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유현
(Yoo Hyun Choi)
주현종
(Hyun Jong Joo)
*†
-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Graduate of School Kyonggi University)
-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Advanced Treatment Process, CaCO3, Dewatering Sludge, Filter Press
1. Introduction
전국적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은 500 m3/일 이상 597개소, 500 m3/일 미만 3,160개소가 존재하고 있으며, 개인하수처 리시설의 경우 444,237개소로써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비해 전국적으로 많은 개소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 하량(kg/day)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MOE, 2014). 이 러한 개인하수처리시설의 경우 지역적으로 산재되어 있으 며 방문관리 등의 제도적 한계에 의하여 법적 방류수 수질 기준 초과에 따른 문제점이
꾸준히 발생되고 있다(MOE, 2012). 또한 휴게소 내 개인하수처리시설 유입수의 경우 기 존의 일반적인 하수처리장이나 오·폐수처리시설의 유입수 성상과는 달리 중요한 역할을 하는 C/N비가
낮고 이에 따 라 방류수질 기준만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Lee, 2010).
현재 휴게소 개인하수처리시설의 슬러지 처리방법은 대 부분 지자체에 위탁처리하고 있으며, 일부 개인하수처리시 설의 경우 슬러지 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해
잉여슬러지 폐 기의 미실시 및 유량조정조로 유입하여 운영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처리공정 내 미생물 활성도 및 영양염류 제거효율
저하로 안정적인 수질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Lee, 2015). 또한 휴게소 오수처리시설 내 추가공정 도입을 위한 부지가 협소하여, 부대시설이 많은 슬러지 처리공정의 추가 도입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필터프레스의
경우 기존 공정 내 슬러지 농축조의 이용이 가능하며, 부대시설이 적은 장점이 있어 소규모 오수처리시 설 내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탄산칼슘과 필터 프레스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 방법과 슬러지의 칼슘이온 흡착 반응에 따른 슬러지 변화 기작을 분석하고 회분식 실험을
통한 탄산칼 슘의 최적 주입량 및 탈수케익 함수율을 도출 하고자 하였 다. 또한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와 휴게소 오수처리시설 내 고도처리공정 운전을
통해 탈수공정 적용에 따른 탈수여액 의 재활용 방안과 그에 따른 고도처리공정의 설계인자를 도출하고자 한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CaCO3 주입에 따른 슬러지 탈수효율 평가
CaCO3 주입에 따른 슬러지 탈수효율 평가를 위한 실험 조건 및 실험실 규모 필터프레스의 사양을 Table 1, 2에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잉여슬러지의 농도는 개인오수 처리시설 평균 농축 슬러지 MLSS 농도인 10,000 mg/L로 하였으며, CaCO3 주입비율을 1:1, 1:1.2, 1:1.5, 1:2, 1:3 (Sludge : CaCO3, wt)로 설정하였다. 또한 Jar-tester를 이용 하여 슬러지와 CaCO3가 완전 혼합되도록 하였으며, CaCO3 주입에 따른 슬러지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EPS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를 측정하였다. EPS는 미생물
표면 체외고분자 물질로써 미생물 흡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EPS농도가 높을수록 막오염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Kim,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칼슘흡착 에 의한 EPS농도를 분석함으로써 슬러지 표면변화 여부와 필터프레스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able 1. Experimental conditions of batch test
Item
|
Mode 1
|
Mode 2
|
Mode 3
|
Mode 4
|
Mode 5
|
CaCO3 Mixture rate (Sludge : CaCO3)
|
1:1
|
1:1.2
|
1:1.5
|
1:2
|
1:3
|
Sludge Conc. (mg/L)
|
10,000
|
Mixing time (min)
|
20
|
Dehydration time (hr)
|
2
|
Table 2. Specifications of filter press
Equipment size (mm)
|
The number of filter (ea)
|
Filteration volume (L)
|
Compressor pressure (HP)
|
L1,100·W400·H500
|
7
|
10
|
2
|
2.2. 탈수공정 적용에 따른 고도처리공정 개선 평가
탈수여액 주입에 따른 고도처리공정 개선평가를 위하여 Lab. scale A2/O 반응기를 제작하였으며, 설계인자 및 모식 도를 Table 3 및 Fig. 1에 나타내었다. Lab. scale 반응기는 개인하수처리시설 내 설치하여 실 폐수로 운전하였으며, 탈 수공정의 적용 전, 후로 고도처리공정 개선 여부를
평가하 였다. 또한 Lab. scale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적용성 평가 를 위하여 경기도 내 위치한 휴게소 개인하수처리시설에 1 m3/day 처리용량의 필터프레스와 2 m3 용량의 약품 혼합 농 축조를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탈수여액의 여액의 경우 알 칼리도 보조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무산소조로 주입하였다.
Table 3. Operational factors of A2/O process
Parameter
|
Unit
|
Value
|
Volume
|
L
|
79
|
Influent Flow
|
L/day
|
50
|
Influent pH
|
-
|
7.0-7.5
|
HRT
|
Anaerobic
|
hr
|
1.6
|
Anoxic
|
hr
|
8.4
|
Oxic
|
hr
|
28.0
|
DO
|
Anaerobic
|
mg/L
|
0.1-0.2
|
Anoxic
|
mg/L
|
0.1-0.2
|
Oxic
|
mg/L
|
2.0-3.0
|
SRT
|
day
|
20
|
Reactor MLSS Conc.
|
mg/L
|
3,000
|
Recycling Sludge MLSS Conc
|
mg/L
|
8,000
|
MLVSS/MLSS
|
%
|
70
|
Internal Recycle Flow
|
%
|
150
|
External Recycle Flow
|
%
|
7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process.
2.3. 수질분석방법
시료 분석은 매일 동일한 시간에 실시하였으며, 시료의 항목별 분석 방법은 Standard Methods (APHA, 2012)를 참 고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탈수케익 함수율 분석의 경우 105°C오븐을 이용한 무게분석으로 측정하였고, 48시간이상 건조하였다. EPS의 경우
Phenol-Sulfuric acid 방법을 이용 하였으며, Glucose를 표준물질로 하여 흡광도 490nm에서 측정하였다(Dubois et al., 1956). 또한 CaCO3 주입에 따른 슬러지 표면변화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과 EDX(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를 이용하여 슬러지 표면특성을 측정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CaCO3 주입에 따른 슬러지 표면변화 및 탈수효율 평가
CaCO3 주입에 따른 슬러지표면 변화 및 탈수효율에 따 른 실험결과를 Table 4와 Fig. 2에 나타내었다. 탄산칼슘 주입비율 증가에 따라 탈수케익의 함수율은 각각 86, 78, 64, 58, 54%로 감소하였고, 또한 EPS, SEM 및
EDX 결과 CaCO3 주입에 따라 EPS 감소와 슬러지 표면이 변화된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생물 플록구조의 음전하와 무기성 입자 및 양이온에 대한 상호작용으로
인한 연구결과와 유 사한 것으로 나타났다(Beveridge and Murray, 1980; Urbain et al., 1993).
Table 4. The result of EPS concentration and moisture content with CaCO3injection ratio
Parameter
|
Sludge MLSS Conc. : 10,000 mg/L Initial EPS Conc. 90mg/L
|
Sludge: CaCO3 mixture Rate (wt : wt)
|
1:1
|
1:1.2
|
1:1.5
|
1:2
|
1:3
|
Moisture content of dehydrate cake (%)
|
86
|
78
|
64
|
58
|
54
|
EPS Conc. (mg/L)
|
64
|
60
|
55
|
51
|
45
|
Fig. 2. Analysis result of sludge SEM and EDX.
Choi (2013)의 연구에 따르면 Ca2+이온이 미생물표면에 Bio-sorption되어 기질 및 영양염류 제거효율이 감소된다고 보고하고 있어 미생물에 의한 칼슘 흡착가능성을 제시하였 다.
또한 Lee (2000)의 연구에서는 굴 폐각 내 존재하는 칼 슘이온을 이용한 정수슬러지 탈수효율 평가 결과 굴 폐각 주입증가에 따라 슬러지 표면변화 및 탈수효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며, 또한 Lee (2009)의 연구결과 FeCl3 + Ca(OH)2 주입에 따른 탈수케익 함수율 평가결과 Ca(OH)2 의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함수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하 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칼슘주입에 따른 슬러지 표 면 변화가능성 및 탈수효율 증가에
대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폐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탈수성은 슬러지의 종류 및 성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주입약품의
종류, 주입량, 슬러지의 입도분포, 밀 도, pH, 온도 및 혼합강도 등 운전조건의 영향인자에 따라 크게 좌우되므로 운전조건을 최적화 할 필요성이
있다(Yim and Jung, 1988; Yoon et al., 1992).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탈수공정에 적합한 최적 CaCO3의 주입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폐기물 관리법 내 탈수케익의 재활용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CaCO3의 최적 주입량은 1:2로 나타났다(MOE, 2015).
3.2. 반류수 및 탈수여액 평가
기존 휴게소 개인하수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잉여슬러지 와 화학슬러지는 슬러지 농축조에서 농축과정을 거치게 되 는데 이때 발생되는 상등수는 대부분 유량조정조로
반송된 다. 따라서 기존처리공정 내 발생하는 반류수와 탈수여액이 생물학적 처리공정 내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 과를 Table 5에 나타내었다.
Table 5. The characteristics of supernatant and filtrate
Parameter
|
Sludge supernatant (mg/L)
|
Filtrate (mg/L)
|
|
|
Max.
|
Min.
|
Ave.
|
Max.
|
Min.
|
Ave.
|
|
TBOD5 |
30.6
|
14.8
|
21.4
|
42.8
|
20.7
|
29.8
|
Alkalinity
|
138
|
80
|
102
|
314
|
120
|
195
|
NH3-N
|
6.7
|
3.5
|
4.8
|
1.5
|
0.4
|
0.8
|
NO3--N
|
8.7
|
1.2
|
5.3
|
4.2
|
1.2
|
2.0
|
PO43--P
|
10.2
|
5.3
|
8.2
|
10.2
|
6.3
|
8.0
|
TSS
|
81
|
32
|
54
|
24
|
9
|
16
|
반류수 수질분석 결과 알칼리도의 평균농도는 102 mg/L as CaCO3로 나타났으며, BOD5와 TSS의 평균농도는 각각 21.4, 54 mg/L로 분석되었다 또한 탈수여액의 평균 알칼리 도 농도는 195 mg/L as CaCO3로 분석되었으며 BOD5와 TSS의 평균농도는 각각 29.8, 16 mg/L로 나타났다.
반류수와 탈수여액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알칼리도는 탈 수여액이 반류수보다 평균 1.9배(102-195 mg/L) 높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Kim (2013)의 연구결과 탈수여액과 하수를 1:1로 혼합할 경우 탈수여액 내 알칼리도(HCO3-)에 의해 질산화 속도가 향상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탈수공정 적용을 통해 발생되는 탈수여액을 고도처리공정 내 유입함으로써 탈수여액 재활용
및 고도처리공정 개선방 안으로 적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TSS의 경우 반류 수가 탈수여액보다 3.2배(16-54 mg/L)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탄산칼슘 주입에 따른 슬러지 표면 변화와 필터프레스를 통해 탈수여액 내 TSS 농도를 감소 시킴으로써 기존 반류수에 대한 오염부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TBOD5의 경우 탈수여액과 반 류수의 농도가 각각 평균 29.8 및 21.4 mg/L로써 유사한 값을 보이고 있다.
3.3. Lab. scale 탈수공정 적용에 따른 고도처리공정 개선 평가
3.3.1. 유입수 특성
처리공정 내 반류수 주입(Mode 1)과 탈수여액주입(Mode 2)에 따른 유입수 성상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6 에 나타내었다. 유입수 BOD5의 평균농도는 Mode 1에서 286.3 mg/L이며, Mode 2에서 398.9 mg/L로써 Mode 1 보 다 39%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NH3-N의 경우 Mode 1에서 평균 104.8 mg/L로 측정되었으며, Mode 2에서는 117.8 mg/L로써 Mode 1보다 12.4% 증가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TSS는 Mode 1에서 평균 117.9 mg/L의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Mode 2의 경우 평균 49.2 mg/L로 써 탈수공정
적용에 따라 2.39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기존공정 내 슬러지 저류조에서 발생하는 저류 조 상등액 및 농축슬러지의 유량조정조 월류방지에
따른 유입수 희석효과와 유량조정조 내 농축슬러지에 의한 유기 물 및 영양염류 제거 방지에 따른 농도증가로 판단된다.
Table 6. The characteristics of lab-scale reactor influent concentration with varying modes
Parameter
|
Influent concentration (mg/L)
|
|
|
Mode 1
|
Mode 2
|
|
|
Max.
|
Min.
|
Ave.
|
Max.
|
Min.
|
Ave.
|
|
TBOD5 |
367.2
|
222.2
|
286.3
|
474.0
|
324.6
|
398.9
|
NH3-N
|
124.2
|
84.6
|
104.8
|
160.2
|
94.4
|
117.8
|
NO3--N
|
3.6
|
0.5
|
1.7
|
1.9
|
0.3
|
1.1
|
PO43--P
|
13.4
|
8.8
|
10.4
|
10.8
|
3.7
|
8.9
|
TSS
|
146.0
|
92.0
|
117.9
|
70.0
|
22.0
|
49.2
|
3.3.2.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특성 평가
Mode별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7 및 Fig. 3에 나타내었다. Mode 1의 유입 수 및 방류수 BOD5의 농도는 평균 286.3 mg/L와 5.7 mg/L 로 측정되었으며, Mode 2의 경우 평균 398.9 mg/L로 유입 되어 4.3 mg/L로
방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Mode 1 에서의 NH3-N의 제거특성은 104.8 mg/L로 유입되어 평균 1.9 mg/L로 방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ode 2에서는 평균 117.8 mg/L로 유입되어
0.8 mg/L로 방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ode 1의 질소제거효율 평가결과 방류수 내 잔류 암모니아성 질소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는 유입수 내 알칼리도가 부족할 경우 질산화 효율이 저하 되어 방류수 내 잔류 NH3-N 농도가 존재하는 것으로써 Lee (2012)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Mode 1의 NO3--N의 경우 무산소조에서 평균 5.3 mg/L를 보이고 있으며 포기조 내 평균 17.4 mg/L의 농도로 분석되 었다. 또한 Mode 2에서는 무산소조
및 포기조에서 각각 평균 2.4 및 8.9 mg/L로 측정되어 Mode 2의 경우 Mode 1 보다 탈질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7. The characteristics of effluent concentration in lab-scale reactor
Parameter
|
Effluent concentration, mg/L
|
|
|
Mode 1
|
Mode 2
|
|
|
Max.
|
Min.
|
Ave.
|
Max.
|
Min.
|
Ave.
|
|
TBOD5 |
9.2
|
3.8
|
5.7
|
5.6
|
3.1
|
4.3
|
NH3-N
|
2.8
|
1.3
|
1.9
|
1.6
|
0.4
|
0.8
|
NO3--N
|
19.9
|
14.9
|
17.4
|
11.2
|
8.0
|
8.9
|
Fig. 3. Organic matter and nitrogen removal efficiencies in the lab-scale reactor.
3.4. 탈수공정의 현장적용에 따른 고도처리공정 평가
3.4.1. 유입수 특성
Lab. scale 결과를 바탕으로 고도처리공정 개선을 위해 Test bed 내 탈수공정을 적용하였으며, 운전기간에 따라 기 존처리공정(Mode 1)과
개선공정(Mode 2)으로 나누어 운전 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유입수 특성을 Table 8에 나타내 었다. 운전기간 중 Mode 1에서 유입수 내 BOD5의 평균농 도는 359.8 mg/L로 분석되었으며, NH3-N 및 TSS의 농도 는 각각 평균 80.3, 95.1 mg/L의 값을 보이고 있다. 또한 Mode 2 유입수 BOD5의 경우 평균 420.2 mg/L농도로 존 재하고 있으며, NH3-N 및 TSS의 평균 농도는 각각 88.0, 56.5 mg/L로 분석되었다. 탈수공정 적용에 따라 BOD5 및 NH3-N의 값이 각각 16.7% 및 9%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 었으며, TSS의 경우 평균 56.5 mg/L로써 개선공정이 기존 처리공정 보다 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8. The characteristics of test-bed influent concentration with varying modes
Parameter
|
Influent concentration (mg/L)
|
|
|
Mode 1
|
Mode 2
|
|
|
Max.
|
Min.
|
Ave.
|
Max.
|
Min.
|
Ave.
|
|
TBOD5 |
482.2
|
307.2
|
359.8
|
542.6
|
347.6
|
420.2
|
NH3-N
|
91.4
|
73.4
|
80.3
|
99.2
|
78.8
|
88.0
|
NO3--N
|
3.2
|
0.4
|
1.4
|
3.2
|
0.4
|
1.5
|
PO43--P
|
12.1
|
7.9
|
9.4
|
10.2
|
6.2
|
8.2
|
TSS
|
113.0
|
68.0
|
95.1
|
82.0
|
38.0
|
56.5
|
3.4.2.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효율 평가
Mode 별 처리공정 내 유기물 및 영양염류 특성을 Table 9 및 Fig. 4에 나타내었다. Mode 1 유입수 내 BOD5의 경우 평균 359.8 mg/L로 유입되어 평균 7.3 mg/L로 방류되는 것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NH3-N는 평균 80.3 mg/L로 유입되 어 1.7 mg/L로 방류되었으며, 반응조 내 잔류 NH3-N 농도 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산소조 및 포기조 내 NO3--N의 평균 농도는 각각 6.2 및 18.9 mg/L로 나타났다.
Table 9. The Characteristics of effluent concentration in a test bed
Parameter
|
Effluent concentration, mg/L
|
|
|
Mode 1
|
Mode 2
|
|
|
Max.
|
Min.
|
Ave.
|
Max.
|
Min.
|
Ave.
|
|
TBOD5 |
9.8
|
4.2
|
7.3
|
7.7
|
3.8
|
6.0
|
NH3-N
|
3.0
|
1.3
|
1.7
|
1.5
|
0.2
|
0.8
|
NO3--N
|
19.4
|
16.4
|
18.9
|
10.9
|
7.1
|
9.0
|
Fig. 4. Organic matter and nitrogen removal efficiencies in a test bed.
Mode 2의 경우 평균 420.2 mg/L의 농도로 유입되었으 며, 6.0 mg/L의 농도로 방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입수 및 방류수의
NH3-N의 평균농도는 각각 88.0, 0.8 mg/L 로 측정되었으며, NO3--N의 경우 무산소조 및 포기조에서 각각 평균 2.2 mg/L 및 9.0 mg/L로 나타났다.
3.4.3. 처리효율 및 설계인자 도출
고도처리공정 내 수질분석 결과를 토대로 Mode 별 물질 수지를 작성하였으며, 도출된 설계인자 및 처리효율을 Table 10과 11에 나타내었다. Mode 1 조건에서 반응기 물 질수지를 작성한 결과 BOD5의 처리효율은 97.9%로 확인되 었으며 이에 따른 비기질소모율(U)의 경우 0.048d-1의 값을 보이고 있다. 또한 NH3-N 및 NO3--N의 처리효율은 각각 99.8 및 82.7%로써, SNR과 SDNR값은 각각 0.020 및 0.059d-1의 값을 보이고 있다. 또한 Mode 2의 물질수지 결 과 BOD5의 평균 제거효율은 98.9%이며, 이에 따른 U값의 경우 0.079d-1로써 Mode 1과 비교할 경우 60%이상 증가하 였다. 또한 NH3-N 및 NO3--N의 평균 제거효율은 각각 99.3, 90.4%로 측정되었으며, SNR과 SDNR 값은 0.027, 0.085d-1 의 설계인자 값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탈수공 정을 적용할 경우 잉여슬러지의 원활한 처리와 반응조 내 일 정한 SRT 유지가 가능해지며,
이에 따른 미생물 활성도 증 가를 통해 설계인자 값이 기존공정보다 향상됨을 알 수 있다.
Table 10. Operational factors and design factors
Parameter
|
Unit
|
Mode 1
|
Mode 2
|
Design factor
|
U
|
d-1 |
0.048
|
0.079
|
SNR qn |
d-1 |
0.020
|
0.027
|
SDNR qdn |
d-1 |
0.059
|
0.085
|
F/M
|
mg BOD/mg MLVSS
|
0.051
|
0.086
|
Operation factor
|
MLVSS
|
mg/L
|
3,500
|
2,900
|
SRT
|
day
|
25.2
|
19.1
|
HRT
|
Anaerobic
|
hr
|
1.6
|
1.6
|
Anoxic
|
8.4
|
8.4
|
Oxic
|
28.0
|
28.0
|
Chemical injection
|
Na2HCO3 |
kg/day
|
10
|
0
|
CH3OH
|
kg/day
|
20
|
10
|
Table 11.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Parameter
|
Mode 1
|
Mode 2
|
Influent
|
Effluent
|
R.E(%)
|
Influent
|
Effluent
|
R.E(%)
|
TBOD5 (mg/L)
|
286.0
|
5.8
|
99.9
|
398
|
4.3
|
99.9
|
NH3-N (mg/L)
|
104.8
|
1.8
|
99.8
|
117.8
|
0.8
|
99.3
|
NO3--N (mg/L)
|
103.0
|
17.8
|
82.7
|
117.0
|
11.2
|
90.4
|
PO43--P (mg/L)
|
10.4
|
9.9
|
4.8
|
8.9
|
7.9
|
11.2
|
TSS (mg/L)
|
72.2
|
8.0
|
88.9
|
49.2
|
6.0
|
87.8
|
따라서 탈수공정이 적용된 개인하수처리시설을 설계할 경우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설계인자 적용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된다.
4.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개인하수처리시설 내 탄산칼슘 및 필터프 레스를 이용한 탈수공정의 적용가능성과 이를 통한 생물학 적 처리공정 개선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고도처리공정 내 슬러지 표면변화를 위해 탄산칼슘을 주입하였으며, 그 결과 최적혼합비율은 1:2로 나타났으 며, 이는 미생물 내 생물흡착으로 인해 칼슘이온(Ca2+) 이 흡착되고 슬러지의 표면이 개질되어 탈수공정에 적 합한 슬러지 표면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슬러지 탈수과정에서 발생하는 탈수여액의 경우 생물학 적 처리공정 내 질산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 되며, 이에 따라 탈수여액의 주입은 알칼리도가
부족한 개인하수처리시설 내 생물학적 처리공정 개선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탈수공정이 적용된 개인하수처리시설을 설계할 경우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설계인자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탈수공정 적용에 따라 기존 공정
내 슬러지 저류조 및 농축조 미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잉여슬러지 폐기의 문제점에 따른 개인하수처리시설 내 탈수공정의 적용은 고도처리공정 내 개선효과를 통해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방류수질 확보가 가능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탈수케익의 자원화 대책에 대한 추 가적인 연구를 통해 개인하수처리시설 뿐만 아니라 공 공하수처리시설에도 탈수공정 적용방안의
확대가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5년도 경기대학교 연구년 수혜로 연구한 논문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PHA), 201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Beveridge T.J, Murray R.G.E, 1980, Sites of Metal Deposition in the Cell Wall of Bacillus
Subtilis, Journal Bacteriological, Vol. 141, pp. 876-887

Choi J.S, 2013, [Korean Literature], Effects of Non-oxidizing Biocides (NOBs)and Total
Dissolved solids (TDS) on Biological Treatment of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
Concentrate, ph. D.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pp. 186-196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ytical Chemistry, Vol. 28,
pp. 350-356

Kim D.H, 2013, [Korean Literature], The Study for Improving Nitrification Rate Using
Rejection Water,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pp. 24-27
Kim H.Y, 2005, [Korean Literature], Effect of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on
Membrane Permeability in Membrane Bioreactor,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pp.
4-34
Lee K.H, 2010, [Korean Literature], The Study of Optimum Plan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
for Field Application of A2/O Process in the High-way Service Area, Ph. D.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pp. 130-131
Lee K.H, 2012, [Korean Literature], Standard by Efficiency Assessment for Advanced
Treatment of Sanitary Sewage Facilities in the Highway Servic area -Forcusing on A2O+Rolled
Pipe System Process and MBR+Surfur-Oxidizing Denitrifying Proces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pp. 51-53
Lee K.H, 2015, [Korean Literature], Effect on Efficiency of Biological A2/O Process
with Dewatering Filterate Added to CaCO3, Ph. D.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pp. 1-6
Lee S.S, 2009, [Korean Literature], A Study on Optimum Coagulation Condition of Sludge
Dehydration by Filter Press,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pp. 101-105
Lee Y.K, 2000, [Korean Literature], The Study on the Dewaterbility Improvement of
Water Treatment Sludge using Powdered Oyster Shell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pp. 26-29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2, [Korean Literature], 2030, Use of Planning in
the Production of Weight loss and Biogas of Sewage sludge, Ministry of Environment,
pp. 1-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4, [Korean Literature], Statistics of Sewerage,
Ministry of Environment, pp. 1-8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5, [Korean Literature], Waste Management law, Ministry
of Environment, pp. 375-380
Urbain V, Block J.C, Manem J, 1993, Bioflocculation in Activated Sludge: an analytical
approach, Water Research, Vol. 27, No. 2, pp. 829-838

Yim S. S, Jeong Y. D, 1998, A Study on the Methods for Measuring Average Specific
Resistance-A New Method: Suction Filtration-Permeametry Test,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Engineers, Vol. 10, No. 3, pp. 61-70

Yoon T.I, Kim N.J, Kim C.G, 1992,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etreatment of Sludge Dewatering,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Engineers, Vol. 14, No. 4, pp. 309-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