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에서는 긴장력 도입시점부터 가설전 단계까지 측정된 변형률 데이터를 수치 모사하기 위한 프리팹 PSC 거더의 수치 해석 모델에 대해 기술한다.
2.2 프리팹 PSC 거더 시간 의존적 거동 해석
Fig. 2(a)의 기준점으로부터 $x_{j}$에 위치한 PSC 거더 단면에서 Fig. 3와 같이 $t_{i-1}$ 시점에서 $t_{i}$ 시점 사이에 발생하는 상·하연 크리프 변형률 증분은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overline{\varepsilon}^{{cr}}$, $\underline{\varepsilon}^{{cr}}$, $\overline{\varepsilon}$,
$\underline{\varepsilon}$ 그리고 $Φ$는 각각 상·하연의 크리프 변형률, 상·하연의 탄성 변형률 그리고 크리프 계수를 나타내고
아래첨자 $i$와 $j$는 각각 시간단계 $t_{i}$와 기준점으로부터 거더의 단면 위치인 $x_{j}$를 나타낸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t_{i}$는
$i$일을 의미한다.
Fig. 3에서 텐던 도심 위치에서 발생하는 크리프 변형률 증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widetilde{\varepsilon}^{{cr}}$, $\overline{h}$, $h$ 그리고 $e$는 각각 텐던 도심 위치에서
크리프 변형률 증분, 도심으부터 상연까지의 거리, 거더의 총 높이 그리고 도심으로부터 텐던까지의 편심거리를 나타낸다.
텐던 도심 위치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 변형률 증분은 다음과 같다(KCI, 2012).
여기서, $\widetilde{\varepsilon}^{{sh}}$, $\varepsilon_{{sho}}$, $\beta_{s}$ 그리고 $t_{s}$는
각각 텐던 도심 위치에서 건조수축 변형률 증분, 개념 건조수축계수, 건조수축 변형률 함수 그리고 콘크리트가 외기중에 노출되었을 때의 재령이다.
릴렉세이션에 의해 텐던에서 발생하는 손실응력 증분은 다음과 같다(Shin, 2008).
여기서, $\triangle f^{{r elax}}$, $f_{p i}$, $f_{p y}$, $A_{p}$ 그리고 $C$는 릴렉세이션 손실량, 초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항복강도, 긴장재의 단면적, 이완계수를 나타낸다. $C$는 일반 강재일 때 10, 저릴렉세이션 강재일 때 45를 사용한다.
Eqs. (2) and (3) 그리고 Eq. (4)로부터 텐던에 발생하는 손실 응력 증분의 합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triangle\widetilde{f}$와 $E_{p}$는 각각 크리프, 건조수축, 릴렉세이션에 의한 텐던 손실 응력 증분의 합과 텐던의
탄성계수이다.
Eq. (5)의 텐던 응력 손실에 의해 거더 단면에 불균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불균형력에 대해 텐던 도심 위치에서 텐던과 콘크리트간의 적합조건, 그리고 거더
단면에서 축방향력과 휨모멘트 평형방정식을 연립하여 풀면 아래와 같이 텐던 응력 복원 증분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triangle\widetilde{f}^{{recov}}$, $n$, $I^{{tr}}$ 그리고 $A_{g}$는 각각 텐던 응력 복원
증분, 탄성계수비, 환산단면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그리고 콘크리트 총단면적이다.
Eqs. (5) and (6)으로부터 텐던의 총손실 응력 증분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triangle\widetilde{f}_{i-1,\: j}^{{t}{otal}}$는 텐던의 총손실 응력 증분이다.
텐던 응력 감소에 의한 상·하연 콘크리트 응력 증분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triangle\overline{f}$, $\triangle\underline{f}$ 그리고 $\gamma$은 각각 텐던 응력 감소에
의한 상·하연 콘크리트 응력 증분, 그리고 거더 단면의 회전반경을 나타낸다.
텐던력 감소에 의한 상·하연 콘크리트 변형률 변화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triangle\overline{\varepsilon}_{i-1,\: j}$, $\triangle\underline{\varepsilon}_{i-1,\:
j}$ 그리고 $E^{{ci}}$는 텐던력 감소에 의한 상·하연 탄성 변형률 변화량 그리고 콘크리트 탄성계수를 나타낸다.
텐던력 감소에 의한 상·하연 순 크리프 변형률 증분 계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triangle\overline{\varepsilon}^{{n et}}$와 $\triangle\underline{\varepsilon}^{{n
et}}$는 상·하연 순 크리프 변형률 증분이다.
Eq. (10)의 상·하연 순 크리프 변형률 증분으로부터 발생하는 거더의 곡률 증분 $\triangle\phi_{i-1,\: j}$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 3의 시간 단계 $t_{i}$에서 상·하연 순 변형률은 Eq. (1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 3의 시간 단계 $t_{i}$에서 상·하연 콘크리트 탄성 변형률은 Eq. (9)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 3의 시간 단계 $t_{i}$에서 거더의 곡률 $\phi_{i,\: j}$은 Eq. (11)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qs. (1) ~ (14)으로부터 긴장력 도입 이후 1일($t_{1}=1$)부터 가설 전 단계인 n일($t_{n}=n$)까지 시간 의존적 거동에 대한 거더의 각 단면에서 대한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긴장력 도입 시점인 0일($t_{0}=0$)에서 상·하연 순 변형률은 상·하연 콘크리트 탄성 변형률과 같다.
Eq. (15)의 0일에서 상·하연 탄성 변형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P_{0}$, $M^{{d}}$ 그리고 $\underline{h}$는 각각 초기 프리스트레스, 자중으로 인한 모멘트 그리고 하연으로부터
도심까지의 거리이다.
긴장력 도입 시점인 0일($t_{0}=0$)에서 거더의 곡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 3. Schematic of the Time-Dependent Strain Increments at the Cross-section Located $x_{j}$ from the Reference Point of the Prefab PSC Gi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