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 대구대학교 생물교육전공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Daegu University)



Cyanobacteria, Cylindrospermopsin, ELISA, Harmful algae, Saxitoxin

1. Introduction

Aphanizomenon flos-aquae Ralfs ex Bornet et Flahault 1888의 녹조현상 (Harmful cyanobacterial bloom)은 미국 Minnesota주 Tetonka호에서 1883년 처음 관찰된 이후 (Nelson, 1903), 스페인 (Cirés et al., 2014), 독일 (Rücker et al., 2007), 체코 (Bláhová et al., 2009), 중국 (Ma et al., 2015), 일본 (Yamamoto, 2009) 등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Aphanizomenon flos-aquae의 녹조현상은 국내 수계에 서도 관찰되고 있으며, 특히 Microcystis 속의 녹조현상이 나타나는 하절기를 전후로, 낙동강에서 빈번하게 확인되고 있다 (Park et al., 2015; Ryu et al., 2016; Yu et al., 2014).

지구 온난화 및 환경요인의 변화, 종의 분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녹조현상은 특히 개체군의 생리적 특 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녹조현상 유발 남조 류의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현장에서 개체군 동태와 녹조현상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전략을 제공한다 (Yang et al., 2012). 일반적으로 알려진 Aphanizomenon flos-aquae 생리적 특성은 23-29°C의 수온과 높은 영양염 농 도, 낮은 N:P ratio 등의 조건을 선호하며 (Yamamoto, 2009), 간독소 (microcystin)와 신경독소 (anatoxin-a, aphantoxin, saxitoxin), 세포독소 (cylindrospermopsin) 등의 2차 대사산 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de Figueiredo et al., 2004). 그러나 최근 종 수준의 유전체학, 단백체학, 대사체학 등을 이용한 다양한 접근법의 연구를 통하여, 독 소 분류군으로 알려진 Aphanizomenon flos-aquae에서 독소 비생성 균주의 공존이 확인되고 있다 (Ballot, Fastner, and Wiedner, 2010; Stüken et al., 2010). 또한 균주의 독소 생 성 여부와 함께 분포 지역에 따라 종내 유전자형의 변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일분류군에서도 세포 내 독소함량 및 최적 성장 온도와 같은 차별화된 생리적 특성 이 나타날 수 있다 (Cirés and Ballot, 2016; de Figueiredo et al., 2011; Preßel et al., 2009). 실제로 Aphanizomenon flos-aquae의 생리적 특성에 대하여, 15°C 이상의 범위에서 온 도 및 영양염에 대한 성장반응은 잘 알려져 있지만 (üveges et al., 2012), 일반적으로 10°C 미만의 수온을 유지하는 겨 울철 낙동강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Aphanizomenon flos-aquae의 개체군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생리학적 연구 는 부족하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분리된 균주를 이용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식물플랑크톤 간에 전달되는 화학적 정보의 교환은 군 집 구성에 영향을 미치며(Holland and Kinnear, 2013), 이 러한 현상은 하나의 개체에서 다른 개체로 전달되는 화학 물질의 흐름을 통해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타감 작용을 발 생시킬 수 있다 (Ma et al., 2015). 상호대립억제작용물질 (allelochemicals)은 경쟁자의 성장저해 및 종간상호작용에 관여하는 넓은 범위의 타감 작용을 유발하며, 이러한 상호 대립억제작용물질은 순환 혹은 비순환계 펩티드, 폴리케티 드, 페놀, 염소방향족원소 등의 화합물로 정의할 수 있다 (Berry et al., 2008). 상호대립억제작용물질에 의해 발생되 는 타감 작용은 식물플랑크톤의 서식 분포 및 남조류 출현 빈도의 확장성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Leão et al., 2009).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에서 출현하는 Aphanizomenon flos-aquae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 리 균주의 독소생성 여부 및 환경 조건에 따른 균주의 성장 반응, 잠재적 타감 작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Aphanizomenon flos-aquae에 의한 녹조 현상을 효율적으로 저감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 Material and Methods

2.1. 균주 분리 및 배양 조건

연구에 사용된 균주 Aphanizomenon flos-aquae (DaeGu University Cyanophyceae, DGUC; 자원 번호: DGUC003)는 2016년 10월 삼랑진교 지점에서 채수하여 분리하였으며 (Fig. 1), 균주의 계통학적 및 독성유전학적 특징은 선행연 구에 제공되어 있다(Ryu et al., 2017). 타감 작용 실험에 사용된 균주 Microcystis aeruginosa (자원 번호: DGUC007) 와 Aulacoseria ambigua f. spiralis (자원 번호: DGUD001) 는 낙동강 남지교 지점, Aphanizomenon flos-aquae (자원 번호: DGUC001)은 낙동강 적포교 지점의 시료에서 각각 분 리하였으며, Scenedesmus obliquus (자원 번호: FBCC110011) 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생물자원은행에서 제공받았다(Table 1).

Fig. 1. Photographs of strains isolated from the Nakdong River; (a) fascicles ofAphanizomenon flos-aquae, (b) trichome ofAphanizomenon flos-aquae.
../../Resources/kswe/KSWE.2017.33.5.538/JKSWE-33-538_F1.jpg
Table 1. Information on strains isolated in the Nakdong River and provided by the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Species Strain code Geographical origin Isolation Date Medium

Site name Longitude Latitude

Aphanizomenon flos-aquae DGUC001 Nakdong River (Changnyeong) 35°31′40.88″ 128°21′37.20″ 2016-08-31 CB
Aphanizomenon flos-aquae DGUC003 Nakdong River (Samryangjin) 35°22′55.39″ 128°49′07.79″ 2016-10-10 CB
Microcystis aeruginosa DGUC007 Nakdong River (Namji) 35°22′45.89″ 128°28′25.41″ 2016-11-07 CB
Aulacoseira ambigua f. spiralis DGUD001 Nakdong River (Namji) 35°31′40.88″ 128°49′07.79″ 2016-11-07 DM
Scenedesmus obliquus FBCC110011 provided by the NNIBR BG11

균주들은 100 mL의 CB medium (Shirai et al., 1989)과 DM medium (Beakes et al., 1988), BG11 medium (Stanier et al., 1971)이 각각 담긴 250 mL Erlenmeyer flask에서 온 도 (20±2°C), 광주기 (12hL:12hD), 광조건 (60 μE m-2 s-1의 형광등)이 조절되는 진탕배양기 (Hanbaek, HB-201SLI) 안 에서 반연속식 배양방법으로 전배양 (pre-culture)하였다. 반 연속식 배양은 CB medium을 1주 간격으로 10%씩 교체하 였으며, 격월로 새로운 배지에 계대배양하여 수행하였다.

2.2. 온도 및 영양염에 따른 성장반응

성장반응 실험은 멸균된 CB medium이 담긴 250 mL Erlenmeyer flask에 전배양 (pre-culture)에서 대수증식기 (exponential phase)에 도달한 세포를 8.5 × 103 cell mL-1의 농도 가 되도록 접종한 후, 회분식 배양법으로 통제된 실험조건 하 에서 영양염과 온도 조건에 따라 진행하였다. 회분식 배양법 으로 인한 영양염 결핍 및 2차 대사산물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배양 기간은 28일간 유지하였다 (Ma et al., 2015). 영양염과 온도의 성장반응 실험의 경우, CB medium을 현 장조건에 맞게 영양염 농도가 조절된 배양액 (‘modified’ CB medium: 1.37 mg NO3-N L-1, 0.33 mg PO4-P L-1)과 질산염 (Ca(NO3)24H2O, KNO3)이 결핍된 배양액 (N-depleted medium: 0.0 mg NO3-N L-1, 0.33 mg PO4-P L-1), 인산염 (β-Na2glycerophosphate) 이 결핍된 배양액 (P-depleted_CB medium: 1.37 mg NO3-N L-1, 0.00 mg PO4-P L-1)의 영양염 3단계와 4, 12, 21, 30°C의 수온 4단계가 조합된 총 12가지 조건하에서 수 행하였다(Table 2). 현장조건에 맞게 조절된 영양염 농도는 2015년 낙동강 보 구간의 영양염 농도를 고려하여 제작하였 다 (NRERC, 2015) (Table 3). 질산염과 인산염 결핍 배지는 실험에 사용된 균주가 독소 생성 균주일 경우, 영양염 제한 조건에서 높은 농도의 saxitoxin과 cylindrospermopsin을 생성 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Casero et al., 2014; Dias et al., 2002; Preussel et al., 2014). 앞서 설명한 배양조건을 유지하며, 격일 간격으로 3 mL씩 채수 하여 3회 계수하였다. 비성장률은 시간에 따른 생물량의 변화로 산출하였으며, 여기서 X0, XΔt는 초기와 t 시간 후 의 세포수 (cells mL-1)를 의미하며, Δt는 기간 (day)을 의 미한다.

Table 2. Concentration of nitrate and phosphate used for nutrient assays with different codes
Nitrate concentration (mg·NO3- L-1) Phosphate concentrate (mg·PO43- L-1)

0.33 0

1.37 modified CB medium P-depleted CB medium
0 N-depleted CB medium
Table 3. Concentration of nitrate, ammonia, and phosphate in the weir area of the Nakdong River from Jan. 2015 until Dec. 2015. Referenced fromNRERC 2015
NO3-N (mg·L-1) PO4-P (mg·L-1)

Average 1.632 (n=409) 0.080 (n=409)
Standard deviation ±0.835 ±0.079
Maximum 4.185 0.500
Minimum 0.292 0.008
μ = 1 Δ t ln X Δ t X 0

온도 조건에 따른 성장률의 추정은 Jöhnk et al. (2008)의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μ(T)는 T온도에서 비성장 률, μmax는 최적 온도 Topt에서 최대성장률, bi, R1i, R2i는 최 적성장곡선의 형태를 통해 제시한 변수들이다 (Jöhnk et al., 2008).

μ T = μ max × 1 + b i R 1 i T T opt , i 1 ln R 1 i ln R 2 i × R 2 i T T opt , i 1

2.3. ELISA에 의한 Saxitoxin과 Cylindrospermopsin 분석

성장반응 실험이 종료된 12개 시료의 배양액과 조체를 사 용하여, Aphanizomenon flos-aquae (자원번호: DGUC003) 균주의 saxitoxin (STX)과 cylindrospermopsin (CYN) 존재여 부와 농도를 측정하였다. 독소 분석은 배양액에 용해된 용존 성 독소 물질과 균주 조체 내 함유되어 있는 입자상 독소 물질을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분석은 Saxitoxin과 Cylindrospermopsin 검출이 가능한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braxis LLC, USA)를 적용하였다. 실험에는 Saxitoxins/Lyngbyatoxin kit와 Cylindrospermopsin kit가 사용 되었으며, 이 중 Saxitoxins/Lyngbyatoxin kit는 neosaxitoxin 과 decarbamoylsaxitoxin에 대해서도 상호작용을 보여 검출 이 가능하다 (Cirés et al., 2014). 200 mL의 시료를 GF/C 필터 (Whatman, UK)를 사용하여 여과하였으며, 필터와 여 과액을 구분하여 -20°C에서 보관하였다. 필터는 추출 후 30분 간 얼음이 담긴 비커에 tube를 고정하여 초음파 파쇄 되었고, 입자상 추출물과 용존성 여과액은 12,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모든 기준 용액과 시료는 설명서 의 지침에 따라 적용하였으며, 3회 반복하여 실험을 수행 하였다. 흡광도는 분광광도계 (Shimadzu Co., Japan)를 이 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본 분석의 검량 한계선은 0.04 μg L-1이다. 총 STX와 CYN의 농도는 입자상 농도와 용존성 농도의 합으로 산출하였다.

2.4. 타감 작용

Aphanizomenon flos-aquae (자원번호: DGUC003) 균주는 사전 실험과 동일한 온도 및 광도 조건하의 CB 포화 배지 (‘full’ CB medium)에서 배양되었으며, 세포의 용해가 발생 하여 타감 물질의 농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수 성장단계의 말기에 수확되었다 (de Figueiredo et al., 2011; Rapala and Sivonen, 1998). 낙동강에서 출현하는 주요 규조 류 및 남조류, 녹조류의 성장에 Aphanizomenon flos-aquae 여과액이 미치는 저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낙동강에서 분리된 Aphanizomenon flos-aquae (자원번호: DGUC001), Microcystis aeruginosa (자원번호: DGUC007)와 Aulacoseria ambigua f. spiralis (자원번호: DGUD001), Scenedesmus obliquus (자원번호: FBCC110011)가 사용되었다. 각 균주 는 사전 실험에서 사용된 동일 배지에서 실험이 진행되었 으며, 배양 조건은 온도 (20±2 °C), 광주기 (12hL:12hD), 광조 건 (60 μE m-2 s-1의 형광등) 등으로 유지되었다 (de Figueiredo et al., 2004; Gonçalves et al., 2005). 용해된 균주의 산물 이 포함된 배양액은 Whatman GF/C 필터를 통해 여과 후 에 획득되었으며, 균주 접종 후에 진탕배양기에서 96시간 동안 노출되었다. 타감 작용의 효과는 비성장률을 이용하여 정량화 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별로 각 균주의 세포수를 산출하였다. 실험군은 40% 추출액에 60%의 각 medium을 추가하여 수행되었으며, 대조군은 40% 증류수에 60%의 각 medium을 추가하였다. 250 mL Erlenmeyer 플라스크에 최 종 실험 용액 100 mL을 주입한 후 총 3회에 걸쳐 반복 수 행하였다.

2.5. 통계 분석

모든 통계 자료 분석은 SPSS v.18.0에서 수행되었다. 성장 반응에 사용된 다양한 조건의 처리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이용하였으며, 사후 다중비교검정 (post-hoc multiple comparison) 은 Tukey HSD test 방식으로 검정하였다. 한편, 독 립 t-test를 사용하여 여과액에 의한 조류별 성장 저해 실험 에서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모든 통계 분석은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값으로 간주 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온도 및 영양염에 따른 성장반응

Aphanizomenon flos-aquae는 일반적으로 23-29°C의 수온 을 선호하며, 다른 남조류에 비하여 저온에 높은 내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üveges et al., 2012; Yamamoto, 2009). 낙동강에서 Aphanizomenon flos-aquae는 2012년 이 후 연중 출현하고 있으며, 특히 동절기에 우점분류군으로 나타나고 있다 (Park et al., 2015; Yu et al., 2014). 낙동강 에서 연중 출현하는 Aphanizomenon flos-aquae의 성장반응 을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조건의 영양염 농도에 맞게 보정 된 ‘modified’ CB medium에서 수온별로 분석한 결과, 세 포밀도는 21°C에서 581,700 cells mL-1로 가장 높게 나타났 고, 30°C의 수온에서보다 12°C의 수온에서 오히려 높은 세 포밀도를 보였다. 반면 4°C에서는 세포밀도의 뚜렷한 변화 가 관찰되지 않았다 (Fig. 1(A)). ‘modified’ CB medium에 서 Aphanizomenon flos-aquae의 성장은 온도에 따라 유의 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F = 12.24, p<0.01), 특히 21°C에서 다른 온도와 통계적으로 구분되는 특징을 보였다.

영양염 조건별 실험에서 질소 결핍 N-depleted CB medium 에서는 4°C를 제외한 모든 온도 조건에 따른 유의미한 Aphanizomenon flos-aquae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나, 질소가 공급된 modified CB medium에서의 성장보다는 성장률이 낮았으며(μ = 0.09-0.14 day-1), 최대 세포밀도에서도 385,800 cells mL-1로 적은 양을 나타내었다 (Fig. 1(B)). Nostocales의 Aphanizomenon flos-aquae는 질소원으로 N2 고정세포인 heterocyte를 이용할 수 있지만, 수중에 결합된 질소를 우선적 으로 섭취한다. 이는 heterocyte 세포 형성 및 N2 고정에 사 용에 필요한 에너지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Cirés and Ballot, 2016). 질소가 제한된 실험실 조건에서의 Aphanizomenon flos-aquae의 성장은 대사과정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 정되며, 결과적으로 질소가 공급된 조건에서의 성장 속도 및 세포밀도에서 차이가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Aphanizomenon flos-aquae의 성장에서 성장 배지에 함유된 질소 이용가능성과 양의 상관성을 보이는 사전 연 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 (Preßel et al., 2009; Preussel et al., 2014). 인 결핍 P-depleted CB medium에서 균주는 거의 성 장하지 않았으며 (μ = 0.04-0.05 day-1), 온도 조건에 따른 균주 의 성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F = 2.15, p>0.05). 이 를 통해 인 결핍 조건에서는 온도에 상관없이 Aphanizomenon flos-aquae의 증식이 제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유사한 현상은 실험실 조건에서 수행된 선행 연구에서도 확 인할 수 있었다 (Fig. 1(C)) (de Figueiredo et al., 2004; de Figueiredo et al., 2011). 한편, Aphanizomenon flos-aquae의 성장은 질산염 (F = 6.56, p<0.05)과 인산염 (F = 76.33, p<0.01)의 각 조건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Aphanizomenon flos-aquae의 비성장률은 4 °C에서 0.04-0.10 day-1, 12°C에서 0.05-0.15 day-1, 21 °C에서 0.05-0.17 day-1, 30°C에서 0.04-0.13 day-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최대성장률 (μmax)은 0.17 day-1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장률의 범위는 녹 조현상 유발 분류군인 Microcystis aeruginosa의 성장률 (μ = 0.80 day-1)보다는 비교적 낮지만 (Jöhnk et al., 2008), Israel, Kinneret 호와 같은 자연 생태계 (Pollingher et al., 1998)나 제한된 특정 실험실 조건 (Preßel et al., 2009)에서 측정된 Aphanizomenon 분류군의 성장률 (μ=0.09-0.20 day-1) 과는 유사한 범위에 해당되었다 (Mehnert et al., 2010). 한 편 Jöhnk et al. (2008)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온에 따른 성 장조건을 추정한 결과, 영양염 조건에 따라 Aphanizomenon flos-aquae의 성장가능 온도범위는 -0.3-34.3°C로 확인되었 으며, 최적성장온도 (Topt)는 18.3-21.2 °C(19.9°C)로 나타났 다 (Fig. 2). 낙동강에서 분리된 Aphanizomenon flos-aquae 균주의 최적성장온도 (Topt)은 Germany, Stechlin호에서 분 리된 Aphanizomenon flos-aquae (ST86AF) 균주의 최적성장 온도(Topt) 24.7°C와 차이를 보였다 (Mehnert et al., 2010). 이러한 결과는 최근 낙동강의 저수온기에 높은 세포밀도로 출현하는 Aphanizomenon 속의 생태학적 현상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Yu et al, 2014).

Fig. 2. Growth response ofAphanizomenon flos-aquaeinoculated to the medium with different nutrients (a: 1.33 mgNO3-N L-1, 0.33 mgPO4-P L-1, b: 0.0 mgNO3-N L-1, 0.33 mgPO4-P L-1, c: 1.33 mgNO3-N L-1, 0.0 mgPO4-P L-1) and cultured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4 and 12, 21, 30°C). Results shown are the means (±S.D.) of three replicates.
../../Resources/kswe/KSWE.2017.33.5.538/JKSWE-33-538_F2.jpg

3.2. 독소 생성 분석

독소 생합성의 유전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이 대부분 밝혀 진 Microcystis aeruginosaCylindrospermopsis raciborskii 등의 독소 생성 분류군은 독소 생성과 성장률 간에 나타나는 뚜렷한 상관성이 많은 연구를 통해서 보고되어왔지만 (Orr and Jones, 1998; Pierangelini et al., 2015), Aphanizomenon flos-aquae는 최근까지 보고된 많은 연구에서도 독소 생성과 성장률 간의 분명한 상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Casero et al., 2014; Cirés et al., 2014). 게다가 독소 분류군에 의한 독 소 생성량은 균주-의존적이라는 보고가 있다 (Chonudomkul et al., 2004). 또한 Aphanizomenon flos-aquae의 독소 생성 은 형태학적 및 계통학적으로 순수 분리된 균주에 의해 입 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까지 논쟁의 여지가 남아 있다 (Cirés and Ballot, 2016). 이를 확인하기 위해 낙동강 현장시 료에서 분리된 Aphanizomenon flos-aquae의 2개 균주를 대상 으로 ELISA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장 반응에 따른 모든 배 양 실험의 세포 조체와 배양액 내에서 cylindrospermopsin 과 saxitoxin의 독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saxitoxin의 변이체인 neosaxitoxin과 decarbamoylsaxitoxin에 대해서도 ELISA 분석에서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검출한계 0.04 μgL-1).

따라서 낙동강에서 분리된 Aphanizomenon flos-aquae의 2 개 균주는 모두 cylindrospermopsin과 saxitoxin을 생성하지 못하는 비독성 균주로 판단되었다. 다만 Aphanizomenon 속 의 분류군 중 Aphanizomenon gracileChrysosporum ovalisporum, Cuspidothrix issatschenkoi와 같이 독소 생성 능이 입증된 분류군이 있으며 (Ballot, Fastner et al., 2010; Casero et al., 2014; Cirés and Ballot, 2016), 동일한 분류 군 내에서도 독소 생성 균주와 비생성 균주가 공존할 수 있음으로 (Moustafa et al., 2009), 낙동강에서 출현하는 모 든 Aphanizomenon flos-aquae를 비독성 균주로 간주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3. 타감 작용 평가

Nostocales 목에 속하는 남조류 균주 배양 여과액은 식물 플랑크톤의 성장과 안정화를 저해하여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며 (Suikkanen et al., 2005), 이는 독소와 같은 2차 대사 산물이 경쟁자의 성장저해 및 종간상호작용에 관여하는 다 양한 종류의 상호대립억제작용물질 (allelochemicals)로서 작 용하기 때문이다 (Berry et al., 2008; Leão et al., 2009). 본 연구에서 Aphanizomenon flos-aquae (DGUC003) 균주의 배 양 여과액이 미치는 성장저해 효과가 녹조강인 Scenedesmus obliquus (FBCC110011)와 남조강인 Microcystis aeruginosa (DGUC007)을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 지만, 규조강인 Aulacoseira ambigua f. spiralis (DGUD001) 를 통한 실험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세포수 의 28% 감소되는 유의미한 타감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동일종인 Aphanizomenon flos-aquae (DGUC001) 균주를 대 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19%의 유의미한 성장저해 효과가 나 타났다 (Table 4; Fig. 3). 이를 통해 독소와 같은 2차대사 산물을 생산하지 않는 비독성 Aphanizomenon flos-aquae 균 주에서도 타감 작용 및 자가 저해 현상이 유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다른 남조류에서 발견된 chelators (Murphy et al., 1976) 및 portoamides (Leão et al., 2010) 등의 성장 억제제에 의한 영향이거나, Phormidium tenue 등 일부 사상형 남조류에서 발견된 자기분해 물질과 같은 화합 물에 의한 영향으로 추론되지만 (Murakami et al., 1990), 정확한 원인물질 규명을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 4).

Table 4. Inhibition efficiency of different algal species treated by cell-free culture filtrate ofAphanizomenon flos-aquae(DGUC003)
Species tested t28 df Effect on algal growth (p ≤ 0.05)

Scenedesmus obliquus -0.129 28 No effect
Aphanizomenon flos-aquae 2.178 28 Inhibitory effect (19%)
Microcystis aeruginosa 1.791 28 No effect
Aulacoseria ambigua f. spiralis 4.960 28 Inhibitory effect (28%)

[i] Significant effect, relative to the control, is presented in boldface. The percentages in parentheses (%) correspond to the relative mean cell density after 96h of incubation.

Fig. 3. Specific growth rates and growth curves ofAphanizomenon flos-aquaeinoculated to the medium with different nutrients (●: 1.33 mgNO3-N L-1, 0.33 mgPO4-P L-1, ▲: 0.0 mgNO3-N L-1, 0.33 mgPO4-P L-1, ■: 1.33 mgNO3-N L-1, 0.0 mgPO4-P L-1). Results shown are the means (±S.D.) of three replicates.
../../Resources/kswe/KSWE.2017.33.5.538/JKSWE-33-538_F3.jpg
Fig. 4. Growth inhibition effect of (a)Scenedesmus obliquus, (b)Microcystis aeruginosa, (c)Aulacoseria ambiguaf.spiralis, (d)Aphanizomenon flos-aquaeby CB medium added toAphanizomenon flos-aquaefiltrate (solid square) or CB medium added to distilled water (blank square). Results shown are the means (±S.D.) of three replicates.
../../Resources/kswe/KSWE.2017.33.5.538/JKSWE-33-538_F4.jpg

4. Conclusion

낙동강에서 출현하는 Aphanizomenon flos-aquae의 생리생 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균주의 독소생성 여부를 분석하 고, 온도 및 영양염 조건에 따른 성장 반응 및 잠재적 타 감 작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낙동강에서 분리된 Aphanizomenon flos-aquae의 최적 온도(Topt)는 18.3-21.2 °C (19.9°C)로 나타났으며, 성장가능 온 도범위는 -0.3-34.3°C로 확인되었다. 현장 조건의 CB medium 에서 비성장률(μ)은 0.10-0.16 day-1의 범위를 보였으며, 최 대성장률(μmax)은 0.17 day-1로 나타났다.

  2. 질소 결핍 조건에서의 성장은 비교적 느리고(μ = 0.09- 0.14 day-1) 낮은 최대 세포밀도(385,826 cells mL-1)를 보였 으나, 인 결핍 조건에서는 모든 조건에서 Aphanizomenon flos-aquae의 성장이 제한되었다.

  3. 낙동강 현장시료에서 분리된 Aphanizomenon flos-aquae 의 2개 균주는 세포 조체와 배양액 내에서 cylindrospermopsin 과 saxitoxin의 독소가 검출되지 않아, cylindrospermopsin과 saxitoxin에 대한 비독성 균주로 판단되었다.

  4. Aphanizomenon flos-aquae (DGUC003) 균주의 배양 여과액은 Aulacoseira ambigua f. spiralis (DGUD001)와 동 일종인 Aphanizomenon flos-aquae (DGUC001)에게 유의미 한 타감효과 및 자가 저해 현상을 유발하였다.

References

1 
Ballot A, Fastner J, Lentz M, Wiedner C, 2010, First Report of Anatoxin-a-Producing Canobacterium Aphanizomenon issatschenkoi in Northeastern German, Toxicon, Vol. 56, No. 6, pp. 964-971DOI
2 
Ballot A, Fastner J, Wiedner C, 2010,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Toxin-Producing Cyanobacterium Aphanizomenon gracile in Northest Germany,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 76, No. 4, pp. 1173-1180DOI
3 
Beakes G, Canter H.M, Jaworski G.H.M, 1988, Zoospores. Ultrastructure of Zygorhizidium affluens Canter and Z. planktonicum Canter, Two Chytrids Parasitizing the Diatom Asterionella formosa Hassall, Canadian Journal of Botany, Vol. 66, pp. 1054-1067DOI
4 
Berry J.P, Gantar M, Perez M.H, Berry G, Noriega F.G, 2008, Cyanobacterial Toxins as Allelochemicals with Potential Applications as Algaecides, Herbicides and Insecticides, Marine Drugs, Vol. 6, pp. 117-146DOI
5 
Bláhová L, Oravec M, Marsalek B, Sejnohova L, Simek Z, Blaha L, 2009, The First Occurrence of the Cyanobacterial Alkaloid Toxin Cylindrospermopsin in the Czech Republic as Determined by Immunochemical and LC/MS methods, Toxicon, Vol. 53, pp. 519-524DOI
6 
Casero M.C, Ballot A, Agha R, Quesada A, Cirés S, 2014, Characterization of Saxitoxin Production and Release and Phylogeny of sxt Genes in Paralytic Shellfish Poidoning Toxin-Producion Aphanizomenon gracile, Harmful Algae, Vol. 37, pp. 28-37DOI
7 
Chonudomkul D, Yongmanitchai W, Theeragool G, Kawachi M, Kasai F, Kaya K, Watanabe M.M, 2004, Morphology, Genetic Diversity, Temperature Tolerance andToxicity of Cylindrospermopsis raciborskii (Nostocales, Cyanobacteria) Strains from Thailand and Japan, FEMS Microbiology Ecology, Vol. 48, pp. 345-355DOI
8 
Cirés S, Ballot A, 2016, A Review of the Phylogeny, Ecology and Toxin Production of Bloom-Forming Aphanizomenon spp. and Related Species within the Nostocales (Cyanobacteria), Harmful Algae, Vol. 52, pp. 21-43DOI
9 
Cirés S, Wörmer L, Ballot A, Agha R, Wiedner C, Velázquez D, Casero M.C, Quesada A, 2014, Phylogeography of Cylindrospermopsin and Paralytic Shellfish Toxin-Producing Nostocales Cyanobacteria from Mediterranean Europe (Spain),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 80, pp. 1359-1370DOI
10 
de Figueiredo D.R, Azeiteiro U.M, Gonçalves F, Pereira M.J, 2004, Aphanizomenon flos-aquae Grown under Different Nutrient Concentrations and the Effects of its Exudates on Growth of Two Green Algae,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Vol. 13, pp. 657-666Google Search
11 
de Figueiredo D.R, Gonçalves A.M.M, Castro B.B, Gonçalves F, Pereira M, Correia A, 2011, Differential Inter- and Intra-specific Responses of Aphanizomenon Strains to Nutrient Limitation and Algal Growth Inhibition,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Vol. 33, pp. 1606-1616DOI
12 
Dias E, Pereira P, Franca S, 2002, Production of Paralytic Shellfish Toxins by Aphanizomenon sp. LMECYA 31 (Cyanobacteria), Journal of Phycology, Vol. 38, No. 4, pp. 705-712DOI
13 
Gonçavalves A.M, de Figueirede D.R, Pereira M.J, 2005, A Low-cost Methology for Algal Growth Inhibition Tests using Three Freshwater Green Algae,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Vol. 14, pp. 1192-1195Google Search
14 
Holland A, Kinnear S, 2013, Interpreting the Possible Ecological Role(s) of Cyanotoxins: Compounds for Competitive Advantage and/or Physiological Aide?, Marine Drugs, Vol. 11, pp. 2239-2258DOI
15 
Jöhnk K.D, Huisman J, Sharples J, Sommeijer B, Visser P.M, Stroom J.M, 2008, Summer Heatwaves Promote Blooms of Harmful Cyanobacteria, Global Change Biology, Vol. 14, pp. 495-512DOI
16 
Leão P.N, Pereira A.R, Liu W.T, Ng J, Pevzner P.A, Dorrestein P.C, König G.M, Vasconcelos V.M, Gerwick W.H, 2010, Synergistic Allelochemicals from a Freshwater Cyanobacteriu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7, pp. 11183-11188DOI
17 
Leão P.N, Vasconcelos M.T, Vasconcelos V.M, 2009, Allelopathy in Freshwater Cyanobacteria, Critical Reviews in Microbiology, Vol. 35, pp. 271-282DOI
18 
Ma H, Wu Y, Gan N, Zheng L, Li T, Song L, 2015, Growth Inhibitory Effect of Microcystis on Aphanizomenon flos-aquae Isolated from Cyanobacteria Bloom in Lake Dianchi, China, Hamful Algae, Vol. 42, pp. 43-51DOI
19 
Mehnert G, Leunert F, Cirés S, Jöhnk K.D, Rücker J, Nixdorf B, Wiedner C, 2010, Competitiveness of Invasive and Native Cyanobacteria from Temperate Freshwaters under Varios Light and Temperature Conditions,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Vol. 32, pp. 1009-1021DOI
20 
Moustafa A, Loram J.E, Hackett J.D, Anderson D.M, Plumley F.G, Bhattacharya D, 2009, Origin of Saxitoxin Biosynthetic Genes in Cyanobacteria, PLoS ONE, Vol. 4, pp. e5758Google Search
21 
Murakami N, Yamada N, Sakakibara J, 1990, An Autolytic Substance in a Freshwater Cyanobacterium Phormidium tenue,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 38, pp. 812-814DOI
22 
Murphy T, Lean D, Nalewajko C, 1976, Blue-green Algae: Their Excretion of Iron-selective Chelators Enables Them to Dominate Other Algae, Science, Vol. 192, pp. 900-902DOI
23 
Nelson N.P.B, 1903, Observations upon Some Algae which Cause “Water bloom”, Minnesota Botanical Studies, Vol. 3, pp. 51-56Google Search
24 
Nakdong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RERC), 2015, Aquatic Ecosystem Monitoring in Weir of the Nakdong River, Nakdong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pp. 378
25 
Orr P.T, Jones G.J, 1998, Relationship between Microcystin Production and Cell Division Rates in Nitrogen-limited Microcystis aeruginosa culture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43, pp. 1604-1614DOI
26 
Park H. K, Shin R. Y, Lee H. J, Lee K. L, Cheon S. U, 2015,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l Communities in the Middle-downstream of Nakdong River and Lake Dukdong, [Korean Le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1, No. 3, pp. 286-294DOI
27 
Pierangelini M, Sinha R, Willis A, Burford M.A, Orr P.T, Beardall J, Neilan B.A, 2015, Constitutive Cylindrospermopsin Pool Size in Cylindrospermopsis raciborskii under Different light and CO2 Partial Pressure Condition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 81, pp. 3069-3076DOI
28 
Pollingher U, Hadas O, Yacobi Y, Zohary T, Berman T, 1998, Aphanizomenon ovalisporum (Forti) in Lake Kinneret, Israel,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Vol. 20, pp. 1321-1339DOI
29 
Preßel K, Wessel G, Fastner J, Chorus I, 2009, Response of Cylindrospermopsin Production and Release in Aphanizomenon flos-aquae(Cyanobacteria) to Varying Light and Temperature Conditions, Harmful Algae, Vol. 8, pp. 645-650DOI
30 
Preussel K, Chorus I, Fastner J, 2014, Nitrogen Limitation Promotes Accumulation and Suppresses Release of Cylindrospermopsins in Cells of Aphanizomenon sp, Toxins, Vol. 6, No. 10, pp. 2932-2947DOI
31 
Rapala J, Sivonen K, 1998,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Favor Fepatotoxic and Neurotoxin Anabaena spp. Stains Cultured under Light Limit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Microbial Ecology, Vol. 36, pp. 181-192DOI
32 
Rücker J, Stüken A, Nixdorf B, Fastner J, Chorus I, Wiedner C, 2007,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and Dissolved Cylindrospermopsin in 21 Aphanizomenon-dominated Temperate Lakes, Toxicon, Vol. 50, pp. 800-809DOI
33 
Ryu H.S, Park H.K, Lee H.J, Shin R.Y, Cheon S.U, 2016, Occurrence and Succession Pattern of Cyanobacteria inthe 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 Factors Influencing Aphanizomenon Bloom,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2, No. 1, pp. 52-59DOI
34 
Ryu H.S, An S.M, Lim C.K, Shin R.Y, Park J.G, Lee J.H, 2017, Analysis of Potential Toxigenicity and Phylogeny using Target Genes in Aphanizomenon flos-aquae(Cyanophyceae) Strains Isolated from the Nakdong River, [Korean Leterature],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 50, No. 1, pp. 137-147DOI
35 
Shirai M, Matumaru K, Ohotake A, Takamura Y, Aida T, Nakano M, 1989, Development of a Solid Medium for Growth and Isolation of Axenic Microcystis Strains (Cyanobacteria), Applied and Envieonmental Microbiology, Vol. 55, No. 10, pp. 2569-2571Google Search
36 
Stanier R.Y, Kunisawa R, Mandel M, Cohen-Bazire G, 1971,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Unicellular Blue-green Algae (Order Chroococcales), Bacteriological Reviews, Vol. 35, pp. 171-205Google Search
37 
Stüken A, Jakobsen K.S, 2010, The Cylindrospermopsin Gene Cluster of Aphanizomenon sp. strain 10E6: Organization and Recombination, Microbiology, Vol. 156, pp. 2438-2451DOI
38 
Suikkanen S, Fistarol G.O, Granéli E, 2005, Effects of Cyanobacterial Allelochemicals on a Natural Plankton Community,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287, pp. 1-9DOI
39 
Üveges V, Tapolczai K, Krienitz L, Padisák J, 2012,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Plasticity of an Aphanizomenon flos-aquae (Cyanobacteria, Nostocaceae) Winter Bloom in a Deep Oligo-mesotrophic Lake (Lake Stechlin, Germany), Hydrobiologia, Vol. 698, pp. 263-272DOI
40 
Yamamoto T, 2009, Environment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Occurrence and Seasonal Dynamics of Aphanizomenon flos-aquae, Journal of Limnology, Vol. 68, No. 1, pp. 122-132DOI
41 
Yang Z, Geng L, Wang W, Zhang J, 2012, Combined Effects of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Nitrogen Concentration on the Growth and Polysaccaharide Content of Microcystis aeruginosa in Batch Culture,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Vol. 41, pp. 130-135DOI
42 
Yu J.J, Lee H.J, Lee K.L, Lyu H.S, Hwang J.W, Shin L.Y, Cheon S.U, 2014, Relations between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Nakdong River, Korea, [Korean Leterature],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 47, No. 4, pp. 247-257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