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주)한국종합기술 수자원부 부사장, 공학박사/기술사 (Korea Engineering Consultants Corp.․dhwrd@chol.com)
  2. 정회원․영진엔지니어링 수자원부 상무 (Yeongjin Engineering Co., LTD.․gogodal28@daum.net)
  3. (주 한국종합기술 수자원부 차장)
  4. 종신회원․교신저자․한국환경연구원 환경평가본부 환경평가모니터링센터 연구위원 (Corresponding Author․Korea Environment Institute․jhlee@kei.re.kr)



저수지 운영, 규정 곡선, 동적 계획법, 수력, 남능강
Reservoir operation, Rule curve, Dynamic programming, Hydro-power, Nam Ngum River

1. 서 론

라오스 정부는 향후 국가발전과 연계하여 국내·외적으로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풍부한 수자원을 바탕으로 수력발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라오스 정부의 국가발전계획은 수력발전 이외에도 용수공급과 홍수관리 등 유역 차원의 통합 수자원 관리(IWRM: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를 통한 지속 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통합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남능강 유역의 장래 용수 수요에 대응하고 홍수방어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남능강 유역 내 댐들의 수력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운영기준을 마련하는 연구이다.

남능강(Nam Ngum River) 유역 내에는 남능강 본류와 지류에 총 8개의 댐이 이미 건설되어 운영 중이며 2개와 1개의 댐이 각각 건설 중과 계획 중에 있다. 현재 운영 중인 댐들은 운영규정 곡선(operation rule curve)을 바탕으로 국가통제센터(NCC: Natural Control Center)의 통제하에 방류량 등이 결정되고 있다. 하지만 남능강 유역의 댐 운영에 중요한 의사결정 수단인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은 댐 설계가 이루어진 1990년대와 2000년대 초기에 개발된 것으로 댐의 추가 건설 및 발전설비의 증설을 고려하여 유역 차원의 새로운 운영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남능강 유역의 최하류에서 수력발전뿐만 아니라 홍수조절 및 용수공급 등 다목적으로 운영하는 남능1 댐의 경우 상류 유역의 추가 댐 건설과 자체 발전설비 확충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새로운 댐 운영기준인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경우에 있어 지금의 댐 발전소는 댐관리 소유자가 다르고 전력 수요처 등이 달라서 상·하류의 저수지 및 발전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연간 생산하는 발전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점진적인 발전(發電)환경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주어진 저수지 시스템에서 더 많은 발전량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저수지를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안도 강구하였다. 즉, 댐 운영기준을 저수지를 단독 그리고 연계하여 운영하는 두 가지 운영 방식의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댐 운영기준 마련 또는 운영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 최적화 기법인 선형계획법(Linear Programing),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ing), 비선형계획법(Nonlinear Programing), 최적 제어이론(Optimal Control Theory) 등이 적용되고 있다. 실제로 Yoo et al.(1999)은 한강수계 수력발전을 위해 최적제어 모형인 선형추적(Linear Tracking)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Jeong et al. (2001)은 팔당 저수위 변경에 따른 한강수계 저수지 군의 최적 연계 운영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증분 동적 계획법(Incremental Dynamic Programing)을 이용하였다. 최근 Lee et al.(2019)은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한강수계 발전용 댐 장기 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최적화 모형을 구축한 바 있다. 한편, Guo et al.(2011)은 양쯔강의 Three Gorges 저수지를 포함한 5개 다중 저수지를 대상으로 연간 발전생산량을 증가하기 위해 연계 운영하는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저수지들을 최적 단독운영하는 것에 비해 연간 1.98 %의 발전량을 증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을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저수지 운영의 최적화 모델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CSUDP (Colorado States University Dynamic Programming) 패키지(Labadie, 2004)를 이용 하였으며, 저수지를 단독 운영 시에는 패키지 내의 증분 동적 계획법(Incremental Dynamic Programing: IDP)의 기능을 이용하고 연계 운영 시에는 연속 근사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 Successive Approximations: DPSA)의 기능을 이용하였다. 최적 운영결과로부터 댐별 운영규정 곡선을 추출하여 HEC-ResSim 프로그램의 저수지 운영의 기초자료로 입력하여 연간 발전량을 모의하였으며 이를 기존의 운영 곡선, 과거에 실제 운영한 수위 실적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최적의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2. 남능강 유역 내 발전소의 특성과 운영 시나리오

남능강은 Xiengkhouang 지방의 북부 산악 지역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라오스의 수도인 Vientiane에서 Mekong과 합류하는 유역면적 16,906 km2와 유로 연장 354 km를 갖는 메콩강의 제1 지류이다(Wikipedia, 2020). 남능강 유역 내에는 Fig.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2018년 현재 8개 댐이 운영 중이고, 2개 댐은 건설 중이며 1개 댐은 계획 중(남백 댐 2개소는 제외)에 있다. 총 11개 댐 중에 NN1, NN2, NN3, NN4 댐은 남능강 본류에 위치하고 나머지 댐 들은 남능강 지류에 위치한다. 이 댐들은 모두 수력발전소를 갖고 있으며, 남능강 최하류에 위치하는 남능1(NN1) 댐을 제외하고는 발전 전용의 단일 목적 댐이라 할 수 있다. ‘70년대 초부터 건설되어 최근까지도 건설되면서 운영해 오던 발전소 대부분은 설계 당시에 작성된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reservoir operation rule curve)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왔다. 즉, 현장 관리소장과 NCC (National Control Center)는 현지 저수지의 유입량과 저수위, 발전설비 용량, 전력 공급 지역의 수요량 등의 전력생산 관련 정보를 갖고서, 이미 개발하여 사용하여 온 운영규정 곡선을 바탕으로 저수지와 발전소를 운영하며 전력을 생산하여왔다.

Fig. 1. Location of Power Stations in the Nam Ngum River Basin as of 2019
../../Resources/KSCE/Ksce.2022.42.6.0803/fig1.png

2.1 댐 발전소 제원

남능강 유역 내의 댐 중에서 발전 기능과 하류의 홍수조절 기능을 담당하고 남능1 (NN1: Nam Ngum 1)댐은 1971년 상업 발전을 개시하였으며, 당 초의 시설 용량(capacity)은 30 MW (1, 2호기)에 불과하였다. 이후 1979년 40 MW 2기(3, 4호기)를 증설하여 110 MW로 확장되었으며, 1985년에는 1기(5호기)를 다시 추가 증설하여 150 MW로 확장되었다. 이후 1996년 남송 도수로(Nam Song Diversion)가 건설되고 2000년에는 유역 전환식 수력발전소인 남륵(Nam Leuk) 댐이 건설되어 저수지 유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연간 발전량이 증가 되었다. 2003~2004년 1, 2호기 재개발(rehabilitation) 공사를 통하여 2016년까지 시설 용량은 155 MW이고, 2017년부터 40 MW 2기가 추가 완공됨에 따라 시설 용량은 235 MW이며, 현재 40 MW 1기가 추가 건설되어 최종 시설 용량은 275 MW이다. 남능1 수력발전소는 라오스 수도권의 주 전력원으로서 지속적으로 확장되어왔으며, 현재 연간 발전량은 853~1,210 GWh 범위이다. 이 외의 수력발전소들은 당 초의 설계된 사양을 대부분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운영 중에 있는 8개소(NN1, NN2, NN5, NP, NS, NL, NL1/2, NM3)와 공사 중 2개소(NN3, NLK1) 그리고 계획 중 1개소(NN4)의 수력발전소의 주요 제원을 요약하면 Tables 1 and 2와 같다.

Table 1. The Key Hydroelectric Specifications (Nam Ngum 1 Dam)

Item

Unit

Specification

Basin Area

km2

8,460

Dam Crest Elevation

masl

215.0

Weir Crest Elevation

masl

202.5

Turbine

Francis

Installed Capacity

MW

275.0 (40 MW × 6 units, 17.5 MW × 2 units)

Full Supply Level

masl

212.0

Minimum Supply Level

masl

196.0

Maximum Tailwater Level

masl

178.0

Full Load Operation Tailwater

masl

166.0

Rated Head

m

47.5

Rated Flow per Turbine

m3/s

17.5 MW: 57.3 / 40 MW: 117.1

40 MW (expansion): 122.2 / 118.6

Source: KOICA (2019)
Table 2. The Key Hydroelectric Specifications (Nam Ngum 2,3,4,5 Dam, etc.)

Item

Unit

Specification

Existing dams

Under const.

Planned

NN2

NN5

NP

NS

NL

NL1/2

NM3

NN3

NLK1

NN4

Basin Area

km2

5,640

483

148

1,303

274

2,062

67

3,913

5,050

1,748

Dam Crest Elevation

masl

381

1,103

1.145

222

411.5

311.0

753

729.5

197.8

1,046

Weir Crest Elevation

masl

359

1,100

1.140

221

405

305.0

751.3

705.0

177.5

1,025

Turbine

Francis

Francis

Pelton

Kaplan

Francis

Francis

Pelton

Francis

Kaplan

Francis

Installed Capacity

MW

615

120

86

6

60

100

40

480

64.72

240

Full Supply Level

masl

375

1,100

1140

406.1

305.0

750

723.0

195.0

1,040

Minimum Supply Level

masl

345

1,060

1120

388

285.0

742

670.0

191.5

1,025

Maximum Tailwater Level

masl

225

727

217

385.0

178.0

786.0

Full Load Operation Tailwater

masl

212

720

380

380.5

172.0

770.5

Rated Head

m

155

353

735

5.5

180

82.0

544

28.0

253.0

Rated Flow per Turbine

m3/s

149.4

21.45

14,45

300

19.5

78.1

9.14

180

155.0

35.76

Source: KOICA (2019)

2.2 저수지 운영 시나리오

Fig. 1의 위치도에 나타난 댐들의 연결성을 알기 쉽도록 모식도로 그리면 다음 Fig. 2와 같다.

현재의 저수지 운영은 NCC 지시에 따라 발전을 시행하고 있고, 단독으로 발전을 시행하고 있으며, 직렬로 연결된 댐들을 동시에 운영하는 연계 운영 시스템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이는 댐의 관리 소유자가 라오스 정부의 회사 EDL-Gen (Electricite Du Laos-Generation Company Limited: NN1, NL, NM3, NS 댐) 와 IPP (Independent Power Producer: NL1/2, NN2, NN5, NP, NN3, NL1, NN4 댐)로 서로 다르고, 전력공급처도 다르며, 각종 통신설비 등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도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프로젝트에서는 단독으로 운영하는 경우의 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운영규정 곡선(operation rule curve)과 연계 운영의 환경이 가능하다는 가정하에서 연계 운영에 따라 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운영규정 곡선(operation rule curve)을 제시하였으며, 저수지 운영 시기를 고려하여 3가지의 경우(case)를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즉, 현재 운영(NN1, NN2, NN5, NP, NS, NL, NL1/2, NM3 댐)하고 있는 댐들의 현시점의 경우(Case 1)와, 공사 중에 있는 댐이 완료되어 운영(기존 운영 댐에 NL1, NN3 댐 추가)하는 시점의 경우(Case 2), 그리고 모든 댐을 운영(상기 10개 댐에 NN4 댐 추가)하는 시기를 고려하는 경우(Case 3)로 구분하여 최적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reservoir operation rule curve)을 제시하였다.

Fig. 2. Schematic Diagram of Dams in the Nam Ngum River Basin
../../Resources/KSCE/Ksce.2022.42.6.0803/fig2.png

3.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 개발 방법

본 연구에서의 전력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reservoir operation rule curve)이란 시시각각으로 달라지는 저수지로의 유입량과 저수지 및 발전설비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최대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저수지 운영방법을 제시하는 규정으로서 연간 최대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시간(월)별로의 저수지 운영 수위(저류량)를 연결하여 나타낸 곡선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저수지 운영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하고 있다. 금번에 이를 개발함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과 절차로 수행하였다.

3.1 저수지 최적 운영

다수의 저수지로 구성되어있는 저수지 시스템은 시 ·공간적으로 불규칙적이며 불확실한 추계학적(stochastic)인 하천수 유입량 자료를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저수지를 대상으로 최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의사결정(decision making) 문제는 유입량 자료의 추계성(stochasticity)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따라 명시적(explicit) 혹은 암시적(implicit) 추계학적 최적화(stochastic optimization) 문제로 분류하고 있다(Labadie, 2004). 즉, 대상 저수지의 최적화 문제의 해(solution)를 찾음에 있어서, 명시적 추계학적 최적화(Explicit Stochastic Optimization: ESO)는 유입량의 추계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유입량의 확률밀도함수(PDF)를 이용하여 문제의 최적화 문제를 취급하였고, 반면에 암시적 추계학적 최적화(Implicit Stochastic Optimization: ISO)는 추계학적인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 장기간의 관측된 혹은 합성된(synthesized) 유입량을 이용하여 최적화 문제를 다루고 있다(Lee and Labadie, 2007).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혹은 생성된 유입량 자료를 바탕으로 암시적인 추계학적 동적 계획법(Implicit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 ISDP)으로 최적 해를 도출하였다. 저수지를 단독 운영 시에는 증분 동적 계획법(IDP)을 이용하였고 연계 운영 시에는 차원의 저주(curse of dimensionality)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동적 계획 연속 근사 동적 계획법(DPSA)에 의해 근사해(approximated solution)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DP 프로그램은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의 John Labadie 교수에 의해서 개발된 CSUDP (Colorado States University Dynamic Programming)이었다(Labadie, 2014). CSUDP는 동적 계획법을 사용하여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는 DP의 범용프로그램 패키지로서, 동적 프로그램의 이산화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원의 저주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손쉽게 채택하도록 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본 연구에서와같이 저수지 운영에서의 최적 방류량을 찾아내는 데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SUD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저수지의 연간 발전량을 최대로 하기 위한 전략(시간대별 혹은 공간별로의 저수지 수위 상태 등)을 찾아내었다. 즉, 저수지로의 장기간(1980년 1월~2016년 12월: 37개년)의 실측 혹은 생성된 유입량 자료와 저수지 및 발전소의 제원과 제약조건을 DP 모형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연간 최대 전력량을 생산할 수 있는 저수지의 운영규정 곡선을 도출하였다. 참고로 금 회 저수지 지점에서의 장기간의 유입량 자료는 상류에 조절 시설물(댐 등)이 없는 자연 상태로 가정하여 유입량을 산정하였으며, 산정 방법은 직접 계측된 지점은 계측기간 동안의 계측된 유입량을 적용하였고, 미계측(未計測) 지점은 인근(NN1 지점)의 실측 유입량 자료를 수문학적 유사성(hydrological analogy)의 특성을 고려한 비 유량법(drainage-area ratio method)을 적용하여 생성하였다.

3.2 적정 운영규정 곡선 형태 추출

저수지 운영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많은 유입량 시계열(time series)만큼의 DP 모형에 의해 추정된 최적 저수지 운영결과 중에서 해당 저수지의 운영을 대표하고 추후 저수지 운영 시에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운영규정 곡선을 추출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은 상 ·하부(upper/lower) 운영규정 곡선과 중앙(median) 운영규정 곡선의 두 가지 형태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 즉, 전자는 해당 저수지에서 Firm energy 생산을 보장하면서 형성되는 저수지 최적 운영결과의 최대의 수위를 월별로 연결한 URC (Upper Rule Curve)와 저수지 최적 운영결과의 최소의 수위를 월별로 연결한 LRC (Lower Rule Curve)의 영역 내에서 운영토록 하는 형태이고, 후자는 Firm energy 생산을 보장하면서 저수지 최적 운영결과의 중앙(median)수위의 값을 월별로 연결하여 운영하는 형태이다. 전자의 상·하부 운영규정 곡선은 기본적으로 최적 운영 영역이 최대 저수지 수위와 최저수위에 비교적 넓게 고르게 분포될 경우이거나, 혹은 해당 저수지 운영실적이 많지 않은 초기 단계의 저수지 운영상황에서 적절한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이며, 후자인 중앙 운영규정 곡선은 저수지 운영 수위가 어느 일정 수위 근방에 집중되어 분포할 경우이거나 장기간의 저수지 운영실적이 있어 해당 저수지의 상태에 따른 적응성이 양호한 곳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운영규정 곡선이라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저수지의 발전소에서 연간 발전량을 모의하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상·하부(upper/lower) 운영규정 곡선과 중앙(median) 운영규정 곡선의 두 가지 형태를 추출하도록 하였다.

3.3 연간 발전량 모의

상기에서 제시하는 운영규정 곡선에 대한 연간 전력생산량을 미 공병단에서 개발한 HEC-ResSim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HEC, Reservoir system-Simulation: ResSim)의 모형을 사용하여 산정한다. HEC-ResSim 모형은 다양한 요구사항과 제약사항을 반영하여 저수지를 모의할 수 있도록 개발한 모형으로, 여러 개의 저수지와 조절 점(control point)으로 구성된 저수지 시스템의 특성 및 문제점에 따라 부과되는 각각의 경계조건에 대해 용수공급, 수력발전 등의 이수 목적과 홍수조절 등 치수 목적의 요구를 최대한 충족시킴으로써 수자원 활용 전반에 걸친 저수지 시스템 운영을 최적화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금 번 DP로 최적화하여 얻은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 중에서 추출된 두 가지 형태의 운영규정 곡선을 HEC-ResSim 모형의 저수지 운영 세트(reservoir operation set)에 단독 혹은 연계 운영의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과 제약조건 등을 저수지 모의운영의 자료로 입력하고, 미래의 수문 사상(event)이 과거의 저수지 유입량과 유사한 계열로 발생한다는 가정하에서 저수지로의 유입량, 저수지 및 발전설비의 제원 등을 모형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해당 발전소의 연간 발전량을 모의하였다.

3.4 저수지 최적 운영규정 곡선 개발

해당 저수지 발전소의 연간 최대 발전량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운영규정 곡선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기존 저수지의 실제 운영된 월간 저수지 운영 수위 및 기존 운영규정 곡선 그리고 금 회 추출한 두 가지 형태의 운영규정 곡선을 HEC-ResSim 프로그램의 저수지 운영 세트(reservoir operation set)의 기초 입력 자료로 하고서, 과거 관측된 유입량과 비 유량법에 의해 생성된 유입량의 시계열(time series) 자료를 대상으로 모의 산출한 발전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또 다른 변수는 실제 저수지를 운영하는 관계기관이나 현장 운영책임자의 의견도 충분히 반영하여 최종적인 운영규정 곡선을 결정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4. 발전량 생산 최대화를 위한 모형구성

4.1 수학적 모형구성

저수지 운영의 최적화란 시간(월)별로 달라지는 저수지의 저류량을 연간 발전량을 최대로 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저수지를 운영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운영 기간에서의 해당 저수지의 저류량 변화를 알아야 한다. 저수지의 저류량 변화는 해당 저수지로의 유입량과 방류량 그리고 저수지 자체의 손실량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임의 기간(t) 동안의 저수지 저류량은 기간 시점에서의 초기 저류량($S_{t}$)에 해당 기간 동안의 저수지로의 유입량($Q_{t}$)을 더하고, 하류 수요에 따라 방류해야 하는 방류량($R_{t}$)과 저수지 내부에서의 증발 혹은 댐체와 댐 기초를 통한 누수 등에 따른 손실량($L_{t}$)을 제함으로써 산정할 수 있으며 계산 결과의 값은 다음 기간($t+1$)의 초기 저류량($S_{t+1}$)과 같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의 저수지의 연속방정식 혹은 상태변환방정식(state transformation equations)과 같다.

(1a)
$S_{t+1}= S_{t}+ Q_{t}- R_{t}- L_{t}$

상기 식을 방류량 Rt에 관하여 다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b)
$R_{t}= S_{t}- S_{t+1}+ Q_{t}- L_{t}$

이와 같이 시·공간적으로 달라지고 있는 저수지의 상태 변환에 대응하여 해당 목적 함수의 최적화(연간 발전량의 최대화)를 달성할 수 있는 저수지의 저류량(저수지 수위)과 방류량을 찾아낼 수 있도록 저수지의 규모 및 발전설비의 제약조건을 고려하면서 저수지를 운영한다.

4.1.1 목적 함수

전기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저수지의 운영은 일반적으로 주어진 저수지 규모와 발전설비 그리고 유입되는 하천 유입량 조건 등에 따라 상시 출력(firm power)을 확보하면서 연간 생산의 발전량을 최대화하도록 운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수의 저수지가 직·병렬로 연계되어있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이 경우의 연간 전력생산량을 최대로 하기 위한 저수지 운영 방법(월별 저수지 수위(저류량)와 방류량 등)을 찾기 위해서는 목적 함수가 필요하며, 저수지의 발전소를 단독 혹은 연계하여 운영할 경우의 목적 함수는 다음과 같다.

(2a)
$F =\max\sum_{j=1}^{12}E_{j}$ (단독)
(2b)
$F =\max\sum_{j=1}^{12}・\sum_{i=1}^{k}E_{ij}$ (연계)

여기서, $E_{j}$는 단독 댐별로 $j$기간(연간) 생산되는 전력량(GWh)이고 $E_{ij}$는 연계 댐 군(群)의 $i$댐에서 $k$댐까지의 $j$기간(연간) 생산되는 전력량(GWh)이다. 발전량 $E$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3)
$E = 9.806 ・\eta ・ R_{e}・H ・\Delta t / 10^{6}$

여기서, $E$ 는 발전량(GWh), $\eta$는 총 발전 효율, $R_{e}$는 터빈 방류량(m3/s), $H$는 수두(m), $t$는 시간(hours)이다.

한편, 발전생산량을 최대로 하는 목적 함수의 후방 순환 방정식(backward recursive equation)은 다음과 같다(Labadie, 2004; Nandalal and Bogardi, 2007).

(4a)
$E_{j}^{*}(S_{j})={\dfrac{}{}}\max_{R_{j}}[E_{j}(S_{j},\: R_{j})+ E_{j+1}^{*}(S_{j+1})]$

(for j = J, J-1,...,1) (단독)

(4b)
$E_{ji}^{*}(S_{ji})={\dfrac{}{}}\max_{R_{ji}}[E_{ji}(S_{j,\: i},\: R_{j,\: i})+ E_{j+1,\: i}^{*}(S_{j+1,\: i})]$

(for j = J, J-1,...,1) (연계)

여기서, 저수지 단독 운영 시의 $E_{j}^{*}(S_{j})$는 단계(stage) $j$에서의 최적 순환함수(optimal return function)로 최종 단계 $J$에서 $j$까지의 최대 발전생산량, $E_{j}(S_{j},\: R_{j})$는 단계 $j$의 저수 상태(state)에서의 방류량에 따른 발전생산량, $E_{j+1}^{*}(S_{j+1})$는 단계 $j+1$에서의 $J$에서 $j+1$까지의 최대 발전생산량이다. 또한, 저수지 연계 운영 시의 $E_{ji}^{*}(S_{ji})$는 단계 $j$의 저수지 $i$에서의 최적 순환함수(optimal return function)로 $J$에서 j까지의 최대 발전생산량, $E_{ji}(S_{j,\: i},\: R_{j,\: i})$는 단계 $j$의 저수지 $i$의 저수 상태(state)에서의 방류량에 따른 발전생산량, $E_{j+1,\: i}^{*}(S_{j+1,\: i})$는 단계 $j+1$의 저수지 $i$에서의 $J$에서 $j+1$까지의 최대 발전생산량이다.

4.1.2 제약조건

일반적으로 저수지의 저수량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저수지 제원상의 유효 저류량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낙차를 갖는 저류 공간 내에 저류되어야 하며, 생산되는 전력 역시도 기본적으로 설비용량(power capacity)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또한, 전력생산을 위한 방류량도 발전 설비용량 내에서 방류되어야 하며 이들 제약조건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1) 저류 용량

(5)
$S_{\min}\le S_{j}\le S_{\max}$

여기서, $S_{\begin{aligned}j\\ \end{aligned}}$ 는 j 기간의 저류량(106 m3), $S_{\min}$는 L.W.L 이하의 최소 허용 저류량(106 m3)이고, $S_{\max}$는 N.H.W.L 이하의 최대 허용 저류량(106 m3)이다.

2) 전력(power)

(6)
$P_{j}\le P_{\max}$

여기서, $P_{j}$는 $j$ 기간에 생산되는 전력(MW)이고, $P_{\max}$는 발전소의 최대 발전설비 용량(MW)이다.

3) 방류량

발전만을 위한 방류량은 해당 기간의 저수지 수위와 발전소의 발전설비 용량에 따라 달라지며, 최소 방류량은 발전 가능 최소 설비용량으로, 최대방류량은 발전 가능 최대 설비용량 내로 제한된다.

(7)
$R_{p\min}\le R_{j}\le R_{p\max}$

여기서, $R_{j}$는 발전을 위한 방류량, $R_{p\min}$는 발전설비에 적합한 최소 방류량, $R_{p\max}$는 발전설비에 적합한 최대방류량이다.

5. 저수지 운영규정곡선(operation rule curve) 개발

5.1 저수지 최적 운영

유역 내 저수지 발전소에서의 단독 운영과 연계 운영 시 저수지 운영의 제약조건을 만족하면서 연간 최대의 발전량을 생산하도록 목적 함수를 설정하였고 CSUD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저수지 최적 운영의 저류량과 방류량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 입력 자료로서는 관측되어 보존하고 있는 37년간의 유입량 자료와 비 유량법으로 생성한 유입량 자료 그리고

「2.1 댐 발전소 제원」의 저수지와 발전소의 제원 등을 활용하였다. 저수지 단독 운영 시의 최적 운영결과를 바탕으로 월별의 저수지 수위를 나타내면 Fig. 3에서와 같다. 그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N1 발전소의 경우 기존의 발전설비용량(155 MW)에서는 최적의 저수지 연간 운영규정 곡선이 대체적으로 상·하 범위 내에 넓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발전설비 용량이 점점 증설(2018년: 235 MW, 2020년: 275 MW)됨에 따라 운영규정 곡선이 상부로 몰리고 있으며 이는 저수지로의 유입량은 일정한 반면에 많은 전력생산을 위해 저수지 수위를 상승시키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타 발전소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유사한 특성에 따라 운영규정 곡선의 형태를 띠고 있다(KOICA, 2019). 참고로 Case 구분은 11개 댐의 상업 운영 시기를 고려하여 구분하였으며, Case 1은 현재 운영하는 댐(8개소), Case 2는 2020년(현 운영 댐+남릭1+남능3), Case 3는 2022년(Case 2댐들에 남능4 포함)에 상업 운영하는 댐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이다.

한편, CSUDP의 DPSA법을 적용하여 연계 운영한 결과는 Fig. 4와 같다. 그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N1 댐에서의 저수지 연간 최적 운영규정 곡선은 Case 1의 경우는 저수지의 규모 측면에서 볼 때 적정용량의 발전설비를 갖추어 운영하고 있으나, Case 2, 3부터는 최대 용량의 발전설비로 운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최대 저수위(reservoir water level)를 유지하면서 마치 수로식(run-of-river)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Fig. 3. Results of Reservoir Operation during Single Operation (NN1)
../../Resources/KSCE/Ksce.2022.42.6.0803/fig3.png
Fig. 4. Results of Reservoir Operation during Joint Operation
../../Resources/KSCE/Ksce.2022.42.6.0803/fig4.png

5.2 적정 운영규정 곡선 형태 추출

유역 내 댐 저수지 발전소 중에서 NN1 댐의 발전소에 대하여 37개년의 저수지 유입량 시계열을 바탕으로 DP를 적용하여 최적 저수지 운영 곡선(operation curve)을 찾아냈으며, 이로부터 연간 발전량을 최대로 하기 위한 운영규정을 정하기 위한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reservoir operation rule curve)을 DP의 최적 저수지 운영 곡선들로부터 상·하부 운영 곡선(upper/lower operation curve) 와 중앙 운영 곡선(median operation curve)의 두 가지 형태로 추출하였다. 다음 Fig. 5는 NN1 댐 발전소를 37개년의 유입량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NN1 댐 단독 혹은 상류 댐들과 연계하여 최적으로 운영한 결과의 최적 저수지 운영 곡선과 두 형태의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 그리고 기존 운영규정 곡선을 함께 도시하여 나타냈다. 다른 10개의 발전소에 대하여도 같은 방법으로 적정 운영규정 곡선을 추출하였다(KOICA, 2019).

Fig. 5. Operation Rule Curve with Typical Rule Curve Pattern
../../Resources/KSCE/Ksce.2022.42.6.0803/fig5.png

5.3 연간 발전량 모의

해당 발전소에서 금번에 추출된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에 의해 운영할 경우의 연간 생산할 수 있는 발전량은 저수지 모의 운영을 위해 미 공병단(The US Army Corps of Engineers) 수문기술센터(Hydrologic Engineering Center:HEC)에서 개발한 HEC-ResSim (Reservoir system-Simulation)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HEC-ResSim모형의 저수지 운영 세트(reservoir operation set)에 단독 혹은 연계 운영의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과 제약조건 등을 저수지 모의운영의 자료로 입력한다. 그 외에도 유입량, 저수지 및 발전설비 제원을 입력하여 연간 발전량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Table 3과 같으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금 회 새로운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을 개발하여 적용할 경우의 댐 저수지별 발전량을 합산한 남능강 유역 전체 연간 발전량은 기존의 계획 발전량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수지 운영 방식에 따른 연간발전 생산량을 비교하면 단독 운영 시에는 기존 계획보다는 약 1.2 %로 미소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계획 역시도 최적으로 저수지를 운영토록 운영규정 곡선을 개발하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또한, 연계 운영 시에는 단독으로 운영하는 것보다 연계에 따른 시너지효과로 약 2.5 %의 전력을 더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가 비율로 보면 다소 적어 보이나 「1. 서론」에서 기술된 양쯔강의 다중 저수지의 연계 운영 사례(증가율 1.98 %)와 비교하여 보면 결코 적은 증가량이라고만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남능강 유역에서 직렬로 연결된 댐(주요 댐)을 연계하여 금 회 제시한 운영규정 곡선으로 운영할 경우, 현재의 운영시스템인 단독 운영보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Annual Power Generation Obtained by Simulated Single or Joint Operation of the Reservoir (Unit: GWh/year)

Hydropower plant

Planned

Actual

Simulation

Difference (%)

Singleness

Joint

Singleness

Joint

Nam Ngum 1

1,254.4

1,138.9

1,173.6

-9.2

-6.4

Nam Ngum 2

2,218.0

2,231.8

2,367.5

2,388.5

6.7

7.7

Nam Ngum 5

507.0

510.2

551.2

554.0

8.7

9.3

Nam Mang 3

174.8

187.8

200.3

200.3

14.6

14.6

Nam Leuk

215.0

217.5

232.7

232.7

8.2

8.2

Nam Song

13.5

11.6

12.5

12.5

-7.4

-7.4

Nam Lik 1/2

435.0

539.6

443.7

443.7

2.0

2.0

Nam Phay

419.5

430.0

430.0

2.5

2.5

Nam Lik 1

264.0

265.2

265.2

0.5

0.5

Nam Ngum 3

2,345.0

2,300.4

2,479.0

-1.9

5.7

Nam Ngum 4

872.0

877.1

856.5

0.6

-1.8

Total

8,718.2

8,819.5

9,035.9

1.2

3.6

Source: KOICA (2019)

5.4 저수지 최적 운영규정 곡선(operation rule curve) 개발

남능1 댐의 단독 운영의 경우 발전설비를 증설함에 따라 일정한 유입량에서 발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건기에는 저수지의 수위를 상대적으로 높여서 운영하고, 우기에는 목표 발전량을 생산하면서 저수지 수위를 최대 공급 수위(full supply level)까지 회복하도록 최적의 운영규정 곡선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계 운영 시 운영규정 곡선은 유역 내의 댐 발전소에서 생산될 수 있는 발전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단독 운영과 비교하여 댐별 수위의 증․감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단독 및 연계 운영 시의 남능1 저수지의 case 별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의 저수지 수위는 Table 4Figs. 6 and 7과 같다. 표 및 그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시된 저수지 연간 최적 운영규정 곡선은 Case 1의 155 MW 경우는 단독 혹은 연계 운영 모두 저수지의 규모 측면에서 볼 때 발전설비 용량이 적절하여 전형적인 건기와 우기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운영되면서 최대 전력량을 생산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발전설비 용량을 추가한 경우에는, 단독 운영 시에는 건·우기의 양상은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수위를 상승시켜서 발전량을 증가시키도록 하였고, 반면에 연계 운영 시에는 건기에서 우기로 전환되는 시기에만 운영 수위를 조절할 뿐 기타 기간의 수위는 최대 저수위(reservoir water level)인 상시 만수위를 유지하면서 증가된 발전설비 용량에 맞추어 전기를 생산하도록 최적의 운영 곡선을 개발하였다.

Fig. 6. Operation Rule Curve Suggested for Single Reservoir Operation
../../Resources/KSCE/Ksce.2022.42.6.0803/fig6.png
Fig. 7. Operation Rule Curve Suggested for Joint Reservoir Operation
../../Resources/KSCE/Ksce.2022.42.6.0803/fig7.png
Table 4. Reservoir Operation Rule Curves of the Nam Ngum River Basin during Operation (Unit: masl)

Case

Hydropower plant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Single operation

1

NN1 (155 MW)

210.8

210.3

209.9

209.2

208.0

208.8

210.7

212.0

212.0

212.0

212.0

211.4

NN1 (235 MW)

211.4

211.5

211.9

212.0

211.4

210.5

210.8

212.0

212.0

211.1

211.6

211.6

2

NN1 (275 MW)

211.4

211.4

211.2

212.0

212.0

212.0

212.0

212.0

212.0

211.9

211.8

211.6

3

NN1 (275 MW)

211.4

211.4

211.1

212.0

212.0

212.0

212.0

212.0

212.0

211.8

211.8

211.6

Joint operation

1

NN1 (155 MW)

211.3

210.9

210.7

210.1

209.1

208.8

210.6

212.0

212.0

212.0

211.8

211.6

NN1 (235 MW)

212.0

212.0

212.0

212.0

211.1

210.1

210.0

211.7

212.0

212.0

212.0

212.0

2

NN1 (275 MW)

212.0

212.0

212.0

212.0

212.0

211.7

211.2

212.0

212.0

212.0

212.0

212.0

3

NN1 (275 MW)

212.0

212.0

212.0

212.0

212.0

211.6

211.2

212.0

212.0

212.0

212.0

212.0

6.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라오스의 남능강 유역의 통합 수자원 관리(IWRM) 일환으로 유역 내에 위치하는 댐 발전소들을 대상으로 연간 전력생산량을 최대로 하기 위한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reservoir operation rule curve)를 개발하기 위해 동적 계획법의 범용적인 프로그램인 CSUDP와 저수지 모의(simulation)프로그램인 HEC-ResSim 활용하였다. CSUDP로 최적 저수지 운영 수위를 추출하고, 현재 운영하는 댐들의 월별 운영 수위 실적, 기존의 운영규정 곡선, 댐의 안전성, 저수지 운영의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HEC-ResSim에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연간 발전량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금 회 개발된 운영규정 곡선을 도입할 경우의 연간 발전생산량은 당 초 계획보다 약 1.2 %의 미소한 증가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발전소 운영계획이 최적의 운영규정 곡선으로 운영한다는 전제이기 때문이다. 한편, 운영체계 역시도 저수지를 연계하여 운영하는 체계가 저수지 단독의 운영체계보다 연계에 따른 시너지 효과로 약 2.5 %의 발전량을 더 생산하는 것으로 모의 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의 유역 내의 수문·수리와 저수지 상황 그리고 발전소의 발전설비 등 남능강 유역 내의 발전(發電) 환경만을 고려하여 수행되었으나, 차후에는 발전소의 전력생산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력시장(국내 및 해외의 전력 수요와 공급)의 변동 조건과 기후위기(climate crisis)의 시나리오 등도 함께 고려하여 최적 저수지 운영규정 곡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에서 발주한 「라오스 남능강 유역 통합 수자원 관리(IWRM)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되었으며, 당시 자문을 맡아주신 고석구 교수님, 이진희 박사님, 이광만 박사님께 감사를 표합니다.

References

1 
Guo S., Chen J., Li Y., Liu P., Li T. (2011). "Joint operation of the multi-reservoir system of the Three Gorges and the Qingjiang Cascade Reservoirs.", Energies, Vol. 4, No. 7, pp. 1036-1050DOI
2 
Jeong C. S., Heo J. H., Yi J. E. (2001). "Optimum reservoirs operation in Han River basin depending on storage level changes of Paldang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KSCE, Vol. 21, No. 2B, pp. 101-109Google Search
3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2019). "Master Plan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for Nam Ngum River Basin in Lao PDR"Google Search
4 
Labadie J. W. (2004). "Optimal of multi-reservoir systems: State- of-the-art review.",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0, No. 2, pp. 99-100Google Search
5 
Labadie J. W. (2014). "General dynamic programming package: CSUDP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orado State University, pp. 21-22Google Search
6 
Lee E. K., Ji J. W., Yi J. E. (2019). "Development of optimization model for long-term operation planning of the hydro-power reservoirs in Han River basi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21, No. S-1, pp. 69-79DOI
7 
Lee J. H., Labadie J. W. (2007). "Stochastic optimization of multi-reservoir systems via reinforcement learn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3, No. 11, W11408, pp. 1-16DOI
8 
Nandalal K. D. W., Bogardi J. J. (2007). "International hydrology series, dynamic programming based operation of reservoirs, applicability and limi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 pp. 16-30Google Search
9 
Wikipedia (2020). "Nam Ngum River", Available at: https://en.wikipedia.org/wiki/Nam_Ngum_River (Accessed: September, 12, 2022).URL
10 
Yoo J. H., Kim J. H., Jung K. S. (1999). "Application of linear tracking to the multi-reservoirs system operation in Han River for hydro-power maximiz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2, No. 5, pp. 579-591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