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계명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전공 조교수 (Keimyung University․dkwoo@kmu.ac.kr)
  2.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전공 학생연구원 (Keimyung University․5530436@stu.kmu.ac.kr)
  3. 종신회원․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Dankook University․bskang@dankook.ac.kr)
  4.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thdgml1103@kumoh.ac.kr)
  5. 정회원․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석박사과정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im2436@kumoh.ac.kr)
  6. 종신회원․교신저자․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seongjin.noh@kumoh.ac.kr)



기후 스트레스, 유출 변동성, 집중형 수문모형, IHACRES, GR4J
Climate stress, Discharge variability, Lumped hydrological model, IHACRES, GR4J

1. 서 론

수자원의 지속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이용에 있어 유출량 예측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와 기온과 같은 수문 조건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가뭄 및 홍수의 발생이 점차 증가하여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어렵게 하고 있다. 최근 인공위성, 레이더, 드론 등 원격탐사에 의한 고해상도 자료의 증가 및 고속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강우-유출의 물리적 과정 해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분포형 수문모형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수문모형의 비선형성과 상대적으로 부족한 매개변수 공간정보 자료로 인해 고해상도 분포형 모의 기법은 여전히 많은 불확실성과 높은 계산부하량 등 실용성 측면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최근 기후변화영향평가연구에 있어서 과거 탄소배출시나리오에 근거한 하향식 연구로부터 의사결정 스케일링(Decision-scaling; DS)이라는 상향식 기법(Brown et al., 2012; Brown et al., 2019)이 도입되기 시작하면서부터 가벼우면서 동시에 최소한의 신뢰도가 보장되는 집중형 모형이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있다. DS기법은 의사결정 분석 프레임워크의 설정과 함께 물리적기반의, 구조화된, 다차원 민감도 분석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별 기후 관련 위험여부를 식별하고, 분석의 후반 단계에서 사용할 기후전망 시나리오의 선정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식별된 기후 취약성에 대한 위험수준을 분석하는 절차이다. 이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예측에 기반한 하향식(Top-down)의 영향평가가 아닌, 기후 취약성평가를 선행하는 상향식(Bottom-up) 영향평가로서 흔히 의사결정 구조화(Decision Framing), 기후스트레스 테스트(Climate Stress Test), 기후정보기반의 위험도평가(Climate-Informed Risk Assessment)의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기후스트레스 테스트과정에서 상당한 규모의 시나리오 모의가 필요하여 집중형 모형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집중형 수문모형 활용 사례로는 저류함수법을 활용하여 유출자료의 확장성을 보여준 Kim et al.(2013)의 연구,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집중형 수문 모형 구조로 인한 불확실성을 BUCK, CEQU, CRE0 등 20개의 집중형 수문 모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한 Seiller and Anctil(2014)의 연구, 하향식 예측을 사용하여 미래 기후의 위험에 대한 최상의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제안한 Brown et al.(2012)의 연구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집중형 수문모형인 IHACRES와 GR4J를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동향을 검토하였다. 먼저 IHACRES의 경우, Yoo and Park(2006)의 연구에서는 집중형 모형의 매개변수를 지역화하여 미계측유역 유출량 해석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Park and Yoo(2008)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IHACRES 모형의 매개변수 중 지형특성 관련 변수를 지역화 기법을 통해 정량화하고, 충주댐 유역의 12개 지점에 대해 유출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Hyun et al.(2016)은 IHACRES모형의 비선형적인 유효강수 산출 방법은 홍수기 보다 비홍수기의 유출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위 연구에서 적용한 합천댐 유역에서는 IHACRES로 모의된 유출량이 준분포형 모형인 SWAT의 결과와 견줄만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Kim et al.(2018)은 GR4J모형을 기반으로 지역화 하이브리드 모형을 개발하고, 미계측유역의 유출 산정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Shim et al.(2021)은 신뢰성 있는 강우-유출모의와 가뭄 지수의 적합성 검토를 목적으로 미계측 유역 또는 가뭄모니터링이 필요한 지점에 GR4J 모형을 적용하고, Shuffled Complex Evolution Metropolis-University of Arizona (SCEM-UA) 기법과 Copula 함수를 이용하여 매개변수 최적화 및 지역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Im et al.(2012)은 GR4J모형의 국내 수문환경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토양수분 해석과정을 개선한 식을 제안하였고 기존보다 유출해석의 정확성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 Yu et al.(2021)은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국내외 다수의 연속 강우-유출 모형을 통해 적합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중 고유량을 제외한 대부분의 유량 구간에서 GR4J모형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 영향 평가나 미계측 유역 예측 등 연구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집중형 수문모형은 모형 매개변수에 대한 적절한 보정과 더불어, 유역 특성이나 기후 조건 변화 등의 비정상성(non-stationary)이 수문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과거 사상에 대해 집중형 수문모형의 검보정이 이루어진다면 미래에 변화한 기후 조건에 대한 유출 해석도 신뢰할 수 있다는 확인되지 않은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 반면, 강수나 기온 등 기후 요소가 변화하였을 때 집중형 모형의 유출 모의 거동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출민감도 분석을 위해 8000개 이상의 강수 및 기온변화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이에 대한 유출해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코드가 확보되어 시나리오 설정을 내장하고 일괄배치작업이 가능한 IHACRES, GR4J 모형을 유출모형의 대안으로 선택하게 되었다. 아울러 비정상성이 강우-유출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두가지 모형에 대해 동일한 기상 조건 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고, 유출 해석의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유역으로는 합천댐과 섬진강댐을 선정하고, 모형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Nash-Sutcliffe efficiency (NSE)와 Kling-Gupta efficiency (KGE)를 목적함수로 매개변수 보정을 수행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 및 기온 조건의 극한 변화를 고려하여, 강수는 최대 50 %, 기온은 0-8 °C 내의 독립적 변화에 대한 기상조건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집중형 모형을 모의하고, 연최대유량, 풍수량, 평수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절에서는 연구에 사용된 수문모형, 대상유역, 입력자료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구축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2.1 집중형 강우-유출모형의 개요

2.1.1 IHACRES (Identification of unit Hydrographs and Component flows from Rainfall, Evaporation and Streamflow data)

IHACRES는 유역의 기온 및 강수를 입력자료로 하여 유출량을 모의하는 집중형 모형으로(Jakeman et al., 1990),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효강수를 산정하는 비선형 손실 모듈, 유효강수를 유출량으로 산정하는 두가지 선형 모듈로 구성되어있다. 비선형 손실 모듈로 유역수분결핍(Catchment Moisture Deficit, CMD)을 활용하였으며, 선형 모듈은 지수성분전달함수(Exponential Components Transfer Function)을 활용하여 홍수추적을 모의한다.

비선형 손실 모듈인 유역수분결핍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1)
$M[t]= M[t-1]- P[t]+ET[t]+U[t]$

여기서, $M$은 유역수분결핍(mm/d)을 나타내며, 최소값은 0이다. $P$는 면적 강수량(mm/d), $ET$는 증발산(mm/d), $U$는 유효 강수량(mm/d), $t$는 시간(d)을 나타낸다. 강수에 대한 유효강수의 비($\dfrac{d U}{d P}$)는 $M=d$의 임계점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선형식으로 표현된다.

(2)
$\dfrac{d U}{d P}=1-\min\left(1,\: \dfrac{M}{d}\right)$

증발산 또한 $M = f× d$에서 임계값을 갖는 유역수분결핍의 함수이다. 여기서 $f$, $d$는 각각 유역수분결핍의 스트레스 임계값(-), 유역수분결핍 중 유출을 발생하는 임계값(mm/d)이다. 증발산의 산정은 $M_{f}$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강수량과 유효강수를 제외한 유역수분결핍이다. 증발산은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3)
$ET[t]=e E[t]\min\left[1,\: \exp\left\{2\left(1-\dfrac{M_{f}}{fd}\right)\right\}\right]$

여기서, $e$는 잠재증발산 산정을 위한 계수(-)이다.

선형 모듈인 홍수추적은 느린유출($X_{s}$, mm/d)과 빠른유출($X_{q}$, mm/d)로 구분하여 산정되며, 총 유출량($X$, mm/d)은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4)
$X[t]=X_{s}[t]+X_{q}[t]$

여기서, 느린유출과 빠른유출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산정된다.

(5)
$X_{s}[t]=\alpha_{s}\times X_{s}[t-1]+\beta_{s}\times U[t]$
(6)
$X_{q}[t]=\alpha_{q}\times X_{q}[t-1]+\beta_{q}\times U[t]$

여기서, $\alpha_{s}$, $\alpha_{q}$는 각각 느린, 빠른 유출에 해당하는 감소계수(-)이다. $\beta_{s}$, $\beta_{s}$는 각각 느린, 빠른 유출에 해당하는 응답계수(-)이다. 아래첨자 $s$와 $q$는 각각 느린유출과 빠른유출을 의미한다. 감소계수와, 응답계수는 각각 시간의 경과에 대한 느린유출과 빠른유출의 시간 상수($\tau$)와, 부피의 비율($\nu$)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7)
$\tau =\dfrac{-1}{\log(\alpha)}$
(8)
$\nu =\dfrac{\beta}{(1-\alpha)}$

응답계수와 부피비율은 느린유출과 빠른유출에 대해여 각각 산정하였다. IHACRES 모형 매개변수의 종류와 내용은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Table 1. Description of IHACRES Parameters (Jakeman et al., 1990)

Parameter

Description

$d$

CMD threshold for producing flow (mm/d)

$e$

Temperature to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conversion factor (-)

$f$

CMD stress threshold as a proportion of d (-).

$\tau_{s}$

Time constants for the exponential components for slow flow (-)

$\tau_{q}$

Time constants for the exponential components for fast flow (-)

$\nu_{s}$

Fractional volumes for slow flow (0-1)

Fig. 1. Schematic Diagram of IHACRES (Modified from Jakeman et al., 1990)
../../Resources/KSCE/Ksce.2023.43.1.0043/fig1.png

2.1.2 GR4J (Génie Rural à 4 paramètres Journalier)

GR4J 모형은 토양수분과 하도저류를 저류지 형태 구조를 통해 개념화한 집중형 강우-유출 모형이다(Duan et al., 2006; Im et al., 2012). 비교적 적은 수의 매개변수를 사용하지만 미계측유역과 같이 수문기상 및 토양, 토지이용 등 유역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자료 수집이 어려운 경우에도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유역의 유출을 비교적 우수하게 재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him et al., 2021). GR4J 모형은 X1부터 X4까지 4개의 매개변수가 있으며(Table 2), 두 개의 저류지 모듈과 두 개의 단위유량도를 적용한다. 또한 차단, 토양수분저류, 홍수추적의 3단계 과정을 거쳐 강우-유출과정을 모사한다(Fig. 2). GR4J모형은 연속적 일 단위 계산을 수행하며 시간변수를 제외한 모든 단위는 mm로 표현된다. 입력자료인 강수와 잠재증발은 첫번째 토양수분 저류지에서 침루 등과 함께 고려된 후 유효강수량으로 환산된다. 두 번째 저류지에서는 단위유량도를 통해 흘러온 유효 강수량 중 침투되는 양을 고려하게 되는데, 여기서 유효강수량의 90 %는 하천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10 %는 지표면을 통해 유출되게 된다. 최종적으로 위 두 과정의 유량을 합산하여 유역 유출이 산출된다(Kim et al., 2018).

GR4J 모형에서의 토양수분저류량($S$)은 토양수분저류량에 관련된 강수량($P_{s}$)과 증발산량($E_{s}$), 그리고 침투량($P_{e}$)에 의해 산정되며 최대값은 최대토양수분저류량($X1$)이며, 아래식으로 표현된다.

(9)
$S[t]=\max(S[t-1]+P_{s}-E_{s}-P_{e},\: X1)$

여기서, 토양수분저류량에 관련된 강수량과 증발산량은 순강수량($P_{n}$)와 순증발산($E_{n}$)의 함수로, 입력자료인 강수량($P$)과 잠재증발산량($E$)의 관계로 다음과 같다.

(10)
$\begin{cases} P_{n}=P-E,\: E_{n}=0,\: {if}{P}\ge{E}\\ {P}_{{n}}=0,\:{E}_{{n}}={E}-{P},\: {if}{P}<{E} \end{cases}$

여기서, $P≥E$인 경우, 순간우량의 일부는 토양수분저류량으로 전환($P_{s}$)되며, 아래 식으로 산정된다.

(11)
$P_{S}=\dfrac{X1\left(1-\left(\dfrac{S}{X1}\right)^{2}\right)\tan h\left(\dfrac{P_{n}}{X1}\right)}{1+\dfrac{S}{X1}\tan h\left(\dfrac{P_{n}}{X1}\right)}$

여기서, $X1$은 유역내 최대토양수분저류량이다. 만약 $P<E$ 경우라면, 토양수분저류량에 따라 토양수분저류량에 미치는 증발산량($E_{s}$)은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12)
$E_{s}=\dfrac{S\left(2-\dfrac{S}{X1}\right)\tan h\left(\dfrac{E_{n}}{X1}\right)}{1+\left(1-\dfrac{S}{X1}\right)\tan h\left(\dfrac{E_{n}}{X1}\right)}$

토양수분저류량에서 침투량인 $P_{e}$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13)
$P_{e}=S\left\{1-\left[1+\left(\dfrac{4}{9}\dfrac{S}{X1}\right)^{4}\right]^{-1⁄4}\right\}$

위에서 산정된 침투량, 순강수량, 토양수분저류량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홍수추적량($P_{r}$)을 산정한다.

(14)
$P_{r}=P_{e}+(P_{n}-P_{s})$

여기서, 선형홍수추적량의 90 %는 단위유량도 $UH1$, 10 %는 단위유량도 $UH2$로 홍수추적 과정을 적용한다. 단위유량도 $UH1$과 $UH2$는 시간변수인 X4에 따라 결정된다. 두 단위유량도는 S-Curve인 $SH1$과 $SH2$에 의하여 산정된다. $SH1$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산정된다.

(15)
$\begin{cases} SH1(t)=0,\;\;\;\;\;\;\;\;\;\;\;\;\;\;\;\;\;\;\;\;\: {if}{t}\le 0\\ {SH}1({t})=\left(\dfrac{{t}}{{X}4}\right)^{\dfrac{5}{2}},\;\;\;\;\;\;\;\: {if}0<{t}<{X}4\\ {SH}1({t})=1,\;\;\;\;\;\;\;\;\;\;\;\;\;\;\;\;\;\;\;\;\: {if}{t}\ge{X}4 \end{cases}$

$SH2$도 비슷한 방식으로 산정되며, GR4J의 수문과정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설명은 Kim et al.(2018) 등의 연구를 참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GR4J 모형은 airGR이라고 하는 7개의 GR 계열 강우-유출모형과 매개변수 최적화 모듈, 가시화 모듈을 포함하는 R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통해 적용하였다(Coron et al., 2017; Coron et al., 2022).

Fig. 2. Schematic Diagram of GR4J
../../Resources/KSCE/Ksce.2023.43.1.0043/fig2.png
Table 2. Description of GR4J Parameters (Perrin et al., 2003)

Parameter

Description

X1

Maximum capacity of production store (mm)

X2

Groundwater exchange coefficient (mm)

X3

Maximum capacity of routing store (mm)

X4

Time peak ordinate of hydrograph unit UH1 (day)

2.2 연구대상지역 개요 및 입력자료 구축

연구지역은 유역면적이 유사한 합천댐 유역(925 k㎡)과 섬진강댐 유역(763 k㎡)으로 선정하였다(Fig. 3). 연구 기간은 기후변화 공통사회경제경로(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시나리오의 기준 기간과 동일하게 1995년부터 2014년을 연구기간으로 선정하였다. 모형의 기온 입력자료는 기상관측소 자료를 활용하여 구축하였으며, 강우 입력자료는 티센망법을 사용하여 점강우를 면적강우로 환산하였다. 합천댐 유역은 강우관측소(14개)와 기상관측소(1개)를 사용하였으며, 섬진강댐 유역은 강우관측소(7개)와 기상관측소(2개)를 사용하였다. 각 관측소의 결측을 보완하기 위하여, 역거리 가중법을 활용하여 적용지역의 기상관측소 결측을 보완하였다.

GR4J 모형의 입력자료에 사용되는 잠재증발의 경우 Oudin et al.(2005)이 제시한 기온 기반 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그 식은 다음과 같다.

(16)
$PE\begin{cases} 0.408R_{e}(T+5){if}({T}+5)>0\\ 0\;\;\;\;\;\;\;\;\;\;\;\;\;\;\;\;\;\;\;\;\;{otherwise} \end{cases}$

여기서, $R_{e}$는 외계태양복사(${MJ}m^{-2}d^{-1}$)이고, T는 2 m 높이에서의 평균기온(°C)이다(Oudin et al., 2010).

합천댐 유역의 기준 시나리오 기간(1995년부터 2014년)의 연강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1339.71 mm, 12.13 mm이고, 섬진강댐의 경우는 각각 1424.42 mm, 12.20 mm이다. 각 연구 지역의 연평균 강수는 84.72 mm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또한 각 표준 편차는 강수가 많은 연도와 그렇지 않은 연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나타낼 수 있다. 합천은 섬진강보다 연평균 강수가 비교적 작음에도 불구하고, 연도별 강수의 편차가 섬진강댐 유역과 유사한 강수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기준시나리오 기간의 경우 연 평균기온과 여름철 평균 기온은 합천댐 유역의 경우에는 각각 11.97 °C, 22.71 °C이며, 섬진강댐의 경우 각각 11.10 °C, 22.41 °C이다. 두 연구지역의 연평균과 여름철 평균 기온이 비슷하였으며, 연 평균 기온에 비하여 여름철의 평균 기온이 대략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3. Study Site: (a) Hapcheon Dam Basin and (b) Seomjingnag Dam Basin. The Blue and Red Triangles Represent Precipitation and Weather Stations, Respectively. The Black Trapezoids Represent Dam Locations where Inflow was Simulated
../../Resources/KSCE/Ksce.2023.43.1.0043/fig3.png

2.3 강수 및 기온 변동 시나리오 구축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 및 기온 변화에 대한 두 모형의 유출 전망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라 강수 강도 및 변동성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Kim et al., 2020). 즉, 무강우 지속시간 및 총 연간 강수량의 증가가 예측되고 있으며 그 경향은 시 ‧ 공간적으로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대기 온도 역시 여름철 온도가 겨울철 온도 보다 더 큰 증가를 가져올 수도 있으며, 겨울철 온도는 오히려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었다(KMA, 2020). 이는 과거 통계적 양상이 미래에도 유지될 것이라는 정상성의 가정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과거 사상에 대한 모의능력이 검증된 모형에 대하여 모형 자체의 특성 및 그 한계에 따른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구축하고자 한다. 강수 및 기온의 변화에 따라 본 연구에서 활용된 모형 전망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교적 단순하고 명확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즉, 강수 및 기온에 따른 시나리오는 기준 시나리오 기간(1995~ 2014년)을 기준으로, 강수는 -50 %에서 +50 %의 범위 내에서 1 % 단위로, 기온은 0 °C에서 8 °C까지 0.1 °C 단위로 변동하여 총 8,181개의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강수 및 기온의 최소와 최대 값은 SSP5-8.5 시나리오 기준 2100년 한반도(KMA, 2020) 강수(~+20 %) 및 기온 변화(~6.3 °C)보다 상향한 값으로 선택하여, 극한 강수 및 기온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한다.

3. 결 과

본 절에서는 IHACRES와 GR4J 두 모형의 검보정 및 기후조건 변동 시나리오 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3.1 모형 매개변수의 검보정 및 수문모의 결과 분석

본 연구에서는 합천댐 및 섬진강댐 전체 시계열 자료 기간(1995~2014년)에 대해 보정 및 검정 기간으로 7:3 비율로 하여, 1995~2008년의 14년간에 대해 보정, 2009~2014년(6년)의 기간에 대해 검정을 수행하였다. 보정 시 NSE와 KGE 두 가지의 목적함수(objective function)를 각각 적용하였고, 목적함수의 선택이 최적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두 가지 수문모형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NSE, KGE 목적 함수에 대해 IHACRES와 GR4J 수문모형의 성능을 모의한 결과는 Table 3과 같으며 두 모형에 대해 모의 유량과 관측 유량을 비교하여 1:1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은 Fig. 4이다. 합천댐 유역에서는 NSE, KGE을 기준으로 보정한 경우, 검정기간에 대해서는 IHACRES가 우수한 통계량도 있었으나, 보정기간에 대해선 GR4J의 결과가 NSE, KGE, RMSE 측면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섬진강댐 유역에서는 검정기간에 대해서는 NSE를 기준으로 보정시 NSE와 KGE에 대해서는 GR4J의 통계값이 우수하였으며, KGE를 기준으로 보정시에는 GR4J가 우수하나 NSE와 RMSE는 IHACRES가 우수하였다. 섬진강 유역의 보정기간에 대한 결과는 KGE를 기준으로 보정시 RMSE 통계값을 제외하고 다른 통계값에 대해 GR4J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GR4J 모형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통계결과를 보였으나, 두 모형 모두 보정 기간의 NSE 0.74 이상, KGE 0.75 이상으로 과거사상을 재현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정을 통해 최적화된 IHACRES의 매개변수는 Table 4, GR4J 모형에 대한 것은 Table 5와 같다. IHACRES의 경우(Table 4), NSE를 목적함수로 선택하면, 느린 유출에 관여하는 시간 함수의 매개변수 비가 합천댐과 섬진강댐 유역에 대해 각각 45.6613, 66.4844, KGE가 목적함수이면, 각각 5.6522, 28.8081로, 목적함수 선택이 유출 관련 매개변수 $\tau_{s}$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빠른 유출 관련 시간 함수의 매개변수인 $\tau_{q}$는 두 유역에 모두에서 목적함수가 NSE 일 때보다 KGE일 때 상대적으로 작게 추정되었으나, 상대적인 변동성은 매개변수 $\tau_{s}$에 비해 작았다. GR4J 모형의 경우(Table 5), NSE를 목적함수로 선택하면 토양수분 저류량(production capacity storage) 매개변수인 $X1$의 값이 합천댐 및 섬진강댐 유역에서 각각 134.3 mm, 62.8 mm이고, KGE일 경우 각각 102.6 mm, 30.6 mm로, KGE가 목적함수로 선택되었을 경우 매개변수 $X1$이 작게 추정되었다. IHACRES의 느린 유출 매개변수 $\tau_{s}$와 GR4J의 유역 저류량 매개변수인 $X1$이 NSE를 목적함수로 선택되었을 경우,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추정(반대로 KGE 목적함수로 설정시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추정)되는 것은 고유량과 저유량의 최적 재현을 위한 매개변수 값이 다르기 때문으로 추정되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NSE, KGE 두 가지 목적함수에 대한 매개변수 보정 및 검정 결과가 기후 조건 변화 전의 과거 사상을 모두 적절히 재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음 절의 기후 조건 변화에 따른 두 모형의 유출 변동성 분석은 NSE를 목적함수로 추정된 매개변수 세트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Fig. 4. Observed and Simulated Discharges Using IHACRES (Blue Dot) and GR4J (Red Dot) Using Two Performance Measures (NSE and KGE) from 1995 to 2014
../../Resources/KSCE/Ksce.2023.43.1.0043/fig4.png
Table 3. Model Performance of IHACRES and GR4J with the Optimized Parameters Optimized (NSE and KGE)

Study area

Objective

Function for calibration

Performance indices for assessment

Modeling period / Model

Calibration

Validation

IHACRES

GR4J

IHACRES

GR4J

Hapcheon

dam basin

NSE

NSE

0.856

0.890

0.852

0.873

KGE

0.776

0.926

0.850

0.811

RMSE

2.510

2.106

2.518

2.045

KGE

NSE

0.825

0.886

0.802

0.855

KGE

0.909

0.943

0.832

0.767

RMSE

2.766

2.136

2.918

2.184

Seomjingang

dam basin

NSE

NSE

0.749

0.787

0.850

0.903

KGE

0.753

0.832

0.752

0.895

RMSE

3.125

3.281

3.022

2.647

KGE

NSE

0.831

0.760

0.834

0.853

KGE

0.764

0.872

0.844

0.915

RMSE

2.718

3.485

2.669

3.258

Table 4. Optimized Parameter Values of IHACRES for Varying Objective Functions

Study area

Objective function for calibration

Optimized parameter values

$d$

$e$

$f$

$\tau_{s}$

$\tau_{q}$

$\nu_{s}$

Hapcheon

dam basin

NSE

50

0.1867

1.3471

45.6613

1.3725

0.0034

KGE

54.0641

0.1353

1.0962

5.6522

1.1470

0

Seomjingang

dam basin

NSE

50

0.1671

3

66.4844

1.2972

0

KGE

50

0.1453

3

28.8081

1.0262

0

Table 5. Optimized Parameter Values of GR4J for Varying Objective Functions

Study area

Objective function for calibration

Optimized parameter values

X1

X2

X3

X4

Hapcheon

dam basin

NSE

134.290

1.160

42.521

1.154

KGE

102.627

1.086

39.614

1.166

Seomjingang

dam basin

NSE

62.803

0.443

42.521

1.183

KGE

30.569

-0.130

20.905

1.222

3.2 강수 및 기온 변화에 따른 유출량 민감도

강수 및 기온변화에 대한 각 모형의 유출 시계열 민감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기간 중 두 모형의 특징을 비교하기에 적합한 2010년의 결과를 대표적으로 선택하였다(Fig. 5). 강수량 대비 유출율은 합천댐과 섬진강댐의 경우 각각 55 % 및 45 %이었다. 전반적으로 강수의 변동성이 기온의 변화보다 더 높은 유출 변동을 보였으며, 기온에 대해서는 두 모형 모두 매우 적은 유출량 변화를 보였다(기준 시나리오 유출량 대비 최대 26 mm/day 감소). 기온 증가로만 발생되는 유출량 변화는 유역에서 미미하다는 것을 두 모형에서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기후변화는 기온 증가로만 발생되지 않으며, 위 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 기온-식생-환경 등 종합적인 측면을 고려해야한다는 제한이 있다.

강수 스트레스 시나리오만 고려한 경우 IHACRES 및 GR4J 모두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는 한반도 강수 특성상 유출량의 큰 변화를 보였다. IHACRES와 GR4J의 강수스트레스 시나리오만 고려한 1 % 강수 변동 당 일단위 평균 유출량 변화는 합천댐 유역의 경우 각각 0.031, 0.034 mm/day/PPT-1 %이었으며, 섬진강댐 유역의 경우 0.036, 0.035 mm/day/PPT-1 %이었다. 연구기간 동안 함천댐과 섬진강댐 유역 모두 강수의 변동에 대한 유출량 변화는 IHACRES와 GR4J가 유사하였다. 하지만, 전반적인 관점에서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유출량이 증가 및 감소되는 시점은 두모형에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비가 많이 오는 7월에서 10월에는 GR4J가 IHACRES보다 높은 유출량이 산정되었으며, 반대로 건기에는 IHACRES가 반대로 GR4J보다 높은 유출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3.3 강수 및 기온 변화에 최대, 풍수, 평수량 변동 분석

본 연구에서 고려한 8,181개의 기후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대하여 IHACRES와 GR4J의 합천댐과 섬진강댐 유역에서 유출량 관련 지표 중 연최대유량, 풍수량(365일 중 95일 보장되는 유량), 평수량(365일 중 185일 보장되는 유량)을 선정하여 두 모형의 수문모의 특성과 차이를 분석하였다(Figs. 6 and 7, Tables 6~ 9).

두 모형의 모의결과를 종합적으로 비교하면, 강수 및 기온 변화에 따른 모의 유출량 변동의 양상은 두 유역에서 비슷하지만, 유출량 변동의 크기는 유출량 지표별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Figs. 6 and 7의 (c), (f), (i)는 두가지 수문모형에 모의된 연최대유량, 풍수량, 평수량의 차이에 대한 그래프로, 두 모형의 결과가 비슷할수록 0에 가깝게 된다.

Figs. 6 and 7의 (c)에서 연최대유량에 대한 IHACRES와 GR4J의 차이를 비교하면, 강수가 -50 %에 가깝게 감소하면서 기온증가가 모의 범위의 최대치인 8 °C에 근접할수록 두 모형의 차이는 줄어들지만, 반대로 강수량이 증가할 경우, 두 모형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섬진강댐 유역(Fig. 7(c))에 비해 합천댐 유역(Fig. 6(c))에서 연최대유량 변동성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반면, 풍수량, 평수량의 차이(Figs. 6 and 7(f), (i))는 두 유역에서 상대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합천댐과 섬진강댐 유역의 풍수량의 차이는(Figs. 6 and 7(f)) 연최대유량의 차이와 달리, 강수 및 기온 스트레스 시나리오의 극한값으로 증가하여도 값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각 수문모형에 의한 모의된 수문곡선 감수부 형태(Fig. 5참조), 모형의 구조, 오차 특성 등과 연관된 것으로 판단되며 후속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기온 변화에 대한 연최대유량 민감도는 예상했듯이 강수 변화의 영향에 비해 미미하였다. 기온에 대한 풍수량 및 평수량 민감도는 IHACRES (Figs. 6 and 7(d), (g))에 비해 GR4J(Figs. 6 and 7(e), (h))에서 비교적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IHACRES는 기온 변화에 따른 풍수량 및 평수량 변화가 적었다.

각 지표별 강수 및 기온에 대한 변동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기온 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대한 합천댐 유역의 연최대유량 변동은 1.123 %/°C (IHACRES), 1.205 %/°C (GR4J)이며(Figs. 6(a) and 6(b)), 섬진강댐 유역의 경우 0.815 %/°C (IHACRES), 0.676 %/°C (GR4J)로 유사하게 평가되었다(Figs. 7(a) and 7(b)). 두 모형에서 모두 섬진강댐 유역이 합천댐 유역보다 기온에 대한 연최대유량의 높은 변동을 나타냈다. 반면, 강수 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대한 합천댐 유역의 연최대유량 변동은 0.710 mm/day/PPT-1 % (IHACRES), 1.011 mm/day/PPT-1 % (GR4J)이며(Figs. 6(a) and 6(b)), 섬진강댐 유역의 경우 0.963 mm/day/PPT-1 % (IHACRES), 0.938 mm/day/PPT-1 % (GR4J)로 평가되었다(Figs. 7(a) and 7(b)). 합천댐 유역에서 IHACRES가 GR4J보다 강수 스트레스에 따른 변동이 적은 것으로 모의되었다.

풍수량의 경우, 기온 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대한 합천댐 유역은 3.034 %/°C (IHACRES), 4.755 %/°C (GR4J)이며(Figs. 6(d) and 6(e)), 섬진강댐은 2.907 %/°C (IHACRES), 4.402 %/°C (GR4J)로 각 모형 결과는 두 댐 유역에서 유사하게 평가되었다(Figs. 7(d) and 7(e)). 풍수량은 연최대유량과 비교하여 기온에 대하여 더 높은 변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두 모형에서 동일하게 모의되었으며, 두 대상지역에서 기온에 대한 각 모형의 풍수량 변동은 유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강수 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대한 합천댐 유역의 풍수량 변동은 0.017 mm/day/PPT-1 % (IHACRES), 0.018 mm/day/PPT-1 % (GR4J)이며(Figs. 6(d) and 6(e)), 섬진강댐 유역의 경우 0.017 mm/day/ PPT-1 % (IHACRES), 0.020 mm/day/PPT-1 % (GR4J)로 평가되었다(Figs. 7(d) and 7(e)). 강수 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따른 대상댐 유역의 풍수량 변동은 두 모형에서 매우 유사하게 모의되었다.

평수량의 경우, 기온 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대한 합천댐 유역은 4.341 %/°C (IHACRES), 5.184 %/°C (GR4J)이며(Figs. 6(g) and 6(h), 섬진강댐은 3.384 %/°C (IHACRES), 5.470 %/°C (GR4J)으로 모의되었다(Figs. 7(g) and 7(h)). 기온에 대한 영향은 유량이 적어질수록 변동이 커지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IHACRES보다 GR4J의 유출량이 기온에 대해 더 민감한 것으로 평가된다. 강수 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대한 합천댐 유역의 평수량 변동은 0.002 mm/day/PPT-1 % (IHACRES), 0.007 mm/day/PPT-1 % (GR4J)이며(Figs. 6(g) and 6(h)), 섬진강댐 유역의 경우 0.002 mm/day/PPT-1 % (IHACRES), 0.008 mm/day/PPT-1 % (GR4J)로 모의되었다(Figs. 7(g) and 7(h)). 각 모형에서 모의된 평수량은 대상댐 유역에서 매우 유사한 민감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며, GR4J가 IHACRES보다 강수 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대한 평수량 변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사례에서 집중형 강우-유출 모형이 강수에 대한 유출 민감도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가 있다(Fowler et al., 2016; Fowler et al., 2020). Fowler et al.(2020)은 호주 빅토리아주의 밀레니엄 가뭄의 영향을 GR4J를 포함한 여러 집중형 수문모형으로 모의한 결과, 다년간에 대한 장기적인 건조 기후에 대한 유출 해석 정확도가 감소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홍수기 모의 정확도에 민감한 NSE에 의해 보정된 모형 매개변수 조건에 대해 기후 변동성을 평가하였기 때문에, 언급한 국외 사례와 연구의 초점은 다르다. 하지만, 수문모형과 지표(연최대유량, 풍수량 등)의 선택에 따라 국내 유역에 대한 모의 유량 변동성이 다른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본 절의 분석으로 일부 확인되었으며, 이는 기후변화 영향 평가시 수문모의 기법의 불확실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기술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최근 기후변화 영향 분석에서 전지구기후모형(global climate model; GCM)과 수문모형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앙상블(ensemble) 해석을 통해 극복하려는 연구 기법이 제시되고 있는데(Her et al., 2019), 향후 연구에서는 이에 더해 다양한 수문모형 앙상블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영향 해석의 불확실성을 완화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5. Simulated Discharge Under Climate Variability Using IHACRES (Green) and GR4J (Red) in 2010. The Impacts of Precipitation Variations Only on the Modeled Discharge at (a) Hapcheon and (b) Seomjingang Dam Basin. The Impacts of Temperature Variations Only on the Modeled Discharge at (c) Hapcheon and (d) Seomjingang Dam Basin
../../Resources/KSCE/Ksce.2023.43.1.0043/fig5.png
Fig. 6. For the Case of Hapcheon Dam Basin, the Impacts of Precipitation (x-axis) and Temperature (y-axis) Stress Scenarios on the Maximum Discharge (MAX) Using (a) IHACRES and (b) GR4J, and (c) Their Differences, Abundant Water Level (AWL) using (d) IHACRES and (e) GR4J, and (f) Their Differences, and Ordinary Water Level (OWL) using (g) IHACRES and (h) GR4J, and (i) Their Differences
../../Resources/KSCE/Ksce.2023.43.1.0043/fig6.png
Fig. 7. For the Case of Seomjingang Dam Basin, the Impacts of Precipitation (x-axis) and Temperature (y-axis) Stress Scenarios on the Maximum Discharge (MAX) Using (a) IHACRES and (b) GR4J, and (c) Their Differences, Abundant Water Level (AWL) Using (d) IHACRES and (e) GR4J, and (f) Their Differences, and Ordinary Water Level (OWL) Using (g) IHACRES and (h) GR4J, and (i) Their Differences
../../Resources/KSCE/Ksce.2023.43.1.0043/fig7.png
Table 6. For the Case of Hapcheon Dam Basin, the Impact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Stress Scenarios on the Maximum Discharge (MAX), Abundant Water Level (AWL), and Ordinary Water Level (OWL) in mm/day Using IHACRES

Climate Stress

Scenarios

Precipitation change [%]

-40 %

-20 %

0 %

20 %

40 %

Temperature

change

[°C]

8 °C

MAX

13.24

29.05

44.12

57.68

71.22

AWL

0.03

0.17

0.51

0.92

1.41

OWL

0.00

0.01

0.04

0.10

0.17

6 °C

MAX

14.48

30.20

45.28

58.68

72.19

AWL

0.03

0.19

0.55

0.98

1.48

OWL

0.00

0.01

0.05

0.19

0.19

4 °C

MAX

15.79

31.47

46.35

59.71

73.13

AWL

0.04

0.21

0.59

1.04

1.53

OWL

0.00

0.01

0.05

0.12

0.20

2 °C

MAX

17.29

33.08

47.44

60.72

74.02

AWL

0.04

0.23

0.64

1.09

1.59

OWL

0.00

0.01

0.06

0.13

0.22

0 °C

MAX

18.80

34.53

48.48

61.71

74.88

AWL

0.04

0.26

0.67

1.15

1.63

OWL

0.00

0.01

0.06

0.14

0.23

Table 7. For the Case of Hapcheon Dam Basin, the Impact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Stress Scenarios on the Maximum Discharge (MAX), Abundant Water Level (AWL), and Ordinary Water Level (OWL) in mm/day Using GR4J

Climate Stress

Scenarios

Precipitation change [%]

-40 %

-20 %

0 %

20 %

40 %

Temperature

change

[°C]

8 °C

MAX

17.27

36.19

57.76

78.99

100.41

AWL

0.31

0.55

0.86

1.22

1.62

OWL

0.14

0.25

0.38

0.53

0.66

6 °C

MAX

18.29

37.71

59.24

80.46

101.86

AWL

0.34

0.62

0.96

1.36

1.75

OWL

0.16

0.28

0.44

0.59

0.73

4 °C

MAX

19.39

39.28

60.75

82.04

103.31

AWL

0.39

0.71

1.09

1.51

1.92

OWL

0.19

0.33

0.50

0.65

0.81

2 °C

MAX

20.60

40.90

62.32

83.65

104.76

AWL

0.45

0.82

1.24

1.67

2.09

OWL

0.23

0.39

0.57

0.74

0.90

0 °C

MAX

21.90

42.57

63.93

85.28

106.21

AWL

0.53

0.96

1.39

1.84

2.27

OWL

0.2778

0.4650

0.6540

0.8300

1.00

Table 8. For the Case of Seomjingang Dam Basin, the Impact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Stress Scenarios on the Maximum Discharge (MAX), Abundant Water Level (AWL), and Ordinary Water Level (OWL) in mm/day Using IHACRES

Climate Stress

Scenarios

Precipitation change [%]

-40 %

-20 %

0 %

20 %

40 %

Temperature

change

[°C]

8 °C

MAX

24.10

44.15

63.85

83.36

102.62

AWL

0.02

0.19

0.48

0.87

1.36

OWL

0.00

0.01

0.03

0.08

0.15

6 °C

MAX

25.19

45.27

64.90

84.43

503.63

AWL

0.03

0.21

0.50

0.91

1.41

OWL

0.00

0.01

0.04

0.09

0.14

4 °C

MAX

26.43

46.37

65.98

85.53

104.70

AWL

0.03

0.22

0.54

0.97

1.46

OWL

0.00

0.02

0.04

0.09

0.16

2 °C

MAX

27.67

47.48

67.11

86.67

105.84

AWL

0.03

0.24

0.59

1.03

1.54

OWL

0.00

0.02

0.04

0.09

0.16

0 °C

MAX

28.87

48.60

68.30

87.89

107.04

AWL

0.04

0.26

0.63

1.08

1.60

OWL

0.00

0.02

0.05

0.10

0.16

Table 9. For the Case of Seomjingang Dam Basin, the Impact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Stress Scenarios on the Maximum Discharge (MAX), Abundant Water Level (AWL), and Ordinary Water Level (OWL) in mm/day Using GR4J

Climate Stress

Scenarios

Precipitation change [%]

-40 %

-20 %

0 %

20 %

40 %

Temperature

change

[°C]

8 °C

MAX

25.17

45.06

64.31

83.18

101.62

AWL

0.31

0.62

1.00

1.40

1.79

OWL

0.13

0.25

0.38

0.54

0.70

6 °C

MAX

26.06

46.08

65.23

84.06

102.39

AWL

0.36

0.71

1.12

1.52

1.95

OWL

0.16

0.29

0.44

0.61

0.78

4 °C

MAX

26.96

47.10

66.15

84.94

103.16

AWL

0.43

0.82

1.24

1.67

2.12

OWL

0.19

0.34

0.51

0.69

0.87

2 °C

MAX

27.89

48.13

67.07

85.81

103.96

AWL

0.52

0.94

1.39

1.83

2.29

OWL

0.23

0.40

0.59

0.78

0.97

0 °C

MAX

28.89

49.15

67.99

86.69

104.77

AWL

0.62

1.08

1.55

2.01

2.49

OWL

0.29

0.48

0.68

0.88

1.08

4. 결 론

강수나 기온의 변동에 따른 유역 유출의 변동성 평가는 수자원 관리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해 필수적인 부분으로, 이를 위해 수문모형의 기후조건에 대한 민감도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수문모형인 IHACRES와 GR4J을 활용하여, 합천댐과 섬진강댐 유역에 대해 강수와 기온 등 기후 변화가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기후스트레스에 대한 유출량 평가를 위하여 강수는 1 %씩 최대 50 %의 변화를, 기온은 0.1 °C씩 최대 8 °C까지 변화를 주어 총 8,181개의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특정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 및 특정 지역에서(예, 섬진강댐 유역의 연최대유량 및 극한 시나리오에서 평수량) 두 모형의 유출량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각 모형의 구조적 특성 및 매개변수 선정 방법에 따라 상이한 일단위 유출량 변동이 모의되었으며, 연최대유량, 풍수량, 평수량의 민감도는 강수와 온도 변화에 따른 경향성만 두 모형이 유사하게 모의되었다. 즉, 실제 현상을 수치적으로 간소화하는 모형 자체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정확한 일단위 유출량 예측에는 한계가 있으며, 높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여러 GCM 모형의 미래기후 해석결과 차이가 크기 때문에 수문모형의 선택에 따른 차이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과거 동일한 사상에 대해 비슷한 정확도를 갖는 두가지 수문모형을 적용하여도, 강수와 기온 변화에 대한 유출량 변동의 민감도가 특정 조건과 유역에서 상이한 점은 기후변화의 영향 해석시 불확실성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요소로 간주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문모형별 유출 해석 민감도의 차이는 매개변수 최적화 등 기존의 방법론 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주제로, 본 연구의 범위에서는 벗어나지만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 마련으로 향후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연구이다. 또한, 기후조건 변화가 댐 유입 유량 뿐 아니라 이수안전도, 환경생태유량 공급 등 수자원 관리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금오공과대학교 학술연구비로 지원되었음(과제 번호: 202003670001).

References

1 
Brown, C., Ghile, Y., Laverty, M. and Li, K. (2012). “Decision scaling: Linking bottom‐up vulnerability analysis with climate projections in the water secto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8, No. 9.DOI
2 
Brown, C., Steinschneider, S., Ray, P., Wi, S., Basdekas, L. and Yates, D. (2019). “Decision scaling (DS): Decision support for climate change.” Decision making under deep uncertainty, from theory to practice, Chapter 12, Springer, Berlin, Germany, pp. 255-287.URL
3 
Coron, L., Delaigue, O., Thirel, G., Dorchies, D., Perrin, C. and Michel, C. (2022). airGR: Suite of GR hydrological models for precipitation-runoff modelling. R package version 1.7.0, Available at: https://CRAN.R-project.org/package=airGR (Accessed: July 11, 2022).URL
4 
Coron, L., Thirel, G., Delaigue, O., Perrin, C. and Andréassian, V. (2017). “The suite of lumped GR hydrological models in an R package.”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Vol. 94, pp. 166-171.DOI
5 
Duan, Q., Schaake, J., Andréassian, V., Franks, S., Goteti, G., Gupta, H. V., Gusev, Y. M., Habets, F., Hali, A., Hay, L., Hogue, T., Huang, M., Leavesley, G., Liang, X., Nasonova, O. N., Noilhan, J., Oudin, L., Sorooshian, S., Wagener, T. and Wood, E. F. (2006). “Model parameter estimation exper iment (MOPEX): An overview of science strategy and major results from the second and third workshops.” Journal of Hydrology, Vol. 320, No. 1-2, pp. 3-17.DOI
6 
Fowler, K., Knoben, W., Peel, M., Peterson, T., Ryu, D. R., Saft, M., Seo, K. W. and Western, A. (2020). “Many commonly used rainfall‐runoff models lack long, slow dynamics: Implications for runoff projec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6, No. 5, e2019WR02528. DOI: 10.1029/2019WR025286.DOI
7 
Fowler, K., Peel, M. C., Western, A. W., Zhang, L. and Peterson, T. J. (2016). “Simulating runoff under changing climatic conditions: Revisiting an apparent deficiency of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2, No. 3, pp. 1820-1846.DOI
8 
Her, Y. G., Yoo, S. H., Cho, J. P., Hwang, S. W., Jeong, J. H. and Seong, C. H. (2019). “Uncertainty in hydrological analysis of climate change: Multi-parameter vs. multi-GCM ensemble predictions.” Scientific Report, Vol. 9, 4974. DOI: https://doi.org/10.1038/ s41598-019-41334-7.URL
9 
Hyun, S. H., Kang, B. S. and Kim, J. G. (2016). “Improvement of mid-and-low-flow estimation using variable nonlinear catchment wetness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6, No. 5, pp. 779-789. DOI: https://doi.org/10.12652/ Ksce.2016.36.5.0779 (in Korean).DOI
10 
Im, S. S., Yoo, D. G. and Kim, J. H. (2012). “Improvement of GR4J model applying soil moisture accounting process and its application in Korea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SHM, Vol. 12, No. 3, pp. 255-262 (in Korean).URL
11 
Jakeman, A. J., Littlewood, I. G. and Whitehead, P. G. (1990). “Computation of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and identifiable component flows with application to two small upland catchments.” Journal of Hydrology, Vol. 117, pp. 275-300.DOI
12 
Kim, N. W., Jung, Y. and Lee, J. E. (2013). Spatial extension of runoff data in the applications of a lumped concept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9, pp. 921-932. DOI: 10.3741/JKWRA.2013.46.9.921 (in Korean).DOI
13 
Kim, Y. I., Seo, S. B. and Kim, Y. O. (2018). “Development of a hybrid regionalization model for estimation of hydrological model parameters for ungauged watershe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51, No. 8, pp. 677-686 (in Korean).DOI
14 
Kim, Y. T., Park, M. H. and Kwon, H. H. (2020). “Spatio-temporal summer rainfall pattern in 2020 from a rainfall frequency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ol. 13, No. 4, pp. 93-104 (in Korean).DOI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20).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Korean).URL
16 
Oudin, L., Hervieu, F., Michel, C., Perrin, C., Andréassian, V., Anctil, F. and Loumagne, C. (2005). “Which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put for a lumped rainfall-runoff model?: Part 2-Towards a simple and efficient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model for rainfall-runoff modelling.” Journal of Hydrology, Vol. 303, No. 1-4, pp. 290-306.DOI
17 
Oudin, L., Moulin, L., Bendjoudi, H. and Ribstein, P. (2010). “Estimat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ithout continuous daily data: Possible errors and impact on water balance simulations.”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55, No. 2, pp. 209-222.DOI
18 
Park, Y. H. and Yoo, C. S. (2008). “Evaluation of stream flow data observed in the Pyungchang river basin using the IHACRES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ol. 8, No. 4, pp. 123-133 (in Korean).URL
19 
Perrin, C., Michel, C. and Andréassian, V. (2003). “Improvement of a parsimonious model for streamflow simul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79, No. 1-4, pp. 275-289.DOI
20 
Seiller, G. and Anctil, F. (2014). “Climate change impacts on the hydrologic regime of a Canadian river: Comparing uncertainties arising from climate natural variability and lumped hydrological model structure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8, No. 6, pp. 2033-2047. DOI: 10.5194/hess-18-2033-2014 (in Korean).DOI
21 
Shim, E. J., Uranchimeg, S., Lee, Y. R., Moon, Y. I., Lee, J. H. and Kwon, H. H. (2021).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ate variables of rainfall-runoff model and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54, No. 12, pp. 1295-1304. DOI: 10.3741/JKWRA.2021.54.12.1295 (in Korean).DOI
22 
Yoo, C. S. and Park, Y. H. (2006). “A study of the IHACRES model’s parameters regionalization for discharge computation on ungaged catch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pp. 1792-1796 (in Korean).URL
23 
Yu, J. U., Park, M. H., Kim, J. G. and Kwon, H. H. (2021). “Evaluation of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for different flow regimes and development of ensemble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54, No. 2, pp. 105-119 (in Korean).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