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Dept. of Yeongsanriver Environmen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 호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Honam University)



Discharge load characteristics, TMDLs, Tributary monitoring, Yeongsan river basin

1. Introduction

경제성장으로 인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매립장 침출수 등 각종 오염물질이 증 가되었고,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불투수층 면적 증가로 강 우 시 하천으로의 직접유출로 하천 수질은 매우 나빠졌고 수생태계 건강성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수질 관리를 위해 수질오염총량관리제를 시행중에 있으며 대상 오염물질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으로 한 1단계('05 년~ '10년)와 대상오염물질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에 총인(T-P)을 추가한 2단계('11년~ '15년)를 종료하였고, 2016년부터는 2단계와 동일한 BOD와 T-P를 대상으로 3단 계를 시행중이며(ME, 2013), 수질오염총량제 이행평가 등 을 위해 한강을 비롯한 4대강은 모니터링 측정망을 운영하 고 있다. 영산강·섬진강수계의 모니터링 지점은 단위유역 내 시·군 경계 지점 27개 지점과 영산강 제1지류 중심의 8 개 지점(평동천, 장성천2, 영산천, 만봉천, 문평천, 함평천3, 삼포천, 영암천)을 더하여 35개 지점이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2017).

수질오염총량관리의 목표수질 설정은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상 목표수질 설정시 BOD의 경우 과거 10년간 평 균 저수량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T-P의 경우 과거 10년간 평균 저수량 또는 평수량 중 수질악화조건의 수량을 기준 유량으로 반영하여 설정되나, 목표수질 달성여부 평가는 8 일 간격 연간 36회 이상의 수질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 되고 있다(ME, 2013). 하지만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에 따 른 영산강·섬진강 수계 단위유역 내의 모니터링에 의한 실 측한 수질·유량측정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측정지점의 수질평가 및 오염부하량 등의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본C 유역의 광주광역시-나주 시 경계지점인 영본C1(대촌천)과 영본C2(장성천), 영암군- 나주시 경계지점인 영본C3(금천)을 대상으로 8일 간격 연 간 36회 이상 측정된 자료를 관측부하지속곡선을 활용하여 측정지점의 목표수질 달성도와 유량확률분포에 따른 초과 량 및 오염원의 초과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시행에 따라 운영 중인 단위유역 내 시군 경계지점의 측정망 모니터링 자료를 활 용하여 오염부하량을 분석함으로써, 이행평가 등을 위한 기 초자료의 제공과 모니터링 자료의 활용방안에 기여하고자 한다.

2. Material and Method

2.1. 연구내용

수질오염총량관리에서 운영 중인 영산강·섬진강수계 단위 유역 내 시·군 경계지점 27개 지점과 영산강 제1지류 중심 의 8개 지점에서 영본C 단위유역의 시·군 경계인 영본C1 (대촌천)과 영본C2(장성천), 영암군-나주시 경계지점인 영본 C3(금천)을 선정하여 유량 및 대상오염물질(BOD, T-P)을 조사·분석하였다.

2.2. 연구방법 및 범위

대상지역인 영본C1(대촌천), 영본C2(장성천), 영본C3(금 천)의 부하량 산정을 통한 목표수질 달성여부와 초과오염 원의 원인을 분석하였다(Fig. 1).

Fig. 1. Location map of research object measurement point (Yeong-bon C1, C2, C3).
../../Resources/kswe/KSWE.2017.34.1.1/JKSWE-34-1_F1.jpg

부하량 산정은 5년간('11년~ '15년) 8일 간격으로 측정된 유량 및 수질자료를 이용하였고, 목표수질 달성여부는 관측 부하지속곡선을 활용하였다. 관측부하지속곡선은 부하지속 곡선과 비슷한 방법으로서, 오염총량관리 목표수질 및 부하 량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므로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목표수질 초과원인 등을 규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며(Nevada, 2003), 하천의 전체 유량조건에서 개별 수질들과 목표수질이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곡 선이다(Park et al., 2011).

관측부하지속곡선은 5년간('11년~ '15년) 측정된 유량자료 를 활용하여 목표부하량을 설정하였다. 소유역 하천 모니터 링지점의 목표수질이 설정되지 않아 목표부하량은 수질오 염총량관리제의 목표수질 기준유량인 저수기 유황으로 설 정하였으며, 작성된 관측부하지속곡선의 결과를 분석하여 BOD 및 T-P의 초과량을 파악하고, 유량초과확률을 구간별 로 분류하여 오염원의 초과원인을 분석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유량 및 수질측정조사

영산강 수계의 영본C 단위유역의 영본C1(대촌천), 영본 C2(장성천), 영본C3(금천)지점의 유량 및 수질자료를 조사 하였다. 수질자료는 측정된 유량에 농도를 곱하여 부하량 으로 산정하였다. 측정 기간('11년~ '15년) 중 연평균 유량 은 영본C3 지점이 2012년에 0.744 m3/s로 가장 많게 산정 되었으며, 2014년 영본C2 지점은 0.193 m3/s로 가장 작게 산정되었다. 농도에서 부하량으로 산정된 BOD의 최대, 최 소 부하량은 각각 영본C1 지점에서 평균 160.9 kg/d('11년), 영본C2 지점에서 41.2 kg/d('15년)로 나타났다(Table 1, Fig. 2 ~ 4).

Table 1. Annual average flow rate by monitoring point (Unit : m3/s)
Monitoring point Yeong-bon C1 Yeong-bon C2 Yeong-bon C3
Year
2011 0.482 0.331 0.729
2012 0.517 0.273 0.744
2013 0.376 0.325 0.616
2014 0.391 0.193 0.470
2015 0.340 0.194 0.409
Fig. 2. Flow rate by monitoring point.
../../Resources/kswe/KSWE.2017.34.1.1/JKSWE-34-1_F2.jpg
Fig. 3. BOD by monitoring point.
../../Resources/kswe/KSWE.2017.34.1.1/JKSWE-34-1_F3.jpg
Fig. 4. T-P by monitoring point.
../../Resources/kswe/KSWE.2017.34.1.1/JKSWE-34-1_F4.jpg

측정수질(농도)을 오염원의 양적 평가를 위해 부하량으로 산정한 결과 유량에 농도를 곱하여 산정하는 부하량은 영 본C1(대촌천) 지점이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에도 높게 평가 되어 오염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량에 비해 부하 량이 낮게 평가된 영본C3(금천) 지점은 오염원이 적은 것 으로 나타났다(Table 2 ~ 3).

Table 2. Annual average BOD load by monitoring point (Unit : kg/d)
Monitoring point Yeong-bon C1 Yeong-bon C2 Yeong-bon C3
Year
2011 160.9 142.1 90.9
2012 126.2 75.7 94.4
2013 110.5 86.1 136.6
2014 79.6 41.9 79.2
2015 105.7 41.2 61.2
Table 3. Annual average T-P load by monitoring point (Unit : kg/d)
Monitoring point Yeong-bon C1 Yeong-bon C2 Yeong-bon C3
Year
2011 7.672 6.493 4.565
2012 5.496 2.660 4.773
2013 4.879 3.676 4.890
2014 4.175 1.884 3.488
2015 3.954 1.620 2.741

3.2. 부하지속곡선 작성 및 분석

관측부하지속곡선작성법은 실측된 수질에 유량이나 수질 측정일의 일평균 유량을 곱하여 관측부하량을 산정하고, 유 량에 목표부하량을 곱하여 목표부하지속곡선을 작성한다. 관측부하지속곡선은 오염부하지속곡선과 다르게 오염원의 초과 유황 판단이 쉽고, 유황에 의한 초과 추세파악이 가 능하다.

관측부하지속곡선 작성을 위해 측정된 5년간의 유량자료 를 활용하여 목표수질 설정을 위해 기준유량을 설정하였다. 측정지점의 경우 현재 목표수질이 설정되어있지 않았으며 유황 분석을 위한 365일의 유량자료가 확보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준유량 설정은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오염대상물 질인 BOD 및 T-P의 기준유량인 저수기로 설정하고 1년 중 저수기 구간인 5 ~ 6월, 10 ~ 11월에 측정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Table 4 ~ 7). 목표수질 설정을 위한 BOD는 영본C1 지점이 4.3 mg/L, 영본C2 지점이 2.7 mg/L, 영본C3 지점이 1.9 mg/L로 산정되었으며, T-P는 영본C1 지점이 0.145 mg/L, 영본C2 지점이 0.102 mg/L, 영본C3 지점이 0.064 mg/L로 산정되었다(Fig 5 ~ 6).

Table 4. The five-year average BOD during low water season (May~Jun) by measurement point (Unit : mg/L)
Monitoring point Yeong-bon C1 Yeong-bon C2 Yeong-bon C3
Year
2011 6.7 4.9 1.8
2012 8.2 2.8 2.2
2013 5.3 3.1 3.0
2014 5.7 2.9 3.3
2015 6.4 2.7 2.2
Table 5. The five-year average BOD during low water season (Oct~Nov) by measurement point (Unit : mg/L)
Monitoring point Yeong-bon C1 Yeong-bon C2 Yeong-bon C3
Year
2011 2.0 1.4 1.2
2012 2.9 2.7 1.3
2013 2.2 2.3 1.7
2014 2.1 2.5 1.6
2015 1.7 1.0 1.1
Table 6. The five-year average T-P during low water season (May~Jun) by measurement point (Unit : mg/L)
Monitoring point Yeong-bon C1 Yeong-bon C2 Yeong-bon C3
Year
2011 0.223 0.189 0.061
2012 0.264 0.119 0.064
2013 0.165 0.125 0.053
2014 0.170 0.137 0.106
2015 0.146 0.115 0.079
Table 7. The five-year average T-P during low water season (Oct~Nov) by measurement point (Unit : mg/L)
Monitoring point Yeong-bon C1 Yeong-bon C2 Yeong-bon C3
Year
2011 0.112 0.071 0.052
2012 0.093 0.048 0.037
2013 0.100 0.081 0.077
2014 0.092 0.077 0.058
2015 0.089 0.058 0.049
Fig. 5. BOD during low water season by measurement point.
../../Resources/kswe/KSWE.2017.34.1.1/JKSWE-34-1_F5.jpg
Fig. 6. T-P during low water season by measurement point.
../../Resources/kswe/KSWE.2017.34.1.1/JKSWE-34-1_F6.jpg

설정된 목표부하량을 기준으로 관측부하지속곡선을 작성 하여 부하량의 상관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관측 부하지속곡선에서의 부하량 상관분석은 부하지속곡선(LDC) 의 평가 방법과 다르게 연속된 유량자료를 활용하여 평가 하는 방법이 아닌 측정된 자료만으로 평가함으로서 평가구 간 내 자료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분석하였다. BOD 목표부하량 상관계수는 0.367 ~ 0.521로 측정부하량은 0.179 ~ 0.217로 평가되었다. T-P는 목표부하량 상관계수는 0.265 ~ 0.521로 측정부하량은 0.141 ~ 0.388로 분석되어 유량과 오염원의 상관관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이는 유량에 의한 오염원의 불규칙한 유입에 의한 원인으로 판 단된다. Table 8은 관측부하지속곡선을 통한 부하량 상관관 계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8. Correlation of load
Items BOD T-P
Point Load Trend formula Correlation Trend formula Correlation
Yeong-bon C1 Target y = -2.1369x + 391.3 R2 = 0.367 y = -0.084x + 14.127 R2 = 0.388
Monitoring y = -1.7215x + 305.74 R2 = 0.217 y = -0.0931x + 15.064 R2 = 0.319
Yeong-bon C2 Target y = -2.1173x + 168.07 R2 = 0.521 y = -0.08x + 6.3495 R2 = 0.521
Monitoring y = -3.2339x + 239.84 R2 = 0.179 y = -0.1439x + 10.484 R2 = 0.141
Yeong-bon C3 Target y = -3.3015x + 263.05 R2 = 0.378 y = -0.1726x + 12.782 R2 = 0.265
Monitoring y = -3.4165x + 264.58 R2 = 0.201 y = -0.1112x + 8.8608 R2 = 0.378

지점별 초과율 평가는 수질오염총량관리 이행평가 기준 인 초과율 50 % 이하로 설정하여 평가하였다. 초과율 평가 결과는 영본C1지점의 경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211회 측정을 하였으며, BOD 초과율은 71.43 % ~ 82.93 %로 분석 되었으며, T-P 초과율은 57.14 % ~ 75.68 %로 분석되어 평 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본C2 지점의 5년 간 측정회수는 221회이며, BOD의 초과율은 58.14 % ~ 80.95 %로 분석되었으며, T-P 초과율은 62.79 % ~ 80.00 % 로 분석되어 평가 기준을 초과 및 최근 부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본C3 지점의 5년간 측정회수는 219 회로 BOD 초과율은 61.29 %, 2013년 61.70 % ~ 82.22 %로 분석되었으며, T-P 초과율은 59.52 % ~ 78.57 %로 분석되었 다(Table 9 ~ 10, Fig. 7 ~ 8).

Table 9. Annual BOD exceed ratio
Point Items Year Total
2011 2012 2013 2014 2015
Yeong-bon C1 Monitoring number 42 37 46 41. 45 211
The number of excess 30 29 33 34 34 160
Exceed ratio (%) 71.43 78.38 71.74 82.93 75.56 75.83
Yeong-bon C2 Monitoring number 43 44 47 42 45 221
The number of excess 25 27 35 34 31 152
Exceed ratio (%) 58.14 61.36 74.47 80.95 68.89 68.78
Yeong-bon C3 Monitoring number 43 42 47 42 45 219
The number of excess 34 27 29 31 37 158
Exceed ratio (%) 79.07 64.29 61.70 73.81 82.22 72.15
Table 10. Annual T-P exceed ratio
Point Items Year Total
2011 2012 2013 2014 2015
Yeong-bon C1 Monitoring number 42 37 46 41 45 211
The number of excess 24 28 33 28 33 146
Exceed ratio (%) 57.14 75.68 71.74 68.29 73.33 69.19
Yeong-bon C2 Monitoring number 43 44 47 42 45 221
The number of excess 27 33 36 27 36 159
Exceed ratio (%) 62.79 75.00 76.60 64.29 80.00 71.95
Yeong-bon C3 Monitoring number 43 42 47 42 45 219
The number of excess 29 33 33 25 33 153
Exceed ratio (%) 67.44 78.57 70.21 59.52 73.33 69.86
Fig. 7. Measured load duration curve BOD.
../../Resources/kswe/KSWE.2017.34.1.1/JKSWE-34-1_F7.jpg
Fig. 8. Measured load duration curve T-P.
../../Resources/kswe/KSWE.2017.34.1.1/JKSWE-34-1_F8.jpg

3.3. 오염원 초과원인 분석

관측부하지속곡선을 활용하여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평 가 기준(초과율 50 % 이하)에 의해 목표 수질 달성여부를 평가하였다. 오염원의 초과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유량초과 확률분포를 10 %씩 10구간으로 구분하여 오염원의 초과율 을 산정하고 그에 따른 초과원인 분석하였다. 부하지속곡선 은 유량 조건에 따라 5개의 조건으로 구분하여 유황에 따 른 평가가 가능하다. 유황조건은 홍수기(0 ~ 10 %), 풍수기 (10 ~ 40 %), 평수기(40 ~ 60 %), 저수기(60 ~ 90 %), 갈수기 (90 ~ 100 %)]으로 구분되어지며, 초과하는 유량조건에 따라 초과되는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U. S. EPA, 2007). 오염 원의 초과 분석은 유량조건에 따라 홍수기와 같이 고유량 일때 오염원의 초과는 비점오염원의 영향으로 판단하며, 저 유량일때 오염원의 초과는 점오염원의 영향으로 판단한다.

영본C1 지점 평가결과, 구간별 BOD, T-P 초과율은 유량 상하위 구간에서의 BOD는 2.5 % ~ 9.4 %, T-P는 6.1 % ~ 9.5 %, 유량 20 % ~ 80 % 구간에서 BOD는 10.6 ~ 12.5 %, T-P는 10.2 % ~ 12.2 %로 나타났다. 영본C1 지점은 유량초 과확률 0 % ~ 10 % 구간에서 90 % ~ 100 % 구간 보다 초과 율이 높게 평가되어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 되었으며, 20 % ~ 80 % 구간에서 오염원의 유입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11).

Table 11. Exceed ratio by flow exceedance probability distribution (Yeong-bon C1)
Section BOD Number BOD Exceed ratio T-P Number T-P Exceed ratio
0 % ~ 10 % 15.00 9.4 % 9.00 6.1 %
10 % ~ 20 % 17.00 10.6 % 14.00 9.5 %
20 % ~ 30 % 20.00 12.5 % 17.00 11.6 %
30 % ~ 40 % 19.00 11.9 % 18.00 12.2 %
40 % ~ 50 % 19.00 11.9 % 16.00 10.9 %
50 % ~ 60 % 18.00 10.6 % 16.00 10.9 %
60 % ~ 70 % 19.00 11.9 % 16.00 10.9 %
70 % ~ 80 % 17.00 10.6 % 15.00 10.2 %
80 % ~ 90 % 12.00 7.5 % 17.00 11.6 %
90 % ~ 100 % 4.00 2.5 % 9.00 6.1 %
Total 160 100 % 147 100 %

영본C2 지점은 구간별 BOD 초과율은 유량 상위 0 % ~ 10 % 구간에서 2.6 %, 10 % ~ 20 % 구간에서 7.3 %로 T-P 는 상위 0 % ~ 10 % 구간에서 3.1 %, 10 % ~ 20 % 구간에서 5.6 %으로 나타났다. 영본C2 지점은 유량초과확률분포 90 % ~ 100 % 구간에서 0 % ~ 10 % 구간보다 초과율이 높게 평가되어 점오염원의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50 % ~ 90 % 구간까지 동일한 초과율을 보였다. 초과율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오염원유입은 평수기, 저수기에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12).

Table 12. Exceed ratio by flow exceedance probability distribution (Yeong-bon C2)
Section BOD Number BOD Exceed ratio T-P Number T-P Exceed ratio
0 % ~ 10 % 4.00 2.6 % 5.00 3.1 %
10 % ~ 20 % 11.00 7.3 % 9.00 5.6 %
20 % ~ 30 % 16.00 10.6 % 11.00 6.8 %
30 % ~ 40 % 18.00 11.9 % 17.00 10.6 %
40 % ~ 50 % 13.00 8.6 % 14.00 8.7 %
50 % ~ 60 % 17.00 11.3 % 21.00 13.0 %
60 % ~ 70 % 17.00 11.3 % 21.00 13.0 %
70 % ~ 80 % 17.00 11.3 % 21.00 13.0 %
80 % ~ 90 % 17.00 11.3 % 19.00 11.8 %
90 % ~ 100 % 21.00 13.9 % 23.00 14.3 %
Total 151 100 % 161 100 %

영본C3 지점은 유량초과확률분포에 따른 BOD 초과율은 0 % ~ 10 % 구간과 90 % ~ 100 % 구간이 동일하게 평가되 었으며, 구간별 초과율 편차에서도 크게 차이나지 않아 점·비점오염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P 초과율 은 0 % ~ 10 % 구간은 2.7 %이며 90 % ~ 100 % 구간은 13.3 %로 분석되어 BOD 평가 결과와 다르게 분석되었으 며, 30 % ~ 80 % 구간에서 11.3 %의 초과율을 보여 평·저수 기 유황으로 분석되며, 오염원은 점오염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Table 13, Fig. 9 ~ 10).

Table 13. Exceed ratio by flow exceedance probability distribution (Yeong-bon C3)
Section BOD Number BOD Exceed ratio T-P Number T-P Exceed ratio
0 % ~ 10 % 13.00 8.2 % 4.00 2.7 %
10 % ~ 20 % 12.00 7.6 % 9.00 6.0 %
20 % ~ 30 % 15.00 9.5 % 13.00 8.7 %
30 % ~ 40 % 17.00 10.8 % 17.00 11.3 %
40 % ~ 50 % 18.00 11.4 % 17.00 11.3 %
50 % ~ 60 % 16.00 10.1 % 17.00 11.3 %
60 % ~ 70 % 20.00 12.7 % 17.00 11.3 %
70 % ~ 80 % 16.00 10.1 % 17.00 11.3 %
80 % ~ 90 % 18.00 11.4 % 19.00 12.7 %
90 % ~ 100 % 13.00 8.2 % 20.00 13.3 %
Total 158 100 % 150 100 %
Fig. 9. BOD load exceed ratio by flow probability distribution.
../../Resources/kswe/KSWE.2017.34.1.1/JKSWE-34-1_F9.jpg
Fig. 10. T-P load exceed ratio by flow probability distribution.
../../Resources/kswe/KSWE.2017.34.1.1/JKSWE-34-1_F10.jpg

4. Conclusion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 영산강 수계 단위유역 내 시·군 경계 지점 중 영산강 수계의 영본 C 단위유역의 영본C1(대촌천), 영본C2(장성천), 영본C3(금 천) 지점을 조사하였다. 측정지점의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 하여 부하량을 산정하고, 목표수질 초과율 분석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4.1. 모니터링 자료 분석

영본C 단위유역의 모니터링 지점의 5년 평균 유량은 영 본C3 지점이 0.592 m3/s로 가장 많았으며, BOD 부하량은 영본 C1지점이 116.26 kg/d로, T-P 부하량은 영본 C1 지점 이 5.209 kg/d로 가장 높게 산정되었다. 영본C3 지점의 경 우 평균 유량은 많으나 부하량이 적게 산정되어 오염원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영본C1 지점은 평균 유량이 적 으나 부하량이 높게 산정되어 오염원이 많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4.2. 초과율 분석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각 지점의 초과율을 평가한 결과, BOD는 영본C1 지점이 5년 평균 75.83 %로 가장 높았으 며, 영본C3 지점은 72.15 %, 영본C2 지점은 68.78 %으로 분석되었다. T-P의 5년 평균은 영본C2 지점이 71.95 %, 영 본C3 지점이 69.86 %, 영본C1 지점이 69.19 %로 분석되어 목표수질 평가 기준인 50 %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 역관리를 위해서는 영본C1 지점은 BOD 및 T-P를 영본C2, 영본C3 지점은 T-P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3. 오염원 분석

목표수질 초과율을 유량초과확률 구간별로 나누어 오염 원의 초과원인을 분석한 결과, 영본C1 지점은 유량상위 상 위구간에서 초과율이 하위구간보다 높게 평가되어 비점오 염원의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영본C2 지점은 유량 하위구간에서 초과율이 상위구간보다 높게 나타나 점오염 원의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50 % ~ 90 % 구간에 서 초과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오염원의 유입은 평수기, 저수기에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본C3 지점의 초과율 은 구간별 편차가 작게 나타나 점·비점오염원의 영향을 받 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측정망 자료를 활용하 여 목표수질 평가를 위한 초과율을 산정하고, 이를 유량초 과확률 구간별로 구분하여 평가함으로써 유역관리를 위한 오염원의 초과원인을 분석하였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측정망의 목적에 맞게 이행평가 등 의 자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하여 오 염원의 분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수질관리 정책의 시 행 및 수립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3, [Korean Literature], Basic Policy on the Total Pollution Load Control, Ministry of Environment
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2017, [Korean Literature], Small Watershed Monitoring in Yeongsan and Sumjin River Basin Project Report, 11-1480356-000067-1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3 
Nevada, 2003, Load Duration Curve Methodology for Assessment and TMDL Development, Nevada Divis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4 
Park J. D., Cheon S. E., Kim Y. S., Park C. H., Park B. K., Oh S. Y., 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Water Quality Goal Attainment for the Management of TMD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NIER-RP 2011-1374
5 
U. S. EPA Office of Wetlands, Oceans and Watersheds (U. S. EPA), 2007, An Approach for Using Load Duration Curves in the Development of TMDLs, EPA 841-B-07-006, U. S. EPA Office of Wetlands, Oceans and Watersheds, pp.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