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국립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2. 한국환경공단 수생태시설처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Depart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Corporation)
  3. 국립공주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Department of Rural Construction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Low impact development, Stormwater management, Bioretention,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Connecting LID-BMPs

1. Introduction

최근 들어 집중강우에 의한 도심지역에서의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2014년 8월 25일 시간당 130 mm 이상의 비가 내린 부산지역의 경우 도심 곳곳이 침수되었으며, 특 히 부산시 기장군의 경우 주택 572채가 침수되어 1,122명 의 이재민이 발생하였고 침수피해액만 685억원으로 집계되 었다. 도시지역에서의 홍수피해는 불투수층의 면적과 직접 적으로 연관이 되는데, 우리나라 도시지역의 불수투면적 비 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도시지역의 불투수층면적 비율 증가는 수문학적인 측면에서 지표하로 유입되는 투수량이 감소되어 지하수위를 감소시키고, 지표 유출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도달시간이 짧아지고 이에 따라 첨두유량도 증가한다(PGCo, 1999). 환경학적인 측면 에서는 불투수층 증가로 인하여 작은 강우에도 지표유출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도시지역에서의 비점오염부하량이 증가하고, 하천의 건천화 혹은 유지수량 감소로 인한 하천 수질오염을 유발시킨다(Jeon et al., 2009).

도시지역에서의 강우유출수 저감을 위해서 비교적 최근 에 제안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기법 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영향개발이란 도 시개발에 있어 다양한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을 이용하여 도시지역의 투수층면적을 증가시 켜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을 개발이전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기법을 말한다. 저영향개발은 도시강우유출수의 발생 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어 도시비점오염저감 기법 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비점오염저감기법은 이미 발생된 비점오염부하량을 처리하는 사후관리의 관점이라면 저영향개발은 도시에서의 비점오염부하량 발생을 억제하는 사전관리의 관점에서 매우 유익하다(Jeon et al., 2009). 저 영향개발기법의 적용을 위해서 사용되는 다양한 LID-BMPs 혹은 IMPs (Integrated management practices; 통합관리기법) 가 적용되는데 LID-BMPs에는 옥상녹화, 우수통, 식생수로, 빗물정원, 식생저류지, 식생완충지, 투수포장, 인공습지, 토 양개량, 투수층연결 등이 있다(PGCo, 1999). 우리나라에서도 저영향개발기법이 시범적으로 적용된바 있는데, 토지주택공 사에서는 아산탕정지구에 LID 시범지구를 선정하여 LID를 적용하였는데, 식생수로, 우수통, 빗물정원, 식생저류지 등 이 BMPs 기법으로 적용되었다.

LID는 개발지역의 설계단계에서 BMPs를 선택하여 설계 해야 하기 때문에 모델에 의한 효과모의가 매우 중요한 과 정이다. LID 효과모의를 위해서 몇몇 모델들이 개발되어 적용되었는데, Ahiablame et al. (2012b)Jeon et al. (2010) 은 SCS-CN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의 L-THIA LID와 엑셀 환경의 LIDMOD2를 각각 개발하였다. SWMM은 버 전5부터 LID를 모의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SUSTAIN 은 SWMM과 HSPF 알고리즘을 기반으로하여 사용자가 정 의한 비용내에서 최대의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LIDBMPs의 제원을 최적화시켜주는 프로그램이다(Ahiablame et al., 2012a). L-THIA LID와 LIDMOD2는 입력자료가 간 단하고 모델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SWMM과 SUSTAIN은 입력자료가 많으며 모델의 사용에 있어 전문 성을 필요로 하나 상대적으로 상세한 모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hiablame et al., 2012a; Jeon et al., 2010).

LID적용의 주요한 목적 중 하나가 강우유출수를 효율적 으로 저감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전주시 에 위치한 공공기관인 전주세무서를 대상으로 유출곡선지 수방법을 이용하여 잔디를 식생체류지로 변경하여, 식생체 류지를 서로 연결할 경우 강우유출수의 저감효과를 분석 하였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연구대상지역

연구대상지역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4동에 위치 한 전주세무서로 하였다(Fig. 1). 전주세무서의 총 면적은 8,610 m2으로 주차장 면적이 3,212 m2으로 가장 많은 면적 을 차지하며 다음이 식생(잔디)으로 1,974 m2이며 투수면이 전체 면적의 31%, 불수투면이 69%이다(Table 1).

Table 1. Land cover component of study area
Land cover component Area (m2) Percentage (%)
Classification ID
Pervious Tennis court 694 8
Lawn 1,169 14
181 2
624 9
Subtotal 2,668 31
Impervious Rooftop 1,321 15
Parking lots 449 6
2,713 32
Sidewalk 225 3
741 9
443 5
Subtotal 5,942 69
Total 8,610 100
Fig. 1. Study area.
../../Resources/kswe/KSWE.2016.32.6.562/JKSWE-32-562_F1.jpg

2.2. LID 설계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역 토지피복상태를 그대로 두 고 잔디를 볼록형에서 오목형으로 바꾸어 식생체류지로 변 경하고 인근의 강우 유출수를 식생체류지로 유입시키도록 하였다. 이는 이미 개발된 기존의 공공시설에서 식생지역만 개선하여 식생체류지로 조성한 후 강우유출수 및 비점오염 부하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최소의 비용으로 LID의 저감효과 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공공기관 의 LID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식생체류지는 식물이 식재된 토양층과 모래층 및 자갈층 등으로 구성되며 강우유출수가 식재토양층 및 지하침투 과정에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시설로 정의되며, 강 우 후 최대 3일 이내에 전체 수질처리용량이 배제되어야 한다.

시나리오1은 현재의 토지이용상태에서 LID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이다. 시나리오2는 ➁, ➅과 ⑩의 잔디를 강우유 출수를 저류할 수 있는 오목형태의 식생체류지로 하고, ➀ 의 테니스장과 ➂의 주자창, ➃의 전주세무서 건물지붕에 서의 강우유출수는 ➁번 식생체류지로 유입되고, ➄와 ➆ 의 인도에서의 강우유출수는 ➅번의 식생체류지로 유입되 는 것으로 하였으며, ➇의 전주세무서의 주차장과 ➈의 인 도에서의 강우유출수는 ⑩의 식생체류지로 유입되는 것으 로 하였다. 다만 각각의 식생체류지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하였다(Fig. 2). 시나리오3은 시나리오2에서 ➁와 ➅, ⑩의 식생체류지를 서로 연결하여 체류지간의 연결성이 LID 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Table 2).

Table 2. Developed scenarios in this study
Scenario Subcatchment LID-BMPs Remarks
Scenario1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 Without LID-BMPs
Scenario2 ①, ③, ④ Connection from subcatchment to LID-BMP
⑤, ⑦
⑧, ⑨
Scenario3 ①, ③, ④, ⑤, ⑦, ⑧, ⑨ ②+⑥+⑩ Connection between LID-BMPs and from subcatchment to LID-BMPs
Fig. 2. LID design of study area.
../../Resources/kswe/KSWE.2016.32.6.562/JKSWE-32-562_F2.jpg

2.3. 연구접근방법

LID 모델은 크게 침투방정식 혹은 유출곡선지수(Curve Number; CN)방법에 의해 지표유출량을 모의하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Ahiablame et al., 2012a). PGCo (1999)는 LID 적용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유출량 변화를 유출곡선 지수방법을 이용하였으며, LID요소의 면적과 저류깊이를 곱하여 저류량을 계산함으로써 유출량저감효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Ahiablame et al. (2012b) 등이 개발한 L-THIALID는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유출량 변화는 유출곡선지수방 법을 이용하였으며 각 요소별 CN값을 할당하여 LID의 저 감효과를 평가하였다. 국내에서도 유출곡선지수방법 기반의 LID 효과분석을 위한 LIDMOD2모델을 개발하여 국내에 적용한 바 있다(Choi et al., 2010; Jeon et al., 2010; Kim and Choi, 2013; Kim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식생체류지의 깊이와 식생체류지간 연결 에 따른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식생체류지의 저류용 량을 산정하여 LID저감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PGCo (1999) 에서 제시한 유출곡선지수방법에 의한 수문분석방법을 이 용하였다.

유출곡선지수방법을 사용을 위하여 토지피복별 토양배 수상태별 CN값에 대한 검보정을 하였다. 검보정은 대상지 역을 포함하고 있는 전주천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Jeon et al. (2014a)이 개발한 유출곡선지수방법과 전역적 최적 화 기법인 SCE-UA를 연계한 모델을 이용하여 자동 보정 을 수행하였다(Fig. 3). SCE-UA는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에 서 controlled random search (Nelder and Mead, 1965), competitive evolution (Holland, 1975), new complex shuffling concept (Duan et al., 1992)를 단순화하여 개발한 전역적 최적화 기법으로 예측모형의 최적화(자동보정)에 널리 이용 되며 전역적 최적화 기법인 유전자알고리즘보다 좋은 결과 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uczera, 1997; Jeon, Park et al., 2014). Jeon, Park et al. (2014)은 SCE-UA기법 의 기본이론과 CN을 최적화를 위한 적용방법, 보정인자의 진화단계마다 CN의 도출과정을 유전자알고리즘과 비교하 여 제시하였다. SCE-UA를 이용한 CN 보정은 보정기간은 2006- 2010년, 검정기간은 2001-2005년으로 하였다. 보정 및 검정 결과는 식 (1)의 모델효율을 산정한 후, Table 1에 의해 모델 검보정 정도를 결정하였다. Table 3.

Table 3. General calibration/validation target or tolerance (Donigian,2000;2002)
very good good fair poor
Monthly R2 >0.85 0.75~0.85 0.65~0.75 <0.65
Fig. 3. Calibration of Curve Number (CN) using SCE-UA algorithm.
../../Resources/kswe/KSWE.2016.32.6.562/JKSWE-32-562_F3.jpg
(1)
NS = 1 - i = 1 n P i - O i 2 i = 1 n O ¯ - O i 2

여기서, NS는 모델효율, Pi 는 예측값, Oi 는 실측값, O는 실측평균값이다.

토지이용별 토양배수도별 CN값을 결정한 후, Table 1의 토지피복에 맞게 할당하되, 테니스코트장은 다짐이 잘 이루 어졌기 때문에 나지의 토양배수상태 D의 CN값을, 불투수 피복(옥상, 주차장, 인도)은 CN값 98로 하였으며, 식 (2)~(4) 에 의해 토지피복에 따른 직접유출량을 산정하였다.

(2)
S = 25400 CN - 254
(3)
I a = 0.2 S
(4)
Q = P - 0.2 S 2 P + 0.8 S , P 0.2 S

여기서, S 는 최대잠재보유수량, CN 은 유출곡선지수, Ia 는 초기손실(차단, 침투 등) Q 는 직접유출, P 는 강수량이다.

식생체류지의 저감효과 분석을 위하여 잔디가 식생체류 지로 변환되는 Table 2의 ➁, ➅, ⑩의 저류용량과 강우유 출수 저류용량을 각각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여기서 저류용 량은 식생체류지 자체 저류할 수 있는 용량이며, 강우유출 수 저류용량은 식생체류지의 저류용량에 식생체류지에 직 접 떨어지는 강우량을 제한 순수하게 강우유출수를 처리할 수 있는 용량으로 정의한다. 식생체류지의 설계 깊이에 식 생에 의한 초기 손실량(침투, 차단 등)을 더한 후 식생체류 지의 면적을 곱한 값을 저류용량으로, 설계깊이와 초기손실 량을 더하고 강우량을 뺀 깊이에 면적을 곱하여 강우유출 수 저류용량을 산정하였다. PGCo (1999)에서는 식생의 초 기 손실량을 저류용량의 10%내외로 제시하고 있으나, 동일 한 면적에 저류깊이를 달리할지라도 식생에 의한 차단과 토양에서의 침투는 식생체류지의 면적과의 함수로 가정하 여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여 유출곡선지수방법의 Ia를 이용 하였으며 그 식은 다음과 같다.

(5)
TV LID = D + I a × A LID
(6)
RV LID = D + I a - P × A LID

여기서, TVLID 는 식생체류지의 저류용량, RVLID 는 식생체 류지의 강우유출수 저류용량, D는 식생체류지의 설계 깊이, P는 강우량, ALID 는 식생체류지의 면적이다.

우선, 시나리오3의 ➁, ➅, ⑩을 서로 연결한 체류지의 저류용량에 대응하는 배수구역에서의 임계 강우량을 산정 하였다. 여기에서 임계강우량이란 배수구역에서의 강우유출 수량과 식 (6)에 의해 산정된 식생체류지의 강우유출수 저류 용량이 동일한 강우량으로, 식생체류지에 저류되고 유출이 발생하지 않는 즉, 식생체류지의 최대 저류량에 해당되는 최대 강우량을 임계강우량으로 정의한다. 시나리오3의 임계 강우량을 시나리오1, 2에 각각 적용시켜 유출수량을 산정 함으로써 LID 적용 전·후 유출량 저감효과(시나리오1과 시 나리오2, 3 비교)와 식생체류지간 연결시 유출량 저감효과 (시나리오2와 시나리오3 비교) 등을 분석하였다. 식생체류 지의 설계 깊이는 5 cm, 10 cm, 20 cm, 30 cm로 각각하였다.

2.4. 자료수집

유출곡선지수방법 적용을 위해서 전주천 유역을 대상으 로 하는 토지피복자료와 토양배수상태자료, 시계열 자료로 써 일별강수량과 직접유출량을 필요로 한다. 토지피복자료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2007년 중분류 토지피복도(grid-GIS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토양배수상태자료는 농림부에서 제 공하는 정밀토양도의 토양배수상태를 정보를 활용하였다 (Fig. 4). 2001~2010년의 일강수량은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 였으며 동일 기간 직접유출량은 WAMIS의 전주천 말단 유 출량자료를 Web GIS-based Hydrograph Analysis Tool (WH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유출량과 기저유출량을 분리한 후 직접유출량을 산정하였다(Lim et al., 2005). WHAT 은 기저유출 분리 프로그램인 BFLOW 필터(Arnold and Allen, 1999)와 기저유출 분리시 대수층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Eckhardt 필터(Eckhardt, 2005)를 이용하여 총 유출량 에서 기저유출량과 직접 유출량을 분리할 수 있는 Lim et al. (2005)이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Fig. 4. Land use and hydrologic soil group for the Jeonju creek watershed.
../../Resources/kswe/KSWE.2016.32.6.562/JKSWE-32-562_F4.jpg

LID평가를 위해서는 옥상과 주차장, 인도 등과 같이 보 다 세밀하게 구분된 토지피복상태자료를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서 DAUM MAP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전주세무서의 토지피복상태를 분류하고 면적을 각각 산정하였다. 연구대 상지역인 전주세무서의 토양배수상태는 모두 B인 것으로 나타났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CN값 결정

월별 유출량 실측치와 예측치의 시계열 비교와 1:1 분산 도는 각각 Fig. 56과 같다. 월별 예측에 대한 보정 및 검정 결과 모델효율 값이 각각 0.73과 0.77을 나타내어 모 델 검보정 정도는 모두 ‘보통’으로 나타났다.

Fig. 5. Comparison of observed and simulation monthly flow.
../../Resources/kswe/KSWE.2016.32.6.562/JKSWE-32-562_F5.jpg
Fig. 6. The scatter plots of monthly stream flow for calibration and validation.
../../Resources/kswe/KSWE.2016.32.6.562/JKSWE-32-562_F6.jpg

유출곡선지수방법과 전역적 최적화 기법인 SCE-UA를 연 계하여 전주천 유역의 토지피복별 토양배수도별 CN값은 Table 4와 같으며, 이를 이용한 연구대상지역의 토지피복별 CN값은 Table 5와 같다.

Table 4. Optimized CN values for Junju creek
Land use Hydrologic soil group
A B C D
Residential area 90 93 95 96
Other urban area 94 95 96 97
Paddy field 63 71 78 81
Upland 59 71 77 80
Other crops area 59 71 78 80
Deciduous forest 37 59 67 73
Coniferous forest 43 68 79 85
Mixed forest 39 62 71 77
Pasture/Lawn 46 65 75 79
Open space 47 66 77 82
Table 5. Assigned CN values to land cover component
Land cover component CN
Pervious Tennis court 82
Lawn 65
Impervious Rooftop 98
Parking lots 98
Sidewalk 98

3.2. 식생체류지 강우유출수 저류용량 산정

시나리오별 식생체류지의 저류용량과 강우유출수 저류량, 임계강우량은 Table 6과 같다. 강우유출수 저류량은 식생체 류지의 배구수역 면적에 영향을 받는데, 동일한 저류용량을 가졌다할 지라도 배수면적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적은 강 우량에 상대적으로 많은 강우유출수가 유입되어 저류용량 을 채우기 때문이다. 또한 식생체류지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경우의 강우유출수 저류량은 식생체류지를 서로 연결하여 저류할 수 있는 강우유출수 저류량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 났다.

Table 6. The runoff volume captured by bioretention
Depth* Bioretention Storage volume (m3) Captured runoff volume (m3) Critical precipitation (mm/event)
5cm 90.4 51.0 33.5
14.0 7.2 37.5
48.3 39.0 14.8
②+⑥+⑩** 152.7 106.4 23.1
10cm 148.9 87.4 52.6
23.1 12.2 59.9
79.5 65.5 22.0
②+⑥+⑩** 251.4 180.5 35.9
20cm 265.8 162.0 88.6
41.2 22.2 104.6
141.9 119.0 36.1
②+⑥+⑩** 448.8 328.6 60.5
30cm 382.7 238.5 123.3
59.3 32.1 149.2
204.3 172.9 50.1
②+⑥+⑩** 646.2 473.5 87.3

* Connected bioretention

3.3. 식생체류지간 연결효과 분석

LID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Scenario1), 불투수면과 식생 체류지를 연결하였으나 식생체류지간 연결하지 않은 경우 (Scenario2), 식생체류지간 연결한 경우(Scenario3)의 유출량 저감효과 분석은 Table 7과 같다. 여기에서의 설계강우는 Scenario3에서 유출이 발생하지 않는 임계강우량이다. 식생 체류지 깊이가 30 cm인 경우, 식생체류지간 연결시 유출량 이 발생하지 않는 설계강우량 87.3 mm에 대하여 LID를 적 용하지 않은 현재 상태에서는 유출량이 530.7 m3이 발생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체류지를 연결시키지 않은 LID 적용은 167.3 m3이 발생하여 식생체류지 연결자체의 유출 량 저감효과가 167.6 m3인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The effect of captured runoff volume for LID design
Depth (cm) Scenario Runoff volume (m3) Design precipitation (mm/event)
5 Scenario1 106.6 23.1
Scenario2 35.8
Scenario3 0.0
10 Scenario1 181.5 35.9
Scenario2 57.1
Scenario3 0.0
20 Scenario1 341.4 60.5
Scenario2 109.0
Scenario3 0.0
30 Scenario1 530.7 87.3
Scenario2 167.3
Scenario3 0.0

본 연구를 통하여, LID-BMP 시설의 용량과 실제 강우유 출수의 저류용량에는 차이가 있으며, LID-BMP 시설의 배 수구역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구역의 면적이 작을수록 더 많은 강우량을 필요로 하며, LID-BMP시설에 직접적으로 떨어지는 강우량에 의해 실제 유입되는 강우유 출수의 처리용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면적 대 비 식생체류지 표면적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식생체류지 ➅의 경우 전체용량의 51~54% 정도만 강우유출수를 저류하 는 반면, 그 비율이 상대적으로 큰 식생체류지⑩의 경우 전 체용량의 81~85%가 강우유출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Table 8). 저류깊이에 따라서 강우유출수의 처리비율 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증가폭은 현저하지 않았다.

Table 8. The ratio of captured precipitation to total storage volume of bioretention
Bioretention Area ratio* Depth of bioretention (cm)
5 10 20 30
1.2 51 53 54 54
6.2 81 82 84 85

* Drainage area/bioretention surface area

특히 LID는 도시지역내 소규모로 LID-BMPs를 설치하여 강우유출수를 저감시킴으로써 도시에서의 비점오염물질 발 생을 자체를 억제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LID-BMP가 설치 된 배수면적이 다양하며 이에 따른 LID-BMP 표면적 대비 배수면적과 강우유출수 처리용량비율도 매우 다양할 것이 다. 예를 들어 도로 주변에는 배수면적에 비해 LID-BMPs 를 설치할 가용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작은 강우에도 LIDBMPs의 저류용량을 채워 유출발생빈도가 높을 것이며, 공 원과 같이 배수면적에 비해 LID-BMPs를 설치할 가용면적 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강우가 발생 할 경우에만 저류용량을 채울 것이며 강우유출수의 처리비 율 또한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다. LID-BMPs별 배수구역 비율의 불균형은 LID의 유출량 및 비점오염부하량 저감효 율을 떨어뜨린다. LID의 보다 효율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LID-BMP를 서로 연결을 시킴으로써 LID-BMP에서 발생하 는 유출수를 여유용량이 있는 다른 BMP시설로 유입시키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Table 6)에서도 LID 적용 유무에 따라서 유출량 저감효과를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식생체류지의 연결은 식생체류지를 서로 연결시키지 않았 을 경우와 비교하여 35.8~167.3 m3의 추가적인 저류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저류용량의 크기가 그면 클 수록 LID-BMP별 연결에 의한 강우유출수 저류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LID설계시 LID-BMP간 연결이 강우유출 수의 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4동에 위치한 전주세무서를 대상으로 하여 전주세무서내의 잔디를 식생체류지로 조성하고 전주 세무서내 강우유출수를 식생체류지로 유입하는 것으로 하 고 3개의 식생체류지를 개별적으로 유출시켰을 경우와 서 로 연결시켰을 경우의 강우유출량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전주세무서에서의 유출량과 식생체류지 저감량은 CN기법 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에 적합한 CN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주천을 대상으로 과거 10년 동안의 월별유출량에 대하여 전역적 최적화 기법인 SCE-UA를 이용하여 자동 검보정하였으며 그 결과 보정 및 검정에 대한 모델효율이 각각 0.73과 0.77 을 나타내어 연구대상지역의 적합한 CN을 도출하였다. 전 주세무서의 CN도출을 위하여 전주천 유역을 대상으로 CN 검보정은 유역크기에 따른 CN 왜곡은 우려된다. 그러나 LID가 적용되는 많은 지역이 개발예정지이며 LID 적용 후 대상지역의 실측유출량 획득이 불가능한 것을 감안할 때 문헌상의 CN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신뢰성 있는 결과인 것 으로 판단된다.

식생체류지의 저류용량과 강우유출수저류용량은 식생체 류지의 표면적 대비 배수면적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 다. 이는 식생체류지내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강우량에 의 한 저류지 용량감소를 고려하였기 때문인데, 식생체류지 표 면적에 비해 배수면적이 작을수록 식생체류지 용량을 채우 기 위하여 보다 많은 강우량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면적/식생체류지표면적의 비율이 1.2일 경 우 식생체류지 깊이 5~30 cm에 따라 강우유출수 처리비율 이 전체 용량의 51~54%에 불과한 반면 비율이 6.2일 경우 강우유출수의 처리비율이 전체용량의 81~85%에 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식생체류지를 3개를 서로 연결한 경우 3개를 개별적으로 배출한 경우보다 강우유출수 저감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체류지를 연결한 경우 유출이 발생되지 않는 임계 강우량을 기준으로 저류깊이 5~30cm 사이 강우유출 수 35.8~167.3 m3을 추가적으로 더 저류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식생체류지의 저류용량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유 출수를 저류용량에 여유가 있는 식생체류지로 유입시키는 효과이다. 따라서, LID-BMP별 연결은 보다 효율적인 LID 설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6학년도 안동대학교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 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hiablame L M, Engel B A, Chaubey I, 2012a, Effectiveness of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ater Air & Soil Pollution, Vol. 223, No. 7, pp. 4253-4273Google Search
2 
Ahiablame L M, Engel B A, Chaubey I, 2012b, Representation and Evalu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with L-THIA-LID: An Example for Site Planning, Environment and Pollution, Vol. 1, No. 2, pp. 1Google Search
3 
Arnold J G, Allen P M, 1999, Validation of Automated Methods for Estimating Baseflow and Groundwater Recharge from Streamflow Record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 2, pp. 411-424Google Search
4 
Choi H S, Kim D H, Jo S Y, 2010, Application and Effects of Low Impact Development in Urban Regeneration of Waterfront Areas, [Korean Literature], KEI research report 2010-16,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 1-187Google Search
5 
Donigian A S, 2000, HSPF Training Workshop Handbook and CD Lecture #1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Issue, Slide #L19-22. EPA Headquarters, Washington Information Center, 10-14 January, 2000, Presented and prepared for U.S. EPA, Office of Water,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Google Search
6 
Donigian A S, 2002, Watershed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The HSPF Experience,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7 
Duan Q, Sorooshian S, Gupta V K, 1992, Effective and Efficient Global Optimzation for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ce Research, Vol. 28, No. 1, pp. 1015-1031Google Search
8 
Eckhardt K, 2005, How to Construct Recursive Digital Filters for Baseflow Separation, Hydrological Processes, Vol. 19, No. 2, pp. 507-515Google Search
9 
Holland J H, 1975, Adaptation in Natural and Artificial syste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 
Jeon J H, Choi D H, Kim T D, 2009, LIDMOD Development for Evaluating Low Impact Development and Its Applicability to Total Maximum Daily Load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5, No. 1, pp. 58-68Google Search
11 
Jeon J H, Choi D H, Na E H, Park C G, Kim T D, 2010, LIDMOD2 Development for Evaluation of LID/BMP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6, No. 3, pp. 432-438Google Search
12 
Jeon J H, Lim K J, Engel B A, 2014a, Regional Calibration of SCS-CN L-THIA Model: Application for Ungauged Basins, Water, Vol. 6, No. 5, pp. 1339-1359Google Search
13 
Jeon J H, Park C G, Engel B A, 2014b, Comparison of Performace Between Genetic Algorithm and SCE-UA for Calibration of SCS-CN Surface Runoff Simulation, Water, Vol. 6, No. 11, pp. 3433-3456Google Search
14 
Kim D H, Choi H S, 2013, The Planning Process and Simulation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in Waterfront A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Vol. 12, No. 1, pp. 37-58Google Search
15 
Kim J J, Kim T D, Choi D H, Jeon J H, 2011, Design of Structural BMPs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Application and Modelling Its Effect on Reduction of Runoff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Application of LID MOD2,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7, No. 5, pp. 580-586Google Search
16 
Kuczera G, 1997, Efficient Subspace Probabilistic Parameter Optimization for Catchment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1, No. 1, pp. 177-185Google Search
17 
Lim K J, Engel B A, Tang Z, Choi J, Kim K S, Muthukrishnan S, Tripathy D, 2005, Automated Web GIS Based Hydrograph Analysis Tool, WHAT1,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6, pp. 1407-1416Google Search
18 
Nelder J A, Mead R, 1965, A Simplex Method for Function Minimization, Computer Journal, Vol. 7, pp. 308-313Google Search
19 
Prince George’s County (PGCo), 1999, Low-impact Development Hydrologic Analysi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Prince George’s Coun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