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건혁
(GeonHyeok Bang)
1iD
이재훈
(JaeHoon Lee)
2†iD
이유재
(YuJae Lee)
3
서상구
(SangGu Seo)
4
허광희
(GwangHee Heo)
5iD
-
건양대학교 재난안전공학과, 박사과정
(Konyang University․27817@naver.com)
-
정회원․교신저자․건양대학교 재난안전공학과, 박사과정
(Corresponding Author․Konyang University․hoon141@naver.com)
-
종신회원․건양대학교 재난안전공학과, 박사과정
(Konyang University․leelou@hanmail.net)
-
종신회원․충남도립대학교 건설안전방재학과 교수, 공학박사
(Chungnam State University․seo@cnsu.ac.kr)
-
종신회원․건양대학교 해외건설플랜트학과 교수, 공학박사
(Konyang University․Heo@konyang.ac.kr)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키워드
에너지 기반 BWIM, 차량 운행특성, 하중 측정 정확도, 실내 실험
Key words
Energy Based BWIM, Vehicle operating characteristics, Load measurement accuracy, Indoor experiment
1. 서 론
산업화 이후, 경제성장으로 화물의 운송과 같이 교통은 인류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고, 건설 기술의 발전을 통해 장/대형 교량의 수
증가, 지하 및 고가도로 등 다양한 형태의 도로들이 생겨났다. 교량의 증가함에 따른 교량 노후화 및 안전문제가 화두 되고 있고 특히, 대형화물 차량의
과적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손상의 위협을 받고 있어 도로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과적 이동차량의 단속이 매우 중요하다. Lou et al.(2017)은 화물 차량의 하중 영향을 조사하고, 과적 차량이 교량의 서비스 수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Lou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적
차량은 교량의 서비스 수명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라 판단하였다. 또한, Cha et al.(2016)은 FE Modeling 기법을 이용하여 과적 차량이 강교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교량의 서비스 수명에 큰 악영향을
미치는 과적 차량에 대하여 단속하고 관리할 수 있다면 교량의 유지관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래서 Moses(1979)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량 위에서 차량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BWIM(Bridge Weigh In Motion을 개발했다. BWIM(Bridge
Weigh In Motion)은 교량 위를 통행하는 차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Moses가
개발한 초기 모델의 BWIM은 교량을 통행하는 이동차량의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Yoo et al.(2014)는 BWIM의 하중 측정에 관한 영향인자(교량의 형상, 주행속도, 주행패턴 등)에 따른 현장실험을 통하여 BWIM의 하중 측정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Lee et al.(2019)는 차량의 위치에 상관없이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FBG 기반 입력하중 측정센서를 개발함으로써 BWIM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Lee et al.(2001)는 BWIM의 기능을 이동차량의 하중 측정 뿐만아니라, 속도와 축간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FAD(Free of Axle Detector) BWIM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FAD BWIM은 차량의 축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하중 측정 성능은 향상되었지만 초기설치 비용과
유지관리가 비싸지는 단점이 있었다.
BWIM의 설치비용 감소를 위하여 Park et al.(2008a)은 축감지기가 없이 이동차량의 하중과 속도, 축간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Park et al.(2008b)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기존의 차량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거더의 휨모멘트의 영향선을 BWIM 보다 높은 정확도의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BWIM은 차량하중 측정을 위한 학습시간과 데이터가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Hwang(2009)은 극한 제I분포를 기반한 확률분포기법을 이용하여 총 4개의 지역에서 다양한 차종에 대한 특성과 차량의 하중 정보를 추출하고 교량 설계를 위한 새로운
활하중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Hwang(2009)의 연구는 BWIM 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로써 교량을 통행하는 이동차량의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차량의 하중을 정확하게 계측하기 위하여 기존의 BWIM의 이론을 에너지의 원리를 이용하여 교량을 통행하는 이동차량의 하중을 계측하는
Energy based BWIM 시스템으로 수정 보완하여 업그레이드했다. 보완된 EnBWIM 시스템의 이론적인 검증을 위한 다양한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현장의 이동차량에 발생할 수 있는 이동차량의 특성에 따른 계측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동차량의 적재량의 변화가 계측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두 번째는 속도가 하중 측정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바퀴의 재질에 따른 강성이 하중 계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 연구방법
2.1 EnBWIM 이론
ENBWIM 이론은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기술로, 기존의 이동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BWIM을 개선하여 개발하였다. BWIM은 이동
차량에 의해서 발생한 휨모멘트를 측정하는 반면에 EnBWIM에서는 이동 차량의 하중에 의해서 발생하는 변형에 대한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하중
$P$에 의해 교량의 한점에서 발생하는 변형에너지 $U$는 아래 Eq. (1)과 같다.
위 Eq. (1)에서 $\epsilon$은 변형률이고, $L$은 교량의 길이이다. 이때, 하중 $P$가 단위하중이라고 가정한다면, 교량의 길이 $L$과 $\dfrac{1}{2}$은
상수이므로 변형에너지$U$는 아래와 같이 변형률의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변형률 $\epsilon$은 Hook’s law에 의해서 Eq. (2)과 같이 모멘트($M$)로 정의할 수 있다.
Eq. (3)에서 $I$는 단면 2차모멘트를 의미하고, $y$는 하중이 작용하는 중립축까지의 거리이다. 위 Eq. (3)에서 변형률은 모멘트와 비례하는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Eq. (2)의 변형에너지는 휨모멘트의 양과 비례하며, Eq. (4)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Eq. (4)를 통하여 우리는 교량에서 하중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값으로 교량에서 발생하는 변형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교량을 통행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동하중의 위치에 따라 교량의 한점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대하여 영향선에 대하여 식을 나타내면 변형에너지는 아래 Eq. (5)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위 Eq. (5)에서 $I_{L}$은 에너지의 영향계수를 의미한다. 만약 차량의 축 개수가 $n$라고 하고 그에 대하여 교량에서 발생한 변형에너지의 총합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q. (6)에서 $P(k)$는 차량의 $k$번째 차축하중을 의미하고, $I_{L}(k)$는 $k$번째 차축하중에 의한 영향계수를 의미한다. 위 식을 행렬의 형태로
만들면 아래 Eq. (7)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Eq. (7)에서 $[U]$는 변형에너지에 대한 벡터값으로 데이터 개수가 $N$개를 추출하였을 때, $[N\times 1]$ 형태의 벡터값이다. 그리고 $[I_{L}]$는
$[N\times 1]$ 형태의 영향계수에 대한 벡터이며, $[P]$는 $[N\times m]$의 형태의 하중 행렬이다. $m$는 $N$의 값보다
작은 정수이다. 이때, 기지의 차량을 이용하여 $[P]$와 $[U]$를 알았을 때, $[I_{L}]$에 대한 식으로 변경하면, 아래와 같은 Eq.
(8)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q. (8)에서 하중 행렬 $[P]$는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치행렬의 형태를 만들어주었으며, 미지수인 영향계수의 값은 하중과 에너지의 관계로 계산되어진다.
계산된 영향계수를 Eq. (7)에 대입하고, Eq. (7)을 하중에 대한 식으로 전개하면 Eq. (9)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Eq. (9)에서 영향계수 행렬 $[I_{L}]$도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치행렬을 이용하여 정방행렬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계산된 영향계수와 센서로부터
계산된 에너지값을 이용하여 미지의 차량에 대한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2.2 EnBWIM 이동하중 산정 예시
본 절에서는 ENBWIM을 이용하여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계산과정을 정리하고 검증하였다. Fig. 1과 같이 단위 하중을 갖는 차량이 교량을 통행하였을 때를 가정하여 EnBWIM의 하중 계산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동 차량에 의해서 교량의 한 점에서는 모멘트가 발생하고, 교량 중앙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계측된 모멘트는 Fig. 2와 같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하중에 의한 모멘트의 영향선은 Fig.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멘트는 Eq. (5)과 같이 에너지에 대하여 정리할 수 있으며, Eq. (7)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동차량의 하중을 계산하는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내었다.
EnBWIM을 이용한 이동 차량 하중 측정 과정은 Fig.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우선 하중 정보를 알고 있는 차량을 이용하여 계측을 진행하고, Eq. (8)를 이용하여 하중 정보와 에너지의 값을 이용하여 영향계수를 추출한다. 계산된 영향계수를 Eq. (9)에 대입하여 차량의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영향계수의 값을 검증하였다. 그 다음으로 미지의 차량으로 인한 데이터를 Eq. (9)에 대입하여 미지의 차량하중을 산정한다.
Fig. 1. Example for EnBWIM Theory
Fig. 3. Influence Line of Moment
Fig. 4. Flow Chart of Calculate Influence Line of Moment
3. 이동차량 하중 측정 정확도 분석
3.1 실내 모형 계측 시스템 설계 (모형교량, 모형차량)
본 연구에서 개발한 EnBWIM 시스템으로 이동차량의 하중을 정확하게 계측 할 수 있는지를 실내실험을 통하여 다양하게 검증하였다. 하중 측정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교량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이동하중의 운행특성을 선정하였다. 현장의 이동차량에 발생할 수 있는 이동차량의 특성에 따른 계측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동차량의 다양한 운행특성을 고려한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내실험을 위하여 모형 교량과 모형차량을 제작하고, 실내 모형 계측 시스템을
설계 및 구성하였다.
실내 모형 계측 시스템의 구성은 Fig.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형 교량, 모형차량, 차량의 이동을 위한 모터, 모형차량에 의해 교량 상판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센서로부터
계측된 데이터의 수집을 위한 데이터 로거 그리고 데이터 분석을 위한 PC로 구성된다. 실내실험을 위한 센서는 Fig.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교량의 중앙 구간(a-b)에 위치한 상판 하부에 교 축 방향으로 설치되었다. 이동차량이 교량을 통행했을 때, 센서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이동 차량의 하중에 의해서 교량 상판에서 발생하는 변형은 교량의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닌 국부적인 구간에서 발생한다. 본 실험에서는
하중에 의한 교량의 국부적인 변형만을 측정하고 검증하기 위하여 특정 교량의 형상 및 제원을 모사하지 않고 단순보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모형
교량은 총 길이가 10 m에 폭 0.6 m이고 상판의 두께는 0.002 m이며, H형 Beam이 메인거더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모형은 교량의 바닥판에 차량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2축 모형차량을 선정하였고, 실제 차량의 운행특성을 모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고려하였다. 먼저, 2축 차량을 선정하고, 하중 전달 능력이 적합한 바퀴를 선정하였으며, 양쪽 바퀴에 각각 별도의 센서로 하중 전달이 가능한 차폭을
선택하였다. 마지막으로 2축 차량의 축거는 실제 차량에서와 같이 각축의 하중을 바닥판 센서에 정확하게 계측이 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실제 차량의 운행특성을 모사한 모형차량의 형상은 Fig.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총 길이는 42 cm, 폭은 12 cm, 축간거리는 27 cm로 설계되었다. 또한, 모형 차량의 하중을 센서에 전달하기 위하여
바퀴 재질을 Table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압축강도가 30 MPa인 폴리우레탄을 기준으로, 80 MPa인 폴리염화비닐 그리고 300 MPa의 강재를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차량의 하중은 예비 테스트를 통하여 교량 상판의 변형이 발생하는 최소 하중인 2 kgf으로 결정되었다.
Fig. 5. Configuration of Indoor Model Measurement System
Table 1. Specification of the Model Vehicle
Length
|
42 cm
|
Weight
|
2 kgf
|
Wheel's Material
|
Polyure
thane
|
Polyvinyl Chloride
|
Steel
|
Compressive Strength
|
30 MPa
|
80 MPa
|
300 MPa
|
3.2 이동차량 운행특성 실험
3.2.1 이동차량의 하중 변화에 따른 측정 정확도 분석
이동차량의 운행특성 중의 하중은 교량 상판의 변형(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써, 교량 상판의 변형을 발생시키는 최소 하중으로 2 kgf의 모형차량을
이용한 실내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모형 차량의 하중을 5 kgf과 9 kgf으로 증가시킴으로써, EnBWIM 시스템의 이동차량의 하중(적재량)의
증가량에 따른 교량 상판에 전달되는 에너지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동차량의 하중(적재량) 변화에 따른 이동차량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실내실험의 조건은 Table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형차량의 하중은 2 kgf, 5 kgf 그리고 9 kgf으로 계획하였다. 그리고 모형차량의 이동 속도는 다양하게 계획한
속도 범위(0.2 m/s ~0.7 m/s)에서 0.4 m/s로 선정하였다.
이동차량의 하중(적재량) 변화에 따른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정확도 분석 실험 결과는 Table 3과 같이 2 kgf일 때, 1.9975 kgf를 측정하고 0.11 %의 오차율을 보였다. 그리고 모형 차량이 5 kgf, 9 kgf일 때, 측정한
모형차량의 하중 값은 각각 4.9635 kgf(오차율 0.73 %)와 8.9352 kgf(오차율 0.72 %)를 측정함으로써 모든 조건에서 1 %
미만의 오차율을 보였다. 모형차량의 하중 변화에 따른 실내실험 결과,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2. Condition of Model Vehicle for Indoor Test
Condition
|
Case 1
|
Case 2
|
Case 3
|
Weight
|
2 kgf
|
5 kgf
|
9 kgf
|
Speed
|
0.4 m/s
|
Table 3. Specification of the Model Vehicle
Real Weight
|
2 kgf
|
5 kgf
|
9 kgf
|
Measment Weight
|
1.9978
|
4.9635
|
8.9352
|
Error (%)
|
0.11
|
0.73
|
0.72
|
3.2.2 이동차량의 속도 변화에 따른 측정 정확도 분석
이동차량의 속도는 이동 차량의 하중이 갖는 에너지를 교량의 상판에 절달하는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동차량의 속도 변화에 따른
이동차량이 계측센서에 전달하는 에너지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내실험을 진행하였다. 모형차량의 속도에 따른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정확도의 경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최저 속도 0.2 m/s에서부터 최대 속도 0.7 m/s까지 0.1 m/s씩 증가시켰다.
모형차량의 속도변화에 따른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결과, Fig. 7과 Table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형 차량의 속가 증가할수록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오차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모형 차량의 하중이
2 kgf인 경우에 평균 오차율이 0.11 %으로 가장 정확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5 kgf와 9 kgf는 속도에 따른 오차율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이동 속도가 0.4 m/s에서부터 오차율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형차량의 속도 변화에 따른 실내실험 결과, 이동 속도가
증가할수록 에너지 전달률이 증가하여 이동 차량의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Load Measurement Results
Table 4. Condition of Model Vehicle for Indoor Test
Condition
|
Case 1
|
Case 2
|
Case 3
|
Case 4
|
Case 5
|
Case 6
|
Speed
(m/s)
|
0.2
|
0.3
|
0.4
|
0.5
|
0.6
|
0.7
|
Table 5. Load Measurement Result of Indoor Test
Criteria
|
Weight of Model Vehicle
|
2 kgf
|
5 kgf
|
9 kgf
|
Condition
|
Meas.
(kgf)
|
Error
(%)
|
Meas.
(kgf)
|
Error
(%)
|
Meas.
(kgf)
|
Error
(%)
|
Speed
(m/s)
|
0.2
|
1.9958
|
0.21
|
4.961
|
0.78
|
8.9325
|
0.75
|
0.3
|
1.9968
|
0.16
|
4.9625
|
0.75
|
8.946
|
0.6
|
0.4
|
1.9978
|
0.11
|
4.9635
|
0.73
|
8.9352
|
0.72
|
0.5
|
1.998
|
0.1
|
4.9825
|
0.35
|
8.955
|
0.5
|
0.6
|
1.9984
|
0.08
|
4.9785
|
0.43
|
8.9739
|
0.29
|
0.7
|
1.9998
|
0.01
|
4.99
|
0.2
|
8.9775
|
0.25
|
3.2.3 이동차량의 바퀴 재질에 따른 측정 정확도 분석
차량의 바퀴는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며 지면에 차량의 하중(에너지)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바퀴는 이동 차량의 하중에 의해 압축되어 변형됨으로써,
에너지 전달률을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바퀴의 재질(강도) 변화에 따른 이동차량이 계측센서에 전달하는 에너지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내실험을
진행하였다. 차량의 바퀴 재질은 Table 1에서 설명한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강재가 이용되었다.
Fig. 8은 차량의 바퀴 재질에 따른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정확도 분석 결과이다. Fig. 8(a), (b) 그리고 (c)의 그래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든 실험에서 하중 측정 결과로 오차율이 1 % 미만으로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성능이 우수한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바퀴 재질(강도)의 변화에 따른 하중 측정 성능을 비교한 결과, 바퀴 재질이 폴리우레탄인 경우, 하중이 2 kgf일 때 가장 정확도가 높았다.
그리고 폴리염화비닐의 경우에는 5 kgf일 때,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바퀴의 재질이 강재일 때는 9 kgf일 때 가장 하중 측정
정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차량의 바퀴 재질(강도)에 따른 하중 측정 정확도는 이동 차량의 하중에 의해서 바퀴 변형 정도에 따라
이동 차량으로부터 센서에 전달되는 에너지량이 변화된다고 판단하였다.
Fig. 8. Load Measurement Performance Results of the EnBWIM System according to the
Wheel’s Material of Model Vehicles. (a) Weight : 2 kgf, (b) Weight : 5 kgf, (c) Weight
: 9 kgf
4. 결 론
본 연구에서 이동차량으로 인한 교량의 한 점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동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차량의 운행특성에 따른 EnBWIM 시스템의 이동차량 하중 측정 분석 실험을 진행한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모형차량의 하중변화에 따른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정확도 분석을 진행한 결과, EnBWIM 시스템은 이동 차량의 하중 조건에 관계없이
1 % 미만의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실제 차량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현장 검증이
필요하다.
(2) 모형차량의 속도변화에 따른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정확도 분석을 진행한 결과, 이동차량의 속도 빠를수록 하중 측정 오차율이 0 %에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EnBWIM 시스템은 저속 주행 차량보다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데 더 유리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모형차량의 바퀴 재질에 따른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정확도 분석을 진행한 결과, 차량의 바퀴 재질(강도)에 따라 이동 차량으로부터
센서에 전달되는 에너지량이 변화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이동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데에 1 %의 오차율을 보였으며, 실제 차량바퀴의 강도를 고려하면
EnBWIM 시스템은 일반 승용차량뿐만이 아니라 대형차량의 이동하중을 측정하는데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위와 같이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정확도 분석을 진행하기 위하여 모형차량을 이용한 실내실험을 통하여 EnBWIM 시스템의 하중 측정 정확도가
1 % 미만의 오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이동 차량의 운행특성에 대한 실내 실험을 통하여 EnBWIM 시스템의 현장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EnBWIM 시스템의 현장 적용성을 위해서는 온도로 인한 센서의 오차율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 교량에서의
센서 케이블의 길이에 대한 오차율과 비용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ement
This paper has been written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KSCE 2024 CONVENTION
paper.
References
"Cha, H., Liu, B., Prakash, A. and Varma, A. H. (2016). “Effect of local damage caused
by overweight trucks on the durability of steel bridges.” 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ies, Vol. 30, No. 1, 04014183, https://doi.org/10.1061/(ASCE)CF.1943-5509.0000685."
"Hwang, E. S. (2009). “Development of vehicular load model using heavy truck weight
distribution (I) - Data collection and estimation of single truck maximum weigh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9, No. 3A, pp. 189-197
(in Korean)."
"Lee, H. Y., Lee, S. H. and Choi, K. C. (2001). “A field experimental study of FAD
BWIM for freeway bridg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1, No. 5, pp. 597-609 (in Korean)."
"Lee, K. W., Han, J. W., Kim, C. Y. and Park, Y. S.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BG-based load measurement system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highway bridg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KSCE, Vol. 39, No. 4, pp.
469-475, https://doi.org/10.12652/Ksce.2019.39.4.0469 (in Korean)."
"Lou, P., Nassif, H., Su, D. and Truban, P. (2017). “Impact of overweight trucks on
the service life of bridge girder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642, No. 1, pp. 103-117, https://doi.org/10.3141/2642-12."
"Moses, F. (1979). “Weigh-in-motion system using instrumented bridges.” Transportation
Engineering Journal of ASCE, Vol. 105, No. 3, pp. 233-249."
"Park, M. S., Jo, B. W., Lee, J. and Kim, S. (2008a). “Development of PSC I girder
bridge weigh-in-motion system without axle detec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5A, pp. 673-683."
"Park, M. S., Jo, B. W., Lee, J. and Kim, S. (2008b). “Development of vehicle load
analysis system for steel composite cable-stayed bridg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6A, pp. 799-808."
"Yoo, D. G., Kyung, K. S., Lee, S. J., Lee, H. H. and Jeon, J. C. (2014).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in BWIM system and its field applica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26, No. 4, pp. 251-262, https://doi.org/10.7781/kjoss.2014.26.4.251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