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교량 결함-보수보강 분류체계 매핑
「기반시설관리 기본법」에 따르면, 시설물 관리 주체는 유지관리 및 성능개선을 위하여, 중장기적으로 시설물의 상태를 평가하고 소요되는 예산을 추정하여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시설물의 유지관리 공사비용은, 신설 공사와는 다르게 다양한 현장요건에 따라 공사비용이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견적의 경우,
물량산출에 있어, 기본적으로 도면에 대한 해석과 이해도에 따라 산출하는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적정한 유지관리 비용 산정기준
마련을 위해서는, 유지관리 공사 비용산정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인프라 중 교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량 구조물인 기초,
교대/교각, 거더(주형), 슬래브(바닥판)에 한정하여 비용을 산정하였다.
현재 국내에 유지관리 공사 원가산정 기준인 표준품셈에서 활용 가능한 항목들을 공법별로 분류하였다. 주요 결함은 균열, 파손, 누수, 백태, 박리/박락
등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 진단 보고서에 주로 기록결함을 기반으로, 일부 결함 명칭이 중복되는 항목들은 통합하고 기타로 분류된 항목들은 별도의 매핑이
용이하지 않아 제외하였다. 공법은 국내 유지관리 공사 원가산정 기준인 표준품셈에서 활용 가능한 항목들로 적용하였다. 표준품셈에서 제공하지 않는 유지보수
항목에 대해서는 BMS (Bridge Management System) 데이터 약 20,000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결함과 공법을 매핑하였다.
결함에 대한 보수보강 공법 선정은 결함의 위치, 종류, 그리고 크기 순으로 분류한 후 매칭하였다. 우선 기초, 교대나 교각, 슬래브 등 결함의 위치에
따라 공법을 적용할 대상을 분류하고, 결함의 종류에 따라 유지보수 항목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결함의 크기나 깊이에 따라 표준품셈 항목에 준하는 공법
선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함과 보수보강 공법 분류체계를 작성하였다(Fig. 2). 본 연구는 콘크리트 교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함-보수보강 분류체계는 Table 2와 같다. 공법별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규격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규격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국내 표준품셈 개정 관련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자문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선정한 유지보수 항목에 대해 특수한 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조건에
따른 대표규격을 선정하였다. 예를 들어 절삭 후 아스팔트 덧씌우기의 경우, 평면교차로 등으로 시공구간은 단절되어 장비는 이동하되, 장비 운반이 발생되지
않는 B-Type으로 대표 규격을 설정하였다. 교량받침 교체의 경우 교대 및 교각의 높이는 도로와 철도교의 일반적인 높이인 20 m, 교량받침 1기당
중량은 도로교의 탄성받침 기준을 고려할 때, 0.3~0.5 ton의 교량받침이므로 0.5 ton 이하로 대표 규격을 선정하였다.
Fig. 2. Defect-Repair Method Classifcation Process
Table 2. Defect-Repair Method Classification
Location
|
Defect Type
|
Repair & Reinforcement
Item
|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
Foundation
Abutment/Pier
Girder
Deck
|
-Crack
-Damage
|
-Crack repair
|
-Concrete crack repair
|
-Leaking, efflorescence, contamination
-Split/Delamination
-Map crack
-Material separation
|
-Section repair
|
-Concrete section treatment
-Concrete section rehabilitation
|
Pavement
|
-Abrasion/Wear
-Settlement
-Plastic deformation
-Pothole
|
-Pavement repair
-Pavement cutting overlay
|
-Asphalt cutting overlay
-Pothole repair
|
Bearing
|
-Damage
-Corrosion, Split/Tearing, Loss of bearing area
-Deterioration
|
-Bearing repair
-Bearing replacement
|
-Bearing replacement
|
Expansion Joint
|
-Damage
-Corrosion, Split/Tearing, Loss of bearing area
-Deterioration
-Seal adhesion, Seal damage
|
-Joint repair
-Joint replacement
|
-Joint replacement
|
균열, 파손의 경우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표면처리 공법(표준품셈 6-8-1), 주입공법(표준품셈 6-8-2), 패커주입공법(표준품셈
6-8-3) 충전공법(표준품셈 6-8-4) 등이 있으며, 구조물의 특성과 균열현상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법을 선정해야 한다.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는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에 관한 지침을 시설물별로 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교량의 세부지침해설서 기반으로 공법을 선정하였다. 표면처리공법은 균열이 미세하게
발생했을 경우 보수재료를 입혀 방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균열의 내부를 처리하기 어려우므로 진행 중인 균열을 보수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주입공법은 균열 부분에 에폭시 수지 또는 시멘트 등의 재료를 주입하여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증가시켜 콘크리트 및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는 공법이다.
패커주입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여 패커를 설치하고 지수발포재를 사용하여 보수하는 공법이다. 충전공법은 일반적으로 균열폭이 0.5 mm 이상으로
크게 발생했을 경우 균열 부분을 U형 또는 V형으로 절취 후 보수재를 충전하는 공법이다.
콘크리트 단면이 누수, 오염되거나 박리, 박락 등의 파손이 발생했을 경우 단면보수를 하는데 콘크리트 단면처리(표준품셈 6-8-5) 또는 콘크리트 단면복구(표준품셈
6-8-6)를 수행한다. 콘크리트 단면처리는 보수 두께가 10 mm 이하인 경우 콘크리트면을 그라인더로 연마하고, 표면을 모르타르로 미장하여 마감한다.
콘크리트 단면복구는 보수 두께가 50 mm 이하인 경우 콘크리트면을 치핑, 물세척하고 표면의 모르타르 미장 처리 및 코팅재 바름까지 수행하는 공법이다.
교량의 슬래브에서는 일반적으로 아스팔트에 대한 유지보수 공사가 가장 많다. 절삭 후 아스팔트 덧씌우기는 아스팔트 포장면을 파쇄기 등을 통해 적삭 후
아스팔트로 재포장하는 공법으로 아스팔트 포장 절삭, 유제살포, 포장 및 다짐의 순으로 수행된다. 소파보수는 대형장비의 투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아스팔트
포장면을 소형장비로 절삭 후 아스팔트로 재포장 하는 공법이며, 공사 방법은 절삭 후 아스팔트 덧씌우기와 같다. 두 공법 모두 현장 여건에 따라 3개의
타입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는 B-type을 기준으로 한다.
교량받침 교체는 교대 및 교각의 기존 포트받침, 탄성받침 등을 철거하고 신규 자재를 재설치 하는 작업으로 표준품셈에서는 콘크리트 깨기, 기존 교량받침
및 sole plate 철거와 신규 교량받침의 설치 작업, 모르타르 타설 및 양생작업까지 포함하는 공사를 말한다. 교대 및 교각의 높이와 교량받침
1기당 중량에 따라 투입되는 인력과 장비의 규격이 차이가 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 규격을 교대 및 교각 높이 20 m 이하, 교량받침 1기당 중량
0.5 ton 이하로 한다.
교량신축이음 교체는 기존의 신축이음장치(모노셀형, 핑거형, 레일형 등)를 철거하고 포장 및 콘크리트 파쇄 후 신규 자재를 설치하는 공사이며, 차단
차로 수와 절단폭에 따라 인력과 장비의 규격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 규격을 2차로 차단, 절단폭 1,200 m 이하를 기준으로 한다.
3.2 교량 보수보강 비용산정
교량의 콘크리트 보수를 위한 대표적인 공법의 비용은'22 건설공사 표준품셈(MOLIT and KICT, 2021)을 기반으로 산정하였으며, 노무비, 경비, 재료비로 구분하였다. 효율적인 보수보강 비용 산정을 위해 물량 산출 시 비용이 자동으로 산정될 수 있도록
단위당(m, m2, m3) 비용으로 결과를 나타내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품셈에 따른 일일 시공량과 인력 및 장비 수량을 바탕으로 단위 시공량과
단위 시공량에 필요한 인력, 자재의 수량을 도출하였다.
우선 노무비는 '22 상반기 시중노임단가를 활용하였으며, 시중노임단가는 일당 단가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단가를 일당 시공량으로 나누어 단위당 단가를
계산하였다. 경비는 공구손료와 경장비, 기계경비 등으로 분류되는데 보수보강 공법에 따라 사용하는 경장비, 기계 등의 손료, 주연료, 잡재료 및 조종원의
단위물량과 단가를 곱하여 계상하였다. 재료비는 보수보강 공법에 따라 사용하는 재료와 물량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서울시 및 공단에서 사용한 공사비 내역서를
통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를 선정하였으며, 보수 물량은 단위당 단가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콘크리트 균열보수는 일반적으로 특별인부와 보통인부가 작업한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균열보수(주입공법)는 특별인부 2인과 보통인부 1인이 작업에 투입되며,
일일 시공량은 28 m이다. Eq. (1)에 따라 특별인부는 m당 투입물량이 0.0714인, 보통인부는 0.0357인이며, 이에 단가를 곱하여 구한 단위당 특별인부의 노무비는 13,388원(0.0714
× 187,435), 보통인부의 노무비는 5,304원(0.0357 × 148,510)이다(Eq. (2)).
절삭 후 아스팔트 덧씌우기는 노면의 파쇄와 아스팔트 재포장을 위해 많은 장비가 투입된다. B-type의 현장에서는 노면파쇄기(2 m) 2대를 사용하며,
일일 시공량은 3,400 m2이다. 따라서 m2당 투입되는 노면파쇄기 물량은 0.0006이며, 일당 단가를 곱한 단위당 경비는 2,565원(0.0006
× 4,359,904)이다.
공사에 사용되는 모든 인력과 장비의 단가를 다음과 같이 구하고, 재료비는 앞서 서술하였듯이 내역서를 통해 대표 재료를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교량의 대표적인
유지보수 공법에 대한 비용을 산정하였다(Table 3). 교량받침 교체와 교량신축이음 교체의 재료비는 대표 재료를 산정하기에 재료비의 범위가 너무 넓어 제외하였다.
Table 3. Cost Estimation by Defect and Repair Method
Defect
|
CSPR
|
Amount
|
Unit
|
Labor cost
|
Expense
|
Material cost
|
Total
|
Crack repair
|
Concrete crack repair
(surface treatment)
[Dry B=0.3 mm, t=100 mm]
Epoxy injection
|
110
|
m
|
2,157
|
43
|
6,804
|
9,004
|
Concrete crack repair
(injection method)
[Wet B=0.3 mm, t=100 mm]
Epoxy injection
|
28
|
m
|
18,692
|
374
|
907
|
19,973
|
Concrete crack repair
(packer method)
[SKI method / dry B=0.3 mm below, t=100 mm]
KPG epoxy, surface treatment agent
|
24
|
m
|
29,617
|
889
|
36,549
|
67,055
|
Concrete crack repair
(charging method)
[Wet B=0.5 mm, t=100 mm]
Epoxy and V-cut filling agent
|
23
|
m
|
14,606
|
438
|
11,151
|
26,195
|
Section repair
|
Concrete section treatment
[B=10 mm]
Polymer mortar
|
81
|
m2
|
8,775
|
263
|
400
|
9,438
|
Concrete section restoration
[B=30 mm]
Polymer mortar
|
9
|
m3
|
78,979
|
3,159
|
10,800
|
92,938
|
Pavement cutting overlay
|
Asphalt cutting overlay
(B-type)
|
3,400
|
m2
|
1,234
|
4,455
|
918
|
6,607
|
Pavement repair
|
Pothole repair (B-type)
|
140
|
m2
|
15,532
|
25,463
|
1,872
|
42,867
|
Bearing repair
|
Bearing replacement
(Abutment/Pier height ≤ 20 m, Weight per unit ≤ 0.5 ton)
|
0.40
|
EA
|
5,174,973
|
3,710,829
|
–
|
8,885,802 +
|
Expansion joint repair
|
Joint replacement
(2 lane blocked, Cutting width ≤ 1,200 mm)
|
7
|
m
|
589,755
|
1,280,947
|
–
|
1,870,702 +
|
3.3 비용 예측의 정확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지보수 비용 예측을 통해 비용 산정 예측의 정확도 측정을 위하여 기수행한 유지관리공사 계약내역을 확보하여 시스템에서 산정한 비용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제 서울시에서 발주된 교량 유지보수 공사 내역서 6건을 활용하였으며, 확보된 유지관리공사 데이터가 콘크리트 보수공사에 국한되어
제한된 콘크리트 균열보수와 단면보수에 대해서만 비교하기로 한다.
예측 정확도는 1-|(예측금액-내역서 금액)|/내역서 금액으로 계산하였으며, 콘크리트 보수 공법에 따른 평균 예측도는 85.1 %이다(Table 4). 예측 정확도는 콘크리트 균열보수(표면처리) 공법도가 가장 높았으며, 콘크리트 균열보수(패커주입공법) 공법이 가장 낮았다. 콘크리트 균열보수(표면처리)
공법은 인력도 미장공만 포함되며, 경비에 포함되는 항목도 믹서 등으로 비교적 적은 종류가 사용되기 때문에 오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균열보수(패커주입공법)은
재료로 사용되는 에폭시 씰링제와 주입제, 패커 등 사용되는 재료와 경장비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예측 정확도가 낮게 나타났다.
제시한 유지보수 비용의 예측 정확도가 낮게 나타나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가 있다. 첫째, 최근 건설 기능인력의 급격한 임금 상승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무비를 시중노임단가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그러나 최근 건설현장의 숙련인력 및 기능인력 부족과 고령화로 인해 실제 유지공사 현장에서는 시중노임보다
훨씬 높은 비용이 노무비로 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표 재료비 산정을 통한 계산 오차가 발생하였다. 같은 공법을 적용하여 유지보수 공사를 수행하더라도 사용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물량과 비용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 선정을 통해 재료비를 산정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마다 사용되는
재료의 규격과 단가 그리고 물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 결과, 콘크리트 균열보수(패커주입공법)와 같이 재료비의 비중이 높은 공법이나 콘크리트
단면처리와 같이 재료 사용량이 높은 공법에서는 예측 정확도가 낮았다.
마지막으로, 현장 조건에 따른 할증 요건이다. 표준품셈에는 현장 여건에 따라 고소작업 등의 인력인상에 장비가 필요할 경우 기계경비를 별도로 계상해야한다.
또한 야간작업을 할 경우에는 품을 25 %까지 가산이 가능하며 첫 번째로 제시한 바와 같이 실제 야간작업 시에는 50 % 이상 노무비가 증가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비교분석한 유지관리공사 계약내역서에서는 할증 조건의 적용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예측금액과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각 교량의 현장 조건에 따라 고소작업차, 예선 및 대선 등과 같은 장비를 사용 해야할지, 야간작업의 필요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에 할증
요건을 추가하면 더 높은 정확도의 비용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Table 4. Accuracy of Estimated Maintenance Cost
|
Unit cost (won)
|
Amount
|
Estimated cost (won)
|
Actual cost (won)
|
Accuracy (%)
|
Concrete crack repair
(surface treatment)
|
9,004
|
180
|
1,620,720
|
1,501,020
|
92.0
|
Concrete crack repair
(injection method)
|
19,973
|
116
|
2,316,868
|
2,062,356
|
87.7
|
Concrete crack repair
(packer method)
|
67,055
|
150
|
10,058,250
|
7,698,300
|
69.3
|
Concrete crack repair
(packer method)
|
26,195
|
125
|
3,274,375
|
2,751,625
|
81.0
|
Concrete section treatment
|
9,439
|
95
|
896,705
|
856,615
|
95.3
|
Concrete section restoration
|
92,939
|
60
|
5,576,340
|
4,869,120
|
85.5
|
Average
|
–
|
8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