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유역총량연구과 (Watershed and Total Load Management Research Division, Water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timicrobial, Extraction, HPLC-MS/MS, Pre-treatment, Solid sample, Veterinary antibiotic residues

1. Introduction

축산업의 발달에 따라 동물 치료와 감염 예방, 생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동물용 항생제가 사용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의 보고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식용 동물(소, 돼지, 닭, 수산용)에 사용을 목 적으로 판매된 항생제는 635톤으로 나타났고(Lim et al., 2015) 미국과 EU 국가들의 연간 항생제 판매량과 비교하 여도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Fig. 1). 우리나라와 유럽 은 가축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항생제 사용을 위해서는 처방전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지만 여전히 많은 양이 사용 중이며(EU, 2003; USDA, 2011) 이 렇게 소비된 항생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환경으로 유입 되어 잠재적인 위해를 야기할 수 있으리라 예측되고 있다.

Fig. 1. Annual sales of veterinary antimicrobials for foodproducing animals in 2013 (European medicines agency, 2015) a: sales in 2014 (U. S. FDA, 2015); b: sales in 2014 (Lim et al., 2015).
../../Resources/kswe/KSWE.2016.32.6.600/JKSWE-32-600_F1.jpg

가축용 항생제의 상당부분은 모화합물 그대로 또는 활성 상태의 대사물질 형태로 대변·소변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Sarmah et al., 2006) 돼지(Jacobsen and Halling-Sorensen, 2006; Martinez-Carballo et al., 2007; Zhao et al., 2010), 소 (Zhao et al., 2010), 가금류(Martinez-Carballo et al., 2007; Zhao et al., 2010) 등의 분뇨에서 수백 mg/kg 수준의 농도 로 여러 종류의 항생제가 빈번하게 검출되어 왔다. 또한 축산업의 특성상 축산폐수 처리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중 소규모의 농가가 다수 분포되어 있고, 퇴비화 및 유통, 살 포과정에서 알려지지 않은 경로로 오염물질이 유출될 가능 성이 매우 크다. 실제로 하수처리장의 슬러지뿐 아니라 가 축 농장 주변의 토지나 퇴비를 뿌린 경작지에서 다양한 종 류의 항생제가 검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Table 1. Occurrence of antibiotics in common solid samples
Sample matrix Detected compound Reference
Livestock products (cattle, chicken, pig, fish) Apramycin, dihydrostreptomycin, gentamycin, kanamycin, neomycin, enrofloxacin, oxytetracycline, tylosin, tilmicosin, sulfadiazine, chlortetracycline, lincomycin, colistin, albendazole, fenbendazole, mebendazole, oxfendazole, thiabendazole, ciprofloxacin, sulfisoxazole, sulfamethoxypiridazine Carretero et al., 2008, Chafer- ericas et al., 2010, Dasenaki and Thomaidis, 2010,Tao et al. (2012) 2012 Wan et al., 2006 Xu et al., 2012
Manure Monensin, chlortetracycline, doxycycline, oxytetracycline, enrofloxacin, ofloxacin, trimethoprim, norfloxacin, sulfadiazine, flumequine, tilmicosin, tylosin, methacycline, erythromycin, sulfamonomethoxine, tetracycline Bak et al., 2013,Ho et al. 2012 Ho et al., 2014 Jacobsen and Halling-Sorensen, 2006,Karci and Balcioglu, 2009 Zhou et al., 2012
Excreta Doxycycline, sulfachloropyridazine, enrofloxacin,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ofloxacin, chlortetracycline, trimethoprim, amoxicillin, difloxacin, sulfamonomethoxine, norfloxacin, fleroxacin, ciprofloxacin, danofloxacin, sulfaguanidine, Gorissen et al., 2015, Martinez-Carballo et al., 2007 Zhao et al., 2010, Zhou et al., 2013
Sludge Sulfamethazine, sulfamethoxazole, sulfamethazine, sulfachlorpyridazine, chlortetracycline, doxycycline, trimethoprim, oxytetracycline, enrofloxacin, norfloxacin, methacycline, tetracycline, ciprofloxacin, fleroxacin, lemofloxacin, ofloxacin, clarithromycin, roxithromycin Zhou et al., 2012, Zhou et al., 2013
Agricultural soil, sediment Monensin, salinomycin, doxycycline, enrofloxacin, flumequine, norfloxacin, trimethoprim, tylosin, chlortetracycline, oxytetracycline, sulfathiazole, monensin, sulfamethoxazole, sulfadimethoxine, salinomycin, sulfachlorpyridazine, narasin, tetracycline, demeclocycline, roxythromycin, Bak et al., 2013,Ho et al. 2012 Ho et al., 2014 Kim and Carlson, (2007) Zhou et al., 2012

환경 중 잔류 항생제의 검출뿐 아니라 잔류 항생제가 생 태계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 되어 왔는데 수 ng/L~μg/L 농도로 검출되는 수준에서도 수 생생물의 세포성장이나 생식기능을 저하시키는 등 생태계 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iu and Wong, 2013; Rahman et al., 2009). Migliore et al. (1998)Migliore et al. (2003)은 술파디메톡신(sulfadimethoxine)과 엔로플록 사신(enrofloxacin)이 식물의 성장을 저하하는 독성을 나타 내는 것을 보고하기도 하였다.

Malch et al. (2014)은 잔류 의약물질이 존재하는 하수처 리장 처리수를 이용해 당근, 고구마 등을 재배하여 검출되 는 의약물질을 조사하고 재배된 뿌리식물의 섭취가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카바마제핀(carbamazepine), 카페인(caffeine), 라모트리진(lamotrigine) 등이 뿌리 와 잎에서 검출되었고, 매일 당근을 섭취할 경우 아이들에 게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Pomati et al. (2008)은 인체 세포로 의약물질의 독성을 평가하여 ng/L 수준으로 존재하는 베자피브레이트(bezafibrate), 아테놀롤 (atenolol),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린코마이신(lincomycin) 이 세포증식을 억제하여 임산부와 신생아에게 위험 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고하기도 하였다.

특히 잔류항생제로 인해 발생하는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와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은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다(Bonnet, 2004; Chander et al., 2011; Fischbach and Walsh, 2009; Hasman et al., 2005; Hur et al., 2012; Kim et al., 2012; Neu, 1992; Persoons et al., 2011; Pfeifer et al., 2010; Straus and Hancock, 2006).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수 및 하수슬러지(Biswal et al., 2014; Chen and Zhang, 2013), 물놀이 공간(Santiago-Rodriguez et al., 2013), 육·어류 가공식품(Carretero et al., 2008; Chafer-Pericas et al., 2010; Wan et al., 2006; Xu et al., 2012) 등 다양한 시 료에서 항생제 내성 미생물의 검출이 보고되고 있고, 인간 은 여러 경로를 통해 항생제 내성균에 노출된다. 미국 보 건사회복지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항생 제 내성균에 의해 연간 2백만 명 이상의 환자와 2만 3천명 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CDC, 2013).

이러한 다양한 환경적, 보건적 문제가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나라들은 하수처리 비용 의 절감, 분뇨 중의 인, 질소 회수 및 자원화를 목적으로 가축분뇨를 퇴비화하여 농업 비료로 사용하고 있다. 퇴비의 양이 이미 경작지에서 필요로 하는 수준을 넘고 있으며 (Kim et al., 2015; Kim et al., 2005; OECD, 2001) 퇴비의 반출입량과 시비량 등에 대한 파악이 부정확하여 이로 인 한 환경오염의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과학적인 실태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응집-침전-모래 여과를 통한 입자물질 제거를 주요 메커니즘으로 설계된 기존의 정수처리기술(Adams et al,. 2002; Kim et al,. 2007; Stackelberg et al., 2004)과 하수처리기술의 활성슬러지법 (Clara et al., 2005; Radjenovic et al., 2009)은 지하수나 지 표수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의약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운 것 으로 알려져 있어 축산업에서 항생제의 사용 특성과 환경 중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대한 요구가 지속 되어 왔다.

이에 따라 2015년 환경부는 비료의 공급량, 가축분뇨 등 으로 인한 환경오염 실태를 조사하고 축산업에 의해 발생 하는 잔류 항생물질의 거동 조사 등을 포함한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과 「가축분뇨실태조사의 세부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한 고시」를 제정·발표하였다(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고시에 따르면 실태 조사를 위해 가축분뇨, 하천 및 호소, 지하수 등의 시 료를 채취하고, 기본적인 수질측정 항목을 비롯해 중금속, 악취 및 잔류항생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조사방법으 로 「비료의 품질검사방법 및 시료채취기준」, 「수질오염공 정시험기준」,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악취공정시험법」 등 을 따르도록 명시하고 있으나 잔류항생물질을 분석하기 위 한 표준시험방법을 언급하지 않고 있다. 미국 EPA method 1694에서 고체, 액체 시료에 대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와 질량분석기(MS)를 사용하는 잔류의약물질의 분석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가축분뇨에 대한 전처리방법을 설명하지 는 않았다(U. S. EPA, 2007).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 석기를 이용하여 하천 및 호소수 등 액체 시료의 잔류 항 생제를 분석하는 방법은 총설 II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다 양한 계열의 항생제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고체 시료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 이다. 인간의 공공보건과 직접적인 연관성으로 인해 식재료 인 생선(Evaggelopoulou and Samanidou, 2013; Kaufmann et al., 2012; Lopes et al., 2012; Xu et al., 2012), 육류 (Berendsen et al., 2013; Bousova et al., 2013; Carretero et al., 2008; Tao et al., 2012; Zhu et al., 2008) 등의 고형 시료를 대상으로 전처리방법을 개발하고 실제 제품을 대상 으로 잔류항생제 농도를 측정하여 보고한 사례가 있으나 가축분뇨, 퇴비중의 항생제 분석방법을 제시한 연구는 상대 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Gorissen et al., 2015; Zhao et al., 2010; Zhou et al., 2012).

더욱이 진행된 연구에서 제안된 잔류 항생제 분석방법은 그 대상물질의 범위가 제한적이고, 다종의 항생제 계열에 적용 가능하도록 정립된 분석 방법이 없어 대부분의 연구 는 테트라사이클린계(tetracyclines), 설폰아마이드계(sulfonamides), 플로로퀴놀롤계(fluoroquinolones) 항생제를 주로 분석하고 있고 린코마이신(lincomyvin), 플로르페니콜(florfenicol), 콜리스틴(colistin), 클로피돌(clopidol) 등의 동물용 의약품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물게 나타나고 있다(Ben et al., 2008; Chen et al., 2012; Jacobsen and Halling-Sorensen, 2006; Karci and Balcioglu, 2009; Watanabe et al., 2010; Zhao et al., 2010). 따라서 축산농가와 농가 주변의 토양, 하천 등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와 동물용 잔류 항생제의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계열의 항생제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조사와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 동물용 항생제의 국내 판매량 순위를 검토하여 대상 물질을 선정하고, 2) LC-MS를 이용해 선정 된 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고체 시료의 전처리 과정을 조사 하여 향후 가축분뇨 중 잔류항생물질의 분석 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 Selection of Veterinary Antibiotics

대상물질을 선정하기 위하여 국내 가축용 항생제 판매순 위를 조사하였다. 판매량은 『2014년도 국가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 (Lim et al., 2015)자료를 인용하였다. Fig. 2 는 연간 판매량이 5톤을 넘는 항생제에 대해 축종별 판매 량을 보여준다. 22종의 항생제가 연 5톤 이상 판매되고 이 중 15종의 항생제는 돼지용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었다. 소 와 돼지용으로는 아목시실린(amoxycillin)이, 가금류용으로 는 살리노마이신(salinomycin)이 가장 많이 판매되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Fig. 3은 판매량 상위 10~50종을 선정 기준 으로 하였을 때 선정된 항생제의 연간 판매량이 전체 판매 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상위 10종과 20종 의 항생제만을 선정할 경우, 판매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 각 73%와 87%이고, 상위 40종과 50종의 항생제를 선정할 경우 선정된 판매량은 98%와 9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선정된 항생제가 판매된 전체 항생제를 대변하기에 충분하도록 판매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90% 이상으로 하여 적정 수의 대상물질을 선정코자하였고 상위 30종을 선정하 여 축종에 따라 중복되는 물질과 염(salt)의 형태로 판매되 는 물질들을 고려하였을 때, 약 95%의 판매비율을 갖는 37종의 대상물질이 선정되었다(Table 2). 선정된 37종의 항 생제는 최소 12개 이상의 계열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이 계 열별로 상이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다.

Table 2. The 37 selected antibiotics according to the annual sales of veterinary antibiotics in South Korea, 2014
Compound Class Compound Class

Dihydrostreptomycin Aminoglycosides Enrofloxacin Fluoroquinolones
Gentamicin Flumequine
Kanamycin Marbofloxacin
Neomycin
Spectinomycin
Streptomycin Tiamulin Pleuromutilins
Apramycin

Colistin Polymyxins
Chloramphenicol Amphenicols
Florfenicol Sulfachloropyridazine Sulfonamides

Sulfadiazine
Amoxicillin β-Lactams (Cephalosporins, penicillins) Sulfadimethoxine
Ampicillin Sulfamethazine
Ceftiofur Sulfamethoxazole
Penicillin G Sulfaquinoxaline

Sulfathiazole
Lasalocid Ionophore polyethers
Monensin Chlortetracycline Tetracyclines
Salinomycin Doxycycline

Oxytetracycline
Lincomycin Lincosamides

Clopidol Others
Tilmicosin Macrolides Fenbendazole
Tylosin Trimethoprim
Fig. 2. Annual sales of major antibiotics with livestock species in South Korea, 2014 (Lim et al., 2015).
../../Resources/kswe/KSWE.2016.32.6.600/JKSWE-32-600_F2.jpg
Fig. 3. Comparison of proportions of selected antibiotics sal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antibiotics.
../../Resources/kswe/KSWE.2016.32.6.600/JKSWE-32-600_F3.jpg

테트라사이클린계는 나프타센(naphthacene)구조를 골격으 로 하고 산에서 비교적 안정적이나 염기에서 불안정하며 빛 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특성을 갖는다(Halling-Sorensen et al., 2002). 또한, 2가, 3가의 금속이온과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하고 실리카의 실라놀 작용기(silanol groups)와 강하게 결합한다(Halling-Sorensen et al., 2002; Oka et al., 2000; Petrovic et al., 2005). 플로로퀴놀론계는 가수분해와 온도의 증가에 안정적이지만 광분해 되기 쉽다(Pico and Andreu, 2007). 테트라사이클린계, 플로로퀴놀론계와 비교하여 설폰 아마이드계 항생제는 토양 중에서 흡수나 흡착하는 성질이 약하기 때문에 매우 이동이 자유로운 특징이 있고(Tolls, 2001), 이러한 이유로 자연수 중에서 매우 빈번하게 검출되 는 계열 중 하나이다. 매크로라이드계 항생제는 10개 이상 의 탄소를 포함하는 락톤(lactone)링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매크로라이드계는 약한 염기성을 띄며 산에서 매우 불안정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Hou et al., 2015). 아미노글리코사이 드계(aminoglycosides) 항생제 또한 염기성을 띄고 친수성이 강해 수용해도가 높으며 광분해 되기 쉽다(Thiele-Bruhn, 2003). 베타-락탐(β-lactam)계는 페니실린(penicillin)계열과 세팔로스포린계열을 포함하는데 베타-락탐 링은 산성과 염 기성 매체에서 쉽게 분리되는 특징을 갖는다(Thiele-Bruhn, 2003). 카르복실폴리에테르(carboxylic polyether)를 백본(backbone) 으로 하는 이오노포어 폴리에테르(ionophore polyether) 계열은 양이온 결합하여 가상의 메크로사이클릭 착물을 형 성하는 특성을 갖는다(Volmer and Lock, 1998).

이러한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항생제에 따른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이 다를 수 있고,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항 생물질에 따른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으 며 다양한 종의 항생물질을 동시에 분석 가능하도록 하는 전처리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EPA method 1694 분석방법 을 우선 고려하였으며, 선정한 모든 물질들에 대한 분석방 법을 검토할 목적으로 EPA method 1694에 제시되지 않은 물질들에 대해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분석방법을 검토하였 다. 고체 시료에 포함된 잔류항생제를 분석한 연구를 대상 으로 하였고, 고체 시료로는 동물과 생선의 조직이나 계란 등의 식품, 동물의 사료, 자연시료인 토양, 퇴적물, 비료와 가축의 생 분뇨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3. Pre-treatment Methods of Solid Samples

대표적인 고체 시료인 동물 조직(tissue)은 단백질과 지질 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동물의 근육, 간, 콩팥 등에 포함된 항생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적절하고 충분한 정제 과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분뇨, 비료 등의 고체 시 료도 단백질을 포함 하는 성상이 복잡한 고체 시료이기 때 문에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적절한 전처리 단계의 선정 및 개발이 중요하다. 특히,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 LC)와 질량분석기(mass spectrometry, MS)를 이 용한 분석을 위해서는 시료의 전처리 단계가 매우 중요하 며 전처리 방법의 핵심 목적은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를 고농도로 농축하고 여타 방해물질을 제거하는데 있다. 일반 적으로 고체 시료의 전처리 방법은 시료중의 항생제를 액 체상으로 추출해 내기 위한 추출 과정(extraction)과 항생제 가 추출된 추출액에서 불순물과 간섭물질들을 제거하고 고 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할 수 있는 상태로 시료를 제조하는 정제(clean-up) 과정을 거친다(Fig. 4).

Fig. 4. Schema of a basic concept and common methods for sample preparation of solid samples.
../../Resources/kswe/KSWE.2016.32.6.600/JKSWE-32-600_F4.jpg

고체 시료에 포함된 항생제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액-액추출법(liquid-liquid extraction; LLE)과 고상추출법(solidphase extraction, SPE)으로 나뉜다. 전통적인 액-액추출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기계적인 교반(Kim and Carlson, 2007; Lopes et al., 2012; Schlusener et al., 2006), 초음파 (Boscher et al., 2010; Gorissen et al., 2015; Ho et al., 2012; Zhou et al., 2012), 가압용매추출법(pressurized liquid extraction)(Bak et al., 2013; Carretero et al., 2008; Messi et al., 2005)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 고 초임계유체(supercritical fluid)의 용해력 변화를 통해 용 질을 추출·분리하는 초임계유체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이 고체 시료에 적용이 가능하나 자연물질로부터 정유(精油, essential oil)를 추출하는데 주로 사용되며(Lang and Wai, 2001; Reverchon and De Marco, 2006) 항생제 추출에는 거의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상추출법 에서는 주로 상용화된 카트리지를 적용하여 추출을 수행하 며 항생제 분석을 위한 전처리 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 는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고체 시료의 전처리 과정에 서는 용매를 이용하여 고체 시료로부터 대상 물질을 추출 한 후 농축 및 정제의 목적으로 고상추출법이 적용되며(Ho et al., 2012; Kaufmann et al., 2012) 정제과정으로 분리막 여과나(Bousova et al., 2013; Gorissen et al., 2015; Kaklamanos et al., 2013; Lopes et al., 2012) 둘 이상의 카트리 지를 연속 결합한 고상추출법을 적용하기도 한다(Hong et al., 2015; Zhou et al., 2012). 고체 시료로부터 직접 물질 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대상 시료와 고상 흡착물질을 혼합 하여 균질화한 후 추출을 수행하는 시료고체상분산(matrix solid phase dispersion)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식품 중의 독 성물질이나 단일계열의 항생제를 추출하는데 주로 사용되 며 다계열 항생제 분석을 위한 전처리로 사용되는 경우는 극히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Barker, 2007; Capriotti et al., 2010). 농약과 살충제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목적으로 시료 고체상분산법을 개량하여 2003년 미국농무부(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에서 개발한 QuEChERS(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방법(Anastassiades et al., 2003)은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한 분석 용 키트(kit)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고체나 점도가 높 은 액체(우유, 꿀 등) 식품으로부터 항생제를 추출하기 위한 전처리 기법으로 그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Amelin et al., 2015; Shendy et al., 2016; Stubbings and Bigwood, 2009).

추출과정에서는 제단백(deproteinization)이 필요하며 동물용 항생제 추출을 보고한 대부분의 문헌은 과염소산(perchloric acid),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TCA) 등의 유기산을 첨가하고 변성 침전된 단백질을 원심분리나 여과를 통해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ousova et al., 2013; Kaufmann et al., 2012; Tao et al., 2012).

3.1.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분석을 위한 고체 시료 전처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럽연합, 중국, 일본, 미국, 식품 첨가물 전문가위원회(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등에서 식품 중의 아미노글리코사 이드계 항생제의 최대 허용 농도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동물성 식품 중의 잔류 항생제 분석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Bousova et al., 2013; Kaufmann et al., 2012; Tao et al., 2012; Zhu et al., 2008), 타 계열 항생제와 동 시 분석을 수행하거나 분뇨, 퇴비, 퇴적물 등 식품 이외의 매질에 대한 분석방법이나 전처리방법을 연구한 문헌은 제 한적이다. 따라서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열 항생제의 전처리 방법은 분류하여 Table 3에 정리하고 나머지 항생제의 전 처리 방법은 Table 4에 나타내었다.

Table 3. Extraction and clean-up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minoglycosides in solid samples (TCA: trichloroacetic acid; HFBA: heptafluorobutyric acid; ACN: acetonitrile)
../../Resources/kswe/KSWE.2016.32.6.600/JKSWE-32-600_T3.jpg

고체 시료를 사용하는 모든 분석방법은 시료 균질화 과 정을 거친다. 잔류 항생물질의 추출을 위한 용매는 균질화 전 또는 후에 시료에 투입하며 균질화 과정을 거치면서 고 체 입자는 분자상으로까지 파쇄되어 용매와 접촉한다. 대부 분의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의 항생제는 균질화를 통한 추출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일반적 으로 동물 조직으로부터 항생제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제단 백을 수행하는데, 시료 중에 단백질이 존재하는 경우 화학 반응을 방해하거나 거품 또는 혼탁을 일으켜 분석과정에 오차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의 연구에서 유기용 매인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ACN)을 사용하여 계란에 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72%의 회수율로 추출하 기도 하였으나(Kowalski et al., 1999) 최근의 연구에서는 산을 주로 사용한다. 과염소산(Vinas et al., 2007)이나 포름 산(formic acid)(Heller et al., 2000)을 사용한 연구도 보고 되고 있으나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열의 항생제를 분석한 최근의 연구들은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주로 사용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첨가된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은 음이온으로 해리되고 단백질과 결합하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또한 Kaufmann and Maden (2005)은 최적화된 농도인 5%에서 만족할 만한 회수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 고하였다. Kaufmann and Maden (2005)의 연구에 따르면 2% 이하의 농도(0.1, 1, 2%)에서는 탁도를 갖는 추출액이 생성되고 이는 정제과정에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회수 율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의 트리클로로아 세트산을 적용하였을 때 회수율은 가장 높았으나 높은 이 온세기로 인해 고상추출단계에서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내 고 질량분석기에서 높은 이온억제(ion suppression)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

추출된 액상시료는 고상추출법을 통해 정제과정을 거치 는데 주로 약한 양이온교환 카트리지(weak cation exchanger) 가 사용되며(Chen et al., 2010; Cherlet et al., 2007; Ishii et al., 2008; Van Holthoon et al., 2009) 이온교환 카트리 지는 분자의 이온화형태에 따라 결합·분리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적재시료의 pH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Kaufmann et al., 2012). 조사 결과 시료의 pH는 약산성 또는 약염기성 인 5.5~8.5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o et al. (2012)은 자동화 고상추출시스템인 Gilson Aspec XL4 automated SPE system(carboxy propyl phase(CBA))으로 아미노 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분석을 위한 시료를 처리하였는데 pH 6.5이하, 8.5이상에서 급격한 회수율 감소를 확인하였고 7.5를 최적 조건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Table 3).

3.2. 콜리스틴 분석을 위한 고체시료 전처리

콜리스틴은 콜리스틴 A, 콜리스틴 B(두 물질이 약 85% 를 구성함)를 포함하여 30종 이상의 유사구조를 갖는 폴리 펩티드(polypeptide) 분자의 혼합물이다(Elverdam et al., 1981; Orwa et al., 2001). 이러한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정 확한 정량이 어렵고 특히, 매질이 복잡한 생물학적 시료(분 뇨 포함)를 대상으로 콜리스틴을 분석한 문헌은 극히 드물 게 보고되고 있으나 염산으로 처리한 후 고상추출법을 적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염산으로 처리하는 경우 산 가수분해로 지방질 제거와 단백질 입자의 석출이 일어 나고 결과적으로 회수율이 향상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Wan et al., 2006; Xu et al., 2012).

Table 4. Extraction and clean-up method for pre-treatment of the other solid samples (TCA: trichloroacetic acid; HFBA: heptafluorobutyric acid; PLE: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SA: primary secondary amine; FA: formic acid; DCM: dichloromethane; ACN: acetonitrile)
../../Resources/kswe/KSWE.2016.32.6.600/JKSWE-32-600_T4.jpg

3.3. 나머지 항생제 분석을 위한 고체시료 전처리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와 콜리스틴를 제외한 항생제를 분 석하는 시료(Table 4)는 추출단계에서 유기용매(메탄올 또 는 아세토나이트릴) 또는 완충용액(McIlvaine buffer)과 함 께 균질화 된 시료를 볼텍스 믹서(vortex mixer)나 진탕기 (shaker) 등을 사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제단백과 추출을 수 행한다. 그러나 고체 시료는 고농도의 매질을 함유하기 때 문에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방법으로 초음파처 리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Boscher et al., 2010; Gorissen et al., 2015; Kaklamanos et al., 2013; U. S. EPA. 2007; Zhou et al., 2012). 초음파는 단백질을 분해하고 분자간 결 합을 분리하여 고체 시료에 포함된 잔류 항생물질을 추출, 용매에 용해되도록 한다. 시료 균질화와 추출과정을 거친 시료는 원심분리를 통해 고상과 액상을 분리하고 상등액을 취합하여 분리막 여과, 고상추출법 등을 통한 정제과정을 거친다. 추출과정은 필요에 따라 2~3회 반복되는 경우도 있다.

항생제들은 유사한 추출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아세토 나이트릴, 메탄올, 물을 혼합하여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 우가 대부분이며 포름산, 인산 완충액, 구연산 완충액 등으 로 pH를 조정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설폰아마이드계, 플로 로퀴놀론계, 테트라사이클린계, 이오노포어계, 베타-락탐계 (β-lactams) 등 다계열(multi-class) 항생제를 동시에 분석하 기 위한 시료 전처리 방법 및 분석방법을 개발, 적용한 연 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Boscher et al., 2010; Bousova et al., 2013; Carretero et al., 2008; Kaklamanos et al., 2013; Lopes et al., 2012; Moloney et al., 2012; Pietruk et al., 2015; Tao et al., 2012; Zhou et al., 2012).

다양한 계열의 항생제를 동시 분석하는 경우 아세토나이 트릴과 메탄올 혼합액을 용매로 사용하였는데 아세토나이 트릴은 단백질과 효소성분을 제거하여 깨끗한 추출물을 제 공하고 잔류항생제는 메탄올에 의해 추출된다. 그러나 메탄 올 비율이 높은 경우 항생제 이외에 방해 물질의 추출량이 증가하여 정제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매크로라이드나 테트라사이클린 등 극성을 띄는 물질 에 대한 추출효율을 높일 목적으로 아세토나이트릴과 메탄 올에 물을 첨가하기도 한다(Kaklamanos et al., 2013). 추출 용매의 pH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테트라 사이클린계 항생제의 경우 단백질과 결합하는 성질 때문에, 가축분뇨, 육류, 퇴비 등 바이오고체(biosolids) 시료 분석 시 회수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Kaklamanos et al., 2013). 따라서 산성 용매를 이용한 시료추출이 필수적이다. Kaklamanos는 1% 포름산을 최적 조건으로 제시하였고 1% 이상 조건에서는 테트라사이클린 이외의 다른 항생제가 분 해되는 문제점을 보고하였다.

가압용매추출법은 고체 시료를 균질화하여 추출 셀(extraction cell)에 충전하고 고온·고압으로 용매를 통과시켜 시료 중의 대상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가압용매추출법은 셀 내부를 고압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셀 내부에서 용매의 끓 는점이 높아진다. 따라서 고온의 용매가 시료와 접촉하면서 추출대상물질의 용해도와 확산 속도가 증가되어 추출속도 와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가압용매추출법의 추출 효율은 주로 용매의 종류와 온도에 큰 영향을 받고(Bjorklund et al., 2000; Boscher et al., 2010) 추출시간, 반복횟수, 세척 시간, 셀 크기 등이 일부 영향을 미친다. Bak et al. (2013) 은 5종의 이오노포어(ionophore)계 항생물질을 대상으로 메 탄올과 아세톤의 혼합비와 추출 온도에 따른 효율을 평가 하여 MeOH:H2O (1:1, v/v)와 40°C를 최적 용매와 온도조 건으로 제안하였고 90~105% 회수율을 얻었다. Boscher et al. (2010)은 50, 60, 70°C에서 가압용매추출법으로 13개 계 열의 항생제를 동물 사료로 부터 추출하여 온도에 의한 효 율을 평가하였는데, 60°C까지는 회수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70°C에서는 이오노포어계, 페니콜계(phenicols), 항콕시듐제제(coccidiostat), 설폰아마이드계, 페니실린 계(penicillins) 항생제에서 회수율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 였다. 특히 설폰아마이드계 항생제는 회수율이 절반으로 감 소하였으며 이는 특정 항생제들이 열에 약하기 때문이라 하였다. 또한 가압용매추출법과 초음파추출법의 회수율 차 이를 비교하여 효율을 평가하였는데 두 방법에서 큰 회수 율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고 초음파추출법을 적용하였을 때 짧은 추출 시간에 다량의 시료를 동시 처리 가능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Carretero et al. (2008)은 육류 중 31종의 잔류항생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였고, 가압용 매추출법의 최적 조건을 평가·보고하였다. 추출시간(2, 5, 10, 15, 20분), 추출온도(50, 70, 90, 100°C), 셀 부피(5, 11, 22, 33 ml), 추출압력(1000, 1500, 2000, 2500 psi), 추출 반복 횟수(1, 2, 3회) 등을 평가한 결과 추출시간 10분, 셀 부피 22 ml, 추출압력 1500 psi까지는 일부 회수율이 증가 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 다. 또한 미미하지만 반복 횟수의 증가는 회수율을 감소시 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반복적인 고온 용매와의 접 촉으로 인해 대상물질의 분해가 일어났을 것이라 추측하였 다. 동일한 이유로 추출 온도가 70°C까지 증가함에 따라 회수율이 향상되었으나 일부 항생제의 경우 70°C 이상에서 회수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가압용매추출 법 역시 다양한 물리·화학적 메커니즘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통용 가능한 최적조건의 도출이 어렵고 특히 다양 한 계열의 항생제를 분석할 목적으로 가압용매추출법을 적 용할 경우 용매 및 온도에 대한 최적화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추출과정을 거친 시료는 여과 또는 고상추출법을 통한 정제를 수행하는데 여과를 수행하는 경우 주로 0.2 μm의 공극 크기를 갖는 분리막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고상추출법은 액체 시료를 적용할 때와 동일하 게 카트리지의 컨디셔닝, 시료 적재, 카트리지 건조 및 세 척, 추출, 추출액의 농축, 재용해, 여과 등의 과정을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카트리지는 주로 Oasis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d sorbent)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드물게 Strata-X를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 재 시료는 추출과정에서 산성화된 시료를 그대로 적용하거 나 pH 2.0~2.5범위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액체시 료의 전처리방법과 유사하게 베타-락탐계 항생제의 경우 시료의 pH를 조절하지 않거나 중성(pH 7.2)(Berendsen et al., 2013)으로 조절하여 적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타-락탐계 항생제가 산성 또는 염기성에서 분해되는 특 성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Diaz-Cruz and Barcelo, 2006; Thiele-Bruhn, 2003). 용리액으로는 메탄올이 주로 사용되나 메탄올과 아세토나이트릴, 물 혼합액을 사용하기도 한다.

Zhou et al., (2012)는 고체시료(슬러지, 퇴적물, 비료)를 대상으로 11개 계열에 해당하는 총 50종의 항생제를 분석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고상추출 과정에서 SAX-HLB 카트리지를 직렬로 결합하여 사용한 것을 보고하였다. 상단 에 결합된 SAX(strong anion exchange sorbent)카트리지에 서 (-)전하를 갖는 휴믹산(humic acid), 펄빅산(fulvic acid) 과 같은 자연유기물질이 제거되고, pH 3에서 중성 또는 (+)이온으로 존재하는 항생물질은 하단에 결합된 HLB 카 트리지에 흡착되어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두 카트리 지를 결합하는 방법은 유기물이 다량 함유된 슬러지, 비료 등에서 특히 다종의 항생제를 분석하고자 할 때 적용 가능 한 방법 중 하나로 종종 보고되고 있다.

4. Conclusions

가축분뇨실태조사 항목인 항생제 분석을 성공적으로 수 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판매된 축산용 항생 제 판매량을 조사하여 37종의 대상 물질을 선정하고 가축 분뇨 중의 대상 항생제 잔류량을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전 처리 방법을 확인하고자 고상시료를 대상으로 전처리 방법 을 연구한 문헌을 조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상시료의 추출방법으로 기계적인 혼합법, 초음파추출법, 가압용매추출법 등을 적용하며 추출액은 분 리막 여과나 고상추출법을 통해 정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의 항생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동물의 신체나 어류를 대상 시료로 하고 있어 추출과정에 서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용액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제거 하고, 콜리스틴은 염산을 이용해 지방질과 단백질을 제거하 여 높은 회수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를 제외한 물질들은 주로 아세토나이트릴과 메탄올을 혼합용 매로 사용하며 초음파추출법을 많이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일부 문헌에서 가압용매추출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추 출용매의 온도와 종류에 따른 추출효율을 평가하기도 하였 으나 분석대상물질의 특성에 따라 최적 조건이 다르게 나 타나 가압용매추출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상 시료를 바 탕으로 조건의 최적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항생물 질은 산성시료 조건에서 전처리를 수행하며 추출 또는 정 제과정에서 pH는 2.0~4.0 범위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과 베타-락탐 계열의 항생제 는 중성 pH 조건에서 전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는 항생제의 화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고상추출 법을 적용하는 액체시료의 전처리에서도 동일한 원리를 이 용하여 시료의 pH를 결정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정제를 위한 여과는 0.2 μm의 공극크기를 갖는 분리막을 주로 사 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Oasis HLB 카트리지와 메탄올 을 사용한 고상추출법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상시료는 고농도의 단백질 및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적절한 추출과 정제과정의 전처리 방법을 적용해야 하며 전처리 효율은 분석대상물질 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37종의 대상물질을 분석하기 위해 고체 시료의 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와 베타-락탐 계 항생제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전처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즉, 최소 3가지의 전처리 과정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Adams C, Wang Y, Lofin K, Meyer M, 2002, Removal of Antibiotics from Surface and Distilled Water in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8, No. 3, pp. 253-260Google Search
2 
Amelin V G, Volkova N M, Timofeev A A, Tretyakov A V, 2015, QuEChERS Sample Preparation in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Residual Amounts of Quinolones, Sulfanilamides, and Amphenicols in Food Using HPLC with a Diode-Array Detector, Journal of Analytical Chemistry, Vol. 70, No. 9, pp. 1076-1084Google Search
3 
Anastassiades M, Lehotay S J, Stajnbaher D, Schenck F J, 2003, Fast and Easy Multiresidue Method Employing Acetonitrile Extraction/Partitioning and “Dispersive Solid-Phase Extrac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Produce, Journal of AOAC International, Vol. 86, No. 2, pp. 412-431Google Search
4 
Barket S A, 2007, Matrix Solid Dispersion (MSPD), Journal of Biochemical and Biophysical Methods, Vol. 70, No. 2, pp. 151-162Google Search
5 
Bak S A, Hansen M, Pederson K M, Halling-Sorensen B, Bjoklund E, 2013, Quantification of Four Ionophores in Soil, Sediment and Manure Using Pressurised Liquid Extraction,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307, pp. 27-33Google Search
6 
Ben W, Qiang Z, Adams C, Zhang H, Chen L, 2008,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ulfonamides, Tetracyclines and Tiamulin in Swine Wastewater by Solid-Phase Extraction and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202, No. 2, pp. 173-180Google Search
7 
Berendsen B J, Gerritsen H W, Wegh R S, Lameris S, van Sebille R, Stolker A A, Nielen M W, 2013, Comprehensive Analysis of β-Lactam Antibiotics Including Penicillins, Cephalosporins, and Carbapenems in Poultry Muscle Using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Vol. 405, No. 24, pp. 7859-7874Google Search
8 
Biswal B K, Mazza A, Masson L, Gehr R, Frigon D, 2014, Impact of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on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and Their Co-occurrence with Virulence Genes in Escherichia Coli, Water Research, Vol. 50, pp. 245-253Google Search
9 
Bjorklund E, Nilsson T, Bowadt S, 2000, Pressurised Liquid Extraction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Environmental Analysis, TraC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Vol. 19, No. 7, pp. 434-445Google Search
10 
Bonnet R, 2004, Growing Group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s: the CTX-M Enzymes,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Vol. 48, No. 1, pp. 1-14Google Search
11 
Boscher A, Guignard C, Pellet T, Hoffmann L, Bohn T, 2010, Development of a Multi-Class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Veterinary Drug Residues in Feedingstuffs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217, No. 41, pp. 6394-6404Google Search
12 
Bousova K, Senyuva H, Mittendorf K, 2013, Quantitative Multi -Residue Method for Determination Antibiotics in Chicken Meat Using Turbulent Flow Chromatography Coupled to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274, pp. 19-27Google Search
13 
Capriotti A L, Cavaliere C, Giansanti P, Gubbiotti R, Samperi R, Lagana A, 2010, Recent Developments in Matrix Solid-Phase Dispersion Extraction,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217, No. 16, pp. 2521-2532Google Search
14 
Carretero V, Blasco C, Pico Y, 2008, Multi-Class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s in Meat by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and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209, No. 1, pp. 162-173Google Search
1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3, Antibiotic Resistance Threats in the United States, 2013,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 13-17
16 
Chafer-Pericas C, Maquieira A, Puchades R, Company B, Miralles J, Moreno A, 2010, Multiresidue Determination of Antibiotics in Aquaculture Fish Samples by HPLC-MS/MS, Aquaculture Research, Vol. 41, No. 9, pp. e217-e225Google Search
17 
Chander Y, Oliveira S, Goyal S M, 2011, Characterisation of Ceftiofur Resistance in Swine Bacterial Pathogens, The Veterinary Journal, Vol. 187, No. 1, pp. 139-141Google Search
18 
Chen Y, Hu X, Xiao X, 2010, Sample Preparation for Determination of Neomycin in Swine Tissues by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ion, Analytical Letters, Vol. 43, No. 16, pp. 2496-2504Google Search
19 
Chen H, Zhang M, 2013, Effects of Advanced Treatment Systems on the Removal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rom Hangzhou, China,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47, pp. 8157-8163Google Search
20 
Chen Y, Zhang H, Luo Y, Song J, 2012, Occurrence and Dissipation of Veterinary Antibiotics in Two Typical Swine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in East China,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Vol. 148, No. 4, pp. 2205-2217Google Search
21 
Cherlet M, De Baere S, De Backer P, 2007,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hydrostreptomycin in Bovine Tissues and Milk by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Vol. 42, No. 5, pp. 647-656Google Search
22 
Clara M, Strenn B, Gans O, Martinez E, Kreuzinger N, Kroiss H, 2005, Removing of Selected Pharmaceuticals, Fragrances and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in a Membrane Bioreactor and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ater Research, Vol. 39, No. 19, pp. 4797-4807Google Search
23 
Dasenaki M E, Thomaidis N S, 2010, Multi-Residue Determination of Seventeen Sulfonamides and Five Tetracyclines in Fish Tissue Using a Multi-Stage LC-ESI-MS/MS Approach Based on Advanced Mass Spectrometric Techniques, Analytica Chimica Acta, Vol. 672, No. 1, pp. 93-102Google Search
24 
Diaz-Cruz M S, Barcelo D, 2006,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dues and Metabolites in the Aquatic Environment by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Vol. 386, No. 4, pp. 973-985Google Search
25 
Elverdam I, Larsen P, Lund E, 198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ree New Polymyxins in Polymyxins B and 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218, pp. 653-661Google Search
26 
European Medicines Agency, European Surveillance of Veterinary Antimicrobial Consumption, 2015, Sales of Veterinary Antimicrobial Agents in 26 EU/EEA Countries in 2013, EMA/387934/2015, European Medicines Agency, pp. 20-26
27 
European Union (EU), 2003, Regulation (EC) No 1831/200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September 2003 on Additives for Use in Animal Nutrition, European Union
28 
Evaggelopoulou E N, Samanidou V F,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ix Penicillin and Three Amphenicol Antibiotics in Gilthead Seabream (Sparus Aurata) Tissue According to the European Union Decision 2002/657/EC, Food Chemistry, Vol. 136, No. 3, pp. 1322-1329Google Search
29 
Fischbach M A, Walsh C T, 2009, Antibiotics for Emerging Pathogens, Science, Vol. 325, No. 5944, pp. 1089-1093Google Search
30 
Gorissen B, Reyns T, Devreese M, De Backer P, Van Loco J, Croubels S, 2015, Determination of Selected Veterinary Antimicrobials in Poultry Excreta by UHPLCMS/ MS, for Application in Salmonella Control Programs,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Vol. 407, No. 15, pp. 4447-4457Google Search
31 
Halling-Sorensen B, Sengelov G, Tjornelund G, 2002, Toxicity of Tetracyclines and Tetracycline Degradation Products to Environmentally Relevant Bacteria, Including Selected Tetracycline-Resistant Bacteria,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Vol. 42, No. 3, pp. 263-271Google Search
32 
Hasman H, Mevius D, Veldman K, Olesen I, Aarestrup F M, 2005, β-Lactamases Among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Resistant Salmonella from Poultry, Poultry Products and Human Patients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Vol. 56, No. 1, pp. 115-121Google Search
33 
Heller D N, Clark S B, Righter H F, 2000, Confirmation of Gentamicin and Neomycin in Milk by Weak Cation-Exchange Extraction and Electrospray Ionization/Ion Trap 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Vol. 35, No. 1, pp. 39-49Google Search
34 
Ho Y B, Zakaria M P, Latif P A, Saari N, 2012,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Veterinary Antibiotics and Hormone in Broiler Manure, Soil and Manure Compost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262, pp. 160-168Google Search
35 
Ho Y B, Zakaria M P, Latif P A, Saari N, 2014, Occurrence of Veterinary Antibiotics and Progesterone in Broiler Manure and Agricultural Soil in Malaysi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88, pp. 261-267Google Search
36 
Hong Y, Sharma V K, Chiang P C, Kim H, 2015, Fast-Target Analysis and Hourly Variation of 60 Pharmaceuticals in Wastewater Using UPLC-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Vol. 69, No. 4, pp. 525-534Google Search
37 
Hormazábal V, Yndestad M, Ostensvik O, 2003, Determination of Flunixin and Tiamulin Hydrogen Fumarate in Meat and Toltrazuril and the Metabolite Toltrazurilsulfon in Meat and Eggs Using LC/MS, Journal of Liquid Chromatography & Related Technologies, Vol. 26, No. 5, pp. 791-801Google Search
38 
Hou J, Wan W, Mao D, Wang C, Mu Q, Qin S, Luo Y, 2015,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Sulfonamides, Tetracyclines, Quonolones, Macrolides, and Nitrofurans in Livestock Manure and Amended Soils of Northern China,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Vol. 22, No. 6, pp. 4545-4554Google Search
39 
Hur J, Jawale C, Lee J H, 2012,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almonella Isolated from Food Animals: A Review, Food Research International, Vol. 45, No. 2, pp. 819-830Google Search
40 
Ishii R, Horie M, Chan W, MacNeil J, 2008, Multi-Residue Quantitation of Aminoglycoside Antibiotics in Kidney and Meat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Vol. 25, No. 12, pp. 1509-1519Google Search
41 
Jacobsen A M, Halling-Sorensen B, 2006, Multi-Component Analysis of Tetracyclines, Sulfonamides and Tylosin in Swine Manure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Vol. 384, No. 5, pp. 1164-1174Google Search
42 
Kaklamanos G, Vincent U, von Holst C, 2013, Analysis of Antimicrobial Agents in Pig Feed by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Orbitrap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293, pp. 60-74Google Search
43 
Karci A, Balcioglu I A, 2009, Investigatioon of the Tetracycline, Sulfonamide, and Fluoroquinolone Antimicrobial Compounds in Animal Manure and Agricultural Soils in Turke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7, No. 16, pp. 4652-4664Google Search
44 
Kaufmann A, Maden K, 2005, Determination of 11 Aminoglycosides in Meat and Liver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AOAC International, Vol. 88, pp. 1118-1125Google Search
45 
Kaufmann A, Butcher P, Maden K, 2012, Determination of Aminoglycoside Residues by Liquid Chromatography and Tandem Mmass Spectrometry in a Variety of Matrices, Analytica chimica acta, Vol. 711, pp. 46-53Google Search
46 
Kim D, Oh J, Kim S, 2012, The Experimental Model Development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 Transfer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Micropollut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8, No. 6, pp. 911-916Google Search
47 
Kim C G, Jeong H K, Im P E, Kim T H, 2015, Directions for Introducing Total Maximum Nutrient Loading System of Cultivaed Land, C-2015-5,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8 
Kim S C, Carlson K, 2007, Quantification of Human and Veterinary Antibiotics in Water anddtdd Sediment Using SPE/LC/MS/MS,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Vol. 387, No. 4, pp. 1301-1315Google Search
49 
Kim S D, Cho J, Kim I S, Vanderford B J, Snyder S A, 2007, Occurrence and Removal of Pharmaceuticals and Endocrine Disruptors in South Korea Surface, Drinking, and Waste Waters, Water Research, Vol. 41, No. 5, pp. 1013-1021Google Search
50 
Kim S C, Park Y H, Lee Y, Kim P J, 2005, Comparison of OECD Nitrogen Balances of Korea and Jap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ol. 24, No. 4, pp. 295-302Google Search
5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Act On The Management and Use of Livestock Excreta, 13526,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52 
Kowalski P, Oledzka I, Okoniewski P, Switala M, Lamparczyk H, 1999, Determination of Streptomycin in Egg Yolk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Chromatographia, Vol. 50, No. 1-2, pp. 101-104Google Search
53 
Lang Q, Wai C M, 2001,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in Herbal and Natural Product Studies-A Practical Review, Talanta, Vol. 53, No. 4, pp. 771-782Google Search
54 
Lim S K, Moon D C, Joo I S, Kim Y H, Jang G C, Lee H S, Lee J E, Jang S C, Gwak H S, Kim H Y, Kim J W, Jung Y G, Park Y J, Kim S R, Jung S K, Jang J H, 2015, [Korean Literature], National Monitoring of Antibiotic Usage and Resistance in 2014: Livestock and Food of Animal Origin, 11-1543061-000142-01, Ministry of Agriculture and Ministry, Food and Rural Affairs, pp. 13-17
55 
Liu J L, Wong M H, 2013,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A Review on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China,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 59, pp. 208-224Google Search
56 
Lopes R P, Reyes R C, Romero-Gonzalez R, Vidal J L M, Frenich A G, 2012, Multiresidue Determination of Veterinary Drugs in Aquaculture Fish Samples by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B, Vol. 895, pp. 39-47Google Search
57 
Malchi T, Maor Y, Tadmor G, Shenker M, Chefetz B, 2014, Irrigation of Root Vegetables with Treated Wastewater: Evaluating Uptake of Pharmaceuticals and the Associated Human Health Risk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48, No. 16, pp. 9325-9333Google Search
58 
Martinez-Carballo E, Gonzalez-Barreiro C, Scharf S, Gans O, 2007, Environmental Monitoring Study of Selected Veterinary Antibiotics in Animal Manure and Soils in Austria, Environmental Pollution, Vol. 148, No. 2, pp. 570-579Google Search
59 
Messi P, Guerrieri E, Bondi M, 2005, Antibiotic Resistance and Antibacterial Activity in Heterotrophic Bacteria of Mineral Water Origi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346, No. 1, pp. 213-219Google Search
60 
Migliore L, Civitareale C, Cozzolino S, Casoria P, Brambilla G, Gaudio L, 1998, Laboratory Models to Evaluate Phytotoxicity of Sulphadimethoxine on Terrestrial Plants, Chemosphere, Vol. 37, No. 14, pp. 2957-2961Google Search
61 
Migliore L, Cozzolino S, Fiori M, 2003, Phytotoxicity to and Uptake of Enrofloxacin in Crop Plants, Chemosphere, Vol. 52, No. 7, pp. 1233-1244Google Search
62 
Moloney M, Clarke L, O'Mahony J, Gadaj A, O'Kennedy R, Danaher M, 2012, Determination of 20 Coccidiostats in Egg and Avian Muscle Tissue Using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253, pp. 94-104Google Search
63 
Neu H C, 1992, The Crisis in Antibiotic Resistance, Science, Vol. 257, No. 5073, pp. 1064-1073Google Search
64 
Oka H, Ito Y, Matsumoto H, 2000, Chromatographic Analysis of Tetracycline Antibiotics in Food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882, No. 1-2, pp. 109-133Google Search
65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1, Use of Farm Inputs and Natural Resources, In Volume 3. Methods and Results,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OECD, pp. 134-135
66 
Orwa J A, Govaeris C, Busson R, Roets E, Schepdael A V, Hoogmartens J, 2001, Isol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Colistin Components, The Journal of Antibiotics, Vol. 54, No. 7, pp. 595-599Google Search
67 
Persoons D, Haesebrouck F, Smet A, Herman L, Heyndrickx M, Martel A, Catry B, Berge A C, Butaye P, Dewulf J, 2011, Risk Factors for Ceftiofur Resistance in Escherichia Coli from Belgian Broilers, Epidemiology & Infection, Vol. 139, No. 5, pp. 765-771Google Search
68 
Petrovic M, Hemando M D, Diaz-Cruz M S, Barcelo D, 2005,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for the Analysis of Pharmaceutical Residues in Environmental Sample: a Review,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067, No. 1-2, pp. 1-14Google Search
69 
Pfeifer Y, Cullik A, Witte W, 2010, Resistance to Cephalosporins and Carbapenems in Gram-Negative Bacterial Pathogen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Vol. 300, No. 6, pp. 371-379Google Search
70 
Pico Y, Andreu V, 2007, Fluoroquinolones in Soil-Risks and Challenges,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Vol. 387, No. 4, pp. 1287-1299Google Search
71 
Pietruk K, Olejink M, Jedziniak P, Szprengier-Juszkiewicz T, 2015, Determination of Fifteen Coccidiostats in Feed at Carry-Over Levels Using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Vol. 112, pp. 50-59Google Search
72 
Pomati F, Orlandi C, Clerici M, Luciani F, Zuccato E, 2008, Effects and Interactions in an Environmentally Relevant Mixture of Pharmaceuticals, Toxicological Sciences, Vol. 102, No. 1, pp. 129-137Google Search
73 
Radjenovic J, Petrovic M, Barcelo D, 2009, Fate and Distribution of Pharmaceuticals in Wastewater and Sewage Sludge of the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CAS) and Advanced Membrane Bioreactor (MBR) Treatment, Water Research, Vol. 43, No. 3, pp. 831-841Google Search
74 
Rahman M F, Yanful E K, Jasim S Y, 2009,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EDCs) and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in the Aquatic Environment: Implications for the Drinking Water Industry and Global Environmental Health, Journal of Water and Health, Vol. 7, No. 2, pp. 224-243Google Search
75 
Reverchon E, De Marco I, 2006,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Natural Matter, The Journal of Supercritical Fluids, Vol. 38, No. 2, pp. 146-166Google Search
76 
Santiago-Rodriguez T M, Rivera J I, Coradin M, Toranzos GA, 2013, Antibiotic-resistance and Virulence Genes in Enterococcus Isolated from Tropical Recreational Waters, Journal of Water and Health, pp. 387-396Google Search
77 
Sarmah A K, Meyer M T, Boxall A B A, 2006, A Global Perspective on the Use, Sales, Exposure Pathways, Occurrence, Fate and Effects of Veterinary Antibiotics (VAs) in the Environment, Chemosphere, Vol. 65, No. 5, pp. 725-759Google Search
78 
Schlusener M P, Con Arb M A, Bester K, 2006, Elimination of Macrolides Tiamulin and, Salinomycin During Manure Storage,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Vol. 51, No. 1, pp. 21-28Google Search
79 
Shendy A H, Al-Ghobashy M A, Alla S A G, Lotfy H M,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ified QuEChERS Protocol Coupled to LC-MS/MS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Multi-Class Antibiotic Residues in Honey, Food Chemistry, Vol. 190, pp. 982-989Google Search
80 
Stackelberg P E, Furlong E T, Meyer M T, Zaugg S D, Henderson A K, Reissman D B, 2004, Persistance of Pharmaceutical Compounds and Other Organic Wastewater Contaminants in a Conventional Drinking-Water-Treatment Plant,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329, No. 1, pp. 99-113Google Search
81 
Straus S K, Hancock R E, 2006, Mode of Action of the New Antibiotic for Gram-Positive Pathogens Daptomycin: Comparison with Cationic Antimicrobial Peptides and Lipopeptide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BBA)-Biomembranes, Vol. 1758, No. 9, pp. 1215-1223Google Search
82 
Stubbings G, Bigwood T, 2009,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class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Veterinary Drug Residues in Animal Tissue Using a QuEChERS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Approach, Analytica Chimica Acta, Vol. 637, No. 1, pp. 68-78Google Search
83 
Tao Y, Chen D, Yu H, Huang L, Liu Z, Cao X, Yan C, Pan Y, Liu Z, Yuan Z, 2012,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15 Aminoglycoside (s) Residues in Animal Derived Foods by Automated Solid-Phase Extraction and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Food Chemistry, Vol. 135, No. 2, pp. 676-683Google Search
84 
Thiele-Bruhn S, 2003, Pharmaceutical Antibiotic Compounds in Soils - a Review, Journal of Plant Nutrition and Soil Science, Vol. 166, No. 2, pp. 145-167Google Search
85 
Tolls J, 2001, Sorption of Veterinary Pharmaceuticals in Soils: A Review,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35, No. 17, pp. 3397-3406Google Search
86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 S. EPA.), 2007, Method 1694: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Water, Soil, Sediment, and Biosolids by HPLC/MS/MS, EPA-821-R-08-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87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 S. FDA), 2015, 2014 Summary Report on Antimicrobials Sold or Distributed for Use in Food-Producing Animal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p. 26-29
8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2011, Korea Phases Out Antibiotic Usage in Compound Feed, KS1128,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89 
Van Holthoon F L, Essers M L, Mulder P J, Stead S L, Caldow M, Ashwin H M, Sharman M, 2009, A Generic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minoglycosides (and Spectinomycin) in Animal Tissue Using Methylated Internal Standards and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tica Chimica Acta, Vol. 637, No. 1, pp. 135-143Google Search
90 
Vinas P, Balsalobre N, Hernandez-Cordoba M, 2007, Liquid Chromatography on an Amine Stationary Phase with Post-Column Derivatization and Fluorimetric Detec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Streptomycin and Dihydrostreptomycin in Foods, Talanta, Vol. 72, No. 2, pp. 808-812Google Search
91 
Volmer D A, Lock C M, 1998, Electrospray Ionization and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of Antibiotic Polyether Ionophores, Rapid Communications in Mass Spectrometry, Vol. 12, No. 4, pp. 157-164Google Search
92 
Wan E C H, Ho C, Sin D W M, Wong Y C, 2006, Detection of Residual Bacitracin A, Colistin A, and Colistin B in Milk and Animal Tissues by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Vol. 385, No. 1, pp. 181-188Google Search
93 
Watanabe N, Bergamaschi B A, Loftin K A, Meyer M T, Harter T, 2010, Use and Environmental Occurrence of Antibiotics in Freestall Dairy Farms with Manured Forage Field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4, No. 17, pp. 6591-6600Google Search
94 
Xu Y, Tian X, Ren C, Huang H, Zhang X, Gong X, Liu H, Yu Z, Zhang L, 2012, Analysis of Colistin A and B in Fishery Products by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ositive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B, Vol. 899, pp. 14-20Google Search
95 
Zhao L, Dong Y H, Wang H, 2010, Residues of Veterinary Antibiotics in Manures from Feedlot Livestock in Eight Provinces of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8, No. 5, pp. 1069-1075Google Search
96 
Zhou L J, Ying G G, Liu S, Zhao J L, Chen F, Zhang R Q, Peng F Q, Zhang Q Q, 2012,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Human and Veterinary Antibiotics in Various Environmental Matrices by Rapid Resolution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244, pp. 123-138Google Search
97 
Zhou L J, Ying G G, Liu S, Zhang R Q, Lai H J, Chen Z F, Pan C G, 2013, Excretion Masses and Environmental Occurrence of Antibiotics in Typical Swine and Dairy Cattle Farms in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44, pp. 183-195Google Search
98 
Zhu W X, Yang J Z, Wei W, Liu Y F, Zhang S S, 2008,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13 Aminoglycoside Residues in Foods of Animal Origin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with Two Consecutive Solid-Phase Extraction Step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1207, No. 1, pp. 29-37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