358,987

354,386

357,697

384,860

384,973

398,027

382,467

Total

2,521,152

2,490,173

2,441,686

2,436,607

2,414,092

2,385,390

2,341,163

Source: Seoul statistical annual report

Table 26. Acceptable Number of Students(Gyeong-gi) (Unit : people)

Classification Year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Kindergarten

133,034

135,245

136,558

137,566

141,626

150,966

166,705

Elementary school

966,347

951,908

920,586

880,141

848,135

814,927

775,163

Middle school

487,357

489,548

488,203

484,656

482,170

472,878

463,600

High school

385,461

411,732

436,635

456,897

461,461

462,456

462,490

Community college

245,024

238,339

184,577

164,966

234,606

237,181

218,520

Teachers college

977

1,421

1,737

1,737

1,738

1,257

1,556

University

249,007

265,101

243,991

255,122

284,271

276,136

300,366

Graduate school

25,871

27,035

27,837

30,416

36,107

31,015

29,882

Etc

5,618

5,705

5,954

6,427

6,730

7,183

7,239

Total

2,498,696

2,526,034

2,446,078

2,417,928

2,496,844

2,453,999

2,425,521

Source: Gyeong-gi statistical annual report

3.6.3 주택 점유형태(Tables 27~29)

Table 27. Housing Tenure Status(Incheon) (Unit : households)

Year

Classification

2005

2010

Own house

498,592

510,343

Lease (Jeonsei)

175,978

211,497

Monthly rent with security deposit

109,010

154,258

Monthly rent without security deposit

14,583

18,711

Monthly rent

3,692

4,913

Free of charge

21,168

19,128

Total

823,023

918,850

Source: Incheon statistical annual report

Table 28. Housing Tenure Status(Seoul) (Unit : households)

Year

Classification

2005

2010

Own house

1,475,848

1,439,336

Lease (Jeonsei)

1,100,175

1,152,714

Monthly rent with security deposit

612,499

782,696

Monthly rent without security deposit

50,487

60,903

Monthly rent

16,994

19,271

Free of charge

53,887

49,375

Total

3,309,890

3,504,297

Source: Seoul statistical annual report

Table 29. housing tenure status(Gyeong-gi) (Unit : households)

Year

Classification

2005

2010

Own house

1,770,538

1,882,056

Lease (Jeonsei)

896,459

1,073,298

Monthly rent with security deposit

503,591

715,296

Monthly rent without security deposit

49,969

54,818

Monthly rent

18,333

20,686

Free of charge

90,287

84,978

Total

3,329,177

3,831,134

Source: Gyeong-gi statistical annual report

3.7 자료실태조사

1) 각 시군구별 용도별 건축연면적 : 복합용도지수 비교(LUM: Land Use Mix)

- 주거, 상업, 업무, 공업, 문화, 교육, 기타

- LUM = PIC5F09.gif = 토 지이용I의 연면적/총 연면적 비율

※자료출처 : 국토부세움터 2011.2, 2012.7, 전국 시군구 용도별 건축연면적

2) 각 시군구별 종사자수, 기업체수, 직종별 종사자수(Job- Balance):

- 직주비1 = 종사자수/인구수,

- 직주비2 = 종사자수/세대수

- 직주비3 = 종사자수/주택수

※자료출처 : 인천, 서울, 경기통계연보, 2011년자료, 2012년 발행

- 순직주비1 = 시구군 내부수단통행/총 발생 수단통행

※자료출처 : KTDB 수도권 TAZ별 수단교통 OD조사, 2012. 교차통행 제외 발생 통행량만으로 산정

※시 도 내부통행중 서울시와 경기도는 북부와 남부 및 전체로 구분 분석, 수단통행량을 근거로 내외부 및 총 수단발생 통행량을 산정

3) 밀도(Density) : 각 시군구별 인구, 세대수, 면적, 학생수, 주택보급율.

- 밀도 = 각시군구별인구/면적(Km²)

- 순 밀도 = 각 시군구별 인구/대지면적(Km²)

※자료출처 : 서울, 인천, 경기도 통계연보 2012

4)각 시군구별수단통행량 : 버스, 지하철/철도, 보행자/자 전거 이용율

- 수도권 TAZ 수단별 OD

※자료출처 : KTDB 가구통행 실태조사 수단기준2011 통행자료, 2012.

5) 수도권 전철/지하철 OD : 각 역별 OD

※자료출처 : KTDB 수도권 지하철/전철 OD

6)Social Mix : 수도권 시군구별 65세 노인 인구, 수용 학생수, 주택 점유형태(자가, 전세, 월세, 무상 가구수).

※인천, 서울, 경기, 통계연보 2012

4. 회귀식 모형을 통한 각 요소별 관련성 분석

4.1 각 요소별 일표본 t-test

4.1.1 선행연구를 통한 지표선정

선행연구에서 선정한 지표는 다음 Table 30과 같다.

4.1.2 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지표선정

FGI (Focus Group Interview, 표적 집단 면접)을 위해 TOD계획요소를 고찰하여 TOD의 이론을 검토하고, 선행연구 및 최근 동향분석과 시사점을 반영한 계획요소를 연구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선정된 변수는 인구사회특성, 토지이용특성, 대중교통특성, 접근특성으로 분류가능하다.

먼저, 인구사회특성에는 인구, 종사자수, 주거연면적, 직주비1(종업원수/인구수), 직주비2(종업원수/세대수), 순직주비(내부통행/총 통행)가 속하고, 토지이용특성에는 상업연면적, 업무연면적, 교육연구연면적, 문화연면적, 공업연면적, 용적률, 복합용도지수(LUM)이 포함된다. 대중교통특성에는 지하철역수, 버스정류장 수, 자전거 보관대수, 환승주차대수가 있고, 접근특성에는 역 출입구수, 역간거리, 보행접근거리, 자전거 도로가 이에 속한다.

선정된 변수인 인구사회특성, 토지이용특성, 대중교통특성, 접근특성이 대중교통 통행패턴변화에 미치는 일반적 효과는 대중교통이용수요 증가, 대중교통 수단분담률 증가, 차량당 탑승자수 증가, 도모 및 자전거 수단분담률 증가, 통행거리 감소 등 다양한 효과로 나타난다.

Table 30. Selection Indicator of Previous Research

Previous research

planning elements

Calthrope

Cervero

Gum hee Hwang

Hyunggon Sung

Jihyung Park

Youngtack Oh

Sunghae Park

1993

2001

2006

2007

2008

2009

2011

Number of people

O

O

Number of employees

O

O

O

Residential rate

O

O

O

O

O

O

Commercial rate

O

O

O

O

O

O

Business rate

O

O

O

O

O

Floor area ratio

O

O

Complex Building Ratio

O

O

O

Number of bus routes

O

O

O

O

Number of bus stations

O

O

O

Number of bike racks

O

O

O

O

Number of transit parking lots

O

O

O

Number of doorways

O

O

O

Number of users

Approach distances

O

O

O

O

O

Number of crossroads

Density of development

O

O

O

Allocation interval

O

Number of public facilities

O

O

각 특성별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인구사회특성 : 대중교통 이용수요 증가대중교통 수단분담률 증가

- 토지이용특성 : 대중교통 수단분담률 증가차량당 탑승자수 증가통행빈도 및 통행거리 감소

- 대중교통특성 : 대중교통 수단분담률 증가 및 규모 증가접근수단 분담률 증가

- 접근특성 : 도보 및 자전거 수단분담률 증가통행거리 및 접근거리 감소

4.1.3 편리성 평가항목 분석결과

일표본 t-test를 이용한 적합성 검증 결과, 대중교통 특성 중 자전거 보관대수의 p-value가 0.704로 나타났고, 접근특성 중 자전거 도로 연장의 p-value가 0.162로 나타나 0.05를 초과하기 때문에 분석지표로 채택하지 않았다(Table 31).

Table 31. Suitability Verification Result

Characteristics

Analysis indicators

Average diffe-rence

p-value

(p<0.05)

Whether it was adopted

Population characteristics

Population

19261.57

0.000*

Number ofemployees

5.70

0.006*

Job-housing ratio 1

0.279

0.075*

Job-housing ratio 2

0.746

0.012*

Net job-housing ratio

0.654

0.023*

Residential floor area

7.91

0.000*

Land use characteristics

Commercial floor area

6.14

0.001*

Business floor area

1.08

0.003*

Education/research floor area

6.13

0.031*

Culture floor area

1.08

0.000*

Industrial floor area

4.29

0.000*

Floor Area Ratio

79.4

0.000*

Mixed use exponent(LUM)

0.59

0.000*

Public transport characteristics

Number of transit subway route

1.12

0.000*

Number of bus stations

8.57

0.000*

Number of bike racks

102.42

0.704

Number of parking lots around the transit station

399.05

0.000*

Approach characteristics

Number of station doorways

4.57

0.000*

Average approach distance of the bus and subway

152.4

0.045*

Total bike road

1877.275

0.162

따라서, 채택한 최종지표는 다음 Table 32와 같다.

Table 32. Final Indicator

Characteristics

Analysis indicators

Unit

Formula

Source

Population characteristics

Density of population

Person

Population around 500m radius within the station

Statistical annual report, GIS

Number of employees

Person

Employees around 500m radius within the station

Statistical annual report, GIS

Job-housing ratio 1

-

Number of employees/Population

KOSTAT

Job-housing ratio 2

-

Number of emplyoees/Number of households

KOSTAT

Net job-housing ratio

-

Internal traffic/Total Traffic

KTDB

Residential floor area

PIC6004.gif

Residential total area within 500m radius of the station sphere

Building ledger

Land use characteristics

Commercial floor area

PIC6015.gif

Commercial total area within 500m radius of the the station sphere

Building ledger

Business floor area

PIC6025.gif

Business total area within 500m radius of the the station sphere

Building ledger

Education and research floor area

PIC6026.gif

Education total area within 500m radius of the the station sphere

Building ledger

Culture floor area

PIC6037.gif

Culture total area within 500m radius of the the station sphere

Building ledger

Industrial floor area

PIC6057.gif

Industrial total area within 500m radius of the the station sphere

Building ledger

Floor Area Ratio

%

Average floor area ratio within 500m radius of the the station sphere

Building ledger

Mixed use exponent (LUM)

-

Mixed use exponent of station area

Building ledger

Public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Number of transit subway routes

No.

Number of possible tranferable stations

Statistics annual report of Incheon

Number of bus stations

No.

Number of bus stations in the station sphere

Statistics annual report of Incheon

Number of transit parking lots

No.

Number of parking lots in the subway station sphere

Statistics annual report of Incheon

Approach characteristics

Number of station doorways

No.

Number of station doorways

Statistics annual report, GIS

Average approach distance of bus and subway

m

Average approach distance of bus and subway

Statistics annual report, GIS

4.2 각 요소별 상관분석

상관분석은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볼 때 사용하는데, 항상 두 가지의 변수만 보기 때문에 회귀분석보다는 불완전하지만 회귀분석 전 단계에 사용하여 관계가 없는 변수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관분석에서 상관계수 p의 범위는 –1≤p≤1이며, |p|값이 크면 클수록 두 변수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채택한 변수 간 상관분석 결과는 Table 20과 같다.

PIC60D5.gif

Fig. 1. Regression Analysis

4.3 각 요소별 회귀분석

회귀분석의 예측 값으로는 버스-지하철의 평균 접근거리, 교육면적, 문화면적, 공업면적, 주거면적, 순직주비, 용적률, 업무면적, 버스정류장수, 복합용도지수, 직주비1, 출입구 수, 환승주차장 수, 인구밀도, 고용밀도, 보행접근거리, 상업면적이며, 종속변수는 대중교통의 이용객 수이다.

회귀분석 결과 PIC60E6.gif값은 0.599로 약 60%이상의 설명력을 가진 모형이며, Durbin-Watson값은 1.316으로 적합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회귀분석 결과 나타난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PIC6125.gif

PIC6165.gif

여기서, Y=1일 대중교통 이용객 수

     PIC6166.gif=고용밀도

     PIC6176.gif=인구밀도

     PIC6177.gif=버스정류장수

     PIC6188.gif=버스-지하철 평균접근거리

     PIC6189.gif=주거면적

     PIC619A.gif=업무면적

     PIC619B.gif=상업면적

Table 33.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Public transportation ratio

Popula-tion density

Employment density

Residential area

Commercial area

Busi-ness area

Educa-tion area

Indus-trial area

Culture area

Floor area ratio

Mixed use expo-nent

Job-housing ratio 1

Job-housing ratio 2

Net job-housing ratio

Num-ber of bus stations

Num-ber of transit parking lots

Num-ber of station door-ways

Ave-rage app-roach distance

Bus-

subway

Pear-son correlation

Public transportation ratio

1.000

Popula-tion density (person)

-.133

1.000

Employment density (person)

.264

.574

1.000

Residen-tial area

-.167

.748

.392

1.000

Commercial area

.089

.608

.686

.354

1.000

Business area

-.129

.259

.269

.141

.694

1.000

Educa-tion area

-.006

.220

.400

.138

.106

-.115

1.000

Indust-rial area

-.184

.000

.256

.107

-.020

-.084

.059

1.000

Culture area

.100

-.004

.297

-.047

.225

.075

.060

-.099

1.000

Floor area ratio

-.036

.061

-.008

.049

.254

.343

-.382

-.138

.040

1.000

Mixed use exponent

.103

.067

.373

-.263

.366

.292

-.066

-.012

.339

.106

1.000

Job-housing ratio 1

-.044

-.313

-.157

-.264

-.173

-.112

.407

.005

-.061

-.125

-.297

1.000

Job-housing ratio 2

-.041

-.310

-.153

-.262

-.172

-.120

.410

.006

-.059

-.127

-.295

0.520

1.000

Net job-hou-sing ratio

-.248

-.234

-.378

-.156

-.138

.113

-.177

.054

.037

.073

-.023

.101

.101

1.000

Number of bus stations

.350

.447

.419

.212

.469

.121

.168

.029

-.070

.011

.112

-.243

-.235

-.121

1.000

Number of transit parking lots

-.056

-.181

-.130

-.093

.179

.188

-.237

-.073

.621

.179

-.036

.024

.025

.243

-.023

1.000

Number of station doorways

-.275

.408

.110

.408

.458

.559

-.098

-.042

-.099

.240

.001

-.099

-.100

.325

.333

.098

1.000

Average approach distance

.246

-.028

-.111

.027

-.126

-.339

.032

-.160

-.074

-.192

-.394

.113

.121

-.099

.190

-.026

-.107

1.000

Bus-subway

-.076

-.312

-.310

-.093

-.402

-.359

.021

-.124

.077

-.044

-.389

.444

.450

.098

-.506

.129

-.268

.620

1.000

5. 결 론

5.1 연구 결과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이용객 수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의 각 지역별 주요 TOD계획요소인 복합용도수준, 직주근접수준, 밀도와 순 밀도 비교 등을 통한 66개 자치 시군구의 TOD계획요소 달성도를 비교하고 세분화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표를 선정하였다. 상관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설명력을 가진 모형을 도출하였다.

인천광역시 지하철역 29개와 경인선 11개 역세권 회귀분석결과, 변수 중 대중교통 이용객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종사자 수로 40개 역세권 회귀분석결과 대중교통이용객 수에 TOD 계획요소중 0.719로 분석되었음. 그 다음으로 인구수, 역세권 내 버스정류장 수, 버스정류장-지하철 역 출입구 간의 거리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역세권내 종사자 수가 가장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은 역세권은 근무자가 많을수록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통행량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역세권내 거주인구가 많을수록 대중교통 통행량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역세권내 버스정류장이 많을수록 버스정류장과 지하철 역사의 거리가 짧을수록 대중교통 이용객수가 증가하는 것은 환승이용의 편리성과 환승카드 활용에 따른 요금 감면효과로 대중교통 이용율 증대의 원인이라 볼 수 있다.

역세권의 종사자수, 인구수, 버스정류장 수, 버스정류장과 지하철 역간접근거리, 주거 연면적, 업무연면적, 상업연면적등 TOD의 핵심 계획요소들이 대중교통 이용객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천시 지역의 29개 지하철 및 11개 경인전철역 주변의 역세권은 이미 중요한 TOD 계획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각 지하철과 전철 역세권은 TOD가 상당부분 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References

1 
Anthony, J. Hayter (2002). Probability and statistics, Tomson learning.Anthony, J. Hayter (2002). Probability and statistics, Tomson learning.Google Search
2 
The Transportation Planner Council of the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1988). “Traffic access and Impact Studies for site development.” ITE Journal, pp. 17-24.The Transportation Planner Council of the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1988). “Traffic access and Impact Studies for site development.” ITE Journal, pp. 17-24.Google Search
3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 (2011). Evaluating the impact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USA).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 (2011). Evaluating the impact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USA).Google Search
4 
Incheon Metropolitan City (2013). Chang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transit maintenance medium-term plan (2007-2016) (in Korean).Incheon Metropolitan City (2013). Chang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transit maintenance medium-term plan (2007-2016) (in Korean).Google Search
5 
Jo, K. M. et al. (2011).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Urban Administration, Vol. 24, No. 3, pp. 307-325 (in Korean).Jo, K. M. et al. (2011).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Urban Administration, Vol. 24, No. 3, pp. 307-325 (in Korean).Google Search
6 
John, L. Renne. (2009). “Evaluat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framework: Lessons from Perth's Network city.” Planning Susceptible Communities: Diversity of Approaches and Implementation Challenge, pp. 115-148.John, L. Renne. (2009). “Evaluat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framework: Lessons from Perth's Network city.” Planning Susceptible Communities: Diversity of Approaches and Implementation Challenge, pp. 115-148.Google Search
7 
Lee, J. W. et al. (2012). “Urban regeneration strategy and guidelines for the railway sphere of kyungin line.”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Vol. 13, No. 6, pp. 83-102 (in Korean).Lee, J. W. et al. (2012). “Urban regeneration strategy and guidelines for the railway sphere of kyungin line.”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Vol. 13, No. 6, pp. 83-102 (in Korean).Google Search
8 
Lim, K. W. and Lim, Y. T. (2008). Analysis of transportation network,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Lim, K. W. and Lim, Y. T. (2008). Analysis of transportation network,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Google Search
9 
Metro Seoul (2011). The 2nd Seoul public transportation planning (in Korean).Metro Seoul (2011). The 2nd Seoul public transportation planning (in Korean).Google Search
10 
Oh, E. Y. et al. (2012).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of major factors to apply TO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Journal of the Korean Urban Administration, Vol. 25, No. 4, pp. 31-56 (in Korean).Oh, E. Y. et al. (2012).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of major factors to apply TO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Journal of the Korean Urban Administration, Vol. 25, No. 4, pp. 31-56 (in Korean).Google Search
11 
Ortuzar et al. (2001). Modelling transport, John Wiley & Son, Ltd.Ortuzar et al. (2001). Modelling transport, John Wiley & Son, Ltd.Google Search
12 
Park, C. H. (2013). “(An)empirical effect analysis of 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planning factors on green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by types of urban fabric composition in station influence area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8, No. 5, pp. 107-125 (in Korean).Park, C. H. (2013). “(An)empirical effect analysis of 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planning factors on green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by types of urban fabric composition in station influence area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8, No. 5, pp. 107-125 (in Korean).Google Search
13 
Park, J. H. (2008). Impact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public transportation usage effect on seoul rail station areas, Doctoral Dissertation at HanYang University, Korea.Park, J. H. (2008). Impact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public transportation usage effect on seoul rail station areas, Doctoral Dissertation at HanYang University, Korea.Google Search
14 
Park, J. H. et al.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rehensive benefits of TOD in asia mega cities : Focusing on the Seoul, Bangkok, and Manila Metropolitan Area,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in Korean).Park, J. H. et al.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rehensive benefits of TOD in asia mega cities : Focusing on the Seoul, Bangkok, and Manila Metropolitan Area,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in Korean).Google Search
15 
Park, J. H. et al. (2008). “Impact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transit ridership in seoul rail station areas by using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3, No. 5, pp. 135-151 (in Korean).Park, J. H. et al. (2008). “Impact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transit ridership in seoul rail station areas by using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3, No. 5, pp. 135-151 (in Korean).Google Search
16 
Roger, P. Ross et al. (2004). Traffic engineering, Pearson Prentice Hall.Roger, P. Ross et al. (2004). Traffic engineering, Pearson Prentice Hall.Google Search
17 
Stephen, M. Wheeler et al. (2004).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reader, Stanford University.Stephen, M. Wheeler et al. (2004).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reader, Stanford University.Google Search
18 
Sung, H. G. (2005).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of the US TOD planning and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n Planners Association, Vol. 40, No. 5, pp. 205-224.Sung, H. G. (2005).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of the US TOD planning and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n Planners Association, Vol. 40, No. 5, pp. 205-224.Google Search
19 
Seo, M. H. (2011). “Lesson from the experience of the US TOD Planning and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5, July. 2011. pp. 7-8 (in Korean).Seo, M. H. (2011). “Lesson from the experience of the US TOD Planning and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5, July. 2011. pp. 7-8 (in Korean).Google Search
20 
Sung, H. G. et al. (2012). “A study on urban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public transit shar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72, pp. 3-15 (in Korean).Sung, H. G. et al. (2012). “A study on urban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public transit shar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72, pp. 3-15 (in Korean).Google Search
21 
Todd, A. Litman. (2012). Evaluating transportation land use impact, Victoria Transport Policy Institute.Todd, A. Litman. (2012). Evaluating transportation land use impact, Victoria Transport Policy Institute.Google Search
22 
Todd, A. Litman. (2012). Land use impact on transport, Understanding Smart Growth Saving.Todd, A. Litman. (2012). Land use impact on transport, Understanding Smart Growth Saving.Google Search
23 
Won, J. M. and Choi, J. S. (2007). Traffic engineering revised version, Parkyoungsa.Won, J. M. and Choi, J. S. (2007). Traffic engineering revised version, Parkyoungsa.Google Search
24 
Whang, K. H. et al. (2006). Evaluation of job-housing mismatch and spatial strategies in the capital resign, Korea. GRI (Gyeonggi Research Institute). Whang, K. H. et al. (2006). Evaluation of job-housing mismatch and spatial strategies in the capital resign, Korea. GRI (Gyeonggi Research Institute).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