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소영
(Soyoung Woo)
1iD
김원진
(Wonjin Kim)
2iD
장선우
(Sunwoo Chang)
3†iD
최시중
(Sijung Choi)
4iD
김철겸
(Chul-Gyum Kim)
5iD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후연구원YS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wsy0209@kict.re.kr)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후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wjkim@kict.re.kr)
-
종신회원 · 교신저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Corresponding Author ·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Chang@kict.re.kr)
-
정회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sjchoi@kict.re.kr)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cgkim@kict.re.kr)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키워드
지하수 함양량, 도시화, 기후변화, 복합시나리오, 물수지분석
Key words
Groundwater recharge, Urbanization, Climate change, Complex scenario, Water balance
1. 서 론
지하수는 지표하에 흐르고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자원으로, 담수 수자원의 약 30 %를 구성하고 있다. 지하수는 수자원 총이용량의 약 11 %(연간
41억톤)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사용량의 절반은 작물 및 수막재배를 위한 농업용수로 사용되고 있고, 약 42 %는 식수를 포함한 생활용수, 6
%는 공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MOE, 2019).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지하수는 하천수, 댐 용수와 같은 지표수를 사용할 수 없는 극심한 가뭄과 같은 상황에도 사용할 수 있는 수자원이지만,
과도한 지하수 사용은 지하수위를 하강시키며, 최악의 경우 지반침하를 야기하여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지하수는 지표수 보다 강우에 반응하는 속도
및 대수층에서 이동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지하수가 고갈된 이후 다시 충전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며, 그에 따른 부가적인 환경,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지하수 함양은 물순환 과정에서 강수가 식생에 의한 차단 및 증발산 되지 않으며, 하천으로 유출되지 않고 지표로 침투하여 지하수면까지 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토양특성과 토지피복상태에 영향을 받는다(Bae, 2002). 우리나라는 과거 경제성장과 함께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왔으며, 해안 도시지역인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는 도시 증가로 인해 지하수 함양량이 감소하였음을
확인되었다(Lee and Bae, 2010). 또한, Jeong et al.(2020)은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면적의 변화, 지표면 식생의 변화, 도시 구조물 건설이 지하수위의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였으며, 불투수면적의
변화는 지하수의 지역적 함양을 감소시키지만, 광역적 함양에 의해 지하수위가 회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시화와 같은 인위적인 요인과 더불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 홍수, 폭염 등의 이상 기후의 발생 빈도와 강도의 증가(IPCC, 2022)는 유역의 수문순환을 변화시켜 지하수 함양에 영향을 미친다(Ahn et al., 2009; Lee et al., 2010; Shin et al., 2016). 미래 기후변화로 인해 동아시아 지역의 기온과 강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NIMS, 2020), 직접유출량과 증발산량의 증가로 인해 지하수 함양량은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되고 있다(Park et al., 2014; Shin et al., 2016). 지하수 함양량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화 및 기후변화와 같은 인위적, 자연적인 요인들을 고려하여 지하수 고갈 및 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하수 개발 가능량의 산정을 위해 지하수 함양량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MOLIT, 2017).
지하수 함양량 산정 방법으로는 지하수위 강하곡선법, 지하수위 변동법, 기저유출 분리법, 물수지 분석 방법 등이 있으며, 물수지 기반의 수문모형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 방법이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Ha et al.(2021)은 VELAS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충남 홍성 양곡리 일대의 일단위 지하수 함양량을 평가하였으며, An and Ha(2021)는 분포형 수문모형인 WetSpass-M을 이용하여 삽교천 유역의 월별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Chung et al. (2018)은 SWAT 모델을 기반으로 전남 장성지역의 연별 및 월별 지하수 함양량 산정하였다. 특히, SWAT 모델은 토지이용변화(Baker and Miller, 2013; Chen et al., 2022; Mengistu et al., 2022)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Lee et al., 2018; Petpongpan et al., 2020; Zhang et al., 2020)에 따른 유역의 수문 변화 및 지하수 함양량 분석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인접한 유역인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도시화와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지하수 함양량
산정을 위해 SWAT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유출량과 증발산량을 이용하여 유역의 수문순환에 대한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도시화 시나리오, SSP
기반의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그리고 두 시나리오를 중첩한 복합시나리오를 SWAT 모델에 적용하여 대상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2. 연구방법
2.1 대상지역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안성천 유역(1,647 km2)은 동경 126° 50′∼127° 00′, 북위 36° 50′∼37° 20′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한강 유역에 접하고 있다(Fig. 1). 안성천 유역의 평균경사는 7.7 %이고, 토지피복은 농경지가 35 %, 산림 28 %, 도시 15 %, 기타 22 %로 구성되어 있다. 유역
인근에 3개의 기상관측소(수원, 이천, 천안)가 있으며, 최근 10년(2013년~2022년)간 유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1149.8 mm, 연평균 일사량은
14.7 MJ/m2, 연평균 기온은 12.9°C, 연평균 상대습도는 68.6 %, 연평균 풍속은 1.6 m/s이다.
유역 상류는 수도권과 인접하여 도시화가 진행되어 있으며, 고삼, 이동, 신갈, 금광 농업용 저수지가 위치하고 있다. 유역 하류에는 아산만의 큰 조수간만
차에 의한 홍수 및 염해 피해를 극복하기 위해 준공된 아산만 방조제가 있다. 대상 지역은 과거 2017년 가뭄으로 인해 상류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이
약 10 %로 떨어지며, 원활한 용수공급에 차질을 겪었다. 그리고 서해안에 인접해 있는 안성천 유역은 과도한 지하수 사용 시, 해수 침투로 인한 염해
피해에 취약하다. 따라서, 극심한 가뭄과 도시화와 같은 지하수 함양량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Fig. 1. Description of Study Area
2.2 도시화 시나리오
도시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Chang et al.(2016)이 사용한 토지피복도 기반의 도시화 시나리오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안성천 유역의 극한 도시화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토지피복도는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중분류 토지피복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극한 도시화 시나리오는 도시로 분류되는 모든 지역이 고밀도(High density) 도시로 성장하고,
침엽수림(Forest-Evergreen)으로 분류되는 지역이 저밀도(Low density) 도시로 변화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Table 1).
고밀도 도시의 경우 불투수면적의 비율을 0.6, 배수 시스템과의 연결 비율을 0.44로 가정하였으며, 저밀도 도시의 경우 불투수면적 및 배수시스템과의
연결 비율을 0.12, 0.10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극한 도시화 시나리오에서는 불투수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배수 시스템과의 연결성이 우수해지도록
구축하였다.
Table 1. Definition of Urbanization Scenario
Current Land use/Land cover
|
Extreme urbanization
|
Area
(km2)
|
Percent
|
Transportation
|
Developed High intensity
|
251.1
|
15.2
|
Residential-Medium Density
|
Commercial
|
Industrial
|
Rice
|
Rice
|
307.8
|
18.7
|
Agricultural
|
Agricultural
|
266.6
|
16.2
|
Forest-Deciduous
|
Forest-Deciduous
|
239.5
|
14.5
|
Forest-Evergreen
|
Developed low intensity
|
156.6
|
9.5
|
Forest-Mixed
|
Forest-Mixed
|
68.2
|
4.1
|
Pasture
|
Pasture
|
203.1
|
12.3
|
Wetland
|
Wetland
|
33.3
|
2.0
|
Water
|
Water
|
121.2
|
7.4
|
2.3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IPCC의 6차 평가보고서(6th Assessment Report, AR6)에서는 2100년 기준의 복사강제력을 기준으로 구분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에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사용 등의 사회, 경제 발전의 영향을 추가 반영한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공통사회경제경로)를 신기후체제 대응 시나리오 제시하고 있다. Table 2는 미래 기후변화를 전망하기 위해 CMIP6(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6)에 참여한 GCMs(General
Circulation Models) 중, SWAT 모델의 입력자료(강수량, 최고 및 최저기온, 상대습도, 평균습도, 일사량)를 모두 제공하고 있는
18개 모델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극한 시나리오에서의 지하수 함양량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SSP시나리오별 18개의 GCM의 연강수량을 비교하여, 강수량이 가장 많은
모델(극한 강우), 가장 적은 모델(극한 가뭄)을 1개씩 선정하였다(Fig. 2). 지하수 함양은 강우 사상에 장기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기후변화 양상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지수 중 연강수량을 사용하여 극한 강우, 가뭄
모델을 선정하였다. 미래 분석기간(2011~2100) 동안 평균 연강수량이 가장 높은 CanESM5 모델이 극한 강우 모델로서, SSP5-8.5 시나리오에서
연강수량의 평균이 2,024 mm로 가장 높았다. 강수량이 가장 적은 극한 가뭄 모델은 INM-CM4-8로, SSP3-7.0 시나리오에서는 평균 연강수량이
1,366 mm로 가장 적었다.
Fig. 2. Annual Precipitation for Each GCM by SSP Scenario
Table 2. List of CMIP6 GCMs with SWAT Input Climate Data
GCMs
|
Institute (Country)
|
Number of Grids
|
GFDL-ESM4
|
Geophysical Fluid Dynamics Laboratory (USA)
|
360×180
|
MRI-ESM2-0
|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Japan)
|
320×160
|
CNRM-CM6-1
|
Centre National de Recherches Meteorologiques (France)
|
24,572 grids
|
CNRM-ESM2-1
|
Institute Pierre-Simon Laplace (France)
|
IPSL-CM6A-LR
|
Max Planck Institute for Meteorology (Germany)
|
144×143
|
384×192
|
MPI-ESM1-2-HR
|
Met Office Hadley Centre (UK)
|
192×96
|
MPI-ESM1-2-LR
|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ustralian Research
Council Centre of Excellence for Climate System Science (Australia)
|
192×144
|
UKESM1-0-LL
|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ustralia)
|
192×144
|
ACCESS-CM2
|
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ling and Analysis (Canada)
|
192×145
|
ACCESS-ESM1-5
|
Institute for Numerical Mathematics (Russia)
|
128×64
|
180×120
|
CanESM5
|
EC-Earth-Consortium
|
180×120
|
INM-CM4-8
|
Japan Agency for Marine-Earth Science and Technology/Atmosphere and Ocean Research
Institute/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RIKEN Center for Computational
Science (Japan)
|
512×256
|
256×128
|
INM-CM5-0
|
NorESM Climate modeling Consortium consisting of CICERO (Norway)
|
128×64
|
EC-Earth3
|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orea)
|
144×96
|
2.4 SWAT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은 미국 농무성에서 개발한 물리적 기반의 준분포형 장기유출모델로서, 기상조건, 토양특성,
토지피복 등을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유역의 물순환, 물질순환을 모의한다(Arnold et al., 1996). SWAT은 소유역별로 토지피복과 토양특성이 동일한 수문반응단위(Hydorlogic Response Units, HRUs)를 기본 단위로 사용하여,
각각의 HRU에 대하여 아래의 물수지 방정식을 기반으로 강우, 증발산, 침루, 유출, 회귀 등의 수문요소를 모의한다.
여기서 $SW_{t}$는 시간 $t$일의 토양수분량, $SW_{0}$는 초기토양수분량, $R_{day}$는 일강수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Q_{surf}$는
지표면 유출량, $E_{a}$는 증발산량, $w_{seep}$는 토양층의 특성을 반영한 침루량, $Q_{gw}$는 하천으로의 회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2020년도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SWAT을 구축하였으며, 2015~2022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량과
증발산량에 대하여 R2(Coefficient of determination), NSE(Nash Sutcliffe Efficiency)(Nash and Sutcliffe, 1970), PBIAS(Percent bias)를 기준으로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앞절에서 설명한 도시화 시나리오의 영향은 동일한 기상조건(2015~2022)에서
극심한 도시화를 가정한 토지피복도를 SWAT에 적용하여 모의하였고, 극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2020년도 토지피복도에 미래 2011~2100기간의
기상자료를 SWAT에 입력하여 모의하였다. 그리고 지하수 함양량이 극심하게 감소하는 최악의 상황을 모의하기 위해, 도시화와 극한 가뭄 시나리오를 모두
고려한 복합 시나리오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3. 적용 결과
3.1 SWAT 검보정 결과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의 수문요소에 대한 모의를 위해, 일별 유출량과 증발산량에 대한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Fig. 3은 검보정 지점과 각 지점에서의 관측, 모의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유출량은 팽성대교의 관측 일 유량을 사용하여 2015~2018년 기간을 대상으로
보정, 2019년~2022년 기간을 대상으로 검정하였으며, 2021년은 결측기간으로 평가에서 제외하였다. SWAT 모의 결과와 관측값을 비교하였을
때, 보정기간 평균 R2는 0.70, NSE는 0.66으로 분석되었으며, 검정기간 평균 R2는 0.59, NSE는 0.57으로 분석되었다.
증발산량의 경우, 농업기상관측망인 수원지점의 2015년 증발산량 자료를 사용하였다. 관측자료의 부재로 인해 모의 기간 전체에 대한 증발산량의 검보정은
불가능하였으나, 2015년의 증발산량 관측값과 모의값을 비교한 결과, R2는 0.59, PBIAS는 11.7 %로 계산되었다. 수문총량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유출량 및 증발산량 모의 결과와 관측값의 편차가 약 10
%로 지하수 함양량 모의 결과 역시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의기간 동안의 연평균 강수량은 1,160 mm, 연평균 유출량은 318 mm,
연평균 증발산량은 591 mm, 그리고 연평균 지하수 함양량은 250 mm로, 유역의 평균 함양률은 21.6 %로 분석되었다.
Fig. 3. SWAT Calibration Results for Evapotranspiration and Stream Discharge
3.2 도시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변화
Table 3은 도시화 시나리오를 적용 전, 후의 연도별 강수량, 지하수 함양량, 함양률의 변화를 정리한 것이다. 유역의 연평균 지하수 함양량은 229 mm로,
시나리오 적용 전보다 지하수 함양량은 약 19.9 mm, 함양률은 1.77 %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문 순환에서 가장 지배적인 요인인 강수량이
작을수록 도시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의 변화도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강수량이 가장 작았던 2015년의 함양량과 함양률은 각각 9.0 mm, 1.2
% 감소하였으나, 연강수량이 1,500 mm 이상이었던 2020년 함양량과 함양률은 각각 29.6 mm, 1.91 %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도시화 시나리오는 도시 밀도의 증가와 도시 확장(산림의 도시화)을 모두 고려하고 있다. Fig. 4는 도시 밀도 증가, 산림의 도시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변화 분포도를 보여준다. 도시 밀도 증가로 인해 연평균 지표유출은 약 209 mm 증가,
연평균 증발산량, 지하수 함양량은 각각 약 5 mm, 154 mm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산림의 도시화로 인해 연평균 지하수 함양량은
약 163 mm 감소하였으나, 지표유출과 증발산량은 각각 139 mm, 24 mm 증가하였다. 도시 밀도의 증가는 과도한 지표유출의 증가를 야기하여,
증발산, 함양량과 같은 다른 수문 순환 요소들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화는 기온 상승, 습도 및 풍속 감소로 인해 기준 증발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Rim, 2007), 그로 인해 산림의 도시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의 감소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Changes in Groundwater Recharge in the Basin under Urbanization Scenario
Year
|
PCP
|
Groundwater recharge (mm)
|
Groundwater recharge rate (%)
|
Current
|
Urbanization
|
Difference
|
Current
|
Urbanization
|
Difference
|
2015
|
753.1
|
84.2
|
75.2
|
-9.0
|
11.19
|
9.99
|
-1.20
|
2016
|
993.9
|
158.0
|
145.1
|
-12.9
|
15.91
|
14.60
|
-1.30
|
2017
|
1,273.9
|
327.8
|
303.0
|
-24.8
|
25.74
|
23.79
|
-1.95
|
2018
|
1,255.3
|
248.7
|
225.3
|
-23.3
|
19.81
|
17.95
|
-1.86
|
2019
|
895.2
|
145.1
|
131.4
|
-13.7
|
16.22
|
14.68
|
-1.54
|
2020
|
1,556.9
|
468.0
|
438.4
|
-29.6
|
30.06
|
28.16
|
-1.91
|
2021
|
1,072.2
|
209.4
|
192.0
|
-17.3
|
19.53
|
17.91
|
-1.62
|
2022
|
1,478.8
|
352.9
|
324.8
|
-28.0
|
23.87
|
21.97
|
-1.90
|
Avg.
|
1,159.9
|
250.0
|
229.4
|
-19.9
|
21.55
|
19.78
|
-1.77
|
Fig. 4. Distribution Map of Change in Groundwater Recharge under. (a) Urban Density, (b) Urban Expansion Scenario
3.3 미래 기후변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변화
본 연구에서 선정한 극한 강우(CanESM5) 및 극한 가뭄(INM-CM4-8) 모델의 SSP 시나리오별 유역의 평균 연강수량 및 평균 기온을 정리한
것이다(Table 4). 두 모델 모두 SSP5-8.5 시나리오에서 강수량과 기온이 가장 높았으며, 강수량은 SSP3-7.0 시나리오에서 가장 낮고, 기온은 SSP1-2.6
시나리오에 가장 낮았다. CanESM5의 경우 연강수량 및 평균 기온의 범위가 1,542~ 1,940 mm, 14.6~17.7℃인 반면, INM-CM4-8
모델은 연강수량 및 평균 기온의 범위가 1,161~1,538 mm, 13.3~14.9℃로 두 모델의 특징이 크게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구축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SWAT에 적용하여, 미래 기간(2011~2100년)에 대한 연평균 유출량(Q), 증발산량(ET), 지하수 함양량(GWR)을
비교하였다(Fig. 5). CanESM5의 평균 지하수 함양량은 468.5~542.7 mm, 평균 지하수 함양률은 26.3~ 27.4 %로 분석되었으며, INM-CM4-8의
평균 지하수 함양량은 297.5~314.0 mm, 평균 지하수 함양률은 21.6~22.4 %로 분석되었다. 기온, 강수량이 많은 CanESM5 모델의
미래 지하수 함양량 결과는 INM-CM4-8 모델 보다 약 170.9~228.7 mm 컸다.
Fig. 6은 두 모델의 SSP 시나리오별 미래 지하수 함양량 시계열 결과를 나타내며, 연강수량에 따라 지하수 함양량의 편차가 크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유역의 평균 함양률(21.6 %)을 기준으로 지하수 함양량 취약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CanEMS5은 평균 함양률보다 함양률이 작을 것으로 예측되는
기간이 90년 중 10~19년인 반면에, INM-CM4-8은 90년 중 약 49~54년 이상 함양률이 평균 함양률에 못 미칠 것으로 예측되었다.
Table 4. Summary of Annual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for Climate Change Scenarios
Weather
Components
|
Scenarios
Model
|
SSP1-2.6
|
SSP2-4.5
|
SSP3-7.0
|
SSP5-8.5
|
Annual precipitation (mm)
|
CanESM5
|
1,552~1,709
|
1,613~1,781
|
1,542~1,701
|
1,745~1,940
|
INM-CM4-8
|
1,193~1,384
|
1,163~1,363
|
1,161~1,410
|
1,177~1,538
|
Average temperature
(℃)
|
CanESM5
|
14.6~15.0
|
15.5~15.8
|
16.6~17.0
|
17.3~17.7
|
INM-CM4-8
|
13.3~13.8
|
13.7~14.2
|
14.0~14.4
|
14.6~14.9
|
Fig. 5. Comparison of Water Balance Based on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Fig. 6. Future Groundwater Recharge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3.4 복합 시나리오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변화
도시화 시나리오에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중에서 강수량과 지하수 함양량이 가장 작을 것으로 전망되었던 INM-CM4-8의 SSP3-7.0 시나리오를
중첩한 복합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을 때의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복합 시나리오의 결과는 Historical 결과와 비교하여 평가하였으며,
여기서 Historical 결과는 도시화 적용하기 전 토지피복과 과거 기간(1981~2010년)의 기상을 적용한 결과를 의미한다.
Fig. 7은 복합시나리오 수문성분(강수량, 지표유출,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을 Historical 결과와 월별로 비교한 결과이다. 강수량은 Historical에서
7월에 300 mm로 가장 많았으나, 복합시나리오는 8월에 380 mm로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10~12월은 Historical의 강수량이
복합시나리오의 강수량 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월별 강수량의 결과가 지표유출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복합 시나리오에서는
지표유출량이 최대 150 mm 발생하고, 겨울철에는 최소 10 mm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합시나리오의 증발산량은 4월~7월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수량, 지표유출의 증가량을 고려하였을 때 기온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지하수 함양량은 Historical의
7월과 복합시나리오의 8월에 85 mm로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겨울철 함양량의 수준은 약 5 mm 정도로 분석되었다. 복합시나리오의 4~5월의
결과를 보면 강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지하수 함양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봄철 지하수 함양량의 감소를 고려하여 미래 지하수 사용량과 및 개발량을
산정해야 한다.
Fig. 7. Monthly Comparison of (a) Precipitation, (b) Surface Runoff, (c) Evapotranspiration, (d) Groundwater Recharge Based on Complex Scenario
Fig. 8는 Historical과 복합시나리오의 토지피복특성에 따른 단위 면적당 연평균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연평균 강수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평균 지하수 함양량은 증가하였으며, AGRR은 17 mm, RICE는 31 mm, PAST는 34 mm, FRSD는 21 mm, FRST는 23 mm,
WETL는 29 mm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도시화의 영향이 고려된 URBN과 FRSE는 지하수 함양량이 각각 49 mm, 159 mm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화된 토지는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해 연강수량이 증가하여도 지하수 함양량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도시지역의 지하수 취약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러한 도시지역이 많은 유역에서는 보다 높은 안전율을 고려하여 지하수 개발 가능량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Fig. 8. Comparison of Groundwater Recharge by Land Use Based on Complex Scenario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함양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도시화 시나리오,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그리고 복합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서해안에 인접한 안성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지하수 함양량 산정을 위해 수문모델 SWAT을 구축하였고, 관측 유출량과 증발산량을 이용하여 모델을 검·보정하였으며,
그 결과 2015~2022년 기간의 연평균 강수량, 지하수 함양량은 각각 1,160 mm, 250 mm로 유역의 평균 함양률은 21.6 %로 분석되었다.
도시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을 때, 지하수 함양량 및 함양률은 19.9 mm, 1.77 % 감소하였다.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극한 강우(CanESM5)
및 극한 가뭄(INM-CM4-8) 모델의 SSP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미래 지하수 함양량의 변화를 전망하였으며, 극한 가뭄 모델의 경우 모의 기간 90년중
49~54년 이상 평균 함양률 21.6 %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화와 극한가뭄이 동시에 진행된 복합시나리오 모의 결과를 월별,
토지피복별로 분석하였으며, 도시 지역의 봄철 지하수 함양량이 가장 취약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화는 물순환의 변화를 야기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지하수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많은 양의 유출지하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지하수
함양량은 더욱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도시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확보를 위해 지하수 보전 구역 선정, 인공함양, 지하수 수질 개선을 통한 유출지하수
재사용 등의 다양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극한 강우 및 극한 가뭄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의 전망하였을 때, 극한 강우
사상에서는 지하수 함양량 취약성이 낮았으나 극한 가뭄 시나리오에서는 지하수 함양량이 매우 취약해질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미래 지하수 고갈,
수질 악화 지반침하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지 않도록, 다양한 극한 가뭄 시나리오의 기반의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여 보다 보수적으로 지하수 개발량을 산정하고
지하수 사용량을 규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극한의 기후모델 2개(Can-ESM5, INM-CM4-8)와 극한의 도시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후모델을
모두 사용하여 결과를 앙상블하고 도시화의 수준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분석한다면 더욱 신뢰성 있는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화와 기후변화의
영향을 비교하여 지하수 함양량에 미치는 중요성 등을 확인하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Development Program of Minimizing
of Climate Change Impact Technology funded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of the Korean government (Ministry of Science and ICT, Grant No. NRF-2020M3H5A1080735),
and the KICT Research Program (project no.20240158-001, Development of coastal groundwater
management solution)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References
"Ahn, S. R., Park, M. J., Park, G. A. and Kim, S. J. (2009). “Assessing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 components of Gyeongancheon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1, pp. 33-50, https://doi.org/10.3741/JKWRA.2009.42.1.33
(in Korean)."
"An, H. and Ha, K. (2021). “Evalu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using a distributed
water balance model (WetSpass-M model) for the Sapgyo-cheon upstream basin.”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 26, No. 6, pp. 47-64, https://doi.org/10.7857/JSGE.2021.26.6.047
(in Korean)."
"Arnold, J. G., Williams, J. R., Srinivasan, R. and King, K. W. (1996). “SWAT manual.”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nd Blackland Research Center, Texas."
"Bae, S. K. (2002). “Consideration on methods for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Water for Future, Vol. 35, No. 3, pp. 50-59 (in Korean)."
"Baker, T. J. and Miller, S. N. (2013). “Using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to assess land use impact on water resources in an East African watershed.”
Journal of Hydrology, 486, pp. 100-111, https://doi.org/10.1016/j.jhydrol.2013.01.041."
"Chang, S. W., Nemec, K., Kalin, L. and Clement, T. P. (2016).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on groundwater resources in a barrier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42, No. 12, D4016001, https://doi.org/10.1061/(ASCE)EE.1943-7870.0001123."
"Chen, C., Gan, R., Feng, D., Yang, F. and Zuo, Q. (2022). “Quantifying the contribution
of SWAT modeling and CMIP6 inputting to streamflow prediction uncertainty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364, 132675, https://doi.org/10.1016/j.jclepro.2022.132675."
"Chung, I. M., Park, S., Lee, J. E. and Kim, M. G. (2018).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in Jangseong district by using integrated hydrologi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8, No. 4, pp. 517-526,
https://doi.org/10.12652/Ksce.2018.38.4.0517 (in Korean)."
"Ha, K., Park, C., Kim, S., Shin, E. and Lee, E. (2021). “Groundwater recharge evaluation
on Yangok-ri area of Hongseong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VELAS).”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54, No. 2, pp. 161-176, https://doi.org/10.9719/EEG.2021.54.2.161
(in Korean)."
"IPCC (2022).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 Pörtner, D. C. Roberts, M. Tignor, E. S. Poloczanska, K.
Mintenbeck, A. Alegría, M. Craig, S. Langsdorf, S. Löschke, V. Mö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3056 pp., https://doi.org/10.1017/9781009325844."
"Jeong, J., Koh, D.-C., Ko, K.-S. and Lee, J. (2020). “A review on the effects of
changes of land cover and land use on groundwater-level variation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56, No. 3, pp. 387-394, https://doi.org/10.14770/jgsk.2020.56.3.387
(in Korean)."
"Lee, J. W., Jung, C. G. and Kim, S. J. (2018).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groundwater level behavior in Geum river basin using SWA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3, pp. 247-261, https://doi.org/10.3741/JKWRA.2018.51.3.247
(in Korean)."
"Lee, M. J., Lee, J. H., Jeon, S. W. and Houng, H. J. (2010). “Review of policy direction
and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Vol. 9, No. 2, pp. 157-184, https://doi.org/10.17330/JOEP.9.2.201006.157
(in Korean)."
"Lee, S. H. and Bae, S. K. (2010). “Long-term trend of groundwater recharge according
to urbaniz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19, No. 6,
pp. 779-785, https://doi.org/10.5322/JES.2010.19.6.779 (in Korean)."
"Mengistu, T. D., Chung, I. M., Kim, M. G., Chang, S. W. and Lee, J. E. (2022). “Impacts
and implications of land use land cover dynamics on groundwater recharge and surface
runoff in East African Watershed.” Water, Vol. 14, No. 13, 2068, https://doi.org/10.3390/w14132068."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9). “Groundwater annual report” (in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2017). “Master plan for management
of groundwater” (in Korean)."
"Nash, J. E. and Sutcliffe, J. 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https://doi.org/10.1016/0022-1694(70)90255-6."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NIMS) (2020). Korean Peninsula outlook
report 2020: Climate projections according to SSP1-2.6/SSP5-8.5."
"Park, J.-C., Choi, K.-J. and Song, S.-H. (2014). “Prediction of regional drought
considering aspect and elevation in Jeju Island under future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3, No. 4, pp. 649-660, https://doi.org/10.5322/JESI.2014.4.649
(in Korean)."
"Petpongpan, C., Ekkawatpanit, C. and Kositgittiwong, D. (2020). “Climate change impact
o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recharge in Northern Thailand.” Water, Vol. 12, No.
4, 1029, https://doi.org/10.3390/w12041029."
"Rim, C. S. (2007). “Urbanization effects on reference evapo- transpir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7, pp. 571-583, https://doi.org/10.3741/JKWRA.
2007.40.7.571 (in Korean)."
"Shin, E., Koh, E.-H., Ha, K., Lee, E. and Lee, K.-K. (2016).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groundwater recharge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in Pyoseon watershed
of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 21, No.
6, pp. 22-35, https://doi.org/10.7857/JSGE.2016.21.6.022 (in Korean)."
"Zhang, L., Wang, C., Liang, G., Cui, Y. and Zhang, Q. (2020). “Influence of land
use change on hydrological cycle: application of SWAT to Su-Mi-Huai area in Beijing,
China.” Water, Vol. 12, No. 11, 3164, https://doi.org/10.3390/w12113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