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가뭄 위험도 평가
의령군의 가뭄 위험도 평가는 가뭄 위험 지수(DRI)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령군의 지방 상수도 시설은 저수지와 지하수를 수원으로 18,571명의
급수인구에 용수공급을 하고 있다. 저수지를 취수원으로 하는 정수장은 우곡, 부림, 화정, 대의 정수장이며, 지하수를 취수원으로 하는 정수장은 서동
정수장이 있다. 각 정수장의 세부 내용은 Table 6에 제시하였다.
Table 6. Water Supply Facility by Lake or Groundwater in Uiryeong
Name
|
Source
|
Facility capacity (ton/day)
|
Amount of water supply (ton/day)
|
Population served
|
Woogok
|
Lake (Reservoir)
|
6,000
|
4,500
|
9,603
|
Seodong
|
Groundwater
|
2,500
|
1,950
|
3,470
|
Burim
|
Lake (Reservoir)
|
3,000
|
1,960
|
3,037
|
Hwajung
|
Lake (Reservoir)
|
800
|
450
|
1,788
|
Daeui
|
Lake (Reservoir)
|
500
|
280
|
673
|
Total
|
12,800
|
9,140
|
18,571
|
가뭄 위험도 평가를 위해 먼저 가뭄 위험 수준을 분석하고 위험등급이 어느 정도 되는지 검토하였다. 가뭄 위험 수준은 수원의 저류량 또는 지하수 개발가능량과
공급량의 비를 검토하여 위험 수준 및 위험 등급을 산정하였다.
의령군의 부림, 우곡, 화정, 대의, 서동 정수장의 가뭄 위험 수준을 공급량에 대한 저류량의 비로 나타내보면, 부림정수장의 저류량은 286,524
㎥, 공급량은 715,400 ㎥/년이므로 0.40로 확인되었고, 우곡 정수장의 경우는 저류량은 396,456 ㎥이고 공급량은 1,642,500 ㎥/년로
공급량에 대한 저류량의 비가 0.24로 나타나 부림 및 우곡 정수장의 가뭄 위험 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가뭄 위험등급은 4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화정 및 대의 정수장은 저수지의 저류량이 용수공급량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나 가뭄 위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하수를 취수원으로 하는 서동 정수장은 지하수 개발 가능량을 저류량으로 보고, 공급량과 비교하여 가뭄 위험수준과 등급을 검토하였으며,
정수장별 가뭄 위험수준 및 위험등급은 Table 7과 같다.
지방상수도의 가뭄 위험등급 평가를 위해서 앞서 분석한 정수장별 가뭄 위험수준 및 위험등급 결과에 급수인구를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지역은 의령군내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의령읍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령읍은 우곡 정수장과 서동 정수장에서 용수공급을 받고 있는 지역으로 급수인구는 우곡 정수장
6,170명, 서동 정수장 3,470명이다. 급수인구를 반영하여 가뭄 위험등급을 분석한 결과 3등급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의령읍의 가뭄 위험등급 산정 방법과 동일하게 지방상수도 급수지역인 가례면, 칠곡면, 대의면, 화정면, 용역면, 부림면, 봉수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례면, 칠곡면, 용덕면, 부림면, 봉수면은 4등급 지역으로 검토되었으며, 대의면과 화정면은 0등급으로 검토되어 타 지역에 비해 가뭄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하수를 취수원으로 하는 가뭄 위험수준 및 위험등급 산정은 의령군 읍면별 지하수 개발량과 생활용수, 공업용수 수요량을 검토하여 위험수준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지방상수도보다 지하수의 가뭄 위험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읍면별 지하수 가뭄 위험수준이 중으로 분석된 지역은 높은 가뭄 위험수준인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대부분의 지역이 위험수준 하 또는 정상으로 분석되었다. 의령군 읍면별 가뭄 위험수준 및 위험요소 등급은 Table 9와 같으며, Fig. 3은 지방상수도 및 지하수의 가뭄 위험요소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Table 7. Drought Hazard Stage and Level for Water Supply Facility by Lake or Groundwater
Name
|
Storage (㎥)
|
Supply (㎥/year)
|
Storage/Supply
|
Drought Stage
|
Drought Level
|
Burim
|
286,524
|
715,400
|
0.40
|
Extreme
|
4
|
Woogok
|
396,456
|
1,642,500
|
0.24
|
Extreme
|
4
|
Hwajung
|
369,582
|
164,250
|
2.25
|
Normal
|
0
|
Daeui
|
339,780
|
102,200
|
3.32
|
Normal
|
0
|
Seodong
|
4,947,000
|
711,750
|
6.95
|
Middle
|
2
|
※ Reservoir Storage at Seodong denotes the potential development storage of groudwater
(㎥/year).
Table 8. Drought Hazard Stage and Level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Region
|
Water Suply
|
Drought Stage
|
Drought Level
|
Population
|
Drought Level by Population
|
Uiryeong
|
Woogok
|
Extreme
|
4
|
6,170
|
3
|
Seodong
|
Middle
|
2
|
3,470
|
Table 9. Groundwater Drought Hazard Stage and Level
Region
|
Safety Factor for Groundwater
|
Drought Stage
|
Drought Level
|
Uiryeong
|
5.14
|
Middle
|
2
|
Garye
|
9.01
|
Low
|
1
|
Chilgok
|
6.32
|
Middle
|
2
|
Daeui
|
9.81
|
Low
|
1
|
Hawjung
|
7.49
|
Middle
|
2
|
Yongduk
|
10.19
|
Normal
|
0
|
Jeongok
|
10.75
|
Normal
|
0
|
Jijeong
|
11.02
|
Normal
|
0
|
Nakseo
|
9.32
|
Low
|
1
|
Burim
|
10.39
|
Normal
|
0
|
Bongsu
|
8.62
|
Low
|
1
|
Goongryu
|
15.78
|
Normal
|
0
|
Yugok
|
13.70
|
Normal
|
0
|
Fig. 3. Drought Hazard Level
또한, 의령군의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에 대한 가뭄 위험요소 등급을 산정하였다. 의령군 읍면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가뭄 위험수준이 가장 높게 산정된
지역은 칠곡면, 용덕면, 부림면으로 가뭄 위험수준이 상으로 검토되었으며, 읍면별 분석 결과는 Table 10과 Fig. 4와 같다.
농업용수의 가뭄 위험요소 등급 산정은 의령군 읍면별 저수량와 논과 밭의 면적을 수집한 후, 논과 밭에 대한 가뭄 위험요소 등급을 산정한 후 농업용수에
대한 가뭄 위험등급을 산정하였다. 농업용수에 대한 가뭄 위험등급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의령읍, 정곡면, 지정면, 낙서면, 부림면으로 가뭄 위험등급이
최상으로 분석되었으며, 읍면별 분석 결과는 Table 11과 Fig. 4에 제시하였다.
Table 10. Drought Hazard Stage and Level for Living and Industrial Water
Region
|
$w_{L}$
|
$R_{L}$
|
$w_{G}$
|
$R_{G}$
|
$R$
|
Drought Stage
|
Drought Level
|
Uiryeong
|
1.00
|
3
|
0.00
|
2
|
0.0
|
Normal
|
0
|
Garye
|
0.57
|
4
|
0.43
|
1
|
2.7
|
Middle
|
2
|
Chilgok
|
0.79
|
4
|
0.21
|
2
|
3.6
|
High
|
3
|
Daeui
|
0.59
|
0
|
0.41
|
1
|
0.4
|
Normal
|
0
|
Hawjung
|
1.00
|
0
|
0.00
|
2
|
0.0
|
Normal
|
0
|
Yongduk
|
0.91
|
4
|
0.09
|
0
|
3.6
|
High
|
3
|
Jeongok
|
0.00
|
0
|
1.00
|
0
|
0.0
|
Normal
|
0
|
Jijeong
|
0.00
|
0
|
1.00
|
0
|
0.0
|
Normal
|
0
|
Nakseo
|
0.00
|
0
|
1.00
|
1
|
1.0
|
Low
|
1
|
Burim
|
0.80
|
4
|
0.20
|
0
|
3.2
|
High
|
3
|
Bongsu
|
0.55
|
4
|
0.45
|
1
|
2.7
|
Middle
|
2
|
Goongryu
|
0.00
|
0
|
1.00
|
0
|
0.0
|
Normal
|
0
|
Yugok
|
0.00
|
0
|
1.00
|
0
|
0.0
|
Normal
|
0
|
Table 11. Drought Hazard Stage and Level for Agricultural Water
Region
|
$w_{SD}$
|
$R_{SD}$
|
$w_{GD}$
|
$R_{GD}$
|
$R_{3}$
|
Drought Stage
|
Drought Level
|
Uiryeong
|
0.64
|
4
|
0.36
|
4
|
4.0
|
Extreme
|
4
|
Garye
|
0.71
|
0
|
0.29
|
2
|
0.6
|
Normal
|
0
|
Chilgok
|
0.68
|
2
|
0.32
|
3
|
2.3
|
Middle
|
2
|
Daeui
|
0.75
|
1
|
0.25
|
1
|
1.0
|
Low
|
1
|
Hawjung
|
0.66
|
3
|
0.34
|
3
|
3.0
|
High
|
3
|
Yongduk
|
0.67
|
2
|
0.33
|
4
|
2.7
|
Middle
|
2
|
Jeongok
|
0.56
|
4
|
0.44
|
4
|
4.0
|
Extreme
|
4
|
Jijeong
|
0.49
|
4
|
0.51
|
4
|
4.0
|
Extreme
|
4
|
Nakseo
|
0.54
|
4
|
0.46
|
4
|
4.0
|
Extreme
|
4
|
Burim
|
0.56
|
4
|
0.44
|
4
|
4.0
|
Extreme
|
4
|
Bongsu
|
0.54
|
0
|
0.46
|
4
|
1.8
|
Low
|
1
|
Goongryu
|
0.67
|
0
|
0.33
|
3
|
1.0
|
Normal
|
0
|
Yugok
|
0.69
|
4
|
0.31
|
3
|
3.7
|
High
|
3
|
Fig. 4. Drought Hazard Level for Living & Industrial and Agricultural Water
Fig. 5. Drought Hazard Level by DHI
가뭄 위험요소 등급은 읍면별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사용량의 합계에 대한 용수별 사용비율을 계산하고, 앞서 분석한 각 가뭄 위험요소 등급을
적용하여 가뭄 위험요소 지수(DHI)를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읍면별 가뭄 위험요소 등급은 정곡면, 지정면, 낙서면, 부림면이 3등급으로 타 지역보다
높게 산정되었으며, 분석 결과 Table 12와 Fig. 5와 같다.
의령군 가뭄 취약성 등급 산정은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에 대한 취약성 등급을 산정하고, 가뭄 취약성 지수(DVI)를 계산하여 산정하였다. 생활용수에
대한 취약성 등급은 모든 지역에서
2등급으로 산정되었으며, 공업용수 및 농업용수에 대한 취약성 등급은 모든 지역에서 1등급으로 산정되었다. 가뭄 취약성 등급 분석 결과와 앞서 분석한
결과를 적용하여 가뭄 취약성 지수(DVI)를 산정한 결과는 Table 13과 Fig. 6과 같고, 지역별 가뭄 취약성 등급은 정곡면, 지정면, 부림면이 3등급으로 1~2등급인 타 지역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Table 12. Drought Hazard Level by DHI
Region
|
$w$
|
$R$
|
$w_{3}$
|
$R_{3}$
|
DHI
|
Drought Stage
|
Drought Level
|
Uiryeong
|
0.47
|
0
|
0.53
|
4
|
2.1
|
Middle
|
2
|
Garye
|
0.16
|
2
|
0.84
|
0
|
0.3
|
Normal
|
0
|
Chilgok
|
0.14
|
3
|
0.86
|
2
|
2.1
|
Middle
|
2
|
Daeui
|
0.09
|
0
|
0.91
|
1
|
0.9
|
Low
|
0
|
Hawjung
|
0.10
|
0
|
0.90
|
3
|
2.7
|
Middle
|
2
|
Yongduk
|
0.10
|
3
|
0.90
|
2
|
2.1
|
Middle
|
2
|
Jeongok
|
0.16
|
0
|
0.84
|
4
|
3.4
|
High
|
3
|
Jijeong
|
0.09
|
0
|
0.91
|
4
|
3.6
|
High
|
3
|
Nakseo
|
0.06
|
1
|
0.94
|
4
|
3.8
|
High
|
3
|
Burim
|
0.29
|
3
|
0.71
|
4
|
3.7
|
High
|
3
|
Bongsu
|
0.57
|
2
|
0.43
|
1
|
1.6
|
Low
|
1
|
Goongryu
|
0.10
|
0
|
0.90
|
0
|
0.0
|
Normal
|
0
|
Yugok
|
0.08
|
0
|
0.92
|
3
|
2.8
|
Middle
|
2
|
Table 13. Drought Vulnerability Stage by DVI
Region
|
$w_{1}$
|
$w_{2}$
|
$w_{3}$
|
$V_{1}$
|
$V_{2}$
|
$V_{3}$
|
$DVI$
|
Drought Level
|
Uiryeong
|
0.27
|
0.19
|
0.53
|
2
|
4
|
3
|
2.92
|
2
|
Garye
|
0.16
|
0.00
|
0.84
|
2
|
1
|
2
|
2.00
|
2
|
Chilgok
|
0.14
|
0.00
|
0.86
|
1
|
1
|
1
|
1.00
|
1
|
Daeui
|
0.09
|
0.00
|
0.91
|
2
|
1
|
1
|
1.09
|
1
|
Hawjung
|
0.10
|
0.00
|
0.90
|
2
|
1
|
3
|
2.90
|
2
|
Yongduk
|
0.10
|
0.00
|
0.90
|
2
|
1
|
3
|
2.90
|
2
|
Jeongok
|
0.08
|
0.07
|
0.84
|
3
|
2
|
4
|
3.77
|
3
|
Jijeong
|
0.09
|
0.00
|
0.91
|
3
|
1
|
4
|
3.91
|
3
|
Nakseo
|
0.06
|
0.00
|
0.94
|
2
|
1
|
2
|
2.00
|
2
|
Burim
|
0.12
|
0.17
|
0.71
|
2
|
3
|
4
|
3.60
|
3
|
Bongsu
|
0.06
|
0.51
|
0.43
|
2
|
4
|
1
|
2.59
|
2
|
Goongryu
|
0.10
|
0.00
|
0.90
|
3
|
1
|
2
|
2.10
|
2
|
Yugok
|
0.08
|
0.00
|
0.92
|
3
|
1
|
2
|
2.08
|
2
|
의령군 가뭄 위험도 분석은 가뭄 위험요소 등급과 가뭄 취약성 등급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읍면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례면, 칠곡면, 대의면, 용덕면,
봉수면, 궁류면은 1등급(지역6개), 의령읍, 화정면, 유곡면은 2등급(지역4개), 정곡면, 지정면, 부림면은 3등급(지역3개)으로 분석되었다. 의령군의
가뭄 위험도는 총 13개의 지역 중 10개의 지역에서 1등급과 2등급으로 나타나 가뭄 위험이 큰 지역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고, 분석 결과 읍면별
가뭄 위험도는 Table 14와 Fig. 7과 같다. 따라서 의령군의 가뭄 위험도 분석 결과 지방상수도에 의한 용수공급을 충분히 할 수 없는 실정이므로 의령군 주변의 하천수를 취수원으로 활용한다면
좀 더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4. Drought Risk Level by DRI
No.
|
Region
|
DHI
|
DVI
|
DRI
|
Drought Risk Level
|
1
|
Uiryeong
|
2
|
2
|
4
|
2
|
2
|
Garye
|
0
|
2
|
0
|
1
|
3
|
Chilgok
|
2
|
1
|
2
|
1
|
4
|
Daeui
|
0
|
1
|
0
|
1
|
5
|
Hawjung
|
2
|
2
|
4
|
2
|
6
|
Yongduk
|
2
|
2
|
4
|
1
|
7
|
Jeongok
|
3
|
3
|
9
|
3
|
8
|
Jijeong
|
3
|
3
|
9
|
3
|
9
|
Nakseo
|
3
|
2
|
6
|
2
|
10
|
Burim
|
3
|
3
|
9
|
3
|
11
|
Bongsu
|
1
|
2
|
2
|
1
|
12
|
Goongryu
|
0
|
2
|
0
|
1
|
13
|
Yugok
|
2
|
2
|
4
|
2
|
DRI Level 1
|
Garye, Chilgok, Daeui, Yongduk, Bongsu, Goongryu
|
6/13 (46.2 %)
|
DRI Level 2
|
Uiryeong, Hawjung, Nakseo, Yugok
|
4/13 (30.8 %)
|
DRI Level 3
|
Jeongok, Jijeong, Burim
|
3/13 (23.0 %)
|
Fig. 6. Drought Vulnerability Level by DVI
Fig. 7. Drought Risk Level by D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