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유역총량과 (Department of Water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Han river, Mann-kendall test,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Seasonal Mann-kendall test, TMDLs

1. Introduction

물환경 관리를 위한 정부의 정책은 1998년 4대강 물관리 종합대책을 보완하면서 기존의 개별 배출원에 대한 농도규 제에서 오염물질의 총량을 관리하는 유역 단위 기반의 하 천 수질관리제도로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를 시행 중에 있다. 제도는 단위유역별 기준유량에서 대상물질 BOD, T-P 의 목표수질을 만족할 수 있는 오염물질 할당부하량을 관 리하며 시행 초기, 대상물질의 선정은 다른 항목에 비해 오염물질 관리를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이 확고하고 자료 의 축적도가 높아 기존 수질정책과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되어 BOD로 선정되었다(Park et al., 2006). 이후 3대강(금강, 낙동강, 영산강)에서는 계획 2단계1), 한강 수계는 의무제 1단계2) 대상물질로 총인(T-P)이 추가 시행 되었다(MOE, 2007a; 2007b; 2007c; 2010).

하지만 최근 세계적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가뭄과 집 중호우, 산업계 및 생활계에서 배출되는 다양화된 오염물질 의 유입, 4대강 사업 이후 하천의 수리적 변화 등 양적, 질 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삶의 질과 친수공간으로서 의 하천 역할이 대두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관리와 개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행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하천의 오염물질 허용부하 량을 관리함으로써 환경규제의 합리성을 제고하고 실제 유 기물질 중심의 하천수질은 상당 수준 개선했다고 평가되었 으나 관리대상물질 중 유기물질 관리지표로서 BOD 대한 한계성과 대상물질이 BOD, T-P로 한정되어 있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주민의 현안개선에 미흡한 점을 제도의 보완과제로 제기되었다.

기존의 수질오염총량관리 대상물질의 선정 및 적절성에 대한 연구로 Park et al. (2006)은 수질관리 기준인 BOD는 자연적으로 생성되거나 각종 산업, 도심지역에서 발생되는 독성 및 난분해성 물질을 반영하기 어려워 유기물 지표로서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으며, Park et al. (2013)은 한강 수계를 제외한 3대강을 단위유역을 대상으로 중권역별 목표 수질 초과빈도를 분석하여 유기물질 관리지표항목 및 추가 대상물질로 TOC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하천의 수질은 유역 내 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종류와 유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 게 나타날 수 있고, 유량변화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동일한 유량조건에서도 계절에 따라 수질은 다르 게 나타날 수 있다(Park and Oh, 2013; Park, 2011).

한강수계의 경우, 상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상수원인 팔 당호가 위치하며 하류는 면적당 인구밀집도가 높은 서울특 별시를 중심으로 수도권 밖으로 축산업과 산업단지가 집중 되어 있다. 따라서 하천의 용수목적이 상류와 하류로 명확 히 분류되며 또한 한강수계 2단계(‘21~) 확대시행을 앞두고 있는 강원도지역은 고랭지 농업에 의한 비점오염원에 따른 수질문제, 임진강유역의 산업시설의 증가에 따른 수질문제 등 지역별 하천수질 개선을 위해 유역관리 방안으로 유역 특성을 고려한 관리대상물질 지표의 유연화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축적된 한강수계 수질·유량측정자료 를 비모수적 통계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단위유역별 수질측 정항목별 변화의 경향성 및 기타 수질특성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유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하천수질 관리대상물질의 적 절성을 판단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연구대상 지역

한강수계는 북한강, 남한강, 경안천, 한강본류, 임진강수 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유역면적은 26,018 km2, 유로 연장은 481.7 km로 15개의 국가하천과 776개의 지방하천으 로 이루어져 있다(MOE, 2014).

본 연구의 조사대상지역은 한강수계 41개 단위유역에서 동해권 단위유역 9개를 배제한 1단계 시행 대상지역 32개 단위유역 중 해수유통구간인 한강J 단위유역을 제외한 31개 단위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 유역면적은 8,510.5 km2, 행정구역은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등 3개 광역 시·도를 포함하고 있다(Fig. 1).

Fig. 1. Streams in the Han River basin.
../../Resources/kswe/KSWE.2017.33.1.15/JKSWE-33-15_F1.jpg

2.2. 연구 방법

2.2.1. 주요 하천지점 수질 특성분석

분석에 활용된 수질자료는 환경부의 국가 측정망 자료로 서 일반측정지점의 경우 월 1회, 총량지점의 경우 8일 간 격으로 36회/년 측정한 자료이다(Table 1).

Table 1. Target areas for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water quality
Main basin Unit watershed Mark Sampling site name* Mid-watershed
Name of TMDLs measurement points Name of general measurement points
The up stream of Han-river South Han-river Hangang D hgD Hangang D(Wonju-si, Gangwon-do) Wonju Chungju-dam downstream
Cheongmi A chmA Cheongmi A(Yeoju-si, Gyeonggi-do) Cheongmicheon Namhan-river downstream
Seomgang B sgB Seomgang B(Wonju-si, Gangwon-do) Seomgang4-1 Seomgang-river
Yanghwa A yhA Yanghwa A(Yeoju-si, Gyeonggi-do) Yanghwacheon2 Namhan-river downstream
Bokha A bhA Bokha A(Yeoju-si, Gyeonggi-do) Bokhacheon3
Hangang E hgE Hangang E(Yeoju-si, Gyeonggi-do) Ipobo
Heukcheon A hehA Heukcheon A(Yangpyyeong-gun, Gyeonggi-do) Heukcheon2
Paldang Lake Gyeongan A gaA Gyeongan A(Gwangju-si, Gyeonggi-do) Gyeongancheon3 Gyeongan-cheon
Gyeongan B gaB Gyeongan B(Gwangju-si, Gyeonggi-do) Gyeongancheon5
North Han-river Bukhan C bukC Bukhan C(Chuncheon-si, Gangwon-do) Chunseongkyo Uian-dam
Gapyeong A gpA Gapyeong A(Gapyeong-gun, Gyeonggi-do) Gapyeongcheon3
Hongcheon A hocA Hongcheon A(Hongcheon-gun, Gangwon-do) Hongcheongaung6
Bukhan D bukD Bukhan D(Gapyeong-gun, Gyeonggi-do) Cheongpyeong, (Namisum) Cheongpyeong-dam
Jojong A jojA Jojong A(Gapyeong-gun, Gyeonggi-do) Jojongcheon3
The down stream of Han-river Hangang F hgF Hangang F (Namyangju-si, Gyeonggi-do(Paldang bridge)) Paldang (Paldang bridge) Cheongpyeong-dam
Namhan-river downstream
Gyeongan-cheon
Wangsuk A wsA Wangsuk A(Guri-si, Gyeonggi-do) Wangsukcheon4 Junglang-cheon
Hangang G hgG Hangang G(Gangdong-gu, Seoul Metroplitan city) Guui
Tancheon A tanA Tancheon A(Seongnam-si, Gyeonggi-do) Tancheon4
Junglang A JlA Junglang A(Dobong-gu, Seoul Metroplitan city) Junglangcheon2
Hangang H hgH Hangang H(Yongsan-gu, Seoul Metroplitan city) Noryangjin
Anyang A ayA Anyang A(Guro-gu, Seoul Metroplitan city) Anyangcheon4
Hangang I hgI Hangang I(Goyang-si, Gyeonggi-do) Haengju Gokleung-cheon
Gulpo A gulA Gulpo A(Gyeang-gu, Incheon Metroplitan city) Gulpocheon2
Gokleung A gocA Gokleung A(paju-si, Gyeonggi-do) Gongleungcheon3
Hangang J seawater circulation section
The Imjin-river Hantan A htA Hantan A(Cheorwon-gun, angwon-do) Hantangang1A Hantan-river
Yeongpyeong A ypA Yeongpyeong A(Yeoncheon-gun, Gyeonggi-do) Yeongpyeong cheon3
Shincheon A scA Shincheon A(Yeoncheon-gun, Gyeonggi-do) Shincheon3
Hantan B htB Hantan B(Yeoncheon-gun, Gyeonggi-do) Hantangang3-1
Imjin A ijA ImjinA(Yeoncheon-gun, Gyeonggi-do) Imjingang1 Imjin-river upstream
Imjin B ijB ImjinB(paju-si, Gyeonggi-do) Imjingang3 Imjin-river downstream
Moonsan A msA Moonsan A(paju-si, Gyeonggi-do) Moonsan3

* TMDLs measurement points(measured data of 8-Day intervals) : Temperature, pH, EC, DO, BOD5, CODmn, SS, T-N, T-P, TOC

* General measurement points(measured data of 1-month intervals) : NO3-N, NH4 +-N, PO4-P, Chl-a,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수질특성 분석항목은 유기오염 물질로 BOD5, CODmn, TOC, 영양염류 항목인 T-N, T-P NO3-N, NH4+-N, PO43-P, 부영양화로 인한 2차 생성물질인 Chl-a, 기타오염물질 특성 분석을 위한 pH, DO, EC, SS,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 군 15개 항목으로 2004년~2014년에 수질 측정자료 중 최 대·최소 5% 수질을 제외 연중평균농도변화를 도식화하여 유역별 수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2.2.2. 비모수적 통계적분석 방법

수질자료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통계방법과 수 치모델을 이용한 방법으로 경향분석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정규분포를 띠지 않기 때문에 수질의 경향은 비모수적인 통계방법을 적용하면 해석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Hirsch and Slack, 1984). 이 중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맨-캔 달 검정법(Mann-Kendall Test)는 결측치가 경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Kendall, 1975; Mann, 1945) 본 연구에 활용될 계절 맨-캔달 검정법은 계절성과 비정규성을 보이는 자료 에 대해 검증력이 높다.

따라서 한강수계 내 단위유역별 수질변화 경향분석을 위 하여 통계적 경향분석 방법인 계절 맨-캔달 검정법(seasonal Mann-Kendall test)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상관계수인 캔달의 타우(Kendall's tau)를 구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함으 로써 경향성의 유무를 파악하고 이에 수반되는 계절 캔달 기울기 통계량(seasonal Kendall slope estimator)을 구하여 경향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다(Gilbert, 1987; Helsel and Hirsch 1992; Lee and Park, 2009). 각 계절에 대해 캔달 검정을 독립적으로 시행한 후, 각 결과들의 가중의 합을 구하여 하나의 경향 분석 결과를 도출해 냄으로써 계절성 을 배제하는 분석법이다(Hirsch et al., 1982).

수질자료의 계절성을 활용하여 계절별 변화경향을 분석 하였다. 계절별 변화의 경향은 월별로 계절을 구분한 계절 맨-캔달 검정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에 따른 경향성 비교를 위해 맨-캔달 검정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4계절 기준으로 봄(3~5월), 여름(6월~8월), 가을(9월~11월), 겨울 (12월~2월) 구분하여 산정된 두 결과를 비교하였다.

2.2.3. 하천유량 조건에 따른 수질변화 경향성 분석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에서 단위유역별 목표수질을 설정 하는 기준유량에 대해서 BOD는 과거 10년 평균저수량을 설정하며, T-P는 과거 10년 평균 저수량 또는 평수량 중 총인의 수질이 악화되는 시기를 기준으로 목표수질을 산정 하여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MOE, 2010). 따라서 단위유역 별 목표수질 설정시 유량시기 조건별 수질경향을 분석하였 다. 유량시기별 수질의 경향분석을 위한 유량자료는 환경부 수질총량측정망에서 8일 간격으로 측정하고 있는 유량자료 를 활용하였으며 하천유량 조건별 수질의 경향 분석방법은 연차별 저·평수기 기준유량 산정시 2개 년도씩 묶어 기준 유량을 산정하고 해당 기간 수질데이터의 중간값을 취해 선형회귀식을 이용하여 경향을 분석하였다.

2.2.4. 유역별 수질변화 특성 분석

계절 맨-캔달 검정법은 연구대상 기간 동안 선형 경향성 을 기본 가정으로 하기 때문에 특정기간내에 변화하는 경 향성을 파악하지 못한다(Kim and Park, 2002). 따라서 이 를 보완하기 위하여 LOWESS(LOcally WEighted Scatter plot Smoother)를 통하여 분석기간 내 경향의 변화를 보이 는 시점을 파악하여 원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단위유역별·수질항목별 변화의 크기를 분석하기 위 하여 계절 캔달 기울기 통계량(Seasonal Kendall Slope estimator) 을 산출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단위유역별 수질 오염특성 분석

Fig. 2는 지점별 최소 90개에서 최대 500개의 측정자료 를 가지고 수질오염도를 분석하여 box형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이다. 유기오염 수질항목의 경우, 한강하류와 임진강 유역의 수질이 높고 지류의 수질에 오염도가 높고 수질의 변동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상류는 경안A의 유기 물질 및 영양영류의 오염도가 가장 높으며, 한강하류의 경 우 항목별로 TOC, COD, T-P는 굴포A, BOD, COD는 탄 천A, T-N은 안양A 단위유역에서 높은 수질을 나타냈다. 이는 유역내 대규모 환경기초시설의 방류구가 위치한 유역 으로 방류수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되며(Choi et al., 2015), T-N, T-P, NH4+-N, PO4-P의 분석결과 한강하류 단 위유역의 수질이 상류와 임진강유역의 평균농도를 크게 상 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강하류의 안양A, 굴포A, 신 천A, 탄천A, 중랑A 유역은 T-N의 10년 평균 농도가 10.3~14.3 mg/L, 최대 농도 11.3~34.5 mg/L로 공공하수처리시설 의 방류수 수질기준보다 높은 수질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하천 수질기준에 T-N 및 질소화합물에 대한 하천 수질기 준은 없지만 NO3-N, NH4+-N에 대한 먹는물 수질기준은 10 mg/L~0.5 mg/L이며 본 연구대상지역의 NO3-N, NH4+-N의 10년 평균농도 분석결과 경안A 1.39 mg/L, 안양A 6.98 mg/L, 굴포A 6.00 mg/L, 탄천A 4.51 mg/L, 신천A 2.97 mg/L로 나 타났다. 특히 굴포A 단위유역의 DO와 T-P농도는 평균 5.0 mg/L, 1.6 mg/L으로 한강수계 평균 DO 12.0 mg/L 대비 현 저히 낮고 T-P 0.13 mg/L 보다 약 12배 높은 수질이 나타 났다. 굴포A 측정지점의 이러한 특징은 한강본류 말단에 합류되는 지천으로 유량 정체와 유역말단에 위치한 대규모 하수처리장(굴포천하수종말처리장; 90만톤/일)의 영향으로 판단된다(Choi et al., 2015).

Fig. 2. Results of analysis of water-quality variations in each site, 2004-2014. (a) Temperature, (b) EC, (c) DO, (d) TOC, (e) BOD, (f) COD, (g) T-N, (h) T-P, (i) NH4+-N, (j) PO4-P, (k) Chl-a, (l) SS(m) Total Coliform Viability, (n) Fecal coliform bacteria
../../Resources/kswe/KSWE.2017.33.1.15/JKSWE-33-15_F2.jpg

3.2. 단위유역별 수질변화 경향성 분석

3.2.1. 유기오염 및 영양염류의 수질 경향성 분석

하천내 대표적인 유기물질 지표인 BOD, COD, TOC와 영 양염류인 T-N, T-P의 수질경향분석은 2004년~2014년까지 8 일 간격으로 측정된 환경부 수질총량측정망 수질데이터를 가지고 계절 맨-캔달 검정법과 맨-캔달 검정을 통해 항목별 계절별 수질변화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Table 2~4).

Table 2. Results of Seasonal Mann-Kendall test for BOD, COD, and TOC data in the Han River
Main basin Mark BOD COD TOC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pr sum fall win spr sum fall win spr sum fall win
The up stream of Han-river hgD -1 -1 -1 -1 -1 0 0 0 0 0 -1 -1 -1 -1 -1
chmA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sgB -1 0 0 -1 -1 0 0 0 0 0 0 0 0 0 -1
yhA -1 -1 0 -1 -1 0 0 0 0 0 -1 -1 0 -1 0
bhA 0 -1 0 0 -1 0 0 0 0 0 0 0 0 -1 -1
hgE -1 -1 0 -1 -1 0 0 0 0 0 -1 -1 0 -1 -1
hehA -1 0 0 -1 -1 0 0 0 0 0 -1 0 0 -1 -1
gaA -1 -1 0 -1 -1 -1 0 0 -1 -1 -1 -1 0 -1 -1
gaB -1 -1 0 -1 -1 0 0 0 -1 -1 -1 0 0 -1 -1
bukC 0 -1 0 0 -1 0 0 0 0 0 -1 0 -1 -1 -1
gpA 0 0 0 0 -1 0 0 0 0 0 -1 0 0 -1 -1
hocA -1 0 0 -1 -1 0 0 0 0 0 -1 -1 0 -1 -1
bukD 0 -1 0 0 0 0 0 0 0 0 -1 -1 0 0 -1
jojA -1 0 0 -1 -1 0 0 0 0 0 -1 -1 0 -1 -1
The down stream of Han-river hgF -1 -1 0 -1 0 0 -1 0 0 0 -1 -1 -1 -1 -1
wsA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hgG 0 -1 0 0 -1 0 -1 0 -1 0 -1 -1 0 -1 -1
tanA -1 -1 -1 -1 -1 -1 -1 -1 -1 -1 -1 -1 0 -1 -1
JlA -1 0 -1 -1 -1 -1 -1 -1 -1 -1 -1 -1 -1 -1 0
hgH -1 -1 0 -1 -1 -1 -1 0 -1 -1 -1 -1 0 -1 -1
ayA -1 -1 0 -1 -1 -1 -1 0 -1 -1 -1 0 0 -1 0
hgI 0 0 0 -1 0 0 -1 0 -1 -1 -1 -1 0 -1 -1
gulA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gocA -1 -1 0 -1 -1 0 0 0 -1 -1 -1 0 0 -1 -1
The Imjin-river htA 0 0 0 0 -1 0 0 0 0 0 -1 0 0 -1 -1
yp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scA -1 -1 0 -1 0 0 -1 0 -1 0 0 0 0 0 0
htB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ijA 0 0 0 0 0 0 0 0 0 0 0 0 0 -1 -1
ijB 0 0 0 +1 0 0 0 0 +1 0 0 0 0 +1 0
msA 0 0 0 -1 -1 -1 -1 0 -1 -1 -1 0 0 0 0
Table 3. Results of Seasonal Mann-Kendall test for T-N, NO3-N, and NH4+-N data in the Han-River
Main basin Mark T-N NO3-N NH4+-N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pr sum fall win spr sum fall win spr sum fall win
The up stream of Han-river hgD 0 0 0 0 0 0 0 0 0 0 -1 0 -1 -1 0
chmA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sgB -1 -1 -1 0 0 -1 -1 -1 -1 -1 -1 0 -1 -1 0
yhA 0 0 -1 0 0 0 0 0 0 0 -1 0 -1 -1 -1
bh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hgE 0 0 0 0 0 -1 0 0 0 -1 -1 0 0 0 0
hehA 0 -1 -1 0 0 -1 -1 -1 0 0 -1 0 -1 -1 0
gaA -1 -1 -1 -1 -1 -1 0 -1 0 0 -1 -1 0 0 0
gaB -1 -1 -1 -1 -1 -1 0 -1 -1 -1 -1 -1 -1 -1 0
bukC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gp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hocA 0 0 0 0 0 0 -1 -1 0 0 0 0 -1 0 0
bukD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jojA -1 -1 -1 0 0 0 -1 -1 0 -1 -1 0 0 -1 0
The down stream of Han-river hgF 0 -1 0 0 0 0 0 0 0 0 0 0 -1 0 0
wsA 0 -1 0 0 -1 0 0 0 0 0 -1 -1 -1 -1 -1
hgG 0 -1 0 0 0 0 0 0 0 0 -1 0 -1 -1 -1
tanA -1 -1 -1 -1 -1 0 0 0 0 0 -1 0 -1 -1 -1
JlA -1 -1 -1 -1 -1 0 0 0 0 0 -1 -1 -1 -1 -1
hgH -1 -1 0 0 -1 0 0 -1 0 0 -1 -1 -1 -1 -1
ayA -1 0 0 -1 0 0 0 0 0 0 0 0 0 -1 0
hgI -1 -1 0 -1 -1 0 0 0 0 0 -1 -1 0 -1 -1
gulA -1 -1 -1 -1 -1 0 0 0 0 0 -1 -1 0 -1 -1
gocA -1 -1 -1 -1 -1 0 0 0 0 0 0 0 0 0 -1
The Imjin-river htA -1 -1 -1 -1 0 -1 -1 -1 0 -1 -1 0 -1 -1 -1
ypA 0 0 0 0 0 0 -1 -1 0 0 0 0 0 0 0
scA -1 -1 -1 0 -1 -1 -1 -1 -1 -1 0 0 0 0 0
htB 0 0 -1 0 0 -1 -1 -1 0 0 0 0 0 0 0
ijA -1 -1 -1 -1 0 -1 -1 -1 -1 -1 0 -1 0 -1 -1
ijB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msA -1 -1 -1 0 -1 0 0 -1 0 0 0 0 0 0 0
Table 4. Results of Seasonal Mann-Kendall test for T-P, PO4-P, and Chl-a data in the Han-River
Main basin Mark T-P PO4-P Chl-a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pr sum fall win spr sum fall win spr sum fall win
The up stream of Han-river hgD 0 -1 -1 0 0 0 -1 0 0 -1 -1 -1 -1 -1 0
chmA -1 -1 0 0 -1 0 -1 0 0 0 0 0 0 0 0
sgB -1 -1 0 -1 -1 -1 -1 -1 -1 -1 0 0 0 0 -1
yhA -1 -1 0 0 -1 0 0 0 0 0 0 0 0 0 0
bhA -1 -1 -1 -1 -1 -1 -1 0 -1 -1 -1 0 0 0 0
hgE -1 -1 -1 -1 -1 -1 -1 -1 -1 -1 -1 -1 0 -1 -1
hehA 0 0 0 0 0 -1 -1 -1 -1 0 0 0 0 -1 0
gaA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gaB -1 -1 -1 -1 -1 -1 -1 -1 -1 -1 -1 0 0 0 -1
bukC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gpA 0 0 0 0 0 -1 -1 -1 -1 -1 0 0 0 0 0
hocA 0 0 0 0 0 0 -1 0 -1 -1 0 0 0 0 0
bukD -1 -1 -1 -1 -1 -1 -1 -1 -1 -1 -1 -1 0 -1 0
jojA 0 -1 0 0 0 -1 -1 -1 -1 -1 0 0 0 0 0
The down stream of Han-river hgF -1 -1 -1 0 -1 -1 -1 -1 -1 -1 -1 -1 0 0 0
wsA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hgG -1 -1 -1 -1 -1 -1 -1 -1 -1 -1 -1 -1 0 0 -1
tanA -1 -1 -1 -1 -1 -1 0 -1 -1 -1 -1 0 0 0 0
JlA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hgH -1 -1 0 -1 -1 -1 -1 0 0 -1 -1 -1 0 0 -1
ayA -1 -1 -1 -1 -1 -1 -1 -1 -1 -1 -1 -1 0 0 0
hgI -1 -1 0 0 -1 0 -1 0 0 -1 0 0 0 0 0
gulA -1 -1 -1 -1 0 0 0 0 -1 0 -1 0 0 0 0
gocA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The Imjin-river htA -1 -1 0 0 -1 -1 0 -1 0 0 0 0 0 0 0
ypA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scA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htB -1 -1 0 -1 -1 -1 0 -1 -1 -1 0 0 0 0 0
ijA 0 0 0 0 0 -1 -1 -1 -1 -1 0 0 0 0 0
ijB 0 0 0 +1 -1 -1 -1 -1 -1 0 0 0 0 0 0
msA -1 -1 -1 -1 -1 -1 -1 -1 -1 -1 0 0 0 0 0

단위유역별 수질측정항목별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자료 의 선형 경향성을 기본 가정으로 하는 분석방법의 특성에 따라 증가와 감소가 함께 나타나는 유역, 하천의 수질 오 염도가 낮은 유역은 수질변화 경향을 분석할 수 없는 경우 가 항목별로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특히 경향성 해석이 가능한 유역은 2012년 하수도법 공공하수처리시설의 BOD, T-P 방류수질기준 강화로 하천내 수질이 크게 개선되어 두 항목 모두 수질이 낮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질의 계절성을 낮춰 경향성을 분석하는 계절 맨- 캔달 검정법와 대조하여 계절별 경향성을 맨-캔달 검정법 으로 분석한 결과, 유량변동이 심한 여름철은 대부분 경향 을 분석할 수 없었으며 봄, 겨울철의 경향성이 계절 맨-캔 달 검정 결과와 유사한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2.2. 하천의 부영양화 유발물질의 수질 경향성 분석

호소, 하천의 부영양화 유발물질인 질산성질소(NO3-N), 암모니아성질소(NH4+-N), 인산염인(PO4-P)과 부영양화로 인 한 2차 생성물질인 클로로필-a(Chl-a)의 수질경향성 분석결 과, 총인(T-N)의 경향 분석결과와 달리 NO3-N의 경우 한강 하류에서 한탄A 단위유역을 제외하고 경향성을 확인되지 않았으며 NH4+-N는 한강수계 대부분의 단위유역에서 개선 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클로로필-a의 성장 제한인자인 N(NH3-N), P(PO4-P)의 경향성은 유사한 결론을 얻지 못하였다.

3.3. 하천유량조건별 수질변화 특성 분석

31개 대상유역의 저수기 BOD 수질경향분석 결과, 경안A 등 12개 단위유역에서 유효한 R 값의 경향을 분석할 수 있었다. 12개 단위유역 중 영평A를 비롯한 5개 단위유역에 서 수질이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7개 단위유역에선 수 질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Table 5). 또한 수질이 나빠 지는 5개 단위유역 중 임진A, 임진B, 영평A 3개 유역이 임진강유역에 해당되었다. 수질오염총량관리 대상물질인 T-P는 단위유역별 과거 하천유량조건 중 수질이 악화된 조 건으로 목표수질 설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한강수계는 1단 계 계획 기간 31개 단위유역 중 18개 단위유역은 저수기 기준, 13개 단위유역이 평수기 조건으로 관리한다. T-P의 관리 유량조건에서 경향분석결과 15개 단위유역에서 경향 성이 확인되었으며 한탄B, 홍천A의 수질이 증가하였고 반 대의 유량조건에서는 17개 유역에서 경향이 분석되고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고유량 기간 동안 나타나는 수질 증가 원인을 비점오염원, 저유량 기간 동안 에 나타나는 수질증가 원인을 점오염원에 의해 발생되는 점에서 유역내 점오염원에 의해 수질이 증가되고 있는 것 으로 사료된다.

Table 5. Results of trend analysis of BOD for the flow conditions
Unit watershed Flow condition (standard) BOD
Water quality (mg/L) Trend analysis Flow condition Water quality (mg/L) Trend analysis
goal Ave. Trend R2 Equation Ave. Trend R2 Equation
gpA Low 0.7 0.76 - 0.295 y= 0.13x+0.47 Nomal 0.81 - 0.168 y= -0.05x+0.93
gaA Low 3.7 4.17 Down 0.590 y= -0.68x+5.65 Nomal 3.19 - 0.366 y= -0.33x+3.475
gaB Low 2.7 3.07 Down 0.503 y= -0.43x+4.715 Nomal 3.00 - 0.197 y= -0.25x+3.995
gocA Low 7.9 6.63 - 0.369 y= 0.71x+3.85 Nomal 7.85 Down 0.573 y= -2.16x+13.45
gulA Low 6.6 10.98 - 0.752 y= -3.93x+19.1 Nomal 10.55 Down 0.907 y= -1.82x+11.85
msA Low 4.0 4.11 - 0.160 y= 0.32x+4.05 Nomal 3.86 - 0.160 y= 0.32x+4.05
bhA Low 2.1 3.24 - 0.016 y= -0.04x+2.815 Nomal 2.80 - 0.003 y= -0.02x+2.295
bukC Low - 1.08 - 0.235 y= -0.11x+1.445 Nomal 1.12 - 0.420 y= -0.09x+1.345
bukD Low 0.8 1.00 - 0.163 y= 0.04x+0.65 Nomal 0.92 - 0.075 y= 0.04x+0.85
sgB Low - 1.65 - 0.004 y= -0.03x+1.605 Nomal 1.63 Down 0.976 y= -0.13x+2.025
scA Low 9 13.74 - 0.172 y= -0.39x+18.55 Nomal 13.6 Down 0.541 y= -2.80x+18.85
ayA Low 6.2 6.68 - 0.473 y= -0.81x+8.15 Nomal 5.72 Down 0.613 y= -1.94x+10.87
yhA Low 1.7 2.35 Down 0.892 y= -0.05x+1.43 Nomal 2.15 Down 0.906 y= -0.90x+5.06
ypA Low 3.5 3.84 UP 0.772 y= 0.81x+1 Nomal 3.22 UP 0.790 y= 0.79x+0.75
wsA Low 7.9 7.72 - 0.493 y=- 1.36x+11.8 Nomal 6.99 Down 0.989 y= -1.99x+11
ijA Low 0.6 0.76 UP 0.664 y= 0.16x+0.325 Nomal 0.75 - 0.021 y= 0.02x+0.675
ijB Low 1.2 1.61 UP 0.912 y= 0.35x+0.525 Nomal 1.76 - 0.427 y= 0.21x+1.1
jojA Low 1.1 1.08 - 0.215 y= 0.07x+0.73 Nomal 1.09 - 0.192 y= 0.04x+0.9
JlA Low 8.6 7.53 Down 0.840 y= -2.34x+14 Nomal 6.23 Down 0.704 y= -1.83x+10.89
chmA Low 2.0 2.61 Up 0.820 y= 0.25x+0.975 Nomal 2.18 - 0.293 y= -0.14x+1.99
tanA Low 6.8 14.40 Down 0.924 y= -3.17x+21.01 Nomal 13.7 Down 0.807 y= -5.16x+28.6
hgD Low - 1.02 - 0.464 y= -0.14x+1.43 Nomal 1.04 Down 0.875 y= -0.15x+1.39
hgE Low 1.4 1.59 Down 0.617 y= -0.25x+2.21 Nomal 1.67 - 0.463 y= -0.27x+2.37
hgF Low 1.4 1.36 - 0.093 y= -0.04x+1.33 Nomal 1.44 - 0.231 y=-0.1x+1.64
hgG Low 1.7 1.82 - 0.008 y= 0.06x+1.67 Nomal 1.84 Down 0.807 y= -0.34x+2.98
hgH Low 3.7 3.00 - 0.195 y= -0.33x+4.475 Nomal 3.22 - 0.486 y= -0.48x+3.75
hgI Low 4.1 4.09 - 0.066 y= 0.27x+3.9 Nomal 4.59 - 0.160 y= -0.04x+4.25
htA Low - 1.46 - 0.000 y= 0.01x+1.45 Nomal 1.16 Down 0.512 y= -0.08x+1.125
htB Low 3.3 3.90 Up 0.916 y= 1.51x+0.775 Nomal 3.62 Up 0.652 y= 0.41x+2.2
hocA Low 0.8 0.87 - 0.228 y= -0.08x+1.04 Nomal 0.97 - 0.492 y= -0.09x+1.247
hehA Low - 1.19 - 0.204 y= 0.22x+0.51 Nomal 1.18 - 0.102 y= -0.03x+1.17

* Standard of establishement of water Quality Goal

3.4. 유역별 수질변화 특성 비교 분석

3.4.1. 시간적 농도경향 분석결과(LOWESS)

LOWESS 분석방법은 각 x값에 대해 이동직선(moving line)을 구하고 이로부터 y의 평활값을 얻은 후 이 평활점들 을 직선으로 연결한 것으로 이는 1차 또는 2차 회귀모형에 대한 가정없이 자료들을 회귀모형에 맞춰주는 경향 분석방 법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경향성이 확인되지 않는 유역의 추세 또는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을 확인하기에 적합하다.(Table 6).

Table 6. Results of trend analysis of T-P for the flow conditions
Unit watershed Flow condition (standard) T-P
Water quality (mg/L) Trend analysis Flow condition Water quality (mg/L) Trend analysis
goal Ave. Trend R2 Equation Ave. Trend R2 Equation
gpA Low 0.014 0.017 - 0.099 y= 0.001x+0.013 Nomal 0.015 - 0.020 y= -0.000x+0.017
gaA Low 0.293 0.370 Down 0.881 y= -0.121x+0.721 Nomal 0.289 Down 0.984 y= -0.099x+0.584
gaB Low 0.164 0.182 Down 0.985 y= -0.083x+0.451 Nomal 0.176 Down 0.911 y= -0.063x+0.357
gocA Nomal 0.959 0.304 - 0.000 y= -0.000x+0.304 Low 0.248 Down 0.739 y= -0.042x+0.367
gulA Nomal 0.298 1.913 - 0.132 y= -0.076x+1.713 Low 1.680 Down 0.616 y= -0.221x+2.424
msA Low 0.189 0.267 - 0.026 y= -0.011x+0.220 Nomal 0.221 - 0.421 y= -0.025x+0.222
bhA Low 0.168 0.243 Down 0.863 y= -0.062x+0.415 Nomal 0.227 Down 0.752 y= -0.041x+0.317
bukC Nomal - 0.025 - 0.009 y= -0.000x+0.024 Low 0.029 Down 0.912 y= -0.004x+0.040
bukD Nomal 0.020 0.020 Down 0.915 y= -0.003x+0.028 Low 0.026 Down 0.892 y= -0.006x+0.045
sgB Nomal - 0.114 Down 0.648 y= -0.015x+0.198 Low 0.130 Down 0.707 y= -0.013x+0.179
scA Nomal 0.363 0.394 Down 0.633 y= -0.154x+0.742 Low 0.386 Down 0.802 y= -0.102x+0.565
ayA Nomal 0.558 0.827 - 0.151 y= -0.100x+1.837 Low 0.709 Down 0.616 y= -0.221x+2.424
yhA Low 0.158 0.142 - 0.379 y= -0.011x+0.170 Nomal 0.185 Down 0.971 y= -0.014x+0.182
ypA Low 0.147 0.639 - 0.348 y= -0.010x+0.138 Nomal 0.133 - 0.468 y= -0.011x+0.112
wsA Nomal 0.733 0.637 - 0.230 y= -0.084x+0.779 Low 0.629 - 0.291 y= -0.060x+0.866
ijA Low 0.013 0.016 - 0.092 y= 0.001x+0.009 Nomal 0.023 - 0.166 y= 0.001x+0.012
ijB Nomal 0.044 0.063 - 0.048 y= 0.003x+0.048 Low 0.069 - 0.344 y= -0.007x+0.075
jojA Low 0.027 0.018 - 0.042 y= -0.000x+0.016 Nomal 0.030 - 0.137 y= -0.001x+0.021
JlA Low 0.575 0.933 Down 0.901 y= -0.450x+2.25 Nomal 0.694 Down 0.843 y= -0.353x+1.861
chmA Low 0.057 0.082 - 0.263 y= 0.002x+0.073 Nomal 0.121 Down 0.766 y= 0.002x+0.073
tanA Low 0.454 0.880 Down 0.827 y= -0.417x+2.120 Nomal 0.786 Down 0.756 y= -0.228x+1.565
hgD Nomal - 0.028 Down 0.824 y= -0.003x+0.033 Low 0.034 - 0.034 y= -0.000x+0.024
hgE Low 0.063 0.054 - 0.203 y= -0.003x+0.058 Nomal 0.069 - 0.485 y= -0.009x+0.081
hgF Low 0.030 0.028 Down 0.754 y= -0.003x+0.038 Nomal 0.042 - 0.077 y= -0.001x+0.032
hgG Low 0.042 0.043 Down 0.934 y= -0.009x+0.071 Nomal 0.049 Down 0.727 y= -0.007x+0.059
hgH Nomal 0.200 0.211 - 0.385 y= -0.045x+0.305 Low 0.206 Down 0.974 y= -0.057x+0.395
hgI Nomal 0.236 0.344 Down 0.734 y= -0.066x+0.501 Low 0.319 Down 0.896 y= -0.055x+0.512
htA Low - 0.054 Down 0.585 y= -0.013+0.077 Nomal 0.058 - 0.585 y= -0.002x+0.034
htB Low 0.140 0.187 Up 0.916 y= 1.51x+0.775 Nomal 0.144 - 0.341 y= -0.021x+0.168
hocA Nomal 0.025 0.015 Up 0.949 y= 0.003x+0.005 Low 0.019 - 0.010 y= 0.000x+0.013
hehA Low - 0.030 - 0.204 y= 0.003x+0.012 Nomal 0.035 - 0.172 y= 0.001x+0.023

* Standard of establishement of water Quality Goal

분석에 사용된 단위유역은 Choi et al. (2015)에 의해 한 강수계 내 수질 및 단위유역별 오염부하량 및 수질특성으로 분류된 군집분석, 요인분석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4개 군집 중 대표 8개 단위유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Table 7).

Table 7. The result of the characteristic analysis each cluster
Group* I II III IV
Unit* Watershed hehA, gpA, bukD, sgB, bukC, gaB, jojA, ijA, ijB, hgE, hgF, hgG, gaA, gocA, htB, msA, ypA, wsA, bhA, jlA hgH, hgI, gulA ayA, tanA, hgD, hocA, chmA, htA, yhA, scA
Taget of study gpA, ijB msA, bhA hgI, gulA ayA, scA

* Cite the results according to A study on the Spatial Strength and Cluster Analysis at the Unit Watershed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Choi et al., 2015)

I그룹의 가평A, 임진B 단위유역은 계절 맨-캔달 검정 분 석결과에서는 대부분의 수질항목에서 경향성을 분석할 수 없었으나 BOD, TOC의 경우는 중권역 물관리기본계획3) 목표수질을 만족하며 연차별 큰 변동없는 수질이 나타났으 며 COD의 경우 연차별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N의 경우 연차별 변동에 일정한 패턴이 없으며 임진B 유 역의 EC의 경우 연차별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3),(Table 8).

Fig. 3. Results of analysis of Water quality variations in each site, 2004-2014. (a) gaA (b) ijB
../../Resources/kswe/KSWE.2017.33.1.15/JKSWE-33-15_F3.jpg
Table 8. Results of Seasonal Mann-Kendall test for pH, DO, and EC data in the Han-River
Main basin Mark pH DO EC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pr sum fall win spr sum fall win spr sum fall win
The up stream of Han-river hgD -1 -1 -1 -1 -1 -1 0 -1 0 0 0 0 0 0 -1
chmA -1 -1 -1 -1 -1 -1 0 -1 0 0 0 0 0 0 0
sgB -1 -1 0 -1 -1 0 -1 0 0 0 0 0 0 0 0
yhA -1 -1 0 -1 -1 0 0 0 0 0 0 0 0 0 0
bhA 0 -1 0 -1 -1 0 0 0 0 0 0 0 0 0 0
hgE 0 -1 0 -1 -1 0 0 0 0 0 0 0 0 0 0
hehA 0 0 0 0 -1 0 0 -1 0 0 0 0 0 0 0
gaA 0 0 0 0 -1 0 0 0 0 0 -1 -1 0 -1 -1
gaB 0 0 0 0 0 0 0 0 0 0 0 -1 0 -1 -1
bukC 0 -1 0 0 -1 0 0 0 0 0 0 0 0 0 0
gp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hoc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bukD 0 -1 0 0 -1 0 0 0 0 0 0 -1 0 0 0
joj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The down stream of Han-river hgF 0 -1 0 0 -1 0 0 0 0 0 0 0 0 0 0
wsA -1 -1 0 -1 -1 -1 0 -1 -1 0 -1 -1 0 -1 -1
hgG -1 -1 0 -1 -1 0 0 0 -1 0 0 0 0 0 0
tanA 0 0 0 0 0 0 0 0 0 0 -1 -1 0 -1 -1
JlA -1 -1 -1 -1 -1 0 0 0 0 0 -1 0 0 -1 -1
hgH -1 -1 -1 -1 -1 0 0 -1 -1 0 0 0 0 0 0
ayA -1 -1 0 -1 -1 0 0 0 0 0 0 0 0 0 0
hgI -1 -1 -1 -1 -1 0 0 0 0 0 0 0 0 0 0
gulA -1 -1 -1 -1 -1 0 0 0 0 0 -1 0 -1 -1 -1
gocA 0 -1 0 -1 -1 0 0 0 0 0 0 0 0 0 0
The Imjin-river htA -1 -1 -1 -1 -1 0 0 -1 0 -1 0 0 0 0 0
ypA -1 -1 -1 -1 -1 0 0 0 0 -1 0 0 0 0 0
scA -1 -1 -1 -1 -1 0 0 0 0 -1 0 0 0 0 0
htB -1 -1 0 -1 -1 -1 0 0 -1 -1 0 0 0 0 0
ijA -1 -1 0 -1 -1 0 0 0 0 -1 0 0 0 0 0
ijB -1 -1 0 -1 -1 0 0 0 -1 -1 0 0 0 +1 0
msA -1 -1 -1 -1 -1 0 0 0 -1 -1 0 0 0 0 0

II그룹의 문산A, 복하A 단위유역 LOWESS 분석결과, 유 기물질 BOD, COD, TOC의 연차별 수질이 계절에 따라 3 월경 최고수질, 10월경 최저 수질을 나타나며 동일한 변동 패턴으로 계절성을 나타냈으며 T-N의 경우 1월경(겨울) 최 고수질, 7월경(여름) 최저수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또한 II그룹의 전기전도도는 하천 오염도가 높은 III그 룹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강수량이 적은 1월 경 최고수질, 8월경 최저수질을 나타내는 경향성을 보였다. 두 단위유역의 BOD, T-P 수질이 중권역 관리계획 목표수 질 기준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4),(Table 9).

Fig. 4. Results of trend analysis of water-quality variations in each site. (a) msA (b) bhA
../../Resources/kswe/KSWE.2017.33.1.15/JKSWE-33-15_F4.jpg
Table 9. Results of Seasonal Mann-Kendall test for SS, E Coli, and F Coli data in the Han-River
Main basin Mark SS Total Coliforms Fecal Coliforms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eason Mann-Kendall Mann-Kendall
spr sum fall win spr sum fall win spr sum fall win
The up stream of Han-river hgD -1 -1 -1 -1 0 0 0 0 0 0 0 0 0 0 0
chm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sgB 0 0 0 -1 0 0 0 0 0 -1 0 -1 0 0 -1
yhA 0 0 0 -1 -1 0 0 0 0 0 0 0 0 0 0
bhA 0 -1 0 -1 0 0 0 0 0 0 0 0 0 0 0
hgE -1 0 -1 -1 0 0 0 0 0 0 0 0 0 0 0
heh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gaA -1 0 0 -1 0 0 0 0 0 0 0 0 0 0 0
gaB 0 0 0 -1 0 0 0 0 0 0 0 -1 0 0 0
bukC -1 0 0 0 0 -1 -1 0 -1 0 -1 -1 0 0 -1
gpA 0 0 0 -1 0 0 0 0 0 -1 -1 -1 0 -1 -1
hocA -1 -1 -1 -1 -1 0 0 0 0 0 0 0 0 0 0
bukD -1 0 0 -1 0 0 0 0 0 0 0 0 0 0 0
jojA 0 -1 -1 -1 -1 0 0 0 0 0 0 0 0 0 0
The down stream of Han-river hgF -1 -1 0 -1 -1 -1 -1 0 0 -1 -1 -1 0 -1 -1
wsA -1 -1 -1 -1 -1 0 0 0 0 0 0 -1 0 -1 -1
hgG -1 -1 -1 -1 -1 -1 0 0 0 0 -1 0 0 0 -1
tanA -1 -1 0 -1 -1 0 0 0 0 0 0 0 0 0 0
JlA -1 -1 -1 -1 -1 -1 0 -1 0 0 -1 0 0 0 0
hgH -1 -1 0 -1 -1 0 0 0 0 0 0 0 0 0 0
ayA -1 -1 0 0 -1 0 0 0 0 0 0 0 0 0 -1
hgI 0 -1 0 -1 -1 0 0 0 0 0 -1 0 0 0 0
gulA -1 0 0 0 0 -1 0 0 0 -1 -1 0 0 -1 -1
goc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The Imjin-river ht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yp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sc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htB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ijA 0 0 0 +1 0 -1 0 0 0 0 -1 -1 0 0 -1
ijB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msA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단위유역내 하천수질이 환경기초시설 방류량에 영향을 많이 받는 III그룹 한강I, 굴포A 단위유역은 다른 그룹과 달리 하천내 주요 오염물질의 계절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기물질은 ‘08년 이후 수질이 점차 개선되었으 며 T-P의 경우 ’10년 이후 급감하였다(Fig. 5).

Fig. 5. Results of trend analysis of water-quality variations in each site. (a) hgI (b) gulA
../../Resources/kswe/KSWE.2017.33.1.15/JKSWE-33-15_F5.jpg

IV그룹의 안양A, 신천A 단위유역의 경우 유기물질 및 영양물질이 3월경(봄) 수질이 악화되고 10월경(가을) 수질 이 개선되는 계절성을 보였으며 주요 수질항목이 ‘08년 이 후 수질이 점차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양A 단위유 역의 경우 ’08년 이후 하천내 T-P농도가 급격하게 개선되 었으며 이는 단위유역내 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질 개선(하 수도법시행규칙 제3조제1항,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Fig. 6).

Fig. 6. Results of trend analysis of water-quality variations in each site. (a) ayA (b) scA
../../Resources/kswe/KSWE.2017.33.1.15/JKSWE-33-15_F6.jpg

3.4.2. 유역별 수질 변화의 정도 분석결과

수질변동의 크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계절을 월별로 구분 하여 수질경향성을 분석한 계절 맨-캔달 검정에 적용된 월 별 중간 값을 가지고 계절 캔달 기울기 통계량(Seasonal Kendall Slope estimator)을 산출하였다. 또한 단위유역별 동 일 기간의 경향분석을 위하여 최근 5년간(10년~14년)의 계 절 캔달 기울기 통계량을 구하여 단위유역별 주요 수질항목 의 경향변화 기울기를 분석하였다(Fig. 7).

Fig. 7. Comparison of trend slopes at each unit watershed in which changes of water quality concentrat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ources/kswe/KSWE.2017.33.1.15/JKSWE-33-15_F7.jpg

단위유역별 수질변화 경향성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한강 상류의 경우 다른 수질항목에 비해 COD의 변화 경향성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청미A, 한강E, 조정A, 홍천A 단 위유역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냈다. 이는 청미A는 주요 오 염원이 축산계로 퇴비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한강E, 조종A, 홍천A는 단 위유역 면적의 약 40%가 임야지역으로 휴믹물질의 난분해 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반면 경안A, 경안B 유역이 경우 주요 오염물질이 크게 감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팔당상류 중점 관리지역으 로 ‘04년 이후 지속적으로 수질개선이 이루어졌기 때문으 로 보여진다. 한강하류 수질의 경우, 최근 5년간 안양A의 T-N수질이 증가 추세인 것을 제외하고 주요 항목에서 수 질이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탄천A의 경우 BOD수질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임진강 유 역의 경우 영평A, 한탄B, 임진B 단위유역은 유기물질 증가 하고 있는 추세를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의 증가율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복하A, 안양A, 임진B, 문산A 등 일부 지류하천의 NH4+-N, NO3-N농도 증가 변동이 큰 지역은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는 축산농가 또는 산업시설 등 주요 오염원 및 유역 현황을 연관 지은 원인 분석이 요구된다.

3.4.3. 공간적 농도경향 비교 분석결과

Fig. 8은 단위유역별 최근 5년간의 증감율4)을 가지고 한 강수계 지류와 본류의 변화정도를 비교한 결과 한강본류의 수질변화 크기는 작았으며 한강I를 제외한 단위유역에서 유기물질 및 영양물질이 감소하는 추세였으며 한강H, 한강 I는 단위유역내 대규모 환경기초시설의 T-P고도처리 및 개 선공사의 영향으로 T-P의 농도가 증가하였다(Seoul Special City, 2014). 지류의 경우 본류에 비해 하천유량이 적어 점 오염원 및 하천유량에 민감하여 변동의 폭이 크며 지류 또 한 T-P 수질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진강유 역은 본류·지류 모두 수질 증가폭이 크나 본류의 경우 T-P 의 증가폭이 크며 지류의 경우 BOD를 비롯한 대부분의 주 요 수질항목이 증가하였으며 임진B, 한탄B 등 전기전도도 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용존성 오염물질 또 는 무기성 오염물질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 8. Water quality variation rate for BOD, COD, TOC, T-N, T-P and EC. (a) The Main stream (’10~’14) (b) Tributary (’10~’14)
../../Resources/kswe/KSWE.2017.33.1.15/JKSWE-33-15_F8.jpg

4. Conclusion

하천 수질 및 경향성 분석은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위해 수체 내부·외부조건 변화를 파악하는 중요한 과정 중의 하 나이다.

단위유역별 수질오염 분석 및 수질변화 분석결과, 한강수 계 팔당호를 기준으로 팔당호 상류와 하류, 임진강유역의 수질특성은 서로 구분되는 결과를 보이며, 팔당호 용수이용 목적에 따라 상류는 BOD, T-P 등 대부분의 수질측정항목 에서 낮은 수질로 유지되고 있으나 경향성분석결과 COD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강하류와 임진강유역은 특히 지 류의 수질이 높고 수질의 변동 폭도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강하류는 최근 10년 유기물질의 양의 크게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으나 타 유역에 비해 영양염류의 농도가 높다. 임진강유역은 BOD 평균 수질이 3.86 mg/L, COD 8.07 mg/L 으로 임진B의 경우 COD의 수질이 BOD보다 약 3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신천의 COD 평균 농도는 20.09 mg/L로 가 장 높으며 신천A을 비롯한 문산A, 한탄B 유역의 전기전도 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유역내 입지한 산업체의 폐수의 특 성과 관련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모수적 통계방법을 이용한 경향분석결과, Season Mann- Kendall test는 계절성을 갖는 자료의 경향분석에 적합하나 환경기초시설의 방류수질에 영향을 받는 유역의 경우 방류 수 수질기준 강화 등 유역 전반적으로 특정오염원의 영향 이 급변하는 시기가 분석기간에 포함이 될 경우 하천수질 의 경향성 및 원인을 파악하는데 무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하천수질 변화 경향성 분석시 장기적 데이 터를 활용하는 방법이 수질경향분석에 유리하다고만 판단 할 수 없을 것이다.

수질오염총량관리 대상물질인 BOD와 T-P는 통계학적으 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며 2010년을 전·후로 BOD와 T-P 의 수질은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 하지만 LOWESS 추세분 석의 결과로 볼 때 그 외의 일부 유역은 비 관리항목인 질 소화합물과 난분해성유기물의 농도는 그 외 일부 유역에 대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하천유량조건으로 수질 변동 추세를 분석한 결과, BOD 는 평수기의 수질이 저수기 보다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거 나 저수기와 동일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볼 때 총량관리 에서 정한 부하량 관리시기인 저수기의 수질관리는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T-P의 경우는 단위유역별 수리적, 오염물질 등 특성에 따라 농도가 높아지는 유량조건이 다 르며 기본계획 수립시 정한 유량기준으로 평가했을 경우 그 반대의 유황조건에서 수질이 더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 다. 따라서 기존 대상물질 관리시기 설정 방법은 하천의 유량변화가 크거나 특정시기 오염원이 집중 배출될 경우 목표수질의 설정 및 평가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전 체 유량조건에 대한 수질 및 부하량 특성을 파악할 수 있 는 LDC 등의 대안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위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BOD는 한강수계의 유기물 측정지표를 대표할 수 없으며, 특히 임진강유역의 경우 BOD 대신 COD를 관리 대상항목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한강상류의 경우 팔당호 상류로 개발 및 인위적인 오염 물질의 유입이 법적으로 제한되며 경안천을 제외한 대부분 의 단위유역에서 BOD, T-P는 목표수질 및 하천관리기준 1 등급으로 유지되고 있다. 하지만 연구결과 한강상류의 COD는 경안A,B를 제외한 모든 유역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강수계 내 수 질특성 관련 연구에서 산림지역 낙엽과 토지이용변화(산림 →농경지), 축산퇴비로 인해 비도심지역의 난분해성 용존 유기물질 비중이 높아질 수 있음(Kim, 2012)을 추측할 수 있으므로 이는 유역내 대부분이 산림인 한강 상류의 COD 증가 원인을 추가 분석하여 추후 COD를 유기물질 관리대 상 물질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강하류의 경우 지류중심의 수질개선이 요구되며 타 유 역에 비해 질소의 농도가 높고 녹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할 때 하천내 조류의 번식가능성을 추정하는 지표로써 관리 대상물질로 T-N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T-N은 하천수질의 관리적 어려움으로 하천 수질환 경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형 환경기초시설 방류 수를 중심으로 관리방안을 수립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굴포A의 경우, DO의 농도가 낮고 T-P와 대장 균군의 농도가 높은 등 타 유역과는 다른 수질양상을 보인 다는 점에서, 추가 연구를 통한 원인 분석이 더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 수질의 오염도를 반영하여 중점관리지역의 수 질개선을 집중하고 향후 유역의 변화경향성 및 유역특성을 고려한 수질오염총량관리 대상물질의 유연화가 요구된다.

다만 결론과 같이 유역별 특성을 반영한 관리대상물질을 선정할 경우 정책적으로 분석대상항목이 크게 변동되는 시 기를 제외하고 경향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현행 수질오염총량제도의 경우, 하천 구간별 수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오염물질의 부하량을 할당하여 관리 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관리방법으로 새로운 수질오염물질 을 추가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 발생원에서 부 터의 발생량과 배출경로별 추적에 대한 연구와 오염물질과 수질변화의 상관성 및 부하량으로 산정하기 위한 오염물질 별 원단위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Notes

[6] 3대강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2단계: 2011.1.1.~2015.12.31

[7]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1단계 : 2013.6.1.~2020.12.31

[8] WEMP of Goal : 중권역 물환경관리계획 목표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9] Intensification Factor = ((The last year (mg/L)/Beginning of year (mg/L))^(1/number condition))-1

References

1 
Choi O.Y, Kim K.H, Han I.S, 2015, A study on the Spatial Strength and Cluster Analysis at the Unit Watershed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1, No. 6, pp. 700-714DOI
2 
Gilbert R.O, 1987, Statistical Method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ring, Van Nostr and Reinhold, pp. 1-320
3 
Helsel D.R, Hirsch R.M, 1992, Statistical Methods in Water Resource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pp. 1-522
4 
Hirsch R.M, Slack J.R, 1984,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No. 6, pp. 727-732DOI
5 
Hirsch R.M, Slack J.R, Smith R.A, 1982, Techniques of Trend Analysis for Monthly Water quality Data,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pp. 107-121DOI
6 
Kandall M.G, 1975, Rank Correlation Methods, Charles Griffin
7 
Kim J.H, Park S.S, 2002,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Stream Quality in Nakdong River, M. S. Ewha Womeans University, pp. 12-15
8 
Kim S.W, 2012, Characterization of Refractory Dissolved Organic Matters from Various Source in Han River basin and Study on Their Potential of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Formation, M. 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p. 34-44
9 
Lee H.W, Park S.S, 2009,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Donjin River Watershed,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 42, No. 1, pp. 39-47Google Search
10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 Against Trend, Econometrica, Vol. 13, pp. 245-249DOI
11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7a, [Korean Literature], Basic Policy for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in Nakdong River Basin, Ministry of Environment, pp. 1-22
12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7b, [Korean Literature], Basic Policy for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in Geum River Basin, Ministry of Environment, pp. 1-22
13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7c, [Korean Literature], Basic Policy for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in Yeongsan/seomjin River Basin, Ministry of Environment, pp. 1-22
14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0, [Korean Literature], Basic Policy for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in Han River Basin, Ministry of Environment, pp. 1-22
1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4, http://water.nier.go.kr/waterMeasurement/selectWater.do (accessed jun. 20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ment Research (WEIS)
16 
Park J.D, Park J.H, Oh S.Y, Lee J.K, 2013, Evaluation of Stream Water Quality to Select Target Indicators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9, No. 5, pp. 630-640Google Search
17 
Park J.D, Oh S.Y, 2013,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data on the Watersheds and the Stream Flow Monitoring Network,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9, No. 1, pp. 55-66Google Search
18 
Park J.H, Oh S.Y, Park B.K, Kong D.S, Rhew D.H, Jung D.I, 2006, Applicable Water Quality Indicators For Watershed Management,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2, No. 6, pp. 1004-1013Google Search
19 
Park S.H, 2011, [Korean Literature], A Study on the Result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otal Water Pollution Loading System, Ph. 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 78-80
20 
Seoul Special City, 2014, Implementation Assessment Report of Total Pollutant Management on Han-river basin of Seoul Special City at 2013, [Korean Literature], Seoul Special City, 4.1-4.30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