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박사과정 (Seoul National University․nankyoung@snu.ac.kr)
  2. 종신회원․교신저자․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부교수 (Corresponding Author․Seoul National University․juhyukmoon@snu.ac.kr)



경량골재, 경량 콘크리트, 시멘트 복합체,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
Lightweight aggregate, Lightweight concrete, Cementitious composites, Hollow glass microsphere

1. 서 론

경량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자중 자체를 줄임으로서 요구되는 부재의 단면을 줄일 수 있으며, 지진하중을 직접적으로 줄일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경량 콘크리트에 주로 사용되는 경량 골재의 경우 국내 수급성이 좋지 않으며, 다양한 경량 골재는 대부분 다공성 특성으로 인해 자체 강도가 낮아 콘크리트에 사용될 경우 복합체의 강도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경량 골재와 시멘트 복합체와의 비중 차이로 인해 재료분리가 발생하기 쉬워 이에 대한 해결책 역시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경량 콘크리트가 가지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고 무게를 줄이려는 노력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Dixit은 2019년 발포폴리스티렌 구체를 활용하여 경량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경량 시멘트 모르타르는 낮은 열전도율로 단열효과 또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작된 경량 시멘트 모르타르는 기존의 경량 콘크리트보다는 높은 압축강도를 발현하였지만, 발포폴리스티렌의 낮은 비중으로 인하여 시멘트 매트릭스 내에서 발포폴리스티렌이 부유하여 골재 분리 현상이 나타난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마이크로 CT 장비를 통하여 촬영하였다(Dixit et al., 2019). 또 다른 선행연구로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중공입자를 활용하여 제작한 경량 시멘트 목합체가 있다.

Krakowiak은 2020년 중공 마이크로스피어를 활용하여 경량과 고강도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시멘트 복합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중공 마이크로스피어는 마이크로 단위의 입경을 지닌 중공 형태의 입자로 낮은 비중을 지닌 소재로 중공 마이크로스피어로 제작된 시멘트 복합체는 기존의 경량 콘크리트보다 높은 압축강도와 낮은 밀도를 지녔다. 다만 해당 선행연구는 유정(Oil well)을 제작하기 위한 시멘트 복합체의 개발 목적으로 하였기에 특수 시멘트인 유정시멘트를 사용하였고 유정시멘트의 사용으로 인해 일반 콘크리트의 범주를 벗어나는 물-시멘트 비(0.8)로 설계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재료분리 현상의 위험성이 존재하나 이에 대한 내용은 다루어지지 않았다(Krakowiak et al., 2020).

중공 입자를 활용한 경량 시멘트 복합체의 제작에 관한 선행연구에는 Brooks의 연구가 있다. Brooks는 2018년 다양한 중공 입자를 활용하여 경량과 고강도를 만족시키는 시멘트 복합체를 개발하였으며 이의 파괴 메커니즘을 중공 입자의 파괴율과 연관 지어 해석하였다. 해당 연구는 세노스피어, 발포폴리스티렌, 중공 마이크로스피어를 사용하여 여러 배합비의 설계를 통해 실험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중공 입자들의 파괴 정도를 전자 주사현미경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으며 압축강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Brooks et al., 2018).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중공 입자를 활용한 경량 시멘트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중공 입자는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로 소다라임 보로 실리케이트 재질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이다. 제작된 시멘트 복합체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압축강도 실험, 밀도 측정, 마이크로 CT (Micro Computed tomography, Micro CT), 전자 주사현미경(Scanned Electron Microscopy, SEM) 등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2. 사용 재료 및 실험상세

2.1 사용 재료

본 연구에서는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를 활용하여 경량 및 고강도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는 3M사에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선택하였으며, 예비 실험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4가지 종류(K42HS, S60HS, iM30K, iM16K)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3M사에서 발표한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물리적 성능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Properties of the Hollow Glass Microspheres

Hollow Glass Microsphere

Crush strength

Density

psi

MPa

g/㎤

kg/㎥

K42HS

7,500

51.71

0.42

420

iM16K

16,000

110.32

0.46

460

S60HS

18,000

124.11

0.6

600

iM30K

27,000

186.16

0.6

600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화학적 구성 성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X-선 형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해당 실험에 관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성분 분석 결과 입자 내에 포함된 붕소의 경우 파장이 길어 X-선 형광분석 결과 안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경량 고강도 시멘트 복합체 제작을 위해 사용된 원재료는 U사의 백시멘트, E사의 실리카퓸, S사의 석영, D사의 고성능 감수제로 제작되었다. 시편 제작을 위한 배합비는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결정하였으며 Table 3에 나타내었다(Kang et al., 2018).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밀도에 따라 배합비를 설정하였으며 S60HS와 iM30K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지닌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이기에 비슷한 시멘트 복합체의 밀도를 유지하고자 30 % 질량비로 첨가량을 결정하였다. 원재료 파우더들은 약 11분의 건배합을 거친 후 고성능 감수제와 배합수를 혼합하여 추가하였으며 슬러리 형태가 된 후 2분 동안 고속으로 섞어 제작되었으며 압축강도 시험을 위해 ASTM C 109의 기준에 따라 50×50×50 ㎣의 정육면체의 큐브 시편으로 제작되었다.

Table 2. Oxide Composition of the Raw Materials

Component

SiO$_{2}$

CaO

Na$_{2}$O

P$_{2}$O$_{5}$

SO$_{3}$

Al$_{2}$O$_{3}$

MgO

Fe$_{2}$O$_{3}$

TiO$_{2}$

ZrO$_{2}$

K$_{2}$O

MnO

White Portland Cement

15.38

73.64

0.28

0.06

4.21

3.54

2.07

0.41

0.08

-

0.15

0.05

Silica Fume

96.9

1.54

0.16

0.05

-

0.29

0.18

0.15

0.01

-

0.64

0.03

Quartz

97.7

1.37

0.02

-

-

0.49

0.21

0.05

0.08

-

0.02

0.01

K42HS

80.58

13.54

4.48

0.81

0.23

0.14

0.06

0.04

0.03

0.02

0.01

0.01

iM16K

80.91

13.6

4.05

0.84

0.27

0.18

0.07

0.04

0.02

0.02

0.02

0.01

iM30K

81.70

13.73

3.32

0.72

0.22

0.16

0.08

0.04

0.04

0.016

0.01

0.01

S60HS

81.34

13.3

1.02

0.81

0.20

0.17

0.06

0.04

0.03

0.016

0.02

0.01

Table 3. Mix Proportions of the Specimens (wt %)

Specimen

W/C

Water

Cement

Silica Fume

Quartz

Superplasticizer

Hollow Glass Microsphere

Flow diameter, mm

K42HS, K42HS_HT

0.24

0.24

1

0.25

0.35

0.06

20

240

iM16K, iM16K_HT

20

230

iM30K, iM30K_HT

30

213

S60HS, S60HS_HT

30

214

2.2 실험 상세

압축강도 실험은 만능재료시험기로 측정하였으며 가력 속도는 ASTM C 109를 따라 1 mm/min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작업성 확인을 위한 플로우 테스트 실험은 ASTM C 230 기준에 따라 진행하였다(ASTM, 2008a; ASTM, 2008b). 제작된 시편의 양생은 고온 양생과 상온 양생을 수행하였으며 고온 양생은 탈형 후 90°C에서 밀봉하여 이틀간 양생하였고 이후에는 상온 양생 시편들과 동일한 조건인 20°C RH 60 %의 환경에서 28일 차까지 양생하였다. 작업성을 위한 플로우 테이블 실험 결과는 Table 3의 배합표와 같이 명시하였으며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플로우 테이블 실험값이 더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포함된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양이 많아 표면에 직접적으로 흡수되는 물이 양이 많이 때문으로 추정된다. 밀도측정은 양생이 끝난 이후 90 ℃에서 7일간 건조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마이크로 CT 촬영을 위하여 Φ25×25 ㎣의 실린더 시편을 1×1×5 ㎣의 정사각기둥으로 절단하여 CT 측정을 수행하였다.

마이크로 CT 실험은 전압 60 kV, 전류 166 μm의 조건으로 촬영되었으며 필터는 알루미늄 0.5 mm 필터를 사용하였다. 마이크로 치수의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촬영을 위하여 픽셀 사이즈는 0.7 μm로 설정하였으며 촬영 시간은 4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와 시멘트 매트릭스의 구분을 위하여 Otsu 이진화 방법을 사용하여 이진화를 진행하였으며 가우시안 필터를 사용하여 보정하였고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입도를 참고하여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 입경의 임계값은 40 μm로 설정하였다(Deng and Cahill, 1993; Otsu, 1979). 3D 모델링은 총 1,800장의 이미지를 적층하여 도시하였다. 전자주사 현미경 촬영은 FESEM-AURIGA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모든 시편을 10,000배 확대하여 촬영하였다. 촬영한 이미지의 밝기는 48.5 %로 설정하였으며 대비는 31.0 %로 통일하여 설정하였다.

3. 실험 결과 및 분석

3.1 압축강도 실험 및 밀도 측정

압축강도 측정 결과는 Fig. 1에 나타내었다. 모든 시편의 28일 압축강도는 60 MPa 이상의 고강도를 발현하였으며 고온 양생 수행 시 80 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발현하였다. 고온 양생 수행 시 수화반응으로 생성된 포틀랜다이트와 실리카퓸의 포졸란 반응으로 2차 수화물이 더 많이 생성되어 나타나기에 상온 양생에서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발현한 것으로 확인된다(Lee et al., 2020). K42HS를 제외한 경량 시멘트 복합체들은 서로 유사한 값의 압축강도를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42HS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과 함께 비교적 낮은 파괴강도(Table 1)를 지니고 있기에 시멘트 복합체의 강도도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시편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확인하여보면 모든 시편이 1.7 g/㎤ 이하의 밀도를 지니는 것을 확인하였다. 압축강도와 밀도의 관계를 Fig. 1(c)에 도시하였으며 이를 확인하여본 결과 모든 시편이 60 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지니며 동시에 1.7 g/㎤ 이하의 밀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압축강도 실험과 밀도 측정을 통해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를 활용하여 제작한 시편 모두에서 경량과 고강도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개발된 시멘트 복합체의 구조적 사용 가능성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ACI 213R 기준과 Eurocode 1992 1-1 (Eurocode, 1992)의 경량 콘크리트 기준, ACI 363R의 고강도 콘크리트 기준과 비교하여 Fig. 2에 도시하였다(ACI Committee, 2003; ACI Committee, 2005; Standard, 2004). ACI 기준의 경우 고강도 콘크리트의 기준과 경량 콘크리트의 기준 두 가지가 모두 존재함에 반하여 Eurocode 1992 1-1의 기준은 경량 콘크리트의 기준만 기재되어있어 본 연구에서는 경량 콘크리트의 기준만을 도입하였다. 개발된 시멘트 복합체는 고온 양생과 상온 양생 모두에서 ACI 213R, ACI 363R과 Eurocode 1992 1-1의 고강도와 경량의 기준을 동시에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의 경량 콘크리트 관련 선행연구보다 월등히 높은 압축강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ACI Committee, 2003; ACI Committee, 2005; Standard, 2004). 따라서 개발된 시멘트 복합체가 경량 콘크리트와 고강도 콘크리트의 구조기준을 동시에 만족시킨다는 측면에서 혁신적인 구조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Fig. 1. Mechanical Properties of Specimens: (a) Compressive Strength Under Ambient Curing, (b) Compressive Strength Under High-Temperature Curing, and (c) Compressive Strength-Density Relationships of All Specimens
../../Resources/KSCE/Ksce.2022.42.4.0449/fig1.png
Fig. 2. Compressive Strength-Density Data of Developed Specimens with Previous Studies with Design Codes(Blanco et al., 2000;Brooks et al., 2018;Dixit et al., 2019;Gao et al., 2013;Huang et al., 2013;Kim et al., 2012;Mounanga et al., 2008;Mohammad et al., 2020;Sengul et al., 2011;Tandiroglu, 2010;Wu et al., 2015;Yun et al., 2013;Zhou and Brooks, 2019)
../../Resources/KSCE/Ksce.2022.42.4.0449/fig2.png

3.2 전자 주사현미경 및 마이크로 CT 촬영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경화된 시멘트 매트릭스 내에서의 분포 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8일 양생한 시편의 마이크로 CT 촬영과 전자 주사현미경 촬영을 진행하였다. 마이크로 CT 촬영은 가장 비중이 작은 K42HS에 대하여 진행하였다. 마이크로 CT 촬영 결과 Fig. 3과 같이 일반 시멘트 복합체와 비교하였을 때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가 포함된 시멘트 복합체에서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 입자들이 공극 형태로 촬영에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중공 형태의 마이크로스피어 특성상 빈 공간이 드러나게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3D 적층 이미지를 통하여 시편 내에서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가 눈에 띄는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낮은 물-시멘트비를 사용하여 점성이 높은 시멘트 매트릭스를 사용함으로써 비중이 낮은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임에도 심각한 재료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작은 입경을 지닌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는 상대적으로 큰 입경을 지닌 기존의 인공경량골재 등 경량 소재를 혼입하여 제작된 경량 콘크리트보다 작은 부력의 영향을 받게 되어 심각한 재료 분리 현상이 점성이 큰 매트릭스에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3. Micro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of Specimens: (a) Normal Cementitious Composites, (b) Cementitious Composite Developed in This Study, and (c) 3D Stacked Image of the Cementitious Composite Developed in This Study
../../Resources/KSCE/Ksce.2022.42.4.0449/fig3.png

시멘트 매트릭스와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파단 형태와 압축강도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 주사현미경 촬영을 진행하였다. 전자 주사현미경 촬영 결과는 Fig. 4와 같이 나타났다. 모든 시편에서 대부분의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가 매립되어있거나 인발된 흔적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 복합체의 파괴는 물-시멘트비가 낮은 매트릭스 파단이 지배적으로 작용한 것을 확인하였고, 높은 파괴강도를 지닌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는 종류와 관계없이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4. Scanned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s of Specimens
../../Resources/KSCE/Ksce.2022.42.4.0449/fig4.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를 활용하여 경량 및 고강도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시멘트 복합체 개발을 목표로 하였으며, 다양한 실험 수행을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아래와 같다.

(1)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를 활용하여 제작된 경량 고강도 시멘트 복합체는 경량과 고강도를 동시에 만족시키며 상온 양생과 고온 양생에서 모두 최소 60 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발현하였다. 제작된 시멘트 복합체는 모두 ACI 기준과 Eurocode의 경량 콘크리트 기준을 만족시키며 동시에 ACI 기준의 고강도 기준 또한 모두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를 활용하여 경량과 고강도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시멘트 복합체의 제작이 가능하며 구조기준의 도입을 통하여 이를 구조재료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2) 전자 주사현미경 촬영을 통하여 시멘트 매트릭스 내에서 대부분의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가 시멘트 매트릭스 내에서 형태를 그대로 유지 또는 인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시멘트 매트릭스의 강도가 전체 복합체 강도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며, 이보다 높은 파괴강도의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는 파괴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종의 고강도의 경량 골재사용을 통해 고강도 및 경량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시멘트 복합체를 제작할 수 있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마이크로 CT 실험을 통하여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가 시멘트 매트릭스 내에서 심각한 재료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가 매우 작아, 여기에 발생하는 부력의 크기가 고점성 환경에서 재료분리를 일으킬 만큼 크지 않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종류의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의 성능이 확인된 만큼, 앞으로 다양한 배합 조건에서 경량 및 고강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후속으로 진행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2년 국토교통과학기술부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22NANO-B156177-03).

본 논문은 2021 CONVENTION 논문을 수정·보완하여 작성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C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Committee (2003). "Guide for structural lightweight-aggregate concrete (ACI 213R)", ACI Symposium Publication, Vol. 213Google Search
2 
AC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Committee (2005). "High-strength concrete (ACI 363R)", ACI Symposium Publication, Vol. 228, pp. 79-70Google Search
3 
ASTM, A (2008a). "C230, Specification for flow table for use in tests of hydraulic cement.",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401Google Search
4 
ASTM, A. C230 (2008b). "Specification for flow table for use in tests of hydraulic cement",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401Google Search
5 
Blanco F., Garcia P., Mateos P., Ayala J. (2000).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lightweight concrete manufactured with cenosphe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0, No. 11, pp. 1715-1722DOI
6 
Brooks A. L., Zhou H., Hanna D. (2018). "Comparative study of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lightweight cementitious composi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59, pp. 316-328DOI
7 
Deng G., Cahill L. (1993). "An adaptive gaussian filter for noise reduction and edge detection.", 1993 IEEE Conference Record Nuclear Science Symposium and Medical Imaging Conference, IEEE, United States.DOI
8 
Dixit A., Pang S. D., Kang S. H., Moon J. H. (2019). "Lightweight structural cement composites with expanded polystyrene (EPS) for enhanced thermal insulation.",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102, pp. 185-197DOI
9 
Eurocode C. (1992). "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Google Search
10 
Gao Y., Cheng L., Gao Z., Guo S. (2013). "Effects of different mineral admixtures on carbonation resistance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43, pp. 506-510DOI
11 
Huang X., Ranade R., Zhang Q., Ni W., Li V. C. (2013).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green lightweight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48, pp. 954-960DOI
12 
Kang S. H., Hong S. G., Moon J. H. (2018). "Importance of drying to control internal curing effects on field casting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108, pp. 20-30DOI
13 
Kim H. K., Jeon J. H., Lee H. K. (2012). "Workability, and mechanical, acoustic and thermal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with a high volume of entrained ai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9, pp. 193-200DOI
14 
Krakowiak K. J., Nannapaneni R. G., Moshiri A., Phatak T., Stefaniuk D., Sadowski L., Qomi M. J. A. (2020). "Engineering of high specific strength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cementitious composites with hollow glass microspheres for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application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108, pp. 103514DOI
15 
Lee N. K., Jeong Y. U., Kang H. U., Moon J. H. (2020). "Heat-induced acceleration of pozzolanic reaction under restrained conditions and consequent structural modification.", Materials, Vol. 13, No. 13, pp. 2950DOI
16 
Mohammad M., Masad E., Seers T., Al-Ghamdi S. G. (2020).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distribution of high-performance thermal insulation concrete.", Materials, Vol. 13, No. 9, pp. 2091DOI
17 
Mounanga P., Gbongbon W., Poullain P., Turcry P. (2008). "Proporti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lightweight concrete mixtures made with rigid polyurethane foam wast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0, No. 9, pp. 806-814DOI
18 
Otsu N. (1979). "A threshold selection method from gray-level histograms.",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Vol. 9, No. 1, pp. 62-66URL
19 
Sengul O., Azizi S., Karaosmanoglu F., Tasdemir M. A. (2011). "Effect of expanded perlit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conductivity of lightweight concrete.", Energy and Buildings, Vol. 43, No. 2, pp. 671-676DOI
20 
Standard, B (2004). "Eurocode 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Part 1", Vol. 1, pp. 230Google Search
21 
Tandiroglu A. (2010). "Temperature-dependent thermal conductivity of high strength lightweight raw perlite aggregate concret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ophysics, Vol. 31, No. 6, pp. 1195-1211DOI
22 
Wu Y., Wang J. Y., Monteiro P. J. M., Zhang M. H. (2015). "Development of ultra-lightweight cement composites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specific strength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87, pp. 100-112DOI
23 
Yun T. S., Jeong Y. J., Han T. S., Youm K. S. (2013). "Evaluation of thermal conductivity for thermally insulated concretes.", Energy and Buildings, Vol. 61, pp. 125-132DOI
24 
Zhou H., Brooks A. L. (2019).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tructural lightweight concrete containing lightweight aggregates and fly-ash cenosphe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98, pp. 512-526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