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지
(Hyeonji Lee)
1iD
신영섭
(Youngsub Shin)
2
강동호
(Dongho Kang)
3iD
김병식
(Byungsik Kim)
4†iD
-
정회원ㆍ강원대학교 도시환경재난관리전공 석사과정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hjlee@kangwon.ac.kr)
-
(주)동진이엔시 상무
(Dongjin Engineering CO., LTD ․ subby0306@naver.com)
-
정회원ㆍ강원대학교 AI 기후재난기술융합연구소 연구교수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kdh@kangwon.ac.kr)
-
정회원ㆍ교신저자ㆍ강원대학교 AI소프트웨어학과/방재전문대학원 교수
(Corresponding Author ․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hydrokbs@kangwon.ac.kr)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키워드
면적 강우량, 강우-유출 모형, 산악지형 홍수 모의, 첨두홍수량, 첨두홍수 발생시간
Key words
Areal mean rainfall, Rainfall-Runoff model, Flood simulation in mountain basin, Peak flood, Peak flood occurrence time
1. 서 론
태풍 등 전지구적인 기후위기 현상으로 홍수 피해가 잦아지고 있다. 최근 10년간 태풍으로 인한 우심피해는 123건 발생했으며, 이는 전체 원인별 우심피해
발생현황(233건)의 약 53%를 차지하였다(MOIS, 2022). 상류가 산지인 삼척오십천 유역은 태풍, 집중호우가 발생할 때마다 하류 도시지역에 상습적인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피해를 대비하기 위해 산악지형의
홍수관리 측면에선 시공간 관점의 정량적인 강우ㆍ유출 현상 해석과 단기간 내 집중되는 호우사상에 대한 유출 해석이 필요하다.
강우 유출 모형 종류는 분포형과 집중형으로 나뉘며, 종류에 따라 모의 결과가 다르다. Sitterson et al.(2018)은 강우 유출 모형의 유형과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제시했다. Kim et al. (2008)은 임진강 미계측 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모형인 VfloTM과 준분포형 모형인 ModClark을 이용해 강우 유출 모의를 하고 결과를 비교했다. Hong et al.(2006)은 크리깅 기법을 이용해 면적 강우량을 산정하고, 강우 유출 모형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매개변수 보정을 하지 않은 HEC-HMS와 VfloTM
모형의 유출 수문곡선을 비교했다. Park et al.(2009)은 HEC-HMS를 이용해 홍수유출량을 분석하는 경우 첨두유량과 첨두시간 둘 다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우며, 이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 않은 경험식
사용에 의한 오차의 누적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Seok et al.(2013)은 집중형 모형인 HEC-HMS와 분포형 모형인 VfloTM의 수문곡선 변화를 비교ㆍ분석하였다. Wijayarathne and Coulibaly(2020)은 Waterford강 유역의 홍수 예보를 위한 적절한 수문모형을 식별하기 위해 집중형 모형인 GR4J model, MAC-HBV, SAC-SMA,
HEC-HMS와 분포형 모형인 WATFLOOD를 이용해 강우 유출 모의를 진행했다. Lee et al.(2021)은 SWAT-MODFLOW를 사용하여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Lee et al.(2023)은 기후특성에 따른 강우 유출 모형의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GR4J를 이용하여 지역적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Woo et al.(2023)은 집중형 모형인 IHACRES와 GR4J를 이용하여 강수 및 기온 변화에 따른 유출량 변화를 비교ㆍ분석하였다. 강우 유출 모형 관련 연구는 주로
분포형 모형과 집중형 모형의 홍수 모의 재현성을 비교ㆍ검토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강우 유출 모형은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에 따라 모의 결과가
다르므로 좀 더 다양한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티센 가중법은 계산 과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선호되나 실제 고도와 유역 특성이 반영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반면 등우선법은 산악 효과와 비구름,
유역 특성을 반영해 면적 강우량을 산정한다. Kang et al.(2019)은 제주도 산간 하천에서 티센 가중법과 등우선법을 이용하여 면적 강우량 산정 방법을 비교ㆍ분석하여 평가했고, 등우선법이 보다 적합한 방법이라고 판단했다.
Kang(2019)은 티센 가중법과 등우선법을 비교ㆍ검토하여 제주도 도심하천의 면적 강우량을 산정했고, 연구 결과가 기 수립된 하천기본계획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Hwang et al.(2022)은 정확한 유역 평균 강수량 산정에 있어 티센 가중법의 내삽 방법은 호우 이동 방향과 우량계의 공간적 배치에 따른 시공간적 왜곡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구조적 한계를 발견했다.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티센 가중법을 이용한 면적 강우량 산정은 구조적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티센 가중법과 등우선법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등우선법이 보다 적합한 방법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화산섬인 제주도는 우수한
물 빠짐 등 육지와 다른 지형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선행 연구의 연구 유역은 산악지형에 위치한 단일유역인 삼척오십천 유역과 달리 비교적 평지에 위치하거나
더 큰 본류로 유입되는 유역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삼척오십천 유역에 적합한 강우 유출 모형 종류와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에 따른 시간 전이성을 검토하고자 산술평균법, 티센 가중법
그리고 등우선법에 따라 면적 강우량을 산정하였고, 분포형 모형인 S-RAT(Spatial Runoff Assessment Tool)과 집중형 모형인
HEC-HMS에 적용하여 각각의 강우 유출 결과를 비교했다.
2. 이론적 배경
2.1 S-RAT 모형
S-RAT 모형은 Kim et al.(2010)이 개발한 모형으로 GIS 자료를 이용해 유역을 일정한 크기 격자로 구성하고, 각 격자의 시간 간격별 물수지를 계산하여 유역의 시ㆍ공간적 강우 유출량
변화를 모의하는 분포형 강우 유출 모형이다. 입력자료는 강우자료, DEM, 토양도 그리고 토지이용도로 간소하며, 격자기반의 강우자료를 GIS 격자와
동일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RAT 매개변수는 6개로 포화투수계수(Ksat), 하천 수로하폭(Bp), 하천 수로 최소 조도계수(Ksr1),
최대 침투저류량(Hs), 차단층 변수(Cint), 침투층 변수(H)이다. 각 격자별 흐름 방향은 Fig. 1과 같이 D-8방향법을 사용하여 산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강우 유출 흐름의 방향 및 경사도를 추출하였다. Fig. 2는 S-RAT 모형의 개념도이다.
Fig. 1. Calculation Method of Flow Direction and Flow Accumulation Using D-8 Direction Method (Modified fromKim et al., 2010)
Fig. 2. Schematic Representation of Model Interaction Among Soil, Vegetation and Atmosphere at the Local Scale (Modified fromKim et al., 2010)
2.2 HEC-HMS 모형
HEC-HMS 모형은 미국 공병단 수문연구소에서 개발한 모형으로 유역의 평균 강우손실, 직접 유출, 기저 유출, 홍수추적 등 수리수문학적 구성요소에
대해 강우가 유역에 어떠한 유출 반응을 보이는지 모의하는 집중형 강우 유출 모형이다(Kim and Park, 2002). HEC-HMS 모형의 구성은 Table 1과 같이 손실(losses), 변환(transform), 기저유량(base flow), 추적(routing), 강수(precipitation)로 구분된다.
HEC-HMS의 강우 유출 산정방법은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를 매개변수로 하는 Clark 단위도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홍수량
산정 표준지침(ME, 2019)에 따라 서경대 공식(Eqs. (1) and (2))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하여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를 산정하였다. 유역면적이 약 250 ㎢ 이상인 경우 하도 저류효과를 고려하여
강우 유출을 산정해야 하는데, 하도추적 매개변수 산정은 Muskingum 방법을 적용했다.
여기서, $Tc$는 도달시간(hr), $L$은 유로연장(㎞), $H$는 유역 최원점 표고와 홍수량 산정지점의 표고차(m)이다.
여기서, $Tc$와 $L$은 Eq.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K$는 저류상수(hr)이다. $\alpha$는 계수로 일반적인 하천유역은 1.45, 산지와 같이 하상경사가 급하여 저류
능력이 작은 유역은 1.20, 평지와 같이 하상경사가 완만하여 저류 능력이 큰 유역은 1.7을 적용한다. 그리고 $A$는 유역 면적(㎢)이다.
Table 1. Configuring the HEC-HMS Model
Compute composition
|
Options
|
Losses
|
Initial and constant
Green and Ampt
Gridded Curve No.
|
Deficit and constant
NRCS Curve No.
|
Transform
|
ModClark
Clark unit hydrograph
SCS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
Kinematic wave
Snyder unit hydrograph
User specified unit hydrograph
|
Base flow
|
Exponential recession
|
Constant monthly
|
Routing
|
Lag
Modified Puls
Kinemetic wave
|
Muskingum
Muskingum Cunge (std shape, 8point)
|
Precipitation
|
Grid-based precipitation
Specify gage weights
Frequency-based design storm
|
Import hyetograph
Inverse-distance gage weighting
|
2.3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
산술평균법은 유역의 평균강우량을 산술평균하여 산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산악효과나 유역 내 지점 관측소 분포 밀도 등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으므로
주로 평야 지역이나 비교적 강우분포가 균일한 경우에 사용한다.
티센 가중법은 유역 내 지점 관측소가 불균등하게 분포할 때 사용한다. 이 방법은 각 지점 관측소의 지배면적을 티센 다각형으로 산정한 후 이를 가중인자로
잡아 강우량을 곱하여 합산한 후 유역 면적으로 나누어 평균 강우량을 산정한다. 산술평균법과 달리 지점 관측소의 분포 상태를 고려하고, 적용 방법이
객관적이기 때문에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나 강우에 대한 산악효과가 무시되는 단점이 있다.
등우선법은 산악효과를 고려하여 유역 평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지형도에 지점 관측소 위치와 강우량을 표시한 후 등우선을 그려 각 등우선 간 면적을
측정한다. 이후 등우선 간 면적의 평균 강우량을 곱하여 합산한 후 이를 유역면적으로 나눠 평균강우량을 산정한다. 지점 관측소의 분포가 조밀해야 하고,
등우선을 그리는 과정에서 주관적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유역 면적이 커지거나 산악지역에서 사용할 때보다 정확한 결과가 도출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등우선법에 따라 산정된 강우 데이터 적용을 위하여 분석 격자별로 강우 정보를 추출하여 공간 정보 기반 분석을 실시하였다.
2.4 모형 검증 기법
본 연구는 강우 유출 모형과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의 적용 방법 차이에 따라 관측 수문곡선에 가장 유사한 유출모의 수문곡선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하였다.
분석 결과에 대한 통계 성능은 Eqs. (3) and (4)와 같이 MAE, RMSE를 이용해 평가하였고, 관측 수문곡선과의 유사성은 Eq. (5)와 같이 $R^{2}$를 이용하여 평가했다.
또한 Nash-Sutcliffe 효율계수를 이용해 모형의 예측 기술을 평가하였다. Eq. (6)은 Nash-Sutcliffe 효율계수의 산정식이며, 이때 $\overline{Q_{o}}$는 관측 유량의 평균, $Q_{m}^{t}$은 모형이 모의한
유출량 그리고 $Q_{o}^{t}$는 시간 t의 관측 유량이다.
3. 적용 및 분석
3.1 방법 및 대상유역
본 연구는 산악지형 유역에 적합한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 및 강우 유출 모형 종류 검토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입력자료는 모형마다 상이하다. S-RAT은
90×90 m 격자 해상도의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ASCII 파일을 지형자료로 입력한다. 이는 모형 내에서 유량흐름, 하천망, 조도계수, CN
등 지형 매개변수를 자동 산출하여 유출 모의자료를 생성한다. HEC-HMS는 WAMIS에서 제시한 CN과 삼척오십천 유역의 도달시간 $Tc$와 저류상수
$K$를 지형자료로 입력하여 유출 모의자료를 생성한다.
Fig. 3은 본 연구의 흐름도이다. 삼척 곳곳이 침수되었던 태풍 마이삭(2020년 9월 2일~9월 3일) 강우사상을 적용하여 3가지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과
2가지 모형을 조합한 6가지 경우의 강우 유출 모의 결과를 얻었으며, 매개변수를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측 수문곡선과 비교하였다. 6가지 경우의
결과 중 가장 관측 수문곡선에 유사한 2가지 경우를 선택한 후 매개변수를 보정했고, 태풍 하이선(2020년 9월 6일~9월 7일)과 힌남노(2022년
9월 5일~9월 7일) 강우사상을 적용하여 연구 방법론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산악지형에 위치한 삼척오십천 유역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삼척오십천 유역은 한강 동해권역 삼척오십천 수계에 속하고, 면적은 394.2 ㎢,
유로 연장은 58.1 ㎞이다. 삼척오십천은 태백산맥에서 발원해 동해안으로 유입되는 단일유역으로 하천 형상이 대체로 수지상이며, 사행이 심하고 하상경사가
급해 유속이 빠른 편이다. 삼척오십천 유역의 지형 특성은 Fig. 4와 같다.
지점 강우자료는 유역 내 위치한 도계, 신기, 삼척 AWS 외 유역 인근에 위치한 강원도 및 경상북도 내 AWS 지상 관측 강우량을 적용하였고, 강우
시간 간격은 1시간으로 설정했다. 관측 유량자료는 강원도 삼척시 남양동에 소재한 삼척시(오십천교) 관측소의 수위-유량 시단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Fig. 5는 삼척오십천 유역의 위치, 연구에 활용한 유역 인근 AWS 관측소 및 수위 관측소 현황이고, Fig. 6은 Fig. 5의 AWS 강우량을 이용해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을 비교한 시각화한 그림이다.
Fig. 4. Study Area Characteristics Analysis: (a) DEM, (b) Slope, (c) Landcover, (d) Soil
Fig. 5. Location of Study Area and Nearby AWS(Yellow), Water Level Observation Station(Blue)
Fig. 6. Visualizing Areal Mean Rainfall Estimation Techniques Using AWS Precipitation: (a) Thiessen’s Weighting Method, (b) Isohyetal Method
3.2 모형별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 선정
Fig. 7은 각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을 분포형 모형에 적용하여 강우 유출 모의를 분석한 결과이고, Table 2는 이를 통계 성능 및 유사성 평가한 결과이다. 분포형 모형의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은 산술평균법, 등우선법 그리고 티센 가중법 순으로 통계 성능이
우수하였다. 관측 수문곡선과 유사성은 등우선법, 산술평균법 그리고 티센 가중법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모형의 예측 기술은 산술평균법, 등우선법 그리고
티센 가중법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산술평균법과 등우선법 중 유역의 산악지형을 고려하고, 관측 수문곡선 양상과 가장 유사하며,
$R^{2}$가 높은 등우선법을 분포형 모형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으로 선택하였다.
Table 3과 같이 등우선법 분석 결과를 토대로 S-RAT 내 매개변수를 보정하였고, Fig. 8과 Table 4는 그 결과이다. 보정 후 MAE는 107.28 ㎥/s, RMSE는 153.91 ㎥/s가 감소함에 따라 통계 성능이 향상되었고, $R^{2}$는 0.09,
NSE는 0.32가 증가함에 따라 관측 수문곡선과의 유사성과 모형 예측 기술이 향상되었다.
Fig. 9는 각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을 집중형 모형에 적용하여 강우 유출 모의를 분석한 결과이고, Table 5는 이를 통계 성능 및 유사성 평가한 결과이다. 집중형 모형의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은 등우선법, 산술평균법 그리고 티센 가중법 순으로 통계 성능이
우수하였다.
관측 수문곡선과 유사성은 등우선법, 산술평균법 그리고 티센 가중법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모형의 예측 기술은 등우선법, 산술평균법 그리고 티센
가중법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통계 성능이 우수하고, $R^{2}$가 높은 등우선법을 집중형 모형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으로
선택하였다.
Table 6과 같이 등우선법 분석 결과를 토대로 HEC-HMS 내 매개변수를 보정하였고, Fig. 10과 Table 7은 그 결과이다. 보정 후 MAE는 3.05 ㎥/s, RMSE는 2.68 ㎥/s가 감소함에 따라 통계 성능이 향상되었고, $R^{2}$는 0.01,
NSE는 0.01이 증가함에 따라 관측 수문곡선과의 유사성과 모형 예측 기술이 향상되었다.
Fig. 7. Results of Rainfall-runoff Simulation by each Areal Mean Rainfall Estimation Technique on the Distributed Model
Fig. 8. Results of Parameter Calibration in the Distributed Model
Fig. 9. Results of Rainfall-runoff Simulation by each Areal Mean Rainfall Estimation Technique on the Lumped Model
Fig. 10. Results of Parameter Calibration in the Lumped Model
Table 2. Statistic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real Mean Rainfall Estimation for Distributed Model
|
Arithmetic Mean Method
|
Thiessen's Weighting Method
|
Isohyetal Method
|
MAE (㎥/s)
|
157.07
|
225.73
|
214.16
|
RMSE (㎥/s)
|
206.56
|
349.82
|
293.06
|
|
0.8136
|
0.7236
|
0.8196
|
NSE
|
0.7937
|
0.4084
|
0.5848
|
Table 3. Before and after Parameter Calibration in the Distributed Model
|
Before
|
After
|
Ksat (㎧)
|
0.0024
|
0.9
|
Bp (m)
|
0.5
|
0.9
|
Ksr1
|
6.67
|
5.2
|
Hs
|
400,000
|
500,000
|
Cint
|
0.65
|
0.8
|
H
|
0.08
|
0.08
|
Table 4. Before and after Statistical Performance in the Distributed Model
|
Before
|
After
|
Difference
|
MAE (㎥/s)
|
214.16
|
106.88
|
-107.28
|
RMSE (㎥/s)
|
293.06
|
139.15
|
-153.91
|
$R^{2}$
|
0.8196
|
0.9102
|
+0.0906
|
NSE
|
0.5848
|
0.9064
|
+0.3216
|
Table 5. Statistic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real Mean Rainfall Estimation for Lumped Model
|
Arithmetic Mean Method
|
Thiessen's Weighting Method
|
Isohyetal Method
|
MAE (㎥/s)
|
101.06
|
110.14
|
97.90
|
RMSE (㎥/s)
|
124.86
|
144.30
|
119.50
|
$R^{2}$
|
0.8865
|
0.8868
|
0.8988
|
NSE
|
0.8828
|
0.8319
|
0.8956
|
Table 6. Before and after Parameter Calibration in the Lumped Model
|
Osipcheon(Riv.) bridge water level observation station
|
Before joining Cheongicheon
(Riv.)
|
Before
|
After
|
Before
|
After
|
CN
|
83.3
|
86.4
|
85.7
|
88.4
|
Tc (hr)
|
3.28
|
3.83
|
2.84
|
1.85
|
K (hr)
|
4.54
|
7.91
|
3.29
|
2.79
|
Table 7. Before and after Statistical Performance in the Lumped Model
|
Before
|
After
|
Difference
|
MAE (㎥/s)
|
97.90
|
94.85
|
-3.05
|
RMSE (㎥/s)
|
119.50
|
116.82
|
-2.68
|
$R^{2}$
|
0.8988
|
0.9066
|
+0.0078
|
NSE
|
0.8956
|
0.9066
|
+0.011
|
3.3 면적 강우량을 이용한 모형 적용 및 비교
Fig. 11은 각 모형에 CaseⅡ, CaseⅢ 검증 강우 사상을 적용한 결과이다. 관측 유량과 모의 유량의 첨두홍수량 발생 시간차가 1시간 이내이므로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Table 8은 강우 유출 모형과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 조합별 통계 성능 및 유사성을 평가ㆍ비교한 표이다.
CaseⅡ는 분포형 모형-등우선법 조합이 집중형 모형-등우선법 조합보다 MAE 76.49 ㎥/s, RMSE 189.77 ㎥/s만큼 통계 성능이 우수하고,
관측 수문곡선과의 유사성은 $R^{2}$ 0.02, 모형 예측 기술은 NSE 0.06만큼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aseⅢ는 분포형 모형-등우선법
조합이 집중형 모형-등우선법 조합보다 MAE가 3.65 ㎥/s만큼 낮고, 관측 수문곡선 양상의 유사도가 미흡하였다. 그러나 집중형 모형-등우선법 조합보다
RMSE가 26.56 ㎥/s만큼 낮아 통계 성능이 더 우수했고, $R^{2}$는 0.33, NSE는 0.35만큼 높아 통계 성능과 모형 예측 기술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Fig. 11. Results of Rainfall-runoff Simulation by a Verification Rainfall Event: (a) CaseⅡ Typhoon Haishen, (b) CaseⅢ Typhoon Hinnamnor
Table 8. Statistic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Verification Rainfall Event
4. 결 론
본 연구는 산악지형에 있는 단일유역인 삼척오십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 유출 모형과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의 적용 방법 차이에 따라 관측 수문곡선에
가장 유사한 유출 모의 수문 곡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유사도 판별의 경우 MAE, RMSE, $R^{2}$, NSE 등 통계 성능 평가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분포형 모형의 경우 산술평균법과 등우선법이 통계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관측 수문곡선 양상과 유사도가 가장 높고, 연구 대상 유역의
지형 특성(산악지형)을 감안해야 하므로 등우선법을 채택하였다. 매개변수 보정 전 분포형 모형에서의 등우선법 통계 성능은 MAE 214.16 ㎥/s,
RMSE 293.06 ㎥/s으로 평가되었고, 관측 수문곡선과의 유사성은 $R^{2}$ 0.8196, 모형의 예측 기술은 NSE 0.5848로 평가되었다.
이는 매개변수 보정을 통해 MAE 106.88 ㎥/s, RMSE 139.15 ㎥/s만큼 통계 성능을 향상하고, $R^{2}$ 0.9102, NSE
0.9064만큼 관측 수문곡선과의 유사성, 모형의 예측 기술을 향상했다.
집중형 모형의 경우 등우선법이 통계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개변수 보정 전 집중형 모형에서의 등우선법 통계 성능은 MAE 97.90 ㎥/s,
RMSE 119.50 ㎥/s으로 평가되었고, 관측 수문곡선과 유사성은 $R^{2}$ 0.8988, 모형의 예측 기술은 NSE 0.8956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매개변수 보정을 통해 MAE 94.85 ㎥/s, RMSE 116.82 ㎥/s만큼 통계 성능을 향상하고, $R^{2}$ 0.9066, NSE 0.9066만큼
관측 수문곡선과의 유사성, 모형의 예측 기술을 향상했다.
연구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해 등우선법을 적용한 강우 유출 모형에 CaseⅡ, CaseⅢ 강우 사상을 적용하였다. CaseⅡ는 분포형 모형이 집중형
모형보다 MAE 76.49 ㎥/s, RMSE 189.77 ㎥/s만큼 통계 성능이 우수하고, 관측 수문곡선과의 유사성은 $R^{2}$ 0.02, 모형
예측 기술은 NSE 0.06만큼 더 우수하였다. CaseⅢ는 분포형 모형이 집중형 모형보다 MAE가 3.65 ㎥/s만큼 낮고, 관측 수문곡선 양상의
유사도가 미흡하였으나, RMSE가 26.56 ㎥/s만큼 낮아 통계 성능이 더 우수했고, $R^{2}$는 0.33, NSE는 0.35만큼 높아 통계
성능과 모형 예측 기술이 우수하였다. CaseⅢ의 분포형 모형의 첨두홍수량 과소 모의는 강우 패턴 변화에 따른 결과로 추측되며, 향후 강우 패턴 변화에
따른 유출량 산정 결과를 비교하여 본 연구 결과를 보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가지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을 적용하여 분포형 모형과 집중형 모형의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에 따른 홍수 모의 재현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평지에 위치하거나 더 큰 본류로 유입되는 선행 연구의 연구 유역과 달리 산악지형에 위치한 단일유역을 연구 유역으로 선정하였다. 산악지형에 있는 단일유역은
등우선법으로 면적 강우량을 산정하고, 분포형 모형으로 홍수 모의를 하는 것이 관측 수문곡선과 높은 유사도와 통계 성능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악지형 또는 경사 변동성이 큰 유역에서 강우 유출 모의 시 적합한 방법론으로 판단되며, 해당 유역의 지형 특성을 고려한 홍수 관리를
위해선 티센 가중법ㆍ집중형 모형 조합 외 등우선법ㆍ분포형 모형 조합 사용을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기후위기 현상으로 빈번해진 여름철ㆍ태풍
기간 급류 익수 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론 마련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2023-MOIS35-006 (RS-2023-00244860)) of
Policy-linked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on Natural 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funded by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MOIS, Korea).
References
Hong, J. B., Kim, B. S. and Yoon, S. Y. (2006). “Evaluation of accuracy of the physics
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using VfloTM model.”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Research, KSCE, Vol. 26, No. 6B, pp. 613-622 (in Korean).
Hwang, S. H., Kang, N. R. and Yoon, J. S. (2022). “Error analysis of areal mean precipitation
estimation using ground gauge precipitation and interpolation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5, No. 12, pp. 1053-1064, https://doi.org/10.3741/JKWRA.2022.55.12.1053
(in Korean).
Kang, B. S. (2019). A study on rainfall analysis and estimation method of flood discharge
in Jeju urban streams. Ph.D.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Kim, B. S., Bae, Y. H., Park, J. S. and Kim, K. T. (2008). “Flood runoff simulation
using radar rainfall an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in un-gauged basin ; Imjin river
basin.” Journal of the KAGIS, KAGIS, Vol. 11, No. 3, pp. 52-67 (in Korean).
Kim, C. and Park, N. H. (2002). “Rainfall-runoff analysis in the Whangryong river
basin using HEC-HMS and HEC-GeoHM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KSGIS, Vol. 10, No. 2, pp. 275-287 (in Korean).
Kang, B. S., Yang, S. K. and Kang, M. S. (2019).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curacy
of areal precipitation according to the rainfall analysis method of mountainous stream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KENSS, Vol. 28, No. 10, pp. 841-849,
https://doi.org/10.5322/JESI.2019.28.10.841.
Kim, B. S., Yoon, S. K., Yang, D. M. and Kwon, H. H. (2010). “Development of grid-based
conceptual hydrologic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3, No. 7, pp. 667-679, https://doi.org/10.3741/JKWRA.2010.43.7.667 (in Korean).
Lee, J. E., Chung, I. M., Lee, J. W. and Kim, M. G. (2021). “Estimation of exploitable
groundwater in the Jinju region by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41, No. 6, pp. 655-662,
https://doi.org/10.12652/Ksce.2021.41.6.0655 (in Korean).
Lee, Y. R., Yu, J. U., Kim, K. T. and Kwon, H. H. (2023). “A development of hydrological
model calibration technique considering seasonality via regional sensitivity analysis.”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43, No. 3,
pp. 337-352, https://doi.org/10.12652/Ksce.2023.43.3.0337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9). Guidelines for estimating flood volumes (in
Korean).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MOIS) (2022). 2021 Annual disaster report (in Korean).
Park, T. J., Kim, H. J., Lee, D. H. and Lee, E. T. (2009). “Runoff analysis of lumped
model by the parameter.” Proceedings of 35th KSCE Conference, KSCE, Kangwon, Korea,
pp. 3263-3271 (in Korean).
Seok, S. W., Jeong, C. W., Sin, C. S., Ahn, J. H. and Jung, S. W. (2013). “A comparative
analysis of centralized and distributed model through comparison with runoff characteristics
of Nam River Dam and Soyang River Dam.” Proceedings of KSCE 2013 CONVNETION, KSCE,
Incheon, Korea, pp. 1816-1820 (in Korean).
Sitterson, J., Knightes, C., Parmar, R., Wolfe, K., Muche, M. and Avant, B. (2018).
“An overview of rainfall-runoff model types.” Proceedings of 9th International Congress
on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iEMSs, Colorado, USA, 41.
Wijayarathne, D. B. and Coulibaly, P. (2020). “Identification of hydrological models
for operational flood forecasting in St. John’s, Newfoundland, Canada.” Journal of
Hydrology: Regional Studies, Elsevier, Vol. 27, 100646, https://doi.org/10.1016/j.ejrh.
2019.100646.
Woo, D. K., Jo, J. H., Kang, B. S., Lee, S. H., Lee, G. R. and Noh, S. J. (2023).
“Assessing the sensitivity of runoff projections under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variability using IHACRES and GR4J lumped runoff-rainfall models.”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43, No. 1, pp. 43-54, https://doi.org/10.12652/Ksce.2023.43.1.0043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