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용
(Wonyong Lee)
임봉수
(Bongsu Lim)
†
박인성
(Insung Park)
*
-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Daejeon University)
-
(주)한국수안
(Hankook Suan Co., LTD)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Drainage, Infiltration grate inlet, Soil infiltration flow, Nonpoint source pollutants
1. Introduction
수자원 중에서도 빗물은 물의 순환에 있어서 중요한 위 치를 차지하여 댐, 저수지에 저장되었거나 하천에 유출되어 긴요하게 다양한 용수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심에서의 빗물은 도시침수, 도시하천의 범람, 오염물질의 유출 등과 같은 악영향이 더욱 부각되는 경향이다(Kang, 2015; Kim, 2011). 도시화에 의해 토지이용의 고밀도화는 불투수층이 증가하기 때문에 자연스럽지 않는 빗물배제방식은 도시의 물순환에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건물,
주차장, 도로 등의 불투수면을 증가시켜 수문학적(Kang, 2002), 생태학 적, 환경학적 문제를 야기하는데(Hewitt and Rashed, 1992; Perdikaki and Mason, 1999; Son et al., 2008) 도심에서의 지하수위 저하, 초기우수에 포함된 질소, 인과 같은 영양물 질의 유입으로 부영양화 등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 심화, 하천유량 및
침수공간의 부족으로 생태환경 저하 그 리고 미(micro)기후 악화에 의한 도시 열섬화 등 도시의 지 속 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었다(Choi et al., 2013; Dow and Dewalle, 2000).
따라서 도시에서는 물의 배출과 하천 수질관리에만 초점 을 맞추고 있는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강우 시점부터 빗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시설계 단계부터
개입하는 저영 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와 같은 물관리 패러 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LID란 개발과 강우 관리에
대한 개념으로 신속한 우수유출수의 배수와 장치형 위주의 비점 오염원 관리에만 치중된 물관리 정책을 보완하고 지역 전체 의 건전한 물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도시계획분야 에서 대두된 최적개발기법이다(Kim and Kim, 2015). LID기 법의 구조적 기술요소는 침투시설·저류시설·빗물이용시설과 같이 특정시설을 주택·학교·도로 등에 설치하여 일정기간 동안 물을 저장하거나
불투수층의 면적을 줄여 토양을 통해 지하로 빠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리킨다. 즉, 침투도랑, 식생여과대 등 자연형시설의 설치와 함께 도시의 강우
유출 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여과 시설·와류형 시설 등의 장치형시설을 함께 설치하고 있다.
기존의 빗물받이는 도로의 측면 배수구에 30 ~ 50 m 간 격으로 배치한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콘크리트제 용기를 사용하여 바닥에는 토사저장부가 있고
빗물은 하수 부착관 을 경유, 하수본관으로 유입되고 있다(Korea Watstewater Works Association, 2011). 최근 집중강우에 의해 침수피해 및 안전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빈번하므로 도심지역에 강수침수피해 방지, 비점오염물질의 제거 그리고 안정적인 물순환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침투형 빗물받이 시설의 적용 사례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 도쿄에서 시간당 100 mm를 초과하는 집중호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긴급하고 집중적인 대책 마련하기 위해 하천이나 하수도의 정비뿐만 아니라 유역
내에서 개발계획, 토지이용계획 등과 연계를 하여 일시 저류·침투시설 등의 설치 등에 의한 종합적인 침수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2012 년에는 <긴급호우대책에
기초한 공공시설의 일시 저류시설 등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을 제정하여 활용하고 있다(Tokyo City Maintenance Bureau, 2012). 특히 도로 침투받이는 집 중호우시 도로배수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시설로 활용되 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0년 9월 21일 서울 광화문 일대에
시간당 75 mm의 집중호우로 통행이 어려울 정도의 침수피 해가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침투형 빗물받이를 설 치하여 각광을 받은 적이 있다.
유사한 형태인 침투여과 빗물받이(Filter Box)와 침투형 빗물받이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Kang, 2015) Filter Box가 침투형 빗물받이에 비해 단 위설계침투량은 저조하나 경제성에서 양호한 것으로 발표 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저감효과나
유지 관리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 현장에 사용되고 있는 H업체의 침투형 빗물 받이는 강우시 유입된 빗물이 역류형 유도관에 의해 필터 부에서 침전, 여과를 통해 비점원오염물질인
협잡물, 부유 물질 등이 제거되고, 저류부에 저류 후 쇄석과 투수시트를 이용하여 측면 및 바닥 부위를 통해 토양으로 침투되며, 침투되지 않은 빗물은
기존 우수관로로 배출되어 비점원오 염물질 저감과 침수방지에 효과적인 빗물의 분산 배수효과 가 매우 높은 장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에서 설치되어 있는 침투형 빗물 받이 시설에 정량적인 성능평가 및 강우강도에 따른 비점 원오염물질 저감 효과를 평가하여 설치시
구체적인 기초자 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침투형 빗물받이의 침투량 측정
침투형 빗물받이의 침투량 측정을 위해 대전시 상수도사 업본부 유성사업소의 협조로 물탱크(3 Ton)와 대형 플라스 틱 통을 준비하고 빗물받이의 Screen
및 필터부를 제거하 여 현장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빗물받이의 개략적인 모형은 Fig. 1과 같으며 저류조의 크기는 내부 0.72 m × 0.72 m × 0.5 m로 약 260 L이고, 외부 는 저면 25 cm, 옆면 25 cm 두께로
쇄석이 깔려있으며 저 류조 바닥과 쇄석 밖은 투수시트(부직포)로 쌓여있다. 침투 량 측정을 위한 실험절차로는 아래와 같은 순서와 방법으 로 진행하였다.
-
초기 침투량을 조사하기 위해 플라스틱 통에 준비한 체적 100 L의 물을 빗물받이에 주입하고 육안으로 바닥이 보일 때까지의 침투한 시간을 초시계로
측정한다.
-
물탱크에서 호스로 적정 유량(약 133 L/min)을 3분 동 안 주입하여 빗물받이 주위 토양부위를 충분히 포화시킨다.
-
포화상태로 간주하고 3회에 걸쳐 연속으로 100 L 물 을 주입하고 침투시간을 측정한다.
-
침투시간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정확한 최종 침투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빗물받이 저류조 상부까지 호스 로 물을 주입하여 물 주입을 정지한 후 바닥이
보일 때까 지 침투한 시간을 2회 정도 측정한다.
-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경과시간에 따른 침투량 변화를 도시하여 최종 침투량을 결정한다.
Fig. 1. Infiltration grate inlet installed on a road.
Fig. 2는 KAIST 앞 침투형 빗물받이가 설치된 현장 위 치를 나타냈다. 측정 지점은 3개 빗물받이 중 가운데에 위 치한 빗물받이로 하였다. 새로 건설되는
융합의 다리로부터 KAIST 담을 끼고 정문 방향으로 약 30 m 간격으로 3개가 2015년 12월에 설치되었다.
Fig. 2. Field site of surveying for infiltration grate inlet near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2.2. 침투형 빗물받이의 필터부 여과량 측정
침투형 빗물받이의 필터부는 강우시 지표면에서 유입되 는 유출량의 오염물질을 필터부의 필터(부직포 재질)에 의 해 1차적으로 부유물질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유입 된 빗물은 수리학적으로 필터부 바깥 쪽부터 수집되어 상 승되면서 4개의 원통형 관으로(직경 4 cm) 유입되고, 필터 통(직경
12 cm)으로 월류되어 하부 필터를 통과하여 여과 된 물은 저류조에 배수된다. 이 여과된 빗물은 저류조에 저류되면서 동시에 바닥 및 옆면에 설치된
모래 및 쇄석을 통과되어 토양으로 침투된다. 이 경우에도 쇄석 안팎으로 투수시트(부직포 재질)을 깔아 오염물질이 토양을 통해 지 하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Fig. 3은 필터부의 여과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한 반응 조이다. 크기는 0.4 m × 0.3 m × 0.6 m이며 현장에서 적용되는 필터부가 반응조 내부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하 수관로 유출구는 직경 300 mm의 크기로 필터부 장착시 필 터부 Head로부터 약 20 cm 정도 이격된 높이로
제작하였다. 필터부의 여과량 측정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
초기 현장에 적용되는 필터부의 여과능을 파악하기 위해 60 L 용량이 반응조 내로 수돗물을 동시에 주입하고 여과되는 시간을 초시계로 측정한다. 이때
필터부의 실질적 인 성능을 측정하고자 수위는 반응조의 최상부 수위부터 시작하여 필터통의 월류 지점까지 측정한다.
-
필터내의 부직포의 유무에 따른 성능평가를 확인하기 위해 필터부내의 부직포를 제거한 후 1번과 동일하게 측정 한다.
-
필터받이 내 침투구멍(∅= 1 mm)이 하부에 8개, 측면 에 20개 있으므로 침투구멍 유무에 따른 성능평가를 위해 1번과 동일하게 측정한다.
-
필터부의 침투능을 평균적인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동일 실험을 3회 반복하여 실험한다.
-
측정된 침투유량을 이용하여 최종 침투량을 결정한다.
Fig. 3. Reactor for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part.
2.3. 침투형 빗물받이의 오염제거효율 측정
토양으로 침투되는 비점오염부하량의 저감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용 침투형 빗물받이의 유량과 수질을 측정하였으 며 그 절차는 아래와 같다.
-
현장설치 방식과 동일하게 저류조에 투수시트(부직포) 를 덮어 쇄석부를 깔아 놓은 탱크에 설치하고 필터부 직전 까지 쇄석을 채워 설치한다.
-
인공시료(본 인공시료는 아스팔트 및 낙엽부산물들을 도로에서 빗자루로 쓸어 적당량을 채취하여, 원수 1은 오 염물 800 g, 원수 2는 오염물 1.6
kg, 원수 3은 오염물 2.4 kg을 100 L 지하수에 주입하여 각각 조제)를 오염도를 다 르게 조제하여 SS농도를 다르게 현장설치 방식과 동일한
저류조에 주입한다.
-
인공시료 원수 및 처리수를 채수하여 수질오염공정시 험법(MOE, 2016)에 의거하여 분석한다. 주요 수질항목은 COD, BOD, SS, TP이었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저류조의 토양침투량 산정
Fig. 4은 현장 침투형 빗물받이의 저류조에서 토양에 침 투한 침투량을 경과시간에 따른 토양 침투량의 변화를 그 림으로 나타내고 있다(1차). 현장 침투형
빗물받이의 주입 용량에 대한 침투량이 일정함에 따라 침투된 토양이 포화 된 것으로 예측하고, 경과시간 5분 이후에 물 100 L를 3회 주입시 침투량은
매우 일정하게 나타났다. 정확한 저류조의 침투량을 산정하기 위해 다량의 물(260 L, 저류조 만수위) 을 주입하여 2회 측정한 결과 평균 0.98
m3/hr로 측정되었 다. 만수위시 침투량이 일반적으로 바닥부위의 침투량 보다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저면 부위보다 저류조의 측면 으로 토양에
의해 침투량이 많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경 과시간 5분 이후부터 25분까지는 저류조에 100 L 주입시 침투량이 약 14 L/min (0.85 m3/hr)로 나타났으며 35분과 55분의 경우 침투량이 16 ~ 17 L/min (0.98 m3/hr)로 더 큼 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저류조의 저면부위보다 측면부위로 침투량이 많이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Fig. 4. Soil-infiltration flow according to the elapse time.
현장 침투형 빗물받이의 저류조에서 토양에 침투한 유량 을 2차 시기에 조사하였는데 본 연구 1차 시작시점인 4월 경 토양침투량 0.98 m3/hr 측정한 결과 값이 약 6개월이 지나고 유지관리 이후 침투량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 였다. 측정결과 평균 토양침투량은 1.04 m3/hr로 측정되어 청소를 통한 유지관리를 하였으므로 토양 침투량의 크기는 거의 유사하였다. 다만 바닥 하단부분에 미세한 이물질이 침전되어 바닥으로
침투가 원활하지 않아 측면부의 침투가 원활하게 이뤄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침투형 빗물받이의 바닥으로 침투가 안 될 경우 측면으로
침투가 되어서 원활한 침투가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볼 때 매우 큰 장점으로 볼 수 있다.
3.2. 여과필터의 여과량 및 누적오염량에 따른 성능 평가
Fig. 5는 필터부 받침대의 침투 구멍과 필터부의 사진이 다. 필터부의 받침 부분에는 측면(20개) 및 바닥부분(8개) 에 직경이 1 mm 정도 되는 미세
침투구멍이 총 28개가 있 다. 이는 강우 이후 빗물받이 내에 빗물이 고여 있는 문제 에 대한 방안으로 제작되었다. 받침 부분의 미세 침투구멍 이
필터부의 성능평가에 영향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침투 구멍의 유무에 따른 성능평가를 하였다.
Fig. 5. Infiltration hole and filter part.
필터부 하부에 침투구멍을 폐쇄한 후의 여과량을 조사하 였다. 이와 같이 침투구멍을 폐쇄한 이유는 장기적으로 활 용시 퇴적물에 의해 구멍이 막힐 경우의
여과능을 확인하 기 위한 것이다. 3회 측정결과 평균 여과량은 9.43 m3/hr이 므로 여과량이 저류조 침투량 1 m3/hr 보다 크므로 필터에 의해 유량이 통과하는데 방해요소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침투구멍을 폐쇄하지 않은 경우 필터부의 침투량은 13.33
m3/hr이었고 필터부 내부에 부직포 유무에 따른 차이 는 거의 없었다.
필터부의 하부까지 빗물이 수집되어 필터부로 통과되지 않고 하수관로로 유출되는지를 확인한 결과, 최대 침투량 13.33 m3/hr 정도까지는 필터에 의해 통과되므로 그 이상의 유량이 유입되지 않는 한 필터부 막힘 현상에 의해 하수관 로로 유출량은 발생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침투형 빗물받이의 필터부 수리학적 성능평가시 수압에 의한 여과량의 변화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여 일정 유량을 유입시켜 일정수위를 유지시킨 후(일정수위는
뚜껑의 윗부 분으로 그 이상의 수위에서는 하수관로로 유츨된다) 20 L 용량의 물을 수위가 올라오지 않도록 천천히 유입시켜 여 과시간을 측정하여 3회
여과량을 계산한 결과 여과량은 평 균 2.99 m3/hr이었다. 수압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의 여과량 은 약 3 m3/hr로 측정되었으며 측정된 여과량은 저류조의 침투량 1 m3/hr 보다 크기 때문에 필터부에 의한 저류조의 영향은 없다고 판단된다. 침투구멍을 설치함으로써 추가적 으로 3.9 m3/hr(13.33 m3/hr - 9.43 m3/hr)의 침투량을 증가시 키는 것으로 나타나 침투형 빗물받이의 필터 하부에 침투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침투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실험 자료는 오염되지 않는 물을 이용하여 필터부의 수리학적인 특성을 유량적인 측면에서 파악하였 지만 실제적인 상황인 오염물질을 유입시켜
필터부의 막힘 을 고려한 수리학적인 성능을 파악하였다.
Table 1은 인공시료를 이용한 원수를 일정유량 유입 후 시간간격을 둔 후 각 유입시간마다 여재 통과후의 여과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초기 저농도로(SS 2,600
mg/L) 2분 30초 동안 인공시료를 유입시킨 뒤 측정한 여과량은 3.2 m3/hr이 며, 마지막 고농도로(SS 4,950 mg/L) 6분 동안 유입시킨 뒤 측정한 여과량은 0.56 m3/hr으로 오염물질의 변화에 따른 필터부의 여과능이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1. Filter flow by feeding different suspended solid (SS) concentrations
Sample type
|
SS load (kg)
|
Filter flow (m3/hr)
|
|
Low concentration
|
1
|
0.46
|
3.198
|
(1st)
|
2
|
1.71
|
1.044
|
|
High concentration
|
1
|
2.90
|
0.642
|
(1st)
|
2
|
5.28
|
0.558
|
|
Low concentration
|
1
|
0.48
|
2.730
|
(2nd)
|
2
|
1.38
|
1.624
|
Fig. 6은 누적 SS 부하에 따른 여과량의 변화를 나타내 었다. 누적 SS 부하 초기에는 약 3 m3/hr의 여과량을 나타 내며 양호한 속도로 침투됨을 확인할 수 있으나 누적 SS 부하 1.71 kg 시에 여과량은 1.0 m3/hr로 현장에서 측정한 저류조 침투량(0.98 m3/hr)과 유사한 값임을 확인할 수 있 었다.
Fig. 6. Variation of the filter flow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suspended solid (SS) load.
저농도 2차는 별도의 실험을 통해 누적 SS 부하량에 대 한 여과량을 산정하였는데 총 1.38 kg SS 부하량이 필터부 내로 유입되었으며 이때 1.62
m3/hr로 산정되었다. 2차 실 험시 인공폐수의 오염물질 성상이 상이하여 1차 실험보다 부유물질 폐쇄현상이 빨리 발생하였다. 동일한 SS 부하량 이
유입되었을 때 침투량을 얻기 힘들었지만 기존 1차 실 험에서 얻은 결과 값과 큰 차이는 없었다. 즉, 필터부에 1.71 kg 이상의 부유물질이 퇴적되었을
때 저류조에서의 침 투량보다 필터부의 여과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침투형 빗물 받이의 침투효과가 저하되는 한계치로 판단된다.
3.3. 토양 침투 오염부하량 감소효과
Table 2는 유입농도가 다른 원수를 이용하여 여재 통과 후의 처리수를 측정하여 오염물질 제거율을 나타냈다. SS 와 유기물질 감소는 확연이 나타남을 알 수
있으나, 총인 의 감소는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시료자체에 용 존성 인이 대부분이었을 가능성이 큼으로 여과재에 의한 인제거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사료된다.
Table 2. Removal efficiency of the infiltration grate inlet by different influents
|
|
Inf. 1
|
Inf. 2
|
Inf. 3
|
|
Removal efficiency after filtering (%)
|
BOD
|
50
|
83
|
86
|
COD
|
84
|
79
|
75
|
SS
|
76
|
86
|
83
|
TP
|
66
|
4
|
22
|
|
Removal efficiency after debris (%)
|
BOD
|
75
|
83
|
86
|
COD
|
87
|
79
|
75
|
SS
|
94
|
98
|
99
|
TP
|
90
|
79
|
52
|
Table 3은 필터여과부의 유량과 수질오염분석 결과로서 원수의 SS가 약 300 mg/L 이하 저농도 유입시의 결과이다. 원수 유입에 따라 필터 여과후 처리수의
SS는 약 7 ~ 41 mg/L으로 제거효율이 약 86 ~ 98 %이었으며 오염량이 누적 될수록 여과성능이 좋아짐을 알 수 있다. 이는 필터부의 공극이
유입 SS에 의해 막힘 현상으로 여과성능은 더욱 좋 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Analysis result of the filter part from the feeding of low suspended solid (SS) concentrations
Sample type
|
COD (mg/L)
|
SS (mg/L)
|
T-N (mg/L)
|
T-P (mg/L)
|
SS feeding load (g)
|
|
Influent
|
16
|
287
|
12
|
5.5
|
0
|
|
Effluent to sewer
|
1
|
13
|
7
|
1.0
|
140
|
2
|
20
|
8
|
1.2
|
820
|
10
|
222
|
10
|
1.6
|
1,640
|
|
Effluent after filtering
|
4
|
41
|
3
|
1.2
|
140
|
5
|
7
|
1
|
0.1
|
1,640
|
유사한 형태인 침투여과 빗물받이(Filter Box)의 경우 (Kang, 2014) 평균 저감효과를 보면 BOD 77 %(69 ~ 85 %), COD 88 %(69 ~ 94 %), SS 86 %(78 ~ 94 %), T-N 73
%(56 ~ 93 %), T-P 60 %(39 ~ 83 %)나 본 침투형 빗물받이가 여과역 할을 하는 부직포에 의해 처리효율이 높은 편이다. 여러
종 류의 여재를 사용한 초기우수저류시설의 경우(Yoon, 2009) 에도 SS 처리효율은 유입수 230 mg/L에서 처리수 27 mg/L 로 82%, COD는 116 mg/L에서 21 mg/L로 82 %로 나타나
침투형 빗물받이가 SS 처리효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하수관로 유출수는 초기에 SS 제거율 93 ~ 95 %로 하수 관로로 유출되는 SS량은 거의 없었으나 필터부의 막힘 현 상이 생기며 여과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필터 바닥부의 부 유물질이 상승되어 SS 제거율이 급격히 낮아졌는데 이는 필터부의 막힘 현상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 진다. 침투형
빗물받이와 같은 필터부가 설치된 비점오염저 감장치는 필터부의 필터교체와 같은 유지관리가 필터부의 성능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료된다.
3.4. 강우강도에 따른 비점원오염 부하량 감소율 산정
침투형 빗물받이의 토양으로의 침투량과 우수관로 배출 량의 비율 산정은 Fig. 7과 같이 침투형 빗물받이의 빗물 흐름도를 나타낼 수 있는데, 유입유량 = 침투량 + 유출량 의 물질수지식을 고려하였다. 또한 반응조를 이용하여 인공
시료를 주입시 누적 오염량에 따른 필터부의 여과량 측정 을 통하여 비점원오염부하량 감량 평가 및 강우강도에 따 른 비점원오염부하량 감량 평가를 하였다.
Fig. 7. Flow diagram of filter part in infiltration grate inlet.
Table 4는 강우강도에 따른 오염부하량 및 오염부하 감 소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수질자료에서 필터부와 토양 침투 시 투수시트에 의한 제거율을 고려하여 부하량을
산정하였 다. 일정한 유역면적(240 m2 가정)에 강우강도별 유입량을 고려하고 토양 침투부하량은 최대 0.98 m3/hr의 유량으로, 필터부의 SS 제거율은 토양 침투량에서 측정된 99 %, 하수 관로 유출시 SS 제거율은 상기 자료를 이용하여 35 %로 산 정할
수 있다.
Table 4. Reduction efficiency and estimation of SS load by rainfall intensity
Rainfall intensity (mm/hr)
|
Input SS load (kg/hr)
|
Soil filtration (kg/hr)
|
Effluent to sewer (kg/hr)
|
Reduction Efficiency (%)
|
|
5
|
2.4
|
0.026
|
0.28
|
87
|
10
|
4.8
|
0.026
|
1.85
|
61
|
15
|
7.2
|
0.026
|
3.41
|
52
|
30
|
14.4
|
0.026
|
8.09
|
43
|
Fig. 8는 강우강도 5 mm/hr 강우시 유입 부하량, 하수관 로 유출부하량, 토양 침투부하량을 산정하여 부하량의 감 소율을 이해하기 쉽도록 물질수지에 의한
모식화로 나타내 었다.
Fig. 8. Mass balance of the suspended solid (SS) Load at 5 mm/hr of rainfall intensity.
강우강도 5 mm/hr 시 유입부하량은 2.4 kg/hr이며 토양 침투부하량은 토양 침투유량 0.98 m3/hr와 필터부의 제거효 율 99 %를 이용하여 유출 오염농도를 20 mg/L로 가정하여 0.02 kg/hr로 계산되었다. 하수관로 유출 부하량의
산정은 유량은 전체 유입유량인 1.2 m3/hr에서 토양 침투 유량인 0.98 m3/hr를 제외한 0.22 m3/hr로 산정하였으며, 유입 오염 농도 2,000 mg/L에 65 %를 곱하여 1,300 mg/L로 가정하여 약 0.28 kg/hr 정도로 SS 오염부하량을
산출하였다. 전체 유입되는 오염 부하 2.4 kg/hr에서 약 12 % 정도의 SS 오 염오염량이 비점오염원으로 배출되고 필터부에서 87 % 정 도
SS 부하량이 주로 감량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강우강도 10 mm/hr의 경우를 동일한 방법으로 산정 하면 SS 부하량 감소가 61
%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자 세한 자료는 관련 문헌(Lee, 2017)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강우량에 따른 오염물질 저감 효과는 실험실 규모 의 인공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되었으나, 실제 강우를 토대로 오염부하 감소량의 검증이 필요하며 성능평가시
부유물질 뿐만 아니라 필터부 부직포의 개선을 통하여 도로 비점오 염물질인 누유 및 중금속에 의한 오염제거에 대한 연구 내 용의 보완이 향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 Conclusion
본 연구는 현장에 설치된 침투형 빗물받이의 토양침투량 의 측정과 실험실에서 반응조 실험을 통해 얻은 필터부의 부유물질 부하량을 근거로 침투형 빗물받이의
배수 특성과 비점오염물질 부하량의 감소율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현장에서 설치된 침투형 빗물받이의 저류조 하부에서 토양으로 침투되는 토양침투량을 조사한 결과 토양이 물로 포화된 상태에서 약 1 m3/hr으로 조사되었다.
-
실험실 반응조에 빗물받이를 넣어 필터부의 받침대에 침투구멍을 폐쇄하고 필터부 상부와 높이가 동일한 하수관 로 유출지점까지의 침투량을 연속 측정한 결과
3 m3/hr였 으며, 필터부 받침대 침투구멍을 폐쇄하지 않는 경우 침투 량은 3.9 m3/hr로 측정되어 침투형 빗물받이의 필터 하부에 침투구멍을 설치하는 것은 침투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 타났다.
-
인공시료를 이용하여 실험실에서 동일한 필터부로 실 험한 경우 필터부에 침투량 1.0 m3/hr, SS 부하 1.71 kg 이 상으로 누적량이 발생되면 필터의 여과효과가 저하되기 시 작하는 한계치로 제시되었다.
-
강우강도별 필터부에 의한 SS 부하량 감소율은 5 mm/hr 에서 약 87 %, 10 mm/hr에서 약 61 %로 나타나 초기강우 시 비점원오염 부하량
감소에 매우 효과가 있으며 강우강 도에 따른 비점원오염 감소율은 SS 부하량이 유량에 의한 것보다 높은 편이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대전녹색환경지원센터의 2016년도 연구개발사 업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Choi J, Kim S, Lee S, Nam G, Cho H, Kim L.H, 2013, Development Hybrid Filter System
for Applicable on Various Rainfall,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5, pp. 535-541

Dow C.L, Dewalle D.R, 2000, Trends in Evaporation and Bowen Ratio on Urbanizing Watersheds
in Eastern United Stat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6, pp. 1835-1843

Hewitt C.N, Rashed M.B, 1992, Removal Rates of Selected Pollutants in The Runoff Waters
from a Major Rural Highway, Water Research, Vol. 26, pp. 311-319

Kang D.H, 2015, [Korean Literature], Analysis of The Reduction Effect of The Runoff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 by Multi-Function Filter Box,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Kang Y.T, 2002, [Korean Literature], Strategy for The Practical Use of Rainfall-Runoff
Reduction Facilities with Development,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Kim K. M, Kim J. S, 2015, The Introduction Trend and Preview Point of Low Impact Development
in Water Cycle System, [Korean Literature], National Asembly Research Services, Issue
and Point, pp. 1017

Kim Y.H, 2011, [Korean Literature], A Study on Reduction Facility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and Rainfall-Runoff,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Yeungnam
University
Korea Watstewater Works Association, 2011, [Korean Literature], Sewerage Facility
Standard, Korea Watstewater Works Association
Lee W.Y, 2017, [Korean Literature],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and Drainage of Infiltration Grate Inlet,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6, [Korean Literature],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Pollution, Ministry of Environment
Perdikaki K, Mason C.F, 1999, Impact of Road Run-Off on Receiving Streams in Eastern
England, Water Research, Vol. 33, pp. 1627-1633

Son H.G, Lee E.J, Lee S.Y, Kim L.H, 2008, Determination of Non-Point Pollutant Unit
Loads in Toll-Gate of Highway,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0, pp. 69-75

Tokyo City Maintenance Bureau, 2012, [Japanese Literature], Technology Guideline for
Installation of Temporary Strage Tank of Public Facilities Based on Urgent Heavy Rain
Measure, Tokyo City Maintenance Bureau
Yoon Y.S, 2009, [Korean Literature], A Study on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water
Using Medi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