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민
(Seong Min Jang)
1iD
박진성
(Jin Seong Park)
2
유용선
(Yong Sun Ryu)
3
최병훈
(Byoung hoon Choi)
4
정혁상
(Hyuk Sang Jung)
5†iD
-
정회원·동양대학교 건설공학과 박사과정
(Dongyang University·jsm2717@dyu.ac.kr)
-
정회원·동양대학교 건설공학과 박사과정
(Dongyang University·wlstjd149@dyu.ac.kr)
-
(주) 케미우스 코리아 대표이사
(Chemius Korea·sunnyryuys@naver.com)
-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도시철도국장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choibhsm@seoul.go.kr)
-
종신회원·교신저자·동양대학교 철도건설안전공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Dongyang University·yoricom@dyu.ac.kr)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키워드
무기질계 가소성 뒤채움재, 쉴드 TBM, 에트린자이트, LW 공법
Key words
ITB(Inorganic Thixotropic Backfill), Shield TBM, Ettringite, LW(Labiless Wasser glass)
1. 서 론
쉴드 TBM 공법은 비교적 연약한 지반에서 터널 외경보다 큰 쉴드를 지중에 추진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고 세그먼트 라이닝을 조립해 나가는 터널 굴착
공법으로써 굴진면에 압력을 가해 변형을 억제하고 테일보이드(Tailvoid)를 그라우팅하여 지반 변형을 방지하는 공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시공에서는 배면 지반과 세그먼트 사이에 테일보이드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하수와 토사가 유실되고 주변 지반 침하 및 터널 붕괴의
원인이 되고 있다(Kim et al., 2009). 특히 세그먼트 조립부분 또는 기타 접합부 등에서 사고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으며 그라우팅 공법의 부적절한 보강으로 인해 다량의 상부 호층 모래
토립자 및 지하수가 막장 내에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Koh et al., 2020).
국내에서는 이러한 테일보이드를 충진하기 위해 규산계 그라우트를 사용하여 쉴드 TBM 뒤채움재로서 활용하였으며 대표적인 공법으로는 LW(Labiless
Wasser glass) 공법이 있다. LW 공법의 경우 시공 후 경화가 발생하기 전에는 강도 발현이 어려우며 용탈현상으로 인해 그라우트의 팽창 및
파괴가 발생하고 있다(Chun, 2011). 또한 고결체로부터 물유리계의 성분이 용탈되어 지하수 및 토양을 오염시킨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Ryu, 2008). 물유리계 그라우트는 블리딩 발생으로 인한 재료 분리로 터널 상부 공극이 밀실히 채워지지 않아 TBM 뒤채움재로서는 활용이 어려운 공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일본에서 개발한 가소성 그라우트를 쉴드 TBM 뒤채움재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소성 그라우트는 LW 공법을 개량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물유리계 공법 등과는 달리 공동 충전 시 점도가 낮고 유동성을 갖지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점도가 점차 상승하기 때문에 가소성의 성질을 갖게 된다(Kim and Jang, 2011). 가소성 그라우트를 주입 후 시간경과에 따라 일정 수준이상의 강도를 발현하기 때문에 공동 등을 충전한 이후에도 지하수에 의해 쉽게 유실되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다(Sung, 2010). 그러나 가소성 그라우트는 겔 형성 이후에는 일정한 시간동안 가소성을 갖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 빠르게 강도발현을 시작하게 되어 원하는 공동을 충분히
충전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Lee et al.(2022)은 기존에 적용되던 쉴드 TBM 뒤채움재의 지하수에 의한 유실 및 가소성 유지시간에 대한 특성을 개선한 무기질계 가소성 뒤채움재(Inorganic
Thixotropic Backfill, ITB)를 개발하였다. ITB 그라우트는 기존 2액형 공법과 달리 고분자 증점제를 추가한 3액형 공법으로써
가소성 유지와 재료분리에 대해 안정성이 있는 공법이다. Lee et al.(2022)은 실내시험을 통해 ITB 그라우트의 내구성 및 유동성, 충전성 등의 공학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쉴드 TBM 뒤채움재로서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ITB 그라우트를 쉴드 TBM 뒤채움재로 적용하였을 때의 장기내구성과 용탈현상으로 발생되는 환경영향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쉴드 TBM 뒤채움재의 장기내구성은 여러 연구들을 통해 그 중요성이 대두대고 있다. Wang et al.(2019)은 수치해석을 통해 기존 규산계 그라우트의 장기 성능과 쉴드 TBM 세그먼트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발표한 바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뒤채움재가 쉴드 TBM의 안정성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장기내구성 평가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또한 쉴드 TBM 뒤채움재 장기내구성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Oh et al.(2017)은 쉴드 TBM 터널에서 뒤채움 주입이 장·단기 지반침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발표한 바 있다. 또한 3차원 응력-간극수압 연계해석을 수행하여
뒤채움재의 주입압, 지반조건 등을 변수로 지표침하 거동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쉴드 TBM 터널에서는 뒤채움 주입이 장기 침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쉴드 TBM 뒤채움재의 재료분리 및 가소성 유지시간에 대한 특성을 개선한 ITB 그라우트의 장기내구성을 분석하기 위해 일축압축강도시험,
길이변화실험, XRD(X-Ray Diffractometer)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초기재령에서의 내구성을 분석하기 위해 SEM(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EDX(Energy Dispersive X-ray)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탈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ITB 그라우트의 환경영향성을
분석하고자 중금속 용출시험, 어독성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기존 쉴드 TBM 뒤채움 공법의 문제점
쉴드 TBM 공법은 터널의 외경보다 큰 단면의 굴착장비를 통해 터널 내부 토사 붕괴 및 유동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굴착 및 세그먼트 라이닝의 조립작업을
통해 터널을 시공하는 공법이다. 쉴드 TBM 굴진 시 필연적으로 공장에서 제작된 세그먼트는 쉴드 TBM에 장착한 이렉터라는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조립이
되는데 세그먼트와 배면지반 사이의 공극이 발생하게 되며 토사와 지하수의 유실 및 이에 따른 지반침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없애기 위하여
공극을 충전해야 한다. 기존에는 공극의 원활한 충전을 위해 시멘트 밀크 또는 규산계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1액형 그라우트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그라우트는 주입 직후 경화되기 전에 내구성이 충분치 않으며 지하수로 인해 희석되고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약지반에 쉴드 TBM 시공했을
때 동시주입방식을 적용해야 하나 1액형 그라우트는 겔타임이 길고 초기재령에서의 낮은 내구성으로 인해 동시주입에 의한 지반침하 억제효과를 확인하기에
다소 제한적인 부분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 쉴드 TBM 뒤채움 그라우트 재료로는 주로 시멘트 밀크에 벤토나이트, 규산소다를 조합하는
규산계 가소성 그라우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규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경우 규산소다의 사용에서 비롯되는 알칼리 용탈에 의해 시간 경과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고 환경적으로도 유해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곤란한 실정이다.
2.2 기존 쉴드 TBM 뒤채움 공법의 특성
기존에 적용되던 쉴드 TBM 뒤채움 공법은 물유리계 기반의 약액을 사용하였다. 물유리계 약액은 규산 등을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탄산나트륨(Na2CO3)으로 용해한 것으로써 어느 약액보다도 많이 쓰이는 약액이다(Yang et al., 2012). 물유리계 약액에서 사용되는 규산은 몰비에 의해 구분되는데 통상 규산 1~4호로 분류되며 그라우팅에 사용되는 규산은 규산 3호(규산소다)이다. 대표적인
물유리계 주입공법은 LW 공법이 있으며 규산 3호와 시멘트 현탁액, 벤토나이트 등을 혼합한 공법이다. LW 공법은 주입시 침투성능이 우수하고 겔타임
조절이 용이한 것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공동충전 공사에서 용수를 수반하는 사질토지반의 붕락이나 연약지반 침하의 우려가 있는 경우 LW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물유리계 기반의 규산을 사용함에 있어 겔타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원하는 공동을 확실하게 충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적용 토질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용탈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수효과 및 장기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어 내구성에 관해서는 신뢰성이 결여되어
있는 실정이다(Jang et al., 2022). Table 1은 규산소다의 성분을 나타내고 있고 Fig. 1은 물유리계 약액의 용탈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축 및 균열을 보여주고 있다.
Fig. 1. Ionic Reaction of Water Glass. (a) Water Glass, (b) Inorganic Thixotropic
Backfill
Table 1. DiSodium TriSilicate Characteristic (Yang et al., 2012)
Specific gravity (20℃)
|
SiO2 (%)
|
Na2O (%)
|
Fe (%)
|
Water insoluble amount (%)
|
1.380
|
28~38
|
9~10
|
0.02
|
0.01
|
2.3 ITB 그라우트의 특성
ITB 그라우트의 경우 규산계 가소성으로 사용되었던 시멘트와 벤토나이트가 포함된 A액과 Ettringite(3CaO ․ Al2O3 ․ 3CaSO4 ․ 32H2O) 생성을 위한 칼슘알루미네이트와 무수석고를 주성분으로 사용한 B액, 그라우트 주입시 안정적인 유동성 확보, 지하수의 영향에서도 재료의 불분리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가소제 C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칼슘알루미네이트는 물과 수화될 때 CAH10, C3AH8, AH3 등 여러 수화물을 생성할 수
있고 석고가 존재할 경우 자체적으로 Ettringite를 형성하여 경화되므로 지연제를 추가시켜 이를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칼슘알루미네이트는 시멘트와
수화과정에서 시멘트의 성분인 Ca(OH)2와 반응하여 다량의 Ettringite가 생성되어 응결을 이루게 된다. 합성고분자형 증점제는 킬레이트수지와 고흡수성 아크릴 중합체, 셀룰로오스계 중점제가
포함된 것으로 pH 8 이상 될 경우 점성이 증가하여 증점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는 높은 물비의 무기질계 가소성 그라우트 재료 중 물을
흡수하여 시멘트와 급결제의 재료분리를 방지한다. 가소제인 C액은 A액과 B액의 혼합이 이루어져 분출되기 전에 관내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며 이때 A액과
B액 혼합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가소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한 ITB 그라우트는 현재 시공 또는 설계 단계에 있는 각
TBM 현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에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하저․해저 철도 및 도로 터널 등의 대단면 터널일수록 뒤채움 공간이
커지므로 ITB 그라우트 적용 시 용탈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고 터널의 세그먼트 라이닝을 충분히 보호하여 공용수명 연장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는 ITB 그라우트 급결제의 화학조성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Calcium Aluminate Accelerator (Lee et al., 2022)
Component
|
CaO
|
Al2O3
|
Fe2O3
|
SiO2
|
SO3
|
Ig. Loss
|
Total
|
Content (%)
|
41.1
|
22.0
|
1.8
|
5.1
|
28.1
|
1.2
|
99.3
|
3. 실내시험
3.1 개요
본 장에서는 ITB 그라우트의 장기내구성과 환경영향성을 분석하고자 다양한 실내시험을 수행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일축압축강도시험의 경우 기존 쉴드
TBM 뒤채움 공법인 LW 공법과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TBM 뒤채움재의 강도기준에 적합한지를 분석하였다. 길이변화실험의 경우 양생방법에 따른 공시체의
체적변화를 분석하였다. XRD 시험을 통해서는 뒤채움재를 구성하는 주성분들의 용탈현상 및 내구성에 기인하는 성분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SEM-EDX
시험을 통해 뒤채움재의 초기 겔 작용에 따른 초기재령에서의 내구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중금속 용출시험과 어독성시험을 통해 환경영향성을 분석하였다.
Table 3은 LW 공법의 배합비를 나타내고 있으며 Table 4는 ITB 그라우트의 배합비를 나타내고 있다.
Table 3. Mix Proportion of LW
A
|
B
|
Disodium trisilicate (L)
|
Cement (kgf)
|
Water (L)
|
Bentonite (kgf)
|
80
|
240
|
850
|
21
|
Table 4. Mix Proportion of ITB
A
|
B
|
C
|
Cement (kgf)
|
Water (L)
|
Bentonite (kgf)
|
Additive (kgf)
|
Water (L)
|
Plasticizer (L)
|
500
|
633
|
15
|
100
|
65
|
100
|
3.2 일축압축강도시험
일축압축강도시험은 ITB 그라우트와 LW 공법의 내구성을 비교하여 뒤채움재로서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에 적용되던 공법인 LW
공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그라우트의 용탈현상 등에 의한 내구성 저하 및 강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양생방법은 기건양생과 수중양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하수 유입 및 수중상태에서의 초기·장기내구성을 분석하였다. 목표성능의 경우 Table 5와 같이 Liang et al.(2022)이 제시하는 쉴드 TBM 뒤채움재의 강도기준에 적합한지 분석하였다.
Table 5. Backfill Performance Criteria according to Ground Conditions (Liang et al., 2022)
Division
|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MPa)
|
3 day
|
28 day
|
Rock
|
0.5
|
2.5
|
Gravel
|
1.0
|
2.5
|
Sand
|
0.6
|
2.5
|
Clay
|
0.6
|
2.5
|
3.2.1 일축압축강도시험 방법
일축압축강도시험은 KS L 5105(2022)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ITB 그라우트의 경우 3액형으로 A액, B액, C액을 5분간 충분히 교반한 후 제작하였으며 초기 겔 형성시간이
빠르게 이루어져 정량펌프를 사용하였다. LW 공법의 경우 2액형으로 A액, B액을 배합하여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공시체는 50×50×50(mm)의
정육면체로 제작하였으며 양생방법은 기건양생의 경우 상온의 대기 중에서 공시체를 양생하였고 수중양생의 경우 22°C 온도의 물에 공시체가 완전히 잠기도록
양생하였다. Fig. 2는 일축압축강도시험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Fig. 2. Method of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 (a) Dry Curing, (b) Underwater
Curing, (c) Strengh Measurement
3.2.2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 LW 공법 기건양생의 경우 초기재령인 재령 1시간에서 0.024 MPa, 재령 1일에서 0.772 MPa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령 7일의 경우 건조수축으로 인해 공시체가 파괴되어 강도 측정이 불가하였다. 수중양생의 경우 재령 1시간에서 0.028 MPa, 재령 1일에서 0.548
MPa로 기건양생 대비 낮은 강도를 보였으며 기건양생과 동일하게 재령 7일에서 용탈현상으로 인해 공시체가 파괴되었다. ITB 그라우트 기건양생의 경우
재령 1시간에서 LW 공법 대비 약 13배 높은 0.3 MPa로 나타났으며 재령 1일의 경우 LW 공법 대비 약 1.4배 높은 1.06 MPa로 나타났다.
또한 재령 7일에서 강도가 급격하고 증가하다가 재령 8개월에서 3.912 MPa로 가장 높은 강도를 보였고 재령 12개월까지 수렴하였다. 수중양생의
경우 모든 재령에서 LW 공법 대비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재령 7일에서 강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재령 12개월에서 3.28 MPa의 높은 강도를
유지하였다. 목표성능과 비교결과 LW 공법의 경우 목표성능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ITB 그라우트의 경우 모든 재령(3~28 day)에서
강도 기준(2.5 MPa)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3과 Table 6은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 3. Result of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
Table 6. Result of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
Division
|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MPa)
|
1 hr
|
6 hr
|
12 hr
|
1 day
|
28 day
|
90 day
|
240 day
|
300 day
|
360 day
|
Dry
curing
|
LW
|
0.024
|
0.21
|
0.6
|
0.772
|
-
|
-
|
-
|
-
|
-
|
ITB
|
0.3
|
0.69
|
0.91
|
1.06
|
2.9
|
3.859
|
3.912
|
3.889
|
3.548
|
Under
water curing
|
LW
|
0.028
|
0.19
|
0.31
|
0.548
|
-
|
-
|
-
|
-
|
-
|
ITB
|
0.2
|
0.63
|
0.89
|
1.018
|
3.145
|
3.34
|
3.38
|
3.41
|
3.28
|
3.3 길이변화실험
쉴드 TBM 굴진 시 발생하는 테일보이드를 충전하기 위해 LW 공법 등의 뒤채움 공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기존 뒤채움 공법의 경우 건조 수축 및 용탈현상으로
인해 지반 침하를 유발시키고 균열이 발생 할 수 있다. 길이변화실험은 ITB 그라우트와 LW 공법의 양생방법 및 재령 경과에 따른 팽창 및 수축 등을
분석하고 쉴드 TBM 뒤채움재로서 적용이 가능한지를 개략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실험이다. 본 실험에서는 기건양생과 수중양생에서의 길이변화율을 분석하였으며
재령 1시간부터 재령 12개월까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3.3.1 길이변화실험 방법
길이변화실험은 ITB 그라우트와 LW 공법의 양생방법에 따라 발생하는 공시체의 수축 및 팽창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ITB 그라우트와 LW
공법 모두 겔타임의 80 %까지 교반한 이후 길이변화실험 몰드에 성형하였다. 공시체는 40×40×160(mm)의 직육면체로 제작하였으며 양생방법은
기건양생의 경우 상온의 대기 중에서 공시체를 양생하였고 수중양생의 경우 22°C 온도의 물에 공시체가 완전히 잠기도록 양생하였다. 이후 최초 길이
대비 재령에 따른 길이변화를 분석하였다. Fig. 4는 길이변화실험의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Fig. 4. Method of Length Variation Experiment. (a) Dry Curing, (b) Underwater Curing,
(c) Length Measurement
3.3.2 길이변화실험 결과
길이변화실험 결과 ITB 그라우트 기건양생의 경우 재령 1일에서 1.2 % 수축하였으며 재령 12개월에서의 수축량은 5.2 %로서 매우 미미한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LW 공법 기건양생과 비교한 결과 재령 1일에서 LW 공법의 수축량은 3.12 %로 ITB 그라우트 대비 약 2.6배 크게
수축하였으며 재령 7일의 경우 LW 공법의 수축량은 12.5 %로 ITB 그라우트 대비 약 6.6배 크게 수축하였다. 또한 LW 공법 기건양생의 경우
재령 7일까지 수축량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공시체가 파괴되었다. 한편 ITB 그라우트 수중양생의 경우 기건양생 대비 수축량이 작게 발생하였으며 재령
1일에서 0.86 % 수축되었고 재령 12개월에서 3.75 %로 매우 미미하게 수축하였다. LW 공법의 경우 재령 1일에서 1.87 %, 재령 7일에서
4.3 % 수축하였으며 이후 파괴되었다. Fig. 5과 Table 7은 길이변화실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 5. Result of Length Variation Experiment
Table 7. Result of Length Variation Experiment
Division
|
Shrinkage (%)
|
1 hr
|
6 hr
|
12 hr
|
1 day
|
28 day
|
90 day
|
240 day
|
300 day
|
360 day
|
Dry
curing
|
LW
|
0
|
1.34
|
2.1
|
3.12
|
12.5
|
-
|
-
|
-
|
-
|
ITB
|
0
|
0.3
|
0.72
|
1.2
|
2.3
|
2.95
|
3.75
|
4.37
|
5.2
|
Under
water curing
|
LW
|
0
|
1.12
|
1.33
|
1.87
|
4.3
|
-
|
-
|
-
|
-
|
ITB
|
0
|
0.3
|
0.49
|
0.86
|
0.13
|
1.87
|
2.6
|
3.1
|
3.75
|
3.4 XRD 시험
그라우트를 주입한 후 내구성 및 투수성능이 저하하는 것은 지하수에 의한 주입재의 희석이나 용탈현상에 원인이 있다. 이에 본 절에서는 수중상태에서 발생되는
ITB 그라우트의 용탈물질과 내구성 증감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의 용탈현상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XRD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XRD 시험을 통해
장기재령에서의 강도특성을 규명하고 고결체 강도 및 침상 결정 성장에 영향을 주는 인자의 용출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3.4.1 XRD시험 방법
본 절에서 진행한 XRD 시험은 KS L 3316(2014)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공시체는 재령 1일에서 재령 1년까지 수중에서 양생하였다. 재령 별 시료를 랜덤하게 채취하여 시료 전량을 분쇄하고
체 6.7 mm를 통과한 시료를 용기에 담아 부정형 내화물과 반응하지 않는 상태에서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후 모르타르와 반응하지 않는 내열성판 위에
취하고 두께가 10 mm 이하의 원형상태로 100±5°C 공기중탕에 10시간 이상 건조시킨 시료를 4분법에 따라 약 10 g으로 축분하여 2시간 이상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보존된 시료를 X-선 분석 장치에 장착하고 형광 X-선을 발생시켜 X-선 세기를 통해 각 성분의 종류와 양을 측정하였다.
3.4.2 XRD 시험 결과
XRD 분석 결과 시멘트광물계 급결제의 주성분인 12CaO ․ 7Al2O3가 시멘트 겔화 성분인 수산화칼슘(Ca(OH)2) 및 황산칼슘(CaSO4)과 반응하여 Ettringite의 침상결정을 생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침상결정이 성장한 후 서로를 연결하여 최종 형성되는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C-S-H)은
이들 사이의 공극을 충전하며 장기적으로 강도 안정성의 영향을 준다(Kim et al., 2010). Ettringite는 재령 1일에서 7.8 %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재령 7일에서 33.9 %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후 재령 360일에서의 검출양은 재령 1일 대비 약 36 % 증가한 43.8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보아 재령 7일에서 급격히 증가한 Ettringite는 ITB 그라우트의 초기 겔 형성의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장기 재령에서의 초기 재령 대비 증가한 Ettringite는 장기강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Calcite는 물과 반응하여 가소성을 유지하는 시간을 조절하고 초기 겔 형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성분으로써 칼슘 알루미네이트(3CaO ․ Al2O3), 칼슘 실리케이트(3CaO ․ SiO2)와 반응하여 탄산염화를 일으켜 탄산칼슘(CaCO3)이 구조물 표면에 형성되어 그라우트 장기내구성에 불리한 작용을 하는 성분이다(Kim, 2010). Calcite의 경우 재령 1일에서 75.8 %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재령 경과에 따라 꾸준히 증감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재령 360일에서 38.1
%의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를 통해 Calcite의 검출량이 초기 재령 대비 장기 재령에서 약 38 % 감소한 것은 ITB 그라우트 장기내구성에 유리한
작용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Portlandite(Ca(OH)2)는 산화칼슘(CaO) 간극수의 소화와 함께 생성되며 자경효과에 의한 초기강도를 결정짓는 성분으로서 Portlandite에서 방출되는 Ca2+ 이온은 알루민산염과 규산염이 반응하여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C-S-H) 및 칼슘알류미네이트 수화물(C-A-H) 등을 생성하게 된다(Lee et al., 2021). 이처럼 가소성 기반 그라우트에서 Portlandite는 장기내구성에 유리한 작용하게 된다. ITB 그라우트의 Portlandite는 초기재령(재령
1일)과 장기재령(재령 360일)에서의 검출량이 유사하였다. 이를 통해 ITB 그라우트의 경우 Portlandite 용탈로 인해 발생하는 내구성 저하
및 수축 등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Gypsum(CaSO4·2H2O)은 광물조성 수화 반응을 통해 Ettringite를 생성하게 되며 팽창하는 성질이 있어 강도 증진 및 미세한 공극 충진에 효과를 보인다(Song et al., 2013). XRD 시험을 통해 Gypsum의 검출량을 분석한 결과 재령 7일에서 2.2 %로 매우 적은 양이 검출되었으나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재령 360일에서 15.6 %로 크게 증가되었다. Fig. 6과 Table 8은 XRD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 6. Result of XRD Test
Table 8. Result of XRD Test
Constituent Minerals
|
Curing time (day)
|
1
|
7
|
30
|
60
|
90
|
240
|
300
|
360
|
Ettringite (%)
|
7.9
|
33.9
|
40.8
|
30.1
|
38.3
|
29.0
|
32.4
|
43.8
|
Larmite (%)
|
14.0
|
30.9
|
-
|
-
|
-
|
-
|
-
|
-
|
Calcite (%)
|
75.8
|
25.8
|
42.1
|
63.3
|
52.5
|
59.0
|
52.6
|
38.1
|
Portlandite (%)
|
2.4
|
3.7
|
3.0
|
-
|
-
|
-
|
1.8
|
2.5
|
Dolomite (%)
|
-
|
3.5
|
2.9
|
-
|
3.0
|
-
|
-
|
-
|
Gypsum (%)
|
-
|
2.2
|
8.2
|
3.3
|
3.3
|
12.0
|
13.2
|
15.6
|
Periclase (%)
|
-
|
-
|
3.0
|
3.4
|
2.9
|
-
|
-
|
-
|
3.5 SEM-EDX 시험
SEM-EDX 시험의 원리는 전자선이 시편을 주사하면서 발생되는 여러 신호 중 characteristic X-rays를 검출하여 시편의 화학성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Lee et al., 2010). 본 절에서는 SEM 분석을 통해 ITB 그라우트의 초기 강도가 발현되는 재령 1~7일까지의
겔 형성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EDX 검출기를 부착하여 ITB 그라우트의 구성성분이 초기 강도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LW
공법과 비교·분석하였다.
3.5.1 SEM-EDX 시험 방법
SEM-EDX 시험 방법은 주사현미경(Hitachi FE-SEM S-47000)을 사용하여 미세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진공상태의 시편 표면에 미세한 전자선을
2차원 방향으로 주사하여 원자와 전자선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신호들을 검출기를 통해 검출하여 시료의 확대 상을 분석해 성분의 형태를 확인하였다.
시료의 경우 분쇄하여 스터브 등의 받침에 올린 후 스퍼터링하여 코팅하였다. Fig. 7은 SEM-EDX 시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Fig. 7. Method of SEM-EDX. (a) Specimen Grinding, (b) Specimen Coating, (c) Analysis
of Specimen
3.5.2 SEM-EDX 시험 결과
SEM-EDX 시험 결과 LW 공법의 경우 재령 1일에서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생성물인 C-S-H(칼슘 실리케이트 수화물)겔이 수화 초기형태만
관찰되었으며 재령 7일 또한 재령 1일과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반면 ITB 그라우트의 경우 재령 1일에서 C-S-H 겔과 다량의 Ettringite가
관찰되었으며 재령 7일의 경우 C-S-H 겔의 성장과 다량의 Ettringite가 관찰되었다. 또한 ITB 그라우트의 주요 구성요소는 탄산칼슘(C,
CaCO3), 이산화규소(O, SiO2), 산화알루미늄(Al, Al2O3), 월라스토나이트(Ca, CaSiO3)로 나타났다. 이중 지반 내의 공극을 채워 입자간의 결합력을 높이고 흙의 고결화 작용을 하는 탄산칼슘(Park and Kim, 2012)의 용탈량은 ITB 그라우트에서 약 1 gf, LW 공법에서 약 2 gf가 용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소상 유지시간 조절에 용이하며 초기 겔
형성 시간을 단축하는 산화알루미늄(Kim et al., 2009)의 경우 IBT 공법에서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약 2배 증가하였지만 LW 공법의 경우 재령이 증가하여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강도에
영향을 미치며 수화열이 감소함에 따라 강도가 감소하는 성분인 월라스토나이트(Jeon et al., 2020)의 경우 ITB 그라우트는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10 gf 감소하였지만 LW 공법은 약 20 gf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약액의 장기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며 겔 또는 고결사로부터 용탈되는 성분인 이산화규소의 경우 ITB 그라우트는 재령이 증가해도 검출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LW 공법의
경우 약 20 gf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9와 Fig. 8은 SEM-EDX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 Fig. 9와 Fig. 10은 SEM 촬영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 8. Results of SEM-EDX Test. (a) 1-Day Curing of ITB, (b) 7-Day Curing of ITB,
(c) 1-Day Curing of LW, (d) 7-Day Curing of LW
Fig. 9. SEM Imaging Results of LW. (a) 1-Day Curing of LW (1.00 um), (b) 1-Day Curing
of LW (5.00 um), (c) 7-Day Curing of LW (1.00 um), (d) 7-Day Curing of LW (5.00 um)
Fig. 10. SEM Imaging Results of ITB. (a) 1-Day Curing of ITB (1.00 um), (b) 1-Day
Curing of ITB (5.00 um), (c) 7-Day Curing of ITB (1.00 um), (d) 7-Day Curing of ITB
(5.00 um)
Table 9. Results of SEM-EDX
Division
|
Weight (gf)
|
C
|
O
|
Mg
|
Na
|
Al
|
Si
|
S
|
K
|
Ca
|
Fe
|
1-Day
Curing of ITB
|
4.73
|
55.72
|
-
|
-
|
2.15
|
3.51
|
2.67
|
0.39
|
30.18
|
0.64
|
7-Day
Curing of ITB
|
3.62
|
60.21
|
0.35
|
-
|
4.26
|
5.16
|
4.51
|
0.27
|
20.78
|
0.84
|
1-Day
Curing of LW
|
9.36
|
56.51
|
0.45
|
2.68
|
1.2
|
9.59
|
-
|
0.58
|
18.72
|
0.91
|
7-Day
Curing of LW
|
7.54
|
35.29
|
2.13
|
-
|
1.28
|
11.21
|
0.64
|
-
|
38.65
|
3.25
|
3.6 중금속 용출시험
과거 쉴드 TBM 뒤채움재로 사용되었던 규산계 그라우트인 LW는 지하수로 인해 희석, 유실되거나 재료분리가 발생하였다. 재료가 유실되었을 때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는 규산계 로 인해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고 납(Pb), 카드뮴(Cd), 6가크롬(Cr6+), 규소(Si) 등이 검출되어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절에서는 ITB 그라우트의 중금속 용출시험을 수행하여 납(Pb), 카드뮴(Cd), 6가크롬(Cr6+)을 측정대상으로 하여
환경 유해성을 분석하였다.
3.6.1 중금속 용출시험 방법
중금속 용출시험은 KS I 3217(2008)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납(Pd)과 카드뮴(Cd)의 경우 해당 이온을 시안화칼륨 용액 중에서 디티존에 작용시켜 발생한 화합물을 사염화탄소로
추출하고 과잉의 디티존을 세척하여 납(Pd) 및 카드뮴(Cd)을 정량하였다. 6가크롬(Cr6+)의 경우 크롬이온을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하여 크롬산 이온으로
산화시킨 후 디페닐카르바지드를 작용시켜 발생한 수용액을 정량하였다.
3.6.2 중금속 용출시험 결과
중금속 용출시험 결과 ITB 그라우트의 경우 납(Pb), 카드뮴(Cd), 6가크롬(Cr6+)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존 규산계 뒤채움재의
경우에는 6가크롬(Cr6+)에서 0.049 mg/L가 검출되었으며 납(Pb)에서 0.004 mg/L가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ITB 그라우트는 뒤채움재의
용탈액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사료된다. Table 10은 중금속 용출시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Table 10. Result of Leaching Test
Division
|
Cr6+
|
Cd
|
Pb
|
IBT
|
-
|
-
|
-
|
LW
|
0.049 mg/L
|
-
|
0.004 mg/L
|
3.7 어독성시험
쉴드 TBM 굴진 시 발생하는 테일 보이드의 충전에 사용되는 기존의 LW 공법은 규산계를 사용하는 약액 성분이 있어 용탈이 됨으로 주변의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킨 사례가 종종 보고되었다. 약액 주입을 수행해야 할 경우 주변 환경에 영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법과 재료를 선택하도록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다. 이에 본 절에서는 시간에 따른 공시어의 상태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어독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pH 측정기를 설치하여 수중에서 용탈로 인해 발생하는
pH 변화를 분석하였다.
3.7.1 어독성시험 방법
어독성시험의 시험수조는 약 30 L 이상의 유리 수조를 설계하였으며 수온의 경우 수온유지계를 부착하여 20±2°C를 유지하였다. 또한 시험 중에 용존산소
부족으로 인한 지장이 없도록 공기펌프를 설치하였다. 공시어는 3~4 cm의 송사리를 사용하였으며 100 L 사이즈의 순응 수조에서 약 10일간 사육하였다.
사육 이후 공시어 20마리를 선정하여 시험수조로 옮겨 담았으며 그라우트 별 공시체 3개를 투입하였다. 결과의 측정은 공시체 투입 후 재령 1일에서
재령 4일까지로 하였다. Fig. 11은 어독성시험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Fig. 11. Method of Toxicity Test. (a) Measurement of Dead Fish, (b) Measurement of
pH
3.7.2 어독성시험 결과
ITB 그라우트의 경우 공시어 적응 이후 재령 1~4일까지 폐사어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LW 공법의 경우 재령 1일에서 9마리의
폐사어가 발생하였으며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폐사어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재령 4일에서 20마리의 공시어가 모두 폐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pH 측정 결과 ITB 그라우트의 경우 재령 1일에서 8.56으로 나타났으며 재령이 증가할수록 미세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LW 공법의
경우 재령 4일에서 ITB 그라우트 대비 약 1.3배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LW 공법의 경우 pH가 재령일에 비례하는 것에 반해 ITB 그라우트의
경우 재령일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12는 어독성 및 pH 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 12. Result of Toxicity Test. (a) Result of Dead Fish Measurement, (b) Result
of pH Measurement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 쉴드 TBM 뒤채움재의 주성분인 규산계 재료 사용에 따른 환경성 및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를 보완한 ITB 그라우트의 공학적 성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내시험을 통해 그라우트에 따른 장기내구성과 환경영향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장기내구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한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 ITB 그라우트는 모든 재령에서 쉴드 TBM 뒤채움재의 강도기준(2.5 MPa)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중양생과 기건양생 모두 장기재령(재령 360일)에서 약 3.5 MPa의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TB 그라우트는
기존 TBM 뒤채움 공법에서 야기되던 초기강도 저하 및 지하수 유입으로 인한 균열 및 파괴에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길이변화실험을 통해 ITB 그라우트의 체적변화를 약 1년간 분석한 결과 재령 7일에서 파괴가 발생하는 기존 공법 대비 ITB 그라우트는 양생방법에
관계없이 재령 1년에서 약 5 %의 미미한 수축량을 보였다. 이를 통해 ITB 그라우트는 수중에서 발생하는 용탈로 인한 유실 및 건조수축 등의 체적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3) XRD 시험결과 ITB 그라우트의 장기내구성에 기인하는 성분은 Ettringite, Portlandite, Gypsum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재령 대비 장기재령에서 Ettringite는 약 5배 증가하였고 Portlandite는 용탈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ttringite
형성에 영향을 주는 Gypsum의 경우 재령시간에 비례하여 재령 12개월에서 검출량이 15 %까지 증가하여 Ettringite 형성 및 장기내구성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4) 뒤채움재의 구성성분이 초기 겔화 및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한 SEM-EDX 시험 결과 ITB 그라우트의 경우 초기재령에서
C-S-H 겔의 성장과 다량의 Ettringite가 관찰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기내구성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이산화규소와 초기 겔 형성에 유리한
산화알루미늄의 경우 ITB 그라우트에서 용탈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LW 공법의 경우 다량이 용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초기
겔 형성 및 장기내구성은 ITB 그라우트가 기존 공법 대비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5) 쉴드 TBM 뒤채움재 시공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영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한 중금속 용출시험과 어독성시험 결과 ITB 그라우트의 경우 납(Pb),
카드뮴(Cd), 6가크롬(Cr6+) 등의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폐사어 또한 발생하지 않았다. pH의 경우 먹는 물 수질 기준인
8.5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ITB 그라우트는 기존 공법 대비 용탈현상에 의한 환경오염의 가능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6) ITB 그라우트의 일축압축강도가 300일 이후 감소함에 따라 기건 및 수중양생에서 길이변화율은 그와 반비례하여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ITB
그라우트는 재령 300일 이후 건조수축 및 수중상태의 용탈현상으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300일 이후 장기 강도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논문에서 비교한 기존 쉴드 TBM 뒤채움재 공법인 LW 공법뿐만 아니라 선진화된 쉴드 TBM 뒤채움 공법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ITB 그라우트의 내구성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One-Stop Support Project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aterials, Parts, and Root Industries in Jeollanam-do,”
funded by Jeollanam-do and the Jeonnam Technopark in 2021.
References
"Chun, B. S.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hemical Grouting, Goomibook, pp.
41-282 (in Korean)."
"Jang, S. M., Jung, H. S., Kim, J. H., Min, B. C. and Lee, B. S. (2022). “Evaluation
of engineering properties in synthetic polymer-silica sol grout.” Journal of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 21, No. 3, pp. 29-39, https://doi.org/10.12814/jkgss.2022.21.3.029
(in Korean)."
"Jeon, S. M., Jo, S. M., Oh, R. O., Kim, H. H., Cha, S. S. and Park, C. G. (2020).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fabric concrete binder for
emergency repa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62,
No. 4, pp. 23-31, https://doi.org/10.5389/KSAE.2020.62.4.023 (in Korean)."
"Kim, D. H. (2010). Compatibility of inorganic thixotropic-grout for backfilling of
shield TBM tail voids.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Kim, H. M. and Jang, J. K. (2011). “Evaluation of field application for the mix properties
of the thixotropic grou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12, No.
9, pp. 4223-4238, http://dx.doi.org/10.5762/KAIS.2011.12.9.4223 (in Korean)."
"Kim, D. H., Jung, D. H. and Jeong, G. H. (2009). “Development of inorganic thixotropic-grout
for backfilling of shield TBM tail voids and its compatibility.” Journal of Tunnelling
Technology, Vol. 11, No. 3, pp. 277-286 (in Korean)."
"Koh, S. Y., La, Y. S. and Kim, B. J. (2020). “Shield TBM trouble cases review and
parameter study for the cause analysi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2, No. 2, pp. 197-217, https://doi.org/10.9711/KTAJ.2020.22.2.197
(in Korean)."
"KS F 5105 (2022). Testing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hydraulic cement mortar,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in Korean)."
"KS I 3217 (2008). Testing methods for industrial wastewater,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in Korean)."
"KS L 3316 (2014). Method for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ic analysis of refractory
product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in Korean)."
"Lee, I. K., Park, S. B. and Choi, M. J. (2021). “Evaluation of field applicability
of slope of improved soil for ground stabilizer.”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 20, No. 1, pp. 35-44, https://doi.org/10.12814/jkgss.2021.20.1.035 (in
Korean)."
"Lee, S. W., Park, J. S., Ryu, Y. S., Choi, B. H. and Jung, H. S. (2022).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inorganic thixotropic backfill for shield TBM tail void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4, No. 3, pp. 263-278,
https://doi.org/10.9711/KTAJ.2022.24.3.263."
"Liang, X., Ying, K., Ye, F., Su, E., Xia, T. and Han, X. (2022). “Selection of backfill
grouting materials and ratios for shield tunnel considering stratum suitability.”
Journal of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314, Part A, 125431, https://doi.org/
10.1016/j.conbuildmat.2021.125431 (in China)."
"Oh, M. H. (2017). Study of performance of Alkali-Activated Slag Based Chemical Grouts,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Park, K. H. and Kim, D. H. (2012). “Verification of calcium carbonate by cementation
of silt and sand using bacteria.”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8, No. 6, pp. 53-61 (in Korean)."
"Ryu, Y. S. (2008). A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inorganic grouting materials with
high durability,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in Korean)."
"Song, T. H., Park, J. S. and Lee, S. H. (2013). “Hydrate characteristics of cement
mixtures with expansion additive according to age and improvement effect on initial
strength.”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Vol. 23, No. 10, pp. 599-605,
http://dx.doi.org/10.3740/MRSK.2013.23.10.599 (in Korean)."
"Sung, M. J. (2010). Determination of optimum mix proportion for inorganic thixotropic
- grout,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ang, S., He, C., Nie, L. and Zhang, G. (2019). “Study on the long-term performance
of cement-sodium silicate grout and its impact on segment lining structure in synchronous
backfill grouting of shield tunnels.” Journal of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92, 103015, https://doi.org/10.1016/j.tust.2019.103015 (in China)."
"Yang, H. C., Kim, G. H., Kim, B. S., Kim, S. H. and Kim, Y. S. (2012). Grouting Environmental
Engineering. Goomibook, pp. 67-117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