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성
(Dae Sung Jung)
1
박세현
(Se-Hyun Park)
2†
김태형
(Tae Hyeong Kim)
3
김철영
(Chul Young Kim)
4
-
(종신회원․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본부장 (KOCED CMI․dsjung@koced.or.kr))
-
(정회원․교신저자․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선임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KOCED CMI․civil6373@koced.or.kr)
)
-
(정회원․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연구개발실장 (KOCED CMI․tommykim@koced.or.kr))
-
(종신회원․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Myongji University․cykim@mju.ac.kr))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키워드
강합성 교량, 용접접합 머리붙이 스터드, 볼트접합 전단연결재, 분리식 전단연결재, 수평전단실험
Key words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 Welded head stud, Bolted shear connector, Demountable shear connector, Horizontal shear test
1. 서 론
국내에서는 현장타설 바닥판의 품질확보와 공사기간 단축을 목적으로 2000년대부터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최근 들어 조립식
프리팹 교량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프리캐스트 바닥판 관련 연구는 대부분 교축방향 이음방식에 집중되어 왔으며, 거더와 바닥판간 전단합성에
있어 조립식 개념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교량에 있어서 전단연결재는 휨에 의한 상부구조의 거더와 바닥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평
전단에 저항함으로써 거더와 바닥판의 합성작용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바닥판에 대한 성능개선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중차량의
증가와 제설제 사용량의 증가 등으로 콘크리트 바닥판의 노후화 및 손상이 가속화되면서 바닥판에 대한 교체시기가 강 거더에 비해 훨씬 빨리 도래하고 있다.
바닥판 교체 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 때문에 아직 잔존수명이 충분한 거더까지 전체 교량을 철거하고 재시공하는 사례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LCC) 관점에서 본다면 강 거더의 수명 동안에 바닥판을 여러 번 교체하여 사용한다면 교량 전체의 공용수명 연장뿐만 아니라,
경제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Jung et al., 20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은 현장타설 바닥판에 비해서 품질관리와 공사기간 단축 등 많은 이점을 갖고 있으나, 바닥판 재시공을 위한 철거 및 해체 과정에서는
노후 바닥판을 절단하고 파쇄하여 제거해야하기 때문에 별다른 장점을 찾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손상 또는 노후화된 콘크리트 바닥판에 대한 교체 작업은
거더와 거더 사이의 바닥판을 먼저 휠쏘(Wheel saw)나 다이아몬드와이어쏘(Diamond wire saw) 등으로 절단하여 철거한 후, 전단연결재에
의해 일체화된 콘크리트 부분을 브레이커나 워터젯(Water jet) 장비 등을 이용하여 파쇄한다.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경우에도 현장타설 바닥판과 동일하다.
철거 시 전단연결재가 합성된 부분의 콘크리트 바닥판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브레이커를 사용할 경우에 소음과 미세분진이 다량 발생하여 도심지 등에서의 2차
피해가 증가하고, 작업 공기가 오래 걸려 시민들의 불편과 경제적 손실 또한 크다. 이 경우 브레이커 작업에 따른 충격으로 용접된 스터드가 휘거나 파손되어
결과적으로 기존 스터드를 모두 잘라내고 새로운 스터드를 용접한 후 바닥판을 재시공하여야 한다. 워터젯 장비를 사용하여 파쇄하는 경우에는 전단연결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파쇄 시간이 오래 걸려 비용이 증가하고 다량의 물을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러지 발생이 많아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Jung et al., 2022). 따라서 장래의 완전한 프리팹 시공을 위해서는 신설뿐만 아니라 바닥판 재시공에 있어서도 쉽게 바닥판을 분리할 수 있도록 거더와 바닥판간 분리식 전단합성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용접방식 스터드의 전단연결재를 대체할 수 있는 분리식 스터드볼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매립 너트 방식의 볼트접합 전단연결재를
개선한 새로운 형태로서, 매립너트가 스터드 몸통에 일체화된 Y-형상을 갖는 스터드볼트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리식 스터드볼트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전단합성 실험체를 제작하여 수평전단실험(Horizontal shear test)을 수행하였다. 기존 방식의 용접 스터드와 비교하여 정적강도 및 슬립변위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Y형상의 치수, 볼트 체결력, 베딩층 유무를 설계변수로 하여 최적의 스터드볼트 형상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2. 기존 연구 검토
강합성 교량의 전단연결재 관련 연구는 전단연결재의 강거더 접합 방식에 따라 용접 방식과 볼트체결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용접방식의 전단연결재에
관해서는 1960년대부터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주로 머리붙이 스터드 또는 perfobond 전단연결재 등이 사용되고 있다. 머리붙이 스터드에
대한 연구는 지난 수십 년간 다양한 실험적, 해석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각 국가별로 Eurocode-4 (EC4), AASHTO LRFD (2007) 및 KDS 14-31-10 등의 설계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과거 대직경 스터드 및 용접스터드의 그룹 거동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Lee et al., 2003; Nguyen and Kim, 2009; Shim, 2004) 진행되었고, ㄷ채널, ㄱ자 및 L자 모양의 perfobond rib 전단연결재에 대한 연구 또한 많이 이루어져 왔다.
Lee et al.(2003) 및 Shim(2004)은 강합성 교량에 주로 사용되던 직경 19 mm, 22 mm의 용접 스터드보다 큰 25~30 mm의 대직경 용접 전단연결재를 사용함으로써 바닥판 제거
용이성과 프리캐스트 바닥판 전단포켓의 효율적 배치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Shim(2004)은 최대 30 mm 직경의 용접 스터드에 대한 압발시험을 수행하여 정적 및 피로거동 결과를 설계식과 비교하였고, 최대 30 mm까지의 대구경 스터드를
사용하여도 EC4의 설계강도식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Nguyen and Kim(2009) 또한 강합성 교량에 있어서 25~30 mm의 대구경 전단연결재의 적용을 위해 압발시험과 함께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기존 머리붙이 용접스터드의 전단강도를
EC4 및 AASHTO LRFD의 설계강도와 비교하였다. Chung and Lee(2005)는 ㄱ형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를 갖는 전단실험체에 대한 실험적 연구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전단강도 평가식을 도출하였다. 리브 전단연결재의
전단강도는 전단연결재 하단 콘크리트에서의 지압저항의 효과, 리브 홀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트의 다웰작용의 효과, 횡방향 철근의 효과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국내에서 perfobond 리브 전단연결재에 대한 연구는 Chung et al.(2005a), Kim and Koo(2006), Ahn et al.(2008) 및 Cho et al.(2008) 다수의 연구자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반면에 볼트체결 방식의 전단연결재는 용접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현재까지 각 국가의 설계 코드에 제시된 것이 없다.
볼트체결 전단연결재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빠른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기존에 주로 연구된 볼트체결 전단연결재의 형식은 friction
grip bolt, without embedded nut, single embedded nut, double embedded nut 등이 있다. 합성
작용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는 너트의 유무, 매립너트의 개수(single or double embedded nuts)와 그에 따른 볼트체결력(Bolt
clamping force) 등의 영향을 받는다(Pavlović, 2013).
Marshall et al.(1971)은 직경 16 mm의 마찰그립 볼트를 적용한 정적 압발시험과 합성보 실험을 통해 다양한 콘크리트 강도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고, 이때 볼트체결력은
약 90 kN을 사용하였으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경우 마찰계수를 약 0.45로 제시하였다. Hawkins(1987)은 매립 너트가 없는 스터드 볼트에 대한 단일 볼트 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볼트 직경과 높이 및 콘크리트 강도를 실험변수로 하였다. 용접 스터드에
비해 전단강도가 80 % 수준으로 낮고, 홀 천공 부위의 슬립에 의한 전단 강성도 15 %에 불과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Kwon(2008)은 기존의 비합성 교량의 보강 방법으로 고장력 볼트를 사용한 마찰그립 전단연결재를 적용하였다. 기존 머리붙이 스터드와 비교할 때 전단저항이 유사하거나
더 우수하고, 피로강도는 500만회 이후에도 전단연결재의 파단 없이 양호한 성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Loqman et al.(2018)은 볼트접합 전단연결재를 사용한 강합성 보 시스템의 구조적 거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단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볼트 전단연결재보다
고장력그립볼트 사용을 권장하였고, 다른 연구자의 연구결과를 인용하여 고장력그립볼트에 대한 합성보의 최종 강도를 고장력 볼트 전단연결재 인장강도의 66
%로 제시하였다.
Chung et al.(2005b)은 강 거더와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바닥판의 전단연결재에 있어서 볼트접합 전단연결재의 설계법 연구를 위해 12개의 볼트접합 전단실험체를 제작하여 압발시험을
수행하였다. 볼트접합 전단연결재의 전단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설계강도, 무수축 모르타르의 강도, 스터드 직경 및 나사
높이 등을 고려하였고, 베딩층의 높이는 20 mm로 고정하였다. 스터드 전단연결재의 직경과 베딩층의 두께의 함수로 정적강도 평가식을 제시하였다. Lam et al.(2013)은 직경 19 mm 스터드와 다양한 콘크리트 강도를 고려한 8개의 실험체에 대한 압발시험을 수행하였고, 시험 후 바닥판을 쉽게 분리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파괴모드는 전단연결재의 전단파단과 콘크리트 파쇄로 볼트접합 전단연결재의 연성 거동은 뛰어나지만 강성이 낮고 용접스터드와 유사한 전단저항 성능을 보였다.
Pavlović(2013)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사용하기 위한 볼트접합 전단연결재에 대한 전단성능 및 연성거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련 분야 문헌연구와 예비조사, 전단실험체에
대한 다양한 압발시험을 수행하고, 유한요소해석 및 다양한 변수연구를 통해서 실험결과에 만족할 만한 해석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해석적 접근을
통해 용접스터드와 볼트접합 전단연결재의 파괴모드 및 역학적 거동을 자세히 비교하였다. Csillag and Pavlović(2021)은 강 거더와 FRP 합성 바닥판을 갖는 전단실험체를 이용하여 분리식 볼트접합 전단연결재들에 대한 전단저항, 강성 및 연성거동을 평가하였다. 분리식
볼트접합 전단연결재로는 Ajax, Lindapter Hollo-Bolt 및 injected SRR connector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3. 수평전단실험 및 결과
3.1 전단실험체 및 재료 특성
전단실험체는 Fig. 1과 같이 폭 600 mm와 길이 750 mm로 제작하였다. 강재 빔에 1면 합성 형태로 PC 바닥판을 적용하였다. 바닥판 두께는 국내 콘크리트 설계기준에
제시된 최소두께 220 mm를 적용하였다.
Fig. 1. Drawings of Horizontal Shear Test Specimens
실험체는 총 32개를 제작하였고, 강재 H빔은 310×310단면(플렌지 및 웹 두께는 20 mm)을 갖는 SM355A 강종을 사용하였다. 각 실험체는
Fig. 2 및 Table 1과 같이 전단연결재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구분하였다. DY1~DY12 실험체는 Fig. 2(b)와 같이 분리식 스터드볼트를 적용하였고, WS13 실험체는 기존의 용접방식 머리붙이 스터드를 적용하였다. DY1~DY12는 DY스터드볼트(Demountable
Y-shaped stud bolt)의 Y-shape의 치수들(ts, ds, hs, hf)을 변수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실험체별 2개에서 5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볼트체결력(Bolt clamping force), 베딩층(Bedding thickness) 유무 및 반복하중(Number of cyclic
load, 25회)에 따른 실험변수를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Fig. 2. Shape Details of Shear Connectors
모든 실험체의 전단연결재 길이는 150 mm, 직경은 22 mm로 동일하며, DY스터드볼트는 나사선 가공을 위해 S45C 강종을 사용하였으며, 용접스터드는
SS275 강종의 기성제품을 사용하였다. 재료시험에 의한 S45C 스터드볼트의 항복강도는 409.9 MPa, 인장강도는 705.1 MPa이며, SS275
용접스터드의 항복강도와 인장강도는 각각 452.6 MPa, 578.5 MPa 이다. 바닥판 콘크리트와 무수축 모르타르의 공시체 압축강도는 각각 48.6
MPa과 53.8 MPa이며, 표준편차는 각각 2.88 MPa 및 1.82 MPa이다.
Table 1. Properties of Test Specimens
Specimen
|
Shear connector
|
DY stud dimensions (mm)
|
Bolt
clamping force (%)
|
Bedding thickness
(mm)
|
Number of cyclic loads
|
Note
|
Type
|
No.
|
Type
|
Dia.
(mm)
|
Height
(mm)
|
Steel
grade
|
ts
|
ds
|
hs
|
hf
|
DY1
|
s1*
|
DY stud
|
22
|
150
|
S45C
|
2
|
6
|
4
|
10
|
100
|
20
|
25
|
|
s2
|
–
|
DY2
|
s1*
|
DY stud
|
22
|
150
|
S45C
|
4
|
6
|
4
|
10
|
100
|
20
|
25
|
|
s2
|
60
|
5
|
Reconstruction
|
s3
|
100
|
–
|
|
s4
|
70
|
5
|
Reconstruction
|
s5
|
100
|
–
|
|
DY3
|
s1*
|
DY stud
|
22
|
150
|
S45C
|
6
|
6
|
4
|
10
|
100
|
20
|
25
|
|
s2
|
–
|
DY4
|
s1*
|
DY stud
|
22
|
150
|
S45C
|
4
|
6
|
2
|
10
|
100
|
20
|
25
|
|
s2
|
–
|
s3
|
–
|
DY5
|
s1*
|
DY stud
|
22
|
150
|
S45C
|
4
|
6
|
6
|
10
|
100
|
20
|
25
|
|
s2
|
–
|
s3
|
–
|
DY6
|
s1*
|
DY stud
|
22
|
150
|
S45C
|
4
|
6
|
4
|
10
|
100
|
0
|
25
|
|
s2*
|
100
|
25
|
s3
|
100
|
–
|
s4
|
80
|
–
|
s5
|
60
|
–
|
DY7
|
s1*
|
DY stud
|
22
|
150
|
S45C
|
4
|
6
|
4
|
12
|
100
|
20
|
25
|
|
s2
|
–
|
s3
|
–
|
DY8
|
s1*
|
DY stud
|
22
|
150
|
S45C
|
4
|
4
|
4
|
10
|
100
|
20
|
25
|
|
s2
|
–
|
DY9
|
s1*
|
DY stud
|
22
|
150
|
S45C
|
4
|
5
|
4
|
10
|
100
|
20
|
25
|
|
s2
|
–
|
DY12
|
s1*
|
DY stud
|
22
|
150
|
S45C
|
4
|
6
|
4
|
10
|
40
|
20
|
25
|
|
s2
|
70
|
–
|
WS13
|
s1*
|
Welded stud
|
22
|
150
|
SS275
|
|
|
|
|
|
20
|
25
|
|
s2
|
–
|
s3
|
–
|
*) 25 cyclic loads
설계볼트장력은 KS B 1010에 규정된 볼트의 최소 인장강도의 67 %를 적용한다. 따라서 Table 1에서 S45C 스터드볼트에 대한 볼트체결력 100 %는 179 kN을 기준으로 설정하였고, 실험체 제작 시 수동 토크렌치 장비를 사용하여 토크값 환산을
통해 볼트체결력 도입을 확인하였다. 베딩층은 기본 20 mm 두께를 적용하였고 계면비부착 및 베딩층 유무에 따른 영향 검토를 위한 DY6 실험체의
경우만 베딩층(0 mm)을 두지 않고 전단포켓에만 무수축 모르타르를 타설하였다. 또한 Table 1에서 일부 실험체(-s1 실험체)의 경우에는 BS EN 1994-1-1(2004)의 Annex B에서 제시하고 있는 예상파괴하중의 5~40 %에서 25회 반복하중을 재하한 이후에 연속하여 파괴하중까지 단조증가하중을 가력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3.2 실험 방법 및 계측 조건
수평전단실험은 Fig. 3과 같이 강재 빔의 한쪽 플랜지를 지지블록에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 바닥판을 엑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수평하중을 재하 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실제
교량 바닥판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실험 시 바닥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 상부에 강재 중량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중제어는
15 kN/min, 변위제어는 1.5 mm/min의 속도로 적용하였다. Table 1과 같이 반복하중 실험체의 경우에는 예상 극한하중의 5~40 %의 하중범위에서 15 kN/min의 속도로 25회 반복가력한 후에 단조증가 변위제어로
파괴될 때까지 수행하였다. 나머지 실험체들은 1.5 mm/min의 속도로 변위제어로 파괴 시까지 수행하였다. 전체적인 하중재하 절차는 Fig. 4와 같다. 센서 배치는 Fig. 5(a)와 같이 매립된 전단연결재 몸통 하단의 앞뒤로 실험체별 총 4개씩의 변형률계를 설치하였고, 콘크리트 표면에는 Fig. 5(b)와 같이 총 4개의 변형률계를 설치하였다. 또한, 하중에 따른 슬립 변위 측정을 위해 Fig. 3과 같이 강 거더와 바닥판 콘크리트 사이의 상대변위 측정을 위해 LVDT를 실험체 좌우로 각각 1개씩 설치하였다.
Fig. 3. Horizontal Shear Test Setup
Fig. 4. Loading Procedure(Pavlović, 2013)
Fig. 5. Sensor Locations (Strain Gauge)
3.3 실험결과
기존 용접스터드의 경우에는 모두 스터드와 용접 비드 사이에서 전단파괴가 발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DY스터드볼트의 파괴모드는 Table 2와 같이 크게 3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첫 번째 모드는 전단파단으로 순수 전단력에 의해 콘크리트에 매립된 스터드볼트의 Y형상 상부에서 발생하는 경우이다.
두 번째 모드 역시 전단파단의 경우로 Y형상 확대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전단과 인장이 함께 발생하면서 나는 파괴형태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모드는 인장파단의
경우로 전단력에 의해 테이퍼진 면을 따라 스터드볼트 하부에 인장력이 크게 발생하여 너트가 체결된 볼트 나사선에서 파단되는 경우이다. 볼트체결력이 도입된
상태이므로 Y형상부와 너트 체결부 사이의 스터드볼트에는 큰 인장력이 도입되어 있기 때문에 전단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에 의해 단면손실이 있는 나사선에서
인장파단이 발생한다. 일부 실험체에서 2개의 스터드가 서로 다른 파괴거동을 보이는 것은 실제 교량과 같이 연속한 바닥판이 아닌 짧은 구간의 바닥판만을
모사하여 실험하기 때문에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파괴시점에서 바닥판이 거더 플랜지에서 들뜸이 발생하고, 순간적으로 볼트체결부에 인장응력이 크게 증가하여
동시에 파단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파단 시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재블럭(중량 약 0.8 ton)을 상재하중으로 재하 한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거더와 바닥판간 수직변위(들뜸)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지 못하였으나 실험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실험 중간에 들뜸이 발생하지는
않았으며 파괴하중에 도달하여 파괴가 발생하면서 순간적으로 바닥판 콘크리트가 수평으로 밀리면서 들뜸이 발생하였다. 실제의 경우에는 전체 지간에 걸쳐
바닥판이 연속하기 때문에 특정 구간에서의 바닥판 들뜸현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므로 이러한 파괴모드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의 파괴형상에서 보듯이 거더 및 바닥판 콘크리트의 외부 표면에서의 균열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모두가 무수축 모르타르에서만 전단연결재가 배치된 횡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하였고 전단연결재에 의해 지압을 받는 부분에서 국부적인 파괴가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든 실험체는 전단연결재의 파괴라 할 수 있다.
Table 2. Failure Modes of Shear Connectors
각 실험체별 정적실험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체별 하중-슬립 변위 곡선은 엑츄에이터의 하중-변위값이 아닌 LVDT에서 측정된 실제 강재 거더와 콘크리트 바닥판 간 상대슬립
측정값을 반영한 곡선이다. 상대슬립은 EC4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25회 반복하중 시 초기슬립($\delta_{"\in "}$)과 극한하중의 90
%에 해당하는 최대슬립($\delta_{"\max "}$)의 차이($\delta_{u}$)로 계산하였다. 또한, 스터드의 파괴 위치를 매립부(Embedded)와
나사선(Thread)로 구분하여 그 개수를 제시하였다. Table 3에서 복합모드로 표현한 것은 스터드 2개가 서로 다른 파괴양상을 보인 경우로써 스터드 1개에서 전단파괴가 먼저 발생 한 이후 바닥판이 들리면서 다른
스터드에 인장력이 크게 발생하여 인장파단이 거의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Test Results
Specimen
(2 studs)
|
Ultimate
force
$P_{ult}$ (kN)
|
Slip (mm)
|
Averaged value
|
Diff. (DY#/WS13)
|
Failure
mode
|
No. fracture studs
|
initial,
$\delta_{init}$
|
max,
$\delta_{max}$
|
total,
$\delta_{u}$
|
ultimate
force (kN)
|
slip
(mm)
|
ultimate
force
|
slip
|
embed.
|
thread
|
DY1
|
s1
|
391.47
|
0.71
|
7.3
|
6.63
|
379.57
|
6.89
|
1.16
|
0.44
|
Mode 2
|
2
|
–
|
s2
|
367.66
|
–
|
7.9
|
7.15
|
Mode 2&3
|
1
|
1
|
DY2
|
s1
|
417.84
|
1.08
|
8.2
|
7.14
|
401.25
|
8.29
|
1.23
|
0.53
|
Mode 2&3
|
1
|
1
|
s2
|
436.35
|
–
|
9.3
|
8.18
|
Mode 1
|
2
|
–
|
s3
|
438.56
|
–
|
11.4
|
10.30
|
Mode 1&3
|
1
|
1
|
s4
|
386.68
|
–
|
11.2
|
10.10
|
Mode 1
|
2
|
–
|
s5
|
326.82
|
–
|
6.8
|
5.76
|
Mode 2
|
2
|
–
|
DY3
|
s1
|
378.13
|
0.45
|
10.2
|
9.76
|
400.37
|
9.44
|
1.23
|
0.60
|
Mode 2
|
2
|
–
|
s2
|
422.6
|
–
|
9.6
|
9.12
|
Mode 3
|
–
|
2
|
DY4
|
s1
|
413.97
|
0.45
|
6.3
|
5.87
|
383.78
|
7.25
|
1.18
|
0.46
|
Mode 2
|
2
|
–
|
s2
|
395.92
|
–
|
8.6
|
8.19
|
Mode 2&3
|
1
|
1
|
s3
|
341.45
|
–
|
8.2
|
7.71
|
Mode 2&3
|
1
|
1
|
DY5
|
s1
|
471.35
|
0.71
|
9.4
|
8.74
|
454.06
|
8.94
|
1.39
|
0.57
|
Mode 3
|
–
|
2
|
s2
|
422.37
|
–
|
7.6
|
6.89
|
Mode 3
|
–
|
2
|
s3
|
468.45
|
–
|
11.9
|
11.21
|
Mode 3
|
–
|
2
|
DY6
|
s1
|
328.11
|
1.01
|
8.2
|
7.43
|
377.88
|
7.50
|
1.16
|
0.48
|
Mode 2&3
|
1
|
1
|
s2
|
413.97
|
0.45
|
6.3
|
5.59
|
Mode 1
|
2
|
–
|
s3
|
406.07
|
–
|
9.8
|
9.10
|
Mode 2&3
|
1
|
1
|
s4
|
340.87
|
–
|
6.5
|
5.80
|
Mode 3
|
–
|
2
|
s5
|
400.39
|
–
|
10.3
|
9.60
|
Mode 2&3
|
1
|
1
|
DY7
|
s1
|
445.88
|
0.87
|
8.5
|
7.63
|
433.39
|
8.46
|
1.33
|
0.54
|
Mode 2&3
|
1
|
1
|
s2
|
422.00
|
–
|
9.8
|
8.98
|
Mode 2&3
|
1
|
1
|
s3
|
432.29
|
–
|
9.6
|
8.77
|
Mode 3
|
–
|
2
|
DY8
|
s1
|
414.27
|
0.61
|
6.4
|
5.80
|
371.14
|
5.48
|
1.14
|
0.35
|
Mode 3
|
–
|
2
|
s2
|
328.01
|
–
|
5.8
|
5.16
|
Mode 3
|
–
|
2
|
DY9
|
s1
|
370.84
|
0.90
|
12.0
|
11.14
|
402.06
|
10.65
|
1.23
|
0.68
|
Mode 1&2
|
2
|
–
|
s2
|
433.28
|
–
|
11.1
|
10.15
|
Mode 2&3
|
1
|
1
|
DY12
|
s1
|
374.17
|
0.14
|
11.0
|
10.88
|
396.27
|
10.61
|
1.21
|
0.68
|
Mode 2
|
2
|
–
|
s2
|
418.37
|
–
|
10.5
|
10.34
|
Mode 2
|
2
|
–
|
WS13
|
s1
|
322.05
|
0.14
|
14.3
|
14.17
|
326.50
|
15.66
|
1.00
|
1.00
|
Mode 1
|
2
|
–
|
s2
|
332.28
|
–
|
16.7
|
16.60
|
Mode 1
|
2
|
–
|
s3
|
325.16
|
–
|
16.3
|
16.20
|
Mode 1
|
2
|
–
|
Table 3에서 알 수 있듯이, DY스터드볼트를 적용한 실험체 모두 용접스터드(WS13)의 평균 극한강도 326.50 MPa에 비해 최소 14 %에서 최대 39
%의 큰 결과를 보였다. 슬립변위의 경우는 반대로 용접스터드에 비해 35~68 % 수준을 보였다. 용접스터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슬립변위는 적으나 모두
6 mm 이상으로 연성설계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실험체는 전단력에 의해 스터드의 지압으로 콘크리트 바닥판의 균열 및 부분 파괴가 있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스터드의 전단파단으로 파괴가 발생되었다. Fig. 6의 각 실험체별 하중-슬립 변위 그래프를 보면, 많은 실험체들이 극한하중에 도달하여 스터드의 전단파괴가 취성적으로 발생하였다. 그러나 DY2 및 DY3,
DY4, DY9의 일부 실험체들에서는 극한하중 이후에도 변위가 지속 증가하면서 연성파괴의 거동을 보였다.
Fig. 6. Load-Slip Displacement Curves
4. 결과 분석
4.1 공칭전단강도 및 안전율
현재 분리식 전단연결재에 대한 설계 규정은 없으나, 국내 강구조 부재 설계기준(KDS 14 31 10, 2017)의 4.3.3절(교량용 거더)에서는 용접스터드에 대한 설계전단강도를 Eq. (1)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Q_{n}$은 전단연결재의 공칭전단강도(N)이고 $\phi_{sc}$는 전단연결재의 강도저항계수(0.85)이다.
콘크리트 바닥판 내에 매립된 스터드 전단연결재 1개의 공칭전단강도 식은 Eq. (2)와 같다. 단, 스터드 직경이 25 mm 이하이고 최소인장강도가 500 MPa 이하인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 $d$는 스터드의 직경(mm), $A_{sc}$는 스터드 전단연결재의 단면적(mm2), $E_{c}$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MPa) 그리고
$F_{u}$는 스터드 전단연결재의 최소인장강도(MPa)이다.
위의 설계기준을 적용한 각 실험체의 수평전단강도 및 안전율은 Table 4와 같다. DY스터드볼트의 Y형상 치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리식 전단연결재의 수평전단강도는 공칭전단강도 대비 13~38
% 이상 큰 결과를 보였으며, 기존 용접스터드와 비교하면 최소 42 %에서 최대 74 %까지 큰 결과를 보였다.
Table 4. Shear Strength and Safety Factors
Specimen type
|
Shear strength,
Fmax (kN) (A)
|
Nominal shear strength,
Qn (kN) (B)
|
Safety factor
|
(A)/(B)
|
(A)/(B, WS13)
|
DY1
|
189.8
|
164.2
|
1.16
|
1.45
|
DY2
|
200.6
|
164.2
|
1.22
|
1.54
|
DY3
|
200.2
|
164.2
|
1.22
|
1.53
|
DY4
|
191.9
|
164.2
|
1.17
|
1.47
|
DY5
|
227.0
|
164.2
|
1.38
|
1.74
|
DY6
|
188.9
|
164.2
|
1.15
|
1.45
|
DY7
|
216.7
|
164.2
|
1.32
|
1.66
|
DY8
|
185.6
|
164.2
|
1.13
|
1.42
|
DY9
|
201.0
|
164.2
|
1.22
|
1.54
|
DY12
|
198.1
|
164.2
|
1.21
|
1.52
|
WS13
|
163.2
|
130.6
|
1.25
|
1.25
|
4.2 반복하중에 따른 강성 및 상대슬립 변화
Table 5 및 Figs. 7 and 8에는 25회 반복하중 재하에 따른 합성실험체의 초기 강성 및 슬립량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용접스터드 실험체인 WS13-s1의 경우 DY스터드볼트 실험체들에
비해 슬립량이 매우 낮은 반면 강성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DY스터드볼트 실험체들에서 슬립량이 큰 이유는 거더 상부플랜지의 Y형 테이퍼진
부분의 볼트 홀과 볼트 사이의 공차가 2 mm가 존재하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DY형상 변수에 따른 강성변화의 차이는 각 변수별 실험체를 1개씩만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이 결과만으로 결론을 추론하기가 어렵다. 다만, 동일 변수 실험체인 DY6-s1과 s2 실험체에서 강성값의 차이가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여, 이는 볼트 홀과 볼트 사이의 공차와 Y형상 가공 오차 등에 따른 슬립량 증가가 강성저하의 원인에 기인했을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Figs. 7 and 8을 보면, 전반적으로 강성의 경우 2회 반복 이후부터는 강성저하 없이 안정적인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접스터드 실험체의 경우에는 반복가력의
횟수에 따른 슬립량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DY스터드볼트 실험체들의 경우에는 반복횟수 증가에 따라 슬립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약 15회 이상에서 그 증가율이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Table 5. Initial Stiffness and Slip Displacement according to 25 Cyclic Loads
|
DY1-s1
|
DY2-s1
|
DY3-s1
|
DY4-s1
|
DY5-s1
|
DY6-s1
|
DY6-s2
|
DY7-s1
|
DY8-s1
|
DY9-s1
|
WS13-s1
|
Stiffness (kN/mm)
|
155.6
|
200.1
|
304.2
|
389.1
|
383.5
|
120.8
|
389.0
|
216.9
|
451.5
|
222.1
|
383.7
|
Slip (mm)
|
0.695
|
1.075
|
0.450
|
0.445
|
0.710
|
1.010
|
0.445
|
0.865
|
0.610
|
0.900
|
0.135
|
Fig. 7. Stiffness Increase Rates
Fig. 8. Slip Increase Rates
4.3 DY스터드볼트 Y형상 변수의 영향
Fig. 9에는 DY스터드볼트의 Y형상의 치수 변화에 따른 수평전단강도와 슬립변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Y형상 확대부의 높이(ts), 상부 테이퍼 높이(hs),
확대부 직경 크기(ds)에 대해서는 크기가 커질수록 단면적 증가 효과로 수평전단강도가 증가하였고 슬립변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ds의
경우 5 mm인 실험체에서 6 mm의 실험체보다 더 큰 결과를 보여 일관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ds가 4 mm, 5 mm 실험체는 각각 2개씩만
실험한 것으로 제작 및 실험오차가 있을 수 있어 충분한 개수의 추가적인 실험과 해석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터드의 전단성능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 바닥판에서의 균열이나 파괴가 더 발생하면서 전체 슬립변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강재 플랜지와 접촉되는
스터드 하부의 테이퍼 높이(hf)에 따른 수평전단강도와 슬립변위에 대해서는 2개의 범위에서만 실험적으로 검증하였기 때문에 그 효과를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강거더 상부플랜지 두께(20 mm)의 절반 이상(10 mm, 12 mm)으로 검토한 두 경우 모두 수평전단강도와 슬립변위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Fig. 9. Comparison of Stud Bolt Shape Variables
4.4 볼트 체결력 및 계면 부착의 영향
베딩층 두께 20 mm 실험체에 대한 볼트 체결력의 영향은 Fig. 10과 같다. 볼트 체결력은 설계기준 토크값을 100 % 기준으로 체결력을 40 %, 70 % 그리고 100 %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볼트 체결력이 증가할수록
수평전단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반대로 상대슬립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면 부착에 대한 영향은 Fig. 11과 같다. 계면 부착 여부는 무수축 모르타르가 타설된 베딩층을 갖는 경우와 베딩층 없이 전단포켓 부위만 무수축 모르타르에 의해 합성되어 다른 접촉면은
PC 바닥판과 강재 빔 상부플랜지가 합성되지 않는 경우이다. 볼트 체결력은 100 %로 동일하다. 베딩층을 갖고 계면 부착된 경우에는 전단강도와 상대슬립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대슬립이 커진 것은 베딩층이 파괴되면서 최종 변형량이 증가하는 영향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수평전단강도 증가는 매우 미소한
차이를 보였다.
Figs. 12 and 13은 각각 계면 부착모델(DY2-s3)과 계면 비부착모델(DY6-s2) 실험체의 바닥판 하부의 균열양상이다. 비부착모델은 강거더 상부플랜지와의 계면
전체에 무수축 모르타르가 밀실된 상태의 계면 부착모델과 달리, 전단포켓 내에만 무수축 모르타르가 밀실되어 강거더 상부플랜지와 바닥판의 계면에는 부착효과가
전혀 없는 상태이다. 콘크리트 바닥판의 국부적인 지압파괴는 모두 전단포켓 내의 무수축 모르타르에서 발생하였고, 바닥판 하부의 균열 진전 양상 또한
비슷한 경향으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강 거더와의 계면 거칠기는 아주 매끈하기 때문에 부착력에 의한 강도 증가효과는 아주 미미하다. 또한 이러한
부착력의 효과는 초기 강도에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Fig. 11에서와 같이 베딩층을 갖는 실험체(부착 모델)가 비부착 모델보다 강도가 다소 크게 나타는 것은 무수축 모르타르와 바닥판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차이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Fig. 10. Effects of Bolt Clamping Force
Fig. 11. Effects of Interface Adhesion
Fig. 12. Crack Pattern (Interface Adhesion)
Fig. 13. Crack Pattern (Interface Non-adhesion)
4.5 재시공성 검토
Fig. 14는 5회 반복하중 재하 이후 바닥판을 해체한 후에 DY스터드볼트를 재체결하는 모습이다. 재시공성 검증 실험체는 DY2-s2와 s4로 일반 시공을 모사한
DY2-s1, s3 및 s5와의 비교결과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재시공에 따른 수평전단강도는 평균 411.52 kN으로 일반 시공(428.20 kN) 대비 약 3.9 %정도 낮으나 기존 용접스터드
비해 26.0 % 이상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슬립변위는 9.14 mm로 4.8 %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 조건의 일반시공 실험체들
사이의 상대오차 수준 이내로서 재시공에 따른 성능 감소로 보기는 어렵다. 특히, 재시공성 검증 시 전단연결재에 대한 볼트체결력을 설계기준의 60~70
%를 적용하였고 볼트체결력의 영향에서처럼 체결력이 낮은 경우 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났기 때문에 재시공에 따른 강도 저하로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철거/해체 방법과의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DY스터드볼트 방식이 철거 및 재시공성에 우수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다만,
Fig. 14와 같이 너트 제거만으로 쉽게 바닥판을 분리할 수 있어 기존 용접스터드에 비해서는 바닥판 철거 시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Fig. 14. Separation of the Slab from the Steel Girder
Fig. 15. Construction vs. Reconstruction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강합성 콘크리트 교량에 있어서 손상 또는 노후화된 바닥판을 쉽게 교체하고 기존 거더에 재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볼트체결 방식의 분리식
스터드볼트를 제안하였다.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용접 스터드와의 성능비교를 위해 1면 수평전단 실험체를 제작하여 수평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한
분리식 스터드볼트의 최적 형상을 제시하기 위해 Y형상의 치수, 볼트체결력, 계면부착 여부를 변수로 정적 수평전단실험을 통해 전단연결재의 수평전단강도와
슬립변위를 검토하였고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1) DY스터드볼트를 적용한 실험체 모두 용접스터드(WS13)의 평균 전단강도 326.50 MPa에 비해 최소 14 %에서 최대 39 %까지 수평전단강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슬립변위의 경우는 반대로 용접스터드에 비해 35~68 % 수준을 보였다. 용접스터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슬립변위는 적으나 모두
6 mm 이상으로 연성설계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DY스터드볼트의 Y형상 치수의 크기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리식 전단연결재의 수평전단강도는 국내 용접스터드에 대한
공칭전단강도 대비 13~38 % 수준의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기존 용접스터드와 비교하면 최소 42 %에서 최대 74 %까지 큰 결과를 보였다.
(3) 모든 실험체는 콘크리트 바닥판의 파괴가 아닌 전단연결재가 파괴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콘크리트 바닥판과 무수축 모르타르의 압축강도가 48.6
MPa과 53.8 MPa로 상대적으로 콘크리트 바닥판의 압축강도가 높게 제작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4) DY스터드볼트의 Y형상 확대부의 높이(ts), 상부 테이퍼 높이(hs), 확대부 직경 크기(ds)에 대해서는 크기가 커질수록 단면적 증가 효과로
수평전단강도가 증가하였고, 전체 슬립변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강재 플랜지와 접촉되는 스터드 하부의 테이퍼 높이(hf)는 수평전단강도와
슬립변형량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하중-슬립변위 곡선으로부터, DY2 실험체와 같이 Y형상의 확대부 높이(ts)가 작을수록 콘크리트 바닥판 매립부에서의 DY스터드볼트의 전단파괴(Mode
1 또는 Mode 2)를 유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볼트 나사선에서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6) 볼트체결력에 대한 검토 결과, 일반 마찰이음 방식의 볼트체결력에 대한 설계기준을 그대로 적용하여 100 %의 토크값으로 체결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수평전단강도 성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안된 DY스터드볼트를 적용할 경우에 기존 마찰접합 볼트체결력 기준을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7) 수평전단실험체를 이용한 바닥판 철거 및 재시공성을 검토한 결과, 분리식 DY스터드볼트 개발 목적인 손상 바닥판 해체 및 재시공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성능 또한 우수하여 기존 용접스터드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22CTAP-C164073-02)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AASHTO LRFD (2007).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4th ed.; AASHTO, Washington,
DC, USA.
Ahn J. H., Choi K. T., Kim S. H., Kim S. H. (2008). "Shear capacity of corrugated
rib shear connec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8, No. 3A, pp. 375-381
Cho S. K., Lee J. M., Youn S. G., Choi Y. W. (2008). "Behavior of stud shear connectors
in precast deck using lightweight concre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20, No. 2, pp. 227-236
Chung C. H., Lee H. S. (2005).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of the ㄱ-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5, No. 5A, pp. 879-888
Chung C. H., Lee H. S., You S. K., Choi W. H. (2005a). "Experimental analysis of ㄱ-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ion between steel tubes and concrete dec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5, No. 1A, pp. 201-212
Chung C. H., Kim J. S., Park H. S., Joo B. C. (2005b). "Strength of bolt type shear
connector in precast deck composite brid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5, No. 5A, pp. 787-800
Csillag F., Pavlović M. S. (2021). "Push-out behaviour of demountable injected vs.
blind-bolted connectors in FRP decks.", Composite Structures, Vol. 270, pp. 114043
EN 1994-1-1 (2004). "Eurocode-4: Design of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structures",
CEN, Brussels, Belgium.
Hawkins N. M. (1987). "Strength in shear and tension of cast-in-place anchor bolts.",
Anchorage to Concrete SP-103, Vol. 103, pp. 233-256
Jung D. S., Park S. H., Kim T. H., Han J. W., Kim C. Y. (2022). "Demountable bolted
shear connector for easy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concrete slabs in steel-concrete
bridges.", Applied Sciences, Vol. 12, No. 3, pp. 1508
KDS 14 31 10 (2017). "Design standard of structural steel members (LRFD",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 Goyang-si, Korea.
Kim H. Y., Koo H. B. (2006). "Composite behavior of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
for steel-concrete dec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6, No. 1A, pp. 91-97
Kwon G. U. (2008). "Strengthening existing steel bridge girders by the use of post-installed
shear connectors", Ph.D. Thesis,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TX, USA.
Lam D., Dai X., Saveri E. (2013). "Behaviour of demountable shear connectors i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osite Construction in Steel and
Concrete VII, ASCE, pp. 613-631
Lee P. G., Shim C. S., Yoon T. Y. (2003). "Static behavior of large stud shear conne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15, No. 6, pp. 611-620
Loqman N., Safiee N. A., Bakar N. A., Nasir N. A. M. (2018). "Structural behavior
of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bolted shear connectors: A review.", MATEC
Web of Conferences 203, 06010.
Marshall W. T., Nelson H. M., Banarjee H. K. (1971).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use of high strength friction-grip bolts as shear connectors in composite beams.",
Structural Engineer, Vol. 49, pp. 171-178
Nguyen H. T., Kim S. E. (2009). "Finite element modeling of push-out tests for large
stud shear connector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 65, No. 10-11,
pp. 1909-1920
Pavlović M. S. (2013). "Resistance of bolted shear connectors in prefabricated steel-concrete
composite decks", Ph.D. Thesis, University of Belgrade, Republic of Serbia.
Shim C. S. (2004). "Experiments on limits state design of large stud shear connector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8, No. 3, pp. 313-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