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부천대학교 토목곌 조교수 (Bucheon University)
  2. 겜Ʞ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곌 석사곌정 (Kyonggi University)
  3. 겜Ʞ대학교 공곌대학 토목공학곌 교수 (Kyonggi University)


4방향 합류맚홀, 읞버튞, 곌부하흐늄, 배수시섀
Four-way combining manhole, Invert, Surcharged flow, Drainage facility

  • 1. 서 ë¡ 

  • 2. Ʞ볞읎론

  • 3. 수늬싀험 몚형 제작

  • 4. 십자형 읞버튞 섀치 시 손싀계수 변화

  • 5. 읞버튞 개선 형상 도출을 위한 수치몚의

  •   5.1 Fluent 몚형의 격자망 구성

  •   5.2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흐늄몚의

  •   5.3 개선안 도출을 위한 수치몚의

  • 6. 개선 읞버튞의 에너지 손싀 저감 횚곌 분석 수늬싀험

  • 7. ê²° ë¡ 

PIC4F5.gif

1. 서 론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국지적읞 집쀑혞우는 유출량읎 ꞉격하게 슝가하는 저지대와 하수ꎀ거의 불량 및 배수 능력 부족지역을 쀑심윌로 칚수플핎륌 상습적윌로 발생시킀고 있닀. 도시지역에 낮며 빗묌은 배수 시슀템의 ꎀ거시섀에 의하여 배수되므로 배수 시슀템의 우수 배제 능력 슝가는 도심지의 칚수륌 방지하Ʞ 위한 필수적읞 요소띌 할 수 있닀. ꎀ거 시섀은 ꎀ거, 맹홀, 우수토싀, 묌받읎(였수, 우수, 집수받읎) 및 연결ꎀ 등을 포핚하는 시섀듀로 구성되얎 있닀. 맚홀은 ꎀ거의 Ʞ점, 방향, 겜사 및 ꎀ겜 등읎 변하는 ê³³, ë‹šì°šê°€ 발생하는 ê³³, ꎀ거가 합류하는 곳읎나 ꎀ거의 유지ꎀ늬상 필요한 장소에 반드시 섀치하여알 한닀. 맚홀은 형상에 따띌서 표쀀맚홀(원형)곌 특수맚홀(사각형)로 구분되며, 유입ꎀ 및 유출ꎀ곌 맚홀의 접합 형상에 따띌 1개의 유입ꎀ곌 1개의 유출ꎀ읎 음직선상윌로 위치하는 쀑간맚홀곌 유입ꎀ곌 유출ꎀ읎 음직선상윌로 위치하지 않거나, 2개 읎상의 유입ꎀ곌 한 개의 유출ꎀ읎 맚홀에 접합하는 형태의 합류맚홀로 구분한닀.

서욞시에서 제공하는 칚수흔적도륌 삎펎볎멎 죌로 도심지 배수유역의 하류부에서 맹홀 월류 및 ꎀ거의 통수능 부재로 도심지 칚수가 발생하고 있윌며, 읎러한 배수유역의 하류부에 죌로 섀치되얎 도심지 하류부 칚수에 직접적읞 영향을 믞치는 ꎀ거 시섀읎 4방향 합류맚홀읎닀. 곌부하 4방향 맚홀에서의 수두 손싀은 ꎀ거 시섀의 배수에 맀우 쀑요한 영향을 믞치며, 우수 ꎀ거 시슀템의 배수능력 저감에 상당한 부분을 찚지하게 된닀. 따띌서 ꎀ거 시섀 낮 맚홀에서의 수늬적 에너지 손싀 분석에 대한 연구와 에너지 손싀의 저감 방안 및 배수능력 슝대 방안읎 요구되고 있는 싀정읎닀. 귞러므로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합늬적읞 에너지 손싀 저감 방안 및 유지ꎀ늬 Ʞ쀀읎 필요하며 합늬적읞 섀치 및 섀계 Ʞ쀀을 제시하Ʞ 위하여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수두 손싀을 분석할 필요가 있닀.

맚홀에서의 손싀계수 산정 및 손싀 저감 방안에 ꎀ한 êµ­ë‚Ž 연구는 Kim et al. (2008, 2009, 2010)읎 쀑간맚홀, 90° 접합맚홀 및 3방향(T형) 합류맚홀의 손싀계수 산정 및 읞버튞 섀치에 따륞 흐늄특성 분석을 싀시하였윌며, Ryu et al. (2016)은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맹홀 형태 변화에 따륞 손싀계수륌 산정하고 유입유량 변화에 따륞 손싀계수 산정식을 제시하였닀. 또한 3방향(T형) 합류 맚홀의 섀치에 ꎀ한 사항은 Ministry of Environment (2011)에 개략적읞 표만 제시되었을 뿐, 구첎적읞 섀치 Ʞ쀀 및 저감 방안읎 제시되얎 있지 않은 싀정읎닀. 귞러므로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 저감 및 배수능력 슝대륌 위한 싀험적 연구는 맀우 믞흡한 싀정읎닀.

국왞에서 맹홀 낎부의 손싀계수 산정에 ꎀ한 연구는 1950년대부터 지속적윌로 수행되고 있윌며, 곌부하 쀑간 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 저감에 ꎀ한 연구는 1980년대부터 ꟞쀀히 진행되얎 왔닀. Marsalek (1984)은 직선ꎀ윌로 연결된 정사각형 및 원형 맚홀의 Ʞ볞형태와 반원형 읞버튞 및 U형 읞버튞륌 섀치한 형태에 대하여 싀험을 싀시하여 사각형 맚홀곌 원형 맚홀에서의 손싀계수륌 제시하였닀. Arao and Kusuda (1998)는 하류부 칚수시 원형맚홀에 대한 ë‹šì°š 및 읞버튞 형상변화 싀험을 싀시하여 맚홀의 손싀계수륌 맚홀의 수심에 따띌 정늬하여 제시하였닀. Merlein (2000)은 직선ꎀ로로 연결된 3개의 원형 맹홀 낎부에 U형 읞버튞륌 섀치하고 읞버튞 상부에 천공판(cover plate)륌 섀치한 싀험을 통하여 곌부하 상태에서 유입유량 변화에 따륞 원형 맚홀의 손싀계수륌 산정하였닀.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5)에서는 맚홀곌 연결ꎀ겜의 연결각도, 연결ꎀ곌 맚홀직겜 변화비 및 맹홀 낮 수심비 및 벀칭 형태 변화에 따륞 손싀계수 산정식을 제시하였윌나, 4방향 합류맚홀에 ꎀ한 손싀계수 산정식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싀정읎닀.

곌부하 합류맚홀의 손싀계수 산정에 ꎀ한 연구는 Lindvall (1984)은 2개의 유입ꎀ곌 한 개의 유출ꎀ윌로 읎룚얎진 합류맚홀을 곌부하 상태로 가정하고 합류맚홀의 낎부 형상을 쀑간 벀칭곌 전첎 벀칭 형태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닀. Marsalek and Greck (1988)은 사각형 맚홀곌 원형 맚홀에서 맹홀 폭곌 연결ꎀ ꎀ겜의 비(b/D)륌 2.26곌 4.6윌로 선정하여 싀험을 싀시하여 사각형 맚홀의 손싀계수는 1.73, 1.52로 원형 맚홀의 손싀계수는 1.80, 1.87로 제시하였닀. 맹홀 낎부에 읞버튞륌 섀치하거나 맚홀낎의 형상을 변화시쌰윌며, 맚홀형상곌 연결 ꎀ거의 낎겜변화륌 고렀하여 손싀계수 저감방안을 몚색하였닀. Johnston and Volker (1990)는 음반적읞 쀑간맚홀에서의 손싀계수 산정곌 맹홀 낮 벀칭 섀치에 따륞 손싀저감 횚곌륌 확읞하였닀. 또한 연결 ꎀ겜읎 서로 닀륞 두 개의 유입ꎀ곌 한 개의 유출ꎀ읎 접합하는 곌부하 합류맚홀에서 유입유량 변화에 따륞 손싀계수륌 산정하고 싀험식을 제시하였닀. 귞늬고 합류맚홀 낮 감쇄Ʞ(deflector) 섀치에 따륞 에너지 손싀의 저감 횚곌륌 제시하였닀. Wang et al. (1998)은 3개의 유입ꎀ곌 1개의 유출ꎀ읎 접합하는 4방향 원형 합류맚홀의 손싀계수 산정에 대핮 연구하였닀. 맹홀 낎부에 벀칭을 섀치하였고 맚홀의 크Ʞ와 연결 ꎀ겜의 크Ʞ륌 변화시킀멎서 싀험을 싀시하여 3개 유입ꎀ의 유입유량 비에 따륞 손싀계수륌 제시하였닀. 읎와 같읎 쀑간맚홀 및 합류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의 저감을 위한 읞버튞 섀치한 수늬몚형 싀험 연구는 국낎왞에서 ꟞쀀히 수행되었윌나 4방향 합류맚홀에서 에너지 손싀 저감을 위한 싀험적 연구는 믞흡한 싀정읎며, 수늬싀험을 통한 읞버튞의 적용성 분석에 ꎀ한 연구는 전묎한 싀정읎닀.

곌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 맚홀에서의 손싀계수륌 산정 및 에너지 손싀 저감 방안을 도출하Ʞ 위하여 묞헌조사륌 싀시하여 수늬 싀험 조걎을 선정하였닀. 싀험 조걎에 따륞 수늬 몚형을 제작하고 수늬 싀험을 싀시하여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십자형 읞버튞(반원형, U자형) 섀치 유묎에 따륞 손싀계수륌 산정하였닀. 또한 3찚원 유동핎석 몚형읞 Fluent 6.3 몚형을 읎용하여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손싀계수륌 저감시킬 수 있는 읞버튞의 형상을 도출하Ʞ 위하여 읞버튞 형상변화에 따륞 맹홀 낮 흐멄 변화륌 몚의하고 개선 읞버튞 형상을 도출하였닀. 수치몚의륌 통핎 도출된 개선 읞버튞륌 제작하고 곌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맚홀에 섀치하여 에너지 손싀 저감 횚곌 검슝을 위한 수늬싀험을 싀시하였닀. 싀험결곌륌 활용하여 곌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맚홀에서의 개선 읞버튞(직사각 및 정사각 개거 형태) 섀치 유묎에 따륞 손싀계수륌 산정하고 산정된 손싀계수륌 상혞 비교하였윌며, 맹홀 낎에서 와류 발생윌로 읞한 슝가된 손싀계수륌 저감시킬 수 있는 개선형 읞버튞륌 제시하였닀.

2. Ʞ볞읎론

곌부하 흐늄조걎에서 맚홀에 연결된 각 ꎀ의 흐늄은 압력흐늄읎고, 접합ꎀ듀의 각 지점에서의 전첎 수두(H)는 동수겜사선 수두와 속도 수두로 구성된닀. 3개의 유입ꎀ곌 한 개의 유출ꎀ읎 접합되는 곌부하 합류맚홀의 손싀계수륌 산정하Ʞ 위하여 Wang et al. (1998)읎 적용한 에너지 방정식을 읎용하였닀.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수두손싀 개요도는 Ryu et al. (2016)의 낎용을 읞용하였닀. 에너지 방정식에서 동수겜사선 수두는 압력수두(PIC515.gif)와 위치수두(PIC526.gif)와의 합읎고, 유량에 대한 연속방정식은 PIC536.gif읎며, 읎륌 에너지 방정식에 적용한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은 Eq. (1)곌 같닀.

PIC547.gif (1)

여Ʞ서, PIC567.gif, PIC578.gif, PIC588.gif는 각각 죌연결ꎀ, ìž¡ë©Ž 연결ꎀ A, B에 대응하는 수두 손싀읎고, Eqs. (2)~(4)와 같읎 산정된닀.

PIC599.gif (2)

PIC5B9.gif (3)

PIC5CA.gif (4)

각 접합ꎀ에서의 묎찚원 손싀계수 PIC5EA.gif는 각 수두 손싀항(PIC5FB.gif)곌 유출ꎀ의 속도수두(PIC63A.gif)로 계산되며, Eq. (5)와 같닀.

PIC65B.gif (5)

연속방정식에 Eqs. (2)~(5)륌 대입하여 정늬하멎,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의 평균손싀 계수 PIC67B.gif는 Eq. (6)곌 같닀.

PIC68B.gif (6)

3. 수늬싀험 몚형 제작

접합ꎀ겜 대비 맹홀 크Ʞ의 비(맚홀크Ʞ/접합ꎀ겜)가 슝가할수록 맹홀 낎부의 몚서늬 부분에서 사수역읎 슝가되얎 곌부하 맚홀에서의 배수능력읎 저하되는 êž°ì¡Ž 연구 결곌(Lindvall, 1984; Marsalek and Greck, 1988)륌 반영하여 볞 싀험에서는 Ministry of Environment (2011)의 맚홀크Ʞ/접합ꎀ겜의 접합비가 가장 큰3.0읞 조걎에 맞는 맹홀 크Ʞ와 연결 ꎀ겜을 채택하였닀. 또한, 배수유역에 동음한 강우가 발생하였을 때, 배수ꎀ의 만ꎀ을 쎈곌하여 흐륎는 곌부하 상태는 맹홀 접합ꎀ거의 규몚가 작을수록 빈번하게 발생된닀. 따띌서 Ministry of Environment (2011)에서 제시하고 있는 최소 ꎀ겜 300 mm륌 채택하였윌며, 읎륌 Ʞ반윌로 표쀀 1혞 (직겜 900 mm) 맚홀을 선택하였닀(Ryu et al., 2016). Kim et al. (2008)의 연구결곌륌 쀀용하여 상Ʞ 선정된 맹홀 크Ʞ와 접합ꎀ겜은 Froude 상사법칙을 읎용하여 1/5 축척윌로 제작하였닀.

수늬싀험 장치는 고수조, 정류용 수조(A, B, C), 아크늎 ꎀ로(PIC6AC.gif 60 mm), 아크늎 맹홀(180×180 mm), 액죌계 및 찚집통윌로 구성하였닀. ꎀ로낎 흐늄의 안정화륌 위하여 유입ꎀ로 및 유출ꎀ로륌 각각 450 cm읎상의 Ꞟ읎로 섀치하였닀.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손싀계수륌 산정하Ʞ 위하여 맚홀에서의 수두 손싀곌 유출ꎀ의 속도수두 값읎 필요하닀. 맚홀에서의 수두 손싀은 Fig. 1에서와 같읎 각 연결ꎀ(죌 유입ꎀ, ìž¡ë©Ž 유입ꎀ 및 유출ꎀ)에서 잡정된 ꎀ낎 압력수두의 변화와 속도수두의 값윌로 산정된닀. 따띌서 ꎀ낎 압력수두 변화는 플에조믞터륌 통하여 ꎀ잡하Ʞ 위핎 각 유입ꎀ로에 30 cm 간격윌로 섀치하였윌며, 맚홀곌의 접합부 전 후에서의 압력수두 변화양상을 볎닀 멎밀히 잡정하Ʞ 위하여 10 cm 간격윌로 3개소륌 각각 섀치하였닀. 또한, 속도수두는 유입ꎀ에 유량계륌 섀치하여 잡정된 각각의 유량을 평균유속윌로 변환하여 산정하였윌며, 유입유량의 검슝을 위하여 유출ꎀ 하닚에 폭 100 cm, Ꞟ읎 100 cm, 높읎 40 cm의 찚집통을 섀치하여 유출유량을 싀잡하였닀. 유입유량의 음정한 공꞉을 위하여 지하저수조의 묌을 고수조로 양정하여 수위륌 음정하게 유지시쌰윌며, ꎀ낎 흐늄읎 정류가 되도록 정류수조 A (110×100×110 cm), B (120×100×100 cm), C (120×150×120 cm)륌 각각 섀치하였닀.

Fig. 1.

Schematic Layout of the Physical Model (Ryu, 2016)

Figure_KSCE_37_02_05_F1.jpg
Table 1. Experimental Conditions Table_KSCE_37_02_05_T1.jpg
Table 2. Discharge Conditions with Change of Lateral Flow Ratio Table_KSCE_37_02_05_T2.jpg

수늬 싀험조걎윌로 맹홀 형상별 크Ʞ는 180×180 mm 사각형 맚홀을 선택하였닀. 유입유량 변화에 따륞 4방향 맚홀에서의 흐늄특성 변화륌 분석하Ʞ 위하여 싀험유량은 Ministry of Environment (2011)의 ꎀ거 읎상 섀계유속(1.0 m/sec)을 고렀한 3.0 l/sec륌 Ʞ쀀윌로 2.0 l/sec와 4.0 l/sec 및 맹홀 몚형의 상닚 높읎(0.5 m)륌 월류하지 않는 4.8 l/sec륌 최대 싀험유량윌로 각각 선정하였닀. 4방향 맚홀은 죌흐늄 유입유량곌 잡멎유입유량의 변화에 따띌 맹홀낮 흐늄특성 및 손싀계수가 닀륎게 나타날 것윌로 판닚된닀. 따띌서 잡멎유입유량(PIC6BC.gif)곌 유출유량(PIC6DD.gif)의 비읞 잡멎유량비(PIC6ED.gif) 변화에 따륞 맹홀낮 흐늄특성을 분석하Ʞ 위하여 잡멎유량비(PIC6FE.gif)륌 0.0~1.0윌로 변화시킀멎서 수늬싀험을 싀시하였닀(Table 1). Table 2는 각 유입유량 및 유출유량에 따륞 ìž¡ë©Ž 유량비륌 상섞하게 나타낾 것읎닀.

4. 십자형 읞버튞 섀치 시 손싀계수 변화

음반적윌로 맚홀에서의 흐멄 및 배수능력을 개선하Ʞ 위하여 Ministry of Environment (2011)에서는 맹홀 바닥에 읞버튞륌 섀치하도록 하고 있닀. 읎러한 읞버튞 시섀에 대핎서는 하수도 시섀Ʞ쀀의 2.7.1 맹홀 절에서 우수맚홀의 겜우 ‘저부는 하수의 원할한 유하륌 도몚하Ʞ 위핎 ꎀ거의 접합읎나 합류의 상황에 따띌 읞버튞(invert)륌 섀치한닀’고 명시되었고, 2.7.2 맚홀부속묌 절에서는 읞버튞의 섀치에 대한 사항(① 읞버튞는 하류ꎀ거의 ꎀ겜 및 겜사와 동음하게 한닀. ② 읞버튞의 발디딀부는 10~20%의 횡닚겜사륌 둔닀. ③ 읞버튞의 폭은 하류잡 폭을 상류까지 같은 넓읎로 연장한닀. ④ 상류ꎀ곌 읞버튞 저부는 3~10 cm 정도의 닚찚륌 두는 것읎 바람직하닀)읎 명시되얎 있을 뿐 구첎적읞 형상, 규몚, 적용 위치 등읎 제시되얎 있지 않은 싀정읎닀. 또한 4방향 합류맚홀에서 배수능력을 슝대하Ʞ 위한 읞버튞 섀치 Ʞ쀀읎나 읞버튞 형상의 제시도 전묎한 싀정읎닀.

믞국의 겜우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5)에서는 쀑간맚홀에 대한 읞버튞 규격 및 형상을 제시하고 있윌며, 국왞의 맹홀 시공 시에 4방향 합류맚홀의 제품 규격서에는 십자형 읞버튞 형상을 제시하고 있을 뿐 구첎적읞 규격읎나 규몚에 대한 사항은 제시되고 있지 않을 싀정읎닀. 또한 싀험을 통한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에너지 저감능력에 대한 분석은 전묎한 싀정읎닀. 따띌서 볞 연구에서는 국왞에서 제시하고 있는 십자형 읞버튞륌 Fig. 2와 같읎 연결ꎀ의 절반 크Ʞ로 만든 반원형 읞버튞와 연결ꎀ의 크Ʞ와 동음한 크Ʞ로 만든 U자형 읞버튞륌 제작하여 4방향 합류맚홀에 섀치하고, 수늬싀험을 싀시하여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의 영향ꎀ계륌 분석하였닀. 수늬싀험을 수행하Ʞ 위하여 Wang et al. (1998)읎 사용한 읞버튞 형상을 볞 연구의 싀험 몚형에 적용하여 유입ꎀ 및 맹홀 몚형곌 동음한 재료읞 아크늎로 제작하였고, 제작된 읞버튞 몚형의 제원 및 맹홀 몚형에 섀치 형태는 Fig. 3곌 같닀.

Fig. 2.

Shape and Specification of Crossed Invert

Figure_KSCE_37_02_05_F2.jpg
Fig. 3.

Installed Inverts at Square Manhole

Figure_KSCE_37_02_05_F3.jpg

싀험 조걎윌로는 읞버튞가 섀치되지 않은 맚홀곌 반원형 읞버튞와 U형 읞버튞륌 각각 맹홀 낎부에 섀치한 맚홀을 고렀하였윌며, 잡멎유량비륌 0.0~1.0까지 6가지 조걎(0.0, 0.25, 0.50, 0.66, 0.75, 1.0)윌로 점점 슝가시쌰윌며, ê·ž 때마닀 맚홀의 수심, 유입유량, 플에조믞터의 압력수두 값을 ꎀ잡하여 손싀계수륌 잡정하였닀. 읞버튞가 섀치되지 않은 Ʞ볞 4방향 합류맚홀곌의 비교륌 위하여 Tables 1 and 2의 싀험조걎곌 동음한 조걎에서 수늬싀험을 싀시하였윌며, 잡멎ꎀ거 유입량의 변화에 따륞 맹홀 낮 수심 변화륌 잡정하여 비교하였닀. 읞버튞륌 섀치한 맚홀곌 섀치하지 않은 맚홀에서의 수심의 ìž¡ì • 비교 결곌 잡멎에서 유량읎 유입되지 않는 조걎에서는 맹홀 낮 수심읎 동음하였윌나, ìž¡ë©Ž 유입유량읎 슝가하멎서 맹홀 낎에 읞버튞륌 섀치하지 않은 맚홀에서의 수심볎닀 십자형 읞버튞(반원형, U자형)륌 섀치한 맚홀에서의 수심읎 전반적윌로 ì•œ 10% 정도 상승하는 것윌로 나타났닀. 읎는 믞국에서 제시되고 있는 십자형 읞버튞륌 4방향 합류맚홀에 섀치할 겜우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배수능력을 슝대시킀Ʞ 볎닀는 였히렀 감소하는 것윌로 나타났닀. 따띌서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배수능력을 슝대시킀Ʞ 위한 개선된 읞버튞가 필요한 것윌로 판닚된닀.

유입유량 변화에 따륞 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ΔH)륌 산정하Ʞ 위하여 싀험수로의 죌 유입ꎀ, 잡멎유입ꎀ 및 유출ꎀ의 압력수두륌 잡정하였윌며, 잡정된 수두값을 맚홀곌 연결ꎀ의 접합부까지 선형적읞 추섞선윌로 연결하여 맹홀 유입부와 유출부에서 발생하는 맹홀 낮 수두 손싀을 잡정하였닀. 잡정된 손싀수두 값곌 유량계로 ꎀ잡된 유입 및 유출 유량윌로부터 계산된 각 ꎀ에서의 평균 유속을 Eq. (6)에 적용하여 잡멎유량비 변화에 따륞 손싀계수의 변화륌 계산하여 Table 3에 읞버튞가 섀치되지 않은 조걎곌 반원형 읞버튞와 U자형 읞버튞가 섀치된 조걎윌로 구분하여 각각 도시하였닀. Table 3에서 잡멎유량 변화비에 따띌 산정된 손싀계수는 Ryu et al. (2016)읎 제시한 바와 같읎 유출ꎀ의 레읎놀슈수가 충분히 크게 나타나므로 유량변화에 따륞 레읎놀슈수의 슝가와 ꎀ계없읎 음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읞하였닀.

Table 3. Vari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due to Installation of Cross Invert at Square Manhole Table_KSCE_37_02_05_T3.jpg

각 조걎에서의 손싀계수의 변화륌 비교하멎, 죌 ꎀ거에서 발생되는 손싀계수가 전반적윌로 ì•œ 21% 슝가하여 죌ꎀ거 흐늄에서의 에너지 손싀읎 전반적윌로 슝가하는 것윌로 나타났윌며, ìž¡ë©Ž ꎀ거에서의 손싀계수는 전반적윌로 ì•œ 39% 슝가하여 죌ꎀ거에서와 동음하게 에너지 손싀읎 슝가하는 것윌로 나타났닀. 읎는 십자형 읞버튞는 각 ꎀ거에서의 유입되는 흐멄 양상읎 맹홀 쀑앙부에서 흐늄의 간섭을 발생시쌜 맹홀 낎의 정첎륌 가쀑시쌜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을 였히렀 슝대시킎윌로썚 배수능력을 저하시킀는 것윌로 판닚된닀.

죌ꎀ거와 잡멎ꎀ거에서 계산된 손싀계수 값곌 잡정된 유입유량 값을 Eq. (6)에 대입하여 산정한 곌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맚홀에서의 손싀계수(K)을 산정하였윌며, 산정된 손싀계수 값은 잡멎유량비와 읞버튞 섀치조걎 변화에 따띌서 Fig. 4와 같읎 도시되었닀. 4방향 사각형 맚홀에서의 평균 손싀계수는 유량 변화에 따띌 슝가하는 음반적읞 겜향은 읞버튞 종류 및 섀치 유묎에 ꎀ계없읎 몚든 겜우에서 동음하게 나타나고 있윌며, ìž¡ë©Ž 유량비가 슝가핚에 따띌 손싀계수가 슝가하는 겜향을 볎읞닀. 귞러나 음반적윌로 맹홀낮 손싀 저감 및 배수능력 슝대륌 위하여 섀치되는 êž°ì¡Ž 형태의 읞버튞(반원형, U형)륌 섀치하멎, ìž¡ë©Ž 유량비가 0.25읎하에서는 동음한 평균 손싀계수륌 나타나고 있윌나, 잡멎유량비가 0.5 읎상부터는 읞버튞륌 섀치하지 않은 사각형 맚홀볎닀 손싀계수가 점찚적윌로 슝가하여 ìž¡ë©Ž 유량비가 1.0읞 겜우에는 반원형 읞버튞륌 섀치한 맚홀에서는 ì•œ 25%정도 슝가하였윌며, U자형 읞버튞륌 섀치한 겜우에는 ì•œ 37% 정도 슝가되는 것윌로 나타났닀. 읎는 죌 ꎀ거에서 유입되는 유량읎 큎 겜우에는 십자형 교찚점에서의 흐멄 간섭읎 적게 발생되고 있윌나, 죌ꎀ거 유입량 볎닀 잡멎ꎀ거의 유입량읎 슝가할 겜우에는 각 잡멎ꎀ거에서 유입되는 유입흐늄읎 십자형 읞버튞 교찚점에서 충돌하여 흐늄의 간섭읎 크게 발생하Ʞ 때묞읎띌고 판닚된닀. 따띌서 수직윌로 직교하는 십자형 읞버튞는 곌부하 상태의 맹홀 흐늄에서는 êž°ì¡Ž 맚홀의 배수능력 향상에 도움읎 되지 않는 것윌로 분석되었윌므로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십자형 읞버튞의 섀치는 지양하여알 할 것윌로 판닚된닀.

Fig. 4.

Installed Inverts at Square Manhole

Figure_KSCE_37_02_05_F4.jpg

5. 읞버튞 개선 형상 도출을 위한 수치몚의

5.1 Fluent 몚형의 격자망 구성

전절의 수늬몚형 싀험에서 알 수 있듯읎 믞국에서 Ʞ졎에 제시된 십자형 읞버튞는 맚홀에 섀치시 배수 능력을 였히렀 저감시킀는 것윌로 나타났닀. 따띌서 볞 연구에서는 맹홀낮 흐늄유도 시섀읞 읞버튞륌 대상윌로 수치몚의륌 통하여 닀양한 읞버튞 형태륌 제시하고 읎 쀑 가장 합늬적읞 읞버튞륌 선택하여 1/5축척윌로 몚형을 제작하고 싀험을 통핎 검슝읎 필요하닀.

볞 연구의 곌부하 맚홀은 묌곌 공Ʞ의 닀상유동읎 졎재하고 ꎀ로 및 맚홀에서 상당한 난류 흐늄읎 발생한닀. 따띌서 읎듀 특성을 반영하여 수치몚의가 가능하고 유첎역학 및 엎전달, 화학반응 등의 동수역학 몚덞링을 위한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겜의 3찚원 유한첎적 수치몚형읞 Fluent 6.3몚형(Fluent, 2005)을 읎용하였닀. Fluent는 유한첎적법(FVM, Finite Volume Method)륌 사용하는 비정렬 격자 계산 프로귞랚윌로 사멎첎, 육멎첎, 프늬슘, 플띌믞드, 닀멎첎 격자륌 지원하여 아묎늬 복잡한 형상읎띌도 묞제없읎 몚덞링을 수행하며, 몚든 분알에 적용읎 가능하도록 닀양한 수치핎석 Ʞ법을 볎유하고 있닀. 동수역학적 묞제륌 풀Ʞ 위하여 자유수멎 핎석은 닀상 유첎의 거동을 핎석하는 방법읞 VOF (Volume of Fluid)방법을 사용한닀. 또한, 난류 몚형윌로 PIC71E.gif몚형, LES (Large Eddy Simulation) 등을 사용하여 하천, 하구 또는 항구와 같은 수역을 대표하는 유한첎적망의 각 유첎 첎적에서 수위 및 유속을 계산할 수 있윌며, 정상류 뿐만 아니띌 부정류 상태까지 몚의가 가능하닀(Fluent Inc., 2005). 읎륌 통핎 여러 형태의 맹홀, 읞버튞 및 유량 변화에 따륞 흐늄특성 분석을 통핎 수늬 싀험 몚형의 묌늬적, 시간적 한계륌 극복할 수 있닀고 판닚하였윌며, Kim et al. (2010, 2011)은 곌부하 합류맚홀에서의 흐늄특성 분석 및 손싀계수 산정에 Fluent 몚형읎 적용가능하닀는 것을 제시하였윌므로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흐늄특성을 분석하Ʞ 위하여 Fluent 몚형을 볞 연구에 적용하였닀.

곌부하 4방향 합류 맹홀 및 형상 변화된 읞버튞 섀치에 따륞 맹홀 낮 흐늄특성곌 맹홀 낎의 닀상유동을 고렀하Ʞ 위하여 VOF (Volume of Fluid) Scheme을 적용하였윌며, 수치핎석 방법윌로는 비정상류, 부정류 방정식은 1st order implicit method, 압력곌 속도 결합은 SIMPLE method, 읎산화 방법은 First order upwind륌 사용하였닀. Fluent에서의 난류 흐늄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난류 욎동에너지 PIC73E.gif와 난류에너지 소산윚 PIC74F.gif의 전달 방정식을 도입한 PIC760.gif난류 몚형을 채택하고 standard wall functions을 읎용하였닀. 맹홀 및 접합 ꎀ거의 Ʞ하 몚형의 격자망은 수치핎석의 안정성 확볎륌 위하여 맚홀곌 연결ꎀ의 합류부분에서는 사멎첎 격자로 구성하고 합류부분을 제왞한 구간에서는 6멎첎 격자로 구성하였윌며, 각 격자의 멎은 가능한 사각형 또는 삌각형의 형태륌 췚하도록 하였닀. Mesh 구성에 따륞 격자의 수는 695,901개 구성하였닀(Fig. 5). 또한 맹홀 몚형 벜멎에는 Wall (No-Slip) 겜계조걎을 부여하였윌며, 유입부에는 속도 조걎, 유출부와 맚홀의 자유수멎 부분의 겜계에서는 대Ʞ압 조걎을 부여하였닀. 합류 맚홀의 손싀계수 산정을 위한 수늬몚형 싀험결곌와 수치몚의 결곌륌 비교하Ʞ 위하여 유입ꎀ거의 유속 조걎을 죌유입ꎀ의 유속곌 잡멎유입ꎀ의 유속은 동음하게 0.57 m/sec로 수늬 몚형싀험의 조걎 및 맹홀 및 연결ꎀ겜의 크Ʞ도 동음하게 채택하여 수치몚의륌 수행하였닀.

Fig. 5.

Computational Meshes at Manhole

Figure_KSCE_37_02_05_F5.jpg

5.2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흐늄몚의

읞버튞가 섀치되지 않은 Ʞ볞맚홀 몚형 싀험곌 십자형 읞버튞 몚형을 적용한 각각의 싀험을 통핎 읞버튞 형상 및 규몚에 따띌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흐멄 특성 및 배수능력에 영향을 믞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윌며, 맹홀 낮 와류의 발생 및 양상도 변화되는 것을 분석하였닀. 또한 맹홀 낮 와류로 읞한 손싀계수 슝가는 맚홀에서의 배수능력읎 저하된닀는 사싀을 확읞하였닀. 따띌서 싀험에서 확읞읎 믞흡했던 유입-유출의 죌 흐늄방향, 맹홀낮 와류의 발생 위치 및 높읎 등을 파악하Ʞ 위하여 수치몚의륌 싀시하였닀.

읞버튞가 섀치되얎 있지 않은 사각형 맚홀에서의 수치몚의 결곌 Fig. 6(a)에서 죌ꎀ거 접합부의 양 몚서늬 부분곌 유출ꎀ거의 접합부 양 몚서늬 부분읞 사각형 맚홀의 ë„€ 개의 몚서늬 부분에서 X방향 흐멄 유속읎 0.2 m/s읎하의 저유속 구간읎 나타나는 사수역 형태가 발생하는 것윌로 몚의되었닀. 읎는 각 유입ꎀ에서 유입되는 흐멄 유속에 의하여 유출부로 빠륎게 유출되멎서 각 몚서늬부에서의 X방향 유속읎 현저하게 떚얎지는 것읎띌 판닚된닀. 또한, Fig. 6(b)의 X-Z ë‹šë©Ž 벡터도에서 맚홀곌 유출ꎀ거부의 접합부 상부로 수직 방향윌로 상승하는 흐멄 양상을 볎읎는 것윌로 몚의 되었닀. 읎는 죌ꎀ거 유입량곌 잡멎ꎀ거의 유입량읎 맹홀 출구부의 ì•œ 5 cm 지점부에서 흐늄의 충돌로 읞하여 유량읎 집합됚에 따띌 유출구에서 유출되지 못하고 접합부 윗부분윌로 상승하는 상승류의 유속읎 0.6 m/s로 크게 발생하멎서 수직 상승류로 읞한 수직방향 와륌 유발하는 것윌로 판닚된닀.

Fig. 6.

Result of Numerical Simulation at Square Manhole without Invert

Figure_KSCE_37_02_05_F6.jpg

5.3 개선안 도출을 위한 수치몚의

전절의 수치몚의 및 십자형 읞버튞 싀험 결곌륌 고렀하여 4방향 합류 맚홀의 흐늄개선을 위한 개선 읞버튞 형상을 도출하Ʞ 위핎서는 와류륌 최소화하는 수충부 최소화, 몚서늬구간에서 발생하는 사수역의 최소화 및 유향읎 상충되얎 배수능력읎 저감되지 않는 읞버튞 몚형읎 필요할 것윌로 판닚되얎 4가지 개선 형태륌 선정하였닀. 개선안 1은 3방향에서 합류되는 유량읎 서로 상충되지 않고 ìž¡ë©Ž 유량의 유향을 유출구로 유도하여 흐늄읎 개선될 수 있도록 구상하였고, 개선안 2는 유입유량읎 동시에 상충하여 와류발생을 슝가시킀는 현상을 저감시킬수 있는 유도 수로의 곡률을 서로 닀륎게 하여 순찚적윌로 유향읎 상충하도록 구상한 형태읎닀. 개선안 3의 겜우는 접합ꎀ거 사읎의 공간에 와류가 발생하는 현상읎 ꎀ찰되얎 읎러한 와류 발생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구상하였윌며, 개선안 4의 겜우 와류 방지 Ʞ능 및 읞버튞로 읞한 맹홀 낮 첎적의 잠식읎 최소가 되도록 구상한 각각의 형태읎닀(Table 4).

상Ʞ 개선안의 4가지 형상의 읞버튞 섀치에 따륞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흐멄 변화륌 분석하Ʞ 위하여 수치몚의륌 각각 수행하였윌며, 수치몚의 결곌륌 Ʞ볞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수치몚의 결곌와 비교하였닀. 비교 분석은 맹홀 낮 흐멄 벡터의 분석을 통한 와류의 저감 유묎, 유선도 분석을 통한 수직방향 와류의 저감 유묎 및 합류맚홀 낮 수심의 저감 여부 분석을 싀시하여 가장 횚윚적윌로 배수되는 읞버튞 형상을 선정하였닀. 맹홀 낮 와류 발생 및 사수역의 저감윌로 흐늄개선을 위한 4가지 개선 읞버튞의 수치몚의 결곌 Table 5에 나타낎었닀. Table 5는 읞버튞가 섀치되얎 있지 않은 Ʞ볞 맚홀의 수치몚의 결곌 맚홀곌 ꎀ거의 접합부 몚서늬 부분에서 흐멄 유속읎 감소하고 와류가 발생하여 횚윚적읞 배수에 지장을 쎈래하는 것윌로 몚의되었고 원형맚홀 볎닀 사각형 맚홀읎 배수횚윚읎 낮은 것윌로 분석되었닀. 상Ʞ 몚의 결곌륌 검토하여 흐멄 개선을 위한 읞버튞 형상 개량시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흐멄 및 유향 특성을 반영하였닀.

Table 4. Detail Drawing of Invert Shapes for Flow Improvement Table_KSCE_37_02_05_T4.jpg
Table 5. Result of Numerical Simulation at Square Manhole with Invert of Improved Shape Table_KSCE_37_02_05_T5.jpg

개선안별 흐늄특성 및 배수개선 횚곌륌 분석하Ʞ 위하여 읞버튞가 섀치되얎 있지 않은 Ʞ볞 맹홀 및 유도수로가 직교하는 êž°ì¡Ž 읞버튞륌 적용한 몚형의 수치몚의 결곌와 개선안을 비교하Ʞ 위하여 Table 5의 X-Y 유선도륌 확읞하여 볎멎, 개선안 1~3은 읞버튞가 섀치되지 않은 사각형 맚홀에서 죌ꎀ거 유입부의 양 옆에서 발생하는 흐늄의 사수역 부분읎 개선되는 것을 확읞하였닀. 귞러나 개선안 4는 읎 부분읎 개선되지 않는 것윌로 나타났윌며, X-Z 유선도륌 확읞하여 볎멎, 개선안 1은 수직방향윌로 발생하는 와가 현저하게 쀄얎드는 것윌로 나타났윌나 개선안 2~4는 수직방향의 와의 흐늄읎 지속적윌로 나타나는 것윌로 나타났닀. 또한 곌부하 4각형 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 및 배수능력의 개선에 ꎀ한 사항을 판당할 때 Ʞ볞적윌로 알 수 있는 맚홀에서의 수심의 변화륌 확읞하여 볎멎, 개선안 1의 맹홀 낮 수심읎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닀. 따띌서 흐늄개선 횚곌가 가장 큰 것은 ìž¡ë©Ž 유량의 유향 유도와 읞버튞 하닚부 유도수로의 닚멎을 정사각형 개거 형태로 만든 개선안 1읎 가장 타당한 것윌로 판닚된닀.

6. 개선 읞버튞의 에너지 손싀 저감 횚곌 분석 수늬싀험

수치몚의 결곌륌 통하여 흐늄개선을 위한 4가지 읞버튞에 대한 개선횚곌륌 정량적윌로 검슝하Ʞ 위하여 싀험을 싀시하였닀. 수치몚의 결곌 개선안 1의 읞버튞 형상읎 흐늄개선 횚곌가 가장 큎 것윌로 예상되얎 개선안 1에 대한 읞버튞 몚형을 아크늎로 제작하였닀. 또한, 사각형 맚홀의 몚서늬부 사수역 개선 방안읞 개선안 3곌 읞버튞로 읞한 맹홀낮 첎적 잠식 최소화 방안읞 개선안 4에 대핎서도 몚형을 제작하여 싀험을 싀시하고 에너지 손싀 저감 횚곌륌 비교 검슝하였닀. Table 6은 개선 읞버튞 몚형의 형상곌 맹홀낮 섀치 현황을 나타낎고 있닀. 동음한 조걎에서의 에너지 저감 횚곌륌 잡정하Ʞ 위하여 전절에서 수행하였던 수늬싀험 조걎곌 동음한 조걎에서 수늬싀험을 싀시하였닀.

4장에서와 동음하게 죌ꎀ거와 잡멎ꎀ거에서 계산된 손싀계수 값곌 잡정된 유입유량 값을 Eq. (6)에 대입하여 산정한 곌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맚홀에서의 손싀계수(K)을 산정하였윌며, 산정된 손싀계수 값은 잡멎유량비와 읞버튞 섀치조걎 변화에 따띌서 Fig. 7곌 같읎 도시하였닀. Fig. 7에서 개선안 3곌 4륌 섀치한 곌부하 사각형 맚홀에서의 손싀계수는 읞버튞륌 섀치하지 않은 곌부하 사각형 맚홀에서의 손싀계수와 거의 동음하게 산정되얎 개선안 3곌 4의 읞버튞륌 섀치하는 것은 곌부하 4각형 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 저감 및 배수능력의 슝대에는 큰 횚곌가 없는 것윌로 나타났닀. 귞러나 개선안 1을 섀치한 곌부하 사각형 맚홀에서의 손싀계수는 읞버튞륌 섀치하지 않은 Ʞ볞 사각형 맚홀에서의 손싀계수의 변화 양상읎 ìž¡ë©Ž 유량읎 듀얎였지 않거나 적게 듀얎였는 ìž¡ë©Ž 유량비가 0.25읎하 조걎에서는 에너지 손싀의 저감 횚곌가 크게 개선되는 겜향을 나타낎고 있지는 않지만 ìž¡ë©Ž 유량비가 슝가하는 0.5읎상 조걎에서는 ì•œ 25~30% 정도 손싀계수가 적게 산정되얎 개선안 1의 읞버튞륌 섀치하는 것은 곌부하 4각형 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 저감 및 배수능력의 슝대에는 큰 횚곌가 있는 것윌로 나타났닀. Table 6에서의 개선안 1의 읞버튞의 높읎는 십자형 읞버튞의 높읎와 동음한 6 cm로 제작한 것읎므로 반원형 읞버튞 높읎와 동음한 개선안 1의 손싀계수 저감에 ꎀ한 상혞 비교가 필요할 것윌로 판닚되얎 3 cm 높읎로 개선안 1의 읞버튞륌 제작하여 수늬싀험을 추가적윌로 싀시하였닀.

Fig. 7.

Vari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quare Manhole Considering Invert Conditions

Figure_KSCE_37_02_05_F7.jpg
Table 6. Shape and Installation of Improved Invert in Square Manhole Table_KSCE_37_02_05_T6.jpg

4장에서와 동음하게 죌ꎀ거와 ìž¡ë©Ž ꎀ거에서 계산된 손싀계수 값을 산정하여 Table 7에 도시하여 읞버튞가 섀치되지 않은 Ʞ볞 사각형 맚홀에서 산정된 손싀계수와 비교하였닀. 또한 산정된 손싀계수 값곌 잡정된 유입유량 값을 Eq. (6)에 대입하여 산정한 곌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맚홀에서의 손싀계수(K)을 산정하였윌며, 산정된 손싀계수 값은 잡멎유량비와 개선안 1의 읞버튞 섀치조걎 변화에 따띌서 Fig. 8곌 같읎 도시하였닀.

Table 7. Vari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due to Installation of Improved Invert (Item1) at Square Manhole Table_KSCE_37_02_05_T7.jpg
Fig. 8.

Vari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quare Manhole with Improved Invert Installation

Figure_KSCE_37_02_05_F8.jpg

개선안 1의 읞버튞(직사각 및 정사각 개거형)륌 제작하여 수늬싀험을 통한 손싀계수 산정 결곌, 직사각 개거형 읞버튞 섀치시 죌ꎀ거의 손싀계수는 0.5~0.7, 잡멎ꎀ거의 손싀계수는 0.0~0.7 및 맚홀에서의 평균 손싀계수는 0.4~0.75로 산정되었닀. 읎는 직사각 개거형 읞버튞륌 섀치하멎 죌ꎀ거의 손싀계수는 읞버튞륌 섀치하지 않은 맚홀볎닀 ì•œ 7% 저감되었고, 잡멎ꎀ거의 손싀계수도 ì•œ 7% 저감되는 것윌로 나타났닀. 또한 정사각 개거형 읞버튞 섀치 시, 죌ꎀ거의 손싀계수는 0.4~0.55, 잡멎ꎀ거의 손싀계수는 0.0~0.6 및 맚홀에서의 평균 손싀계수는 0.4~0.6로 산정되었닀. 읎는 정사각 개거형 읞버튞륌 섀치하멎 죌ꎀ거의 손싀계수는 읞버튞륌 섀치하지 않은 맚홀볎닀 ì•œ 27% 정도 저감되었윌며, 잡멎ꎀ거의 손싀계수는 ì•œ 33% 정도 저감되는 것윌로 나타났닀(Table 6). 개선형 읞버튞륌 적용한 Table 6에서도 잡멎유량 변화비에 따띌 산정된 손싀계수는 Ryu et al. (2016)읎 제시한 바와 같읎 유출ꎀ의 레읎놀슈수가 충분히 크게 나타나므로 유량변화에 따륞 레읎놀슈수의 슝가와 ꎀ계없읎 음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읞하였닀.

Fig. 8에서 개선된 읞버튞의 에너지 손싀 저감 횚곌륌 확읞하Ʞ 위하여 읞버튞가 섀치되지 않은 맚홀곌 개선 읞버튞가 섀치된 맚홀에서 ìž¡ë©Ž 유입유량의 변화에 따띌 산정된 손싀계수륌 비교하여 나타낎었닀. 직사각 개거형 읞버튞륌 섀치한 겜우에는 읞버튞륌 섀치하지 않은 겜우에 비하여 평균 7%의 손싀계수가 저감되었윌며, 정사각 개거형 개선 읞버튞륌 섀치한 겜우에는 평균 28%의 손싀계수가 저감되는 것윌로 나타났닀. 따띌서 곌부하 4방향 사각형 맚홀의 횚윚적읞 배수능력 향상시킀Ʞ 위핎서는 맹홀 낮 섀치 여걎에 맞도록 직사각 개거형 읞버튞나 정사각 개거형 읞버튞륌 섀치하는 것읎 필요할 것윌로 판닚된닀. 읎때 직사각 개거형 읞버튞 섀치 시에는 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의 평균 손싀계수는 0.4~0.7을 사용하고, 정사각 개거형 읞버튞 섀치 시에는 평균 0.4~0.6을 사용하는 것읎 합늬적읞 것윌로 판닚된닀.

7. ê²° ë¡ 

볞 연구에서는 도시배수 시슀템의 ꎀ거 시섀에서 곌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의 저감 및 배수능력 슝대륌 위한 맹홀 낮 읞버튞 형상 및 섀치조걎을 도출하Ʞ 위하여 사각형 맹홀 및 ꎀ거륌 1/5로 축소하여 수늬싀험 몚형을 제작하였닀. 곌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맚홀에서의 에너지 손싀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읞버튞 형상 조걎을 도출하Ʞ 위하여 Fluent 6.3몚형윌로 수치몚의 싀시하였닀. 선정된 수늬싀험 조걎에 ìž¡ë©Ž 유량비 및 읞버튞의 형상 조걎을 변화시킀며 수늬싀험을 싀시하여 닀음곌 같은 결론을 얻었닀.

(1)읞버튞가 섀치되얎 있지 않은 사각형 맚홀에서 죌ꎀ거 접합부의 양 몚서늬 부분곌 유출ꎀ거의 접합부 양 몚서늬 부분읞 사각형 맚홀의 ë„€ 개의 몚서늬 부분에서 저유속 구간의 발생곌 맚홀곌 유출ꎀ거의 접합부 에서 수직 방향윌로 상승하는 수직 방향의 와의 발생윌로 읞한 유출 저감읎 곌부하 4방향 사각형 맚홀에서의 죌 에너지 손싀읎 원읞윌로 판닚된닀.

(2)십자형 읞버튞는 잡멎유량비가 0.5읎하에서는 십자형 교찚점에서의 흐멄 간섭읎 적게 발생되고 있윌나, 잡멎유량비가 0.5읎상읎 되멎 각 잡멎ꎀ거에서 유입되는 유입흐늄읎 십자형 읞버튞 교찚점에서 충돌하여 흐늄의 간섭읎 크게 발생한닀. 따띌서 십자형 읞버튞는 곌부하 상태의 맹홀 흐늄에서는 êž°ì¡Ž 맚홀의 배수능력 향상에 도움읎 되지 않는 것윌로 분석되었윌므로 4방향 합류맚홀에서의 십자형 읞버튞의 섀치는 지양하여알 할 것윌로 판닚된닀.

(3)곌부하 4방향 합류맚홀의 평균 손싀계수는 잡멎유량비가 0.0~0.5의 범위에서는 정사각 개거형 읞버튞 섀치 겜우에는 거의 음정한 값윌로 나타낎었고, 읞버튞 믞섀치 및 직사각 개거형 읞버튞 섀치 겜우에는 점진적윌로 슝가하였윌나, 0.5읎상에서는 손싀계수가 몚든 겜우에서 ꞉격히 슝가하였윌므로 잡멎유량비의 슝가가 손싀계수에 큰 영향을 믞치는 것윌로 확읞되었닀.

(4)개선 직사각 개거형 읞버튞와 정사각 개거형 읞버튞는 각각 평균적윌로 ì•œ 7%, 28%의 손싀계수가 감소하여 곌부하 사각형 맚홀에서 배수능력을 개선하는 것윌로 분석되었윌며, 직사각 개거형 읞버튞가 섀치 맚홀의 손싀계수는 0.4~0.7을 사용하고, 정사각 개거형 읞버튞 섀치 맚홀은 0.4~0.6을 사용하는 것읎 합늬적읞 것윌로 판닚된닀.

(5)개선형 읞버튞 섀치시 곌부하 4방향 사각형 맹홀 낎의 흐늄에서 읞버튞가 섀치되얎 있지 않은 맹홀 대비 손싀계수가 감소하여 배수 능력읎 개선되는 것윌로 분석되었닀. 따띌서 ꎀ거시섀 섀계 및 시공 시에 도시 ꎀ거 시섀의 배수능력을 슝대시킀Ʞ 위하여 볞 연구에서 제시된 개선형 읞버튞의 섀치 및 활용읎 가능할 것윌로 판닚된닀.

Acknowledgements

볞 연구는 국토교통부 묌ꎀ늬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16AWMP- B066744-04)에 의핎 수행되었습니닀.

References

1 
Arao, S. and Kusuda, T. (1998). “Manhole profiles for energy loss reduction.” Proceedings of HydraStorm 98,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ormwater Management, Adelaide, pp. 235-240.Arao, S. and Kusuda, T. (1998). “Manhole profiles for energy loss reduction.” Proceedings of HydraStorm 98,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ormwater Management, Adelaide, pp. 235-240.Google Search
2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5). Urban Drainage Design Manual.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5). Urban Drainage Design Manual.Google Search
3 
Fluent Inc (2005). Fluent 6.3 User’s Guide, Fluent Inc, New Hampshire, USA.Fluent Inc (2005). Fluent 6.3 User’s Guide, Fluent Inc, New Hampshire, USA.Google Search
4 
Johnston, A. J. and Volker, R. E. (1990). “Head losses at junction box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6, No. 3, pp. 326-341.10.1061/(ASCE)0733-9429(1990)116:3(326)Johnston, A. J. and Volker, R. E. (1990). “Head losses at junction box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6, No. 3, pp. 326-341.DOI
5 
Kim, J. S. (2010). “An experimental study for flow improvement at surcharged manholes.” Doctoral Dissertation of Kyonggi University (in Korean).Kim, J. S. (2010). “An experimental study for flow improvement at surcharged manholes.” Doctoral Dissertation of Kyonggi University (in Korean).Google Search
6 
Kim, J. S., Chio, H. S., Kim, H. M. and Yoon, S. E. (2010). “Analysis of stream characteristics at combine junction manhole using fluent model.” Proceedings of KWRA Conference 2010,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649-653 (in Korean).Kim, J. S., Chio, H. S., Kim, H. M. and Yoon, S. E. (2010). “Analysis of stream characteristics at combine junction manhole using fluent model.” Proceedings of KWRA Conference 2010,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649-653 (in Korean).Google Search
7 
Kim, J. S., Lim, G. H., Rim, C. S. and Yoon, S. E. (2011).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using numerical model.”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11, No. 3, pp. 143-150 (in Korean).10.9798/kosham.2011.11.3.143Kim, J. S., Lim, G. H., Rim, C. S. and Yoon, S. E. (2011).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using numerical model.”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11, No. 3, pp. 143-150 (in Korean).DOI
8 
Kim, J. S., Song, J. I. and Yoon, S. E. (2008). “An experimental study for drainage capacity increment at surcharged square manho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 22, No. 6, pp. 619-625 (in Korean).Kim, J. S., Song, J. I. and Yoon, S. E. (2008). “An experimental study for drainage capacity increment at surcharged square manho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 22, No. 6, pp. 619-625 (in Korean).Google Search
9 
Kim, J. S., Song, J. I. and Yoon, S. E. (2009). “An experimental study for drainage capacity increment at surcharged manholes with a 90° be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 23, No. 4, pp. 447-458 (in Korean).Kim, J. S., Song, J. I. and Yoon, S. E. (2009). “An experimental study for drainage capacity increment at surcharged manholes with a 90° be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 23, No. 4, pp. 447-458 (in Korean).Google Search
10 
Kim, J. S., Yoon, Y. N., Han, C. S. and Yoon, S. E. (2008). “Analysis of hydraulic similarity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Proceedings of KWRA Conference 2008,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510-514 (in Korean).Kim, J. S., Yoon, Y. N., Han, C. S. and Yoon, S. E. (2008). “Analysis of hydraulic similarity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Proceedings of KWRA Conference 2008,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510-514 (in Korean).Google Search
11 
Lindvall, G. (1984). “Head losses at surcharged manholes with a main pipe and a 90° lateral.” Proceeding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Storm Drainage, 1, pp. 137-146.Lindvall, G. (1984). “Head losses at surcharged manholes with a main pipe and a 90° lateral.” Proceeding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Storm Drainage, 1, pp. 137-146.Google Search
12 
Marsalek, J. (1984). “Head losses at sewer junction manhol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0, No. 8, pp. 1150-1154.10.1061/(ASCE)0733-9429(1984)110:8(1150)Marsalek, J. (1984). “Head losses at sewer junction manhol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0, No. 8, pp. 1150-1154.DOI
13 
Marsalek, J. and Greck, B. J. (1988). “Head losses at manholes with a 90° bend.”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Revue canadienne de génie civil, Vol. 15 No. 5, pp. 851-858.10.1139/l88-110Marsalek, J. and Greck, B. J. (1988). “Head losses at manholes with a 90° bend.”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Revue canadienne de génie civil, Vol. 15 No. 5, pp. 851-858.DOI
14 
Merlein, J. (2000). “Flow in submerged sewers with manholes.” Urban Water, Vol. 2, No. 3, pp. 251-255.10.1016/S1462-0758(00)00063-7Merlein, J. (2000). “Flow in submerged sewers with manholes.” Urban Water, Vol. 2, No. 3, pp. 251-255.DOI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Design Criteria of Sewerage.Ministry of environment (2011). Design Criteria of Sewerage.Google Search
16 
Ryu, T. H., Kim, J. S. and Yoon, S. E. (2016). “An experimental study for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four- way combining manhole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19, No. 12, pp. 1015-1025 (in Korean).10.3741/JKWRA.2016.49.12.1015Ryu, T. H., Kim, J. S. and Yoon, S. E. (2016). “An experimental study for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four- way combining manhole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19, No. 12, pp. 1015-1025 (in Korean).DOI
17 
Wang, K. H., Cleveland, T. G., Towsley, C. and Umrigar, D. (1998). “Head loss at manholes in surcharged sewer system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 Association, AWRA, Vol. 34, No. 6, pp. 1391-1400.10.1111/j.1752-1688.1998.tb05439.xWang, K. H., Cleveland, T. G., Towsley, C. and Umrigar, D. (1998). “Head loss at manholes in surcharged sewer system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 Association, AWRA, Vol. 34, No. 6, pp. 1391-1400.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