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주 아이오컨스텍 대표이사)
  2. 정회원·(주)아이오컨스텍 부장 (AIOCONSTECH·shlee.aio@esgroup.net)
  3. 종신회원·안동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Andong National University·civilb@anu.ac.kr)
  4. 종신회원·교신저자·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Gachon Universiy․shkim6145@gachon.ac.kr)



횡비틀림 좌굴, 뒤틀림, 보강재, 플레이트 거더, 실물재하실험
Lateral torsional buckling, Warping, Stiffener, Plate girder, Experiment

1. 서 론

거더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단면의 항복을 의미하지만(Kang et al., 2012) 거더의 국부적(Local) 또는 전체적(Global)인 좌굴 등의 영향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Cheon et al., 2022). 좌굴은 세장비의 영향을 받는 국부좌굴과 비지지길이의 영향을 받는 전체좌굴로 구분되며(Choi et al., 2010) 특히, 횡방향 하중 및 비틀림으로 인해 부재가 횡방향 변위와 단면 비틀림이 발생하는 현상을 횡비틀림 좌굴(Lateral Torsional Buckling)이라고 한다(Cheon et al., 2022). 이러한 횡비틀림 좌굴은 가설 중 붕괴 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좌굴에 대한 정확한 안전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Shin and Cho, 2012; Kim, 1999).

횡비틀림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크로스 프레임 설치를 통해 비지지길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크로스 프레임은 바닥판 합성 이후 구조적 역할이 적은 반면 재료비와 설치비에 따른 인건비 비중이 매우 크며, 용접부의 피로 균열로 인해 유지관리 성능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Quadrato et al., 2010). 또한 국내의 경우 20° 이상의 사각이 있는 교량에 대하여 중간 크로스 프레임을 거더와 수직으로 배치할 것을 권고하고 있기 때문에 거더마다 단부~첫 번째 크로스 프레임간 거리가 달라 강성 차이로 인한 피로 누적 및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한다(Quadrato et al., 2010). 이로 인해 미국의 경우 크로스 프레임 수직 배치 시 거더간 강성 차이 완화를 위하여 단부~첫 번째 크로스 프레임간 최소 이격거리를 규정하고 있으며, 적절한 단부 보강을 통해 최소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Fig. 1 참고).

Fig. 1. Minimum Distance to Reduce Differences in Girder Stiffeness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png

횡비틀림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 거더의 단부 보강을 통해 뒤틀림 강도(Warping Strength)를 증가시는 방법이 있다. 비틀림을 받는 단면은 비틀림 변형으로 인하여 단면이 평면을 유지하지 못하고 부재의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변위를 뒤틀림 변형이라고 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재의 단부 보강을 통해 비틀림 강성을 증가시킨다.

플레이트 거더의 단부 보강은 일반적으로 판형보강재를 적용하고 있으나 Fig. 2(a)와 같이 뒤틀림 강성이 작아 횡비틀림 좌굴 보강 효과가 미비하다. 또한 사각이 있는 교량의 경우 굽힘판을 사용하여 단부가로보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강성이 작은 굽힘판으로 인하여 단부가로보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Fig. 2. Behaviors of Stiffener: (a) Plate Type, (b) CFHPS Typ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2.png

콘크리트 충전 반원기둥보강재(concrete filled half pipe stiffener, CFHPS)를 통한 단부 보강 공법은 Fig. 2(b)와 같이 반원기둥 형태의 보강재를 통해 플레이트 거더의 단부를 보강하는 공법이다. 기존 판형보강재와 달리 반원형상으로 구성되어 횡비틀림 좌굴에 의한 단부 뒤틀림 변형($\triangle w$)을 크게 감소시키고 콘크리트 충전으로 인하여 보강재 강성 증가 및 내부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각의 유무와 관계없이 단부가로보가 보강재와 수직 연결되기 때문에 가로보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g. 3 참고).

Fig. 3. Details of End Cross Frame Connection: (a) Plate Type, (b) CFHPS Typ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3.png
Fig. 4. Concrete Filled Half Pipe Stiffener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4.png

이 연구에서는 CFHPS가 적용된 플레이트 거더의 뒤틀림 강도 증가로 인한 횡비틀림 좌굴 강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식과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횡비틀림 좌굴 강도를 검토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수평하중 작용 시 플레이트 거더의 거동을 분석하여 CFHPS의 뒤틀림 저항 성능을 검토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2. 횡비틀림 좌굴 강도 평가

2.1 설계기준 검토

국내외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 기준을 통해 CFHPS가 적용된 플레이트 거더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를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횡비틀림 좌굴 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설계식은 Eq. (1)과 같이 Timoshenko and Gere(1985)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식을 따르고 있다.

(1)
$M_{cr}=\dfrac{\pi}{L}\sqrt{EI_{y}GJ+\dfrac{\pi^{2}E^{2}C_{w}I_{x}}{L^{2}}}$

여기서 $I_{y}$는 단면2차모멘트(강축), $I_{x}$는 단면2차모멘트(약축), $E$는 탄성계수, $G$는 전단탄성계수, $L$은 비지지길이, $J$는 비틀림상수, $C_{w}$는 뒤틀림상수이다.

국내 도로교 설계기준(KIBSE, 2015)과 미국 AASHTO LRFD(AASHTO, 2012)는 설계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강재의 상수값과 2축 대칭단면을 적용해 비지지길이 한계에 따라 횡비틀림 좌굴 강도를 구분하고 있으며 특히, AASHTO LRFD의 경우 조립단면(Built-up Section) 사용으로 인한 잔류응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횡비틀림 좌굴 강도를 평가하고 있다(Cho and Shin, 2013).

그러나 도로교 설계기준(KIBSE, 2015)과 AASHTO LRFD (AASHTO, 2012)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 설계식은 비지지길이의 한계에 따라 강도를 구분하는 반면, 단부 보강으로 인한 횡방향 휨과 뒤틀림 강도의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Eurocode 3(2003)는 모멘트 형상, 전단중심, 단면의 비대칭을 고려한 확장식을 제안하고 있으며 특히, 거더 단부의 횡방향 휨과 단부 보강에 대한 기여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유효길이계수($k_{z}$)와 뒤틀림 구속에 관한 유효길이계수($k_{w}$)를 사용하고 있다. Eq. (2)Eurocode 3(2003)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 설계식을 나타내었다.

(2)

$M_{cr}=C_{1}\dfrac{\pi^{2}EI_{z}}{(k_{Z}L)^{2}}\left[\sqrt{\left(\dfrac{k_{z}}{k_{w}}\right)^{2}\left(\dfrac{I_{z}}{I_{w}}\right)+\dfrac{(k_{z}L)^{2}GI_{t}}{\pi^{2}EI_{z}}+(C_{2}z_{g}-C_{3}z_{j})^{2}}\right.$

$\left. -(C_{2}z_{g}-C_{3}-z_{j})\right]$

여기서 $C_{1}$는 모멘트 다이아그램형상계수($=C_{b}$)이며, $C_{2}$는 전단중심과 하중 작용점에 관한 계수, $C_{3}$는 y축에 대한 비대칭 고려 계수, $I_{t}$는 비틀림상수, $I_{w}$는 뒤틀림상수, $k_{z}$는 경계조건에서 횡방향 휨에 대한 구속과 관련된 유효길이계수, $k_{w}$는 경계조건에서 뒤틀림 구속과 관련된 유효길이계수, $z_{g}$는 하중 작용점과 전단중심간 거리, $z_{j}$는 y축에 관한 비대칭 효과와 관련된 거리이다.

2.2 CFHPS가 적용된 플레이트 거더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

플레이트 거더의 뒤틀림 강도에 대한 CFHPS의 기여도를 반영하기 위하여 경계조건의 구속과 관련된 유효길이계수를 적용하고 있는 Eurocode 3(2003)의 설계식(Eq. (2))을 사용해 횡비틀림 좌굴 강도를 산정하였다. 설계의 편의 및 결과의 보수성을 위하여 2축 대칭단면을 사용하였고 하중의 작용점을 단면의 전단중심으로 가정하였다($C_{2}=C_{3}=0$, $z_{g}=0$). CFHPS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 설계식을 Eq. (3)에 나타내었다.

(3)
$M_{cr}=C_{1}\dfrac{\pi}{L_{b}}\sqrt{EI_{y}GJ+\dfrac{\pi^{2}E^{2}C_{w}I_{y}}{(k_{w}L_{b})^{2}}}$

2.3 뒤틀림 유효길이계수

프레임의 강성은 단면형상 및 비지지길이, 경계조건에 따라 강축과 약축 및 뒤틀림 강성이 달라진다. AISC는 단부 보강된 프레임의 뒤틀림 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Eq. (4) 및 Eq. (5)와 같이 플랜지 휨강성과 보강재의 뒤틀림 강성의 비율에 따른 도표를 사용해 $k_{w}$를 적용하고 있다(Fig. 5 참고).

(4)
$\dfrac{G_{A}G_{B}}{4}\left(\dfrac{\pi}{k_{w}}\right)^{2}+\dfrac{G_{A}+G_{B}}{2}\left(1-\dfrac{\pi /k_{w}}{\tan(\pi /k_{w})}\right)+\dfrac{2\tan(0.5\pi /k_{w})}{\pi /k_{w}}=1$
(5)
$G_{A}or G_{B}=\dfrac{(EI/L_{b})_{flan\ge}}{m(GJ/L)_{st{if}{f}}}$

여기서 $G_{A}$ 및 $G_{B}$는 거더 양 단부에서 플랜지 휨강성과 보강재 뒤틀림 강성의 비율이며, $L_{st{if}{f}}$는 보강재의 높이, $m$은 플랜지와 보강재의 상대 강성에 기반한 강성승수(stiffeness multiplier)이다(Quadrato et al., 2010).

Eq. (5)의 강성승수 m은 단부 보강재의 비틀림 강성에 대한 플랜지의 상대적 휨강성 변화를 고려하기 위한 계수로 강성비에 따라 Table 1과 같이 적용한다.

Fig. 5. Aligment Chart for Braced Frame(AISC, 2005)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5.png
Table 1. Stiffness Multiplier(Quadrato et al., 2010)

m

$(GJ/L)_{st{if}{f}}/(EI/L_{b})_{flan\ge}$

1.0

$(GJ/L)_{st{if}{f}}/(EI/L_{b})_{flan\ge}<4$

1.5

$4\le(GJ/L)_{st{if}{f}}/(EI/L_{b})_{flan\ge}<6$

3.0

$(GJ/L)_{st{if}{f}}/(EI/L_{b})_{flan\ge}\ge 6$

2.4 횡비틀림 좌굴 강도

Eq. (3)~(5)를 통해 기존 판형보강재가 적용된 단면(Plate Type)과 CFHPS가 적용된 단면(CFHPS Type)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를 산정하여 Eq. (6)~(8)에 나타내었다. Table 2에 설계 상세를 나타내었고 Table 3에 단면 상세를 나타내었다.

• Plate Type

(6)
$M_{cr}=C_{b}\dfrac{\pi}{L_{b}}\sqrt{EI_{y}GJ+\dfrac{\pi^{2}E^{2}C_{w}I_{y}}{L_{b}^{2}}}=551.12k N· m$

• CFHPS Type

(7)
$ G_{A}=\dfrac{(EI/L_{b})}{m(GJ/L_{\pi pe})}=0.018 ; \\ \\ m=3.0[\because(GJ/L_{\pi pe})/(EI/L_{b})=19]\\ \\ G_{B}\approx\infty \\ \\ \therefore k_{w}\approx 0.706 $
(8)
$M_{cr}=C_{b}\dfrac{\pi}{L_{b}}\sqrt{EI_{y}GJ+\dfrac{\pi^{2}E^{2}C_{w}I_{y}}{(k_{w}L_{b})^{2}}}=662.51k N· m$

여기서 $E_{s}$는 강재의 탄성계수, $E_{c}$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G_{s}$는 강재의 전단탄성계수, $F_{y}$는 강재 항복강도, $L_{b}$는 비지지길이, $D$는 보강재 직경, $t$는 보강재 두께, $L_{p ipe}$는 보강재 길이이다.

설계식을 통해 Plate Type과 CFHPS Type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 계산 결과, CFHPS Type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는 662.51 kN·m로 Plate Type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인 551.12 kN·m과 비교하여 약 1.2배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2. Specifications

$E_{s}$ (MPa)

$G_{s}$(MPa)

$F_{y}$ (MPa)

$L_{b}$ ( mm)

205,000

78,846

345

13,000

$E_{c}$ (MPa)

$D$ ( mm)

$t$ ( mm)

$L_{pipe}$ ( mm)

29,747

267.4

8

660

Table 3. Section Properties

Type

Plate Type

CFHPS Type

Girder

Upper

PL-300×20

Web

PL-660×12

Bottom

PL-300×20

Stiffener

PL-144×12

φ 267.4×8t

3. 유한요소해석

CFHPS가 적용된 플레이트 거더의 구조적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은 Abaqus 2020이 사용되었으며 Shell 요소를 통해 모델링 되었다. 경계조건은 거더의 강축 및 약축방향 단순지지(fork conditions, pin-roller) 하였다. 결과의 비교를 위해 해석에 사용된 재료와 단면특성은 Table 2Table 3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총 두가지 해석이 진행되었다. 2장에서 논의한 설계식에 의한 횡비틀림 좌굴 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좌굴해석을 진행하였고, 이후 수평하중에 의한 플레이트 거더의 거동을 분석하여 CFHPS 적용으로 인한 뒤틀림 저항성능을 검토하였다. Fig. 6에 단부 보강에 따른 플레이트 거더의 모델링과 경계조건을 나타내었다.

Fig. 6. Modeling and Boundary Conditions: (a) Plate Type, (b) CFHPS Typ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6.png

3.1 횡비틀림 좌굴 해석

설계식에 의한 횡비틀림 좌굴 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좌굴해석을 진행하였다. 좌굴해석은은 Fig. 7과 같이 단면 중앙부 단위하중에 의한 하중승수(Load Multiplier)를 통해 좌굴 하중을 산정하였으며, 이후 설계식과의 비교를 위해 강도로 환산하였다.

해석결과, CFHPS Type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는 934.66 kN·m로 Plate Type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인 513.09 kN·m와 비교하여 약 1.82배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8에 해석 결과를 나타내었고, Table 4에 해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해석값과 설계식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면 Plate Type의 횡비틀림 좌굴 강도는 설계식과 해석값이 약 93% 수준으로 유사하게 나타나는 반면, CFHPS Type은 해석값이 약 29%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식을 통해 구한 횡비틀림 좌굴 강도는 Fig. 9와 같이 뒤틀림 저항과 관련된 유효길이계수 $k_{w}$를 적용하여 횡비틀림 좌굴 강도의 단부 보강으로 인한 뒤틀림 저항(warping resistance) 효과를 반영하고 있지만, 비틀림 상수($J$)는 보강 이전의 단면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단부 보강으로 인한 비틀림 저항(torsional resistance)는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유한요소해석은 CFHPS의 적용에 따른 뒤틀림 저항 및 비틀림 저항에 관한 영향을 함께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설계식에 의한 결과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다.

위의 분석을 검토하기 위해 Table 5와 같이 다양한 단면에 대한 횡비틀림 좌굴 강도를 비교하였고 결과를 Table 6에 정리하였다. 그 결과 Plate Type은 설계식과 해석값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CFHPS Type은 설계값이 해석과 비교하여 약 60~70% 작게 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설계식은 CFHPS의 뒤틀림 저항 성능만으로 횡비틀림 좌굴 강도가 약 1.2배 증가한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비틀림 저항 성능 고려시 강도의 증가는 약 1.8배 이상일 것으로 판단된다. Fig. 10에 설계식과 해석값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Fig. 7. Load Condition (Unit Load)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7.png
Fig. 8. Results of Buckling Analysis: (a) Plate Type, (b) CFHPS Typ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8.png
Fig. 9. Torsional and Warping Resistanc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9.png
Fig. 10. Accuracy of FEA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0.png
Table 4. Summary of Buckling Analysis

Type

$M_{cr}$ (Eq., kN·m)

(1)

$M_{cr}$ (F.E.A., kN·m)

(2)

(1) / (2)

Plate Type (a)

551.12

513.09

1.07

CFHPS Type (b)

662.51

934.66

0.71

(b) / (a)

1.20

1.82

-

Table 5. Section Summary

Name

Section

CFHPS

Sec. 1

H-350×175×7×11

φ 165.2×4.9t

Sec. 2

H-400×200×8×13

φ 190.7×5.3t

Sec. 3

H-450×200×9×14

φ 190.7×5.3t

Sec. 4

H-500×200×10×16

φ 190.7×5.3t

Sec. 5

H-700×300×13×24

φ 267.4×8.0t

Sec. 6

H-800×300×14×26

φ 267.4×8.0t

Sec. 7

H-900×300×16×28

φ 267.4×8.0t

Table 6. Comparison of Lateral Torsional Buckling Strength for Various Cross Sections

Type

$M_{cr}$ (Plate Type, kN·m)

$M_{cr}$ (CFHPS Type, kN·m)(2)

Eq.

F.E.A.

Eq.

F.E.A

Sec. 1

64.66

68.16

73.10

121.70

Sec. 2

120.60

124.50

138.69

231.62

Sec. 3

144.42

148.95

166.63

274.64

Sec. 4

187.22

193.31

214.74

345.87

Sec. 5

1052.78

1033.35

1283.99

2012.14

Sec. 6

1276.67

1244.75

1565.89

2357.92

Sec. 7

1537.08

1495.32

1885.02

2749.90

3.2 뒤틀림 저항 성능

CFHPS 적용으로 인한 뒤틀림 저항성능을 검토하고 실물재하 실험 중 플레이트 거더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평하중으로 인한 거더의 뒤틀림 해석을 진행하였다. 탄성범위 내의 거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Fig. 11과 같이 단면 중앙부에 20 kN의 수평하중을 재하하였고 뒤틀림으로 인한 단면 중앙부의 수평 변위와 플랜지 응력을 관찰하였다.

해석 결과, Plate Type의 단면 중앙부 수평 변위는 64.3 mm로 나타났으며, CFHPS Type의 단면 중앙부 수평 변위는 58.5 mm로 나타나 뒤틀림으로 인한 수평 변위가 약 9.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뒤틀림으로 인한 단면 중앙부 상부플랜지의 응력 검토 결과 Plate Type의 중앙부 상부플랜지 최대 응력은 114.576 MPa로 나타났으며, CFHPS Type의 중앙부 상부플랜지 최대 응력은 108.947MPa로 나타나 뒤틀림으로 인한 플랜지 응력이 약 4.9%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Fig. 12Fig. 13에 해석 결과를 나타내었고 Table 7에 정리하였다.

Fig. 11. Load Condition (Lateral Loading)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1.png
Fig. 12. Displacement due to Lateral Loading: (a) Plate Type, (b) CFHPS Typ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2.png
Fig. 13. Flange Stress due to Lateral Loading: (a) Plate Type, (b) CFHPS Typ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3.png
Table 7. Rusults of Lateral Loading Case

Type

Lateral Displacement(mm)

Upper Flange Stress(MPa)

Plate Type

64.3

114.576

CFHPS Type

58.5

108.947

4. 실물재하실험

4.1 실험 개요

CFHPS가 적용된 플레이트 거더의 뒤틀림 저항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물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단부 보강 방식에 따라 Plate Type과 CFHPS Type로 구분하여 제작되었으며, 유한요소해석과 동일한 재료와 단면특성을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Table 2Table 3 참고). 경계조건은 실험체 단부의 강축 및 약축방향 단순지지 후 중앙부에 20 kN의 수평 하중을 재하하였다.

실험 중 수평 하중으로 인한 단면 중앙부의 뒤틀림 회전각을 계산하기 위하여 중앙부 하부플랜지 선단부의 수평 및 수직 변위를 계측하였고, 뒤틀림으로 인한 단부 수평변위를 계측하기 위해 LVDT를 설치하였다. Fig. 14에 실험 계획을 나타내었고, 실험체 및 설치 조건을 Fig. 15Fig. 16에 나타내었다.

Fig. 14. Lateral Loading Experiment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4.png
Fig. 15. Specimens: (a) Plate Type, (b) CFHPS Typ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5.png
Fig. 16. Experiment Set up: (a) Boundary Conditions, (b) Loading Conditions, (c) Displacement Gag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6.png

4.2 실험 결과

실험 결과 CFHPS Type의 뒤틀림에 의한 수평변위(56.0 mm)는 Plate Type의 뒤틀림에 의한 수평변위(59.5 mm)와 비교하여 약 5.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뒤틀림에 의한 단부 변위는 CFHPS Type이 약 26.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뒤틀림에 의한 중앙부 단면 회전각은 약 61.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CFHPS 적용으로 인한 플레이트 거더의 뒤틀림 강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유한요소해석과 비교하여 보면 Plate Type의 경우 횡방향 하중에 의한 변위는 약 7% 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CFHPS Type의 경우 약 4%의 오차를 보이며 해석의 신뢰도를 입증하였다.

Fig. 17에 실험 종료 후 실험 전경을 나타내었고 Fig. 18Fig. 19에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Table 8에 유한요소해석과 실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Fig. 17. Lateral Loading Experiment Result: (a) Plate Type, (b) CFHPS Typ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7.png
Fig. 18. Displacement Summary: (a) End of Upper Flange, (b) Midsection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8.png
Fig. 19. P-δ Graph: (a) Plate Type, (b) CFHPS Type
../../Resources/KSCE/Ksce.2023.43.5.0577/fig19.png
Table 8. Comparison of Results

Lateral Displacement

F.E.A. (a)

Experiment (b)

(b) / (a)

Plate Type

64.3

59.5

0.93

CFHPS Type

58.5

56.0

0.96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설계식과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CFHPS가 적용된 플레이트 거더의 뒤틀림 강도 증가로 인한 횡비틀림 좌굴 강도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수평 하중으로 인한 플레이트 거더의 뒤틀림 강도를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CFHPS를 통해 플레이트 거더의 단부 보강시 뒤틀림 강도 증가로 인해 횡비틀림 좌굴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Eurocode 3(2003)에서 제안하는 횡비틀림 좌굴강도 설계식을 통해 검토한 결과 CFHPS 적용시 약 1.2배 횡비틀림 좌굴 강도 증가를 확인하였다.

(2) 유한요소해석 결과 Plate Type은 설계식과 해석값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CFHPS Type은 해석값이 약 29%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설계식의 비틀림 상수가 단부 보강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여러 단면을 통해 설계식과 해석값을 비교 검토한 결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실물재하실험 결과 수평하중 재하시, CFHPS Type의 뒤틀림 변위와 회전각(56 mm, 2.3°)은 Plate Type의 뒤틀림 변위와 회전각(59.5 mm, 6.0°)에 비해 각각 약 5.9% 및 61.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FHPS Type의 단부 변위(2.09 mm)는 Plate Type의 단부 변위(2.84 mm)와 비교하여 약 26.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CFHPS 적용으로 인한 플레이트 거더의 뒤틀림 강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References

1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and Highway Transportation Officials (AASHTO) (2012).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6th Ed., Washington, D.C."URL
2 
"America Institute Steel Construction (AISC) (2005). Specification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Chicago, USA,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URL
3 
"Cheon, J. U., Lee, S. H. and Kim, S. H. (2022). “A study on lateral torsional buckling in I-Section plate girder with concrete filled half pipe stiffen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34, No. 1, pp. 1-11, https://doi.org/10.7781/kjoss.2022.34.1.001 (in Korean)."DOI
4 
"Cho, E. Y. and Shin, D. K. (2013). “Flexural strength of HSB I-girder considering inelastic flange local buckling.”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33, No. 1, pp. 81-92, http://dx.doi.org/10.12652/Ksce.2013.33.1.081 (in Korean)."DOI
5 
"Choi, D. H., Yoo, H. and Lee, Y. S. (2010). “Application of a fictitious axial force factor to determine elastic and inelastic effective lengths for column members of steel frames.”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30, No. 2A, pp. 81-92 (in Korean)."URL
6 
"Eurocode 3 (2003). Design of steel structures. Part 1-1: General rules and rules for buildings, ENV 1993-1-1, CEN."URL
7 
"Kang, S. H., Han, M. Y. and Cho, B. D. (2012). “An experimental study of buckling behavior in built-up compression member with unsymmetric connectors I−Effect of distance of connecting members−.”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32, No. 4A, pp. 207-215, https://doi.org/10.12652/Ksce.2012.32.4A.207 (in Korean)."DOI
8 
"Kim, S. E. (1999). “Development of advanced analysis for steel frame accounting for lateral torsional buckling.”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19, No. I-3, pp. 427-434 (in Korean)."URL
9 
"Korea Institute of Bridge and Structural Engineers (KIBSE) (2015). Commentary of Highway Bridge Design Standard (Limit State Design Method), Gunseoljeongbosa, Korea (in Korean)."URL
10 
"Quadrato, C., Wang, W., Battistini, A., Wahr, A., Helwig, T., Frank, K. and Engelhardt, M. (2010). “Cross-frame connection details for skewed steel bridges.” FHWA/TX-11/0-5701-1,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USA."URL
11 
"Shin, D. K. and Cho, E. Y. (2012). “Flexural strength of HSB plate girder with compact or noncompact web due to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32, No. 6A, pp. 399-409, https://doi.org/10.12652/Ksce.2012.32.6A.399 (in Korean)."DOI
12 
"Timoshenko, S. and Gere, J. M. (1985). “Theory of elasticity stability.” 2nd Ed., McGraw Hill Book Company, New York, USA, pp. 138-139."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