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진
(Hyeonjin Choi)
1iD
이송희
(Songhee Lee)
2
우현아
(Hyuna Woo)
3
노성진
(Seong Jin Noh)
4†iD
-
정회원․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석박사 통합과정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hyeonjin21@kumoh.ac.kr)
-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석사 과정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thdgml1103@kumoh.ac.kr)
-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석사 과정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wha022@kumoh.ac.kr)
-
종신회원․교신저자․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seongjin.noh@kumoh.ac.kr)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키워드
셀룰러 오토마타, 도시 침수, 2차원 침수 해석 모형, 병렬계산, 부산 온천천
Key words
Cellular automata, Urban inundation, 2D inundation prediction model, Parallel computing, Busan Oncheon-cheon
1. 서 론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단기간에 집중되는 국지성 호우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홍수의 영향은 인구 밀도가 높고 물리적 및 사회적 취약성이 높은
도시 지역에 점점 더 집중되고 있다(Hino and Nance, 2021). 도시 지역의 내수 침수(pluvial flooding)는 짧은 지속시간 동안의 고강도 강우량에 의한 배수 용량 부족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으며,
예측하지 못한 침수는 저지대 도로 등 사회 기반 시설에 파괴적인 영향을 끼친다(Doocy et al., 2013; Wan Mohtar et al., 2020). 홍수의 발생빈도가 갈수록 잦아지는 만큼 고해상도 2차원 홍수정보로 침수 피해 구역을 빠르게 예측하여 홍수 대응 골든 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천수 방정식(shallow water equations)을 수치적으로 해석하는 물리과정 기반 도시 침수 모의는, 고해상도일수록 Courant-Friedrichs-Lewy
조건 등의 제약으로 인해 계산 시간 간격은 줄어드는 반면, 모의 셀(Cell) 수는 공간해상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늘어나게 되어, 많은 컴퓨터 자원과
계산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국외에서는 이러한 물리과정 기반 모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셀룰러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CA)와 같이 간단한 규칙을 활용하여
복잡한 물리적 시스템을 모의하는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Guidolin et al., 2016; Jamali et al., 2019; Shao et al., 2015). 일반적인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모형은 이산 동적 시스템(discrete dynamic system)으로 연구 영역을 포함하는 셀과 이웃 셀, 셀
상태 속성 및 셀 속성 변경을 결정하는 전이 규칙(transition rule)으로 구성된다(Wolfram, 1984).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알고리즘은 수리방정식(hydraulic equations) 전체를 해결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단순화된 연산 규칙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훨씬 빠르며, 셀 상태의 계산이 이웃 셀의 이전 상태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고성능 하드웨어에서의 병렬계산에 적합하다(Guidolin et al., 2012). 국외에서는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알고리즘을 변형하여 침수 해석에 활용한 연구와 더불어, 기존의 물리과정 기반 도시 수문 모형들과 비교하는 연구사례들도
보고되고 있다. Jamali et al. (2019)은 기존의 급속 홍수 모형(rapid flood models)의 전후처리 단계의 계산 속도를 향상시킨 CA-ffé (cellular automata
fast flood evaluation) 모형을 개발하고 TUFLOW, HEC-RAS와 비교하여 CA-ffé 모형이 저지대의 침수 깊이와 범위 예측에
더 정확함을 밝혔다. Yao et al. (2021)은 새로운 WS-WD (water supply-water demand) 전환 규칙이 적용된 RRCA (rainfall-runoff model based
on cellular automata) 모형을 다른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홍수 모형과 비교를 통해 CA와 기계학습을 동시에 적용한 RRCA 모형이
정체된 침수 상태를 더 민감하게 인식한다고 보고하였다.Dottori and Todini (2010, 2011)은 확산파 방정식과 결합된 셀룰러 오토마타 접근법을 활용하는 CA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경계 조건이 포함된 셀 사이의 유출을 Manning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Ghimire et al. (2013)은 Manning 방정식을 해석하는 대신 가중치 기반 시스템(weight-based system)을 개발하여 셀 간에 전달되는 물의 부피를 추정했다.
이후 Guidolin et al. (2016)은 CADDIES-2D (cellular automata dual drainage simulation-2dimension) 모형의 변환 규칙을 단순화하기
위해 가중치 기반 시스템을 포함하는 WCA2D (weighted cellular automata 2dimension) 모형을 제안했으며 제안된 모형의
결과가 표준 범람원 지도와 유사하고, 물리과정 기반 2D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IW (Infoworks) ICM 3.0에 비해 최대 8배 더 빠르게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국외의 많은 연구자들은 고해상도 자료를 이용해 2차원 홍수 흐름 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고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다(Liu et al., 2015; Issermann et al., 2020; Wijaya and Yang, 2021; Chen et al., 2018; Muhajir et al., 2016; Wang, 2018). 국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모형은 기존의 물리과정 기반 모형과 비슷한 정확도로 침수 범위와 깊이를 예측할 수 있으며, 도시
및 해안 홍수, 홍수 대피 경로 산정 및 홍수 위험 평가 등을 위한 2차원 침수 모의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토지이용도 변화 예측 모형 개발 연구(Cho, 2008; Kim and Kwon, 2018; Kim and Jung, 2006; Seo and Jun, 2017)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외에도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산사태 물리적 확산모형 분석 연구(Yoon and Koh, 2012)와 지진해일로 인한 연안의 침수범위 분석 모형을 제시한 사례가 있다(Joo et al., 2020). 다만, 국외와 달리 셀룰러 오토마타 기술의 국내 도시 침수 해석 적용은 미흡한 상황이다.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에 기반한 도시 침수 해석 연구의
국내 동향에 대해서는 Lee et al. (2022) 등을 참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2차원 침수 해석 모형 WCA2D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고, 셀룰러 오토마타의 셀 단위 변환 규칙 부여 및
가중치 산정을 통하여 도시 침수의 물리과정을 모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도시 침수가 빈번하게 발생했던 부산 온천천 유역에 대해 고해상도
2차원 모형을 구성하고, 과거 침수 사상에 대한 모의 결과를 침수피해지도와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한다. 또한, WCA2D의 두 가지 병렬계산
버전을 순차계산 버전의 결과와 비교하여, 고해상도 침수 모의 시 연산속도의 효율성을 평가한다.
2. 연구 방법 및 자료
2.1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2차원 지표면 흐름 해석 모형
본 연구에서는 CADDIES-2D 계열 모형(Guidolin et al., 2016) 중에서 WCA2D 버전에 대해 셀룰러 오토마타 침수 알고리즘을 분석한다. WCA2D 모형은 다양한 형태의 셀에서(e.g., 직사각형, 육각형 또는
삼각형) 작업할 수 있으며,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및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등 이종
컴퓨팅 환경에서 병렬계산을 수행할 수 있어 계산 속도가 매우 빠르고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코드는 Center for
water systems 웹 페이지(http://cws.exeter.ac.uk)에 공개되어 있다.
WCA2D는 셀룰러 오토마타 알고리즘 기반 모형으로 관성 및 운동량 보존 항을 고려하지 않는 확산파 모형(diffusive wave model)을
모사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진다. 1) 중앙 셀에서 이동하는 물의 비율(셀 간의 부피)은 가중치 기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2)
중앙 셀과 이웃 셀 사이에서 이동하는 물의 양은 Manning 방정식과 임계 유동 방정식에 의해 제한된다. 3) 모의 속도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업데이트 시간 간격은 가변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각 계산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절에서 설명한다.
2.1.1 유량 계산
WCA2D는 4가지로 구성된 단순화된 가중치 기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는 시간 간격 사이의 수위 진동(oscillation)과
계산 비용이 높은 알고리즘 문제를 극복하였다. 새로운 WCA2D 버전 셀룰러 오토마타 알고리즘의 침수 해석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하류에 인접한
셀 식별, 2) 셀의 사용 가능한 부피를 기반으로 각 셀의 특정 가중치 계산, 3) 중앙 셀에서 나가는 물의 부피 계산, 4) 이전 시간 간격에서
계산된 물의 부피와 전달된 물의 총 양에 따라 달라지는 셀 간의 부피 계산. 첫 번째 단계에서는 중앙 셀과 인접한 셀 사이의 수위 차이를 이용하여
셀을 식별한다. 수위 차이가 허용오차 τ보다 크면 이웃의 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나타내고, τ보다 작으면 무시된다. 두 번째 단계는 이웃 셀과 중앙
셀 사이의 부피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즉, τ보다 큰 수위의 각 셀의 부피 차이는 각각의 이웃 셀의 면적에 수위를 곱하여 최소, 최대 및 총 부피
차이를 평가한다. 각 셀 간의 부피 차이는 중앙 셀로부터 이웃 셀로 전달 가능한 물의 가용 저장량(available water storage)이며,
다음 방정식으로 산정된다.
여기서, m은 이웃 셀의 수, i는 이웃 셀의 번호, l0 (m)는 중앙 셀의 수위, ∆l0, i (m)는 중앙 셀과 분석된 이웃 셀의 수위 차이,
Ai (m2)는 이웃한 셀의 면적이다. ∆V0, i (m3)는 중앙 셀과 i번째 인접 셀 사이의 가용 저장량이며, ∆Vmin (m3)은 하류에 위치한
셀의 최소 가용 저장량, ∆Vmax (m3)는 하류 셀의 최대 가용 저장량이다.
하류의 셀 i의 가중치는 가용 저장 부피 ∆V0, i와 총 가용 저장 부피 ∆Vtot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이 가중치는 전체 셀의 부피의 일부,
즉 이웃 셀이 받을 물의 총 부피를 나타낸다. 따라서 하류의 셀들은 중앙 셀보다 수위가 더 높을 수 있으며, 이는 각 시간 단계에서의 수위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앙 셀은 전달된 전체 셀 간의 물 부피의 일부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결되며 Fig. 1과 다음의 Eq. (6)으로 설명된다. Wi는 i번째 셀의 가중치이다.
Fig. 1. Example of Intercellular-Volume Computation (Adapted fromGuidolin et al. (2016)).
여기서 g (m/s2)는 중력 가속도, d (m)는 셀의 수심, vcrt (m/s)는 한계 유속, n (m-1/3s)은 Manning 방정식의 조도계수,
R (m)은 동수반경, S는 셀의 경사, vman (m/s)은 단면의 평균 유속을 의미한다. Eq. (7)과 Eq. (8)은 중앙 셀에서 인접한 이웃 셀로 전달가능한 물의 최대 부피를 계산한다. 따라서, 최대 부피를 받는 이웃 셀이 가장 큰 가중치를 가진 셀을 의미하고,
셀 간 부피의 총 합은 이웃한 개별 셀 부피의 최댓값을 최대 가중치로 나눈 값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물의 부피가 작을 경우에는 개별 셀 가중치와
최대 가중치 사이의 비율에 의해 산정된다.
M은 가장 큰 가중치를 가진 이웃 셀의 지수를 의미하고, vM (m/s)은 가장 큰 가중치를 가지는 중앙 셀에서 이웃 셀로의 최대 이동 속도를 의미한다.
∆l0, M (m)은 중앙 셀과 가장 큰 가중치를 가진 셀 사이의 수위 차이이다. ∆x0, M (m)은 중앙 셀의 중심과 가장 큰 가중치를 가진 셀의
중심 사이의 거리, d0 (m)는 중앙 셀의 수심, IM (m3)은 가장 큰 가중치를 갖는 이웃 셀에 도달 가능한 최대 셀 간 부피, ∆t (s)는
시간 간격, ∆eM (m)은 가장 큰 가중치를 갖는 셀의 가장자리 길이, A0 (m2) 중앙 셀의 면적, $I_{tot}^{t+\triangle t}$
(m3)은 시간 t+∆t에서 중앙 셀로부터 나간 총 셀 간 부피이다.
총 셀 간의 부피, 즉 중앙 셀에서부터 나오는 물의 부피는 Eq. (11)에 의해 계산된다. Eq. (11)의 첫 번째 항인 전체 셀 간의 부피는 중앙 셀에 존재하는 물의 양에 의해 제한되며, 두 번째 항에서는 한계류(critical flow) 방정식과
Manning 방정식과 같은 물리기반 식에 의해 전달되는 물의 양이 제한된다. 세 번째 항의 중앙 셀로부터 이동하는 물의 총 부피는 최소 부피인 ∆Vmin에
이전 시간 단계의 반복에서 결정되는 시간 간격 t에서 셀에서 나간 전체 셀 간 부피 Itot의 합으로 제한된다. 최소 부피 ∆Vmin은 이웃 셀이
두 개 이상의 셀에서 물을 받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며, Itot 값은 각 단계 사이에서 전달된 물의 총량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지막 단계로 Eq. (12)는 하류에 위치한 각 셀의 가중치에 전달된 물의 총 부피를 곱해 각 셀 간의 부피를 계산한다.
여기서 $I_{i}^{t+\triangle t}$ (m3)는 시간 t+∆t에서 i번째 셀의 셀 간 부피이다.
2.1.2 수위 및 셀 간 이동 계산
WCA2D에서 수심 업데이트는 이전 시간 단계의 수심과 이웃 셀의 셀 간 수심 차를 매 시간 간격마다 계산하여 이루어진다. Eq. (11)의 첫 번째 조건과 같이 셀 자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에 의해 셀의 총 셀 간 부피가 제한되는 것을 고려할 때, 계산 영역 내의 총 물의 양은
시간 간격 사이에서 항상 보존된다. 또한, 다음 시간 단계에서의 수심은 측면 유입 또는 유출에 의해 업데이트 되며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d_{0}^{t}$은 시간 t에서 중앙 셀의 수심, $d_{0}^{t+\triangle t}$은 업데이트된 중앙 셀의 수심이다. m은 이웃
셀의 수, $I_{i}^{t+\triangle t}$ (m3)는 i번째 셀의 셀 간 부피, A0 (m2)는 중앙 셀의 면적, $\triangle V_{0}^{"\in
"}$은 중앙 셀로의 물의 횡방향 유입 부피(e.g., 강수, 상류 유역으로부터의 유입, 하류 경계로부터의 역류)를 의미한다. $\triangle
V_{0}^{"out"}$은 중앙 셀에서 최종적으로 나오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2.1.3 유속과 시간 간격 계산
유속은 Eq. (14)를 사용하여 계산된 시간 $t>\triangle t$의 셀 간 물의 이동 속도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여기서 $v_{i}^{t+\triangle t}$
(m3)는 새로운 시뮬레이션 시간의 i번째 셀로 전달된 물의 부피이고, $\triangle e_{i}$ (m)는 i번째 셀의 가장자리 길이, $d_{o,\:
i}^{t+\triangle t}$ (m)는 새로운 시뮬레이션 시간의 i번째 셀 수심 사이의 산술 평균, $\triangle t(s)$는 시간 간격이다.
새로운 시뮬레이션 시간의 극좌표(크기와 각도)에서의 속도 벡터는 Eq. (15)로 계산된다.
$v_{i}^{t+\triangle t}$는 중앙 셀과 i번째 셀 사이의 셀 간 속도, $\phi_{i}$는 중앙 셀의 중심과 i번째 셀의 중심 사이의
각도, a와 b는 속도 극벡터의 성분, v 속도 극벡터, r 벡터의 크기, θ는 극각이다. 이와 같이 속도가 결정되면, ∆t는 다음 업데이트 단계에
대한 반복되는 계산에 의해 결정된다. WCA2D가 확산형 모형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시간 간격 ∆t는 Hunter et al. (2005)가 제안한 공식을 사용하여 각 셀에서 가변되는 시간 간격을 산정한다.
위 식에 의해 산정된 계산 시간 간격은 확산파와 같은 문제에 대해 안정적인 해석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uidolin et al., 2016). 하지만 셀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시간 간격의 크기가 작아지며, 두 셀 사이의 기울기가 0인 경우 시간 간격은 0이 된다. 따라서, 두 셀 사이의
자유 수면 기울기가 허용 경사 차이 σ보다 작으면 Eq. (17)은 적용되지 않는다. 여기서 σ는 계산 시간 간격의 크기가 작아져 시뮬레이션 시간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시간 간격에 제한을
두는 방법은 2차원 수리학적 추적 모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Hunter et al., 2005; Lamb et al., 2009).
WCA2D 버전에서는 업데이트 단계를 사용해 복잡한 계산을 최소한으로 수행하고, 시간 간격의 업데이트도 최소한으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감소된 시간 간격 업데이트는 GPU와 같은 병렬계산 기기에서 계산이 실행될 때 큰 이점을 가진다. 모든 셀에서 Eq. (17)은 순차적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GPU의 성능이 제약을 받게 되는 병목 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버전에서는 업데이트 단계를 사용하여 병목 현상을 최소화했다.
2차원 침수 모의는 일련의 계산 시간 단계에 걸쳐 반복되며, 시간 단계의 모든 계산 서브루틴은 고성능 계산을 위해 병렬계산으로 실행하는 것이 좋다.
병렬 작업을 위한 방법은 OpenCL (open computing language) 방식과 OpenMP (open multi processing)
등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 OpenCL은 Khronos group에서 개발한 병렬계산을 위한 개방형 표준으로 아키텍처가 다른 CPU나GPU
등 이기종 시스템에서 병렬계산이 가능하며, 복잡하고 계산 집약적인 작업을 처리할 때 매우 유용하다. OpenMP는 공유메모리 환경에서 다중 스레드(thread)
병렬계산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프로그램을 병렬화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국내 도시 유역에 대해 2차원 침수 해석 모형 WCA2D의 수치모의에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기 위해 순차계산 버전과 병렬계산 기법을 적용한 OpenCL과 OpenMP 버전을 사용해 연산 성능을 비교하였다.
2.2 적용지역 및 입력자료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온천천 유역을 침수 모의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온천천은 수영강의 제1지류로서 금정산에서 발원하여 금정구와 동래구,
연제구를 통과하는 유역 면적 56.28 km², 유로 연장 14.13 km의 하천이다. 온천천 유역은 불투수면적이 약 49%로 대부분이 하천을 둘러싸고
있고, 평균 하폭은 약 49 m로 인근 수영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으며, 하상 경사는 장전교까지의 상류 구간은 약 1/100, 이후 온천교 지점까지
중류 구간은 약 1/300, 이후 수영강 합류점까지 하류는 약 1/1,400로 중상류 대부분 구간에서 경사가 급하다(Jeon and Choo, 2022). 또한, 온천천 주변의 지반고는 계획 홍수위보다 낮아 홍수에 취약하고, 일부 지역은 온천천의 하상고보다 낮아 자연배수가 어려워 내수 침수에 취약한
지역이다. 수영강과의 합류점을 유역 출구로 한 온천천 유역의 형상과 위치는 Fig. 2와 같다. 온천천 유역의 최근 침수사례를 보면 2020년 7월 23일 부산에 내린 시간당 최대 86 mm의 집중호우로 온천천 유역 일대가 침수되었고,
2014년 8월 25일과 9월 11일 시간당 최대 100 mm 이상의 집중호우로 침수된 사례가 있다(Fig. 3). 이외에 2006년, 2009년, 2017년, 2021년에도 온천천 유역은 금정구, 동래구, 연제구의 저지대를 중심으로 침수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KRIHS, 2018).
Fig. 2. Study Area Map (Google Map)
Fig. 3. Photo of Damaged Area: (a) Pusan National Univ. Station on August 25, 2014, (b) Gwajeong Intersection on July 23, 2020 (Sources: (a) Twitter, (b) Busanilbo)
모형의 지표면 고도 입력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1:5000 수치지형도(국토지리정보원 제공)에서 등고선 자료를 추출하고, 지리정보시스템의 TIN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보간 도구를 활용하여 온천천 유역에 대한 10 m×10 m 공간해상도의 DSM (digital surface model)을
생성했다. 본 연구의 지형 입력자료는 등고선 수치지도로부터 추출된 도시 지역 지형의 높낮이뿐만 아니라 도로와 건물 등과 같은 인공구조물, 하천 지형을
실제와 유사하게 구성하기 위해 하천 단면 측량자료와 도로망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도로 침수를 적절히 모의하기 위해 토지이용이 도로인 셀의 지반고를
상대적으로 낮게 조정하여 간접적인 DSM을 구축하였다. 도로 지반고를 고려한 DSM 구축이 침수 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이후 절에서 분석한다.
최종 생성된 온천천 유역의 지형 입력자료는 Fig. 4와 같으며, 모의 지역에 대한 셀 수는 총 986,256개이다.
Fig. 4. DSM of Study Area (10 m×10 m Resolution)
Fig. 5. Observed Rainfall by AWS: (a) August 25, 2014 from 7:00 to 23:00, (b) July 23 to 24, 2020 from 14:00 to 23:00
강우 관측자료는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에서 제공하는 온천천 유역과 인접한 방재기상관측(AWS) 지점인 금정구,
동래구 관측소의 2014년 8월 25일 07:00~23:00, 2020년 7월 23~24일 14:00~06:00까지 1시간 간격의 16시간 우량 관측자료(Fig. 5)를 기반으로 Thiessen 기법을 이용해 해당 기간에 대한 면적 평균 우량을 산정하였다.
2.3 모의 실험 조건
본 연구에서 사용된 WCA2D 모형은 직접유출만 고려하는 2차원 흐름 해석 모형이기 때문에 Thiessen 기법으로 구한 면적 평균 우량에서 온천천
유역의 불투수율을 고려하여 유효 강우를 산정하였다. 온천천 유역은 주거 및 상업지역이 밀집한 도심지로 전체 면적 중 주택지 비율이 39.2%를 차지하며(Kim et al., 2021), 유출계수는 대상 유역의 토지이용 및 지면 피복상태를 고려하여 기존 문헌에서 적용된 범위내에서 0.4로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직접유출 산정은 침수
해석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확실성 요소로,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나 후속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계산 시간 간격은 최소 0.01초에서
최대 60초까지 가변적으로 적용되며, 온천천 유역 전체를 모의함에 따라 상류 유입 조건은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았다.
3. 결과 및 분석
3.1 지표면 침수 모의 결과
WCA2D로 모의한 도시 침수의 시공간 변화는 Fig. 6, Fig. 7과 같다. Fig. 8은 강우에 따른 모의 침수심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다. Fig. 6과 Fig. 8(a)에서는 2014년 8월 25일 부산대역 3번 출구 인근 지표면의 침수심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 13시부터 15시까지 시간에 따른 침수심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비가 집중적으로 내렸던 13시부터 유역의 상류와 서쪽의 산지에서 발생한 유출이 유역으로 흘러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부산대역 인근 지표면의 침수심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14시경 온천천이 범람하면서 최대 침수 면적이 모의 되었다. Fig. 7과 Fig. 8(b)는 2020년 7월 23일 연산동 과정교차로에서의 시간에 따른 침수심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기 시작한 20시부터 과정교차로를
중심으로 인근 도로에서 침수심이 증가하기 시작했고, 23시경 최대 침수 면적이 모의 되었다. 연산동 과정교차로 부근의 침수는 단시간에 집중된 강우로
집수구 등으로 배제되지 못한 빗물에 의해 발생한 내수 침수로 해석된다. Fig. 8의 지점별 수문곡선에서는 강우 발생 초기에서부터 강우가 집중되었던 구간까지 침수심이 증가하는 모습이 확인되었지만, 그에 비해 비가 오지 않았던 구간에
대해서는 침수심이 더 이상 낮아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이유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WCA2D 모형이 우수 관거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
지면의 물이 자연적으로 배수되는 시간이 지연되며, 모의 지점이 주변보다 지대가 낮아 자연 배수가 힘든 지역으로 해석된다.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과 같은 1차원 흐름해석 모형을 결합하여 우수 관거의 영향을 고려하면 모의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Temporal Variation of Simulated Water Depth at the Pusan National Univ. Station on August 25, 2014: (a) 12:00, (b) 13:00, (c) 14:00, (d) 15:00
Fig. 7. Temporal Variation of Simulated Water Depth at the Gwajeong Intersection on July 23-24, 2020: (a) 20:00, (b) 21:00, (c) 22:00, (d) 23:00
Fig. 8. Temporal Variation of Simulated Water Depth with Rainfall Events: (a) Pusan National Univ. Station (August 25, 2014), (b) Gwajeong Intersection (July 23-24, 2020)
Fig. 9. Comparison of Maximum Inundation Extent between Historical Map (left) and WCA2D Simulation (right): (a) August 25, 2014, (b) July 23-24, 2020
Fig. 9에는 각 호우사상별로 발생한 침수 흔적 지도(공공데이터포털 제공, https://www.data.go.kr/)와 WCA2D로 재현된 모의를 비교한
결과이다. 침수 흔적 지도의 경우 피해가 발생된 영역에 대해서 녹색으로 표시했으며, 침수 모의 결과는 재현기간별 최대 침수영역을 파란색으로 표시했다.
Fig. 9(a)의 2014년 8월 강우 사상에 대한 비교에서 전반적으로 침수영역이 침수 흔적과 유사하게 모의 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유역의 경사 및 고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동래구와 연제구 부근에서는 침수영역이 상당히 유사하게 모의 된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Fig. 9(b)의 경우에는 온천천 하류의 연제구의 특정 지점들 외에는 침수영역이 상이했다. 이는 두 가지 이유로 해석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본 연구에 사용된
10 m의 공간해상도는 유역 단위 해석에서는 높은 것으로 간주되지만, 건물 밀집도가 높고 도로가 좁은 지역에서는 추가적인 공간해상도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는 침수 피해 조사 자료의 높은 불확실성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다. 과거 침수 피해 이력이 조사된 공공데이터의 부재와 침수
피해 지역에 대한 불완전한 현장 조사 자료는 이를 수집하는 기관 및 수집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는 침수 모형의 정확도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침수 흔적 지도를 산정할 때 이용되는 과거 침수 이력 데이터는 많은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한계가 있으며, 불가피하게
제시되는 사전 정보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추후 초고해상도 지형자료와 검증된 침수 흔적 지도를 활용하여 WCA2D를 이용한
2차원 도시 침수 해석에 있어서 심도 깊은 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을 바탕으로 침수 해석에 미치는 불확실성
정도를 후속 연구를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다만, 셀룰러 오토마타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도시 유역에서 침수의 발생 및 시공간 변화를
고해상도로 재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지형자료의 도로 지반고에 대한 가정이 침수 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의를 통해 비교하였다. 본 고에서는 복잡한 도시 지형에서의 도로 침수를
모의하기 위해 토지피복의 종류가 도로인 셀의 지반고를 다른 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조정하여 간접적으로 DSM을 구축하였다. 이때, 도로 셀의 지반고
조정 깊이를 각각 1 m와 0.5 m로 낮추었을 경우 도로 부근에서 모의되는 최대 침수심을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Fig. 10의 모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연구 유역의 10 m 공간해상도의 입력자료에서는 도로의 지반고 조정 깊이가 1 m일 때가 0.5 m일 때 보다 도로
사이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침수 발생 양상과 비슷하게 모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DSM의 수문학적 조정(hydrological refinement)은
침수심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나 세부적인 고찰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며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문학적 조정이
모의 결과 침수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건물 밀집 지역의 지반고를 일괄적으로 상승시키는 방법론 또한 고려하여 DSM에서 기인하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것이다. 다만, 초고해상도 즉 1 m 이하 공간해상도 셀 기반의 침수 해석 시에는 수문학적 조정 등 지형 입력자료의 불확실성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를 참고할 수 있다(Noh et al., 2018; Kim et al., 2022).
Fig. 10. Comparison of Simulated Maximum Inundation Extent with Varying Elevation Adjustment for Road Cells: (a) 0.5 m (b) 1 m
3.2 병렬계산 연산효율 평가
본 절에서는 WCA2D 모형의 병렬계산 버전에 대한 침수 모의의 연산효율을 평가하였다. 비교 대상 병렬계산 버전은 두 가지로, CPU 기반의 멀티
코어 병렬방식의 OpenMP 버전과 CPU와 GPU를 모두 사용하는 OpenCL 버전이며, 병렬계산 버전을 1개의 CPU 코어를 사용하는 순차계산(sequential
computing) 버전의 모형 실행시간과 비교하였다. 온천천 유역에 대한 10 m 공간해상도의 지표면 격자는 총 986,256개로, 계산 시간 간격은
0.01초에서 60초까지 가변적으로 적용되며, 모의결과는 모의시간의 60분마다 출력하는 조건으로 강우 사상별(각 16시간) 연산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모의에 적용된 장비는 Window 10 Education, 22H2, 64bit의 개인용 컴퓨터이며, 연산 장비의 세부 사양은 CPU의 경우 Intel
Core i7-10700, 2.90GHz, 8 Core 16 Thread, GPU는 NVIDIA GeForce GTX 1650, 12 GB Memory이다.
병렬계산의 성능은 Eq. (18)과 같이 순차계산 버전에 비해 병렬화를 통해 향상된 계산 속도를 나타냈다.
계산결과, 2014년 강우 이벤트에 대한 계산 속도는 순차계산 버전에 비해 OpenMP, OpenCL 병렬계산 버전이 각각 5.35배, 13.79배
빨랐으며, 2020년 강우 이벤트의 경우 순차계산 버전에 비해 OpenMP, OpenCL 병렬계산 버전이 각각 5.82배, 8.46배 빨랐다. 결론적으로,
모의 실행시간은 강우 조건에 따른 침수 전파 양상에 따라 연산 성능의 큰 차이를 보였으며, 셀룰러 오토마타 기법으로 유역 단위에서 업데이트 시간 단계에
물이 이동하는 양을 구하는 계산 집약적인 작업을 처리함에 있어서는 이기종 시스템에서 병렬계산이 가능한 OpenCL 버전이 단일 코어 CPU와 8개의
코어로 병렬계산한 OpenMP 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개인용 컴퓨터의 사양으로 Table 1과 같은 연산시간이 소요되었지만,
고사양의 개인용 컴퓨터 혹은 멀티 코어 GPU를 지원하는 슈퍼컴퓨터에서 병렬계산을 실시할 경우 GPU 가속기법의 효과가 크게 증진되어 연산효율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Table 1. Comparison of Run Time and Computation Efficiency
Event
|
Computing type
|
Run time (minutes)
|
Speedup
|
Case 1. August 25, 2014 (07:00 ~ 23:00)
|
Sequential
|
945.02
|
-
|
Parallel-OpenMP
|
176.64
|
5.35
|
Parallel-OpenCL
|
68.55
|
13.79
|
Case 2. July 23-24, 2020 (14:00 ~ 06:00)
|
Sequential
|
673.78
|
-
|
Parallel-OpenMP
|
115.77
|
5.82
|
Parallel-OpenCL
|
79.63
|
8.46
|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셀룰러 오토마타 개념에 기반한 도시 침수 해석 모형인 CADDIES-2D 모형을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지표면 침수 해석 알고리즘을 고찰하였다. CADDIES-2D 계열 모형의 최신 버전인 WCA2D 모형을 이용하여 부산 온천천 유역에서 발생한 과거
도시 침수 사상의 재현성을 평가하고, 병렬계산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차원 도시 침수 해석 모형인 CADDIES-2D는 복잡한 지형 특성을 가진 부산 온천천 유역에서의 침수 발생 및 시공간에 따른 변화를 10
m 급 고해상도 입력자료를 기반으로 적절히 모의할 수 있었으며, 과거 침수 피해 자료와 비교하여 해석 결과가 적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CADDIES-2D 계열 모형의 최신 버전인 WCA2D의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침수 해석 알고리즘을 분석한 결과, 유역 규모의 공간 범위에
대해 물리과정 기반 모형에 비해 신속한 2차원 침수 모의가 가능하며, 입력자료의 구축과 모형의 구동에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이 소요되어 모형 매개변수
설정을 고려하였을 때 효율적이었다.
(3) 본 연구에 사용된 CADDIES-2D 모형은 유출율 계산을 통해 과거 침수 사상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본 모형의WCA2D 버전은 우수
관거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강우가 줄어들면서 우수 관거에서 하천으로 빗물이 배제되는 과정을 계산할 수 없음에 따라 침수심 및 침수면적, 퇴수
완료 시각을 정확히 모의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동일한 구조와 입력자료를 가지는 CADDIES-2D 모형에서 실행시간 단축을 위한 병렬계산 기법을 적용한 OpenCL과 OpenMP 버전의
실행시간을 순차계산 버전의 실행시간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장비와 계산량으로는 순차계산에 비해 OpenCL과 OpenMP가 각각 8.46배~13.79배,
5.35배~5.82배 연산효율이 향상되어 효율적인 도시 침수 모의가 가능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각 재현 사상에서의 실행시간은 사용되는
장비, 입력자료의 해상도 및 크기, 강우 조건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CPU, GPU 사양에 따라서 모의 실행시간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CADDIES-2D 모형은 넓은 공간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침수 해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새로운 도시 침수 해석 모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홍수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기상예보자료 및 홍수 시나리오별 침수위험 범위와 깊이를 나타내는 홍수위험지도 제작
및 홍수 대피 경로 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복잡한 지형학적 특성을 가지는 도시 유역에 물리적 이론에 근거하는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2차원
침수 해석 모형인 CADDIES-2D를 국내 유역에 처음으로 적용하고, 침수 흔적 지도와의 정성적 비교 및 병렬계산 기법과 연산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은 본 논문의 성과라 할 수 있으나, 다양한 침수 흔적 사례를 통한 모형의 불확실성 추가 분석,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모형의 정확도 검증 및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등의 후속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멀티 코어 GPU를 지원하는 클러스터 및 슈퍼컴퓨터급 연산 장치에서
OpenCL 병렬계산을 수행하여 침수 해석을 더욱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셀룰러 오토마타 기술을 확장하여 초고해상도 지형자료와
자료동화 기술을 적용한 실시간 관측자료의 연계를 통해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는 후속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No.2022R1A4A5028840, RS-2023-00246532)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Chen, A. S., Khoury, M., Vamvakeridou-Lyroudia, L., Stewart, D., Wood, M., Savic,
D. A. and Djordjevic, S. (2018). “3D visualisation tool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to urban and coastal flooding in Torbay, UK.” Procedia Engineering, Elsevier, Vol.
212, pp. 809-815, https://doi.org/10.1016/j.proeng.2018.01.104."
"Cho, D. (2008). “Cellular automata based urban landuse change modeling considering
development densit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GS, Vol. 43, No.
1, pp. 117-133 (in Korean)."
"Doocy, S., Daniels, A., Murray, S. and Kirsch, T. D. (2013). “The human impact of
floods: a historical review of events 1980-2009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LoS Currents, Public Library of Science, Vol. 5, https://doi.org/10.1371/currents.dis.f4deb457904936b07c09daa98ee8171a."
"Dottori, F. and Todini, E. (2010). “A 2D flood inundation model based on cellular
automata approach.” XVI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ater Resources, Carrera, J.
eds., CIMNE, Barcelona, Spain."
"Dottori, F. and Todini, E. (2011). “Developments of a flood inundation model based
on the cellular automata approach: Testing different methods to improve model performance.”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s A/B/C, Elsevier, Vol. 36, Nos. 7-8, pp.
266-280, https://doi.org/10.1016/j.pce.2011.02.004."
"Ghimire, B., Chen, A. S., Guidolin, M., Keedwell, E. C., Djordjević, S. and Savić,
D. A. (2013). “Formulation of a fast 2D urban pluvial flood model using a cellular
automata approach.” Journal of Hydroinformatics, IWA, Vol. 15, No. 3, pp. 676-686,
https://doi.org/10.2166/hydro.2012.245."
"Guidolin, M., Chen, A. S., Ghimire, B., Keedwell, E. C., Djordjević, S. and Savić,
D. A. (2016). “A weighted cellular automata 2D inundation model for rapid flood analysis.”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Elsevier, Vol. 84, pp. 378-394, https://doi.org/10.1016/j.envsoft.2016.07.008."
"Guidolin, M., Duncan, A., Ghimire, B., Gibson, M. J., Keedwell, E., Chen, A. S.,
Djordjević, S. and Savić, D. (2012). “CADDIES: a new framework for rapid development
of parallel cellular automata algorithms for flood simulation.”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droinformatics, IWA, Hamburg, Germany."
"Hino, M. and Nance, E. (2021). “Five ways to ensure flood-risk research helps the
most vulnerable.” Nature, Springer Nature, Vol. 595, pp. 27-29, https://doi.org/10.1038/d41586-021-01750-0."
"Hunter, N. M., Horritt, M. S., Bates, P. D., Wilson, M. D. and Werner, M. G. F. (2005).
“An adaptive time step solution for raster-based storage cell modelling of floodplain
inundation.” Advances in Water Resources, Elsevier, Vol. 28, No. 9, pp. 975-991, https://doi.org/10.1016/j.advwatres.2005.03.007."
"Issermann, M., Chang, F.-J. and Jia, H. (2020). “Efficient urban inundation model
for live flood forecasting with cellular automata and motion cost fields.” Water,
MDPI, Vol. 12, No. 7, pp. 1997, https://doi.org/10.3390/w12071997."
"Jamali, B., Bach, P. M., Cunningham, L. and Deletic, A. (2019). “A cellular automata
fast flood evaluation (CA-ffé)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55, No.
6, pp. 4936-4953, https://doi.org/10.1029/2018WR023679."
"Jeon, H.-S. and Choo, Y.-M. (2022). “A study on the operation of drainage pump station
considering the water level of urban river to reduce flood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AIS, Vol. 23, No. 2, pp. 14-21, https://doi.org/10.5762/KAIS.2022.23.2.14
(in Korean)."
"Joo, J. W., Joo, J. M., Kim, D. M., Lee, D. H. and Choi, S. H. (2020). “A tsunami
simulation model based on cellular automata for analyzing coastal inundation: case
study of Gwangalli beach.”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KMMS, Vol. 23, No.
5, pp. 710-720, https://doi.org/10.9717/kmms.2020.23.5.710 (in Korean)."
"Kim, J., Baek, J.-S. and Shin, H.-S. (2021). “A study on improvement of hydrologic
cycle by selection of LID technology application area -in Oncheon Stream Basin-.”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AIS, Vol. 22, No. 4, pp.
545-553, https://doi.org/10.5762/KAIS.2021.22.4.545 (in Korean)."
"Kim, S. J. and Jung, I. K. (2006). “Land use change prediction using cellular automata
and Markov Chain.”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KCID, Vol.
13, No. 1, pp. 110-117 (in Korean)."
"Kim, I.-K. and Kwon, H.-S. (2018). “Simulation of land use changes in Hanam city
using an object-based cellular automata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KAGIS, Vol. 21, No. 4, pp. 202-217, https://doi.org/10.11108/kagis.2018.21.4.202
(in Korean)."
"Kim, B., Noh, S. J. and Lee, S. (2022).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urban inundation
and the impact assessment of the flood barrier using H12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55, No. 5, pp. 345-356, https://doi.org/10.3741/JKWRA.2022.55.5.345
(in Korea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2018). Development of the
Urban Flooding Risk Prevention System (III), Available at: https://www.krihs.re.kr/publica/reportView.es?mid=a10102000000&num=000003620284
(Accessed: January 2, 2023) (in Korean)."
"Lamb, R., Crossley, M. and Waller, S. (2009). “A fast two-dimensional floodplain
inundation model.”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 Water Management,
ICE, Vol. 162, No. 6, pp. 363-370, https://doi.org/10.1680/wama.2009.162.6.363."
"Lee, S., Kim, B., Choi, H. and Noh, S. J. (2022). “A review on urban inundation modeling
research in South Korea: 2001-2022.”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55, No. 10, pp. 707-721, https://doi.org/10.3741/JKWRA.2022.55.10.707 (in
Korean)."
"Liu, L., Liu, Y., Wang, X., Yu, D., Liu, K., Huang, H. and Hu, G. (2015). “Developing
an effective 2-D urban flood inundation model for city emergency management based
on cellular automata.”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EGU, Vol. 15, No.
3, pp. 381-391, https://doi.org/10.5194/nhess-15-381-2015."
"Muhajir, I., Lawi, A. and Ribal, A. (2016). “Surface water flow simulation using
cellular automata based flow direction D-infinity algorithm.” Proceedings of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Cybernetics, IEEE, Makassar,
Indonesia, pp. 23-27, https://doi.org/10.1109/CyberneticsCom.2016.7892561."
"Noh, S. J., Lee, J.-H., Lee, S., Kawaike, K. and Seo, D.-J. (2018). “Hyper-resolution
1D-2D urban flood modelling using LiDAR data and hybrid parallelization.”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Elsevier, Vol. 103, pp. 131-145, https://doi.org/10.1016/j.envsoft.2018.02.008."
"Seo, H. and Jun, B. W. (2017). “Modeling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s
in Daegu with a CA-Markov mode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GS,
Vol. 52, No. 1, pp. 123-141 (in Korean)."
"Shao, Q., Weatherley, D., Huang, L. and Baumgartl, T. (2015). “RunCA: A cellular
automata model for simulating surface runoff at different scales.”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Vol. 529, No. 3, pp. 816-829, https://doi.org/10.1016/j.jhydrol.2015.09.003."
"Wan Mohtar, W. H. M., Abdullah, J., Abdul Maulud, K. N. and Muhammad, N. S. (2020).
“Urban flash flood index based on historical rainfall events.”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Elsevier, Vol. 56, 102088, https://doi.org/10.1016/j.scs.2020.102088."
"Wang, Y., Liu, H., Zhang, C., Li, M. and Peng, Y. (2018). “Urban flood simulation
and risk analysis based on cellular automaton.” Journal of Water Resources Research,
Hans, Vol. 7, No. 4, pp. 360-369, https://doi.org/10.12677/JWRR.2018.74040 (in Chinese)."
"Wijaya, O. T. and Yang, T.-H. (2021). “A novel hybrid approach based on cellular
automata and a digital elevation model for rapid flood assessment.” Water, MDPI, Vol.
13, No. 9, 1311, https://doi.org/10.3390/w13091311."
"Wolfram, S. (1984). “Cellular automata as models of complexity.” Nature, Springer
Nature, Vol. 311, pp. 419-424, https://doi.org/10.1038/311419a0."
"Yao, S., Chen, N., Du, W., Wang, C. and Chen, C. (2021). “A cellular automata based
rainfall-runoff model for urban inundation analysis under different land uses.” Water
Resources Management, Springer, Vol. 35, No. 6, pp. 1991-2006, https://doi.org/10.1007/s11269-021-02826-2."
"Yoon, D.-H. and Koh, J.-H. (2012). “A study on analysis of landslide disaster area
using cellular automata: An application to Umyeonsan, Seocho-Gu, Seoul, Kore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Vol. 20, No. 1, pp. 9-18, https://doi.org/10.12672/ksis.2012.20.1.009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