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Department of Life Science,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ublic of Korea)



Benthic macroinvertebrates, Environmental flow, Habitat Suitability Index, Hwayang stream

1. Introduction

1990년대부터 하천복원사업이 활발하게 시행됨에 따라 생 태하천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요구가 증대하였으며 환경유 량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Song, 2010). 하도내(instream) 환경유량은 하도의 구조와 수생태계의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요구되는 유량을 의미한다(Thame, 2003). 하천에 적 합한 환경유량을 산정하려면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군에 적 합한 공간과 흐름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물군 의 물리적 서식처 해석에 관련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외국의 경우 1970년대부터 미국에서 연어과의 개체수 감 소에 대한 대책으로 어류서식처 보전을 위한 환경유량산정 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Bovee and Cochnaeur, 1977). 이 후 유지유량증분법(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IFIM)을 이용한 어류의 종별, 성장단계별 수리량을 환산 하여 하천의 유지유량을 결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Stanlnaker el al., 1995). IFIM을 적용한 서식처적합도지수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는 수심과 하상의 재료, 유속 등의 물리적 환경요인에 대한 수중생물의 선호도를 표현하 기 위해 사용된다(Vadas and Orth, 2001; Vismara et al., 2001). 외국의 경우 어류와 더불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을 이용한 환경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 있 다(Gore et al., 2001; Jowett et al., 1991; Li et al., 2009; Thame, 2003). 국내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하천 유역의 특성과 생태계 개념을 고려하여 어류를 대상으로 서식처 적 합도를 적용한 환경유량 산정연구가 진행되었다(Kim, 1999; Sung et al., 2005; Woo et al., 199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하천생태계의 다양한 환경요인 과 서식처에 따라 적응방식이 다양하며(Vannote et al., 1980), 어류상이 빈약한 낮은 차수의 하천에서도 다양하고 풍부한 생물상을 가진다(Barbour et al., 1999; Gore et al., 2001). 또한 어류에 비해 이동성이 낮아 유량변화와 서식처 교란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하천의 최적유량을 산정 하는데 있어 중요한 생물학적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Gore, 1989; Gore and Milner, 1990; Wilhm and Dorris, 1968).

이처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하천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원임에도 불구하고 생물의 서식처 적합도를 고려한 환 경유량 산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Kong and Kim (2017)이 가평천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을 대상으로 유속, 수심, 하상의 기질등 물리적 환경요인 의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Kong and Kim (2017)에서 선정 한 가평천은 비교적 높은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질 도 양호하지만, 단일 하천에 대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군 HSI만을 산정하였으며 0.5 m 이상의 깊은 수심과 1.2 m/s 이상의 빠른 유속 자료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양천을 대상하천으로 선정하여 흔히 출 현하는 속(genus)단위의 주요 분류군이 가지는 서식처 적합 도를 도출하였다. Kong and Kim (2017)의 결과를 보완하 기 위해 조사도구를 차별화하여 0.2 ~ 0.9 m의 수심범위의 다양한 미소서식처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두 하천 모 두 수질이 양호하기 때문에 이화학적 조건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두 하천에서 물리적 환경요인의 차이에 따른 저 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두 하 천의 결과를 가중평균하여 각 분류군에 대한 통합 서식처 적합도를 새롭게 구축하였다. Kong and Kim (2017)의 연 구와 같이 환경요인의 구간별 생물출현도를 확률질량함수 로 변환하고 와이블(Weibull)함수(Weibull, 1951)를 접목시 킨 확률밀도함수를 적용하여 통계적으로 HSI를 도출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총괄적인 국내 저서성 대형무 척추동물군의 HSI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자료의 수집

조사대상 하천으로 선정된 화양천은 충청북도 괴산군 청 천면 이평리에서 발원하며 하천 연장은 10.5 km, 유로연장 은 18.6 km, 유역면적은 105.79 km2이다. 현장조사는 2016 년 9월 23일(1차), 2017년 4월 10일(2차) 총 2회에 걸쳐 실시 되었다. 조사지점의 상세한 위치정보는 충청북도 괴산군 청 천면 화양리 산 14-21 (N: 36°39' 57.96", E: 127°48' 53.90") 이다.

가평천과 화양천의 통합 HSI를 도출하기 위해 Kong and Kim (2017)의 지점별 방형구 자료를 이용하였다.

2.2. 현장조사 및 동정

현장 조사방법은 하천의 수폭 규모를 고려하여 전체 조사 구간을 설정한 후 동일한 간격으로 15개 구간을 나누었다. 하류에서 상류방향으로 이동하며 각 횡단선 당 1개의 조사 정점을 선택하여 D-frame net (폭: 30 cm, 길이: 120 cm, 망목: 500 μm)로 정량 채집하였다. 총 조사단위(sampling unit)는 30개(1지점×15개 방형구×2회 조사)이며 채집한 시 료는 각 조사단위별로 번호를 부여하여 500 ml 플라스틱 병에 개별적으로 넣어 현장에서 95 % Ethyl alcohol에 고 정하였다.

실험실에서 각 방형구별 채집물로부터 생물시료를 골라낸 후 동정하여 80% Ethyl alcohol에 보존하였다. 동정과 분류 는 기존의 분류학적 문헌을 참고하였다 (Kawai and Tanida, 2005; McCafferty, 1981; Merritt and Cummins, 1996; Pennak, 1989; Throp and Covich, 2001; Wiederholm, 1983; Won et al., 2005; Yoon, 1988).

2.3. 물리적 환경요인

각 방형구의 유속(water current), 수심(water depth), 하상 기질(substrate)을 현장에서 조사하였다. 유속과 수심은 쇠자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Craig, 1987). 하상기질의 입경은 Cummins (1962)의 기준에 따라 boulder (Dm > 256 mm, Φ < -8; Dm :입경(mm), Φ = Log 2 D m ), cobble (Dm = 64 ~ 256 mm, Φ = -8 ~ -6), pebble (Dm = 16 ~ 64 mm, Φ = -6 ~ -4), gravel (Dm = 2 ~ 16 mm, Φ = -4 ~ -1), sand 이하(Dm ≤ 2 mm, Φ ≥ -1)의 5단계로 구분하고 하상 표면의 면적비를 기준으로 평균입경을 산출하였다.

하상의 입경가적곡선은 와이블 모형을 적용하여 도출하 였고 함수식으로부터 평균입경을 산출하였다.

2.4. 군집분석

화양천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군별 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정준대응 분석(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을 실시 하 였다.

2.5. 수학적 모형을 이용한 생물의 서식처적합도 평가

본 연구에서 화양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처 적합도를 파악하기 위한 대상 요인은 유속(U), 수심(H), 하 상의 평균입경(Φm)이었다.

HSI의 산정은 Kong and Kim (2017)이 가평천에서 저서 성 대형무척추동물군의 HSI를 산정하기 위해 적용한 변형 된 와이블 모형을 따랐다[식 (1)]. 이 모형은 요인 값(x)과 누적개체수(Ai)의 관계를 적합하게 해석하여 이론적인 최대 치(Am)를 추정할 수 있다. HSI 개발과정에서 누적밀도함수 (Cumulative Density Function, CDF)[식 (2)]와 확률밀도함 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식 (3)]를 추출하였다. HSI는 0 ~ 1의 범위를 가진다. 추출된 각 생물군의 통계량 (평균, 중위수, 최빈수, 분산, 4분위수, 특정 출현확률의 해 당 요인 값)을 적용하여 서식처적합도 평가에 활용하였다.

(1)
HSI = k 1 k 1 k k x + c λ k 1 e k 1 k x + c λ k = λ k e k 1 k k 1 k 1 k k weibull x + c

k :형상모수(shape parameter)

λ :척도모수(scale parameter)

c :위치모수(location parameter) 또는 역치모수(threshold parameter)

(2)
F x = A i / A m = 1 e x + c / λ k

Ai : 각 요인의 구간별 출현조사단위 기준의 평균개체수를 누적한 값

Am : 요인값과 누적개체수의 관계를 적합하게 해석할 수 있 는 이론적 최대값

(3)
f x = k λ x + c λ k 1 e x + c λ k

요인 값(x)과 누적개체수(Ai) 관계식의 모수(Am, c, λ, k) 는 모형 추정치와 실측치의 평균제곱근오차(RMSE)가 최소 가 될 때까지 시행착오법으로 추출하였다.

특정 환경요인에 대한 각 생물군의 적응 유형은 각 생물 군의 최빈수에서 총 출현 생물군 최빈수의 4분위수 중앙 치를 뺀 값(Q_Mode)을 X축으로, 각 생물군의 표준편차에 서 총 출현 생물군 표준편차의 4분위수 중앙치를 뺀 값 (Q_STD)을 Y축으로 하여 16단계로 유형화하였다.

Q_Mode = Mode – (Qm1 + Qm3)/2

Q_STD = STD – (Qs1 + Qs3)/2

Qm1 :최빈수의 제1사분위수(1st Quartile of modes)

Qm3 :최빈수의 제3사분위수(3rd Quartile of modes)

Qs1 :표준편차의 제1사분위수(1st Quartile of standard deviation)

Qs3 :표준편차의 제3사분위수(3rd Quartile of standard deviation)

Q_Mode의 값이 크고 Q_STD의 값이 작은 생물군은 큰 값의 환경요인에 대해 제한된 범위에 적응되어 있는 협호 성(stenophilic), Q_Mode의 값이 작고 Q_STD의 값이 큰 생물군은 작은 값의 환경요인을 선호하지만 광범위한 범위 에 적응되어 있는 광혐성(euryphobic)으로 분류하였다(Table 1).

Table 1. Scheme on preference and adapta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or habitat factors
Preference Adaptation

Q_ModeQm1 phobic Q_STDQs1 steno
Qm1 < Q_Mode ≤ 0 phobious Qs1 < Q_STD ≤ 0 m-steno
0 < Q_ModeQm3 philous 0 < Q_STDQs3 m-eury
Q_Mode > Qm3 philic Q_STD > Qs3 eury

3. Results and Discussion

3.1. 물리적 요인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총개체수의 관계

화양천에서 각 방형구별 물리적 요인과 저서성 대형무척 추동물의 출현종수는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보였으나, 총 개체수와 유속 및 하상의 평균입경은 유의한 관계를 보였 다(Fig. 1). 유속이 빨라지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총 개체수 가 증가하였고, 세립질의 하상일수록 개체수가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다. 프루드 수(Froude number, Fr = u / gD u :유 속, g :중력가속도, D :수심)는 관성력과 중력의 비를 나타 내는 수로 유속에서 중력이 차지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프 루드 수에 따른 종수와 총 개체수의 변화는 유속과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조사단위 중 빠른 유속값을 가지는 서식처에서 날도래류 등의 붙는 무리가 선택적으로 증가하 였을 것으로 보인다(Fig. 1 d1, d2).

Fig. 1.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species/total individual abundance and three habitat factors (a) current velocity, (b) water depth and (c) mean diameter of substrate of each quadrat (d) Froude number.
../../Resources/kswe/KSWE.2017.34.1.10/JKSWE-34-10_F1.jpg

Rabeni and Minshall (1977)은 하상재료가 채워진 트레이 (tray)에 유속, 하상의 입경, 유기물의 분포를 달리하여 각 실험조건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연구결과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여울(riffle)영역의 트레이에서 소(pool)영역보다 31 % 더 많은 생물이 출현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생물군의 서식영역 크기는 실험조건 중 가장 작은 직경인 0.5 ~ 0.7 cm에서 가 장 작았으며 직경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가장 큰 직경인 4.5 × 7.0 cm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Rabeni and Minshall (1977) 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며 이를통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이 빠른 유속과 조립질의 하상에서 풍부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Jowett (2003)는 뉴질랜드의 강에서 얻은 자료로부터 물 리적 환경요인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의 출 현양상은 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0.05 ~ 0.20 m의 수심과 0.05 ~ 0.40 m/s의 유속에서 가장 풍부하 게 출현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규모가 큰 강에서는 0.3 ~ 0.5 m의 수심과 0.5 ~ 1.0 m/s의 유속에서 가장 풍부한 양상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화양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은 Jowett (2003)의 결과와 전반적으로 차이가 없었으 나, 수심은 비교적 깊은 범위에서 더 많은 종과 개체가 출 현하였다.

Degani et al. (1993)은 이스라엘 북부의 Dan 강에서 저 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출현한 유속 범위는 5 ~ 120 cm/s, 수심은 30 cm 미만이라고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분류군이 80 ~ 100 cm/s의 유속에서 출현하였으며 유량이 줄어들수록 생물군의 출현종수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 서 생물군이 출현한 유속 범위는 0 ~ 1.2 m/s로 Degani et al. (1993)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수심은 0.2 ~ 0.9 m로 더 깊은 수심에서도 출현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풍부도는 하상의 기질이 불안정 하고 교란을 받으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Death, 1996; Death and Winterbourn, 1995; Townsend et al., 1997a, 1997b). 같은 관점에서 조립질의 하상은 세립질의 하상보 다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생물군이 풍부하게 분포할 수 있 다(Death, 2000). 화양천의 결과 역시 조립질의 하상일수록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와 개체수는 증가하는 양상 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화양천의 저서성 대형무척 추동물은 Rabeni and Minshall (1977)의 결과와 유사하며 Degani et al. (1993) 또는 Degani et al. (1993)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빠른 유속을 선호하였으나, 수심의 선호도는 차 이가 있었다.

3.2. 화양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물군의 서식처 적합도 평가

화양천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중 상대적으 로 출현빈도가 높았던 속(Genus)단위 24개 생물군을 대상 으로 환경요인별 출현특성을 분석하였다(Fig. 2).

Fig. 2.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ordination diagram with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habitat factors (current velocity, water depth, composition of substrate) in the Hwayang stream.
../../Resources/kswe/KSWE.2017.34.1.10/JKSWE-34-10_F2.jpg

정준대응분석(CCA) 결과 생물군에 대한 각 주성분의 점 수에 대한 상관도는 제I주성분에 유속이 0.917, 제II주성분 에 하상의 평균 Φ 값이 -0.545, 제III주성분에 수심이 0.717 로 가장 높았으며, 생물군 분포의 분산도를 결정하는 세 가 지 물리적 환경요인 중 유속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제I주성분 축의 오른쪽으로 갈수록 유속이 빠 른 곳에 주로 서식하는 생물군이 위치하였고(예로 Baetiella, Epeorus, Hydropsyche), 수심이 깊은 곳에서 출현하는 생 물군일수록 제III주성분축의 위쪽에(예로 Potamanthus, Ephemerella, Ephemera) 위치하였다.

유속에 따른 각 생물군의 출현도를 와이블 모형으로 해 석하여 각 요인의 평균, 4분위수와 중위수, 최빈수, 90% 확률범위를 산출하였다(Fig. 3). 화양천의 생물군은 유속에 따른 출현양상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나타났다. Baetiella, Epeorus, Uracanthella, Hydropsyche는 빠른 유속 범위에서 집중적으로 출현하였으며 Procloeon, Potamanthus, Rhoenanthus, Mataeopsephus, Mystacides는 느린 유속에서 출현 하였다. 생물군별 유속의 최빈수와 중위수는 대체로 평균에 비해 크거나 같아 부적편포(negatively skewed distribution) 하거나 정규분포를 이루는 경향을 보였다. 유속이 느린 환 경에서 출현하는 일부 종들은 평균에 비해 최빈수와 중위 수가 작아 정적편포(positively skewed distribution)하는 것 을 알 수 있다(Appendix 1 참고).

Fig. 3. Distribution patterns of 24 benthic macroinvertebrate taxa according to physical habitat factors (a) current velocity, (b) water depth, (c) mean diameter of substrate in the Hwayang stream.
../../Resources/kswe/KSWE.2017.34.1.10/JKSWE-34-10_F3.jpg

Thirion (2016)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다양한 하천에서 저 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선호하는 물리적 서식처에 대한 연 구를 과(family) 단위에서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는 특정 유속이나 수심을 선호하지 않았으 나 주로 10 ~ 30 cm의 수심에서 출연하였고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는 0.3 ~ 0.6 m/s의 빠른 유속과 30 cm 미 만의 얕은 수심, 호박돌(cobble)의 하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했다. Caenidae (등딱지하루살이과)는 주로 10 ~ 30 cm 의 수심을 선호하며 0.1 m/s의 느린 유속을 선호하는 것으 로 보고했다. Psephenidae (물삿갓벌레과)는 명확하게 선호 하는 수심은 없었고 0.3 ~ 0.6 m/s의 빠른 유속과 호박돌의 하상을 선호한다고 보고했다.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는 20 ~ 30 cm의 수심과 0.6 m/s 이상의 빠른 유속을 선호 하며 호박돌의 하상을 선호하지만 속과 종(species)에 따라 선호도가 차이가 난다고 밝혔다. Leptoceridae (나비날도래 과)는 서식처가 다양하고 일반적으로 정체된 수역을 선호 하며 20 ~ 30 cm의 얕은 수심을 선호하지만 명확한 유속이 나 하상재료에 대한 선호도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Li et al. (2009)은 중국의 Xiangxi 강에서 시행된 장기 모 니터링에서 나타난 최우점종인 Baetis spp.를 목표 종(target species)으로 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Baetis spp.의 적합 수 심은 0.1 ~ 0.3 m(최적의 수심은 0.2 m)였으며 0.9 m보다 깊은 곳에서는 해당 종이 출현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적 합 유속은 0.3 ~ 0.7 m/s였고 유속이 1.5 m/s보다 빠르면 생 육이 제한받는 것으로 보았다. 적합한 하상기질은 호박돌 (cobble)이었다.

Kong and Kim (2017)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CincticostellaCaenis는 최빈수<중위수<평균의 경향이 뚜렷하게 나 타나 느린 유속에서 집중적으로 출현하며 정적편포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양천에 출현한 Baetis, Choroterpes, Caenis, Psephenoides, HydropsycheThirion (2016)의 보고보다 빠른 유속에 적응해 있는 것으로 보 인다.

본 연구에서는 Kong and Kim (2017)의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조사도구를 차별화하여 0.2 ~ 0.9 m의 다양한 수심범 위에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평천과 화양천에서 동 시에 출현한 생물군의 최적수심이 대체로 Kong and Kim (2017)의 결과보다 깊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생물군에서 수 심은 평균과 최빈수, 중위수가 비슷하게 나타나 정규분포하 는 경향이 나타났다. Dugesia, Ecdyonurus, Choroterpes는 최빈수<중위수<평균의 경향을 보이며 정적편포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Cincticostella, Cheumatopsyche는 수심이 얕 은 곳에 집중 분포하였으며 Ecdyonurus는 다양한 범위에서 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etis, Choroterpes, Caenis, Hydropsyche, MystacidesThirion (2016) 보고보다 깊은 수심에 적응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Appendix 2 참고).

화양천에서 출현한 생물군은 Kong and Kim (2017)의 결 과에 비해 세립질의 하상에 분포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조립질의 하상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가평천과 화양천이 물리적인 하상의 조성이 상이 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화양천에서 생물군별 하상입경의 분포는 대부분 최빈수와 중위수가 평균과 큰 차이가 없어 정규분포하는 경향을 알 수 있으나 일부 Dugesia, Epeorus, Uracanthella, Rhyacophila는 최빈수<중위수<평균의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 정적편포 하는 양상을 나타냈다(Appendix 3 참고).

3.3. 가평천과 화양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물군 의 통합 서식처적합도 평가

물리적 요인에 대한 가평천(Kong and Kim, 2017)과 화 양천의 주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처 적합도지수 결과를 비교하였다.

하천의 조사규모가 다르기 때문에 HSI를 등가로 인정하 여 합성하는 방법은 바람직 하지 않다. 가장 합리적인 방 법은 각 방형구수를 가중치로한 가중평균 출현개체수를 합 성 HSI의 가중치로 적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수치상의 가중평균이 아닌 기존의 원시자료(raw data)에 새롭게 조사 된 자료를 계속 누적해가며 환경요인에 따른 누적확률이 1 이 되는 확률밀도함수를 새롭게 제시하는 것이다.

그 예시로 하상의 입경에 따른 가평천, 화양천 및 두 하천 의 결과를 통합한 Hydropsyche의 평균출현밀도를 구하였다 (Fig. 4). n1과 n2값은 각각 가평천과 화양천에서 Hydropsyche 가 출현한 방형구 수이며 N값은 두 하천의 방형구를 통합 한 것으로 N = n1 + n2 이다. 하상기질의 평균입경(Φm)이 -3 ~ -2 구간에서, 가평천과 화양천의 Hydropsyche의 방형구수 는 1로 동일하기 때문에 통합 자료의 결과는 두 하천의 평 균과 같다. Φm이 -5 ~ -4 구간에서, 가평천은 12개의 방형 구에서 총 79개체가 출현하여 방형구당 6.583개체가 출현 하였고, 화양천에서는 1개의 조사단위에서 44개체가 출현 하여 방형구당 44개체가 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가평천과 화양천 자료를 가중평균하여 계산한 방형구당 출현개체수 는 9.46이었다. 두 하천의 결과값이 단순합성 되는 것이 아 니라 가중합성 되는 것이기 때문에 각 요인의 구간에 그래 프 모양이 방형구 수가 많은 쪽으로 치우쳐서 합성된다. 본 연구의 경우 방형구 수가 많은 가평천의 결과와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다. Φm이 -9 ~ -6 구간에서 Hydropsyche는 가평천에서만 출현하였기 때문에 통합 자료의 결과는 가평 천의 결과와 일치하게 된다.

Fig. 4. The mean density per the number of replicates of Hydropsyche, according to mean diameters of substrate.
../../Resources/kswe/KSWE.2017.34.1.10/JKSWE-34-10_F4.jpg

화양천에서 Baetis의 적합유속은 0.6 ~ 1.2 m/s로 Kong and Kim (2017)이 제시한 0.6 ~ 1.0 m/s에 비해 더 빠른 유 속에서 적합도를 보였다(Fig. 5) 가평천에서 Baetis는 0.1 m 이하의 얕은 수심에서 집중적으로 출현하였지만 화양천에 서는 0.5 m 내외의 수심에서 최적의 적합도를 보이며 정규 분포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평균입경에 따른 서식처적합도 지수 곡선은 두 하천에서 거의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화양천과 가평천의 유속자료를 통합한 결과 Baetis의 최적 유속은 0.7 ~ 1.2 m/s 화양천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화양천과 가평천에서 Baetis의 최적수심은 상이하게 나타났 으며 수심자료를 통합한 결과 Baetis의 최적 수심은 0.1 ~ 0.6 m로 지수곡선의 분포가 양옆으로 넓은 형태로 나타났 다. 하상의 입도에 따른 서식처 적합도 곡선의 분포는 차 이가 크지 않았다.

Fig. 5. Habitat suitability index ofBaetis(a) Current velocity, (b) depth and (c) mean diameter of substrate developed in the Hwayang, Gapyeong stream and integration (The calculated equation is the integrated HSI of the two stream).
../../Resources/kswe/KSWE.2017.34.1.10/JKSWE-34-10_F5.jpg

화양천과 가평천에서 출현한 Bsetis의 통합 HSI는 Li et al. (2009)Thirion (2016)의 결과와 약간의 차이를 보이 며 빠른 유속, 깊은 수심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화양천에서 Ephemera는 가평천의 결과와 유사한 0.4 m/s 이내의 느린 유속에서 적합도가 높은 정적편포의 양상을 보였다(Fig. 6). Ephemera의 최적수심은 가평천과 화양천 모두 HSI값이 1을 만족하는 수심을 기준으로 넓은 범위에 서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화양천이 더 깊은 수심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양천에서 Ephemera는 가평천 의 결과보다 세립질의 하상을 선호하는 양상을 보였다. 화 양천과 가평천의 통합 서식처 적합도 곡선을 산정한 결과 유속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심과 하상의 입경에 따른 서식처 적합도는 두 하천의 적합도 곡선의 중 간값에서 최적의 분포를 보였다.

Fig. 6. Habitat suitability index ofEphemera(a) Current velocity, (b) depth and (c) mean diameter of substrate developed in the Hwayang, Gapyeong stream and integration (The calculated equation is the integrated HSI of the two stream).
../../Resources/kswe/KSWE.2017.34.1.10/JKSWE-34-10_F6.jpg

화양천에서 Hydropsyche의 적합유속은 0.8 ~ 1.2 m/s로 비교적 빠른 유속에서 적합도가 높게 나타나는 부적편포의 양상을 보이며 가평천의 결과보다 좁은 범위에서 서식처 적 합도 곡선의 분포를 보였다(Fig. 7). Hydropsyche는 가평천 에서 0.1 ~ 0.2 m 수심에서 최대치를 보였으나 화양천에서 최적수심은 0.5 m 내외로 가평천의 결과와 비교해서 깊은 수심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양천에서 HydropsycheΦm이 -5 내외의 잔자갈(pebble)에서 최적의 적합도를 나타냈으며 가평천의 결과보다 비교적 세립질 하상을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속에 대한 화양천과 가평천의 통 합 서식처 적합도 곡선은 화양천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 났으나 수심과 하상의 기질은 두 하천의 곡선 분포와 큰 차이를 보였다. 그 이유는 화양천에서 Hydropsyche의 출현 밀도가 적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Fig. 7. Habitat suitability index ofHydropsyche(a) Current velocity, (b) depth and (c) mean diameter of substrate developed in the Hwayang, Gapyeong stream and integration (The calculated equation is the integrated HSI of the two stream).
../../Resources/kswe/KSWE.2017.34.1.10/JKSWE-34-10_F7.jpg

화양천과 가평천에서 출현한 생물군의 출현개체수를 통합하여 유속의 최빈수 및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적응 유형을 구분하였다(Fig. 8, Table 2). Dugesia를 비롯한 Potamanthus, Serratella (본 연구에서는 Ephemerella), Caenis, Rhyacophila의 적응유형은 Kong and Kim (2017)의 결과 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아래에서 제시하는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제시된 생물군의 적응유형을 제외한 이외의 속에서 는 변동이 있었다. Nigrobaetis는 광호류성(Euryrheophilic), Gumaga는 중협약호류성(m-stenorheophobious), Baetiella 는 협호류성(Stenorheophilic)으로 빠른 유속을 선호하는 것 으로 볼 수 있다. Semisulcospira는 광혐류성(Euryrheophobic), Psychomyia는 광약혐류성(Euryrheophobious)으로 느린 유속을 선호하지만 변이는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Psephenoides는 중 협약혐류성(m-stenorheophobious), ProcloeonRhoenanthus, MataeopsephusMystacides는 협혐류성(Stenorheophobic) 으로 느린 유속을 선호하며 변이가 작은 것으로 볼 수 있다.

Fig. 8. Rheophility of 27 benthic macroinvertebrate taxa in the Gapyeong and Hwayang stream integration (Q_Mode and Q-STD indicate the adjusted level of modal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of current velocity, respectively).
../../Resources/kswe/KSWE.2017.34.1.10/JKSWE-34-10_F8.jpg
Table 2. Types of preference and adapta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or habitat factors in the Gapyeong and Hwayang stream integration
Taxa Rheophility Potamophility (Depth) Lithophility

Dugesia m-euryphilous Euryphobic m-euryphilous
Semisulcospira Euryphobic m-stenophilic Euryphobic
Acentrella m-stenophilous m-stenophobious m-stenophilic
Baetiella Stenophilic Stenophilic Stenophobious
Baetis m-euryphilic m-euryphobious m-stenophobious
Nigrobaetis Euryphilic Stenophilous Stenophilous
Procloeon Stenophobic Euryphobious Stenophobic
Ecdyonurus Euryphobious Euryphilous Euryphilic
Epeorus Euryphilic m-stenophobious m-euryphilous
Choroterpes m-euryphobious Euryphobic Euryphilous
Potamanthus Stenophobious m-euryphilic m-stenophobious
Rhoenanthus Stenophobic m-euryphilic m-stenophobic
Ephemera m-euryphobic Euryphilous m-stenophobic
Cincticostella m-euryphilic Stenophobic Stenophilous
Ephemerella Stenophilous m-euryphobic Stenophobious
Uracanthella Euryphilous m-euryphobic Stenophilous
Caenis Euryphobic Euryphobic m-euryphilic
Mataeopsephus Stenophobic m-stenophilic m-stenophobic
Psephenoides m-stenophobious Stenophobious Euryphilic
Rhyacophila m-euryphilous m-euryphilous Euryphobious
Stenopsyche m-euryphilous Stenophobious Stenophilic
Cheumatopsyche m-euryphilic Stenophobic m-euryphilic
Hydropsyche m-euryphilic Stenophilous m-stenophilic
Psychomyia Euryphobious Euryphobious Euryphilous
Plectrocnemia m-stenophobious m-stenophilic m-stenophobious
Gumaga m-stenophilous m-stenophilic m-stenophobic
Mystacides Stenophobic m-stenophilous m-euryphobic

수심에 대한 유형은 Nigrobaetis, Ecdyonurus, Ephemera, Rhyacophila, Hydropsyche, Mystacides, Semisulcospira, Baetiella, Potamanthus, Rhoenanthus, Mataeopsephus, Gumaga, Plectrocnemia는 약호심성~호심성(potamophilous ~ potamophilic), Baetis, Procloeon, Epeorus, Psephenoides, Psychomyia, Acentrella, Stenopsyche, Dugesia, Choroterpes, Cincticostella, Ephemerella, Uracanthella, Caenis, Cheumatopsyche는 약혐심성~혐심성(potamophobious ~ potamophobic) 이었다(Table 2).

하상의 입도에 대한 유형은 Ecdyonurus, Caenis, Psephenoides, Cheumatopsyche, Hydropsyche, Acentrella, Stenopsyche는 호조성(lithophilic), Dugesia, Nigrobaetis, Epeorus, Choroterpes, Cincticostella, Uracanthella, Psychomyia는 약 호조성(lithophilous), Baetiella, Baetis, Potamanthus, Ephemerella, Rhyacophila, Plectrocnemia는 약혐조성(lithophobious), Semisulcospira, Procloeon, Rhoenanthus, Ephemera, Mataeopsephus, Gumaga, Mystacides 는 혐조성(lithophobic) 이었다(Table 2).

4.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화양천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인을 분석하고 각 환경요인에 따른 생물의 서식처 적합도를 산정하였다. 화양천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 는 가장 중요한 물리적 요인은 유속으로 수심과 하상의 기 질은 부차적인 요인이었다. 또한 화양천의 저서성 대형무척 추동물은 빠른 유속, 깊은 수심, 조립질의 하상에서 총 종 수와 개체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화양천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처적합 도지수는 와이블 함수를 접목한 연속적인 확률밀도함수를 적용하여 통계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국내의 연구결과 와 비교한 후 통합 HSI를 도출하였다.

기존에 발표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군의 서식처 적합 도와 본 연구에서 산정된 결과는 유속과 하상에 대하여 전 반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심에 대해서는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1) 기존의 조사에서 미계측 된 범위의 자료가 추가되었기 때문이거나 2) 화양천의 저 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더 깊은 수심범위에서 적응하였다 고 추정할 수 있다. 1.2 m/s 이상의 유속에 대한 자료가 전 무하기 때문에 보다 신뢰성있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군 의 보편적 HSI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물리적 환경요 인을 고려한 추가 조사가 후속될 필요가 있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14년도 환경부의「환경생태유량 산정기준 연 구 및 시범산정 연구」의 결과를 재분석 및 재해석한 것으 로서 논문의 기초가 이루어지게 한 환경부에 감사드립니다.

Appendices

Appendix 1. Values of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parameters, central tendency and standard deviation of current velocity according to major benthic macroinvertebrate taxa in the Hwayang stream

Taxa Parameters in Weibull function Mean
(μ, m/s)
Median
x ˜ , m / s
Mode
x ˆ , m / s
Standard deviation
(m/s)

Shape (k) Scale (λ) Threshold (c, m/s)

Dugesia 4.87 0.66 0.27 0.33 0.34 0.35 0.13
Semisulcospira 4.07 1.34 0.64 0.61 0.60 0.61 0.30
Baetiella 18.51 1.09 0.00 1.05 1.06 1.08 0.07
Baetis 5.44 1.72 0.81 0.79 0.81 0.85 0.32
Nigrobaetis 6.81 2.41 1.39 0.88 0.90 0.96 0.36
Procloeon 1.86 0.32 0.02 0.27 0.25 0.19 0.161
Ecdyonurus 1.36 0.41 0.00 0.37 0.31 0.15 0.28
Epeorus 20.18 1.69 0.59 1.06 1.07 1.10 0.10
Choroterpes 1.86 0.72 0.00 0.64 0.59 0.48 0.36
Potamanthus 3.38 0.59 0.21 0.33 0.32 0.32 0.16
Rhoenanthus 1.91 0.30 0.01 0.26 0.24 0.19 0.15
Ephemera 1.41 0.40 0.00 0.37 0.31 0.17 0.26
Cincticostella 1.99 0.62 0.00 0.55 0.51 0.44 0.29
Ephemerella 2.81 1.33 0.53 0.71 0.60 0.68 0.41
Uracanthella 15.51 3.19 2.12 0.97 1.00 1.06 0.24
Caenis 1.41 0.67 0.02 0.59 0.50 0.26 0.44
Mataeopsephus 2.95 0.37 0.04 0.29 0.28 0.28 0.12
Psephenoides 1.32 0.36 0.01 0.32 0.26 0.11 0.25
Rhyacophila 10.63 3.68 2.75 0.81 0.83 0.90 0.34
Cheumatopsyche 3.25 0.82 0.00 0.73 0.73 0.73 0.25
Hydropsyche 12.20 2.33 1.33 0.90 0.93 0.98 0.22
Psychomyia 9.04 3.19 2.35 0.73 0.74 0.80 0.33
Gumaga 1.38 0.25 0.00 0.23 0.19 0.10 0.17
Mystacides 48.34 0.94 0.75 0.19 0.19 0.20 0.02

Appendix 2. Values of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parameters, central tendency and standard deviation of water depth according to major benthic macroinvertebrate taxa in the Hwayang stream

Taxa Parameters in Weibull function Mean
(μ, m/s)
Median
x ˜ , m / s
Mode
x ˆ , m / s
Standard deviation
(m/s)

Shape (k) Scale (λ) Threshold (c, m/s)

Dugesia 1.72 0.59 - 0.53 0.48 0.36 0.32
Semisulcospira 2.40 0.57 - 0.50 0.49 0.46 0.22
Baetiella 7.10 0.59 - 0.55 0.56 0.58 0.09
Baetis 2.90 0.52 - 0.47 0.46 0.45 0.17
Nigrobaetis 3.87 0.50 - 0.45 0.45 0.46 0.13
Procloeon 4.16 0.70 - 0.63 0.64 0.65 0.17
Ecdyonurus 1.27 0.56 - 0.52 0.42 0.16 0.41
Epeorus 6.03 0.55 - 0.51 0.51 0.53 0.10
Choroterpes 1.99 0.71 - 0.63 0.59 0.50 0.33
Potamanthus 3.31 0.76 - 0.68 0.68 0.68 0.23
Rhoenanthus 3.52 0.75 - 0.68 0.68 0.68 0.21
Ephemera 2.68 0.76 - 0.67 0.66 0.63 0.27
Cincticostella 2.22 0.37 - 0.33 0.32 0.28 0.16
Ephemerella 3.79 0.67 - 0.60 0.60 0.61 0.18
Uracanthella 4.05 0.57 - 0.52 0.52 0.53 0.14
Caenis 2.43 0.74 - 0.66 0.64 0.60 0.29
Mataeopsephus 3.37 0.67 - 0.60 0.60 0.60 0.20
Psephenoides 3.44 0.44 - 0.40 0.40 0.40 0.13
Rhyacophila 3.91 0.60 - 0.54 0.55 0.56 0.16
Cheumatopsyche 2.57 0.37 - 0.33 0.32 0.31 0.14
Hydropsyche 4.87 0.49 - 0.45 0.46 0.47 0.11
Psychomyia 3.97 0.67 - 0.61 0.61 0.62 0.17
Gumaga 3.92 0.58 - 0.53 0.53 0.54 0.15
Mystacides 3.00 0.57 - 0.51 0.50 0.49 0.18

Appendix 3. Values of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parameters, central tendency and standard deviation of substrate according to major benthic macroinvertebrate taxa in the Hwayang stream [Dm : mean diameter (mm), Φ = Log 2 D m ]

Taxa Parameters in Weibull function Mean
(μ, m/s)
Median
x ˜ , m / s
Mode
x ˆ , m / s
Standard deviation
(m/s)

Shape (k) Scale (λ) Threshold (c, m/s)

Dugesia 1.63 4.03 7.00 -3.39 -3.78 -4.75 5.15
Semisulcospira 3.02 6.77 7.75 -1.70 -1.75 -1.82 4.79
Baetiella 3.62 4.28 9.00 -5.14 -5.13 -5.09 1.40
Baetis 3.20 4.52 9.00 -4.95 -4.97 -4.98 1.93
Nigrobaetis 4.12 3.38 8.00 -4.93 -4.90 -4.84 0.70
Procloeon 2.60 3.74 7.00 -3.68 -3.75 -3.90 1.89
Ecdyonurus 3.01 5.79 9.00 -3.83 -3.87 -3.93 3.52
Epeorus 1.55 3.06 7.00 -4.25 -4.58 -5.43 3.28
Choroterpes 2.79 5.63 8.00 -2.99 -3.07 -3.20 3.78
Potamanthus 3.84 4.18 7.00 -3.22 -3.20 -3.14 1.21
Rhoenanthus 4.06 5.03 7.95 -3.38 -3.35 -3.25 1.60
Ephemera 3.67 4.78 8.03 -3.72 -3.71 -3.65 1.71
Cincticostella 3.21 5.19 9.00 -4.35 -4.37 -4.38 2.52
Ephemerella 2.70 6.65 10.00 -4.09 -4.19 -4.40 5.58
Uracanthella 2.09 3.92 8.00 -4.53 -4.71 -5.13 3.05
Caenis 2.87 5.77 8.00 -2.86 -2.93 -3.03 3.78
Mataeopsephus 1.65 4.04 7.00 -3.39 -3.77 -4.70 5.04
Psephenoides 7.69 10.29 12.00 -2.33 -2.19 -1.89 2.22
Rhyacophila 2.00 4.47 8.00 -4.04 -4.28 -4.84 4.29
Cheumatopsyche 3.12 5.05 8.00 -3.49 -3.51 -3.54 2.51
Hydropsyche 3.60 3.39 8.00 -4.95 -4.94 -4.90 0.89
Psychomyia 3.72 7.15 9.49 -3.03 -3.01 -2.92 3.74
Gumaga 2.57 4.42 7.00 -3.08 -3.17 -3.35 2.67
Mystacides 3.07 5.15 7.00 -2.39 -2.43 -2.47 2.69

References

1 
Barbour M.T., Gerritsen J., Snyder B., Stribling J.B.,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pp. 3
2 
Bovee K.D., Cochnaeur T., 197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ighted Criteria, Probability-of-Use Curves for Instream Flow Assessments : Fisheries, Instream Flow Information No. 3, FWS/OBS-77/33, Cooperative Instream Flow Services Group,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p. 39
3 
Craig D.A., 1987, Some of What You Should Know About Water, Bulletin of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Vol. 4, No. 2, pp. 178-182Google Search
4 
Cummins K.W.,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 The American Midland Naturalist, Vol. 67, pp. 477-504DOI
5 
Death R.G., 1996, The Effect of Habitat Stability on Benthic Invertebrate Communities: the Utility of Species Abundance Distributions, Hydrobiologia, Vol. 317, No. 2, pp. 97-107DOI
6 
Death R.G., 2000, Invertebrate-substratum Relationships, New Zealand Stream Invertebrates: Ecology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New Zealand Limnological Society, pp. 157-178Google Search
7 
Death R.G., Winterbourn M.J., 1995, Diversity Patterns in Stream Benthic Invertebrate Communities: The Influence of Habitat Stability, Ecology, Vol. 76, No. 5, pp. 1446-1460DOI
8 
Degani G., Herbst G.N., Ortal R., Bromley H.J., Levanon D., Netzer Y., Harari N., Glazman H., 1993,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Velocity, Depth and the Invertebrate Community in a Stable River System, Hydrobiologia, Vol. 263, No. 3, pp. 163-172DOI
9 
Gore J.A., 1989, Models for Predicting Benthic Macroinvertebrate Habitat Suitability under Regulated Flows, Alternatives in Regulated River Management, CRC Press, Inc, pp. 253-265Google Search
10 
Gore J.A., Milner A.M., 1990, Island Biogeographical Theory: Can It Be Used to Predict Lotic Recovery Rates?,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4, No. 5, pp. 737-753DOI
11 
Gore J.A., Layzer J.B., Mead J.I.M., 2001, Macroinvertebrate Instream Flow Studies After 20 Years: A Role in Stream Management and Restoration,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17, No. 4-5, pp. 527-542DOI
12 
Jowett I.G., Richardson J., Biggs B.J.F., Hickey C.W., Quinn J.M., 1991, Microhabitat Preferences of Benthic Invertebrates and the Development of Generalized Deleatidium spp. Habitat Suitability Curves, Applied to Four New Zealand Rivers,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Vol. 25, No. 2, pp. 187-199DOI
13 
Jowett I.G., 2003, Hydraulic Constraints on Habitat Suitability For Benthic Invertebrates in Gravel bed Rivers,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19, No. 5-6, pp. 495-507DOI
14 
Kawai T., Tanida K., 2005, Aquatic Insects of Japan: Manual with Keys and Illustrations, Tokai University Press
15 
Kim K.H., 1999, [Korean Literature], Evaluation of Habitat Conditions and Estimation of Optimum Flow for the Freshwater Fish, Ph. 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pp. 95-122
16 
Kong D.S., Kim A.R., 2017, Estimation on the Physical Habitat Suitabil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Gapyeong Stre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3, No. 3, pp. 311-325Google Search
17 
Li F., Cai Q., Fu X., Liu J., 2009, Construction of Habitat Suitability Models (HSM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their Applications to Instream Environmental flow: A case study in Xiangxi River of Three Gorges Reservior region, China, Progress in Natural Science, Vol. 19, No. 3, pp. 359-365DOI
18 
McCafferty W.P., 1981, Aquatic Entomology, Jones and Bartlett, pp. 448
19 
Merritt R.W., Cummins K.W.,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pp. 862
20 
Pennak R.W., 1989, Fresh-Water Invertebrates of the United States. Protozoa to Mollusca, John Wiley and Sons, Interscience, pp. 628
21 
Rabeni C.F., Minshall G.W., 1977, Factors Affecting Microdistribution of Stream Benthic Insects, Oikos, Vol. 50, No. 3, pp. 29DOI
22 
Song M. Y., 2010, [Korean Literature], Survey and Evaluation of Stream Restoration Projects in Gyeonggi Provinc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pp. 206
23 
Stalnaker C., Lamb B.L., Henriksen J., Bovee K., Bartholow J., 1995, The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A Primer for IFIM, Biological Report, USAGoogle Search
24 
Sung Y.D., Park B.J., Joo G.J., Jung K.S., 2005, The Estimation of Ecological Flow Recommendations for Fish Habitat,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8, No. 7, pp. 545-554DOI
25 
Tharme R.E., 2003, A Global Perspective on Environmental Flow Assessment: Emerging Trends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Flow Methodologies for Rivers,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19, No. 5-6, pp. 397-441DOI
26 
Thirion C., 2016, The Determination of Flow and Habitat Requirements for Selected Riverine Macroinvertebrate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West (South Africa), pp. 33-86
27 
Throp J.H., Covich A.P., 2001, Ecology and Classification of North American Freshwater Invertebrates, Academic Press, pp. 1056
28 
Townsend C.R., Scarsbrook M.R., Doledec S., 1997a, Quantifying Disturbance in Streams: Alternative Measures of Disturbance in Relation to Macroinvertebrate Species Traits and Species Richness,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Vol. 16, No. 3, pp. 531-544DOI
29 
Townsend C.R., Scarsbrook M.R., Doledec S., 1997b, Species Traits in Relation to Temporal and Spatial Heterogeneity in Streams: A Test of Habitat Templet Theory, Freshwater Biology, Vol. 37, No. 2, pp. 367-387DOI
30 
Vadas R.L., Orth D.J., 2001, Formulation of Habitat Suitability Models for Stream Fish Guilds: Do the Standard Methods Work?,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Vol. 130, No. 2, pp. 217-235DOI
31 
Vannote R.L., Minshall G.W., Cummins K.W., Sedell J.R., Cushing C.E., 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37, No. 1, pp. 130-137DOI
32 
Vismara R., Azzellino A., Bosi R., Crosa G., Gentili G., 2001, Habitat Suitability Curves for Brown Trout (Salmo trutta fario L.) in the River Adda, Northern Italy: compar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pproaches,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17, No. 1, pp. 37-50DOI
33 
Weibull W., 1951, A Statistical Distribution Function of Wide Applicability,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Vol. 18, No. 3, pp. 293-296Google Search
34 
Wiederholm T., 1983, Chironomidae of the Holarctic region Keys and diagnose. Part I - Larvae, Entomologica Scandinavia, Vol. 19, pp. 137-148Google Search
35 
Wilhm J.L., Dorris T.C., 1968, Biological Parameters for Water Quality Criteria, BioScience, Vol. 18, No. 6, pp. 477-481DOI
36 
Won D.H., Kown S.J., Jun Y.C., 2005, Aquatic Insects of Korea, Korea Ecosystem Service, pp. 3-415
37 
Woo H.S., Lee J.W., Kim K.H., 1998,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ation of Instream Flow Needs Required for Fish Habitat Conservation-Application to the Keum River,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8, No. 2-4, pp. 339-339Google Search
38 
Yoon I.B., 198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Aquatic Insects,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Vol. Vol. 30, pp. 840