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한국걎섀Ʞ술연구원 수석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곌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도달시간, 토양핚수상태, 재현Ʞ간별 강우조걎, 댐 방류량 조걎
Travel time, Soil moisture accounting, Rainfall conditions by frequency, Dam outflow conditions

  • 1. 서 ë¡ 

  • 2. 연구방법

  •   2.1 도달시간의 정의

  •   2.2 몚형 읎론

  • 3. 적용 결곌

  •   3.1 자료의 구축

  •   3.2 몚형의 검정곌 검슝

  •   3.3 자연하천의 도달시간 산정

  •   3.4 방류량 조걎별 도달시간 산정

  • 4. ê²° ë¡ 

1. 서 론

도달시간(travel time), 지첎시간(lag time) 등곌 같은 시간맀개변수의 결정은 섀계홍수량 산정 및 수묞몚형을 구축할 때 쀑요한 곌정 쀑의 하나읎며, 1개 읎상의 시간맀개변수는 수묞분석 시 반드시 필요로 한닀. 읎처럌 시간맀개변수 쀑 하나읞 도달시간은 죌로 홍수Ʞ에 홍수 또는 하천ꎀ늬륌 위핎서 죌로 사용되고 있는 반멎, 평수Ʞ의 도달시간은 하천의 유지유량 및 읎수 ꎀ늬륌 위핎서 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닀. 자연하천에 대핮 Kerby 공식, Kirpich 공식, Rziha 공식, Kraven (I) 공식은 죌로 유역의 지형학적 읞자륌 Ʞ반윌로 도달시간을 산정하고 있윌며, Kraven (II) 공식곌 연속형 Kraven 공식은 겜사구간별 유속을 포핚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고 있닀(KICT, 2004). 귞늬고 Jeong et al.(2002)은 음반화된 평균유속곌 재현Ʞ간별 강우조걎, Yoo et al.(2011)은 강우강도식곌 지역상수륌 읎용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는 연구륌 수행하였닀. 도달시간 산정 연구는 쎈Ʞ에는 지형학적 읞자만을 고렀한 닚음한 값만을 갖윌나, ê·ž 읎후 닚음한 도달시간 산정읎 아닌 유속, 강우의 재현Ʞ간곌 강우강도의 변화에 따띌 도달시간을 산정할 수 있는 점읎 크게 개선된 것읎닀.

도달시간을 결정하는 요읞은 지형학적 읞자, 유속, 강우강도 읎왞에 토양핚수상태도 크게 ꎀ렚된닀. 토양핚수상태에 따띌 도달시간은 닀륎게 나타나므로 토양핚수상태륌 고렀한 도달시간 산정은 반드시 필요하닀. 볞 연구에서는 재현Ʞ간별 강우조걎곌 토양핚수상태륌 동시에 고렀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는 연구륌 수행하였닀. 상Ʞ의 조걎을 만족하는 도달시간을 산정하Ʞ 위핎 강우-유출 몚형읞 NWS-PC 몚형을 읎용하였윌며, 읎 몚형은 토양핚수상태계산(soil moisture accounting) 몚형곌 욎동파(kinematic wave) 몚형윌로 구성되얎 있닀. 도달시간 산정을 위핎 적용한 유역은 임진강의 황강댐곌 임진교 수위ꎀ잡소읎며, 황강댐곌 임진교 수위ꎀ잡소 구간을 자연하천윌로 섀정한 겜우와 황강댐의 방류량 조걎에 따띌 임진교 수위ꎀ잡소에 도달하는 겜우로 구분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였닀. 자연하천구간에 대핎서는 êž° 개발된 도달시간 방법곌 비교·검토륌 통핎 결곌륌 입슝하였윌며, 읎륌 토대로 황강댐의 방류량 조걎별 도달시간을 산정하였닀.

2. 연구방법

2.1 도달시간의 정의

유역의 응답 시간특성 변수 쀑 도달시간은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시간맀개변수로 닀륞 시간맀개변수와 마찬가지로 강우-유출 자료와 유역의 묌늬적 특성윌로 산정할 수 있닀. 도달시간은 유역의 최원점에서 출구점 또는 섀계지점까지의 거늬륌 유량읎 읎동하는데 걞늰 시간 또는 유횚우량읎 지속되얎 전첎 유역읎 유출에 Ʞ여할 때까지의 시간윌로 정의할 수 있닀(KICT, 1994). 귞러나 Pilgrim(1966)은 도달시간을 유량의 묌늬적 거동윌로 섀명한닀는 것은 사싀상 불가능하며, 읎와 같은 얎렀움 때묞에 싀잡 강우-유출 자료로부터 도달시간을 구하는 방법읎 현재로썚는 가장 정확한 방법읎띌고 하였닀. 따띌서 유역 최원점의 입력요소 발생곌 읎 요소로 읞한 최대 유량의 발생사읎의 시간윌로 정의할 것을 제안한 바 있윌며, 읎와 같은 형태의 가정은 닀음곌 같닀. 슉, 도달시간은 강우-유출ꎀ계륌 읎용하여 유횚우량의 끝점곌 직접유출 수묞곡선의 감소곡선 부분의 변곡점곌의 사읎의 시간읎며, 또 닀륞 대안은 유횚우량의 쀑심점곌 직접유출 수묞곡선의 감소곡선부분의 변곡점 사읎의 시간읎띌 정의할 수 있닀.

또한 Bell et al.(1969)에 의하멎 도달시간은 수묞곡선의 상승구간 슉, 수묞곡선의 상승Ʞ점에서 첚두발생시간까지의 시간곌 같닀고 정의한 바 있윌며, 변곡점을 읎용한 두 방법은 비교적 음ꎀ된 결곌륌 나타낎더띌도 읎듀 정의에 의핎 잡정된 도달시간은 혞우사상에 따띌 상당히 변한닀는 것을 밝힌 바 있닀. 읎왞에도 도달시간은 닀륞 시간맀개변수와 같읎 유역의 묌늬적 성질 혹은 유횚우량의 죌상도와 유출수묞곡선곌의 ꎀ계로 나타낌 수 있닀. 도달시간에 대핮 하천섀계Ʞ쀀·핎섀(KWRA, 2009)에서는 유역의 묌늬적 특성을 가지고 첚두유량을 산정하Ʞ 위핎 유역에서 수늬학적윌로 최원점에 낮며 묌 입자가 유역 출구점까지 도달하는데 걞늬는 시간, Singh(1976)은 유역의 최원점에 낮며 비가 유역출구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Bedient et al.(1988)은 유역의 평형읎 읎룚얎지는 시간, McCuen et al.(1984)은 유역의 최원점윌로부터 출구 또는 섀계지점까지 묌 입자가 읎동하는데 필요한 시간, 믞토양볎전국(SCS, 1975)에서는 유역의 최원점에서 출구 또는 섀계지점까지 묌읎 유하하는데 걞늬는 시간윌로 정의하고 있닀.

읎와 같은 도달시간의 정의 쀑 얎느 것도 도달시간의 ì°žê°’ 또는 재현의 값을 제공하는 절대적읞 정의띌 할 수 없닀. ê·ž 읎유는 첫짞로 유역특성을 읎용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할 겜우 조도계수륌 선정하고 동수반겜을 결정하는 얎렀움읎 수반되얎 동음 유역읎띌 할지띌도 섀계Ꞟ읎에 따띌 서로 닀륞 값읎 산정될 수 있닀. 둘짞로는 강우-유출 자료륌 읎용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할 겜우, 유횚우량의 분늬 및 유횚우량 산정곌 Ʞ저유출분늬 방법에 따띌 도달시간 값의 찚읎가 있Ʞ 때묞읎닀(KICT, 1994). 뿐만 아니띌 McCuen et al.(1984)은 도달시간을 결정하는 정확한 방법은 없윌며, 읎에 대한 찞값은 결윔 결정할 수 없닀고 하였닀. 읎처럌 도달시간 산정식은 겜험적 방법윌로 입력 자료와 적용되는 흐늄의 형태에 의핎 분류되고, 읎듀 방법은 사멎의 흐멄, 수로흐늄, 사멎곌 수로흐늄, 귞늬고 ꎀ로의 형태와 개수로 흐늄에 대핮 Ʞ볞적읞 섀계륌 하는데 적용된닀. ê²°êµ­ 도달시간은 음정한 강우강도가 계속되는 가정하에 유역의 묌늬적읞 특성곌 핚께 알Ʞ되는 유역의 첚두유량을 산정하는데 적용되는 유역반응 시간특성읎띌 할 수 있닀.

도달시간은 유역의 최원점에 낮며 비가 유역 출구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읎닀. 읎러한 정의는 쎈Ʞ손싀(initial loss)을 몚두 만족하멎서 동음한 강도의 혞우가 전 유역에 걞쳐 최소한 홍수도달시간 읎상 발생하여알 한닀는 전제가 만족한닀멎, Bedient et al.(1992)가 정의하고 있는 유역 낮 평형도달시간(유입곌 유출량읎 동음핎지는 시간)의 개념곌 음치하게 된닀. 홍수도달시간은 강우의 지속Ʞ간읎 홍수도달시간곌 동음할 때 핎당 유역에서는 최대 첚두유량읎 발생하게 된닀는 의믞읎닀. Fig. 1곌 Fig. 2는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2013)에서 제시한 첚두발생시간곌 지첎시간의 개념도읎며, 홍수도달시간 개념도읎닀.

Figure_KSCE_38_4_04_F1.jpg
Fig. 1.

Conceptual Diagram of Peak Occurrence Time and Lag Time (NIDP, 2013)

Figure_KSCE_38_4_04_F2.jpg
Fig. 2.

Conceptual Diagram of Flood Travel Time (NIDP, 2013)

2.2 몚형 읎론

도달시간 산정을 위핎 사용된 NWS-PC 몚형은 크게 토양핚수상태계산 부몚형곌 흐늄에 대한 추적 부몚형윌로 구분된닀. 토양핚수상태계산 몚형은 묌 순환곌정의 토지부분에서 입력된 강우륌 하도 흐늄의 유입량윌로 변환시킚닀. 흐늄에 대한 추적 부몚형의 Ʞ능은 하도 유입량을 유역 또는 소유역 출구의 유출로 추적하며, 욎동파 추적법(kinematic wave routing method)읎나 닚위도-Muskingum 방법의 조합을 사용한닀. 토양핚수상태계산 부몚형은 Tabios Ⅲ et al.(1986)읎 제시한 바와 같읎 Fig. 3에서 유역을 상잵부(upper zone)와 하잵부(lower zone)로 구분한닀. 상잵부는 상부 토양잵곌 부유대수잵(perched aquifer)곌 같은 ì°šë‹š 저류(interception storage)륌 나타낎고, 하잵부는 토양 핚유수분곌 지하수 저류륌 나타낞닀. 상·하잵부의 수분은 자유로읎 읎동할 수 있는 자유수(free water)와 토양입자에 부착된 부착수(tension water)로 읎룚얎진닀.

Figure_KSCE_38_4_04_F3.jpg
Fig. 3.

Schematic Diagram of Sacramento Soil Moisture Accounting Model (Tabios III et al., 1986)

귞늬고 하잵부는 닀시 두 가지로 나누얎젞서, 장Ʞ간의 Ʞ저유출을 몚의하는 Ʞ볞 자유수(primary free water)와 상대적윌로 최귌에 발생한 강우에 의핎 나타나는 볎조 자유수(supplemental free water)로 졎재한닀. 몚형에서 고렀하는 묌 배분의 개념은 뚌저 부착수 성분읎 뚌저 채워지고 나서 자유수 성분읎 공꞉되는 것읎닀. 부착수는 슝발산에 의핎서만 탈수(depletion)되며 자유수는 칚투와 슝발산에 의핎 탈수된닀. 상잵부에서 하잵부로 읎동하는 칚룚현상은 상잵부 가용수분곌 하잵부 수분 부족량의 핚수읎닀.

토양핚수상태계산 몚형에서 몚의 계산되는 유출 성분은 닀음의 닀섯 가지로 구분된닀.

(1) 영구적읞 또는 음시적읞 불투수 영역윌로부터 유출되는 직접 유출(direct runoff)

(2) 상잵부의 자유수 저류지가 포화되거나, 강우강도가 칚투 및 쀑간유출률을 쎈곌할 때 발생하는 지표멎 유출(surface runoff)

(3) 상잵부의 자유수에서 배수되는 쀑간유출(interflow)

(4) 볎조 Ʞ저유출(supplemental base flow)

(5) Ʞ볞 지저유출(primary base flow)

처음 3개의 유출 성분은 지표멎 유출에 의한 유입량윌로 욎동파 추적법읎나 닚위도-Muskingum 방법 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핎 계산된닀. 마지막 2개의 성분은 토양수분에 대한 선형감쇠 가쀑핚수(linear decay weighting function)로 계산한 후 지표하 유출(subsurface flow)의 형태로 하천윌로 유입되므로, 읎 유출량을 몚두 합산하멎 유역 출구에서의 쎝 하천 유출량읎 된닀.

NWS-PC 몚형의 추적방법은 욎동파로서 유역의 사멎곌 하도륌 추적할 수 있고, 닚위도-Muskingum 방법을 조합하여 추적할 수도 있닀. 볞 연구에서는 1시간 닚위의 유출량 몚의륌 수행하Ʞ 위하여 볎닀 정확하닀고 판당되는 욎동파 추적법을 사용하였닀. 지표멎 흐늄읎나 하천의 1찚원 흐늄은 Saint-Venant 방정식윌로 나타낌 수 있윌며, 읎것은 연속방정식곌 욎동량 방정식윌로 구성된닀. 연속방정식곌 욎동량방정식을 연늜하여 Eq. (1)곌 같읎 유출핎석을 수행할 수 있닀.

Figure_KSCE_38_4_04_M1.gif     (1)

여Ʞ서, A는 흐멄 닚멎적(m2), t는 시간(sec), α와 β는 조도계수와 흐늄의 닚멎특성에 따띌 결정되는 계수, x는 흐늄방향윌로의 거늬(m), q는 볎통 쎈곌 강우량(excess rainfall)윌로 음컬얎지는 쎝 하도 유입량(m3/s)읎거나 ìž¡ë°© 유입량(m2/s)읎닀. Eq. (1)은 지표멎 흐늄읎나 하도 추적의 지배방정식읎 되며, 읎 식의 수치핎는 유한찚분 양핎법을 사용한닀. 쎝 하도 유입량 q는 지표멎 흐멄 요소륌 통하여 추적되며, 읎때의 흐늄요소는 닀양한 하천닚멎 쀑 넓은 사각형 하도(wide rectangular channel)로 췚꞉하여 , α=S1/2·β=5/3읎 된닀. 귞늬고 지표멎 흐늄요소의 유출량은 집수하도가 있을 겜우에 읎 하도의 유입량읎 하도추적 된닀. 닀시 집수하도의 유출량을 죌하도의 유입량윌로 하여 하도추적을 하멎 최종적윌로 유역출구의 지표흐늄 유출량읎 된닀.

3. 적용 결곌

3.1 자료의 구축

Fig. 4와 같읎 임진강 쀑류부에 위치한 연구 대상유역의 유역출구읞 임진교 수위ꎀ잡소의 유역멎적은 4,228.71km2읎며, 유로연장은 191.82km읎닀. 1996년 ꎀ잡개시음 읎후부터 지속적윌로 수위ꎀ잡을 하고 있닀. 한탄강 합류점윌로부터 7.02km, 한탄강 합류 읎전 임진강 볞류에 위치한 ꎀ잡소로 북한의 4월5음댐곌 황강댐의 저류 및 방류 시 직접적읞 플핎륌 입는 지역윌로 댐 걎섀 영향에 따륞 유출량 산정을 위한 최적의 ꎀ잡소로 볌 수 있닀. 2007년 12월겜 완공되얎 닎수가 시작된 것윌로 확읞된 황강댐은 군사분계선윌로부터 42.3km 북쪜에 위치하며, 저수용량 3~4억m3(ì•œ 3.5억m3) 규몚의 닀목적댐읎닀. 황강댐 유역멎적은 2,822.40km2윌로 임진강 전첎 유역멎적 8,117.50km2의 35%에 달한닀. 대상유역 읞귌에는 7개의 수묞ꎀ잡소가 있윌며, 황강댐 상·하류에 쀑·소형 발전용 댐읞 4월5음댐(쎝 4êž°, 2001~2002년 완공)읎 있닀.

Figure_KSCE_38_4_04_F4.jpg
Fig. 4.

Map of the Imjin River Basin

볞 연구에서는 북한의 원산ꎀ잡소 등 5개 ꎀ잡소와 낚한의 철원ꎀ잡소 등 2개 ꎀ잡소의 강우량 자료와 Ʞ상자료륌 수집하고, 몚형의 입력자료읞 강우량 자료와 슝발산량 자료륌 구축하였닀. 북한의 5개 ꎀ잡소의 원시 강우량 자료의 시간간격은 12시간곌 6시간읎며, Ʞ상자료는 3시간 간격읎닀. 낚한의 2개 ꎀ잡소의 최소 시간간격은 10분읎닀. 볎닀 정확한 몚의 유출량 분석을 통핎 도달시간을 산정하렀멎 최소 1시간 간격의 자료가 요구된닀. 북한의 5개 ꎀ잡소의 강우량 자료에 대핎서는 MLTM(2011)에 제시한 지속Ʞ간별 싀잡 시간분포 방법을 적용하였닀. Ʞ상자료는 선형볎간법에 의핎 결잡자료륌 볎완하였윌며, 3시간 간격의 자료륌 균등 분할하여 1시간 간격의 자료륌 생성하였닀. 각 ꎀ잡소별 강우량 자료는 역거늬법을 읎용하여 결잡을 볎완하고, 티섌가쀑법을 적용하여 유역평균강우량을 생성하였닀. 귞늬고 1시간 간격의 Ʞ상자료륌 토대로 FAO Penmann-Monteith 방정식을 읎용하여 슝발산량을 산정하였닀. 유역출구읞 임진교 수위ꎀ잡소의 1시간 간격의 ꎀ잡유출량 자료의 검토륌 통핎 몚형의 입력자료륌 1999년부터 2017년까지 구축하였닀. 구축된 자료륌 토대로 전Ʞ간의 묌수지륌 Table 1곌 같읎 나타낎었윌며, 쎝 강우량 대비 하천유출은 55.7%, 슝발산량은 32.4%, 지하수 핚양량은 11.9%의 비윚을 볎읎는 것윌로 분석되었닀.

Table 1. Results of Water Balance Analysis (Imjin Bridge Water Level Station, Average)

Figure_KSCE_38_4_04_T1.jpg

3.2 몚형의 검정곌 검슝

NWS-PC 몚형의 토양핚수상태계산 부몚형의 맀개변수는 수묞곡선을 분석하여 추정하는 수동볎정곌 제앜 Rosendrock 최적화 알고늬슘 Ʞ반의 자동볎정 Ʞ능윌로 볎정할 수 있닀. 볞 연구에서는 Brasil et al.(1980)가 제안한 수동볎정곌 자동볎정의 조합 시 발생하는 불읎익을 극복하Ʞ 위하여 쎈Ʞ는 수동볎정윌로, 쀑간은 자동볎정윌로, 최종은 두 방법을 조합하여 볎정을 수행하였닀 쎈Ʞ 몚형의 맀개변수륌 얻Ʞ 위하여 NWS-PC 몚형의 맀뉎얌에 Ʞ술된 절찚에 따띌 ꎀ잡 수묞곡선곌 전 유역의 토양특성곌 몚형 맀개변수간의 ꎀ계륌 분석하였닀. 수동볎정은 ꎀ잡곌 몚의발생 흐늄간의 였찚륌 시행착였법윌로 수행되며, 자동볎정은 Eq. (2)와 같읎 ꎀ잡 및 몚의발생 흐늄간의 시간대별 펞찚제곱합을 최소화하는 목적핚수륌 섀정하여 직접탐색법에 의핎 최적치륌 구하는 최적화 Ʞ법에 의핎 수행된닀. 자동볎정되는 맀개변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정하도록 되얎있닀.

Figure_KSCE_38_4_04_M2.gif     (2)

여Ʞ서, Qobs는 ꎀ잡유량, Qcal=Qb(Π, Θ)는 계산유량을 나타낞닀.

제앜조걎윌로는

Figure_KSCE_38_4_04_M3.gif     (3)

여Ʞ서, Θmin곌 Θmax는 각 맀개변수의 상·하한값을 나타낎고, Π는 입력자료, 슉 강우량을 나타낞닀. NWS-PC 몚형의 맀개변수 쎈Ʞ값 추정곌 검정은 4월5음댐곌 황강댐 걎섀 읎전읞 1999~2000년 수묞자료륌 읎용하여 NWS-PC 몚형의 맀뉎얌에 따띌 첚두유출량 및 첚두유출발생시간의 ꎀ잡값곌 몚의값의 였찚륌 최소화하는 방법윌로 수행하였닀. 욎동파 추적 부몚형의 맀개변수는 지늬정볎시슀템 도구륌 읎용하여 추출한 값을 사용하였윌며, 지형자료는 SRTM 자료륌 읎용하였닀(http://strm.csi.cgiar.org).

1999~2000년은 임진강 상류에 위치한 4월5음댐곌 황강댐 걎섀 읎전 Ʞ간윌로 읞위적읞 대규몚 수공구조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닀. 읎에 따띌 강우에 의한 유출량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Ʞ 때묞에 읎 Ʞ간을 검정Ʞ간윌로 섀정하였닀. 귞늬고 검슝Ʞ간은 2001~2005년윌로 섀정하였윌며 ê·ž 읎유는 닀음곌 같닀. 검슝Ʞ간은 읞위적읞 하천유출량의 저류와 방류가 있었던 Ʞ간읎나, 4월5음댐 쎝 저수용량(87.7백만m3)볎닀 큰 황강댐읎 완공된 2007년 읎전(2006년은 황강댐 걎섀Ʞ간 쀑윌로 공사에 따륞 유출량의 변화가 예상되므로 검슝Ʞ간에서 제왞핚)윌로 검슝Ʞ간을 제한하였닀. 4월5음댐은 쀑·소형 발전용 댐윌로 발전에 사용된 유출량은 닀시 유역낎로 환원되Ʞ 때묞에 장Ʞ적읞 ꎀ점에서 볌 때, 유역의 유출량 손싀은 없닀.

Table 2와 Figs. 5(a) and 5(b)에서 볎는 바와 같읎 몚형의 검정Ʞ간읞 1999~2000년의 몚의값은 유횚유출량에서 ꎀ잡값곌 ì•œ 1.5%의 찚읎륌 볎읎는 것윌로 분석되었닀. 몚의 수묞곡선의 형상은 ꎀ잡 수묞곡선곌 유사한 겜향을 볎였윌나, 저수위의 유출량곌 음부 혞우사상에서 닀소 찚읎륌 볎였닀. 귞늬고 검정Ʞ간의 쎈Ʞ읞 1999년 1~3월의 자료는 안정적읞 핎륌 찟아가는 곌정에 핎당하므로 불안정한 값을 볎였윌나 ê·ž 읎후에는 안정적읞 특성을 나타낎었닀. 몚형의 검슝Ʞ간읞 2001~2005년의 겜우 몚의값은 유횚유출량에서 ꎀ잡값곌 ì•œ 0.9% 찚읎륌 볎읎는 것윌로 분석되었닀. 몚의와 ꎀ잡 수묞곡선의 형상은 맀우 유사하였윌며, 검정Ʞ간곌 같읎 저수위의 유출량곌 음부 혞우사상에서 찚읎륌 볎읎는 것윌로 분석되었닀.

Table 2. Comparison of Observed Runoff and Simulated Runoff (1999~2000, 2001~2005)

Figure_KSCE_38_4_04_T2.jpg

Figure_KSCE_38_4_04_F5.jpg
Fig. 5.

Comparison of Observed Hydrograph and Simulated Hydrograph (Imjin Bridge Water Level Station)

검슝Ʞ간 쀑 2001년에는 4월5음댐의 1혞Ʞ(저수용량 20백만m3)와 2혞Ʞ(저수용량 7.7백만m3), 2002년에는 4월5음댐의 3혞Ʞ(저수용량 30백만m3)와 4혞Ʞ(저수용량 30백만m3)의 완공읎 있었윌며, 댐 걎섀 쀑에 조절된 음부 유출량 및 2001년 10월곌 2005년 9월의 묎닚방류의 영향윌로 ꎀ잡자료의 불확싀성읎 졎재하는 Ʞ간읎닀. 귞러나 몚의값 산정결곌는 검슝Ʞ간읎 5년윌로 장Ʞ간읎지만 양혞한 결곌륌 볎읎는 것윌로 분석되었닀.

검정Ʞ간곌 검슝Ʞ간의 통계값은 Table 3에 나타낎었윌며, 검슝Ʞ간은 검정Ʞ간볎닀 몚형의 횚윚성 개선곌 적은 였찚의 결곌륌 볎읎는 것윌로 분석되었닀. 검슝을 통핎 산정된 강우-유출 몚형의 맀개변수는 도달시간 산정을 위한 Ʞ쀀읎 되는 값읎닀(Kim, 2018).

Table 3. Statistical Analysis of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Period

Figure_KSCE_38_4_04_T3.jpg

3.3 자연하천의 도달시간 산정

지형학적 읞자와 겜사별 유속을 읎용한 자연하천에 대한 도달시간 산정은 Kerby 공식, Kirpich 공식, Rziha 공식, Kraven (I) 공식, Kraven (II) 공식, 연속형 Kraven 공식을 적용할 수 있닀. Kerby 공식, Kirpich 공식, Rziha 공식, Kraven (I) 공식은 닚음값을 갖는 도달시간만을 산정할 수 있윌며, Kraven (II) 공식은 3개로 구분된 유역겜사에 대응하는 도달시간을 산정할 수 있닀. 귞늬고 연속형 Kraven 공식도 2개의 유역겜사의 구분곌 유속의 최소값곌 최대값을 갖는 도달시간을 산정할 수 있닀. Table 4는 황강댐곌 임진교 수위ꎀ잡소에 대핮 각 공식을 적용한 도달시간을 산정하였윌며, 2개 구간의 찚읎값에 대한 구간 도달시간도 핚께 Ʞ술하였닀. 여Ʞ서 Kerby 공식, Kirpich 공식은 조걎에 부합되지 않아 적용에 한계가 있윌며, Kraven (I) 공식은 닀륞 공식에 비핎 곌대한 값을 볎읎고 있닀. 황강댐곌 임진교 수위ꎀ잡소의 구간의 유역평균겜사(0.1854)는 1/100 읎상읎므로 Kraven (II) 공식의 도달시간은 5.3시간읎며, 연속형 Kraven 공식은 Vmax의 값을 적용한 4.1시간의 도달시간읎 산정된닀. 따띌서, Rziha 공식의 3.7시간, Kraven (II) 공식의 5.3시간, 연속형 Kraven 공식의 4.1시간읎 대상유역에 적합한 닚음한 값을 갖는 도달시간윌로 판당할 수 있닀.

Table 4. Results of Travel Time (Formula that Considers Only Topographical Factors and Velocity)

Figure_KSCE_38_4_04_T4.jpg

또 닀륞 도달시간 산정방법읞 Jeong et al.(2002)읎 제시한 Jeong 공식(정밀)곌 Yoo et al.(2011)읎 제시한 공식은 강우의 재현Ʞ간에 따띌 도달시간을 산정할 수 있닀. 귞러나 볞 연구에서 제시하는 강우-유출 몚형을 적용할 겜우 강우의 재현Ʞ간 뿐만 아니띌 쎈Ʞ의 토양핚수상태 조걎에 대핎서도 도달시간 산정읎 가능하Ʞ 때묞에 수묞·지형학적 읞자륌 최대한 활용한 도달시간을 산정할 수 있닀.

Table 5는 강우의 재현Ʞ간에 따띌 Jeong et al.(2002)읎 제시한 Jeong 공식(정밀)곌 Yoo et al.(2011)읎 제시한 공식을 임진강 유역의 황강댐곌 임진교 수위ꎀ잡소에 적용하여 산정한 도달시간 값읎며, 볞 연구값은 강우의 재현Ʞ간에 따륞 토양핚수상태별 도달시간을 산정한 값읎닀. 임진교 수위ꎀ잡소와 황강댐 구간의 도달시간은 Jeong et al.(2002)읎 제시한 Jeong 공식(정밀)의 겜우 9.8~7.4시간읎 산정되었윌며, Yoo et al.(2011)읎 제시한 공식의 겜우에는 5.3~3.4시간윌로 산정되었닀. 볞 연구는 강우 쎈Ʞ 토양핚수상태 10%에서 4.6~2.5시간, 50%에서 4.3~2.4시간, 90%에서 3.8~1.2시간윌로 산정되었닀. 볞 연구의 강우 쎈Ʞ 토양핚수상태 10%의 값은 Yoo et al.(2011)읎 제시한 공식곌 유사한 값을 볎읎는 것윌로 분석되었닀. 귞러나 Jeong et al.(2002)읎 제시한 Jeong 공식(정밀)은 볞 연구결곌와 Yoo et al.(2011)읎 제시한 공식의 값곌는 찚읎륌 볎읎고 있닀.

Table 5. Results of Travel Time (by Frequency or Soil Moisture Accounting)

Figure_KSCE_38_4_04_T5.jpg

Jeong et al.(2002)읎 제시한 Jeong 공식(정밀)은 음반화된 평균유속곌 재현Ʞ간 50년을 Ʞ쀀윌로 갖는 도달시간을 산정하는 반멎, Yoo et al.(2011)읎 제시한 공식은 Sherman형 강우강도식곌 지역상수륌 토대로 도달시간을 산정한 값읎닀. 따띌서 Yoo et al.(2011)읎 제시한 공식윌로 산정된 도달시간은 강우의 조걎을 충분히 반영한 값읎띌 볌 수 있닀. 귞늬고 볞 연구에서 제시된 도달시간 산정값도 대상유역의 강우조걎에 따륞 첚두유출발생시간을 재현하는 몚형을 적용한 것읎므로 역시 강우조걎을 잘 반영하고 있윌며, 강우 쎈Ʞ의 토양핚수상태륌 고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닀.

3.4 방류량 조걎별 도달시간 산정

방류량 조걎은 황강댐에서 쎈당 500m3~10,000m3의 11개 조걎윌로 방류하였을 겜우, 유역출구읞 임진교 수위ꎀ잡소에 믞치는 첚두유출발생시간, 슉 도달시간을 산정하였닀. 도달시간 산정은 검슝을 통핎 확정된 맀개변수륌 갖는 강우-유출 몚형을 읎용하였윌며, 황강댐곌 임진교 수위ꎀ잡소 구간의 몚형 맀개변수는 닀음곌 같읎 결정하였닀. 임진교 수위ꎀ잡소에 대핮 산정된 토양핚수상태계산 부몚형 맀개변수는 귞대로 사용하되, 상잵부와 하잵부의 최대저류용량은 유역멎적비 33.3% (황강댐곌 임진교 수위ꎀ잡소 구간의 유역멎적은 1,406.31km2임)륌 적용하였윌며, 상잵부와 하잵부의 쎈Ʞ수 값도 상잵부와 하잵부의 최대저류용량곌 동음한 값을 적용하였닀.

읎러한 읎유는 유역전첎가 100% 포화된 토양핚수상태의 조걎을 부여한 것윌로 발생된 강우량읎 몚두 하도로 유입되얎 유출읎 발생하는 상황을 묘사한 것읎닀. 읎것은 황강댐 방류량읎 하도륌 통핎 100% 하류로 유하 한닀는 것곌 같은 의믞읎닀. 예로 충죌닀목적댐의 겜우에는 방류량별 하류 죌요지점의 도달시간을 알 수 있지만 귞렇치 못한 상황에서의 읎러한 조걎의 섀정은 유의성을 갖는닀고 할 수 있닀. 귞늬고 욎동파 추적 부몚형의 맀개변수는 황강댐곌 임진교 수위ꎀ잡소 구간의 지형읞자 값을 적용하였닀. 강우-유출 몚형의 입력자료읞 강우량의 지속Ʞ간은 1시간윌로 하였윌며, 몚의Ʞ간 동안 슝발산량은 발생하지 않았닀고 가정하였닀. 몚의유출량의 결정은 첚두유출량읎 핎당 방류량에 최대로 귌접할 때까지 반복 시행하였윌며, 읎때의 첚두유출발생시간, 슉 도달시간을 산정하였닀(Kim, 2018).

Table 6곌 같읎 황강댐의 방류량 조걎별 도달시간은 13시간(방류량 500m3/s, 구간 평균유속 1.44m/s)~4시간(방류량 10,000m3/s, 구간 평균유속 4.68m/s)윌로 산정되었닀. 황강댐의 방류량 7,000m3/s 읎상에서는 더 읎상 도달시간읎 감소하지 않고 음정한 값을 갖는 것윌로 산정되었닀. 강우-유출 몚형의 몚의 시간간격은 1시간 닚위읎므로, 1시간 읎하의 도달시간을 산정할 수 없는 한계륌 낎포하고 있닀. 부가적윌로 황강댐의 각 조걎별 방류량에 핎당하는 지속Ʞ간 1시간의 발생 강우량 35.0mm(방류량 500m3)~202.5mm(방류량 10,000m3)가 유출에 Ʞ여하였을 겜우, 임진교 수위ꎀ잡소에 500.7~ 10,004.5m3/s의 첚두유출량을 발생시킀는 것윌로 분석되었닀.

Table 6. Calculation of Peak Runoff and Travel Time of the Imjin Bridge Water Level Station by Outflow Conditions of the Hwanggang Dam (the Basin Rainfall Inclusion)

Figure_KSCE_38_4_04_T6.jpg

4. ê²° ë¡ 

섀계홍수량 산정 및 수묞몚형 구축 시 도달시간곌 같은 시간맀개변수 결정은 맀우 쀑요한 곌정읎닀. 볞 연구에서는 도달시간에 대한 정의륌 고찰하고, êž° 개발된 도달시간 공식을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였닀. 쎈Ʞ의 도달시간 공식은 지형읞자만을 적용하는 것곌 지형읞자와 핚께 유역겜사 구분에 따륞 유속값을 적용하는 것윌로 구분된닀. 읎후 음반화된 평균유속곌 재현Ʞ간별 강우조걎, 강우강도식곌 지역상수륌 고렀한 개선된 도달시간 공식읎 개발되었닀.

도달시간 산정 시 고렀될 수 있는 읞자로는 지형학적 특성자료, 유속, 강우강도(재현Ʞ간별 포핚) 읎왞에 토양의 쎈Ʞ핚수조걎도 ꎀ렚읎 있닀. 볞 연구의 도달시간 산정은 강우-유출 몚형읞 NWS-PC 몚형을 읎용하여 검슝된 맀개변수륌 토대로 재현Ʞ간별 강우조걎곌 강우쎈Ʞ의 토양핚수상태륌 동시에 고렀하였윌며, êž° 개발된 공식곌 비교·검토하였닀. ê·ž 결곌 볞 연구에서 산정된 도달시간은 수묞·지형학적 읞자륌 반영한 맀우 유의믞한 값을 갖는 것윌로 분석되었닀.

귞늬고 임진강 상류에 위치한 황강댐의 방류량 조걎에 따띌 하류에 위치한 임진교 수위ꎀ잡소에 도달하는 시간을 산정하였닀. 산정결곌읞 13시간(방류량 500m3/s)~ 4시간(방류량 10,000m3/s) 범위의 도달시간은 자연하천상태의 도달시간곌 핚께 임진강 유역의 홍수ꎀ늬와 황강댐의 묎닚방류륌 포핚하는 방류 시 사고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볎한닀는 의믞에서 가치가 있닀고 판닚된닀. 향후 연구에서는 임진강 상류 유역의 강우량자료에 대한 적정 시간분포 방법을 개발하고, 지역빈도핎석을 통핎 얻얎진 강우조걎별 자료와 수묞·지형학적 읞자륌 최대로 활용한 도달시간을 산정할 계획읎닀.

Acknowledgements

볞 연구는 한국걎섀Ʞ술연구원의 죌요사업읞 “수재핎 방재 대응을 위한 수묞조사”의 음환윌로 수행되었습니닀.

References

1 
Bedient, P. B. and Huber, W. C. (1988). “Hydrology and flood-plain analysi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New York.
2 
Bedient, P. B. and Huber, W. C. (1992). “Hydrology and floodplain analysis.”Addison-Wesley, Reading, Mass.
3 
Bell, F. C. and Omakar, S. (1969). “Characteristic response times in design flood estim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8, pp. 173-196.DOI
4 
Brasil, L. E. and Hudlow, M. D. (1980). “Calibration procedures used with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river forecast system,” Water and related Land Resource Systems, Cleveland, Ohio, pp. 457-466.
5 
Jeong, J. H., Keum, J. H. and Yoon, Y. N. (2002). “Development of estimation method for travel time.”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 6, pp. 715-727 (in Korean).DOI
6 
Kim, D. P. (2018). Analysis of the influence on downstream runoff due to upstream dam operation of the Imjin river, Ph.D. Dissertation, Dept. of Civi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in Korean).
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1994). Determination of hydraulic and hydrological factors for the forecasting of flood runoff – focused on Clark and Nash methods -, No. 94-WR-113 (in Korean).
8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2009). River design standard·commentary (in Korean).
9 
McCuen, R. H., Wong, S. L. and Rawls, W. J. (1984). “Estimation urban time of concentration.” Journal of Hydrology, ASCE, Vol. 110, No.7, pp. 887-904.DOI
1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of Probability Rainfall, No. 11-1611000-001995-01 (in Korean).
11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NIDP). (2013).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reducing damages of small river facilities based on real experiments) quantification of design element for reduction in small river damage, No. 11-1312184-000031-01 (in Korean).
12 
Pilgrim, D. H. (1966). “Radioactive tracing of storm runoff on a small catchment: 1. experimental technique.” Journal of Hydrology, Vol. 4, pp. 289-305.DOI
13 
SCS. (1975).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echnical release, No. 55.” Soil Conservation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14 
Singh, V. P. (1976). “Derivation of time of concentr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30, issues 1-2, pp. 147-165.DOI
15 
STRM, http://srtm.csi.cgiar.org. (Accessed: June 21, 2018)
16 
Tabios III, G., Obeysekera, J. T. and Salas, J. D. (1986). “National Weather Service Model : PC version, program and manual.” assembled by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Program,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lorado, pp. 1-137.
17 
Yoo, D. H., Kim, J. H., Lee, M. H. and Lee, S. H. (2011). “The time of concentration considering the rainfall intensity.”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7, pp. 591-599 (in Korean).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