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연구 대상 범위
2012 ~ 2016년 기간 동안 낙동강 수계 26개 중권역의 206개 지류·지천 지점에 대한 수질 및 유량 등에 대한 모 니터링이 수행되었다. 대상
모니터링 지점은 오염도 및 중 요도 등에 따라 매년 일부 변경되었으며, 일반관리지점과 중점관리지점으로 구분되어 중점관리지점에서 보다 많은 모니터링이
이루어졌다. 기존 자료 및 모니터링 자료를 이 용하여 수질 오염 수준이 높거나 오염 부하량이 높다고 판 단되는 지점을 전체 대상 지점 중 중점관리지점으로
선정 하였다. 예를 들어 2015년에는 195개 지점을 대상으로 모 니터링을 수행하였는데, 35개 중점관리지점은 2월부터 12 월까지 매월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160개 일반관리지점은 연 2회의 조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 결과를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하 기 위해 206개 모든 모니터링 지점에 지점 번호를 부여하 고 이를 지점명 대신 사용하였다.
Fig. 1과 같이 26개 중권 역에 속한 각각의 지류·지천 지점 현황은 다음과 같다(중권 역명(지점번호): 지점명): 안동댐((1)-(16): 황지천유입천,
절 골천, 황지천1, 소도천, 황지천2, 황지천3, 철암천1, 철암천 2, 낙동강1, 낙동강2, 낙동강3, 현동천, 가천, 재산천, 운곡천, 동계천);
임하댐((17)-(24): 반변천1, 장파천, 반변천3, 반 변천2, 동천1, 주산천, 눌인천, 길안천2); 안동댐하류((25)- (26): 옥곡천,
신평천); 내성천((27)-(37): 낙화암천, 내성천2, 구천, 죽계천, 서천, 내성천1, 옥계천, 한천2, 한천1, 대하리 천, 금천); 영강((38)-(41):
영강, 양산천, 조령천, 이안천); 병성천((42)-(44): 병성천, 북천, 동천); 낙동상주((45): 장천); 위천((46)-(48): 위천,
쌍계천, 남대천); 낙동구미((49): 신곡 천); 감천((50)-(53): 감천, 직지사천, 아천, 율곡천); 낙동왜 관((54)-(61): 구미천,
광암천, 경호천, 반지천, 동정천, 백천, 이천, 봉암천); 금호강((62)-(81): 고촌천, 신령천, 고현천, 금 호강1, 북안천, 대창천1,
금호강2, 청통천, 오목천, 금호강3, 남천, 율하천, 동화천, 불로천, 신천1, 신천2, 신천3, 이언천, 팔거천, 달서천); 회천((82)-(83):
이천천, 안림천); 낙동고령 ((84)-(93): 진천천1, 진천천, 천내천, 기세곡천, 본리천, 용 하천, 현풍천, 용호천, 덕곡천, 미곡천1);
합천댐((94)-(98), (100): 계수천, 황강1, 당산천, 거창위천, 가천천, 대산천1); 황강((99), (101)-(103): 아천, 황강2,
황강2-1, 산내천), 낙동 창녕((104)-(112): 토평천, 유곡천, 신반천1, 신반천2, 창녕천 1, 정곡천, 전화천, 대곡천1, 창녕천2);
남강댐((113)-(126), (128); 남강1, 남강2, 람천2, 풍천, 람천3, 만수천, 함양위천, 생초천, 람천1, 남강3, 단계천, 신등천,
양천, 시천천, 남강 4); 남강((127), (129)-(155): 나불천, 가좌천, 남강5, 영천강, 용아천, 하촌천, 지내천, 향양천, 현지천,
대곡천2, 반성천, 대방천, 상정천, 지수천, 영운천, 수곡천, 석교천1, 석교천2, 의령천2, 의령천1, 월현천, 남강6, 함안천, 백야천, 대산천2,
대사천, 부목천, 봉곡천); 낙동밀양((156)-(172): 관곡천, 계 성천, 칠원천, 영산천, 계성천2, 오호천, 온정천1, 온정천2, 이령천3,
신천천, 용덕천, 퇴래천, 사촌천, 화포천, 초동천, 수산천, 상남천), 밀양강((173)-(183): 운문천, 동창천, 청도 천2, 청도천3, 청도천1,
단장천1, 동천2, 단장천2, 단장천3, 밀양강, 제대천); 낙동강하구언((184)-(193): 미전천2, 안태 천, 용당나루, 원동천, 여차천,
대포천, 소감천, 다방천, 대 천천, 호계천); 가화천((194)-(196): 죽천천, ,삼천포천, 가화 천); 거제도((197)-(199): 소동천,
외포천, 산양천); 낙동강남 해((200)-(205): 장좌천, 구만천, 광도천, 진동천, 가덕도, 대 장천); 왕피천((206): 남대천).
Fig. 1.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Nakdoing river (#1 ~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