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국토교통부 낙동강홍수통제소 예볎통제곌 (MOLIT)
  2. 종신회원  겜북대학교 토목공학곌 교수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 정회원  교신저자  겜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곌 박사곌정 (Corresponding Autho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홍수위험지도, 유출생성, 유출누적, 유출읞자, TOPSIS Ʞ법
Flood hazard map, Runoff production, Runoff accumulation, Runoff indices, TOPSIS method

1. 서 론

홍수플핎저감을 위한 비구조적 방안의 하나읞 홍수위험지도는 홍수에 의한 읞명 및 재산 플핎륌 최소화하Ʞ 위핎 칚수 범위, 칚수 심도 등의 칚수정볎와 대플로, 대플처 등의 대플정볎륌 지도상에 표시한 것을 말한닀. 평상시에는 칚수 플핎의 가능성읎 있는 구역곌 ê·ž 정도륌 죌믌듀에게 알렀 홍수에 대한 ꎀ심을 높읎고, 홍수시에는 대플로, 대플지역 등에 대한 정볎륌 제공하여 홍수 플핎륌 최소화하Ʞ 위핎 제작된닀. 국낎의 홍수위험지도는 제낎지 칚수의 가장 큰 원읞읎 되얎옚 제방 월류 및 붕ꎎ에 의한 왞수범람곌 맹홀 월류 등에 의한 낎수칚수에 대비하여 작성되고 있닀. 왞수범람은 제방의 월류 및 붕ꎎ에 따륞 홍수파의 흐늄을 정확히 파악하여알 하며 낎수칚수는 도시 낎배수 시슀템의 곌부하로 읞핎 알Ʞ되는 범람유량에 의한 제낎지 칚수핎석읎 필요하닀. 하지만 왞수 및 낎수범람의 예잡Ʞ술은 ê·ž 핎석상의 얎렀움곌 정교한 수늬수묞학적읞 Ʞ쎈읎론을 바탕윌로 í•Žì•Œ 하므로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시간곌 녞력을 필요로 한닀.

최귌에는 Ʞ후변화로 읞한 도시하천유역에 닚시간에 집쀑적윌로 낎늬는 혞우 및 도시화로 읞한 불투수멎적의 슝가 등윌로 읞핎 왞수범람읎나 낎수칚수에 의한 극한홍수 뿐만 아니띌 지표수의 직접적 칚수플핎도 늘얎나고 있닀. 지표수에 의한 홍수는 죌로 폭우로 읞핎 겜사 분Ʞ점곌 같은 평지에서 음시적읞 유출수의 집적읎 음얎낚곌 동시에 맹홀 등의 수계망읎 빠륎게 묌을 제거하지 못하는 원읞 때묞에 발생한닀. 지표수 칚수는 유역 표멎의 집수지대에서 생성된 유출수에 의핎 겜사륌 따띌 하류로 읎동되얎 겜사분Ʞ점읎나 저지대로 향하게 된닀. 읎 유출의 음부분은 읎동 쀑 사멎윌로 칚투될 수 있고, 하천윌로 환원될 수 있지만, 유역의 특성에 따띌 칚투 및 저류 등윌로의 확산읎나 하천윌로의 유입량읎 맀우 적은 겜우 누적된 지표수듀은 칚수륌 음윌킀는 하나의 원읞읎 될 수 있닀.

Ʞ졎의 홍수위험지도는 홍수의 죌요 원읞읞 집쀑혞우 등에 의한 지표수의 직접적 칚수는 고렀하지 못하고 있닀. 지표수의 유출로 읞한 홍수핎석에 있얎 지ꞈ까지 제안되었던 방법듀은 수늬수묞학적 분석 방법을 Ʞ쎈로 한닀. 읎러한 수늬수묞학적 분석 방법은 하천윌로 유입되는 유량을 산정하Ʞ 위핎 개발된 방법읎Ʞ 때묞에 유출로 읞한 홍수 위험지역읎나, 하천의 영향읎 믞치지 않는 지역의 유출에 대핎서는 거의 고렀하지 못했닀. 지표수 유출로 읞핎 발생하는 홍수의 핎석Ʞ법읎 부재핚에 따띌 유출핎석에 ꎀ한 닀각적읞 묞제듀의 전반적읞 핎결방안의 개발읎 필요하게 되었닀.

홍수위험지도에 대한 연구는 학술적윌로 활발히 읎룚얎지고 있는데, 믞국, 음볞, 유럜 등 많은 국가에서 횚윚적읞 방재대책 수늜곌 지역죌믌듀의 홍수대처능력 제고륌 위핎 읞터넷의 형식 등윌로 배포되고 있닀. 믞국은 1951년 Kansas와 1965년 Colorado 등에서 발생한 대홍수륌 계Ʞ로 연방재난ꎀ늬국(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에서 “홍수위험지도 제작 지칚”을 제정하고, 국가홍수볎험프로귞랚의 음환윌로 홍수위험지도 제작하고 있닀. 제작된 홍수위험지도는 웹상윌로 서비슀되고 있닀.

유럜의 하천은 여러 국가륌 ꎀ통하므로 국가 간의 상혞 영향권에 있닀. 따띌서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위핎 여러 국가 및 닚첎가 연합하여 공동연구첎계륌 구축하고 있닀. European Water Director는 2006년 쎈 서유럜 24개의 국가 및 닚첎로부터의 40여명의 대표로 구성되는 EXCIMAP (European EXchange CIrcle on flood MAPping)을 섀늜하고, 각국의 전묞가 및 정책 결정자듀에 의핎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대한 공동연구첎계륌 구축하였닀(Schmid and Goudie, 2007; Schmid et al., 2007). 홍수Ʞ마닀 큰 플핎륌 유발시킀는 도나우 강의 영향권에 있는 동유럜 국가 ì•œ 20여개 Ʞꎀ은 2007년 도나우 강에 대한 홍수위험지도 작성을 죌된 목표로 하여 DANUBE Flood Risk Project륌 섀늜하고 공동연구첎계륌 구축하였닀.

또한 지표수의 직접적 칚수 등 유역홍수에 ꎀ렚된 연구도 지속적윌로 진행되얎 왔는데, 읎러한 유역홍수에 있얎 유출의 생성곌 누적읎 원읞읎 될 수 있윌며 유역겜사첎가 유출의 생성곌 누적에 믞치는 영향에 대핮 연구가 진행되얎왔닀(Esteves, 1989; Fox, 1997; LeBissonnais, 1998; Chaplot, 2000). 특히, Beven and Kirkby (1979)는 지형지수의 개념을 도입하여 유역에서의 유출 및 배수특성을 분석하였고, Mérot et al. (2003)은 지하수위가 유출에 믞치는 특성을 평가하였닀. Esteves and De Rosa (1989)는 지표멎 저류와 지표유출의 공간적 분포에 대핎서 연구한 바 있닀. Le Gouée and Delahaye (2008)는 농겜지 지역읎 유출에 믞치는 영향곌 토양읎 칚식현상의 상혞 연ꎀ성을 분석하였고, Nicolas (2010)은 토양의 핚수비가 유출속도에 믞치는 상ꎀꎀ계륌 분석하였닀.

지ꞈ까지 유출로 읞한 홍수발생구역 및 홍수플핎지역 예잡은 죌로 수늬수묞학적 분석 방법듀을 Ʞ쎈로 싀시하고 있는데, 읎는 정확한 묌늬적 핎석을 Ʞ반윌로 강우-유출-흐멄-범람핎석윌로 읎얎지는 복잡한 메컀니슘을 필요로 한닀. 또한 대부분 제방읎나 맚홀을 월류하는 제낎지로의 유입량을 Ʞ반윌로 핎석하Ʞ 때묞에 돌발홍수 등의 집쀑혞우에 의핎 유출수가 직접적윌로 칚수에 영향을 믞치는 상황을 핎석하Ʞ에는 묎늬가 있닀. 따띌서 볞 연구의 목적은 Ʞ졎의 홍수위험지도 제작방법읎 안고 있는 정교하고 복잡한 핎석상의 묞제와 계산시간 상의 묞제륌 핎결하고, 유역읞자륌 고렀한 새로욎 홍수위험도 작성 방법에 대핮 제안하고 읎륌 감천유역에 적용하여 Ʞ졎의 홍수위험지도 및 칚수흔적곌 비교·검토하였닀.

2. 유출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 작성 Ʞ법 개발

2.1 Ʞ볞 개념

유출은 유역에 위치한 토양 표멎에서의 유출수 개념윌로 표현할 수 있닀. 강우 발생 후, 유출은 유역 표멎의 집수지대에서 생성되고 읎렇게 생성된 유출수는 겜사와 지형의 형상을 따띌 하류로 읎동된닀. 읎 곌정에서 유출의 대부분 또는 음부분은 읎동 쀑 사멎윌로 칚투될 수 있닀. 읎 유출수는 하천윌로 환원될 수 있고, 저지대나 자연적·읞공적 저류지역에서 누적될 수도 있닀.

유출겜로나 유출누적지역에서의 유출수의 역학적 움직임은 각종 플핎륌 쎈래할 수 있고, 유출로 읞핎 홍수륌 직접 발생시킬 수 있닀. Fig. 1은 유출로 읞핎 지표수 범람읎 알Ʞ될 수 있는 상류로부터 하류까지의 유출에 대한 메컀니슘을 구첎적윌로 섀명하고 있닀.

Fig. 1

Runoff Process for Flood Mapping within Watershed

Figure_KSCE_36_6_07_F1.jpg

특정 지역의 유출로 읞한 잠재성을 고렀하여 유출에 대한 홍수위험지도 작성 알고늬슘을 개발하Ʞ 위핎서는 쉜게 읎용가능한 지늬학적 정볎의 분석읎 필요하닀. 유출에 대한 위험도는 유역의 유출을 알Ʞ하는 지표멎의 특성듀에 대한 자료륌 활용하여 작성할 수 있닀. 자연적 및 읞공적 조걎듀은 유출을 발생시킀고, 발생시킚 유출수륌 읎동시킀며, 특정지역에서 누적을 음윌킬 수 있는데, 읎러한 유출의 발생, 읎동, 누적에 대핮 가용한 지늬학적 정볎의 데읎터베읎슀듀을 활용하여 공간적 유출위험도륌 작성할 수 있닀.

우늬나띌는 지역에 따륞 강수분포가 몚두 닀륎고 동음한 지역읎띌 하더띌도 계절적 특성곌 혞우 또는 태풍 등의 시간적 특성읎 음정하지 ì•Šë‹€. 따띌서 홍수위험지도륌 작성하고자 할 때에는 강수의 쎝량곌 시간분포가 고렀되얎알 한닀. 하지만 유출에 대한 홍수위험도 잡멎에서 대규몚 유역에서 강수의 시간분포에 따륞 홍수위험도륌 핚께 고렀하는 것은 방대한 싀시간 자료와 귞에 따륞 복잡한 곌정의 분석읎 필요하닀. 볞 연구는 정확한 수늬수묞학적 검토시 자료의 수집 및 분석에 따륎는 시간곌 비용을 절감하는데 가장 큰 목적읎 있윌므로 강수에 대한 고렀는 좀 더 섞분화된 대상 유역에 대한 연구에서 수행됚읎 적절하닀 판닚된닀. 필요시 향후 후속연구에서 섀계강수량 등읎 반영된 점강우의 공간분포결곌 등을 고렀할 수 있을 것읎닀. 따띌서 볞 연구에서는 공간적 위험도만을 고렀하여 유출의 위험성을 나타낎고자 하였윌며, 읎륌 위핎 유출의 읎동곌 누적에 췚앜한 지역을 선정하고 GIS륌 읎용한 공간분석을 통핎 유출로 읞한 홍수위험도륌 작성하고자 하였닀.

2.2 유출에 따륞 홍수위험도 작성

2.2.1 유출에 영향을 믞치는 읞자 분석

지표멎에서의 유출수의 생성은 강우 발생 후 토양읎 포화된 후 읎룚얎진닀. 유출에 대한 위험도의 개념은 유출을 발생시킀고, 읎동, 누적시킀는 곌정에서 유역환겜의 닀양한 특성듀곌 ꎀ렚된닀. 볞 연구에서 유출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위핎 지형 및 Ʞ복에 의한 읞자, 토지읎용도 및 토양도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읞자 등을 읎용하였닀.

지형 Ʞ복은 유출의 생성 및 누적에 가장 쀑요한 지배읞자읎닀. 유출분석에 있얎서 지형은 지표멎 저류 및 지표유출의 공간적 분포에 쀑요한 역할을 한닀. 예륌 듀얎 높은 지표멎의 겜사는 지표유출속도륌 슝가시킀고, ꞉겜사륌 지닌 지형은 유출의 생성곌 읎동에 유늬한 겜향읎 있닀. 반대로 유출수의 누적은 완만한 겜사, 저지대 지역, 또는 ꞉겜사에서 완겜사까지의 천읎점에서 발생한닀. 따띌서 겜사의 지역적 특징듀에 따띌 유출수의 생성, 읎동, 누적곌정읎 발생한닀. 유출에 대한 위험도륌 산정하Ʞ 위핎 적용된 Ʞ볞 읞자는 지표멎 겜사, 배수표멎의 형태, 겜사의 천읎점 등읎닀.

토지읎용은 유출의 발생을 쎉진시킀거나 지연시킬 수 있닀. 음반적윌로 도시지역은 낮은 강도의 강우에도 유출을 생성한닀. 농겜지도 유출 생성에 유늬한 조걎을 가지고 있는데, 겜사진 농겜지는 토양의 칚식곌 유출수의 읎동에 유늬한 조걎을 가지고 있닀. 또한 식생읎 발달한 곳의 토양은 유Ʞ묌곌 뿌늬의 공극 등에 의한 작용윌로 유출수에 대한 칚투능을 슝가시킀고 많은 양의 묌을 흡수하멎서 유출 발생을 저감시킚닀. 식묌은 강우의 음부분을 ì°šë‹ší•Žì„œ 토양에 도달하는 강우 강도륌 감소시킀멎서 칚투능 쎈곌로 읞한 유출 현상 또한 감소시쌜 ì–Žë– í•œ 유출 메컀니슘읎든 유출의 생성곌 읎동을 동시에 저감시킀는 역할을 한닀.

토양도륌 통핎 판당할 수 있는 토양잵의 지질구조는 유출의 생성곌 읎동, 유출읎 누적되는 지대에서 발생하는 유출현상에 쀑요한 요소듀읎닀. 암석지역은 투수성읎 거의 없얎서 유출의 발생에 유늬하게 작용하는 요읞읎 된닀. 토양도륌 통핎 추출할 수 있는 토양의 두께 또한 강한 투수성을 지닌 토양에서 유출의 생성에 영향을 믞친닀. 슉, 얇은 두께의 토양은 포화속도가 빠륎Ʞ 때묞에 유출 생성에 유늬한 요소가 된닀.

2.2.2 유출생성지도 및 유출누적지도 작성 Ʞ법

앞서 얞꞉된 유출에 영향을 믞치는 요읞듀곌 ꎀ렚된 몚든 자료로부터 적절한 가공을 통핎 유출생성지도 및 유출누적지도륌 작성하였닀. 지도륌 제작하Ʞ 위핎 수집된 몚든 자료륌 격자Ʞ반의 래슀터 자료로 가공하여 분석, 제작하였닀. 몚든 분석 자료듀은 닀음절에서 Ʞ술된 TOPSIS Ʞ법을 읎용하여 조합하였윌며, TOPSIS의 Ʞ쀀(Criteria)윌로 활용된 각 읞자듀은 생성 및 누적곌정에 믞치는 영향에 따띌 적절히 가공되었닀.

유출생성지도는 하류방향윌로 유하할 수 있는 유출수가 지표멎에서 발생하도록 영향을 죌는 몚든 요소듀을 읞자로 고렀하여 작성된닀. Fig. 2에서 제시된 바와 같읎 토양도, 토지읎용도, 귞늬고 수치지형도륌 통핎 추출되얎 가공된 토지읎용, 토양의 두께, 토양의 불투수성, 토양의 칚식도, 귞늬고 지형의 êž°ë³µ 등의 5가지 요소륌 유출생성지도 작성을 위한 읞자로 고렀하였닀.

Fig. 2

Process for Runoff Production Mapping

Figure_KSCE_36_6_07_F2.jpg

유출생성지도 작성을 위핎 토지읎용은 토지읎용도로부터 유출생성에 유늬한 정도에 따띌 분류된닀. 슉, 포장지대는 유출생성 가능성읎 높은 지대읎Ʞ 때묞에 토지읎용에 ꎀ렚된 읞자에 대핮 최대값을 췚하고, 식생읎 분포한 지대는 최소값을 췚한닀. 토양의 두께, 불투수성, 귞늬고 토양 칚식도에 대한 읞자는 토양도로부터 토양의 성질곌 지질구조륌 분석하여 추출하였닀. 슉, 높은 칚식지수륌 지닌 토양에서는 칚적묌의 흐늄곌 유출읎 쉜게 읎룚얎지고, 앜한 투수성을 지닌 토양은 지멎에 유출수륌 쉜게 생성한닀. 또한 얇은 두께륌 지닌 토양은 빚늬 포화되얎 포화상태의 표멎에서 유출수륌 생성하는 겜향읎 있닀.

Fig. 3

Process for Runoff Accumulation Mapping

Figure_KSCE_36_6_07_F3.jpg

유출누적지도는 유출수에 의핎 잠재적윌로 칚수되Ʞ 쉬욎 지대듀을 나타낞닀. Fig.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읎 토지읎용, 겜사도, 유출천읎점, 귞늬고 저지대로 분석된 지역읎 유출누적지도 생성을 위한 평가 읞자로 채택되었닀.

토지읎용은 유출생성곌 마찬가지로 토지읎용도로부터 유출누적에 유늬한 정도에 따띌 분류하였닀. 슉, 도심지로 흘러듀얎 옚 유출수는 맹홀 등의 읞공적 배수시섀 없읎는 누적된 유출수륌 배제할 수 없닀. 따띌서 도시지역은 유출의 생성뿐만 아니띌 유출의 누적에도 유늬한 영향을 쀄 수 있닀. 또한 습지상태륌 나타낮는 토양상태는 유출을 누적시킀는 겜향을 가지는 영역읎 된닀.

지형Ʞ복읞자와 유출천읎점은 지형형태가 유출 누적에 믞치는 영향을 고렀하여 생성하였닀. 슉, 완겜사륌 지닌 지대듀은 유역의 하류 쪜윌로의 유출을 겜감시킀고 많은 누적조걎을 만듀게 되므로, 완만한 지역겜사듀은 유출수의 누적에 유늬한 요읞윌로 간죌된닀. 또한 ꞉겜사에서 완겜사로 변화하는 천읎점은 지표유출의 누적에 유늬한 지형읎 된닀. 읎러한 녌늬에 Ʞ반하여 지형고와 겜사도륌 읎용하여 지형Ʞ복 읞자와 유출천읎점 읞자륌 생성하였닀.

제낎지가 제방고 또는 하천홍수위볎닀 낮은 지형고륌 가지는 우늬나띌의 지형형상은 유출누적에 유늬한 조걎을 갖는닀. 따띌서 하천의 계획홍수위와 제낎지의 지형고륌 비교·분석한 저지대 형상을 유출누적을 위한 읞자로 핚께 고렀하였닀.

위에 같은 방법론에 의핎 작성된 유출생성지도와 유출누적지도는 Ʞ졎의 홍수위험지도 작성 또는 국토개발 및 읎용에 대한 여러 계획에 활용될 수 있닀. 유출생성지도는 홍수방얎 대책의 수늜시 유출의 생성을 억제하고 칚투륌 슝가시킬 수 있는 시섀묌 섀치륌 위한 Ʞ볞 계획 수늜 등에 활용될 수 있닀. 읎렇게 생성된 유출은 도로 및 하천, 귞늬고 지표륌 따띌 상류에서 하류까지 읎동하며 칚적묌의 흐늄읎나 칚식 등의 음시적읞 플핎륌 알Ʞ할 수도 있닀. 유출누적지도는 칚수가능지점 등의 분석윌로 국토계획 수늜읎나 걎묌 및 사회Ʞ반시섀 섀치시의 위험도륌 판당하는데 횚곌적윌로 활용될 수 있고, 위Ʞꎀ늬 잡멎에서 비상대처계획 수늜 등에 활용될 수 있닀.

3. TOPSISꞰ법의 적용

홍수위험지도 작성 시 여러 읞자륌 동시에 고렀하여 연계 및 통합하Ʞ 위한 닀양한 방법듀읎 있지만, 볞 연구에서는 닀Ʞ쀀의사결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Ʞ법을 읎용하여 홍수위험도륌 작성하고자 하였닀. 읎 Ʞ법은 현싀 묞제에 대한 여러 Ʞ쀀에 입각핎서 대안듀에 대한 선혞의 순서륌 결정하거나 하나의 최적 대안을 선택하는 방법론읎닀.

유출 생성 및 누적지도 작성을 위한 평가읞자로 앞절에서 채택한 각각의 읞자륌 고렀하였윌며, 읎 읞자듀을 평가 Ʞ쀀(Criteria)윌로 선정하여 대안(Alternative)윌로 섀정된 각 격자의 유출 생성곌 누적에 대한 위험도륌 TOPSIS Ʞ법을 읎용하여 작성하였닀. 볞 연구에서는 최귌에 MCDM Ʞ법 쀑 가장 많읎 적용되고 있는 TOPSIS Ʞ법을 적용하였닀.

TOPSIS (Technique for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to an Ideal Solution) Ʞ법에서 닀Ʞ쀀의사결정 묞제의 í•Žë¡œ 제시된 대안은 Fig. 4에서 볎는바와 같읎 읎상적 최적핎(PICAA33.gif, PIS; Positive Ideal Solution)에서 가장 짧은 거늬에 위치하고, 읎상적 최악핎(PICAA82.gif, NIS; Negative Ideal Solution)에서는 가장 뚌 거늬에 위치핎알 한닀는 개념에 귌거하는 Ʞ법읎닀(Chen and Hwang, 1992). 여Ʞ서 PIS는 고렀하고 있는 Ʞ쀀읎 가질 수 있는 값 쀑 가장 읎상적읞 값읎고, NIS는 가장 비읎상적읞 값읎닀. PIS는 유출의 생성곌 누적에 가장 유늬한 조걎을 가지는 래슀터 영역읎 되고, NIS는 반대로 가장 불늬한 조걎을 가지는 래슀터 영역에 핎당한닀.

Fig. 4

Concept of TOPSIS Method

Figure_KSCE_36_6_07_F4.jpg

TOPSIS륌 적용하Ʞ 위핎 가장 뚌저 읎룚얎젞알 하는 절찚는 서로 닀륞 닚위와 묌늬량을 가지는 닀양한 자료륌 하나의 닚위로 표쀀화하는 곌정윌로 Ʞ법의 적용, 자료의 특성에 따띌 닀양한 방법읎 있닀(Nardo et al., 2005). 볞 연구에서는 TOPSIS Ʞ법읎 제안된 당시의 방법읞 Eq. (1)을 읎용하여 자료륌 표쀀화하였닀(Chen and Hwang, 1992).

PICAAD1.gif for j = 1, 
, J; i = 1, 
, n

 (1)

표쀀화된 자료는 각 Ʞ쀀듀에 대한 가쀑치륌 곱하여 닀음 Eq. (2)와 같은 맀튞늭슀륌 구성할 수 있닀. 가쀑치는 각 읞자듀 간의 상대적 쀑요성을 고렀하Ʞ 위핎 맀우 쀑요한 요소읎닀. 볞 연구는 홍수위험지도 활용을 위핎 유출생성곌 유출누적읎띌는 개념을 도입하는데 쎈점을 맞추고 있고, 부적절한 가쀑치의 적용은 평가결곌의 왜곡을 쎈래할 수 있닀고 알렀젞 있얎(Lim et al., 2010) 각 읞자듀의 가쀑치륌 동음하게 적용하였닀. 닀양한 Ʞ법듀을 활용한 가쀑치 산정곌, ê·ž 가쀑치에 대한 검슝은 향후 후속연구륌 통핎 읎룚얎질 수 있을 것윌로 판닚된닀.

PICAB01.gif (2)

Eqs. (3) and (4)에 의핎 유출발생곌 유출누적에 대핮 읎상적 최적핎(PICAB31.gif)와 최악핎(PICAB51.gif)을 결정하고, 대안윌로 적용된 각 래슀터의 읞자값에서 PICAB91.gif와 PICABB1.gif까지의 찚읎륌 Eqs. (5) and (6)을 읎용하여 계산한닀. 슉, 가장 높은 위험도륌 가지는 Ʞ쀀값읞 PICABE1.gif까지의 거늬(PICAC11.gif)와 가장 낮은 위험도륌 가지는 Ʞ쀀값읞 PICAC31.gif까지의 거늬(PICAC51.gif)륌 계산하여 각 격자의 평가결곌륌 계산한닀.

PICAD5C.gif (3)

PICAEB4.gif (4)

PICAFAF.gif (5)

PICB02D.gif (6)

PICB04E.gif와 PICB06E.gif가 얻얎지고 나멎, 각 격자에 대하여 읎상적읞 솔룚션윌로부터 상대적읞 귌접성을 Eq. (7)을 읎용하여 계산한닀. 계산된 상대적 귌접성 결곌륌 읎용하여 랭킹화 또는 등꞉화륌 읎용하여 유출생성 또는 유출누적에 대한 정도륌 나타낮는 지도륌 작성하였닀.

PICB0DC.gif (7)

4. 감천유역에 대한 적용

유출생성지도 및 유출누적지도륌 작성하고 홍수위험지도로 활용하Ʞ 위핎 낙동강의 쀑권역읞 감천유역을 시범유역윌로 선정하였닀. 감천유역은 낙동강 유역에 포핚되얎 있는 쀑권역윌로썚 국가하천읞 감천 쀑하류부와 지방하천읞 감천 상류부 및 10여개의 지류듀로 구성되얎 있닀. 7개의 표쀀유역을 포핚하는 감천유역은 지형학적읞 불늬핚 때묞에 대형 태풍의 낎습시 빈번한 플핎륌 입얎왔윌며, 특히 직지사천 합류부륌 포핚하는 감천시가지는 저지대륌 포핚하는 지형학적 특성 때묞에 ê·ž 플핎도 상당한 것윌로 알렀젞 있닀.

4.1 감천유역에서의 유출생성 및 유출누적 읞자 분석

유출생성지도륌 작성하Ʞ 위핎 앞서 읞자로서 채택된 투수성, 토양두께, 토양칚식도, 토지읎용도, 겜사도의 자료륌 활용하였닀. 분석을 위핎 GIS 도구륌 사용하였고, 감천유역에 대핮 수집된 몚든 자료륌 5m×5m 격자Ʞ반의 래슀터자료로 변환하였닀. 토양의 투수성곌 토양두께 읞자는 토양도의 속성을 읎용하여 추출되었고, 겜사도는 수치지형도륌 읎용하여 추출한 등고정볎륌 TIN윌로 변환한 후 산정하였닀.

토양의 투수성을 유출생성지도 작성을 위한 읞자로 고렀하Ʞ 위핎 토양도로부터 배수구분에 따륞 정도륌 구분하여 분류하였닀. 배수구분에 대한 윔드가 높을수록 배수상태가 양혞하지 못한 토양을 의믞하며, 49로 나타난 지역은 암석녞출지로썚 유출생성률읎 가장 높은 지역윌로 섀정하였닀. 적용유역에 대핮 토양도륌 읎용하여 추출된 투수성 읞자륌 Fig. 5(a)에 도시하였닀. 유출생성지도 작성을 위핎 토양도로부터 유횚토심 정볎륌 추출하여 토양두께 읞자륌 생성하였닀. 토심읎 얕을수록 토양수분 빠륞 속도로 포화되므로 유출에 유늬하게 작용하게 된닀. 토양두께에 대한 윔드가 높을수록 낮은 유횚토심을 가지는 토양을 의믞하며, 49는 암석녞출지로서 유출생성에 가장 유늬한 지역윌로 분석되었닀. 적용유역에 대핮 토양도륌 읎용하여 추출된 토양두께 읞자륌 Fig. 5(b)에 도시하였닀.

Fig. 5

Runoff Production Index

Figure_KSCE_36_6_07_F5.jpg

앞서 섀명한 대로 토양의 칚식도가 크멎 유출에 유늬한 영향을 믞친닀. 볞 연구에서는 USL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범용토양칚식공식을 읎용하여 토양의 칚식도륌 산정하여 유출생성지도의 지표로 사용하고자 하였닀. USLE 범용토양칚식공식윌로 산정된 토양칚식도륌 Fig. 5(c)에 나타낎었닀. 토지읎용의 형태는 유출에 큰 영향을 믞친닀. 음반적윌로 시가지역읎나 ë…Œ 등곌 같은 토지읎용형태는 유출에 유늬한 영향을 믞치고, 쎈지, 산늌 등은 유출에 불늬한 영향을 믞친닀. 또한 겜사는 지표유출속도륌 슝가시킀므로 ꞉겜사륌 지닌 지형은 유출의 생성곌 읎동에 유늬한 겜향읎 있닀. 토지읎용도륌 통핎 적용된 토양읎용 읞자와 적용유역에 대핮 계산된 겜사도륌 Fig. 5(d) and Fig. 5(e)에 각각 나타낎었닀.

유출누적지도륌 작성하Ʞ 위핎 앞서 Ʞ술한대로 지형Ʞ복, 천읎점 읞자, 토지읎용도, 겜사도 등의 자료륌 활용하였닀. 지형고와 겜사도륌 읎용하여 추출된 유출누적에 유늬한 지형Ʞ복곌 유출천읎점 읞자륌 Fig. 6(a) and Fig. 6(b)에 각각 도시하였닀. 저지대 분석을 위핎 감천 및 직지사천의 계획홍수위와 죌변 지형고륌 읎용하였윌며, 계획홍수위에서 지형고륌 뺀 값을 저지대 읞자로 읎용하여 Fig. 6(c)에 나타낎었닀. 유출생성곌 마찬가지로 토지읎용의 형태는 유출누적에 큰 영향을 믞친닀. 앞서 얞꞉한 바와 같읎 도시지역 또는 습지지역 등을 유출누적에 유늬한 조걎윌로 섀정하여 토지읎용 읞자륌 생성하였닀(Fig. 6(d)).

Fig. 6

Runoff Accumulation Index

Figure_KSCE_36_6_07_F6.jpg

4.2 TOPSIS 적용을 위한 지표의 표쀀화

선정된 읞자에 대한 자료륌 수집하멎 각 자료는 정량적, 정성적읞 닀양한 형태와 규몚로 구성되얎 있닀. 읎 데읎터베읎슀륌 평가에 적용하Ʞ 위핎서는 자료의 형식을 파악하고 읎듀을 평가에 적용할 방안을 고안핎알 한닀. 슉, 서로 닀륞 닚위와 성질을 가진 닀양한 자료륌 읎용하여 수학적윌로 결합하여 하나의 지표륌 제시하는 복합지표 방법에서는 적용되는 각 개별지표륌 표쀀화하는 곌정읎 필요하닀. 볞 연구에서는 추출된 자료륌 대상윌로 Eq. (8)곌 같읎 표현될 수 있는 Re-scaling 방법을 읎용하여 전첎 자료륌 0곌 1사읎 범위 낎에서 표쀀화 하였닀(Nardo et al., 2005).

PICB12B.gif (8)

읎와 같은 표쀀화 곌정을 통하여 추출한 유출생성지도와 유출누적지도에 대한 읞자듀을 Fig. 7 and Fig. 8에 각각 나타낎었닀.

Fig. 7

Standardized Runoff Production Index

Figure_KSCE_36_6_07_F7.jpg
Fig. 8

Standardized Runoff Accumulation Index

Figure_KSCE_36_6_07_F8.jpg

4.3 작성된 유출생성지도 및 유출누적지도의 비교·검토

앞서 섀명한 TOPSIS륌 읎용하여 적용유역에 대한 유출생성지도와 유출누적지도륌 작성하였닀. 작성된 지도듀을 통핎 ‘재핎가 음얎나Ʞ 쉬욎’ 영역듀의 개념윌로 유출에 영향을 받는 칚수 위험읎 있는 지대듀, 유출발생에 믌감한 지역듀을 확읞할 수 있닀. TOPSIS Ʞ법에 의핎 생성된 유출누적지도는 TOPSIS로 산정된 귌접도 계수(PICB16B.gif)륌 하나의 평가값윌로 고렀핚윌로썚 닀양한 목적윌로 활용읎 가능하닀. 볞 연구에서는 유출누적지도륌 유역유출에 대한 Flood Hazard Map윌로 고렀하고자 하였고, 하천홍수에 의한 홍수위험지도의 비교륌 통핎 유역유출에 대한 홍수위험지도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닀.

Fig. 9

Runoff Production Map

Figure_KSCE_36_6_07_F9.jpg
Fig. 10

Runoff Accumulation Map

Figure_KSCE_36_6_07_F10.jpg

유출누적지도는 “홍수가 가장 잘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의 개념을 Ʞ반윌로 제작되었윌므로, 유출누적지도의 제작곌정에 있얎서 유출누적에 믌감한 지역듀은 볞래 홍수가 가장 음얎나Ʞ 쉬욎 지대듀을 의믞한닀. 따띌서 유출누적지도륌 홍수위험지도로 활용하Ʞ 위핎 분석 영역을 Z-점수법에 의핎 5개의 등꞉윌로 구분하였닀. 김천 시가지 읞귌지역에 대핮 등꞉화되얎 작성된 유역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륌 Fig. 11(a)에 도시하였닀. 귞늌에서 볎는 바와 같읎 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읎 높은 하천 읞귌곌 저지대륌 쀑심윌로 높은 등꞉의 위험도륌 나타낮는 것을 확읞할 수 있닀. Fig. 11(b)는 낎수칚수와 왞수범람을 수늬수묞학적 방법에 의핎 분석하여 제시한 Flood Hazard Map의 겜계선(Kim, 2013)곌 유역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의 가장 높은 등꞉읞 5등꞉윌로 나타난 지역을 쀑첩하여 나타낾 지도읎닀. 쀑첩된 영역은 하천홍수에 대한 적용범위로 한정하였닀. 귞늌에서 볎는 바와 같읎 하천홍수의 겜계멎곌 유역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의 5등꞉ 영역읎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읞할 수 있닀.

Fig. 11

Comparisons of the Simulation Results

Figure_KSCE_36_6_07_F11.jpg

유역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의 5등꞉ 낎에서 하천홍수에 대한 Flood Hazard Map곌 같읎 상대적 위험도륌 구분하는 것은 묎늬가 있윌나, 제시된 정볎만윌로도 홍수에 의핎 칚수될 수 있는 잠재적 지역을 제시핎 죌는 자료로썚 충분한 가치륌 가질 수 있닀고 판닚된닀. 또한 낎수칚수와 왞수범람을 고렀한 Flood Hazard Map 작성을 위핎서는 닀양하고 복잡한 닚계의 핎석곌 정확도륌 Ʞ반윌로 한 분석읎 읎룚얎젞알 한닀. 하지만 유역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지도는 공간적윌로 복잡성을 가지는 분석지역에 대핎서 지형자료와 ꎀ렚한 데읎터만윌로 GIS륌 읎용한 ê°„ë‹ší•œ 공간 분석을 통핎 홍수에 가장 믌감한 지역듀을 탐지할 수 있닀는 장점을 가진닀.

슉, 유역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는 간펞하고 신속한 분석읎띌는 점에 있얎서 강점을 갖고, 낎수칚수와 왞수범람을 고렀한 Flood Hazard Map은 정확성 및 닀양한 정볎의 반영읎띌는 멎에서 큰 강점을 갖는닀고 볌 수 있닀. 따띌서 토지읎용 및 개발닚계에 있얎서 사전검토 등의 짧은 êž°ê°„ 동안 닚순한 분석을 요할 때에는 유역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륌, 홍수위험지도 및 재핎정볎지도의 작성읎나 장Ʞ적읞 개발계획닚계에 있얎서는 묌늬적윌로 타당성을 가지멎서 정확한 분석을 통핎 작성된 낎수칚수와 왞수범람을 고렀한 Flood Hazard Map을 읎용하는 것읎 적합하닀고 판닚된닀.

5. ê²° ë¡ 

볞 연구에서는 Ʞ졎의 복잡하고 정교한 방법론에 의핎 작성되는 홍수위험지도 제작 Ʞ법볎닀 간펞하고 빠륞 속도로 작성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도 작성을 위핎, 유역유출에 의한 홍수륌 고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닀. 읎륌 위핎 감천을 시범유역윌로 선정하고 유출에 영향을 믞치는 읞자듀을 채택 및 분석하여 유출생성지도와 유출누적지도륌 작성하였윌며, 유출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와 Ʞ졎에 제작되는 낎수칚수 및 왞수범람에 대한 Flood Hazard Map을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핎볎았닀. 볞 연구륌 통하여 얻은 죌요 결론은 닀음곌 같닀.

(1)유역윌로부터의 유출의 메컀니슘을 분석하여 지표유출곌정을 유출발생, 읎동, 누적곌정윌로 구분하였고, 유출발생곌 누적곌정에 대한 메컀니슘을 바탕윌로 유역에서의 잠재적읞 홍수위험도 예잡을 위한 유출에 영향을 믞치는 읞자륌 산정하였닀.

(2)유출생성지도륌 작성하Ʞ 위핎 토지읎용, 토양두께, 토양불투수성, 토양칚식도, 지형Ʞ복 등의 5가지 읞자륌 채택하였윌며, 유출누적지도륌 작성하Ʞ 위핎 지형Ʞ복, 유출천읎점, 저지대분석, 토지읎용도 등을 평가 읞자로 채택하여 각각의 지도륌 작성하Ʞ 위핎 고렀하였닀. 각 읞자듀의 닀양성을 하나의 지표로 활용하Ʞ 위핎 닀Ʞ쀀의사결정법(MCDM)의 하나읞 TOPSIS Ʞ법을 적용하였닀. 홍수위험도의 종합적읞 평가륌 위핎서 TOPSIS Ʞ법의 상대귌접도 지수륌 활용하였고, 홍수위험도을 등꞉화하Ʞ 위핎서 Z-score 방법을 적용하였닀.

(3)볞 연구에서는 칚수플핎가 빈번히 발생하는 낙동강의 감천유역을 시범유역윌로 선정하였닀. 김천 시가지 읞귌지역에 대핮 등꞉화되얎 작성된 유출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는 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읎 높은 하천 읞귌곌 저지대륌 쀑심윌로 높은 등꞉의 위험도륌 나타낮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고, 유출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의 가장 높은 등꞉읞 5등꞉윌로 나타난 지역은 낎수칚수와 왞수범람을 수늬수묞학적 방법에 의핎 분석하여 작성된 Flood Hazard Map의 겜계선곌 음치하고 있얎 분석의 정확성 및 적용성을 확읞할 수 있었닀.

(4)유출읞자륌 고렀한 홍수위험도는 간펞하고 신속한 분석읎 가능한 장점읎 있윌며, 수집하Ʞ 용읎한 자료듀을 활용하여 의믞있는 분석읎 가능하닀. 또한, 정확성 및 닀양한 정볎륌 반영한 Ʞ졎의 제작된 Flood Hazard Map곌도 핚께 활용될 수 있을 것윌로 판닚된닀. 따띌서 닀양한 홍수위험지도 작성시 가읎드띌읞윌로 제시될 수 있윌며, 국토계획 수늜읎나 비상대처계획 수늜시 홍수에 대한 위험지역 선정 등에 Ʞ여할 수 있을 것윌로 판닚된닀.

Acknowledgements

볞 연구는 정부(국믌안전처)의 재원윌로 재난안전Ʞ술개발사업닚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MPSS-자연-2014-75).

References

1 
Available at: http://msc.fema.gov/Available at: http://www.mlit.go.jp/river/bousai/index.html/Available at: http://www.wamis.go.kr/
2 
Beven, K. and Kirkby, M. J. (1979). “A physically-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 Sci. Bull., Vol. 24, pp. 43-69. 10.1080/02626667909491834DOI
3 
Chaplot, V. and Bissonnais, Y. L. (2000). “Field measurements of interrill erosion under different slopes and plot size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ol. 25, No. 2, pp. 145-153. 10.1002/(SICI)1096-9837(200002)25:2<145::AID-ESP51>3.0.CO;2-3DOI
4 
Chen, S. J. and Hwang, C. L. (1992). “Fuzzy multiple attribute decision making: method and application.” Lecture Notes in Economics and Mathematical Systems, No. 375, Springer, New York. 10.1007/978-3-642-46768-4DOI
5 
Esteves, A. and De Rosa, C. (1989). “A simple method for correcting the solar radiation readings of a Robitzsch-type pyranometer.” Solar Energy, Vol. 42, No. 1, pp. 9-13. 10.1016/0038-092x(89)90125-4DOI
6 
Fox, D. and Bryan, R. B. (1997). “The influence of slope angle on final infiltration rate for interrill conditions.” Geoderma, Vol. 80, No. 1-2, pp. 181-194. 10.1016/s0016-7061(97)00075-xDOI
7 
Kim, T. H. (2013). Flood Risk Mapping based on the Fuzzy MCDM by Combining Inland and River Inundations with Basin Runoff, Ph.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Korean).
8 
Le Bissonnais, Y., Montier, C. (1998). “Cartographie de l’aléa Erosion des sols en France.” IFEN Collection Etudes et Travaux 18 (in French).
9 
Le Gouée, P. and Delahaye, D. (2008). Modélisation et cartographie de l'aléa érosion des sols et des espaces de ruissellement dans le Calvados, Rapport d'étude (in French).
10 
Lim, K. S., Choi, S. J., Lee, D. R. and Moon, J. W. (2010).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us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0, No. 1B, pp. 61-70 (in Korean).
11 
Mérot, P. and Squividant, H. (2003). “Testing a climato-topographic index for predicting wetlands distribution along an European climate gradient.” Ecological Modelling, Vol. 163, No. 1-2, pp. 51-71. 10.1016/S0304-3800(02)00387-3DOI
12 
Nardo, M., Saisana, M., Saltelli, A. and Taranta, S. (2005). Tools for Composite Indicators Building. European Communities, Available at: http://europa.eu.int., pp.44-51.
13 
Nicolas, M. (2010). Etude expérimentale et numérique du ruissellement de surface : effets des variations d’intensité de la pluie. Application à une parcelle de vigne en Cévennes-Vivarais, ThÚse de doctorat, LTHE - Université joseph Fourier, Grenoble (in French).
14 
Schmid, F. and Goudie, J. (2007). Atlas of Flood Maps: Examples form 19 European Countries, USA and Japan, Ministry of Transport, Public Works and Water Management.
15 
Schmid, F., Renne, M. and Rieger, D. (2007). Handbook on Good Practices for Flood Mapping in Europe, EXCIMAP 2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