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대구대학교 생물교육전공,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Daegu University)
  2.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bnormal frustule, Heavy metal pollution, Morphological abnormality, Zinc

1. Introduction

중금속은 자연적으로 바위나 토양 광물의 풍화에 의해서 발생되지만 대부분 생물이 이용할 수 없는 형태이며, 낮은 농도로 존재한다 (Ross, 1994). 그러나 수체 내 유입되는 대 부분의 중금속은 제련소 및 공단의 산업폐수, 광산 침출수 등의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이며, 이들은 존재 형태나 이·화 학적 변화에 따라 수중으로 재용출되어 급격한 수질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Kim et al., 2000; Ri, 2000). 또한 극히 미 량이라도 먹이연쇄를 통하여 상위 포식자에게 농축되어 식 물, 동물 그리고 인간에게 심각한 위해를 끼칠 수 있다 (Bergstrom et al., 2011; Juhasz et al., 2011; Reiley, 2007).

경북 북부의 낙동강 발원지 인근 지역에는 다수의 휴·폐 광된 납, 아연, 금, 은, 동 광산이 존재하고 있으며, 휴·폐광 에 대한 유입도 조사 결과 상당수의 광산 침출수에서 높은 농도의 중금속이 발견되었다 (Jung et al., 2004; Kim et al., 2016). 또한 이와 관련된 중금속 제련 시설이 낙동강 상류부에 위치하고 있어 인근 지역의 하천으로 중금속이 유입되어 수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Choi and Lee 2009; Jeon et al., 2010). 최근 실시된 Park (2016) 의 연구에 따르면 낙동강 상류부에 위치한 제련소 인근에 서 아연과 카드뮴, 비소 등에 오염된 상태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으며, 특히 낙동강 최상류에 이러한 제련소가 자리 잡고 있어 낙동강을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위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 언급하였다.

하천 생태계의 중요한 생산자인 부착규조는 수체의 환경 에 따라 정량적인 변화를 보이며, 이동성이 없어 천이 초 기부터 전 생활사 동안 장기간에 걸친 수환경의 변화를 종 합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Choi et al., 2015; Park et al., 2004; Watanabe and Asai, 1990; Watanabe et al., 2005). 다른 생물군에 비하여 중금속 오염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 중금속 오염의 지표 분류군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Rimet, 2012), 특히 중금속에 대한 스트레스 조건 하에서 형태적 변이를 일으켜 (Cantonati et al., 2014), 형 태 변이종의 출현 빈도로 중금속의 오염 정도를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Falasco et al., 2009; Morin et al., 2012; Pandey et al., 2014). 중금속 오염이 부착규조의 군집 형성이나 형태 변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Duong et al., 2010; Gold et al., 2002; Jonge et al., 2008; Morin et al., 2007; Morin et al., 2012),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전무 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련소의 영향으로 중금속 유입이 예 상되는 낙동강 상류 구간에서 7개 지점을 선정하여 중금속 유입에 따른 부착규조의 종조성 변화와 형태 변이종의 출 현 양상을 파악하여, 중금속 오염이 수중 생물상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 Material and Methods

2.1. 조사 지점 및 조사 시기

본 연구는 낙동강 상류 지역인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및 소천면 일대 7개 지점을 선정하여 2016년 8월 26일에 인공 기질을 설치하였으며, 그 후 7일 간격인 2016년 9월 2일, 9일, 16일, 23일에 기질 수거 및 수질항목 조사를 실 시하였다 (Table 1). 조사 지역의 상류 지점인 st.1 - 3은 중 금속 유입의 대조 하천으로 선정하였으며, st.4 지점은 제 련소의 배출구가 인근에 위치하여 중금속 유입이 우려되는 지점이다. st.5 - 7은 제련소의 하류 구간으로 직·간접적인 영향이 예상되는 지역이다 (Fig. 1).

Table 1. Locations of the Sampling Stations in the 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Site Location of sampling station

st.1 Seokpori, seokpo, Bonghwa-gun, Gyeongbuk, Republic of Korea (E 129° 2' 37.5", N 37° 3' 33.1")
st.2 Seokpori, seokpo, Bonghwa-gun, Gyeongbuk, Republic of Korea (E 129° 3' 29.1", N 37° 2' 55.1")
st.3 Seokpori, seokpo, Bonghwa-gun, Gyeongbuk, Republic of Korea (E 129° 3' 40.6", N 37° 2' 25.7")
st.4 Seokpori, seokpo, Bonghwa-gun, Gyeongbuk, Republic of Korea (E 129° 3' 4.3", N 37° 2' 31.3")
st.5 Seokpori, seokpo, Bonghwa-gun, Gyeongbuk, Republic of Korea (E 129° 3' 55.7", N 37° 1' 41.4")
st.6 Seungburi, seokpo, Bonghwa-gun, Gyeongbuk, Republic of Korea (E 129° 4' 34.1", N 37° 0' 46.4")
st.7 Buncheon, Socheon-myeon, Bonghwa-gun, Gyeongbuk, Republic of Korea (E 129° 4' 10.3", N 36° 57' 9.1")
Fig. 1. Map Showing the Sampling Stations in the 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Resources/kswe/KSWE.2017.33.4.424/JKSWE-33-424_F1.jpg

2.2. 인공 기질 제작 및 설치

부착규조는 기질에 따른 부착 특성 및 천이 양상이 다르 기 때문에 기질 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Choi et al., 2004), 천이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군집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는 인공 기질의 사용이 필요하다 (Danilov and Ekelund, 2001). 본 연구에서는 유리를 인공 기질로 선 택하여 22 cm × 7 cm로 제작하였으며, 하천의 흐름에 인공 기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였고, 벽돌을 이용하여 하상에 고정하였다. 설치된 지점은 평균 수심이 약 30 cm 정도가 되는 곳을 선정하였다 (Fig. 2).

Fig. 2. Artificial Substrates for the Algal Attachment and the Plastic Racks Immersed in the Water Columns at the 7 Sites, Each Containing 4 Glass Substrates.
../../Resources/kswe/KSWE.2017.33.4.424/JKSWE-33-424_F2.jpg

2.3. 부착규조 및 환경요인 분석

부착규조 시료는 인공 기질인 유리판의 양면을 솔로 긁 어 채집하였고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하였다. 정량 분석은 Sedwick-Rafter chamber를 사용하여 출현 세포수를 ml 당 세포수로 계수하였다 (Schoen, 1988). 종의 동정을 위해 영구 표본을 제작하였으며, 시료의 세정은 KMnO4 법 (Hendey, 1974)을 사용하였고, Pleurax로 봉입하였다. 제작된 슬라이 드는 광학현미경(Nikon Eclipse 80i)으로 400 ~ 1000 배하에 서 관찰하였고, 디지털카메라(Nikon DS-5M)로 촬영하였다. 출현종의 동정은 Krammer and Lange-Bertalot (1986, 1988, 1991a, 1991b)를 주로 이용하였고, 분류 체계는 Simonsen (1979) 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화학적 환경요인 중 수온, 전기전도도 (EC), pH, 용존 산소농도 (DO)는 현장 수질 측정기 (YSI556MPS), 유속은 CR-7 유속계 (YOKOGAWA)를 각각 사용하여 현장에서 측정하였다. 채수한 시료는 실험실로 운반하여 수질오염공 정시험방법 (MOE, 2011)에 따라 BOD, NO2-N, NO3-N, NH3-N, PO4-P, Chl-a, AFDM (ash free dry matter)과 중금 속 항목 아연 (Zn), 카드뮴 (Cd), 비소 (As)를 분석하였다.

2.4. 통계 분석

부착규조의 군집 변화와 환경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해 보기 위한 정준대응분석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은 CANOCO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프로그램 (v. 4.5; Ter Braak and Šmilauer, 2002)을 사용하 였다. 수질 항목 중 부착규조 군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항목으로 수온, pH, EC, DO, BOD, 유속, Zn, Chl-a, AFDM, NO3-N, NH3-N, NO2-N, PO4-P 등 13개 요인을 선 발하였으며, 출현이 확인된 52종의 부착규조 중 상대적으 로 출현 밀도가 높은 16종을 선별하였다. 부착규조 군집과 각 환경요인간의 유의성은 SPSS (v.18, Korea)를 이용하였 으며, 유의 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이·화학적 환경요인 및 생물량 변화

조사 기간 동안 이·화학적 환경요인의 조사 결과는 Table 2와 같았다. 현장 수질 항목 중 수온은 평균 18.6 °C로 조사 기간 동안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pH는 7.3 ~ 8.8의 범위 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BOD는 0.23 mgL-1 ~ 1.64 mgL-1의 범위로 하천생활환경기준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환경기 준 제2조)에 의해 ‘좋음 (Ib)’의 등급에 해당되었다. 전기전 도도는 평균 250 μS cm-1으로 조사 시기별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사 지점별로는 대조 지점 (st.1 - st.3, st.7)과 중금속 검출 지점 (st.4 - st.6)에서 각각 208 μS cm-1 와 306 μS cm-1으로 조사되어 다소 차이를 보였다. 영양염 류 항목 중 NH3-N와 NO3-N는 각각 평균 0.157 mg L-1과 0.255 mg L-1로 나타났으며, NO2-N는 평균 0.021 mg L-1로 분석되었다. PO4-P는 평균 0.003 ~ 0.010 mg L-1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의 영양염류 농도는 하천 차수가 비슷 한 국내 다른 수계의 하천과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조사되 어 비교적 수질이 양호하였다 (Cho et al., 2012; Huh et al., 1999; Hwang et al., 2006). 조사 지점의 유속은 17.5 cm sec-1 ~ 87.5 cm sec-1의 범위 (평균 38.2 cm sec-1)로 확인 되었으며, 대조 지점 (st.1 - st.3, st.7)과 중금속 검출 지점 (st.4 - st.6)에서 각각 평균 37.2 cm sec-1와 39.5 cm sec-1로 조사되어 큰 차이가 없었다 (Table 2).

Table 2.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Water Determin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nd the Ash-free Dry Matter (AFDM) and Chlorophyll-α (Chl-a) Contents of the Biofilms Grown on Artificial-Glass Substrates
Site Day Water Sample Biofilm

WT (°C) EC (μs/cm) pH DO (mg/ℓ) Vel. (cm/s) BOD (mg/ℓ) NH3-N (mg/ℓ) NO3-N (mg/ℓ) NO2-N (mg/ℓ) PO4-P (mg/ℓ) Zn (mg/ℓ) Cd (mg/ℓ) As (mg/ℓ) Chl-a(μg/cm2) AFDM (mg/cm2)

st.1 2 18.2 265 7.9 9.2 87.5 0.59 0.376 0.163 0.039 0.009 nd nd nd 0.08 0.08
9 18.7 187 8.4 9.2 48.6 0.58 0.066 0.208 0.000 0.000 nd nd nd 0.09 0.38
16 19.6 192 8.6 9.2 22.7 0.83 0.330 0.092 0.051 0.010 nd nd nd 0.10 0.46
23 16.8 189 8.0 10.1 35.3 1.28 0.092 0.059 0.035 0.011 nd nd nd 0.11 0.48

st.2 2 18.3 249 7.8 9.2 63.7 0.54 0.268 0.094 0.037 0.013 nd nd nd 0.09 0.14
9 20.2 216 8.6 9.7 45.0 0.60 0.330 0.323 0.000 0.010 nd nd nd 0.13 0.48
16 20.8 250 8.8 10.2 27.9 0.87 0.198 0.439 0.028 0.008 nd nd nd 0.14 0.58
23 17.6 207 8.3 10.6 21.7 1.64 0.383 0.268 0.026 0.008 nd nd nd 0.17 0.61

st.3 2 17.9 245 7.8 9.1 49.4 0.56 0.265 0.096 0.033 0.012 nd nd nd 0.08 0.16
9 18.4 133 7.9 9.5 30.1 0.23 0.066 0.092 0.016 0.004 nd nd nd 0.17 0.32
16 19.6 184 8.4 9.3 17.5 0.34 0.527 0.208 0.039 0.014 nd nd nd 0.18 0.42
23 16.6 146 7.8 10.4 20.9 0.80 0.347 0.177 0.031 0.006 nd nd nd 0.19 0.44

st.4 2 18.2 328 7.8 9.1 46.7 0.65 0.065 0.189 0.042 0.012 0.188 nd nd 0.36 0.40
9 19.2 337 8.3 9.9 41.8 0.56 0.725 0.323 0.051 0.012 0.107 nd nd 3.80 0.68
16 20.1 351 8.6 10.4 25.2 0.69 0.461 0.092 0.000 0.006 0.093 nd nd 4.07 1.08
23 16.7 292 7.9 10.1 37.8 0.73 0.183 0.146 0.028 0.007 0.088 nd nd 4.13 1.10

st.5 2 18.3 338 7.8 9.0 69.8 0.64 0.132 0.092 0.028 0.004 0.102 nd nd 0.39 0.44
9 18.7 294 8.1 10.2 33.9 0.88 0.132 0.092 0.028 0.004 0.084 nd nd 3.51 1.28
16 19.9 326 8.0 9.3 46.8 0.78 0.132 0.092 0.000 0.012 0.061 nd nd 3.97 1.80
23 16.9 288 8.2 10.3 21.5 0.64 0.068 0.020 0.007 0.005 0.059 nd nd 4.15 1.86

st.6 2 18.2 323 7.8 9.1 46.9 0.60 0.192 0.354 0.009 0.009 0.058 nd nd 0.17 0.34
9 18.4 266 7.3 10.1 39.7 0.47 0.395 0.208 0.028 0.000 0.038 nd nd 2.17 0.58
16 20.1 304 8.7 9.7 25.2 0.57 0.066 0.092 0.000 0.002 0.028 nd nd 2.61 0.80
23 16.9 230 8.2 10.4 39.0 0.56 0.065 0.062 0.009 0.002 0.015 nd nd 2.75 0.84

st.7 2 18.4 253 7.8 9.2 41.5 0.57 0.327 0.139 0.007 0.012 nd nd nd 0.23 0.30
9 19.1 209 8.2 10.2 36.8 0.49 0.261 0.123 0.009 0.008 nd nd nd 2.15 0.60
16 20.0 215 8.3 9.8 27.4 0.53 0.347 0.062 0.000 0.005 nd nd nd 2.30 0.62
23 19.9 192 8.3 10.8 19.8 0.64 0.327 0.092 0.000 0.012 nd nd nd 2.48 0.72

[i] nd: not detected

부착규조의 생물량을 대변하는 클로로필-α와 AFDM은 전 지점에서 모두 천이가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천이 초기인 1 ~ 2주에 비교적 빠른 증가폭을 보였 으며, 이후 점차 둔화되었다. 클로로필-a 농도는 0.09 μg cm-2 ~ 3.09 μg cm-2의 범위 (평균 1.64 μg cm-2)였으며, AFDM은 0.34 mg cm-2 ~ 1.35 mg cm-2의 범위 (평균 0.64 mg cm-2)로 조사되어 비교적 생물량이 낮았다. 본 조사 지 점은 유속이 빠르고 영양염 및 유기물에 의한 오염도가 낮 으며, 생물량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특징 은 하천 상류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특징이다 (Kalf, 2002) (Fig. 3).

Fig. 3. Ash-free Dry Mass (AFDM) Values and Chlorophyll-α (Chl-a) Concentrations in the Biofilms of the Different Sites During the Experiment
../../Resources/kswe/KSWE.2017.33.4.424/JKSWE-33-424_F3.jpg

중금속 항목 중 카드뮴 (Cd)과 비소 (As)는 전 조사 지 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아연 (Zn)의 경우, 대조 지점인 st.1 - st.3과 st.7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중금속 검출 지 점인 st.4 - st.6에서는 평균 0.033 mg L-1의 농도로 검출되 었다. 지점별로는 제련소의 배출구가 인근에 위치한 st.4에 서 평균 0.119 mg L-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배출구에서 멀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Table 2). 부착규조 성장을 위한 필수 중금속 (Fe, Zn, Cu 등) 농도의 최적 범 위는 일반적으로 좁다 (Filippis and Pallaghy, 1994; George, 1990; Martin and Coughtrey, 1982). 일부 부착규 조 분류군의 경우, 0.00065 ~ 0.065 μg L-1의 아연 농도의 범 위에서 최적의 성장을 보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 성장 에 영향을 받았다 (Anderson et al., 1978). 따라서 중금속 은 극히 미량일지라도 부착규조의 물질대사를 방해하여 형 태 변이를 유발할 수 있다 (Morin, 2003).

3.2. 부착규조 종조성 변화

본 연구에서 출현한 부착규조는 52종이였으며, 이는 Simonsen (1979)의 분류 체계에 따라 2목, 3아목, 7과, 18속, 41종, 11변종으로 분류되었다. 중심 규조목 (Centrales)은 총 2종 으로 전체의 3.8 %였으며, 우상 규조목 (Pennales)는 총 50 종으로 전체의 96.2 %였다. 평균 출현종 수는 21종이었으 며, 전체적으로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출현종이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총 52종은 오탁 내 성도에 따라 Achnanthes convergens를 포함하는 호청수성 종 23종, Achnanthes minutissima를 포함하는 광적응성종 20종과 Nitzschia palea를 포함하는 호오탁성종 9종으로 분 류되었다 (Watanabe et al., 2005).

부착규조의 군집 형성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우점종 및 아우점종의 천이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우점 분류군의 변화는 Nitzschia palea (1주차) → Achnanthes minutissima (2 ~ 4주차)로 천이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아우 점종은 Achnanthes minutissima (1주차) → Nitzschia palea (2 ~ 3주차) → Achnanthes convergens (4주차) 순으로 변화 하였다. 본 조사 구간과 같이 수질이 비교적 양호하고 유 속이 빠른 하천에서 부착규조의 일반적인 천이 과정은 기 질에 부착하기 유리한 Achnanthes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등과 같은 수평형 규조종 (horizontally positioned species)이 초기 우점 분류군으로 주로 출현한다 (Horne and Goldman, 1994). 본 조사 구간과 같은 지점에서 수직 형 규조종 (vertically positioned species)인 Nitzsschia palea 의 초기 우점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Duong et al., 2010; Gold et al., 2003). 우점 분류군의 분포 양상 은 지점별로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중금속 유입 전 지 점인 st.1 - st.3에서는 Achnanthes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가 전체 출현종의 47% 이상을 차지 하였으며, 이들은 중금속 오염에 민감성을 띄는 종으로 보 고되었다 (Falasco et al., 2009). 중금속 검출 지점인 st.4 - st.6에서는 Nitzschia paleaAchnanthes minutissima가 전 체 출현종의 40 % 이상을 차지하는 등 중금속 유입 전 지 점들과 상이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은 특히 중금속 오염 에 내성도가 높은 종으로 알려졌다 (Cantonati et al., 2014; Duong et al., 2010; Gold et al., 2003; Morin et al., 2007; Morin et al., 2012). 본 조사의 최하류 지점인 st.7에서는 Achnanthes convergens가 전체 출현종의 35% 이상을 차지하며 중금속 오염에 민감성을 띄는 종의 비율 이 다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금속 유입이 부착규조의 종조성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Fig. 4).

Fig. 4. Relative Abundance of the 10 Major Diatom Species (> 9 %) within the Diatom Communities Collected at the 7 Sampling Stations of the Nakdong River During the Experiment. (ACON:Achnanthes convergens, AMIN:Achnanthes minutissima, ASUB:Achnanthes subhudsonis, CPED:Cocconeis pediculus, CPLA:Cocconeis placentula, CEUG:Cocconeis placentulavar.euglypta, CLIN:Cocconies placentulavar.lineata, MVAR:Melosira varians, NMIN:Navicula minima, and NITP:Nitzschia palea).
../../Resources/kswe/KSWE.2017.33.4.424/JKSWE-33-424_F4.jpg

3.3. 부착규조 주요 출현종 및 환경요인 간의 관계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정준대응분석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결과, 제 1축과 2축에 의해 총 변이의 55.4 %가 설명되었으며, 종조성에 미치는 가장 큰 환경요인은 Zn으로 나타났다. 또한 Zn의 변화는 부착규 조 생체량 (클로로필-a) (r = 0.430, n = 28) 및 형태 변이종 출현 (r = 0.646, n = 28)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 어 (p<0.05), 종조성과 함께 부착규조 군집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부착규조와 환경요인 간의 CCA 결과를 살펴보면, Zn과 EC에 대하여 Navicula minimaNitzschia palea는 유의한 양 (+)의 관계를 형성 한 반면 (p<0.05),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Cocconies placentula var. lineata는 유의한 음 (−)의 관계 를 형성하였다 (p<0.05). 유속에 대해 Fragilaria capucina, Fragilaria capucina var. rumpens, Fragilaria capucina var. vaucheriae는 유의한 음 (−)의 관계를 보였다 (p<0.05). 분 석에 대입된 부착규조 및 환경요인 항목을 대상으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1그룹은 대부분 Zn이 검출되지 않았 던 st.1 - 3 지점이 속해 있었고, 1그룹의 분포 종으로는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Cocconies placentula var. lineata 등이 분포하였다. 이들은 중금속 오염에 민감 성을 띄는 종으로 보고되었다 (Falasco et al., 2009). 2그룹 은 Zn이 검출되었던 st.4 - 6지점들이 대부분 속해 있었고, Navicula minimaNitzschia palea가 분포하였다. 이들은 중금속 오염에 내성도가 높은 종으로 보고되었다 (Cantonati et al., 2014; Duong et al., 2010; Gold et al., 2003; Morin et al., 2007; Morin et al., 2012). 3그룹은 st.3 - 7지점들이 속해 있었고, 대부분 4주차 조사에 해당되었다. 이는 천이 가 후기로 갈수록 안정화되어 여러 지점에서 군집 간의 구 조가 유사해진 것이라 사료된다. 3그룹의 분포 종으로는 Achnanthes convergensGomphonema parvulum, Navicula cryptotenella 등이 있었으며, 이는 1그룹에 속한 종들에 비 해 비교적 중금속 오염에 대한 민감도가 낮을 것으로 판단 된다 (Fig. 5).

Fig. 5. Canonical-Correspondence-Analysis (CCA) Ordination of the Two Axes Showing the Scores for the Samples an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Each Sample is Represented by Four Letters (S: Station, W: Week, ACON:Achnanthes convergens, FCAP:Fragilaria capucina, FRUM:Fragilaria capucinavar.rumpense, FVAU:Fragilaria capucinavar.vaucheria, SULN:Synedra ulna, AMIN:Achnanthes minutissima, ASUB:Achnanthes subhudsonis, CPED:Cocconeis pediculus, CPLA:Cocconeis placentula, CLIN:Cocconies placentulavar.lineata, CEUG:Cocconeis placentulavar.euglypta, GPAR:Gomphonema parvulum, NCCE:Navicula cryptocephala, NCTE:Navicula cryptotenella, NMIN:Navicula minima, RSIN:Reimeria sinuata, NITF:Nitzschia fonticola, and NITP:Nitzschia palea).
../../Resources/kswe/KSWE.2017.33.4.424/JKSWE-33-424_F5.jpg

3.4. 형태 변이종의 출현 양상

부착규조 형태 변이종의 출현은 중금속 오염의 유효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며 (Cattaneo et al., 2004; Falasco et al., 2009; Pandey et al., 2014), 중금속 오염이 부착규조 생육 에 생물학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Cantonati et al., 2014; Duong et al., 2010; Luís et al., 2011). 본 조 사에서 출현한 형태 변이종의 상대빈도는 0.72 ~ 3.58 %로 나타났으며, 0.04 ~ 0.10 %의 Pandey (2014)와 3 %의 Morin et al. (2008), 8 %의 Lavoie et al. (2012) 등 선행 연구들 에서 관찰된 형태 변이종의 비율과 유사하였다. 조사 기 간 동안 출현한 형태 변이종은 Achnanthes minutissima, Achnanthes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Fragilaria capucina, Fragilaria capucina var. rumpens, Fragilaria capucina var. vaucheriae, Nitzschia palea로 총 8종이었으며, 이 중 Fragilaria 속의 분류군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Fig. 6). 형태 변이종의 출 현은 대조 지점인 st.1 - st.3과 st.7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 나, 중금속 검출 지점인 st.4 - st.6에서 형태 변이종의 출현 이 확인되었고, 특히 st.4에서 그 출현 비율이 가장 높게 나 타났다. 한편, 시간에 따른 형태 변이종의 출현 빈도는 중 금속 노출 시간이 증가되는 4주차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6. Abnormal Individuals of theAchnanthes convergens(ACON),Achnanthes minutissima(AMIN),Cocconeis placentula(CPLA),Cocconeis placentulavar.euglypta(CEUG),Fragilaria capucina(FCAP), andFragilaria capucinavar.vaucheriae(FVAU) Collected from the Sampling Sites. (A): normal type; (B): abnormal type; Scale bar = 10 μm.
../../Resources/kswe/KSWE.2017.33.4.424/JKSWE-33-424_F6.jpg

부착규조 형태 변이종의 유형은 비정상적인 뚜껑의 외 형 (valve outline)이나 비정상적인 등줄 (raphe), 점무늬열 (striae) 구조의 변형, 등줄안다리 (fibulae)의 이상 분포 등 의 특징으로 나누어진다 (Falasco et al., 2009). 본 연구에 서 발견된 형태 변이종은 주로 비정상적인 뚜껑의 외형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특징은 특히 Fragilaria 속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Fragilaria 속의 형태 변 이종은 다른 분류군에 비해 중금속 유입 지점인 st.4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중금속 농도가 증가할수록 출현 빈도 가 증가하였다 (Table 3). 최근 연구에 따르면, Fragilaria 속의 형태 변이종은 중금속 오염 구간에서 다른 속에 비해 비교적 높은 형태 변이율을 보이며 (Duong et al., 2008; Lavoie et al., 2012; Morin et al., 2008), 중금속 농도에 따 라 출현 빈도가 급격히 증가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Jonge et al., 2008; Silva et al., 2009). 이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 를 통해 중금속 오염을 나타내는 지표 생물로서 Fragilaria 속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Table 3. Relative Abundance (%) of the Abnormal Frustules According to Each Taxon During the Survey Period
Taxa 1 week 2 weeks 3 weeks 4 weeks

st.4 st.5 st.6 st.4 st.5 st.6 st.4 st.5 st.6 st.4 st.5 st.6

Achnanthes convergens - - - - - - 11.1 - - 4.8 - -
Achnanthes minutissima - - - 5.5 2.0 - 5.9 2.0 1.2 3.7 3.1 1.1
Cocconies placentula - - - - - - - - - 10.0 - -
Cocconies placentula var. euglypta - - - - - - 20.0 16.7 - 14.3 - -
Fragilaria capucina - - - - - - 14.3 - - - - -
Fragilaria capucina var. rumpens 25.0 - - 14.3 - - 20.0 16.7 - - - -
Fragilaria capucina var. vaucheriae - - - 10.0 9.1 - 10.0 - 12.5 22.2 12.5 14.3
Nitzschia palea 11 - - 3.2 1.5 - 3.9 2.6 - 5.1 6.1 -

4. Conclusion

중금속 유입이 예상되는 낙동강 상류 구간에서 7개 지점 을 선정하여 부착규조의 종조성 변화와 군집 형성에 미치 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하고, 중금속 오염에 따른 형태 변이종의 출현 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1. 조사 구간은 유속이 빠르고 영양염 및 유기물에 의한 오염도가 낮으며, 비교적 생물량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어 전형적인 하천 상류의 특징을 보였으나, 중금속의 유입이 예상되는 st.4 - st.6에서 중금속 항목 중 Zn이 평균 0.033 mgL-1의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제련소의 배출구가 인근에 위치한 st.4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확인되었다.

  2. 지점별 우점 분류군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조 지점 인 st.1 - st.3, st.7에서 중금속 오염에 민감성을 띄는 종인 Achnanthes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등이 높은 우 점도를 나타내었고, 중금속 검출 지점인 st.4 - st.6에서는 중 금속 오염에 내성도가 높은 종인 Nitzschia palea 등이 높 은 우점도를 나타내어 지점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를 통해 중금속 오염이 부착규조의 종조성 변화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 CCA 분석 결과, 종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환 경요인은 Zn으로 나타났으며, Zn의 농도와 부착규조의 군 집구조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졌다. 결과적으로 Zn은 부착규조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환경 인자로 판단되었다.

  4.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형태 변이종은 총 8종이며, 주 로 중금속 검출 지점인 st.4 - st.6에서 빈번하게 출현하였다. 이러한 형태 변이종의 출현은 중금속 오염에 대한 시간적· 양적 지표를 반영할 수 있으며, 특히 Fragilaria 속은 중금 속 오염에 대한 형태 변이도가 높아 중금속 오염 지표종으 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14학년도 대구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 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nderson D.M, Morel M.M, Guillard R.R.L, 1978, Growth Limitation of a Coastal Diatom by Low Zinc Ion Activity, Nature, Vol. 276, pp. 70-71DOI
2 
Bergstrom C, Shirai J, Kissel J, 2011, Particle Size Distribution, Size Concentration Relationships, and Adherence to Hands of Selected Geologic Media Derived from Mining, Smelting, and Quarrying Activiti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9, pp. 4247-4256DOI
3 
Cantonati M, Angeli N, Virtanen L, Wojtal A.Z, Gabrieli J, Falasco E, Lavoie I, Morin S, Marchetto A, Fortin C, Smirnova S, 2014, Achnanthidium Minutissimum (Bacillariophyta) Valve Deformities as Indicators of Metal Enrichment in Diverse Widely-Distributed Freshwater Habita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75, pp. 201-215DOI
4 
Cattaneo A, Couillard Y, Wunsam S, Courcelles M, 2004, Diatom Taxonomic and Morphological Changes as Indicators of Metal Pollution and Recovery in LacDufault (Québec, Canada), Journal of Paleolimnology, Vol. 32, pp. 163-175DOI
5 
Cho H.S, Kim K.R, Lim G.C, Bae K.S, Lee M.H, 2012, A Study on Long-Term Variations of BOD and COD as Indicators of Organic Matter Pollution in the H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mology, Vol. 45, No. 4, pp. 474-481DOI
6 
Choi C.M, Park Y.K, Moon S.G, 2004, Water Quality Assessment Using the Periphyton on the Artificial Substrates in Dae Stream Busan,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22, No. 1, pp. 242-245Google Search
7 
Choi J.S, Chae H.S, Kim H.S, 2015, Analysis of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Comparison of Water Quality in the Kumho River,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Limmology, Vol. 48, No. 2, pp. 115-121DOI
8 
Choi J.Y, Lee B.D, 2009, [Korean Literature], Measures for the Nonpoint Source Management of Disused Mines in Multipurpose Dam Watershed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 1-114
9 
Danilov R.A, Ekelund N.G, 2001, Comparison of Usefulness of Three Types of Artificial Substrata (Glass, Wood and Plastic) when Studying Settlement Patterns of Periphyton in Lakes of Different Trophic Status, Journal of Microbiological Methods, Vol. 45, No. 3, pp. 167-170DOI
10 
Duong T.T, Morin S, Herlory O, Feurtet-Mazel A, Coste M, Boudou A, 2008, Seasonal Effects of Cadmium Accumulation in Periphytic Diatom Communities of Freshwater Biofilms, Aquatic Toxicology, Vol. 90, pp. 19-28DOI
11 
Duong T.T, Morin S, Coste M, Herlory O, Feurtet-Mazel A, Boudou A, 2010, Experimental Toxicity and Bioaccumulation of Cadmium in Freshwater Periphytic Diatoms in Relation with Biofilm Maturit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8, pp. 552-562DOI
12 
Falasco E, Bona F, Badino G, Hoffmann L, Ector L, 2009, Diatom Teratologica Forms and Environmental Alterations a Review, Hydrobiologia, Vol. 623, pp. 1-35DOI
13 
Filippis L.F, Pallaghy C.K, 1994, Heavy metals: Sources and Biological Effects, Algae and Water Pollution, Schweizerbart’sche Verlagsbuchhandlung, E, pp. 31-77Google Search
14 
George S.G, 1990, Biochemical and Cytological Assessments of Metal Toxicity in Marine Animals, Heavy Metals in the Marine Environment, CRC Press, pp. 123-142Google Search
15 
Gold C, Feurtet-Mazel A, Coste M, Boudou A, 2002, Field Transfer of Periphytic Diatom Communities to Assess Short-term Structural Effects of Metals (Cd, Zn) in Rivers, Water Research, Vol. 36, pp. 3654-3664DOI
16 
Gold C, Feurtet-Mazel A, Coste M, Boudou A, 2003, Effects of Cadmium Stress on Periphytic Diatom Communities in Indoor Artificial Streams, Freshwater Biology, Vol. 2148, pp. 316-328DOI
17 
Hendey N.I, 1974, The Permanganate Method for Cleaning Freshly Gathered Diatoms, Microscopy, Vol. 32, pp. 423-426Google Search
18 
Horne A.J, Goldman C.R, 1994, Limnology, McGraw-Hill, pp. 1-736
19 
Huh I.R, Yi G.H, Choi J.Y, Jeong U.H, Lee Y.S, 1999, Research about Water Conservation on Upstream of the Han River (2) Water Quality Modeling and Predict,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15, No. 3, pp. 305-314Google Search
20 
Hwang S.J, Kim N.Y, Wom D.H, An K.K, Lee J.K, Kim C.S, 2006,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Using Epilithic Diatoms in Major River Systems (Geum, Youngsan, Seomjin River), Ko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2, No. 5, pp. 784-795Google Search
21 
Jeon J.W, Bae B.H, Kim Y.H, 2010, Applicability Test of Various Stabilizers for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 from Smelter A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1, No. 11, pp. 63-75Google Search
22 
Jonge M, Vijver B.V, Blust R, Bervoets L, 2008, Responses of Aquatic Organisms to Metal Pollution in a Lowland River in Flanders : A Comparison of Diatoms and Macroinvertebrat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7, pp. 615-629DOI
23 
Juhasz A.L, Weber J, Smith E, 2011, Impact of Soil Particle Size and Bioaccessibility on Children and Adult Lead Exposure in Peri-urban Contaminated Soil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186, pp. 1870-1879DOI
24 
Jung M.C, Jung M.Y, Choi Y.W, 2004, Environmental Assessment of Heavy Metals Around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in Ko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37, No. 1, pp. 21-33Google Search
25 
Kalff J, 2002, Limnoligy : Inland Water Ecosystems, Prentice Hall
26 
Kim E.H, Kim H.S, Kim S.T, 2000, The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rom Surface Sediment in Nakdong River, [Korean Literature], The Korean Journal of Sanitation, Vol. 15, No. 4, pp. 52-58Google Search
27 
Kim J.Y, Choi U.K, Baek S.H, Choi H.B, Lee J.H, 2016,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s of Sediment and Surface Water in Nakdong River for Tracing Contaminants form Mining Activitie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Earth Society, Vol. 37, No. 4, pp. 211-217DOI
28 
Krammer K, Lange-Bertalot H, 1986,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1. Bacillariophyceae 1. Teil: Naviculaceae, Gustav Fischer Verlag, pp. 1-876
29 
Krammer K, Lange-Bertalot H, 1988,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2. Bacillariophyceae 2. Teil: Bacillariaceaae Epithemiaceae, Surirellaceae, Gustav Fischer Verlag, pp. 1-596
30 
Krammer K, Lange-Bertalot H, 1991a,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3. Bacillariophyceae 3. Teil: Centrales, Fragilariaceae, Eunotiaceae, Gustav Fischer Verlag, pp. 1-576
31 
Krammer K, Lange-Bertalot H, 1991b, Su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4. Bacillariophyceae 4. Teil: Achnanthaceae. Kritische Erganzungen zu Navicula (Lineolatae) und Gomphonema, Gustav Fischer Verlag, pp. 1-437
32 
Lavoie I, Lavoie M, Fortin C, 2012, A Mine of Information : Benthic Algal Communi-Ties as Biomonitors of Metal Contamination from Abandoned Tailing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25, pp. 231-241DOI
33 
Luís A.T, Teixeira P, Almeida S.F.P, Matos J.X, Silva E.F, 2011, Environmental Impact of Mining Activities in the Lousal Area (Portugal) : Chemical and Diatom Characterization of Metal-Contaminated Stream Sediments and Surface Water of Corona Stream,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9, pp. 4312-4325DOI
34 
Martin M.H, Coughtrey P.J, 1982, Biological Monitoring of Heavy Metal Pollution: Land and Air, Applied Science Publishers, pp. 1-475
3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1, [Korean Literature],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Pollution, Ministry of Environment
36 
Morin S, 2003, Amelioration des Techniques de Bioindication Diatomique et D’analyse des Donnees, Appliquees a la Revelation des Effets des Pollutions a Toxiques, ENTTA de Bordeaux, pp. 1-70Google Search
37 
Morin S, Vivas-Nogues M, Duong T. T, Boudou A, 2007, Dynamics of Benthic Diatom Colonization in a Cadmium/Zinc-polluted River, Fundamental and Applied Limnology, Archiv für Hydrobiologie, Vol. 168, No. 2, pp. 179-187DOI
38 
Morin S, Duong T.T, Dabrin A, Coynel A, Herlory O, Baudrimont M, Delmas F, Durrieu G, Schäfer J, Winterton P, Blanc G, Coste M, 2008, Long-Term Survey of Heavy-Metal Pollution, Biofilm Contamination and Diatom Community Structure in the Riou Mort Watershed, South-West France, Environmental pollution, Vol. 151, pp. 532-542DOI
39 
Morin S, Cordonier A, Lavoie I, Arini A, Blanco S, Duong T.T, Tornés E, Bonet B, Corcoll N, Faggiano L, Laviale M, Pérès F, Becares E, Coste M, Feurtet-Mazel A, Fortin C, Guasch H, Sabater S, 2012, Consistency in Diatom Response to Metal-contaminated Environments. Emerging and Priority Pollutants in Rivers, Springer Verlag, pp. 117-146
40 
Pandey L, Kumar D, Yadav A, Rai J, Gaur J.P, 2014, Morphological Abnormalities in Periphytic Diatoms as a Tool for Biomonitoring of Heavy Metal Pollution in a River, Ecological Indicators, Vol. 36, pp. 272-279DOI
41 
Park C. G, 2016, Nakdong River Water Quality, Sediments and upstream of the Nakdong River near the Yeongpung Seokpo Smelter Environment Survey Report, [Korean Literature], Four Rivers Research Committee, pp. 1-25Google Search
42 
Park J W, Choi J. S, Kim M. K, 2004, Variations of Ephilithic Diatom Community and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DAIpo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Limmology, Vol. 37, No. 1, pp. 70-77Google Search
43 
Reiley M.C, 2007, Science, Policy and Trends of Metals Risk Assessment at EPA: How Understanding Metals Bioavailability Has Changed Metals Risk Assessment at USEPA, Aquatic Toxicology, Vol. 84, pp. 292-298Google Search
44 
Ri C.S, 2000,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Heavy Metals for Surface Water and Sediments of Upstream and Midstream in Nakdong River,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 44, No. 6, pp. 547-555Google Search
45 
Rimet F, 2012, Recent Views on River Pollution and Diatoms, Hydrobiologia, Vol. 683, pp. 1-24DOI
46 
Ross S.M, 1994, Toxic Metals in Soil - Plant Systems, John Wiley and Sons Ltd, pp. 1-484
47 
Schoen S, 1988, Cell Counting, Experimental Phycology: A Laboratory Manu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6-22Google Search
48 
Silva E.F, Almeida S.F.P, Nunes M.L, Luís A.T, Borg F, Hedlund M, Sá C.M, Patinha C, Teixeira P, 2009, Heavy Metal Pollution Downstream the Abandoned Coval da Mó Mine (Portugal) and Associated Effects on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7, pp. 5620-5636DOI
49 
Simonsen R, 1979, The Diatom System : Ideas on Phylogeny, Bacillaria, Vol. 2, pp. 9-71Google Search
50 
Watanabe T, Asai K, 1990, Numerical Simulation Using Diatom Assemblage of Organic Pollution in Streams and Lakes, Review of Inquiry and Research, Vol. 52, pp. 99-139Google Search
51 
Watanabe T, Ohtsuka T, Tuji A, Houki A, 2005, Picture Book and Ecology of the Freshwater Diatoms, Uchida-rokakuho, pp. 1-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