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정회원 ․ 교신저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수석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 ․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sjchoi@kict.re.kr)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연구위원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skkang@kict.re.kr)
  3. 종신회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전략기획본부 수석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huiseongnoh@kict.re.kr)
  4. 한국수력원자력(주) 한강수력본부 수자원관리부 차장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 ahn.jeonghwan@khnp.co.kr)



발전용댐, 물수지 분석, 유입량 기여도, 물 이용 순환
Hydropower dam, Water balance analysis, Contribution of inflow, Water use cycle

1. 서 론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가뭄 위험이 커지고 있어 수자원시설물 중 하나인 발전용댐의 다목적 활용을 통한 용수공급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발전용댐의 발전방류를 줄이고 저수하였다가 가뭄 시 적기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자는 것이다. 최근 환경부와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한강수계 발전용댐 다목적 활용 협약’에 따라 발전용댐 용수공급 및 치수 목적의 다목적 활용 시범운영이 시행 중에 있으며 화천댐 시범운영을 통한 실제 확보가능한 수자원량을 평가하고 운영 기준 마련 및 제도개선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까지 국내의 수자원계획에서는 발전용댐의 용수공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및 하천유지용수 등이 발전용댐에 배분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발전용댐의 용수공급량이 반영되지 않은 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따라서 발전용댐의 용수공급 실적평가를 통해 유역 물수지 분석 계획 수립에 고려되지 않았던 발전용댐의 용수공급 실적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발전용댐의 운영 목적을 발전에 한정하여 발전용댐의 이수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주로 다목적댐 및 다기능보에 대한 용수공급능력 평가를 위해 노력하였다. Choi et al.(2021)은 발전용댐의 저류용량, 용수공급기여도, 저류활동빈도 등의 저류특성을 반영하여 발전용댐 유형을 구분하는 방안과 함께 판단기준을 제안하고, 북한강수계 발전용댐에 이를 적용하였다. Jeong et al. (2022a)는 발전용댐의 운영 특성을 반영하여 발전용댐에 대한 용수공급능력 산정방법을 제시한 바 있으며, Jeong et al.(2002b)는 확률론적 댐 유입량 자료를 활용하여 발전용댐의 용수공급능력 범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한강수계의 발전용댐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발전용댐의 용수공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발전용댐으로의 유입량 평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강유역의 발전용댐 중 일부는 상류의 다목적댐의 방류량이 유입되기 때문에 이를 제외한 자체 유입량만을 고려하여 용수공급 능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발전용댐 유입량의 상류 수원 기여도를 평가함으로써 화천댐 등 한강유역 발전용댐의 용수공급 효과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기여도 평가 관련해서는 다수의 연구자가 분석한 사례가 있다. Kim et al.(2014)는 SWAT-K를 활용하여 팔당댐 상류 댐들의 운영 및 하천수 사용에 따른 팔당댐 유입량 변화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Park et al.(2010)은 농업용저수지의 유입량과 저수량 및 하천유역 수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토지이용변화, 식생변화 및 기후변화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하여 기후변화가 가장 큰 기여도를 나타낸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남한강 주요 유입하천을 대상으로 갈수기 오염부하 기여율을 분석하였으며 댐 유입량에 대한 분리를 통해 기저 유출의 댐 유입 기여도를 제시하였고, 하천에 대한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정량화하여 하천에 미치는 기여도를 산정한 바 있다(Lee et al., 2018; Jung, 2018; Hong et al., 201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유역에 대한 물수지 순환과정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실제 수요-공급망 및 위치기반 물 수급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발전용댐 수원별 유입량 기여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대상유역

본 연구에서는 발전용댐 수원별 유입량 기여도 분석을 위해 대상유역을 Fig. 1과 같이 괴산댐, 화천댐, 충주댐, 횡성댐, 소양강댐 하류에서부터 팔당댐 상류유역으로 선정하였다. 발전용댐과 다목적댐의 경우 댐 방류량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댐 상류유역을 제외하였으며 각 댐 하류부터 팔당댐 상류 유역까지는 하도구간에서의 하천취수, 광역상수도 취수, 하수처리시설 방류 등 다양한 취·배수시설을 통해 물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Fig. 1. Description of Study Area
../../Resources/KSCE/Ksce.2024.44.5.0649/fig1.png

2.2 대상유역 물 수급 네트워크 구축

대상유역에 대해 운영 중인 시설물을 조사하여 위치를 반영한 물 수급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는 공식적이고 신뢰성 있는 물 이용 관련 자료를 조사하였다. 관련 자료에 대한 기간 등을 고려하여 2004∼2018년에 대한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생활 및 공업용수 이용량의 경우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상수도통계와 하천수 사용실적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농업용수 관련 자료는 하천수 사용실적자료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연간 수요량(수리안전답, 수리불안전답, 관개전, 비관개전, 축산용수)을 이용하였다. 농업용수 수요패턴의 경우 MLIT(2016)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적용하였던 반순별 수요량 패턴 자료를 활용하였다. 하천수 사용실적 자료는 하천수사용관리시스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다목적댐, 보 및 광역상수도 공급량은 물포털 및 K-water의 수도관리연보 자료를 활용하였다. 발전용댐 운영 자료는 한국수력원자력(주)으로부터 제공받았으며 하수처리시설 방류량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의 전국오염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관련 자료를 구축하였다.

하천수사용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하천수 일별 사용실적 자료를 활용할 경우 사용실적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시설물이 대상유역에 901개나 존재하며 이들 시설물의 일허가량은 3,409,364 ㎥/일로 적지 않은 양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보다 현실적인 분석을 위해 미보고 시설물에 대해서는 인근 보고대상 시설물의 취수실적을 반영하여 취수일수 및 허가량 대비 실 사용량 비율을 적용하여 취수자료를 산정하였다. 대상유역에는 496개의 농업용저수지가 건설되어 운영 중이며 이를 모두 네트워크에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어 표준유역별 대표저수지 개념으로 이를 반영하였다. 대표저수지는 표준유역에 위치한 모든 농업용저수지를 하나의 저수지로 표현하여 각 저수지의 유역면적, 총저수량, 유효저수용량 등을 합산한 것으로 해당 유역의 농업용수를 모두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관개시설을 통해 농업용수를 공급받는 수리안전답과 관개전에만 공급한다고 가정하였다.

TRM(2021)의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는 토양수분 저류구조를 가진 TANK 모형에 용설·적설에 의한 지체효과를 반영하였으며 매개변수를 SCE-UA 전역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추정한 후 유역특성을 고려하여 매개변수 지역화를 통해 수자원단위지도 기준 표준유역별로 자연유출량을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 산정된 표준유역별 자연유출량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 및 산정된 물수지 분석 관련 자료와 대상유역에 대해 조사된 물이용 순환과정을 활용하고 현재 진행 중인 가뭄대응 물관리 혁신기술개발사업에서 개발된 K-WEAPdsq(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 Water Demand-Supply-Quality) 모형을 이용하여 구성된 대상유역의 물 수급 네트워크는 Fig. 2와 같으며 관련 시설물을 모두 반영하였기 때문에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되었다.

Fig. 2. Water Supply and Demand Network of Study Area
../../Resources/KSCE/Ksce.2024.44.5.0649/fig2.png

2.3 물수지 분석 방법

국내에서 수행된 기존 물수지 분석 방법은 주로 과부족량과 가용유량을 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표적인 물수지 분석은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이 있으며 수자원부존량에서 수요량을 감하고 회귀량을 합산하여 지역별 물 부족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하천수 사용허가의 물수지 분석은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에서 허가량과 하천유지유량을 감하여 하도구간별 가용유량을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용댐 유입량의 수원별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 기존 물수지 분석 방법과는 달리 하도구간에서의 손실량을 고려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발전용댐 수원별 유입량은 Eq. (1)을 통해 산정하였다.

(1)
$I_{t}= O_{t}+Q_{t}- D_{t}+R_{t}-L_{t}$

여기서, $I_{t}$는 댐 유입량, $O_{t}$는 상류 댐의 방류량, $Q_{t}$는 상류유역의 자연유출량, $D_{t}$는 상류 댐수와 하천수 사용량, $R_{t}$는 하도구간으로의 수요처 및 처리시설로부터의 회귀량, $L_{t}$는 하도구간 손실량을 의미한다.

물수지 분석은 자료 구축기간을 고려하여 2004∼2018년에 대해 수행하였다. 모의시간단위는 반순으로 선정하였으며 반순별 분석은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이나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 물수지 분석을 위해 설정된 모의시간이다. 먼저 대상유역에 대해 반순별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대표지점의 관측유량과 분석을 통해 계산된 모의유량을 비교한 후 편차를 줄이기 위해 하도구간 손실량($L_{t}$)을 보정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비교를 위한 대표지점으로는 비교적 자료의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4개 발전용댐 지점(춘천댐, 의암댐, 청평댐, 팔당댐)과 여주시(여주대교)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주요 통계량으로는 ROV(Ratio of volume), NSE(Nash-Sutcliffe efficiency), RMSE(Root mean square error), CC(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고 Eqs. (2)(5)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각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에 대한 비교도 수행하였다.

(2)
$ROV =\left\{\sum_{i=1}^{N}\left\{q_{si m}^{i}\right)\right\}/\left\{\sum_{i=1}^{N}\left\{q_{obs}^{i}\right)\right\}$
(3)
$NSE = 1 -\left\{\sum_{i=1}^{N}\left(q_{obs}^{i}-q_{si m}^{i}\right)^{2}\right\}/\left\{\sum_{i=1}^{N}\left(q_{obs}^{i}-\overline{q_{obs}}\right)^{2}\right\}$
(4)
$R M SE =\sqrt{\sum_{i=1}^{N}\left(q_{obs}^{i}- q_{s im}^{i}\right)^{2}/N}$
(5)
$CC=\left[\sum_{i=1}^{N}\left(q_{obs}^{i}-\overline{q_{si m}}\right)\left(q_{si m}^{i}-\overline{q_{obs}}\right)/N\right]/(\sigma_{si m}\sigma_{obs})$

여기서, $N$은 전체 자료의 수, $q_{obs}^{i}$는 관측값, $q_{si m}^{i}$은 모의값, $\overline{q_{obs}}$는 관측값의 평균, $\overline{q_{si m}}$은 모의값의 평균, $\sigma_{obs}$는 관측값의 표준편차, $\sigma_{si m}$은 모의값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발전용댐 수원별 기여도 평가를 위한 물수지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이 가정하였다. 1) 하도구간 손실량은 하천수와 댐수가 동일한 비율로 손실된다. 이때 하도구간 손실량은 MLTM(2011)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제시한 월별 최대 손실율(5∼9월: 20 %, 10∼4월: 9.1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추정한다. 2) 하천수 사용허가시설물 취수는 하천수만을 취수하거나 하천수와 발전용댐수를 동일한 비율로 취수한다. 댐 계약시설물의 취수는 하도구간의 유량 중 계약된 다목적댐수만을 취수한다. 3) 발전용댐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와 상류 발전용댐수는 해당 발전용댐의 댐수로 가정하고 발전용댐으로 유입되는 다목적댐수는 다목적댐수로 가정한다. 4) 발전용댐으로 유입되는 다목적댐수를 우선적으로 방류한다. 방류하고 남은 잔여 다목적댐수를 우선적으로 방류한다는 가정과 발전용댐수와 완전혼합되어 방류한다는 가정 하에 분석한다. 이와 같은 가정을 통해 물수지 분석은 하천수 사용허가시설물의 취수 조건과 잔여 다목적댐수 방류 조건에 따라 Table 1과 같이 4가지 경우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Table 1. Cases for Water Balance Analysis According to Assumptions

Case

Intake of facilities permitted to use stream water

Release of residual multipurpose dam water

Stream water use

Stream water & Hydropower dam water use

Multipurpose dam release

Completely mixed

release

Case1

X

X

Case2

X

X

Case3

X

X

Case4

X

X

2.4 기여도 평가 방법

수원별 유입량 기여도 평가를 위해서는 하도구간별 운송손실량을 계산하여야 하며 하도구간의 운송손실량은 하도구간의 취수량과 손실량을 합하여 산정가능하다. 유역에서 발생되거나 댐으로부터 방류된 유량은 하천구간을 통과하면서 침투 및 침루, 증발 등에 감소되어 하류로 이동되며 USDA NRCS(2001)는 하천구간에서의 운송 시 발생하게 되는 손실을 ‘transmission loss’라 정의하였다.

하도구간에서의 손실량은 하도구간에서 감소되는 양으로 분석모형인 K-WEAPdsq에서는 이를 하도구간에 흐르는 하천유량에 대한 백분율(%)로 입력하여 모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지점의 관측치와 모의치의 편차를 상류 하도구간의 손실량으로 고려하여 하도구간별 손실율을 추정하였다.

Table 1에서 제시된 4가지 경우에 대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한 후 회귀수를 포함한 하천유출량, 발전용댐과 다목적댐에서 방류한 양 및 하도구간에서의 운송손실량을 이용하여 실제 발전용댐까지 운송되는 수원별 유입량을 계산할 수 있다. 수원별 발전용댐 유입량 기여도 평가는 Eq. (6)을 통해 산정하였다.

(6)
$C_{i}(\%)=\dfrac{I nflow_{i}}{I nflow_{all}}\times 100$

여기서, $C_{i}$는 수원별 발전용댐 유입량 기여율, $I nflow_{i}$는 수원별 발전용댐 유입량, $I nflow_{all}$은 발전용댐 전체 유입량을 나타낸다.

3. 적용결과

3.1 운송손실량을 고려한 모의유량 비교·평가

하도구간별 손실량을 추정한 후 K-WEAPdsq 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에 대한 반순별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5개 대표지점에 대해 산정된 모의유량과 관측유량을 비교한 결과를 Fig. 3Table 2에 나타내었다. Fig. 3은 5개 대표지점의 관측유량 시계열과 모의유량 시계열을 도시한 것으로 모의유량이 관측유량을 잘 재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Table 2에 제시한 통계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5개 지점에 대한 ROV는 0.95∼1.22, NSE는 0.95∼0.99, CC는 0.98∼0.99로 분석되었고, 평균은 3.06∼50.03 ㎥/s, 표준편차는 13.2∼59.03 ㎥/s의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의 차이를 나타냈다. 여주대교 지점의 경우 Fig. 3(d)와 같이 2006∼2009년 자료의 이상치로 인해 적합도 평가 결과가 다른 지점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표지점의 관측유량과 모의유량 간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를 통해 산정된 하도구간의 운송손실량 등의 매개변수가 잘 보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Fig. 3. Comparison of Simulated and Observed Flow. (a) Chuncheon Dam, (b) Uiam Dam, (c) Cheongpyeong Dam, (d) Yeojudaegyo, (e) Paldang Dam
../../Resources/KSCE/Ksce.2024.44.5.0649/fig3.png
Table 2. Evaluation of the Simulation Results Compared with Observed Data

Observation point

Average (㎥/s)

Standard dev. (㎥/s)

ROV

NSE

RMSE

CC

Obs.

Sim.

Obs.

Sim.

Chuncheon dam

71.63

68.57

147.23

134.03

1.04

0.98

22.87

0.99

Uiam dam

137.38

144.25

191.71

214.13

0.95

0.97

31.29

0.99

Cheongpyeong dam

193.31

185.35

327.86

305.08

1.04

0.99

39.42

0.99

Yeojudaegyo

279.26

229.23

448.53

417.24

1.22

0.95

102.66

0.98

Paldang dam

471.45

455.70

878.10

819.07

1.03

0.99

88.68

0.99

3.2 발전용댐에 대한 수원별 유입량 기여도 평가

각 발전용댐에 대한 수원별 유입량 기여도 평가 결과는 Tables 3∼6과 같다. Fig. 4는 Case4에 대해 반순별로 분석한 팔당댐 수원별 유입량을 월별로 합산하여 도시한 것이다.

Fig. 4. Inflow Time Series by Water Sources into Paldang Dam(Case4)
../../Resources/KSCE/Ksce.2024.44.5.0649/fig4.png

Case1에 대한 분석 결과 연도별 차이는 있지만 춘천댐은 화천댐수 유입이 가장 컸으며 의암댐은 소양강댐수와 춘천댐수의 유입이 비슷하였고, 춘천댐과 의암댐 사이와 소양강댐과 의암댐 사이 하도구간이 짧기 때문에 하천수 유입이 가장 작았다. 청평댐은 의암댐수의 유입량 기여도가 38.16 %로 가장 높았으며 소양강댐수 및 하천수 유입량 기여도는 33.05 %, 28.79 %로 분석되었다. 팔당댐의 경우 다양한 수원으로부터 유입되며 다목적댐수 유입은 45.99 %, 발전용댐수 기여도는 28.92 %, 하천수 유입은 24.23 %로 분석되었다.

Case2는 잔여 다목적댐수가 완전혼합되었다는 가정 하에 방류하기 때문에 잔여 다목적댐수가 발생할 수 있는 청평댐 유입과 팔당댐 유입 부분에서 Case1과 차이를 보인다. 잔여 다목적댐수의 방류 방식에 따라 발전용댐으로의 수원별 유입량 차이는 미미하며, Case1과 가장 큰 유입량 차이는 0.07억㎥/년으로 분석되었다.

Case3의 경우 잔여 다목적댐수의 우선적인 방류와 하천수사용허가시설물이 하도구간의 하천수와 발전용댐수 비율로 취수하기 때문에 Case1보다 발전용댐수 유입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의암댐으로 유입되는 춘천댐수가 최대 0.12억㎥/년 줄어들었으며 한강 본류에서 하천수와 괴산댐수의 동시 취수로 인해 팔당댐으로의 괴산댐수 유입이 감소하였다. 또한 하천수사용허가시설물 취수 방법과 잔여 다목적댐수 방류 방식이 다른 Case2와 비교 시 발전용댐수 취수를 통해 발전용댐수 유입이 감소하였으며 팔당댐 유입량 중 잔여 다목적댐수의 우선 방류로 인해 충주댐수 유입이 Case2보다 더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se1과 Case2의 차이가 Case3과 Case4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두 경우가 동일한 하천수사용허가시설물 취수 방식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물수지 분석을 위한 가정 및 조건으로 인해 발전용댐 수원별 유입량 기여도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그 값이 크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연도별 강우에 의한 유입량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3. Evaluation of the Contribution of Inflow by Water Sources into Chuncheon Dam

Year

Chuncheon dam inflow (108 ㎥)

(Contribution of inflow (%))

Hwacheon dam

Streamflow

Case1

Case2

Case3

Case4

Case1

Case2

Case3

Case4

2004

17.69

(71.95)

17.69

(71.95)

17.66

(71.83)

17.66

(71.83)

6.90

(28.05)

6.90

(28.05)

6.93

(28.17)

6.93

(28.17)

2005

11.76

(65.48)

11.76

(65.48)

11.73

(65.32)

11.73

(65.32)

6.20

(34.52)

6.20

(34.52)

6.23

(34.68)

6.23

(34.68)

2006

13.55

(64.16)

13.55

(64.16)

13.53

(64.04)

13.53

(64.04)

7.57

(35.84)

7.57

(35.84)

7.59

(35.96)

7.59

(35.96)

2007

18.61

(71.31)

18.61

(71.31)

18.58

(71.21)

18.58

(71.21)

7.49

(28.69)

7.49

(28.69)

7.51

(28.79)

7.51

(28.79)

2008

19.97

(72.35)

19.97

(72.35)

19.93

(72.21)

19.93

(72.21)

7.63

(27.65)

7.63

(27.65)

7.67

(27.79)

7.67

(27.79)

2009

16.34

(67.83)

16.34

(67.83)

16.30

(67.66)

16.30

(67.66)

7.75

(32.17)

7.75

(32.17)

7.79

(32.34)

7.79

(32.34)

2010

18.33

(68.71)

18.33

(68.71)

18.30

(68.58)

18.30

(68.58)

8.35

(31.29)

8.35

(31.29)

8.38

(31.42)

8.38

(31.42)

2011

28.28

(73.07)

28.28

(73.07)

28.25

(72.98)

28.25

(72.98)

10.43

(26.93)

10.43

(26.93)

10.46

(27.02)

10.46

(27.02)

2012

10.78

(63.08)

10.78

(63.08)

10.76

(62.93)

10.76

(62.93)

6.31

(36.92)

6.31

(36.92)

6.34

(37.07)

6.34

(37.07)

2013

25.44

(72.50)

25.44

(72.50)

25.41

(72.41)

25.41

(72.41)

9.65

(27.50)

9.65

(27.50)

9.68

(27.59)

9.68

(27.59)

2014

5.78

(69.83)

5.78

(69.83)

5.75

(69.44)

5.75

(69.44)

2.50

(30.17)

2.50

(30.17)

2.53

(30.56)

2.53

(30.56)

2015

6.36

(62.71)

6.36

(62.71)

6.33

(62.42)

6.33

(62.42)

3.78

(37.29)

3.78

(37.29)

3.81

(37.58)

3.81

(37.58)

2016

8.76

(63.31)

8.76

(63.31)

8.73

(63.12)

8.73

(63.12)

5.08

(36.69)

5.08

(36.69)

5.10

(36.88)

5.10

(36.88)

2017

12.65

(66.75)

12.65

(66.75)

12.62

(66.57)

12.62

(66.57)

6.30

(33.25)

6.30

(33.25)

6.34

(33.43)

6.34

(33.43)

2018

10.20

(58.82)

10.20

(58.82)

10.16

(58.59)

10.16

(58.59)

7.14

(41.18)

7.14

(41.18)

7.18

(41.41)

7.18

(41.41)

Total

period

224.51

(68.54)

224.51

(68.54)

224.04

(68.39)

224.04

(68.39)

103.07

(31.46)

103.07

(31.46)

103.55

(31.61)

103.55

(31.61)

Table 4. Evaluation of the Contribution of Inflow by Water Sources into Uiam Dam

Year

Uiam dam inflow (108 ㎥)

(Contribution of inflow (%))

Soyanggang dam

Chuncheon dam

Streamflow

Case1

Case2

Case3

Case4

Case1

Case2

Case3

Case4

Case1

Case2

Case3

Case4

2004

25.73

(49.73)

25.73

(49.73)

25.73

(49.73)

25.73

(49.73)

24.09

(46.56)

24.09

(46.56)

24.03

(46.45)

24.03

(46.45)

1.92

(3.71)

1.92

(3.71)

1.98

(3.83)

1.98

(3.83)

2005

20.99

(52.39)

20.99

(52.39)

20.99

(52.39)

20.99

(52.39)

17.15

(42.80)

17.15

(42.80)

17.09

(42.65)

17.09

(42.65)

1.93

(4.80)

1.93

(4.80)

1.98

(4.95)

1.98

(4.95)

2006

28.60

(55.47)

28.60

(55.47)

28.60

(55.47)

28.60

(55.47)

20.47

(39.71)

20.47

(39.71)

20.41

(39.58)

20.41

(39.58)

2.49

(4.82)

2.49

(4.82)

2.55

(4.94)

2.55

(4.94)

2007

23.56

(45.54)

23.56

(45.54)

23.56

(45.54)

23.56

(45.54)

25.98

(50.24)

25.98

(50.24)

25.93

(50.13)

25.93

(50.13)

2.18

(4.22)

2.18

(4.22)

2.24

(4.33)

2.24

(4.33)

2008

17.96

(37.98)

17.96

(37.98)

17.96

(37.98)

17.96

(37.98)

26.97

(57.03)

26.97

(57.03)

26.92

(56.93)

26.92

(56.93)

2.36

(4.99)

2.36

(4.99)

2.41

(5.09)

2.41

(5.09)

2009

22.52

(46.90)

22.52

(46.90)

22.52

(46.90)

22.52

(46.90)

23.12

(48.16)

23.12

(48.16)

23.06

(48.04)

23.06

(48.04)

2.37

(4.94)

2.37

(4.94)

2.43

(5.06)

2.43

(5.06)

2010

19.54

(40.36)

19.54

(40.36)

19.54

(40.36)

19.54

(40.36)

26.19

(54.10)

26.19

(54.10)

26.14

(53.98)

26.14

(53.98)

2.68

(5.54)

2.68

(5.54)

2.74

(5.66)

2.74

(5.66)

2011

33.16

(44.15)

33.16

(44.15)

33.16

(44.15)

33.16

(44.15)

38.25

(50.92)

38.25

(50.92)

38.12

(50.75)

38.12

(50.75)

3.71

(4.93)

3.71

(4.93)

3.83

(5.10)

3.83

(5.10)

2012

17.14

(48.43)

17.14

(48.43)

17.14

(48.43)

17.14

(48.43)

16.24

(45.87)

16.24

(45.87)

16.18

(45.71)

16.18

(45.71)

2.02

(5.70)

2.02

(5.70)

2.08

(5.86)

2.08

(5.86)

2013

23.21

(38.00)

23.21

(38.00)

23.21

(38.00)

23.21

(38.00)

34.78

(56.95)

34.78

(56.95)

34.71

(56.83)

34.71

(56.83)

3.08

(5.05)

3.08

(5.05)

3.15

(5.16)

3.15

(5.16)

2014

14.56

(63.91)

14.56

(63.91)

14.56

(63.91)

14.56

(63.91)

7.37

(32.34)

7.37

(32.34)

7.31

(32.10)

7.31

(32.10)

0.85

(3.75)

0.85

(3.75)

0.91

(3.99)

0.91

(3.99)

2015

7.46

(41.63)

7.46

(41.63)

7.46

(41.63)

7.46

(41.63)

9.47

(52.83)

9.47

(52.83)

9.41

(52.52)

9.41

(52.52)

0.99

(5.53)

0.99

(5.53)

1.05

(5.85)

1.05

(5.85)

2016

12.89

(46.00)

12.89

(46.00)

12.89

(46.00)

12.89

(46.00)

13.21

(47.13)

13.21

(47.13)

13.14

(46.89)

13.14

(46.89)

1.92

(6.87)

1.92

(6.87)

1.99

(7.10)

1.99

(7.10)

2017

18.14

(47.33)

18.14

(47.33)

18.14

(47.33)

18.14

(47.33)

18.17

(47.39)

18.17

(47.39)

18.11

(47.25)

18.11

(47.25)

2.02

(5.28)

2.02

(5.28)

2.08

(5.42)

2.08

(5.42)

2018

19.20

(50.94)

19.20

(50.94)

19.20

(50.94)

19.20

(50.94)

16.38

(43.46)

16.38

(43.46)

16.30

(43.26)

16.30

(43.26)

2.11

(5.60)

2.11

(5.60)

2.19

(5.80)

2.19

(5.80)

Total period

304.67

(46.50)

304.67

(46.50)

304.67

(46.50)

304.67

(46.5)

317.84

(48.51)

317.84

(48.51)

316.88

(48.37)

316.88

(48.37)

32.64

(4.98)

32.64

(4.98)

33.60

(5.13)

33.60

(5.13)

Table 5. Evaluation of the Contribution of Inflow by Water Sources into Cheongpyeong Dam

Year

Cheongpyeong dam inflow (108 ㎥)

(Contribution of inflow (%))

Soyanggang dam

Uiam dam

Streamflow

Case1

Case2

Case3

Case4

Case1

Case2

Case3

Case4

Case1

Case2

Case3

Case4

2004

25.10

(36.27)

25.08

(36.25)

25.10

(36.27)

25.08

(36.25)

25.72

(37.17)

25.74

(37.19)

25.72

(37.17)

25.74

(37.19)

18.37

(26.55)

18.37

(26.55)

18.37

(26.55)

18.37

(26.55)

2005

20.42

(35.22)

20.40

(35.19)

20.42

(35.22)

20.40

(35.19)

18.50

(31.92)

18.52

(31.94)

18.50

(31.92)

18.52

(31.94)

19.05

(32.86)

19.05

(32.86)

19.05

(32.86)

19.05

(32.86)

2006

27.89

(38.32)

27.84

(38.26)

27.89

(38.32)

27.84

(38.26)

22.63

(31.10)

22.67

(31.16)

22.63

(31.10)

22.67

(31.16)

22.25

(30.58)

22.25

(30.58)

22.25

(30.58)

22.25

(30.58)

2007

22.61

(33.70)

22.68

(33.80)

22.61

(33.70)

22.68

(33.80)

27.33

(40.74)

27.27

(40.64)

27.33

(40.74)

27.27

(40.64)

17.15

(25.56)

17.15

(25.56)

17.15

(25.56)

17.15

(25.56)

2008

17.32

(28.19)

17.33

(28.21)

17.32

(28.19)

17.33

(28.21)

28.35

(46.13)

28.34

(46.12)

28.35

(46.13)

28.34

(46.12)

15.78

(25.68)

15.78

(25.68)

15.78

(25.68)

15.78

(25.68)

2009

21.68

(33.15)

21.68

(33.15)

21.68

(33.15)

21.68

(33.15)

24.71

(37.79)

24.71

(37.79)

24.71

(37.79)

24.71

(37.79)

19.01

(29.07)

19.01

(29.07)

19.01

(29.07)

19.01

(29.07)

2010

18.68

(28.20)

18.68

(28.20)

18.68

(28.20)

18.68

(28.20)

27.69

(41.81)

27.69

(41.81)

27.69

(41.80)

27.69

(41.80)

19.86

(29.99)

19.86

(29.99)

19.86

(29.99)

19.86

(29.99)

2011

31.83

(31.30)

31.83

(31.30)

31.83

(31.30)

31.83

(31.30)

40.73

(40.06)

40.73

(40.06)

40.73

(40.06)

40.73

(40.06)

29.12

(28.64)

29.12

(28.64)

29.12

(28.64)

29.12

(28.64)

2012

16.26

(31.80)

16.26

(31.81)

16.26

(31.80)

16.26

(31.81)

17.55

(34.32)

17.54

(34.31)

17.55

(34.32)

17.54

(34.31)

17.32

(33.88)

17.32

(33.88)

17.32

(33.88)

17.32

(33.88)

2013

22.37

(27.62)

22.37

(27.62)

22.37

(27.62)

22.37

(27.62)

36.20

(44.68)

36.20

(44.68)

36.20

(44.68)

36.20

(44.68)

22.45

(27.71)

22.45

(27.71)

22.45

(27.71)

22.45

(27.71)

2014

13.64

(50.38)

13.64

(50.38)

13.64

(50.38)

13.64

(50.38)

7.49

(27.67)

7.49

(27.67)

7.49

(27.67)

7.49

(27.67)

5.94

(21.95)

5.94

(21.95)

5.94

(21.95)

5.94

(21.95)

2015

6.89

(30.82)

6.89

(30.83)

6.89

(30.82)

6.89

(30.83)

9.36

(41.88)

9.36

(41.87)

9.36

(41.87)

9.36

(41.86)

6.10

(27.30)

6.10

(27.30)

6.10

(27.30)

6.10

(27.30)

2016

12.23

(31.80)

12.23

(31.80)

12.23

(31.80)

12.23

(31.80)

14.67

(38.15)

14.67

(38.15)

14.67

(38.15)

14.67

(38.15)

11.56

(30.05)

11.56

(30.05)

11.56

(30.05)

11.56

(30.05)

2017

16.86

(33.90)

16.86

(33.90)

16.86

(33.90)

16.86

(33.90)

18.91

(38.04)

18.91

(38.04)

18.91

(38.03)

18.91

(38.03)

13.96

(28.07)

13.96

(28.07)

13.96

(28.07)

13.96

(28.07)

2018

18.06

(35.15)

18.06

(35.15)

18.06

(35.15)

18.06

(35.15)

17.08

(33.24)

17.08

(33.24)

17.08

(33.24)

17.08

(33.24)

16.25

(31.61)

16.25

(31.61)

16.25

(31.62)

16.25

(31.62)

Total period

291.84

(33.05)

291.85

(33.05)

291.84

(33.05)

291.85

(33.05)

336.93

(38.16)

336.92

(38.16)

336.93

(38.16)

336.92

(38.16)

254.17

(28.79)

254.17

(28.79)

254.18

(28.79)

254.18

(28.79)

Table 6. Evaluation of the Contribution of Inflow by Water Sources into Paldang Dam

Year

Paldang dam inflow (108 ㎥)

(Contribution of inflow (%))

Soyanggang dam

Chungju dam

Hoengseong dam

Case1

Case2

Case3

Case4

Case1

Case2

Case3

Case4

Case1

Case2

Case3

Case4

2004

24.01

(12.92)

24.00

(12.92)

24.01

(12.92)

24.01

(12.92)

75.32

(40.54)

75.35

(40.56)

75.32

(40.54)

75.35

(40.56)

1.77

(0.95)

1.77

(0.95)

1.77

(0.95)

1.77

(0.95)

2005

19.41

(11.95)

19.39

(11.93)

19.41

(11.95)

19.41

(11.95)

56.36

(34.70)

56.36

(34.70)

56.42

(34.73)

56.42

(34.73)

1.62

(1.00)

1.62

(1.00)

1.62

(1.00)

1.62

(1.00)

2006

26.71

(13.31)

26.68

(13.29)

26.71

(13.31)

26.71

(13.31)

80.08

(39.90)

80.08

(39.90)

80.14

(39.93)

80.14

(39.93)

2.62

(1.30)

2.62

(1.30)

2.62

(1.30)

2.62

(1.30)

2007

21.64

(12.51)

21.68

(12.53)

21.64

(12.51)

21.64

(12.51)

63.25

(36.56)

63.25

(36.56)

63.31

(36.59)

63.31

(36.59)

1.33

(0.77)

1.33

(0.77)

1.33

(0.77)

1.33

(0.77)

2008

16.02

(12.61)

16.04

(12.63)

16.02

(12.61)

16.02

(12.61)

35.11

(27.63)

35.11

(27.63)

35.17

(27.68)

35.16

(27.68)

1.03

(0.81)

1.03

(0.81)

1.03

(0.81)

1.03

(0.81)

2009

20.04

(14.31)

20.06

(14.32)

20.04

(14.31)

20.04

(14.31)

39.75

(28.38)

39.75

(28.39)

39.83

(28.44)

39.83

(28.44)

1.30

(0.93)

1.30

(0.93)

1.30

(0.93)

1.30

(0.93)

2010

17.38

(10.86)

17.38

(10.86)

17.38

(10.86)

17.38

(10.86)

47.36

(29.60)

47.36

(29.59)

47.41

(29.63)

47.41

(29.63)

1.63

(1.02)

1.63

(1.02)

1.63

(1.02)

1.63

(1.02)

2011

30.64

(11.65)

30.63

(11.65)

30.64

(11.65)

30.64

(11.65)

90.04

(34.25)

90.05

(34.25)

90.08

(34.26)

90.09

(34.26)

2.45

(0.93)

2.45

(0.93)

2.45

(0.93)

2.45

(0.93)

2012

14.72

(10.13)

14.73

(10.14)

14.72

(10.13)

14.72

(10.13)

49.78

(34.27)

49.79

(34.27)

49.85

(34.32)

49.85

(34.32)

0.96

(0.66)

0.96

(0.66)

0.96

(0.66)

0.96

(0.66)

2013

20.68

(11.75)

20.68

(11.75)

20.68

(11.75)

20.68

(11.75)

48.08

(27.33)

48.08

(27.33)

48.13

(27.35)

48.13

(27.35)

2.03

(1.15)

2.03

(1.15)

2.03

(1.15)

2.03

(1.15)

2014

11.84

(18.16)

11.84

(18.16)

11.84

(18.16)

11.84

(18.16)

25.47

(39.09)

25.47

(39.09)

25.55

(39.21)

25.55

(39.21)

0.32

(0.50)

0.32

(0.50)

0.32

(0.50)

0.32

(0.50)

2015

5.86

(12.66)

5.86

(12.67)

5.86

(12.66)

5.86

(12.66)

13.35

(28.88)

13.35

(28.88)

13.44

(29.06)

13.44

(29.06)

0.10

(0.23)

0.10

(0.23)

0.10

(0.23)

0.10

(0.23)

2016

10.96

(13.01)

10.95

(13.00)

10.96

(13.01)

10.96

(13.01)

28.49

(33.83)

28.50

(33.83)

28.58

(33.93)

28.58

(33.93)

0.23

(0.27)

0.23

(0.27)

0.23

(0.27)

0.23

(0.27)

2017

15.32

(13.66)

15.33

(13.66)

15.32

(13.66)

15.32

(13.66)

32.01

(28.53)

32.01

(28.52)

32.10

(28.61)

32.10

(28.61)

0.82

(0.73)

0.82

(0.73)

0.82

(0.73)

0.82

(0.73)

2018

16.44

(12.88)

16.44

(12.88)

16.44

(12.88)

16.44

(12.88)

41.09

(32.21)

41.09

(32.21)

41.21

(32.30)

41.21

(32.30)

0.62

(0.49)

0.62

(0.49)

0.62

(0.49)

0.62

(0.49)

Total period

271.65

(12.53)

271.66

(12.53)

271.65

(12.53)

271.65

(12.53)

725.55

(33.46)

725.59

(33.46)

726.53

(33.50)

726.56

(33.50)

18.84

(0.87)

18.84

(0.87)

18.84

(0.87)

18.84

(0.87)

Streamflow

Goesan dam

Cheongpyeong dam

Case1

Case2

Case3

Case4

Case1

Case2

Case3

Case4

Case1

Case2

Case3

Case4

2004

36.06

(19.41)

36.06

(19.41)

36.09

(19.42)

36.09

(19.42)

4.83

(2.60)

4.79

(2.58)

4.80

(2.59)

4.77

(2.57)

43.79

(23.57)

43.80

(23.58)

43.79

(23.57)

43.79

(23.57)

2005

43.50

(26.78)

43.50

(26.78)

43.48

(26.77)

43.48

(26.77)

4.72

(2.91)

4.72

(2.91)

4.69

(2.88)

4.69

(2.89)

36.82

(22.67)

36.85

(22.68)

36.82

(22.67)

36.82

(22.67)

2006

42.96

(21.41)

42.96

(21.41)

42.96

(21.41)

42.96

(21.41)

4.46

(2.22)

4.46

(2.22)

4.41

(2.20)

4.40

(2.19)

43.86

(21.85)

43.89

(21.87)

43.86

(21.85)

43.86

(21.85)

2007

37.00

(21.38)

37.00

(21.38)

36.97

(21.37)

36.97

(21.37)

5.96

(3.45)

5.96

(3.45)

5.93

(3.43)

5.93

(3.43)

43.84

(25.34)

43.80

(25.32)

43.84

(25.34)

43.84

(25.34)

2008

29.90

(23.53)

29.90

(23.53)

29.87

(23.51)

29.87

(23.5)

2.52

(1.98)

2.52

(1.98)

2.49

(1.96)

2.49

(1.96)

42.49

(33.44)

42.47

(33.43)

42.49

(33.44)

42.49

(33.44)

2009

34.95

(24.96)

34.95

(24.96)

34.90

(24.92)

34.90

(24.92)

2.27

(1.62)

2.27

(1.62)

2.25

(1.61)

2.25

(1.60)

41.73

(29.8)

41.71

(29.78)

41.73

(29.8)

41.73

(29.8)

2010

43.82

(27.39)

43.82

(27.39)

43.80

(27.37)

43.80

(27.37)

3.80

(2.37)

3.80

(2.38)

3.77

(2.36)

3.77

(2.36)

46.03

(28.77)

46.03

(28.77)

46.03

(28.77)

46.03

(28.77)

2011

65.47

(24.90)

65.47

(24.9)

65.45

(24.90)

65.45

(24.90)

6.17

(2.35)

6.17

(2.35)

6.15

(2.34)

6.15

(2.34)

68.14

(25.92)

68.15

(25.92)

68.14

(25.92)

68.14

(25.92)

2012

40.69

(28.01)

40.69

(28.01)

40.65

(27.98)

40.65

(27.98)

5.38

(3.70)

5.38

(3.70)

5.35

(3.69)

5.35

(3.68)

33.73

(23.22)

33.72

(23.21)

33.73

(23.22)

33.73

(23.22)

2013

44.94

(25.54)

44.94

(25.54)

44.92

(25.53)

44.92

(25.53)

3.66

(2.08)

3.66

(2.08)

3.63

(2.06)

3.63

(2.06)

56.58

(32.16)

56.58

(32.16)

56.58

(32.16)

56.58

(32.16)

2014

13.67

(20.98)

13.67

(20.98)

13.63

(20.92)

13.63

(20.92)

1.89

(2.90)

1.89

(2.90)

1.85

(2.84)

1.85

(2.84)

11.97

(18.36)

11.97

(18.36)

11.97

(18.36)

11.97

(18.36)

2015

12.93

(27.97)

12.93

(27.97)

12.89

(27.88)

12.89

(27.88)

1.25

(2.71)

1.25

(2.71)

1.21

(2.62)

1.21

(2.62)

12.74

(27.56)

12.74

(27.55)

12.74

(27.56)

12.74

(27.56)

2016

17.89

(21.24)

17.89

(21.24)

17.86

(21.20)

17.86

(21.20)

2.32

(2.76)

2.32

(2.76)

2.27

(2.70)

2.27

(2.69)

24.34

(28.90)

24.35

(28.91)

24.34

(28.90)

24.34

(28.90)

2017

27.36

(24.38)

27.36

(24.38)

27.30

(24.33)

27.30

(24.33)

4.76

(4.24)

4.76

(4.24)

4.73

(4.21)

4.73

(4.21)

31.94

(28.46)

31.93

(28.46)

31.94

(28.46)

31.94

(28.46)

2018

34.29

(26.88)

34.29

(26.88)

34.22

(26.82)

34.22

(26.82)

3.43

(2.69)

3.43

(2.69)

3.38

(2.65)

3.38

(2.65)

31.71

(24.86)

31.71

(24.86)

31.71

(24.86)

31.71

(24.86)

Total period

525.44

(24.23)

525.44

(24.23)

524.98

(24.21)

524.99

(24.21)

57.42

(2.65)

57.38

(2.65)

56.91

(2.62)

56.86

(2.62)

569.72

(26.27)

569.71

(26.27)

569.72

(26.27)

569.72

(26.27)

4. 결 론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가뭄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전용댐의 용수공급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발전용댐을 통해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 댐별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발전용댐으로의 유입량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에 대한 물수지 순환과정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실제 수요-공급망 및 위치기반 물 수급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발전용댐 수원별 유입량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전용댐 유입량에 대한 수원별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기존 국내의 물수지 분석방법과는 다른 방법을 고려하였으며 국내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되는 대상유역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위한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먼저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대표지점의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을 비교·분석한 후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K-WEAPdsq 모형의 매개변수(하도구간 손실율)를 추정하였다. 매개변수 추정 후의 물수지 분석을 통한 모의유량과 대상유역의 대표지점인 춘천댐 유입량, 의암댐 유입량, 청평댐 유입량, 여주대교 지점의 관측유량 및 팔당댐 유입량과 비교하였다. 적합도 평가 결과 ROV는 0.95∼1.22, NSE 0.95∼0.99, 상관계수는 0.98∼0.99를 나타내어 물수지 분석 모형이 양호하게 보정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발전용댐 유입량 기여도 평가를 위한 물수지 분석에 있어 하천수사용허가시설물의 취수 조건과 잔여 다목적댐수 방류 조건에 따라 4개의 경우를 설정하였으며 수원으로부터 발전용댐까지 하도구간에서의 운송손실량(취수량, 손실량)을 산정함으로써 각 수원별 발전용댐 유입량을 분석하였다. 춘천댐의 경우 연도 및 Case에 따라 기여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화천댐수의 기여도는 58.6∼73.1 %, 하천수의 기여도는 26.9∼41.4 %로 분석되었다. 의암댐은 전체 분석기간동안 Case에 따라 소양강댐수가 46.5 % 유입되었으며 춘천댐수의 기여도는 48.4∼48.5 %, 하천수의 유입비율은 5.0∼5.1 %로 나타났다. 청평댐의 경우 연도 및 Case에 따라 소양강댐수는 27.6∼50.4 %, 의암댐수는 27.7∼46.1 % 유입되었으며 하천수의 유입 기여도는 22.0∼33.9 %로 분석되었다. 팔당댐은 전체 분석기간동안 소양강댐수 12.5 %, 충주댐수 33.5 %, 횡성댐수 0.9 % 유입되어 다목적댐수의 유입 기여도는 46.9 %로 분석되었으며 하천수의 유입 기여도는 24.2 %로 나타났고 괴산댐수 2.6 %, 청평댐수 26.3 %로 발전용댐수의 유입 기여도는 28.9 %로 분석되었다.

(3)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 상류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물수지 분석을 통해 발전용댐 수원별 유입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발전용댐의 용수공급 실적을 분석하고, 발전용댐으로 유입되는 자체유입량 평가를 통해 향후 발전용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에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는 공식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하여 활용하였으나 하천수사용 미보고 시설물의 취수실적자료, 농업용수 수요처의 회귀율 등 물 이용 관련 자료에 대한 추가 조사 및 연구를 통해 보다 현실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여러 개의 강우-유출 모형 결과를 활용하여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 수자원공급시설물의 실제 운영룰 등을 반영하여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Analysis of Water Balance for Hydropower Dam and the Contribution of Paldang Dam Inflow in the Han River basin), and Korea Environment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KEITI) through the Water Management Program for Drought, fund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22003610004).

References

1 
"Choi, J. W., Jeong, G. M., Kang, D. S., Ahn, J. H. and Kim, T. S. (2021), “Classification of hydropower dam in Northe-han River based on water storag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54, No. 8, pp. 567-576, https://doi.org/10.3741/JKWRA.2021.54.8.567 (in Korean)."DOI
2 
"Hong, J. Y., Lim, K. J., Shin, Y. C. and Jung, Y. H. (2015). “Quantifying contribution of direct runoff and baesflow to rivers in Han river system,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8, No. 4, pp. 309-319, https://doi.org/10.3741/JKWRA.2015.48.4.309 (in Korean)."DOI
3 
"Jeong, G. M., Choi, J. W., Kang, D. S., Ahn, J. H. and Kim, T. S. (2022a). “Evaluation of hydropower dam water supply capacity (I): indiviudal and integrated operation of hydropower dams in Bukhan river.”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55, No. 7, pp. 505-513, https://doi.org/10.3741/JKWRA. 2022.55.7.505 (in Korean)."DOI
4 
"Jeong, G. M., Kang, D. S., Kim, D. H., Lee, S. O. and Kim, T. S. (2022b). “Evaluation of hydropower dam water supply capacity (Ⅱ): estimation of water supply yield range of hydropower dams considering probabilistic inflow.”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55, No. 7, pp. 515-529, https://doi.org/10.3741/JKWRA.2022.55.7.515 (in Korean)."DOI
5 
"Jung, Y. H. (2018). “Dam inflow evaluation using hydrograph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60, No. 3, pp. 95-105, https://doi.org/10.5389/KSAE.2018.60.3.095."DOI
6 
"Kim, C. G., Kim, N. W. and Lee, J. E. (2014). “Assessing the effect of upstream dam outflows and river water uses on the inflows to the Paldang dam.”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7, No. 11, pp. 1017-1026, http://dx.doi.org/10.3741/JKWRA.2014.47.11.1017 (in Korean)."DOI
7 
"Lee, S. R., Shin, J. Y., Lee, G. J., Sung, Y. S., Kim, K. S., Lim, K. J. and Kim, J. G. (2018). “Analysis of water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and its contributions during dry season: Focusong on major streams inflow into South-Han river of Chungju-dam downstream.”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KSEE, Vol. 40, No. 6, pp. 247-257, https://doi.org/10.4491/KSEE.2018.40.6.247 (in Korean)."DOI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2016).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2001-2020) (in Korean)."URL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2011-2020) (in Korean)."URL
10 
"Park, G. A., Ahn, S. R., Park, M. J. and Kim, S. J. (2010). “Assessment of the contribution of weather, vegetation and land use change for agricultural reservoir and stream watershed using the SLURP model(II) -Calibration,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th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0, No. 2, pp. 121-135, https://doi.org/10.12652/Ksce.2010.30.2B.121 (in Korean)."DOI
11 
"Together by Related Ministries (TRM). (2021). Master Plan for National Water Management (2021-2030)."URL
12 
"USDA NRCS (2001).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Part 630, Hydrology. Washington, DC."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